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111B1 -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111B1
KR102444111B1 KR1020187009050A KR20187009050A KR102444111B1 KR 102444111 B1 KR102444111 B1 KR 102444111B1 KR 1020187009050 A KR1020187009050 A KR 1020187009050A KR 20187009050 A KR20187009050 A KR 20187009050A KR 102444111 B1 KR102444111 B1 KR 102444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header
payload
information
link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307A (ko
Inventor
양현구
박경모
소영완
황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6/00962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39272A1/en
Publication of KR2018003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2Routing based on the source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5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network layer [OSI layer 3], e.g. X.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기반으로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의 패킷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이 단일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본 개시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방송 통신 서비스는 본격적인 디지털화, 다채널화, 광대역화, 고품질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고화질 디지털 텔레비젼(television: TV, 이하 "TV"라 칭하기로 한다)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 휴대 방송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보급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다양한 수신 방식들을 지원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방송망을 통한 MPEG 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2)-TS(transport stream) 패킷 전송 뿐만 아니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기반의 패킷을 포함하는 다양한 포맷들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통신 시스템의 물리 계층과 IP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계층을 링크 계층이라 칭하며, 상기 링크 계층의 설계는 상기 통신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상기 물리 계층에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다.
따라서, 방송망의 물리 계층 및 방송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방송 시스템용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최적화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개시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개시의 측면들은 적어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 및 불이익들을 처리하고, 및/혹은 적어도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이득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링크 계층 패킷에 포함된 서브-스트림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타입들의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링크 계층 패킷에서 서브-스트림을 필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기반으로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의 패킷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이 단일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작 방법은, 복수의 세션들이 하나의 물리 계층 채널 신호에 포함될 경우, 상기 복수의 세션들 중 제1 세션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 헤더를 포함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션들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세션들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1 세션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세션의 식별자와 헤더 압축 방식이 적용된 IP 스트림의 컨텍스트(context) 식별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입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기반으로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제어기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의 패킷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이 단일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송신 장치는, 복수의 세션들이 하나의 물리 계층 채널 신호에 포함될 경우, 상기 복수의 세션들 중 제1 세션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 헤더를 포함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션들이 IP 세션들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1 세션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세션의 식별자와 헤더 압축 방식이 적용된 IP 스트림의 컨텍스트(context) 식별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링크 계층 패킷에 포함된 서브-스트림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타입들의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링크 계층 패킷에서 서브-스트림을 필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방송 링크 계층의 아키텍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mobile/handheld (ATSC) link-layer protocol) 패킷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에 포함되는 기본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단일 입력 패킷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단일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복수의 입력 패킷들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에 포함되는 선택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채널 맵을 구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UDP(user datagram protocol)/IP(Internet protocol) 헤더를 압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UDP/IP 헤더를 복원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가 교시하는 바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2 (MPEG-2) audio layer 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정용 기기(smart home applian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마트 가정용 기기는 텔레비젼(television: TV)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이하 'DVD'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어와, 오디오와, 냉장고와, 에어 컨디셔너와, 진공 청소기와,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과, 워셔와, 드라이어와, 공기 청정기와,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 박스(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와, 게임 콘솔(gaming console)과, 전자 사전과, 캠코더와, 전자 사진 프레임 등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의료 기기(일 예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이하 'MRA'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하 "MRI"라 칭하기로 한다)과,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촬상 디바이스, 혹은 초음파 디바이스)와,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와, 전세계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와, 사고 기록 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이하 'ED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비행 기록 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 이하 'FE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와, 항해 전자 디바이스(일 예로, 항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혹은 나침반)와, 항공 전자 디바이스와, 보안 디바이스와, 산업용 혹은 소비자용 로봇(robot) 등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가구와, 빌딩/구조의 일부와, 전자 보드와, 전자 서명 수신 디바이스와, 프로젝터와,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들(일 예로, 물과, 전기와, 가스 혹은 전자기 파 측정 디바이스들) 등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기는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장치는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 혹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신 장치는 단말기 혹은 서비스 공급자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수신 장치는 단말기 혹은 서비스 공급자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MS, 이하 "MS"라 칭하기로 한다)와, 무선 단말기(wireless terminal)와, 이동 디바이스(mobile device)와,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 이하 "UE"라 칭하기로 한다) 등과 같은 용어들과 혼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링크 계층 패킷에 포함된 서브-스트림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타입들의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링크 계층 패킷에서 서브-스트림을 필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P-H, 이하 'DVB-H'라 칭하기로 한다), 및 모바일/휴대용 진화된 텔레비젼 시스템 협회(ATSC-M/H: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mobile/handheld: ATSC-M/H, 이하 'ATSC-M/H'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 등과 같은 모바일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젼(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이하 'IPTV'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과, 엠펙 미디어 트랜스포트(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edia transport: MMT, 이하 'MMT'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이하 'EPS'라 칭하기로 한다)과,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ong-term evolution-advanced: LTE-A,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하 'HSD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이하 'HSU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 이하 '3GPP2'라 칭하기로 한다)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하 'HRPD'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이하 'IEEE'라 칭하기로 한다) 802.16m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이하 'Mobile IP '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MMT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진화된 텔레비젼 시스템 협회(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이하 "ATSC"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MMT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쳐(system architecture)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는 미디어 데이터(1000)와 수신 장치에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1000)를 획득하고 소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그널링(10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장치는 일 예로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1000)는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캡슐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1000)에 대한 캡슐화 방식은 일 예로 국제 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이하 "ISO"라 칭하기로 한다)/국제 전기 협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ttee: IEC, 이하 "IEC"라 칭하기로 한다) 23008-1 MPEG media transport (MMT) 프로토콜에 정의된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edia processing unit: MPU, 이하 "MPU"라 칭하기로 한다) 포맷 혹은 ISO/IEC 23009-1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에 정의된 MPEG-DASH 세그먼트 포맷을 따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1000) 및 시그널링(1050)은 응용 계층 프로토콜에 의하여 패킷화된다.
도 1에는 상기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MMT 방식에서 정의된 MMT 프로토콜 (MMT protocol: MMTP, 이하 "MMTP"라 칭하기로 한다)(1110)과 ROUTE (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프로토콜(1120)이 사용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수신 장치에서 서비스가 어떤 응용 계층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송되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상기 응용 계층 프로토콜과는 독립적인 방법으로 상기 서비스가 전송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서비스 리스트 테이블(service list table: SLT, 이하 "SLT"라 칭하기로 한다)(1150)은 서비스가 전송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링 방식으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테이블을 패킷화한다. SLT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패킷화된 미디어 데이터와 SLT(1150)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이하 "UDP"라 칭하기로 한다)(1200)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1300)을 거쳐서 방송 링크 계층(1400)으로 출력된다. 상기 방송 링크 계층의 일 예는 ATSC 3.0에서 정의한 ATSC링크 계층 프로토콜(ATSC link-layer protocol: ALP, 이하 "ALP"라 칭하기로 한다)가 될 수 있다. 상기 ALP는 입력되는 IP 패킷을 기반으로 ALP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ALP 패킷을 방송 물리 계층(1500)으로 출력한다.
상기 방송 링크 계층(1400)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나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IP 패킷만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MPEG2-TS(transport stream) 패킷이나 일반적인 포맷을 가지는 패킷화된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이때 상기 방송 링크 계층(1400)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 역시 ALP 패킷의 포맷으로 상기 방송 물리 계층(1500)으로 출력된다.
상기 방송 물리 계층(1500)은 입력되는 ALP 패킷을 기반으로 물리 계층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물리 계층 프레임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 상기 방송 물리 계층(1500)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를 가진다. 상기 신호 처리 경로의 일 예는 디지털 비디어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지상파 버전 2(terrestrial version 2)(DVB-T2)나 ATSC 3.0에서 정의하고 있는 물리 계층 파이프(PLP: physical layer pipe, 이하 "PLP"라 칭하기로 한다)가 될 수 있으며, 상기 PLP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서비스들의 전체 혹은 하나의 서비스의 일부가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신호 처리 경로에 매핑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서비스들 혹은 하나의 서비스의 일부는 일 예로 서브-스트림(sub-stream)이라고 칭해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쳐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방송 링크 계층의 아키텍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방송 링크 계층의 아키텍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링크 계층(1400)의 입력 데이터는 IP 패킷(1315)을 포함하며, 링크 계층 시그널링(link layer signaling)(1310), MPEG2-TS 패킷(1320) 및 하나 혹은 그 이상의 future extension들(133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future extension(1330)은 상기 방송 링크 계층(1400), 일 예로 ALP 계층에서 입력이 될 수 있는 다른 패킷 타입들 및 프로토콜들을 나타낸다.상기 입력 데이터는 캡슐화(encapsulation) 과정(1450) 이전에 상기 입력 데이터의 타입에 따른 부가적인 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데이터가 IP 패킷(1315)일 경우 상기 부가적인 처리 과정은 IP 헤더 압축 과정(1410)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데이터가 MPEG2-TS 패킷(1320)일 경우 상기 부가적인 처리 과정은 오버헤드 감소(overhead reduction) 과정(1420)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화 과정(1450)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세그먼트(segment, 이하 "segment"라 칭하기로 한다) 과정 혹은 및 연접(concatenation, 이하 "concatenation"라 칭하기로 한다)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캡슐화 과정(1450)이 완료됨에 따라 링크 계층 패킷 스트림이 생성되며, 상기 링크 계층 패킷 스트림은 방송 물리 계층(150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링크 계층 패킷 스트림은 적어도 하나의 링크 계층 패킷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방송 링크 계층의 아키텍쳐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LP 패킷은 헤더(3100)와 페이로드(3200)를 포함한다.
