KR20180137023A -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023A
KR20180137023A KR1020187035047A KR20187035047A KR20180137023A KR 20180137023 A KR20180137023 A KR 20180137023A KR 1020187035047 A KR1020187035047 A KR 1020187035047A KR 20187035047 A KR20187035047 A KR 20187035047A KR 20180137023 A KR20180137023 A KR 2018013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ransmitted
attribute
value
broadcas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구
오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3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장치가 개시된다. 송신 장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방송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은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본 발명은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방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방송 통신 서비스는 본격적인 디지털화, 다채널화, 광대역화, 고품질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고화질 디지털 TV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 휴대방송 기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도 다양한 수신 방식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방송망을 통하여 하나의 영상 신호와 하나의 음성 신호로 구성된 전통적인의 미의 리니어(linear)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상/음성/문자를 포함하는 서비스가 방송망 및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제공되고 수신기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구성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제공하는 이종망 기반 개인형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TS(transport stream)는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 컴포넌트들이 하나의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 된 경우에 최적의 성능을 보이지만, 각각의 서비스 컴포넌트들이 서로 다른 MPEG2-TS 패킷 스트림이나 이종망으로 전송되는 환경에서는 시스템의 효율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기반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송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의 ARIB 위성 방송 규격, 미주의 ATSC 3.0 규격, 한국의 지상파 UHDTV 규격 등이 IP 기반의 MMT(ISO/IEC 23008-1 MPEG Media Transport) 프로토콜을 방송 표준 기술로 채택하였다.
현재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방송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된다는 가정하여 설계되었으며, 일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하는 수신기가 존재하지만 이는 하나의 서비스가 아닌 복수의 서비스를 화면 겹칩 형태로 동시에 제공하는 목적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하나의 서비스를 전송할 경우에는 통계적 다중화(statistical multiplexing) 이득 증가로 인하여 한정된 주파수 자원 내에서 보다 많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며, 복수의 서비스가 공통된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게 하는 등 주파수 자원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수신기 측면에서는 복수의 주파수로 전송된 방송 신호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사용자의 임의 접근(Random access)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방송 스트림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은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이 제1 속성을 포함하면,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2 값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잇다.
여기서, 상기 제1 속성은 Boolean attribute 이며, 상기 제1 값은 "ture"이고, 제2 값은 "fals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또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duplicate 또는 portion을 전송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SLT(Service List Table)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서비스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은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이 제1 속성을 포함하면,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2 값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잇다.
여기서, 상기 제1 속성은 Boolean attribute 이며, 상기 제1 값은 "ture"이고, 제2 값은 "fals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또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duplicate 또는 portion을 전송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SLT(Service List Table)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물리 계층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PLP를 지원하는 방송 물리 계층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결합채널 본딩을 지원하는 방송 물리 계층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인핸스드 서비스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합 서비스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의 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의 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 및 청구항의 균등들에 의해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의 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의 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의 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의 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정용 기기(smart home applian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가정용 기기는 텔레비젼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이하 ‘DVD’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어와, 오디오와, 냉장고와,에어 컨디셔너와, 진공 청소기와,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과, 워셔와, 드라이어와, 공기 청정기와,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 박스(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와, 게임 콘솔(gaming console)과, 전자 사전과, 캠코더와, 전자 사진 프레임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의 료 기기(일 예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이하 ‘MRA’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하 “MRI”라 칭하기로 한다)과,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촬상 디바이스, 혹은 초음파 디바이스)와,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와, 전세계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와, 사고 기록 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이하 ‘ED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비행 기록 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 이하 ‘FE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와, 항해 전자 디바이스(일 예로, 항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혹은 나침반)와, 항공 전자 디바이스와, 보안 디바이스와, 산업용 혹은 소비자용 로봇(robot)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가구와, 빌딩/구조의 일부와, 전자 보드와, 전자 서명 수신 디바이스와, 프로젝터와,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들(일 예로, 물과, 전기와, 가스 혹은 전자기 파 측정 디바이스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ATSC 3.0, 지상파 UHDTV 방송 규격 등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서비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P-H, 이하 ‘DVP-H’라 칭하기로 한다), 및 모바일/휴대용 진화된 텔레비젼 시스템 협회(ATSC-M/H: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mobile/handheld: ATSC-M/H, 이하 ‘ATSC-M/H’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 등과 같은 모바일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젼(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이하 ‘IPTV’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과, 엠펙 미디어 트랜스포트(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edia transport: MMT, 이하 ‘MMT’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이하 ‘EPS’라 칭하기로 한다)과, 롱-텀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롱-텀에볼루션-어드밴스드(long-term evolution-advanced: LTE-A,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하 ‘HSD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이하 ‘HSU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 3GPP2, 이하 ‘3GPP2’라 칭하기로 한다)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하 ‘HRPD’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이하 ‘IEEE’라 칭하기로 한다) 802.16m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이하 ‘Mobile IP ‘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데이터(0101) 및 수신기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하고 소비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하기 위한 시그널링(0102)을 포함한다. 전송에 앞서 미디어 데이터는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캡슐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캡슐화 방식은 ISO/IEC 23008-1 MPEG Media Transport(MMT)에 정의된 Media Processing Unit(MPU)나 ISO/IEC 23009-1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DASH)에 정의된 DASH 세그먼트 형식을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데이터(0101) 및 시그널링(0102)은 응용 계층 프로토콜에의 하여 패킷화된다. 도 1은 일 예에 따라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MMT에 정의된 MMT 프로토콜(MMTP)(0111)과 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ROUTE) 프로토콜(0112)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수신기에서 특정 서비스가 어떤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전송되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과는 독립적으로 서비스가 전송되는 응용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Service List Table(SLT)(0115)는 응용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기에 알려주기 위한 시그널링으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포함한다. 패킷화된 미디어 데이터와 SLT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은 User Datagram Protocol(UDP)(0120)과 Internet Protocol(IP)(0130)을 거쳐서 방송 링크 계층(0140)으로 전달된다. 방송 링크 계층의 일 예로 ATSC 3.0에서 정의한 ATSC 3.0 Link-Layer Protocol(ALP)가 있다. ALP 프로토콜은 IP 패킷 또는 TS 패킷을 입력으로 ALP 패킷을 생성하고 ALP 패킷을 방송 물리 계층(0150)으로 전달한다. 이 때 방송 링크 계층의 제어에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도 ALP 패킷의 형태로 방송 물리 계층(0150)으로 전달된다.