상기 헤더(3100)는 기본 헤더(base header)(3110), 부가 헤더(additional header)(3120), 선택 헤더(optional header)(3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3100)는 상기 기본 헤더(3110)를 포함하며, 상기 ALP 패킷 헤더(3100)에 상기 부가 헤더(3120)가 포함되는지 여부는 상기 기본 헤더(3110)가 포함하는 제어 필드의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헤더(3120)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필드를 사용하여 상기 ALP 패킷 헤더(3100)에 상기 선택 헤더(3130)가 포함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에 포함되는 기본 헤더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에 포함되는 기본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본 헤더(3110)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는 패킷 타입(packet type, 이하 "Packet_Type"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41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Packet_Type 필드(4100)의 값에 따라 다른 필드들에 대한 구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기본 헤더(3110)가 포함하는 필드들의 구성은 입력 패킷이 IP 버전 4(IP version 4: IPv4, 이하 "IPv4"라 칭하기로 한다) 패킷과, 압축된 IP 패킷과, 링크 계층 시그널링 패킷과, 확장(extension)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일 경우에 사용되는 필드들의 구성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상기 기본 헤더(3110)는 페이로드 구성(payload_configuration: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4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PC 필드(4200) 다음에는 1-비트(bit) 필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1-비트 필드는 상기 PC 필드(4200)의 값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PC 필드(4200)의 값이 '0'일 경우에는 상기 PC 필드(4200) 다음에 존재하는 1-비트 필드가 헤더 모드(header mode: HM, 이하 "HM"이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4300)가 될 수 있으며, 상기 HM 필드(4300)는 ALP 패킷(3100)에 부가 헤더(312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 다른 예로, 상기 PC 필드(4200)의 값이 '1'일 경우에는 상기 PC 필드(4200) 다음에 존재하는 1-비트 필드가 세그먼트/연접(segmentation/concatenation: S/C, 이하 "S/C"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 (4350)가 될 수 있으며, 상기 S/C 필드(4350)는 상기 페이로드(3200)가 복수의 입력 패킷들을 포함하는지 혹은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S/C 필드(4350)의 값에 따라 부가 헤더(3120)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헤더(3110)는 상기 페이로드(3200)의 길이 중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 이하 "LSB"라 칭하기로 한다) 11 비트를 나타내는 길이(length) 필드 (44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기본 헤더를 문법적으로 표현할 경우, 상기 기본 헤더는 다음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1
표 1에서, Packet_Type 필드는 ALP 패킷으로 캡슐화되기 이전의 입력 패킷의 프로토콜이나 패킷 타입을 나타낸다. 상기 Packet_Type 필드는 일 예로 3-bit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은 다음 [표 2]와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2
표 2에서,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00'일 경우, 패킷 타입이 IPv4 패킷임을 나타내고,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01'일 경우, 패킷 타입이 압축된 IP 패킷임을 나타내고,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10'일 경우, 패킷 타입이 MPEG-2 Transport Stream(TS)임을 나타내고,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11'일 경우, 상기 Packet_Type 필드가 향후의 사용을 위해 예약된(reserved) 것임을 나타내고,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100'일 경우 입력 패킷이 링크 계층 시그널링 패킷(link layer signaling packet)임을 나타내고,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101' 및 '110'일 경우, 상기 Packet_Type 필드가 향후의 사용을 위해 예약된(reserved) 것임을 나타내고,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일 예로 '111'일 경우, 입력 패킷이 패킷 타입 확장(packet type extension)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표 1에서 Payload_Configuration 필드는 일 예로 PC 필드(4200)에 대응될 수 있으며,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Payload_Configuration 필드는 일 예로 1-bit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Payload_Configuration 필드, 일 예로 PC 필드(4200)의 값이 일 예로 '0'일 경우에 상기 페이로드(3200)는 하나의 온전한 입력 패킷만을 포함하며, HM 필드(4300)가 상기 PC 필드(4200) 다음에 존재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PC 필드(4200)의 값이 '1'일 경우에 상기 페이로드(3200)는 복수의 온전한 입력 패킷들을 포함하거나, 혹은 하나의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S/C 필드(4350)가 상기 PC 필드(4200) 다음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Header Mode 필드는 부가 헤더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며, 상기 Header Mode 필드는 일 예로 1 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Header Mode 필드, 일 예로 HM 필드(4300)의 값이 '0'일 경우에는 부가 헤더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페이로드(3200)의 전체 길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길이, 일 예로 2048 바이트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HM 필드(4300)의 값이 '1'일 경우에는 Length 필드 (4400) 이후에 부가 헤더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이는 상기 페이로드(3200)의 전체 길이가 2047 바이트보다 크거나 서브-스트림 식별자 (sub-stream identifier: SID)를 포함하는 선택 헤더 (3130)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상기 HM 필드(4300)는 선행하는 PC 필드(4200)의 값이 '0'일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1에서, Segmentation_Concatenation 필드는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가 복수의 온전한 입력 패킷들을 포함하거나, 혹은 하나의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하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Segmentation_Concatenation 필드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Segmentation_Concatenation 필드, 일 예로 S/C 필드(4350)의 값이 일 예로 '0'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는 하나의 입력 패킷의 일부만을 포함하며, Length 필드(4400) 이후에 패킷 세그먼트를 위해 정의된 부가 헤더(312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S/C 필드(4350)의 값이 '1'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는 복수의 온전한 입력 패킷들을 포함하며, 상기 Length 필드(4400) 이후에 패킷 연접을 위해 정의된 부가 헤더(3120)를 포함한다. 상기 S/C 필드(4350)는 상기 PC 필드(4200)의 값이 '1'일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1에서 Length 필드는 페이로드 필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의 길이를 나타내며, 일 예로 바이트 길이에서 LSB 11 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Length 필드는 부가 헤더(3120)에 상기 페이로드(3200)의 바이트 길이의 MSB(most significant bit) 비트들이 포함되어있을 경우에 MSB 비트들과 결합되어 상기 페이로드(3200)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에 포함되는 기본 헤더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단일 입력 패킷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단일 입력 패킷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5000)의 포맷은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가 단일 입력 패킷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상기 부가 헤더(5000)는 상기 페이로드(3200)의 바이트 길이가 16 비트로 표현될 경우의 MSB 5 비트를 나타내는 Length_MSB 필드(5100)와, R(reserved) 필드(5200)와, 서브 스트림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서브 스트림 식별자 플래그(sub-stream identifier flag: SIF, 이하 "SIF"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5300) 및 확장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확장 헤더 플래그(header extension flag: HEF, 이하 "HEF"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5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 필드(5200)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5000)는 ALP 패킷이 포함하는 페이로드(3200)가 한 개의 온전한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한 개의 온전한 패킷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 일 예로 2047 바이트보다 길거나 선택 헤더가 존재할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부가 헤더(5000)는 PC 필드(4200)의 값이 '0'이고 HM 필드(4300)의 값이 '1'일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5000)는 다음 표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3
상기 표 3에서, Length_MSB 필드는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의 바이트 길이가 16 비트로 표현될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의 바이트 길이의 MSB 5 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Length_MSB 필드는 기본 헤더(3110)가 포함하는 Length 필드(4400)에 의해 나타내지는 LSB 11 비트와 결합되어 상기 페이로드(3200)의 전체 바이트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표 3에서, SIF 필드는 HEF 필드(5400) 이후에 서브-스트림 식별자(SID: (sub-stream identifier, 이하 "SID"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SIF 필드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SIF 필드, 일 예로 SIF 필드(5300)의 값이 '0'일 경우에는 상기 SID 필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SIF 필드(5300)의 값이 일 예로 '1'일 경우에는 상기 SID 필드가 상기 HEF 필드(5400) 이후에 존재한다.