방송 물리 계층(0150)은 ALP 패킷을 신호 처리하여 물리 계층 프레임을 생성하고 물리 계층 프레임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여기서, 방송 물리 계층(0150)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를 가진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경로는 DVB-T2나 ATSC 3.0의 PLP(Physical Layer Pipe)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신호 처리 경로가 PLP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나의 PLP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전체가 맵핑되거나 하나 이상의 서비스의 일부가 맵핑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PLP를 동시에 신호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하나의 PLP로 전달되는 ALP 패킷들을 ALP 패킷 스트림이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Media data(0101) 중 MPU는 MMTP로 전송되며, DASH segment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파일들은 ROUT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이 때 Media data로 구성된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한 시그널링(0102)은 각각의 프로토콜로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그널링(0102)은 서비스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 즉, RF 채널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 즉,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지 않는, 즉 하나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의 셋이 서비스를 구성하는 경우 컴포넌트들의 셋을 “portion”이라 명명한다. 반면, 셋이 서비스의 모든 컴포넌트들로 구성되고, 하나보다 많은 이러한 컴포넌트들의 셋이 전송되는 경우 이를 서비스의 “duplicate”라고 명명한다. “portion”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각 서비스는 단지 하나의 “essential portion”을 가진다. 여기서, essential portion은 다른 portion(“non-essential portion”)의 이용 없이 서비스의 의미있는 프리젠테이션이 충분한 portion을 의미한다. 다만, non-essential portion을 이용하면 좀더 흥미있는(appealing) 프리젠테이션이 가능할 것이다. 서비스의 “portion” 또는 “duplicate”는 채널 본딩 없이 하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채널 본딩이 ALP 패킷 스트림으로 적용되면, 서비스의 “portion” 또는 “duplicate”는 본딩된 RF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 스트림을 프라이머리 스트림(primary stream),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 스트림은 세컨더리(secondary stream)이라고도 명명하기도 한다.
신호 생성부(110)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는 도 1의 실시 예에서 물리 계층 프레임을 변환한 무선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서비스는 도 1의 실시 예에서 언급한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20)는 방송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은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스트림은 특정 대역폭(bandwidth) 내에 중심을 가지는 캐리어 주파수로 정의되는 RF 채널의 추상적 개념(abstraction)이다. 방송 스트림은 지리적 영역(geographic area) 및 주파수(frequency)에 의해식별될 수 있다. 도 1에서 언급한 PIP는 RF 채널의 일부에 대응되며, 각 PLP는 소정의 모듈레이션 및 코딩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방송 스트림 즉, RF 채널(또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기 위한 기설정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는 bsid(broadcast stream id)라는 추상적 식별자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bsid 값은 지역 레벨(regional level)(예를 들어, North America)에서 유니크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해당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이 해당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LT에 포함된 특정 속성(또는 필드)은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이 해당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속성(또는 필드)의 존부는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특정 속성의 존재하는 경우의 속성 값은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이 해당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이 제1 속성(또는 제1 필드)을 포함하면,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2 값이면,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속성은, boolean attribute로서, “ture” 또는 “false”의 속성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값은 "ture"이고, 제2 값은 "false"일 수 있다.
또한,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한 식별자 정보(@OtherBsid)(또는 제2 속성)(또는 제2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duplicate 또는 portion을 전송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또는 타입 정보(@type) 또는 제3 속성)(또는 제3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정보가 제3 값(예를 들어 "1")이면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duplicate을 전송함을 나타내고, 해당 정보가 제4 값(예를 들어 "2")이면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portion을 전송함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2 값(“true”)이면,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제3 속성(@type) 값이 제4 값(예를 들어 "2")인 적어도 하나의 OtherBsid 엘리먼트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계층에 대응되는 시그널링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과 관련된 정보는 다양한 계층에 대응되는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술한 방송 스트림과 관련된 정보는 서비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SLT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스트림과 관련된 정보가 SLT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3 실시 예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가 다양한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MMT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그널링 및 ROUTE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T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그널링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OUTE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그널링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bundleDescriptionMMT 및 bundleDescriptionROUTE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id를 나타내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을 기본 주파수 대역이라고 하면, bundleDescriptionMMT 및 bundleDescriptionROUTE 중 적어도 하나로 기술되는 서비스가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될 경우 기본 주파수 대역에 대한 bsid는 생략될 수 있으며, 기본 주파수 대역이 아닌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서비스를 전송하는 경우에 bundleDescriptionMMT 와 bundleDescriptionROUTE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주파수 대역의 활용 타입을 나타내는 속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주파수 대역의 활용 타입은 하기와 같은“@multiRFType”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multiRFType - 0: Single RF frequency, 1: additional, 2: Plain channel bonding, 3: Channel bonding with SNR averaging
일 실시 예에 따라 "@multiRFType"의 값이 “1: additional”인 경우, Service 엘리먼트로 기술되는 서비스는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만으로도 재생될 수 있으며, 나머지 주파수 대역으로는 부가적인 미디어 데이터와 파일 만이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bundleDescriptionMMT 및 bundleDescriptionROUTE 중 적어도 하나로 기술되는 서비스는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만으로 재생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를 나타내는 Complementary 값이 @multiRFType 속성에 추가될 수 있다. Plain channel bonding과 Channel bonding with SNR averaging은 IP 계층이 아닌 물리 계층의 수신칩 동작을 나타내는 값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실시 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미디어 데이터의 상위 레벨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의 일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위 레벨 전송 경로는 IP 보다 상위 계층의 주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위 계층의 주소는 목적지 IP 주소와 UDP 포트 번호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출발지 IP 주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MMTP를 사용할 경우 상위 계층의 주소는 packet_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OUTE를 사용할 경우 상위 계층의 주소는 TSI(Transport Session Identifi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T 서비스에서 상위 계층 주소는 MP(MMT Package) table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하기의 표 3은 MMT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상위 레벨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그널링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하기 표 4는 표 3에 포함된 MP table mode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하기 표 5는 표 3에 포함된 asset_id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하기 표 6는 표 3에 포함된 MMT_general_location_info_for_asset_location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하기 표 6는 표 3에 포함된 location_type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MMT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상위 레벨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그널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표 3에 기재된 나타낸 MP table의 asset_descriptors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MP table의 asset_descriptors에 포함되는 bsid는 하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에서, 하나의 asset이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될 경우에 표 8의 num_bsid 필드는 생략되거나 디폴트 값(예를 들어 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sid_descriptor가 기술하는 asset이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될 경우에 bsid_descriptor는 생략될 수 있다.
Figure pct00013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표 10의 mmt_atsc3_message() 페이로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표 9에 기재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에서, 하나의 asset이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될 경우에 표 8의 num_bsid 필드는 생략되거나 디폴트 값(예를 들어 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sid_descriptor가 기술하는 asset이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될 경우에 bsid_descriptor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bsid_descriptor는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asset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하기 표 11은 표 10에 포함된 atsc3_message_content_type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OUTE 서비스에서 상위 계층 주소는 S-TSID(Service-based Transpor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로 시그널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OUTE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상위 레벨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그널링의 예는 하기 표 12와 같다.