상기 표 3에서, HEF 필드는 상기 부가 헤더(5000) 이후에 확장 헤더(extension header)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HEF 필드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HEF 필드, 일 예로 HEF 필드(5400)의 값이 '0'일 경우에는 확장 헤더가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HEF 필드(5400)의 값이 '1'일 경우에는 확장 헤더가 상기 부가 헤더(5000) 이후에 존재한다. 상기 확장 헤더가 존재할 경우, 상기 확장 헤더는 상기 SID 필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SID 필드 다음에 존재하며, 상기 SID 필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HEF 필드(5400) 다음에 위치한다.
상기 표 3에서, SID 필드는 ALP 패킷에 대한 SID를 나타낸다. 여기서, SID는 복수의 서비스들을 전달하는 ALP 스트림에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들 각각에 대한 서비스 식별자가 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단일 입력 패킷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단일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단일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의 포맷은 페이로드가 단일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가 단일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할 경우 부가 헤더, 일 예로 부가 헤더(6000)는 세그먼트된 입력 패킷의 식별자 (identifier: ID)를 나타내는 세그먼트_시퀀스_넘버(segment_sequence_number: 이하 " segment_sequence_number"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6100)와 상기 페이로드(3200)가 입력 패킷의 마지막 세그먼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마지막_세그먼트_지시자(last_segment_indicator: LSI) 필드(6200)와, S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SIF 필드(6300) 및 확장 헤더가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HEF 필드(6400)를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6000)는 ALP 패킷이 포함하는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가 단일 입력 패킷의 일부를 포함할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부가 헤더(6000)는 PC 필드, 일 예로 PC 필드(4200)의 값이 '1'이고, S/C 필드, 일 예로 S/C 필드(4350)의 값이 '0'일 경우에만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부가 헤더(6000)는 다음 표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4
상기 표 4에서 세그먼트_시퀀스_넘버(segment_sequence_number) 필드는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입력 패킷의 부분, 즉 세그먼트를 식별하기 위한 넘버를 나타내며, 일 예로 0 이상의 정수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패킷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세그먼트될 경우,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가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경우, 상기 segment_sequence_number 필드(6100)의 값은 '0'으로 설정된다. 이후 상기 입력 패킷의 다음 세그먼트가 ALP 패킷을 통해 전송될 때 마다 상기 segment_sequence_number 필드(6100)의 값은 미리 설정된 값, 일 예로 1씩 증가한다.
상기 표 4에서, last_segment_indicator 필드는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가 상기 입력 패킷의 마지막 세그먼트 (혹은 마지막 바이트)를 포함하는지를 여부를 나타내며, 상기 last_segment_indicator 필드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3200)가 상기 입력 패킷의 마지막 세그먼트 (혹은 마지막 바이트)를 포함할 경우, 상기 last_segment_indicator 필드, 일 예로 LSI 필드(6200)의 값은 '1'로 설정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페이로드(3200)가 상기 입력 패킷의 마지막 세그먼트 (혹은 마지막 바이트)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LSI 필드(6200)의 값은 '0'으로 설정된다.
상기 표 4에서, SIF 필드는 HEF 필드, 일 예로 HEF 필드(6400) 이후에 SID 필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SIF 필드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SIF 필드, 일 예로 SIF 필드(6300)의 값이 '0'일 경우에는 SID 필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SIF 필드(6300)의 값이 '1'일 경우에는 SID 필드가 상기 HEF 필드(6400) 다음에 존재한다.
상기 표 4에서, HEF 필드는 부가 헤더, 일 예로 부가 헤더(6000) 이후에 확장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HEF 필드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HEF 필드, 일 예로 HEF 필드(6400)의 값이 '0'일 경우에는 확장 헤더가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HEF 필드(6400)의 값이 '1'일 경우에는 확장 헤더가 상기 부가 헤더(6000) 이후에 존재한다. 상기 확장 헤더가 존재할 경우, 상기 확장 헤더는 상기 SID 필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SID 필드 다음에 존재하며, 상기 SID 필드가 존재하기 않을 경우에는 상기 HEF 필드(6400) 다음에 존재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복수의 입력 패킷들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의 포맷은 페이로드가 복수의 입력 패킷들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먼저,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도 3에 도시되어 있는)가 복수의 입력 패킷들을 포함할 경우 부가 헤더(7000)는 상기 페이로드(3200)의 바이트 길이를 15 비트로 표현하였을 경우의 상기 페이로드(3200)의 바이트 길이의 MSB 4 비트를 나타내는 Length_MSB 필드(7100)와,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입력 패킷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Count 필드(7200)와, 확장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HEF 필드(7300)와 각 입력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Component Length 필드(740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7000)는 다음 표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5
상기 표 5에서 Length_MSB 필드는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도 3에 도시되어 있는)의 바이트 길이가 15 비트로 표현될 경우의 LSB 4 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Length_MSB 필드는 기본 헤더, 일 예로 기본 헤더(3110)가 포함하는 Length 필드(4400)에 나타낸 LSB 11 비트와 결합되어 상기 페이로드(3200)의 전체 바이트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표 5에서, count 필드는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입력 패킷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count 필드는 일 예로 3-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count 필드, 일 예로 count 필드(7200)의 값은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입력 패킷들의 개수에서 2를 뺀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표 5에서, HEF 필드는 부가 헤더, 일 예로 부가 헤더(7000) 이후에 확장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상기 HEF 필드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HEF 필드, 일 예로 HEF 필드(7300)의 값이 일 예로 '0'일 경우에는 확장 헤더가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HEF 필드(7300)의 값이 '1'일 경우에는 확장 헤더가 상기 부가 헤더(7000) 다음에 존재한다. 상기 확장 헤더가 존재할 경우, 상기 확장 헤더는 SID 필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SID 필드 다음에 존재하며, 상기 SID 필드가 존재하기 않을 경우에는 상기 HEF 필드(7300) 다음에 존재한다.
Component_Length는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입력 패킷들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입력 패킷과 동일한 순서로 그 값을 적어주며 마지막 입력 패킷에 대한 길이는 생략한다.
상기 표 5에서, Component_Length 필드는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입력 패킷들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된 입력 패킷들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상기 입력 패킷들의 길이들이 기재되며, 마지막 입력 패킷에 대한 길이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7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복수의 입력 패킷들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에 포함되는 선택 헤더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ALP 패킷에 포함되는 선택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택 헤더(8000), 일 예로 선택 헤더(3130)(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는 SID를 나타내는 SID 필드(8100)와 header extension 필드(8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eader extension 필드(8200)는 확장 헤더의 타입을 나타내는 확장 타입(extension type, 이하 "extension type"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8210)와, 확장 헤더의 길이를 나타내는 확장 길이(extension length, 이하 "extension length"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8220) 및 확장 필드들의 내용을 포함하는 확장 값(extension value, 이하 "extension value"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8230)를 포함한다.
상기 extension value 필드(8230)의 길이는 상기 extension length 필드(8220)에 의해 주어지며, 수신 장치는 상기 extension type 필드(8210)의 값을 체크하여 상기 수신 장치가 해석할 수 없는 값이면 상기 extension length 필드(8220)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header extension 필드(8200)의 전체 길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길이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제거한다.
상기 SID 필드(8100)의 값은 하나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신호 내에서 식별 가능한 유일한 값으로 설정되며, 방송 링크 계층, 일 예로 방송 링크 계층(1400)은 상기 SID 필드(8100)의 값을 기반으로 링크 계층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 일 예로 하나의 PLP를 가지는 RF 신호를 통해 5개의 서비스들이 전송되며, 상기 5개의 서비스들 각각은 3개의 UDP/IP 포트들을 사용하여 전송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수신 장치는 상기 PLP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로세싱 방식에 상응하게 프로세싱하여 링크 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수신 장치는 15개의 UDP/IP 세션들에 해당하는 패킷들을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패킷들을 상위 계층으로 출력한다.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는 3개의 UDP/IP 세션들을 사용하므로, 상기 15개의 UDP/IP 세션들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은 그 주소에 따라 IP 계층, 일 예로 IP 계층(1300) 혹은 UDP 계층, 일 예로 UDP 계층(1200)에서 필터링된다. 이는 링크 계층에서 출력되는 패킷들의 대부분, 일 예로 상기 링크 계층에서 출력되는 패킷들 중 약 80% 정도의 패킷들이 상위 계층에서는 필요없는 데이터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시스템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특히 상기 방송 물리 계층(1500)과 방송 링크 계층(1400) 및 IP 계층(1300)이 별도의 하드웨어들로 구현되거나, 혹은 다른 공유 계층과 인터페이스를 공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으로 인하여 시스템 효율성이 현저히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각 서비스마다 별도의 SID를 할당하고, 해당 서비스를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SID를 할당하여, 단말기에 의해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SID를 가지는 링크 계층 패킷만을 프로세싱하고, 상기 프로세싱된 패킷들만을 IP 계층으로 출력하여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와 SID가 일대일로 맵핑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SID는 하나의 링크 계층 스트림내에서 그룹화하고자 하는 입력 패킷들의 그룹화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룹화 형태는 IP 주소, UDP 포트 번호, 응용 계층 프로토콜의 세션 식별자(identifier: ID), 혹은 상기 IP 주소, UDP 포트 번호, 응용 계층 프로토콜의 세션 ID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용 계층 프로토콜의 세션 ID는 MMTP에서는 packet_id가 될 수 있고, ROUTE 프로토콜에서는 transport session identifier (TSI)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ALP 패킷 스트림이 SID가 할당된 ALP 패킷들과 SID가 할당되지 않은 ALP 패킷들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SID가 할당되지 않은 ALP 패킷들은 프로세싱하고, 프로세싱된 패킷들을 상위 계층으로 출력하고, SID가 할당된 ALP 패킷들을 기반으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SID 필드(8100)의 값은 하나의 PLP 내에서 식별 가능한 유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서브 스트림은 PLP와 SID의 조합을 기반으로 식별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페이로드가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9000)의 포맷은 페이로드, 일 예로 페이로드(3200)(도 3에 도시되어 있는)가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할 경우의 부가 헤더의 포맷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상기 부가 헤더(9000)는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타입을 나타내는 Signaling_Type 필드(9100),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타입에 대한 확장 정보를 나타내는 Signaling_Type_Extension 필드(9200),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버전을 나타내는 Signaling_Version 필드(9300),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Signaling_Format 필드(9400),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에 적용되는 부호화/압축 방식을 나타내는 Signaling_Encoding 필드(9500) 및 reserved 필드(9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ignaling_Type_Extension 필드(9200)는 일 예로 16-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Signaling_Version 필드(9300)는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Signaling_Format 필드(9400)는 일 예로 2-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Signaling_Encoding 필드(9500)는 일 예로 2-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reserved 필드(9600)는 일 예로 4-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부가 헤더(9000)는 다음 표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6
상기 표 6에서 Signaling_Type 필드는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타입을 나타낸다. Signaling_Type 필드는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ignaling_Type 필드의 값이 "0x00"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타입이 PLP_Configuration_Table임 나타내고, 상기 Signaling_Type 필드의 값이 "0x01"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타입이 ROHC-U_description_table (RDT)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PLP_Configuration_Table 및 ROHC-U_description_table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표 6에서, Signaling_Type_Extension 필드는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타입에 대한 확장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Signaling_Type_Extension필드는 일 예로 16-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6에서, Signaling_Version 필드는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버전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Signaling_Version 필드는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Signaling_Version 필드의 값은 상기 Signaling_Type 필드에 의해 식별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버전이 변경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또한, 상기 표 6에서, Signaling_Format 필드는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다. 상기 Signaling_Format 필드는 2-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ignaling_Format 필드는 다음 표 7과 같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7
상기 표 7에서, 상기 Signaling_Format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0"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데이터 포맷은 binary 포맷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 7에서, 상기 Signaling_Format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1"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데이터 포맷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이하 "XML"이라 칭하기로 한다) 포맷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 7에서, 상기 Signaling_Format 필드의 값이 일 예로 "10" 및 "11"중 어느 한 값일 경우, 상기 Signaling_Format 필드의 값이 향후의 사용을 위해 예약된(reserved) 것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 7에서, Signaling_Encoding 필드는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에 적용되는 부호화/압축 방식을 나타낸다. 상기 Signaling_Encoding 필드는 일 예로 2 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ignaling_Encoding 필드는 다음 표 8과 같은 부호화/압축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8
상기 표 8에서, 상기 Signaling_Encoding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0"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에 압축 방식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상기 표 8에서, 상기 Signaling_Encoding 필드의 값이 일 예로 "01"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3200)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에 적용되는 부호화/압축 방식이 RFC(request for comments) 1951에 정의되어 있는 DEFLATE 방식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 8에서, 상기 Signaling_Encoding 필드의 값이 일 예로 "10" 및 "11"중 어느 한 값일 경우, 상기 Signaling_ Encoding 필드의 값이 향후의 사용을 위해 예약된(reserved) 것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가 헤더가 포함하는 필드들 중 일부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운용하는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운용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가 헤더에는 다른 필드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일 예로,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데이터 포맷이 binary 포맷으로 한정되거나 혹은 XML 포맷으로 제한되어 있을 경우,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가 헤더가 포함하는 필드들 중 Signaling_Format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링크 계층 시그널링에 부호화/압축 방식이 적용되지 않거나, 혹은 미리 결정되어 있는 부호화/압축 방식이 링크 계층 시그널링에 적용될 경우,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가 헤더가 포함하는 필드들 중 Signaling_Encoding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링크 계층 패킷 스트림이 하나의 PLP에 할당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 때, 상기 링크 계층 패킷 스트림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포맷들의 입력들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방송 링크 계층(1400)에 대한 입력들은 링크 계층 시그널링(1310)과 IP 패킷(1315)를 포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헤더 압축 알고리즘으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표준화된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방식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표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제안하는 링크 매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09
상기 표 9에서, Signaling_type 필드는 상기 링크 매핑 테이블에 의해 전달되는 시그널링의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여기서, 표 9를 통해 전달되는 링크 매핑 테이블은 PLP 구성 테이블(PLP configuration table: PCT, 이하 "PCT"라 칭하기로 한다)이며, 따라서 상기 Signaling_type 필드의 값은 상기 PCT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IPv4와 IPv6(IP version 6)에 각각에 대한 PCT 를 별도로 정의하고, 상기 IPv4와 IPv6에 대한 PCT들에 다른 table_id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ignaling_type 필드는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table_id는 링크 매핑 테이블의 ID를 나타낸다.
상기 표 9에서, PLP_ID 필드는 현재 PCT에 포함된 정보가 적용되는 PLP의 ID를 나타낸다. 상기 PLP_ID 필드는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Num_session 필드는 현재 테이블, 일 예로 현재 PCT에 정보가 설명된 세션들, 일 예로 UDP/IP 세션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Num_session 필드는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Src_IP_add 필드는 상기 PLP_ID 필드에 의해 전달되는 세션의 소스 IP 주소(source IP address)를 나타낸다. 상기 Src_IP_add 필드는 일 예로 32-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Dst_IP_add 필드는 상기 PLP_ID 필드에 의해 전달되는 세션의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IP address)를 나타낸다. 상기 Dst_IP_add 필드는 일 예로 32-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Src_UDP_port 필드는 소스 UDP 포트(source UDP port)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Src_UDP_port 필드는 일 예로 16-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Dst_UDP_port 필드는 목적지 UDP 포트(destination UDP port)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Dst_UDP_port 필드는 일 예로 16-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SID_flag 필드는 SID가 할당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SID_flag 필드는 일 예로 1비트-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ID_flag 필드의 값이 일 예로 1일 경우에만 해당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UDP/IP 패킷을 포함하는 ALP 패킷에 SID 필드가 추가된다.
상기 표 9에서, SID 필드는 SID를 나타낸다. 상기 SID 필드는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SID 필드는 상기 SID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에만 존재한다. 상기 SID는 하나의 RF 신호, 일 예로 물리 계층 프레임, 혹은 PLP 내에서 유일한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표 9에서, Compressed_flag 필드는 헤더 압축 방식이 적용되는지, 일 예로 상기 세션들을 전달하는 ALP 패킷에 헤더 압축 방식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Compressed_flag 필드는 일 예로 1-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Compressed_flag 필드는 상기 헤더 압축 방식이 적용될 경우 그 값이 일 예로 1로 설정되며, 상기 Compressed_flag 필드 이후에 Context_Id 필드가 존재한다.
상기 표 9에서, Context_ID 필드는 헤더 압축 방식이 적용된 IP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컨텍스트 ID (context ID: CID)를 나타내며, 상기 Context_Id 필드의 값은 ROHC 등과 같은 헤더 압축 표준을 기반으로 생성된다. 상기 Context_ID 필드는 상기 Compressed_flag 필드의 값이 1일 경우에만 존재한다.