Figure pct00017
< 실시 예 3>
일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SLT(Service List Table)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SLT는 LLS(Low Level Signaling)의 일종으로 특정 멀티캐스트 주소와 UDP 포트로 전달되는 UDP/IP 패킷에 LLS 테이블의 형태로 전송된다. 일 예로 특정 규격의 경우 멀티캐스트 주소 224.0.23.60, 목적지 포트 4937/u에가 LLS를 위한 전용 어드레스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LT는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이 해당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LT에 포함된 특정 속성은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이 해당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SLT에 포함된 특정 속성의 존부는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특정 속성의 존재하는 경우의 속성 값은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이 해당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SLT가 제1 속성(예를 들어, 표 13의 "@essential")을 포함하면,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속성(예를 들어, 표 13의 @essential)이 “ture” 값을 포함하면, 해당 방송 스트림 즉, SLT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내고, 제1 속성(예를 들어, 표 13의 @essential)이 “false” 값을 포함하면 해당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하기의 표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T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한편, SLT의 서비스 엘리먼트로 기술되는 서비스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 즉, 복수의 RF 채널로 전송되는 경우, 하나의 주파수 대역(또는 기본 주파수 대역)에 대한 bsid 정보는 SLT의 루트 엘리먼트로 전송되고, 다른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bsid 정보는 Service 엘리먼트의 하위 속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3에서, "@bsid"는 16 비트의 언사인드(unsigned) 정수의 리스트로서, 오리지널 이미션 신호(original emission signal)의 방송 스트림 ID를 식별한다. 각 @bsid의 값은 물리 계층에서 L1 디테일 시스널링에서 the L1D_bsid에 시그널링되는 값과 동일하다. 서비스가 물리 계층에서 채널 본딩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해당 리스트는 본딩에 포함된 각 RF 이미션의 BSID 값을 포함한다.
"@essential"의 속성이 존재하면, 서비스가 하나보다 많은(more than one)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하나보나 많은(more than one) portions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여기서, 해당 속성은 Boolean 속성이 될 수 있다.
"@essential"의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의 모든 portions은 해당 RF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낸다. @essential 값이 “true”로 설정되면,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이 해당 방송 스트림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낸다. @essential 값이 “false”로 설정되면,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이 해당 방송 스트림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낸다. @essential 값이 “true”이면, @type 값이 “2"인 적어도 하나의 OtherBsid 엘리먼트가 서비스에 대해 존재한다. OtherBsid 엘리먼트가 서비스에 대해 존재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OtherBsid"는 언사인드 쇼트 정수 값들의 리스트로, 각 인스턴스는 서비스의 duplicate 또는 portion을 전송하는 또 다른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OtherBsid의 각 인스턴스 포맷은 @bsid의 포맷과 동일하다. 부모 서비스 엘리먼트(parent Service element)에 대한 @essential attribute가 존재하고 “true”로 설정되면, 적어도 하나의 OtherBsid 엘리먼트가 존재할 것이다.
부모 서비스 엘리먼트에 대한 @essential attribute가 존재하고 “false”로 설정되면, OtherBsid 엘리먼트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부모 서비스 엘리먼트에 대한 @essential attribute가 존재하지 않으면, @type 값이 “1"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OtherBsid 엘리먼트가 존재한다. OtherBsid 엘리먼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OtherBsid 엘리먼트가 서비스에 대해 존재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type"는 - 언사인드 바이트 정수 값이 OtherBsid에 의해식별된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duplicate 또는 portion을 전송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type의 값이 “1”이면, 해당 서비스 엘리먼트가 OtherBsid에 의해식별되는 방송 스트림에서 서비스의 Duplicate 임을 나타낸다. @type의 값이 “2”이면, 해당 서비스 엘리먼트가 OtherBsid에 의해식별되는 방송 스트림에서 컴포넌트를 가지는 서비스의 portion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서비스 식별자는 부모 서비스 엘리먼트의 @serviceId 속성의 값으로 주어진다. 부모 서비스 엘리먼트 하에 하나보다 많은 OtherBsid 엘리먼트가 존재하는 경우, 모든 엘리먼트들의 OtherBsid@type 속성 값은 동일하다.
하기 표 14, 15, 16은 각각 표 13에 포함된 urlType, serviceCategory, slsProtocol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든 서비스 “portions” 또는 “duplicates”가 채널 본딩 없이 전송되면, SLT(Service List Tables), S-TSIDs(Service-based Transpor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s, MPT messages(MMT Package Table message)는 다음과 같은 시그널링 룰을 따르게 된다.
* 서비스 portions 또는 duplicates에 의해나타내어지는 서비스는 portions 또는 duplicates가 나타내는 RF 채널의 SLT에 포함된다. portions 또는 duplicates에 의해나타내어지는 리스팅 각각은 동일한 서비스 ID 값을 가지며, 동일한 메이저/마이너 채널 넘버 값을 가진다. 이는 복수의 RF 채널에서 전송되는 서비스의 portions 또는 duplicates가 수신기가 채널 스캔시 수신기의 채널 맵에서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essential portion 또는 duplicate의 SLT 엔트리는 other portions 또는 duplicate가 발견될 수 있는 방송 스트림의 BSIDs(Broadcast Stream Identifiers)를 포함할 수 있다.
* ROUTE/DASH 관련, S-TSID는 서비스 portion 또는 duplicate을 전송하는 각 RF 채널의 PLP에서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portion 또는 duplicate을 각각에 대한 S-TSID는 서비스 portion 또는 duplicate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ROUTE sessions 및 LCT channels을 기술한다.
* MMTP/MPU 관련, MPT 메시지는 essential portion 또는 duplicate을 전송하는 각 RF 채널에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portions이 채널 본딩으로 전송되면, 즉 서비스 portions이 하나보다 많은 RF 채널(즉, 본딩된 RF 채널)로 전송되면, SLTs, S-TSIDs and MPT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시그널링 룰을 따른다.
1)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은 RF 채널의 non-bonded PLP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 서비스의 portion을 전송하는 non-bonded PLP 및 bonded PLP 모두와 관련된 SLT가 서비스를 리스트한다. portion에 의해나타내어지는 서비스의 리스팅 각각은 동일한 값의 서비스 ID 및 동일한 값의 메이저/마이너 채널 넘버를 가진다.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에 대한 SLT 엔트리 만이 다른 portion들이 발견될 수 있는 방송 스트림들의 BSID를 리스트한다.
* ROUTE/DASH 관련, S-TSID는 (a) non-bonded PLP 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 portions을 전송하는 각 RF 채널의 single, non-bonded PLP 또는(b) 또 다른 서비스 portion을 전송하는 bonded RF 채널의 bonded PLP에서 전송된다. (a)의 경우 각 S-TSID 인스턴스는 S-TSID 을 전송하는 PLP가 속한 RF 채널에서 대응되는 non-bonded PLP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portion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ROUTE sessions 및 LCT channels 을 기술한다. (b)의 경우 S-TSID 각 인스턴스는 S-TSID 을 전송하는 PLP가 속한 bonded RF 채널에서 대응되는 bonded PLP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portion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ROUTE sessions 및 LCT channels 을 기술한다
* MMTP/MPU 관련, MPT 메시지는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RF 채널의 single, non-bonded PLP에서 전송될 수 있다.