상기 표 9에서 Src_IP_add 필드, Dst_IP_add 필드, Src_Udp_port 필드, 및 Dst_Udp_port 필드는 UDP/IP 스트림이 링크 계층의 입력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UDP/IP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UDP/IP가 아닌 다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캡슐화된 패킷이 상기 링크 계층의 입력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사용된 프로토콜에 적합한 정보로 변경되어야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표 9는 SID를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가정할 경우의 링크 매핑 테이블로서, SID_flag 필드와 SID 필드의 존재 여부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SID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은 SID_flag 필드와 SID 필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SID를 필수로 지원할 경우에는 상기 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에서 SID_flag 필드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SID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헤더 압축에 관련된 정보가 송신되는 링크 매핑 테이블과 다른 링크 매핑 테이블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은 헤더 압축을 세션 단위로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통해 송신되는 경우의 링크 매핑 테이블로서, 상기 Compressed_flag 필드와 Context_id 필드가 링크 매핑 테이블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헤더 압축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 링크 매핑 테이블은 상기 Compressed _flag 필드와 Context_id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상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헤더 압축을 필수로 지원할 경우 링크 매핑 테이블에서 상기 Compressed_flag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헤더 압축을 PLP 단위로 선택적으로 지원할 경우 링크 매핑 테이블에서 상기 Compressed_flag 필드는 Num_session loop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Context_id 필드는 상기 Compressed_flag 필드의 값에 따라 표 9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Num_session loop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헤더 압축에 관련된 정보는 SID에 관련된 정보가 송신되는 링크 매핑 테이블과 다른 링크 매핑 테이블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은 하나의 PLP에 관련된 정보를 기술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링크 매핑 테이블이 송신되는 PLP 이외에 다른 PLP에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하여 PLP_ID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만약, 하나의 링크 매핑 테이블을 사용하여 복수의 PLP들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경우에는 하기 표 10과 같이 링크 매핑 테이블에 그 정보가 기술된 PLP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_PLP 필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링크 매핑 테이블들 각각이 해당 링크 매핑 테이블이 송신되는 PLP에 대한 정보만을 나타낸다고 가정할 경우 링크 매핑 테이블에서 PLP_ID 필드가 생략될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10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은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에 비해 PLP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_PLP 필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 10에 포함되는 Signaling_type 필드, PLP_ID 필드, Num_session 필드, Src_IP_add 필드, Dst_IP_add 필드, Src_UDP_port 필드, Dst_UDP_port 필드, SID_flag 필드, SID 필드, Compressed_flag 필드, 및 Context_ID 필드는 상기 표 9에 포함되는 Signaling_type 필드, PLP_ID 필드, Num_session 필드, Src_IP_add 필드, Dst_IP_add 필드, Src_UDP_port 필드, Dst_UDP_port 필드, SID_flag 필드, SID 필드, Compressed_flag 필드, 및 Context_ID 필드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운용 방식에 따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과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을 함께 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표 9에 나타낸 링크 매핑 테이블과 표 10에 나타낸 링크 매핑 테이블에 대해 서로 다른 Signaling_type 값들이 할당되고, 따라서 2개의 링크 매핑 테이블들이 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표 9에 나타낸 링크 매핑 테이블과 표 10에 나타낸 링크 매핑 테이블에 대해 동일한 Signaling_type 필드 값을 사용하고, Signaling_Type_Extension 필드를 사용하여 링크 매핑 테이블의 변형 여부나 정보가 포함된 PLP ID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매핑 테이블 운용 방식은 선택적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ROHC 등과 같은 표준화된 패킷 압축 방식이 사용될 경우, 링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표준화된 패킷 압축 방식에 따르는 별도의 시그널링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 9 및 표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Context_ID 필드는 상기 별도의 시그널링 테이블에 기술된 context 정보와 상기 표 9 및 표 10의 링크 매핑 테이블에 기술된 UDP/IP 세션에 대한을 레퍼런스(reference)를 제공하는 정보로 사용 될 수 있다.
하기 표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robust header compression U-mode (ROHC-U) 방식이 헤더 압축 알고리즘으로 사용될 경우의 헤더 압축 정보의 일 예, 즉 ROHC-U 디스크립션 테이블(ROHC-U_description table, 이하 "ROHC-U_description table"라 칭하기로 한다)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11
상기 표 11에서, adaptation_mode 필드는 해당 PLP의 적응 모듈(adaptation module)의 모드를 나타낸다. 상기 adaptation_mode 필드는 일 예로 2-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adaptation_mode 필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표 11에서, context_config 필드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결합을 나타내며, 일 예로 2-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11에서, num_context 필드는 상기 ROHC-U_description table 에서 기술하고 있는 컨텍스트의 개수를 나타내며,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11에서, context_id 필드는 압축된 IP 스트림의 컨텍스트 ID(context ID: CID)를 나타내며,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11에서, context_profile 필드는 IP 스트림을 압축하는데 사용된 프로토콜들의 범위(range)를 나타내며,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11에서, context_length 필드는 고정 체인 바이트 시퀀스(static chain byte sequence)의 길이를 나타내며, 일 예로 8-비트 필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 10에서, static_chain_byte() 필드는 상기 ROHC-U 압축 해제기(decompressor)를 초기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정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표 11에서, dynamic_chain_byte() 필드는 상기 ROHC-U 압축 해제기를 초기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동적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는 서로 다른 신뢰도들을 가지는 2개의 PLP, 일 예로 PLP 1(10500)과 PLP 2(10510)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PLP 1(10500)의 신뢰도가 상기 PLP 2(10510)의 신뢰도 보다 높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하나의 서비스는 3개의 MMTP 패킷 서브 플로우들(10100, 10110, 10120)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상기 MMTP 패킷 서브 플로우들(10100, 10110, 10120)은 동일한 패킷 ID(packet_id, 이하 "packet_id"라 칭하기로 한다)를 가지는 MMTP 패킷의 플로우를 나타낸다. 일 예로, 도 10에서는 상기 MMTP 패킷 서브-플로우(sub-flow, 이하 "sub-flow"라 칭하기로 한다) A(10100)는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하고, MMTP 패킷 sub-flow B(10110)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MMTP 패킷 sub-flow C(10120)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 메시지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에셋(asset, 일 예로 "asset"라 칭하기로 한다)의 리스트와 상기 각 asset의 특성 및 주소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sset의 주소는 상기 asset을 포함하는 MMTP 패킷의 packet_id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에 상기 MMTP 패킷이 전송되는 UDP/IP 세션의 목적지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sset의 주소는 상기 MMTP 패킷이 송신되는 PLP의 PLP 식별자(identifier: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MTP 패킷 sub-flow A(10100)와 MMTP 패킷 sub-flow B(10110)은 MMTP session 1(10200)으로 다중화되고, 상기 다중화된 신호, 즉 UDP/IP 패킷은 UDP/IP session 1(10300)로 전달된다. 상기 UDP/IP session(10300)으로 전달된 UDP/IP 패킷과 Signaling server(10350)에서의 출력은 ALP 패킷으로 생성된 후, ALP 스트림(ALP stream, 이하 "ALP stream"이라 칭하기로 한다) 1(10400)로 다중화되고 상기 PLP 1(10500)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MMTP sub-flow C(10120)는 상기 MMTP session 2(10210)로 다중화되고, 상기 다중화된 신호, 즉 UDP/IP 패킷은 UDP/IP session 2(10310)로 전달된다. 상기 UDP/IP session 2(10310)로 전달된 UDP/IP 패킷과 Signaling server(10350)에서의 출력은 ALP 패킷으로 생성된 후, ALP stream 2(10410)로 다중화되고 상기 PLP 2(10510)로 전달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림(들)은 PLP1 및/혹은 PLP2를 통해 물리 계층 프레임(physical layer frame: PHY frame)(106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에서의 출력은 시그널링 테이블 혹은 시그널링 테이블이 캡슐화된 UDP/IP 패킷을 포함한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PCT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이 캡슐화된 UDP/IP 패킷은 ATSC 3.0의 로우-레벨 시그널링(LLS: low-level signaling, 이하 "LLS"라 칭하기로 한다) 테이블을 포함하는 UDP/IP 패킷일 수 있다.
하기 표 12는 상기 LLS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12
상기 표 12에서, SLT는 서비스 리스트 테이블(service list table)을 나타내며, 방송되는 서비스의 리스트 및 각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송신 패킷이 따르는 프로토콜, IP 주소, UDP 포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송신 패킷이 송신되는 PLP의 PLP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에서의 출력이 모든 PLP들로 전달된다고 가정하였으나,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에서의 출력은 시그널링의 타입에 따라 특정 PLP로만 전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상기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과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의 출력을 모두 하나의 PLP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이 하나의 RF 신호를 사용할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 별로 별도의 시그널링을 구성하고, 이를 서로 다른 PLP들로 송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는 일 예로 서비스 사업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의 출력 중 시그널링 테이블과 시그널링 테이블이 캡슐화된 UDP/IP 패킷은 동일한 PLP를 통해 송신되거나 별도의 PLP들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0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0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0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채널 맵을 구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채널 맵을 구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는 RF 신호를 통하여 L1 시그널링을 수신한다(동작 11100). 상기 L1 시그널링은 상기 RF 신호로 송신되는 PLP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일 예로 SLT가 송신되는 PL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L1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SLT가 송신되는 PLP 리스트를 획득하고(동작 11200), 상기 PLP 리스트를 사용하여 상기 SLT가 송신되는 PLP를 프로세싱한다(동작 11300). 상기 PLP 프로세싱 결과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패킷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 중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링크 계층 패킷을 프로세싱하여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획득한다(동작 11400).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T가 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PLP와 UDP/IP 세션과의 매핑 관계를 저장한다(동작 11500).
또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 중 IP 패킷을 포함하는 링크 계층 패킷을 프로세싱하여 IP 패킷을 추출하고, 상기 IP 패킷을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UDP/IP 프로세서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IP 패킷 중 SLT를 포함하는 IP 패킷을 처리하여 SLT를 획득한다(동작 1160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SLT를 포함하는 IP 패킷은 특정 목적을 가지는 IP 주소와 목적 UDP 포트 번호를 가지는 패킷일 수 있다. 상기 SLT는 서비스별로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ervice layer signaling: SLS, 이하 "SLS"라 칭하기로 한다)을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SLS를 획득한다(동작 11700).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SLS를 프로세싱하여 서비스별 미디어 송신 위치를 획득 및 저장한다(동작 11800).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서비스가 선택됨을 검출하면, 상기 수신 장치는 SLT와 SLS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UDP/IP 세션 레벨까지의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과 미디어의 송신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MMTP가 사용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MMTP 세션의 목적지 주소, 포트 번호와 상기 MMTP 세션에 포함된 MMTP 패킷 sub-flow를 식별하는 packet_id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UDP/IP 세션 레벨까지의 위치 정보와 링크 계층 시그널링에서 제공된 UDP/IP 세션과 PLP와의 매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과 미디어 송신 위치를 PLP 레벨까지 획득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과 SLT가 동일한 PLP를 통해 송신된다고 가정하였으나,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과 SLT는 서로 다른 PLP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링크 계층 시그널링은 모든 PLP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PLP 레벨의 위치 정보가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달된다고 가정하였지만, 상기 PLP 레벨의 위치 정보는 SLT 혹은 SLS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채널 맵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1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1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1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채널 맵을 구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는 서로 다른 신뢰도들을 가지는 2개의 PLP들, 일 예로 PLP 1(10500)과 PLP 2(10501)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PLP 1(10500)의 신뢰도가 상기 PLP 2(10510)의 신뢰도 보다 높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하나의 서비스는 3개의 MMTP 패킷 서브 플로우들(10100, 10110, 10120), 일 예로 MMTP 패킷 sub-flow A(10100), MMTP 패킷 sub-flow B(10110), 및 MMTP 패킷 sub-flow C(10120)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상기 MMTP 패킷 서브 플로우는 동일한 packet_id를 가지는 MMTP 패킷의 플로우를 나타낸다. 일 예로, 도 12에서는 상기 MMTP 패킷 sub-flow A(10100)는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하고, MMTP 패킷 sub-flow B(10110)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MMTP 패킷 sub-flow C(10120)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 메시지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asset의 리스트와 상기 각 asset의 특성 및 주소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sset의 주소는 상기 asset을 포함하는 MMTP 패킷의 packet_id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에 상기 MMTP 패킷이 송신되는 UDP/IP session의 목적지 IP 주소,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sset의 주소는 상기 MMTP 패킷이 송신되는 PLP의 PLP 식별자(identifier: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MMTP 패킷 sub-flow A(10100), MMTP 패킷 sub-flow B(10110), MMTP 패킷 sub-flow C(10120) 모두는 MMTP session 1(12200)으로 다중화되고, 상기 MMTP session 1(12200)은 UDP/IP session 1(12300)으로 전달된다. 상기 UDP/IP session(12300)으로 전달된 UDP/IP 패킷과 Signaling server(10350)에서의 출력은 ALP 패킷으로 생성되고, 상기 ALP 패킷은 ALP stream 1(10400)과 ALP stream 2(10410)으로 역 다중화되고, 상기 ALP stream 1(10400)과 ALP stream 2(10410)은 각각 PLP 1(10500)과 PLP 2(10510)으로 전달된다.
상기 역 다중화 과정은 UDP/IP session에 관한 정보 및 MMTP 레벨의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역 다중화 과정은 MMTP 패킷의 packet_id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 때 MMTP 패킷과 ALP_stream간의 매핑 관계, 즉 packet_id와 ALP_stream간의 매핑 관계에 관련되는 정보는 별도의 정보 전달 과정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역 다중화는 MMTP 출력 장치와 역 다중화기 사이의 IP 터널링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MMTP 출력 장치는 ALP stream 1으로 매핑될 MMTP 패킷과 ALP stream 2로 매핑될 MMTP 패킷을 별도의 IP tunnel들을 통해 역다중화기로 전달한다. 이 때 IP 패킷과 ALP stream간의 매핑 관계, 즉 즉 IP 터널과 ALP stream간의 매핑 관계에 관련되는 정보는 별도의 정보 전달 과정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의 출력은 시그널링 테이블 혹은 시그널링 테이블이 캡슐화된 UDP/IP 패킷을 포함한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PCT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이 캡슐화된 UDP/IP 패킷은 ATSC 3.0의 LLS 테이블을 포함하는 UDP/IP 패킷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CT는 하기 표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13
상기 표 13에서 Protocol_id 필드는 하기 표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14
상기 Protocol_id 필드의 값이 "1"일 경우 해당 프로토콜이 ROUTE임을 나타내고, 상기 Protocol_id 필드의 값이 "2"일 경우 해당 프로토콜이 MMTP임을 나타낸다.
상기 Protocol_id 필드가 상기 표 14와 같이 표현될 때, 상기 표 13에서 tsi는 ROUTE 세션을 구성하는 LCT 채널의 식별자(identifier: ID)를 나타내며, packet_id는 MMTP session을 구성하는 MMTP packet sub-flow의 ID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PCT는 하기 표 15와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8031530926-pct00015
상기 표 15에서, Protocol_type 필드는 일반적인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서 sub-flow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별자(identifier: ID)를 나타내며, 일 예로 바이트 단위 길이를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Signaling server(10350)의 출력이 모든 PLP들로 전달된다고 가정하였으나, 시그널링의 타입에 따라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의 출력은 특정 PLP로만 전달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과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의 출력을 모두 하나의 PLP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이 하나의 RF 신호를 사용할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 별로 별도의 시그널링이 구성되고, 상기 시그널링들을 서로 다른 PLP들로 송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ignaling server(10350)의 출력 중 시그널링 테이블과 시그널링 테이블이 캡슐화된 UDP/IP 패킷은 동일한 PLP로 송신되거나 별도의 PLP들로 송신 될 수 있다.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채널 맵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PLP 레벨에서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는 SLT/SLS에 포함되거나, PCT에 포함되거나, SLT/SLS와 PCT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2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2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2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2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UDP/IP 헤더를 압축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UDP/IP 헤더를 압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UDP/IP 계층(13100)에서 출력된 IP 패킷들은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링크 계층(13200)에서 UDP/IP 헤더가 압축된 형태로 ALP 패킷으로 캡슐화되고, 상기 ALP 패킷은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물리 계층(13300)으로 전달된다. 이 때, 수신 장치가 상기 압축된 UDP/IP 헤더를 복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별도의 ALP 패킷으로 캡슐화 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물리 계층(13300)은 입력된 ALP 패킷들을 RF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RF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물리 계층(13300)에서 송신된 RF 신호는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물리 계층(13400)으로 전달된다.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PHY 물리 계층(13400)은 수신된 RF 신호에서 ALP 패킷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ALP 패킷을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링크 계층(13500)으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링크 계층(13500)은 상기 ALP 패킷에서 UDP/IP 패킷을 추출하고, 상기 UDP/IP 패킷을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UDP/IP Layer(13600)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링크 계층(13200)에서 수행되는 UDP/IP 헤더 압축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UDP/IP Layer(13100)에서 출력된 UDP/IP 패킷이 포함하는 UDP/IP 헤더는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ROHC 모듈(13210)에서 압축된다. 이 때 압축된 UDP/IP 헤더는 수신 장치에서 상기 UDP/IP 헤더를 복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UDP/IP 헤더를 복원하기 위한 정보는 컨텍스트 식별자(Context ID: CID, 이하 "CID"라 칭하기로 한다), 고정 체인(static chain, 이하 "static chain"이라 칭하기로 한다), 동적 체인(dynamic chain, 이하 "dynamic chain"라 칭하기로 한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ROHC 모듈(13210)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IP 패킷들을 입력하고, 상기 IP 패킷들을 압축하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압축된 패킷 플로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ROHC 모듈(13210)이 다수 개의 압축된 패킷 플로우들을 생성할 경우, 상기 다수 개의 압축된 패킷 플로우들 각각은 압축된 패킷 헤더의 CID를 기반으로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UDP/IP 세션과 압축된 패킷 플로우는 1대 1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적응 모듈(adaptation module, 이하 "adaptation module"라 칭하기로 한다)(13220)은 상기 ROHC 모듈(13210)에서 출력된 압축된 패킷 플로우에 포함되는 패킷의 압축된 UDP/IP 헤더에서 static chain과 dynamic chain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별도의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정보는 상기 압축된 UDP/IP 헤더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링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표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RDT(ROHC-U_description_table) 포맷을 따를 수 있다. 즉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adaptation module(13220)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UDP/IP 패킷의 헤더는 상응되는 입력 패킷의 헤더와 다른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 모듈(encapsulation module, 이하 "encapsulation module"라 칭하기로 한다)(13230)은 상기 adaptation module(13220)에서 출력되는 패킷을 ALP 패킷으로 캡슐화한다. 이 때 상기 ALP 패킷의 헤더가 포함하는 Packet_Type 필드의 값은 상기 ALP 패킷의 페이로드 포맷에 상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부호화된다. 상기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부호화 방식이 사용될 경우 Packet_Type 필드의 값은 ALP 패킷의 페이로드가 압축된 UDP/IP 패킷을 포함할 경우에는 '001'로 설정되고,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할 경우에는 '10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링크 계층(13500)에서 수행되는 UDP/IP 헤더 복원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디캡슐레이션 모듈(decapsulation module, 이하 "decapsulation module"라 칭하기로 한다)(13530)은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물리 계층(13400)에서 출력된 ALP 패킷이 포함하는 페이로드에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때, 상기 AL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Packet_Type 필드의 값은 상기 ALP 패킷의 페이로드 포맷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 2의 부호화 방식을 따를 경우,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001'일 경우 해당 ALP 패킷의 페이로드가 압축된 UDP/IP 패킷임을 나타내며, 상기 Packet_Type 필드의 값이 '100'일 경우 해당 ALP 패킷의 페이로드가 링크 계층 시그널링임을 나타낸다.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adaptation module(13520)은 입력된 압축된 UDP/IP 패킷과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adaptation module(13220)에서 수행된 과정에 대한 역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역과정은 링크 계층 시그널링의 static chain과 dynamic chain을 기반으로 상기 static chain, dynamic chain 중 적어도 하나가 삭제된 압축된 UDP/IP 헤더를 원래대로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채널에 오류가 없다면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ROHC module(13210)의 출력과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ROHC module(13510)의 입력은 일치하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adaptation module(13520)은 상기 송신 장치가 포함하는 ROHC module(13210)의 출력을 완전히 복원하지 않고, 복원에 필요한 정보를 링크 계층 시그널링에서 추출하여 상기 수신 장치가 포함하는 ROHC module(1351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UDP/IP 헤더를 압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3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3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3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UDP/IP 헤더를 압축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UDP/IP 헤더를 복원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UDP/IP 헤더를 복원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서비스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위한 미디어의 송신 위치에 관련된 정보가 획득 및저장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수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1) 미디어가 송신되는 UDP/IP 세션에 관련된 정보