2)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은 bonded RF 채널의 bonded PLP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bonded PLP와 관련된 하나의 SLT 만이 서비스를 리스트한다. 서비스의 SLT 인스턴스는 다른 서비스 portions 이 발견될 수 있는 방송 스트림의 BSID를 리스트한다.
* ROUTE/DASH 관련, 서비스에 대한 하나의 S-TSID 가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bonded RF 채널의 bonded PLP에서 전송될 수 있다. S-TSID 인스턴스는 서비스의 모든 컴포턴트에 대한 ROUTE sessions 및 LCT channels을 기술한다.
* MMTP/MPU 관련, MPT 메시지는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bonded RF 채널의 bonded PLP에서 전송될 수 있다.
3)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duplicates가 채널 본딩으로 전송되면, 즉 서비스 duplicates가 bonded RF 채널의 bonded PLP(s)로 전송되면, SLTs, S-TSIDs and MPT messages는 다음과 같은 시그널링 룰을 따른다.
* 서비스의 duplicates을 전송하는 non-bonded PLP 및 bonded PLP 모두와 관련된 SLT가 서비스를 리스트한다. duplicates에 의해나타내어지는 서비스의 리스팅 각각은 동일한 값의 서비스 ID 및 동일한 값의 메이저/마이너 채널 넘버를 가진다. 서비스의 duplicates에 대한 SLT 엔트리는 다른 duplicates 이 발견될 수 있는 방송 스트림들의 BSID를 리스트한다.
* ROUTE/DASH 관련, S-TSID는 (a) 서비스 duplicates를 전송하는 각 RF 채널의 single, non-bonded PLP 또는 (b) 또 다른 서비스 duplicates를 전송하는 bonded RF 채널의 single, bonded PLP에서 전송된다.(a)의 경우 S-TSID 인스턴스는 S-TSID 을 전송하는 PLP가 속한 RF 채널에서 대응되는 non-bonded PLP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duplicates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ROUTE sessions 및 LCT channels 을 기술한다.(b)의 경우 S-TSID 각 인스턴스는 S-TSID 을 전송하는 PLP가 속한 bonded RF 채널에서 대응되는 bonded PLP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duplicates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ROUTE sessions 및 LCT channels 을 기술한다
* MMTP/MPU 관련, MPT 메시지는(a) 서비스 duplicates를 전송하는 각 RF 채널의 single, non-bonded PLP 또는(b) 또 다른 서비스 duplicates를 전송하는 bonded RF 채널의 single, bonded PLP에서 전송된다.
한편, 수신기에서 복수의 bonded PLP로부터 ALP 패킷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하여 복수의 튜너 즉, RF 채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튜너가 요구된다. 채널 본딩이 적용된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싱글 튜너 수신기는 서비스를 기술하는 SLT를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서비스의 S-TSID가 특정 RF 채널로 튜닝된 싱글 튜너로 획득될 수 있는 경우, S-TSID에 리스트된 모든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RF 채널로 튜닝된 싱글 튜너로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 주파수 대역의 활용 타입은 “@multiRFType”에 의해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multiRFType - 0: Single RF frequency, 1: additional, 2: Plain channel bonding, 3: Channel bonding with SNR averaging
해당 정보의 값이 “ 1: additional”인 경우, Service 엘리먼트로 기술되는 서비스는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만으로도 재생될 수 있으며, 나머지 주파수 대역으로는 부가적인 미디어 데이터와 파일만이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ervice 엘리먼트로 기술되는 서비스는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만으로 재생이 불가 할 수 있으며, 이를 나타내는 Complementary 값이 @multiRFType 속성에 추가될 수 있다. Plain channel bonding과 Channel bonding with SNR averaging은 IP 계층이 아닌 물리 계층의 수신칩 동작을 나타내는 값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ervice 엘리먼트로 기술되는 서비스가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만으로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에, 이에 대한 정보가 SLT의 @svcCapabilities 속성의 코드 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Complementary, Plain channel bonding, Channel bonding with SNR averaging에 해당하는 코드 값이 @svcCapabilities 속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 예를 들어 하나의 주파수 대역만 수신 가능한 수신기는 이 코드 값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링크 계층(0140)은 복수의 멀티캐스트와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하나의 링크 계층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계층 패킷 스트림은 물리 계층에서 하나의 논리적 채널로 취급된다.
논리적 채널은 채널 본딩(channel bonding)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하나의 PLP로 전송된다. 멀티캐스트는 출발지 IP 주소(source IP address),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IP address), 출발지 UDP 포트(source UDP port), 목적지 UDP 포트(destination UDP port)로 정의된다. 링크 계층 시그널링은 하나의 논리적 채널로 전송되는 멀티캐스트의 리스트, ALP 패킷 처리를 위한 부가 정보, IP 헤더 압축을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표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시그널링 중 멀티캐스트의 리스트, ALP 패킷 처리를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예인 LMT(Link Mapping Table)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3
하기 표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시그널링 중 헤더 압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예인 RDT(ROHC-U Description Table)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표 19는 표 18에 포함된 adaptatio mode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물리 계층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물리 계층(0150)은 Input Formatting 블록(0210), BICM 블록(0220), Framing & Interleaving 블록(0230) 및 Waveform Generation 블록(0240)을 포함할 수 있다.
Input Formatting 블록(0210)의 입력은 도 1에 도시된 방송 링크 계층(0140)의 출력이며, 방송 링크 계층(1040)의 출력은 일 예로 ATSC 3.0에서 정의한 ALP(ATSC 3.0 Link-layer Protocol) 패킷 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Waveform Generation 블록(0240)의 출력은 OTA Interface(25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OTA Interface(250)는 일 예로 방송 물리 계층(1400)의 출력을 송출 타워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LP가 하나인 시스템을 예로 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put Formatting 블록(0210)은 가변 길이를 가질 수 있는 방송 링크 계층의 출력 패킷 스트림을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물리 계층 패킷들로 변환한다. 여기서, 물리 계층 패킷은 헤더와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물리 계층 패킷의 길이는 BICM 블록(0220)의 파라미터에 의해결정될 수 있다.
한편, 물리 계층 패킷의 헤더는 수신기에서 수신된 물리 계층 패킷 스트림을 이용하여 방송 링크 계층의 출력 패킷 스트림을 복원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물리 계층 패킷의 헤더는 페이로드에 포함된 방송 링크 계층 패킷의 바운더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ICM 블록(0220)은 물리 계층 패킷 스트림을 입력으로 기 설정된 성좌(constellation)(또는 신호 성좌 또는 성상) 내의 신호 값들을 출력한다. 이 경우 물리 계층 패킷 단위로 순방향 오류정정 부호가 적용되어 패리티 비트들이 생성된다. 이 후 물리 계층 패킷의 각 비트들과 패리티 비트들은 서로 인터리빙되고 일정한 개수의 비트 단위로 그룹화되어 성좌 신호 값으로 맵핑된다.
Framing & Interleaving 블록(0230)은 성좌 내의 신호 값들을 사용하여 OFDM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OFDM 프레임은 Waveform Generation 블록(0240)으로 전달되어 송출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다. Framing & Interleaving 블록(0230)의 동작 과정에서 생성된 OFDM 프레임 중 일부는 BICM 블록(0220)과는 별도의 경로(미도시)로 생성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정보(이하에서 LA 시그널링이라 함)는 특정한 OFDM 심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PLP를 지원하는 방송 물리 계층(0150)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물리 계층은 4개의 신호처리 경로, 일 예로 4개의 PLP를 사용한다. 각각의 PLP에는 고유의 Input Formatting 블록들(0310, 0311, 0312, 0313)과 BICM 블록들(0320, 0321, 0322, 0323)이 할당될 수 있다.
도 4의 Framing & Interleaving 블록(0340)은 4개의 BICM 블록들(0320, 0321, 0322, 0323)에서 출력된 성좌 내의 신호 값들이 할당되는 4개의 PLP와 L1 시그널링(제어 정보)을 포함하는 ODFM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L1 시그널링은 4개의 PLP에 해당하는 신호 값들을 수신기에서 식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SLT를 포함하는 LLS 패킷들은 모든 PLP가 아닌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제공하는 PLP로 전송될 수 있으며, L1 시그널링은 LLS 패킷이 포함된 PLP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LLS 패킷을 포함하는 PLP로 상술한 링크 계층 시그널링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본딩을 지원하는 방송 물리 계층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채널 본딩이 적용될 PLP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은 하나의 Input Formatting 블록(0410)에서 처리된다. Input Formatting 블록(0410)에서 생성된 물리 계층 패킷은 Streaming Partitioning 블록(0420)에서 분할되어 각각의 BICM 블록(0430, 0435)로 입력된다.
Streaming Partitioning 블록(0420)은 물리 계층 패킷을 이 후의 각 BICM 블록에 균등하게 분할하거나 일정한 비율에 따라 분할한다. BICM 블록들(0430, 0435)에서 출력된 성좌 내의 신호 값들은 채널 본딩 방식에 따라 그대로 각각의 Framing & Interleaving 블록들(0450, 0455)로 입력되거나, 별도의 Cell Exchange 블록(0440)에서 시간/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서 각각의 Framing & Interleaving 블록들(0450, 0455)로 입력된다. 일 예로 Cell Exchange 블록(0440)을 사용하지 않는 결합 방식은 Plain channel bonding, Cell Exchange 블록(0440)을 사용하는 방식을 Channel bonding with SNR averaging이라 한다.
이 후 각각의 신호 전달 경로를 따라 Framing & Interleaving 블록들(0450, 0455)과 Waveform Generation 블록(0460, 0465)의 처리를 거쳐 2개의 주파수 대역(0470, 0475)으로 전송된다. 채널 본딩이 사용될 경우에 동일한 Input Formatting 블록(0410)을 공유하는 PLP들은 반드시 동일한 식별자 값을 사용하여야 하며, 수신기는 이를 기반으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채널 본딩이 사용되었을 경우에 각 PLP에 대하여 채널 본딩 사용 여부와 결합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가 L1 시그널링으로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비스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 만으로 전송되거나 복수의 주파수 대역 모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는 수신기가 특정한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만을 처리하여도 기본적인 영상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수신기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모두 처리해야만 영상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의 서비스를 인핸스드 서비스, 후자의 서비스를 통합 서비스라 한다. 인핸스드 서비스의 예로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메인 영상과 음성 정보를 전송하고 부가적인 주파수 대역으로 보조 영상, 보조 음성 등을 보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통합 서비스의 예로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보낼 수 있는 채널 용량의 한계를 넘는 8K 영상 등의 고품질 미디어를 전송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서비스가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상술한 SLT는 복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Service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하기 표 20은 SLT에 포함되는 일 예에 따른 복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6
"MultiRFChannel" 엘리먼트는 하위 엘리먼트 및 속성들이 서비스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RF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컴플렉스(complex) 엘리먼트이다. 해당 엘리먼트는 서비스가 하나 보다 많은 RF 채널들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에만 시그널링에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엘리먼트가 시그널링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는 SLT의 @bsid에 의해식별되는 단지 하나의 방송 스트림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isPrimayBS"는 SLT를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이 프라이머리 스트림( essentiol portion을 포함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Boolean 속성이다. 해당 속성이 “1” 또는 “true”이면, SLT를 전송하는 스트림이 프라이머리 방송 스트림임을 나타낸다, 해당 속성이 “0” 또는 “false”이면 SLT를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이 세컨더리 방송 스트림(non-essentiol portion을 포함하는 스트림) 중 하나임을 나타낸다.
"@PrimaryBsid"는 프라이머리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이다. PrimaryBsid의 값은 지역 레벨에서 유니크한 값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administrative) 나 규제력이 있는 권한(regulatory authority)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속성은 "@isPrimayBS"의 값이 “0” 또는“false”인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secondaryBsid"는 세컨더리 방송 스트림(non-essentiol portion을 포함하는 스트림)의 식별자이다. secondaryBsid의 값은 지역 레벨에서 유니크한 값이 될 수 있다.이 경우, 관리자(administrative) 나 규제력이 있는 권한(regulatory authority)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속성은 "@isPrimayBS"의 값이 “0” 또는“false”인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MultiRFChannelType"은 세컨더리 방송 스트림의 이용을 나타내는 정수로 8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해당 값은 하기 표 21에 따라 코딩될 수 잇다.
Figure pct00027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인핸스드 서비스는 Video Asset(0510), 1st Audio Asset(0511), 2nd Audio Asset(0515)를 포함하는 총 3개의 Ass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Asset 중 Video Asset(0510)과 1st Audio Asset(0511)은 MMTP session 1(0520)으로 다중화되며, 2nd Audio Asset(0515)은 MMTP session 2(0525)로 다중화된다. 이후 MMTP session 1(0520)은 UDP/IP session 1(0530), ALP stream 1(0540)으로 캡슐화되고 PLP1(0550)로 신호 처리되어 RF channel 1(0560)로 송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MMTP session 2(0525)는 UDP/IP session 2(0535), ALP stream 2(0545)로 캡슐화되고 PLP1(0555)로 신호 처리되어 RF channel 2(0560)로 송출될 수 있다. 여기서, ALP stream들은 Signaling server(0570)로부터 제공되는 LLS 및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의 RF channel 1(0560)이 bsid 값 1을 가지는 Primary Broadcast Stream이고, RF channel 2(0565)가 bsid 값 2를 가지는 Secondary Broadcast Stream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SLT는 Primary Broadcast Stream으로만 전송될 수 있다. SLT에서 표 21에 나타낸 MultiRFChannel의 엘리먼트 속성들은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진다. 여기서, @PrimaryBsid 속성은 생략될 수 있다.