(2) UDP/IP 세션이 송신되는 PLP의 PLP 식별자
(3)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서브 스트림의 서브 스트림 식별자
(4)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CID
여기서, 상기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서브 스트림의 서브 스트림 식별자(sub-stream identifier: SID)는 선택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CID 역시 UDP/IP 헤더에 대해 압축 방식이 적용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4에서는 모든 UDP/IP 세션들에 헤더 압축 방식이 적용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14100단계에서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함을 검출하면 142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20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가 전송되는 PLP를 프로세싱한 후 143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30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ALP 패킷을 추출하고 144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된 ALP 패킷은 압축된 UDP/IP 패킷 혹은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페이로드로 포함한다. 상기 14400 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ALP 패킷이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ALP 패킷이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지 여부는 상기 ALP 패킷 헤더가 포함하는 Packet_Type 필드 값을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ALP 패킷이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144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45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ALP 패킷이 포함하는, 즉 상기 ALP 패킷이 포함하는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추출하고 1460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14400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ALP 패킷이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14500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ALP 패킷이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하지 않는 다는 것은, 상기 ALP 패킷의 페이로드가 압축된 UDP/IP 패킷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1450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 없는 UDP/IP 세션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없는 UDP/IP 세션이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145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55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없는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서브 스트림 식별자(sub-stream identifier: SID)를 가지는 ALP 패킷들을 폐기한다.
한편, 상기 14500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없는 UDP/IP 세션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146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60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ALP 패킷에서 추출된 페이로드에 대해 adaptation 동작을 수행한 후 147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Adaptation 동작이 수행된 후의 압축된 UDP/IP 패킷의 헤더는 CID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1470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CID가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CID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CID가 상기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없는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CID일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147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75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없는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CID를 가진 패킷들을 폐기한다.
한편, 상기 14700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CID가 상기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CID일 경우, 상기 수신 장치는 148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80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서비스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UDP/IP 세션에 해당하는 CID를 가진 패킷들에 대해 ROHC 압축 해제 동작을 수행한 후 149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900단계에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ROHC 압축 해제 동작이 수행된 후의 복원된 패킷을 UDP/IP 계층으로 전달한다. 한편, 도 14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UDP/IP 헤더를 복원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4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4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4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링크 계층에서 패킷을 필터링 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도 14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UDP/IP 헤더를 복원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송신 장치(1500)는 서비스 제공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장치(1500)는 송신기(1511)와, 제어기(1513)와, 수신기(1515)와, 저장(메모리) 유닛(1517) 및 출력 유닛(1519)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151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513)는 상기 송신 장치(1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일 예로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4 및 표 1 내지 표 1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511)는 상기 제어기(15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포함하는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수신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장치는 일 예로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15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4 및 표 1 내지 표 1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515)는 상기 제어기(15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포함하는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수신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5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4 및 표 1 내지 표 1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517)은 상기 제어기(1513)의 제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517)은 상기 수신기(151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상기 출력 유닛(1519)은 상기 제어기(15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신 장치(1500)가 수행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유닛(1519)이 출력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4 및 표 1 내지 표 1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5에는 상기 송신 장치(1500)가 상기 송신기(1511)와, 제어기(1513)와, 수신기(1515)와, 저장 유닛(1517) 및 출력 유닛(1519)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송신 장치(1500)는 상기 송신기(1511)와, 제어기(1513)와, 수신기(1515)와, 저장 유닛(1517) 및 출력 유닛(1519)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송신 장치(1500)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수신 장치(1600)는 서비스 제공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장치(1600)는 송신기(1611)와, 제어기(1613)와, 수신기(1615)와, 저장(메모리) 유닛(1617) 및 출력 유닛(1619)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161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613)는 상기 수신 장치(1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일 예로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4 및 표 1 내지 표 1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611)는 상기 제어기(16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포함하는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수신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장치는 일 예로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16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4 및 표 1 내지 표 1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615)는 상기 제어기(16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포함하는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수신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6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4 및 표 1 내지 표 1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617)은 상기 제어기(1613)의 제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617)은 상기 수신기(161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상기 출력 유닛(1619)은 상기 제어기(16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1600)가 수행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서브-스트림들을 전달하는 링크 계층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유닛(1619)이 출력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4 및 표 1 내지 표 1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6에는 상기 수신 장치(1600)가 상기 송신기(1611)와, 제어기(1613)와, 수신기(1615)와, 저장 유닛(1617) 및 출력 유닛(1619)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수신 장치(1600)는 상기 송신기(1611)와, 제어기(1613)와, 수신기(1615)와, 저장 유닛(1617) 및 출력 유닛(1619)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신 장치(1600)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송신 장치(1500) 및 수신 장치(1600)는 결합되어 송수신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송신 장치는, 입력 스트림에 상응하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링크 계층 패킷 생성기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기와, 상기 생성된 물리 계층 프레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방식을 기반으로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싱된 물리 계층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입력 스트림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거나, 혹은 상기 입력 스트림의 포맷 중 일부가 변형된 포맷을 가지거나, 혹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방식에 따른 고유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계층 패킷 생성기는 링크 계층을 포함하는 수신기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계층 패킷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 스트림에 상응하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물리 계층 프레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방식을 기반으로 프로세싱하는 과정 및 상기 프로세싱된 물리 계층 프레임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입력 스트림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거나, 혹은 상기 입력 스트림의 포맷 중 일부가 변형된 포맷을 가지거나, 혹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방식에 따른 고유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링크 계층 패킷 생성기는 링크 계층을 포함하는 수신기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계층 패킷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수신 장치는, 입력 스트림이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에 매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물리 계층 프레임에 포함된 링크 계층 패킷에서 헤더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헤더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페이로드를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입력 스트림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거나, 혹은 상기 입력 스트림의 포맷 중 일부가 변형된 포맷을 가지거나, 혹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방식에 따른 고유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로드는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데이터 이외에 링크 계층에서 프로세싱되고, 상기 링크 계층을 포함하는 수신기의 제어에 사용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 스트림이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에 매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물리 계층 프레임에 포함된 링크 계층 패킷에서 헤더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헤더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방식을 기반으로 페이로드를 프로세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입력 스트림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거나, 혹은 상기 입력 스트림의 포맷 중 일부가 변형된 포맷을 가지거나, 혹은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방식에 따른 고유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로드는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데이터 이외에 링크 계층에서 프로세싱되고, 상기 링크 계층을 포함하는 수신기의 제어에 사용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본 개시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ROM(compact disc ROM: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개시를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개시가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방송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킷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킷에 기초하여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베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헤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킷의 프로토콜 또는 패킷 타입을 지시하는 패킷 타입 정보 및 상기 페이로드의 설정(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페이로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는:
    상기 페이로드가 단일(single)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에 후행하는 정보가 헤더 모드 정보임을 지시하는 제1 값, 및
    상기 페이로드가 입력 패킷의 일부(part) 또는 복수의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에 후행하는 정보가 세그멘테이션 컨캐터네이션 정보(segmentation concatenation information)임을 지시하는 제2 값 중 하나로 설정되며,
    상기 헤더 모드 정보는 제1 추가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테이션 컨캐터네이션 정보는:
    상기 페이로드가 상기 입력 패킷의 일부(part)를 포함하고, 제2 추가 헤더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제1 값, 및
    상기 페이로드가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제3 추가 헤더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제2 값 중 하나로 설정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헤더, 상기 제2 추가 헤더 및 상기 제3 추가 헤더는 서브-스트림 식별자(sub-stream identification)에 대한 옵셔널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가 헤더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에 의해 운반되는 세그먼트의 순서(order)를 지시하는 세그먼트 시퀀스 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추가 헤더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의 각각의 길이를 지시하는 컴포넌트 길이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방송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킷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킷에 기초하여 링크 계층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베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헤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킷의 프로토콜 또는 패킷 타입을 지시하는 패킷 타입 정보 및 상기 페이로드의 설정(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페이로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는:
    상기 페이로드가 단일(single)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에 후행하는 정보가 헤더 모드 정보임을 지시하는 제1 값, 및
    상기 페이로드가 입력 패킷의 일부(part) 또는 복수의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에 후행하는 정보가 세그멘테이션 컨캐터네이션 정보(segmentation concatenation information)임을 지시하는 제2 값 중 하나로 설정되며,
    상기 헤더 모드 정보는 제1 추가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테이션 컨캐터네이션 정보는:
    상기 페이로드가 상기 입력 패킷의 일부(part)를 포함하고, 제2 추가 헤더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제1 값, 및
    상기 페이로드가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제3 추가 헤더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제2 값 중 하나로 설정되는,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헤더, 상기 제2 추가 헤더 및 상기 제3 추가 헤더는 서브-스트림 식별자(sub-stream identification)에 대한 옵셔널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가 헤더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에 의해 운반되는 세그먼트의 순서(order)를 지시하는 세그먼트 시퀀스 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추가 헤더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의 각각의 길이를 지시하는 컴포넌트 길이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11. 방송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링크 계층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베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헤더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킷의 프로토콜 또는 패킷 타입을 지시하는 패킷 타입 정보 및 상기 페이로드의 설정(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페이로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는:
    상기 페이로드가 단일(single)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에 후행하는 정보가 헤더 모드 정보임을 지시하는 제1 값, 및
    상기 페이로드가 입력 패킷의 일부(part) 또는 복수의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에 후행하는 정보가 세그멘테이션 컨캐터네이션 정보(segmentation concatenation information)임을 지시하는 제2 값 중 하나로 설정되며,
    상기 헤더 모드 정보는 제1 추가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테이션 컨캐터네이션 정보는:
    상기 페이로드가 상기 입력 패킷의 일부(part)를 포함하고, 제2 추가 헤더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제1 값, 및
    상기 페이로드가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제3 추가 헤더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제2 값 중 하나로 설정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헤더, 상기 제2 추가 헤더 및 상기 제3 추가 헤더는 서브-스트림 식별자(sub-stream identification)에 대한 옵셔널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가 헤더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에 의해 운반되는 세그먼트의 순서(order)를 지시하는 세그먼트 시퀀스 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추가 헤더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의 각각의 길이를 지시하는 컴포넌트 길이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방송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링크 계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링크 계층 패킷은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베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헤더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킷의 프로토콜 또는 패킷 타입을 지시하는 패킷 타입 정보 및 상기 페이로드의 설정(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페이로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는:
    상기 페이로드가 단일(single)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에 후행하는 정보가 헤더 모드 정보임을 지시하는 제1 값, 및
    상기 페이로드가 입력 패킷의 일부(part) 또는 복수의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 설정 정보에 후행하는 정보가 세그멘테이션 컨캐터네이션 정보(segmentation concatenation information)임을 지시하는 제2 값 중 하나로 설정되며,
    상기 헤더 모드 정보는 제1 추가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테이션 컨캐터네이션 정보는:
    상기 페이로드가 상기 입력 패킷의 일부(part)를 포함하고, 제2 추가 헤더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제1 값, 및
    상기 페이로드가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을 포함하고, 제3 추가 헤더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제2 값 중 하나로 설정되는, 수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헤더, 상기 제2 추가 헤더 및 상기 제3 추가 헤더는 서브-스트림 식별자(sub-stream identification)에 대한 옵셔널 헤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가 헤더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에 의해 운반되는 세그먼트의 순서(order)를 지시하는 세그먼트 시퀀스 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추가 헤더는 상기 링크 계층 패킷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입력 패킷의 각각의 길이를 지시하는 컴포넌트 길이 정보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KR1020187009050A 2015-08-31 2016-08-30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444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2808 2015-08-31
KR1020150122808 2015-08-31
KR1020160005354A KR20170026064A (ko) 2015-08-31 2016-01-15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160005354 2016-01-15
PCT/KR2016/009629 WO2017039272A1 (en) 2015-08-31 2016-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307A KR20180037307A (ko) 2018-04-11
KR102444111B1 true KR102444111B1 (ko) 2022-09-16

Family

ID=584040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354A KR20170026064A (ko) 2015-08-31 2016-01-15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187009050A KR102444111B1 (ko) 2015-08-31 2016-08-30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354A KR20170026064A (ko) 2015-08-31 2016-01-15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45376B1 (ko)
KR (2) KR20170026064A (ko)
CN (1) CN107925679B (ko)
CA (1) CA2997027C (ko)
MX (1) MX2017015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573A1 (ko) * 2018-11-02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송신 방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CN112312587A (zh) * 2019-07-30 2021-02-02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及其执行的方法和基站及其执行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0081A1 (en) 2006-11-17 2008-05-22 Chandrashekar Karthikeyan Modeling and simulating flow propagation in dynamic bandwidth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030B1 (ko) * 2003-05-30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전기 기기
KR101216100B1 (ko) * 2009-11-18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편화 패킹 확장헤더를 수반하는 mac pdu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686255B2 (en) * 2010-07-21 2017-06-20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tensible authentication framework
US8938551B2 (en) * 2012-04-10 2015-01-20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Data processing device
CN105765970B (zh) * 2013-08-19 2019-06-04 Lg电子株式会社 发送广播信号的设备和方法、接收广播信号的设备和方法
CN105814854B (zh) * 2013-09-26 2019-08-27 Lg电子株式会社 发送信令信息的设备、接收信令信息的设备、发送信令信息的方法以及接收信令信息的方法
CN105493499B (zh) * 2013-10-28 2018-09-25 Lg电子株式会社 发送广播信号的设备、接收广播信号的设备、发送广播信号的方法和接收广播信号的方法
US9398437B2 (en) * 2013-12-16 2016-07-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CN105659567B (zh) * 2014-01-14 2019-03-12 Lg 电子株式会社 发送广播信号的装置、接收广播信号的装置、发送广播信号的方法以及接收广播信号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0081A1 (en) 2006-11-17 2008-05-22 Chandrashekar Karthikeyan Modeling and simulating flow propagation in dynamic bandwidth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5376B1 (en) 2021-08-04
KR20170026064A (ko) 2017-03-08
CN107925679A (zh) 2018-04-17
CN107925679B (zh) 2021-06-25
EP3345376A1 (en) 2018-07-11
CA2997027C (en) 2024-01-02
CA2997027A1 (en) 2017-03-09
KR20180037307A (ko) 2018-04-11
EP3345376A4 (en) 2018-09-05
MX2017015761A (es)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67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KR102196473B1 (ko) 송신 장치 및 그 송신 방법
KR102229109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113497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KR20220129687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US108805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CN112738645B (zh) 用于在多媒体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KR102444111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306119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4840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