@isPrimaryBS = ‘1’
@SecondaryBsid = ‘2’
@MultiRFChannelType = ‘1’
수신기는 상기 값에 기초하여 현재 수신되는 서비스가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현재 SLT가 수신된 Broadcast Stream(bsid = ‘1’)이 Primary Broadcast Stream이고 Secondary Broadcast Stream의 bsid 값은 ‘2’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는 부가적인 서비스 컴포넌트들만이 전송되며, 부가적인 서비스 컴포넌트들을 추가적으로 수신하기에 앞서 Primary Broadcast Stream 만으로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위치에 대해 IP 상위 계층의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PLP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인 LMT가 필요하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수신기는 Primary Broadcast Stream으로 튠인(tune-in)한 이후에 PLP1을 신호처리하여 링크 계층 시그널링인 LMT 와 LLS의 일종인 SLT를 획득한다. LMT는 현재 주파수 대역에서 인핸스드 서비스의 전송에 사용된 UDP/IP session과 PLP의 맵핑관계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UDP/IP session 1이 PLP1로 전송된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인핸스드 서비스를 위한 LLS 및 링크 계층 시그널링이 전송되는 PLP의 Primary Broadcast Stream에서의 식별자와 Secondary Broadcast Stream에서 인핸스드 서비스를 위한 링크 계층 시그널링이 전송되는 PLP의 식별자는 동일한 값이 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는 Primary Broadcast Stream으로 튠인(tune-in)한 이후에 PLP1을 신호처리하고 LMT 및 SLT를 획득한다. 이어서 LMT의 MultiRFChannel 엘리먼트를 통해, 인핸스드 서비스를 위한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이 bsid 값 2인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이 후 bsid 값 2인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 튠인한 이후에 PLP1을 신호처리하고 LMT를 획득하여 인핸스드 서비스의 전송에 사용된 UDP/IP session과 PLP의 맵핑관계를 제공한다.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UDP/IP session 2가 PLP1로 전송된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LMT는 현재 주파수 대역 뿐 아니라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UDP/IP session과 PLP의 맵핑 관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는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 튠인한 이후에 LMT가 전송되는 PLP를 처리하지 않고 바로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PLP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핸스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LT는 Primary Broadcast Stream과 Secondary Broadcast Stream 모두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되는 SLT에서 인핸스드 서비스는 동일한 @ServiceId 값을 가지며, Primary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되는 SLT에서 표 21에 나타낸 MultiRFChannel는 엘리먼트의 속성들은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진다. 여기서, @PrimaryBsid 속성은 생략될 수 있다.
@isPrimaryBS = ‘1’
@SecondaryBsid = ‘2’
@MultiRFChannelType = ‘1’
또한,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되는 SLT에서 표 21에 나타낸 MultiRFChannel는 엘리먼트의 속성들은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진다. 여기서, @SecondaryBsid 속성은 생략될 수 있다.
@isPrimaryBS = ‘0’
@PrimaryBsid = ‘1’
@MultiRFChannelType = ‘1’
수신기는 상기 값을 사용하여 현재 서비스가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현재 SLT가 수신된 Broadcast Stream(bsid = ‘1’)이 Primary Broadcast Stream이고 Secondary Broadcast Stream의 bsid 값은 ‘2’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는 부가적인 서비스 컴포넌트들만이 전송되며, 부가적인 서비스 컴포넌트들을 추가적으로 수신하기에 앞서 Primary Broadcast Stream 만으로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되는 SLT에서 인핸스드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bsid 와 MultiRFChannel 를 제외하면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되는 SLT는 BroadcastSvcSignaling 엘리먼트가 생략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는 Primary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되는 SLT에서 서비스 시그널링의 전송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합 서비스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통합 서비스는 Audio Asset(0610)과 Video Asset(0615)를 포함하는 총 2개의 Ass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Asset 중 Audio Asset(0610)은 MMTP session 1(0620)으로 다중화되며, Video Asset(0615)은 MMTP session 2(0625)로 다중화된다. 이후 MMTP session 1(0620)은 UDP/IP session 1(0630), ALP stream 1(0640)으로 캡슐화되고 PLP1(0650)로 신호 처리되어 RF channel 1(0560)로 송출된다. MMTP session 2(0625)는 UDP/IP session 2(0635), ALP stream 2(0645)로 캡슐화되고 RF channel 1(0660)의 PLP2(0655) 및 RF channel 2(0665)의 PLP2(0656)로 신호 처리되어 RF channel 2(0665)로 송출된다. 또한 ALP stream 1(0640)은 LLS 및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LLS 및 링크 계층 시그널링은 Signaling server(057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RF channel 2(0665)는 PLP2(0656) 이외의 다른 PL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PLP로 LLS 및 링크 계층 시그널링이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의 RF channel 1(0660)이 bsid 값 1을 가지는 Primary Broadcast Stream이라 하고, RF channel 2(0665)가 bsid 값 2를 가지는 Secondary Broadcast Stream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SLT는 Primary Broadcast Stream으로만 전송될 수 있다. SLT에서 표 19에 나타낸 MultiRFChannel는 엘리먼트의 속성들은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진다. 이 경우, @PrimaryBsid 속성은 생략될 수 있다.
@isPrimaryBS = ‘1’
@SecondaryBsid = ‘2’
@MultiRFChannelType = ‘2’ or ‘3’
수신기는 위의 값을 사용하여 현재 서비스가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현재 SLT가 수신된 Broadcast Stream(bsid = ‘1’)이 Primary Broadcast Stream이고 Secondary Broadcast Stream의 bsid 값은 ‘2’이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2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된 신호를 모두 처리해야 함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MultiRFChannelType의 값이 통합 서비스를 나타낼 경우에 표 21에 나타낸 MultiRFChannel 엘리먼트에서 @MultiRFChannelType 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 주파수 활용을 위한 정보는 SLT 만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표 20에 나타낸 MultiRFChannel 엘리먼트 및 다음 표 22에 나타낸 MultiRFChannel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MultiRFChannel" 엘리먼트는 하위 엘리먼트 및 속성들이 서비스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RF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컴플렉스(complex) 엘리먼트이다. 해당 엘리먼트는 서비스가 하나 보다 많은 RF 채널들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에만 시그널링에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엘리먼트가 시그널링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는 SLT의 @bsid에 의해식별되는 단지 하나의 방송 스트림에의 해서 전송될 수 있다.
"@isPrimayBS"는 SLT를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이 프라이머리 스트림( essentiol portion을 포함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Boolean 속성이다. 해당 속성이 “1” 또는 “true”이면, SLT를 전송하는 스트림이 프라이머리 방송 스트림임을 나타낸다, 해당 속성이 “0” 또는 “false”이면 SLT를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이 세컨더리 방송 스트림(non-essentiol portion을 포함하는 스트림) 중 하나임을 나타낸다.
"@PrimaryBsid"는 프라이머리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이다. PrimaryBsid의 값은 지역 레벨에서 유니크한 값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administrative) 나 규제력이 있는 권한(regulatory authority)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속성은 "@isPrimayBS"의 값이 “0” 또는“false”인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해당 속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SLT의 @bsid 속성 값이 참고될 수 있다.
"@associatedBsid"는 프라이머리 방송 스트림을 제외한 SLT@bsid에 의해식별되는 방송 스트림과 관련된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이다. associatedBsid 값은 지역 레벨에서 유니크한 값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administrative) 나 규제력이 있는 권한(regulatory authority)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ultiRFChannelType"은 복수의 방송 스트림이 이용됨을 나타내는 정수로 8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해당 값은 하기 표 23에 따라 코딩될 수 잇다. 해당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값으로 "1"이 참고될 수 있다.
Figure pct00029
표 23의 "MultiRFProcessingType"은 복수의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정수로 8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해당 값은 하기 표 24에 따라 코딩될 수 있다. 해당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값으로 "1"이 참고될 수 있다.
Figure pct00030
상술한 실시 예에서 MultiRFChannel 엘리먼트는 Service 엘리먼트의 자식 엘리먼트로서, 부모 Service 엘리먼트로 식별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에 따라 SLT에 포함된 모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MultiRFChannel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SLT에 대한 MultiRFChannel과 Service에 대한 MultiRFChannel 엘리먼트가 모두 존재할 경우에는 Service에 대한 MultiRFChannel 엘리먼트가 우선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 23에 나타낸 MultiRFchannel 엘리먼트는 @primaryBsid를 별도로 제공하지만, 구현 예에 따라 Primary Broadcast Stream에 대한 bsid를 첫 번째 @associatedBsid로 제공할 수 있다.
"@associatedBsid"는 SLT@bsid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스트림과 관련된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이다. associatedBsid 값은 지역 레벨에서 유니크한 값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administrative) 나 규제력이 있는 권한(regulatory authority)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sPrimayBS의 값이 “0” 또는 “false”이면, 해당 속성의 첫번째 인스턴스 값은 프라이머리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로서 참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파수 활용을 위한 정보는 SLT와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을 모두 사용하여 전달 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MultiRFChannel 엘리먼트가 SLT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미디어 데이터의 상위 레벨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의 일부로 각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Broadcast Stream의 식별자가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MMT일 경우에 상술한 표 7의 bsid_descriptor가 상술한 표 3의 asset_descriptor로 전달될 수 있다. MMT일 경우의 다른 예로 상술한 표 8 또는 다음 표 25, 표 26와 같은 bsid_descriptor가 상술한 표 10의 mmt_atsc3_message() 페이로드로 제공될 수 있다.
Figure pct00031
여기서, "num_bsid"는 방송 스트림의 개수, "bsid"는 방송 스트림의 tlruqf자를 나타내며, "num_of_asset"은 bsid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asset의 개수를 나타내며, "asset_id_length"는 video asset id의 바이트 길이를 나타내며, "asset_id_byte"는 asset id의 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32
여기서, "num_bsid"는 방송 스트림의 개수, "bsid"는 방송 스트림의 tlruqf자를 나타내며, "num_IP_flows"은 bsid 필드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MMTP sub-flows의 개수를 식별하기 위한 8-bit 언사인드 정수 필드이다. 또한, "ipv4_src_addr"는 MMTP sub-flow의 IP 버전 4 소스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32 비트 언사인드 정수 필드이며, "ipv4_dst_addr"는 MMTP sub-flow의 IP 버전 4 목적지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32 비트 언사인드 정수 필드이다. "dst_port"는 MMP 서브 플로우 목적지 포트 넘버를 나타내는 16 비트 언사인드 정수 필드이고, "packet_id"는 MMTP sub-flow에 의해 전송되는 MMP packet 헤더에서 packet_id"는 타내는 16 비트 언사인드 정수 필드이다. 여기서, packet_id 필드는 생략되거나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MMT의 경우에 각 asset에 대한 asset id 및 해당 asset이 전송되는 MMTP session의 주소 및 packet_id가 MP table로 전달된다. 상술한 mmt_atsc3_message()로 bsid_descriptor가 전달될 경우에 수신기는 표 26의 asset id를 사용하여 어떤 어셋이 어떤 Broadcast Stream으로 전달되는지를 알 수 있으며, 상술한 MP 테이블의 정보화 조합하여 어떤 MMTP session 및 packet_id를 가지는 MMTP 패킷들이 어떤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되는지 알 수 있다.
ROUTE의 경우에 표 13 과 같이 S-TSID에 RS 엘리먼트의 속성으로 해당 ROUTE session이 전송되는 Broadcast Stream을 식별하지 위한 @bsid 속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 주파수 활용을 위한 정보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만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MultiRFChannel 엘리먼트가 상술한 표 1 또는 표 2의 bundleDescriptionMMT 혹은 bundleDsecriptionROUT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미디어 데이터의 상위 레벨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의 일부로 각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Broadcast Stream의 식별자가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 주파수 활용을 위한 정보가 미디어 데이터의 상위 레벨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의 일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MutiRFChannel에 포함된 정보들이 각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Broadcast Stream의 식별자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표26 또는 표 27의 bsid_descriptor에 bsid와 함께 해당 bsid로 식별되는 Broadcast Stream이 primary 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flag 또는 해당 bsid로 식별되는 Broadcast Stream이 독립적으로 처리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필드(또는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수신 장치(200)는 수신부(210) 및 신호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방송 스트림을 RF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20)는 RF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신호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를 획득한다. 여기서, 서비스는 수신 장치(200)가 특정한 하나의 RF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만을 처리하여도 기본적인 영상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수신 장치(200)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모두 처리해야만 영상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수신 장치(200)가 특정 서비스가 어떤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전송되었는지 알기 위해서, 송신 장치(100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과는 독립적인 시그널링으로 서비스가 전송되는 응용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 여기서, 시그널링은 도 1 내지 7에서 설명한 다양한 타입의 시그널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Service List Table(SLT)는 응용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 장치(200)에 알려주기 위한 시그널링으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들어,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이 제1 속성을 포함하면,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내고,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2 값이면, 방송 스트림이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속성은 Boolean attribute 이며, 제1 값은 "ture"이고, 제2 값은 "false"일 수 있다.
또한,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duplicate 또는 portion을 전송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서비스 시그널링(예를 들어, SLT)에 포함되는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LT에 포함된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복수의 RF 채널에서 전송되는 서비스의 portions 또는 duplicates가 채널 스캔시 수신 장치(200)의 채널 맵에서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essential portion 또는 duplicate의 SLT 엔트리는 other portions 또는 duplicate가 발견될 수 있는 방송 스트림의 BSIDs(Broadcast Stream Identifier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는 essential portion 을 포함하는 Primary Broadcast Stream으로 튠인(tune-in)한 이후에 PLP1을 신호처리하고 SLT를 획득한다. 이어서 SLT 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인핸스드 서비스를 위한 other portions이 특정 otherbisd 값으로 식별되는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이 후 해당 Secondary Broadcast Stream으로 튠인한 이후에 PLP1을 신호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구성 중 수신 장치와 관련된 구성은 도 8의 수신 장치(2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서비스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방송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실시 예를 중점적으로 기술하였으나,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본 발명의 요지가 적용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CD-ROM,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구현될 수 있고,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송/수신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서비스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은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이 제1 속성을 포함하면,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는,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내는, 송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2 값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내는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은 Boolean attribute 이며,
    상기 제1 값은 "ture"이고, 제2 값은 "false"인, 송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duplicate 또는 portion을 전송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SLT(Service List Table)인, 송신 장치.
  9. 서비스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은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RF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이 제1 속성을 포함하면,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RF 채널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는, 송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내는, 송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2 값이면, 상기 방송 스트림이 상기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포함함을 나타내는 송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은 Boolean attribute 이며,
    상기 제1 값은 "ture"이고, 제2 값은 "false"인, 송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 값이 제1 값이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상기 서비스의 non-essential portion을 전송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은,
    SLT(Service List Table)인, 송신 방법.
KR1020187035047A 2016-09-13 2017-09-13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KR20180137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93807P 2016-09-13 2016-09-13
US62/393,807 2016-09-13
US201662409968P 2016-10-19 2016-10-19
US62/409,968 2016-10-19
PCT/KR2017/010070 WO2018052253A1 (ko) 2016-09-13 2017-09-13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709A Division KR102196473B1 (ko) 2016-09-13 2017-09-13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023A true KR20180137023A (ko) 2018-12-26

Family

ID=616191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047A KR20180137023A (ko) 2016-09-13 2017-09-13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KR1020207025709A KR102196473B1 (ko) 2016-09-13 2017-09-13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709A KR102196473B1 (ko) 2016-09-13 2017-09-13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939180B2 (ko)
EP (1) EP3499898A4 (ko)
KR (2) KR20180137023A (ko)
CN (1) CN109716777B (ko)
WO (1) WO20180522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2458B2 (en) 2016-12-02 2022-02-1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4294B2 (en) * 2018-01-03 2021-06-22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0 playback using 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MMTP)
US11606528B2 (en) 2018-01-03 2023-03-14 Saturn Licensing Ll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latency-free display of content attribute
CN108667808A (zh) * 2018-04-12 2018-10-16 上海交通大学 支持专用回传链路的atsc3.0底层信令的通信方法
US11706465B2 (en) 2019-01-15 2023-07-18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0 advertising notification using event streams
KR102432936B1 (ko) * 2020-02-03 2022-08-18 주식회사 에어코드 지상파 uhd 방송 재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53245B1 (en) 2021-08-06 2023-01-10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receiving non-real time (NRT) data whilst traversing a multi-frequency network boundary
US11838680B2 (en) * 2021-08-06 2023-12-0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711568B2 (en) 2021-08-06 2023-07-2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handing off between presentation and scanning
US11848716B2 (en) 2021-08-06 2023-12-1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US11611792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reception across boundary conditions using location data
US11611799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US11611790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US11601707B2 (en) 2021-08-06 2023-03-07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US11546650B1 (en) 2021-08-06 2023-01-03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with different numbers of antenna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158B1 (en) * 1998-11-30 2001-06-1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US7974255B2 (en) * 1999-09-15 2011-07-05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ream transmission with time and frequency diversity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communication system
US8180275B2 (en) * 2003-07-24 2012-05-15 Sirius Xm Radio Inc. Computer based multi-channel radio system and user interface
US7460839B2 (en) * 2004-07-19 2008-12-02 Purewave Networks, Inc. Non-simultaneous frequency diversity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KR101367203B1 (ko) * 2007-02-15 201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22200B1 (ko) 2007-05-14 2012-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90378B1 (ko) 2009-09-07 2016-02-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110154425A1 (en) * 2009-12-17 2011-06-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eade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ideo broadcast content using channel bonding,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video broadcast content
US20110264530A1 (en) * 2010-04-23 2011-10-27 Bryan Santangelo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 secondary content and data insertion and delivery
KR101362943B1 (ko) * 2010-06-30 2014-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432746B2 (en) * 2010-08-25 2016-08-30 Ipar, Ll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of immersive content over communication networks
JP5412404B2 (ja) * 2010-11-15 2014-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統合装置、情報表示装置、情報記録装置
EP2753084A4 (en) * 2011-08-31 2014-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US9288542B2 (en) * 2013-03-15 2016-03-1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ulti-option sourcing of content
KR20150101686A (ko) 2014-02-27 2015-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726B1 (ko) 2014-08-22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US20170272691A1 (en) 2014-12-22 2017-09-2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CN107210846B (zh) 2015-02-04 2020-09-29 Lg 电子株式会社 收发广播信号的装置和方法
KR102387881B1 (ko) 2015-04-17 202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2458B2 (en) 2016-12-02 2022-02-1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nd method
US11784860B2 (en) 2016-12-02 2023-10-1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990A (ko) 2020-09-15
US20210266645A1 (en) 2021-08-26
CN109716777B (zh) 2022-01-25
US20220132220A1 (en) 2022-04-28
US10939180B2 (en) 2021-03-02
US11265616B2 (en) 2022-03-01
US11671676B2 (en) 2023-06-06
US20190215575A1 (en) 2019-07-11
WO2018052253A1 (ko) 2018-03-22
KR102196473B1 (ko) 2020-12-29
EP3499898A1 (en) 2019-06-19
CN109716777A (zh) 2019-05-03
EP3499898A4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473B1 (ko)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US11374993B2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US11395123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KR20220129687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JP6811181B2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11343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ending and data processing information related to time such as leap second and daylight saving time (DST)
US113497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US11956159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102444111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4383594A1 (en) Retransmitting device, re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WO2023013123A1 (ja) 再送出装置、再送出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WO2023012726A1 (e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