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648A - 게임기능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 - Google Patents

게임기능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648A
KR20180136648A KR1020170075612A KR20170075612A KR20180136648A KR 20180136648 A KR20180136648 A KR 20180136648A KR 1020170075612 A KR1020170075612 A KR 1020170075612A KR 20170075612 A KR20170075612 A KR 20170075612A KR 20180136648 A KR20180136648 A KR 2018013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pace
attribute
image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선
Original Assignee
한상선
주식회사 한스에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선, 주식회사 한스에이알 filed Critical 한상선
Priority to KR1020170075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648A/ko
Publication of KR2018013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9Involving elements of the real world in the game world, e.g. measurement in live races, real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 상기 타겟에 부여된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제 2 공간 상에 생성하는 제어부-상기 속성은, 게임 속성 및 체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기능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SYSTEM INCLUDING GAME FUNCTIONS AND VARIOUS LEARNING PROGRAMS AND VARIOUS PRODUCTS USING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현시된 컨텐츠에 대한 증강 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 현시된 컨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증강현실 제품 현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통신기기의 보편화와 IT 기술 인프라의 보급화에 의해 전자통신기기를 이용한 각종 정보의 제공이나 홍보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 통신 기기에서 접목된 기술로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가 혼합된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강 현실은 현실의 이미지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영상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켜주는 현시 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촬영시 현실의 공간에 다양한 정보를 덧씌워 보여주는 증강 현실(AR; Agu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증강 현실이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의 한 분야에 속하는 기술로, 사용자가 감각으로 느끼는 실제 환경에 가상 환경을 합성하여 원래의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컴퓨터 기법이다.
이러한 증강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 달리 현실 세계의 기반에 가상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는 달리 현실 세계의 기반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단순 가상 현실 기술에 비하여 3차원 가상 환경에 실사영상도 같이 제공하여 현실 환경과 가상환경과의 구분이 모호해지게 함으로써,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체감할 수 없는 정보들을 제공받고 또는, 교육,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증강 현실을 접목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강 현실을 접목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가 당업계에 존재하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실제 이미지를 이용하는 게임 및 학습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체감할 수 없는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취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 상기 타겟에 부여된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제 2 공간 상에 생성하는 제어부-상기 속성은, 게임 속성 및 체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에 부여된 속성이 게임 속성인 경우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게임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타겟 부여된 속성이 체험 속성인 경우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체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게임 및 상기 체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규칙 학습 및 교육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색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타겟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색상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타겟에 대하여 상기 추출된 색상을 적용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타겟에 대응하는 속성 및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공간은, 월드 좌표계(world coordinate)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은, 카메라 좌표계(camera coordinate)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타겟인 제품은,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의류나 프린트된 원단, 광고원단, 종이, 열쇠고리, 모자, 가방의 공산품, 카다로그, 잡지, 광고지, 서적, 커튼, 카페트, 벽지, 달력, 시트지, 이불, 매트, 인테리어용품, 마개나 뚜껑, 용기, 자석교구, 나무교구, 완구, 색칠북, 교재 및 포장지, 택(tag), 이미지, 마크 및 글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의 외관, 택 또는 제품 내부에 제공되는 카드의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표시한 모든 제품이며,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또는 미리 생성된 컨텐츠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및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적용한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코딩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증강현실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증강현실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전자통신기기의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 즉, 제품의 내외관에 표시된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통해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타겟에 부여된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제 2 공간 상에 생성하는 동작-상기 속성은, 게임 속성 및 체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실제 이미지를 이용하는 게임 및 학습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체감할 수 없는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공간 및 타겟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품을 활용한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전자통신기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전자통신기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전자통신기기, 특수용 전자통신기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전자통신기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전자통신기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자통신기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전자통신기기 이용 가능 또는 전자통신기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전자통신기기 이용가능 또는 전자통신기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카메라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1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컴포넌트들 중 일부만이 사용자 장치(100)를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컴포넌트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가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제품에 표시된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통해 문자,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2d,3d 입체동영상을 현시하기 위한“증강 현시 된 컨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증강현실 제품현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100)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카메라부(110)는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10)는 사용자 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배면의 임의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11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 1 공간은 월드 좌표계(world coordinate)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공간은 월드 좌표계 상에 배치된 종이(또는, 종이가 배치된 공간)이고, 그리고 타겟은 상기 종이에 프린트된 차 형상의 그림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타겟은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증강 현시 된 컨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증강현실 제품현시시스템에서 타겟 대상인 제품에 포함된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증강 현실 제품 현시 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제품에 표시된 이미지나 마크, 글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타겟 대상인 제품은,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의류나 프린트된 원단, 광고원단, 종이, 열쇠고리, 모자, 가방의 공산품, 카다로그, 잡지, 광고지, 서적, 커튼, 카페트, 벽지, 달력, 시트지, 이불, 매트, 인테리어용품, 마개나 뚜껑, 용기, 자석교구, 나무교구, 완구, 색칠북, 교재 및 포장지, 택(tag), 이미지, 마크 및 글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의 외관, 택 또는 제품 내부에 제공되는 카드의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표시한 모든 제품이며,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또는 미리 생성된 컨텐츠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및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적용한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공간 및 타겟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공간은 종이가 배치된 공간(12) 또는 종이(14)일 수 있다. 또한, 타겟은 종이에 프린트된 축구 선수 형상의 그림(13) 또는 차 형상의 그림(15)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타겟은 게임이나 오락등으로 즐길 수 있으면서 학습 효과를 줄 수 있는 친숙한 캐릭터나 아이템으로 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타겟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속성이 사전에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선수 형상의 그림(13)에 대해서는 체험 속성이 부여되고 그리고 차 형상의 그림(15)에 대해서는 게임 속성이 부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차 형상의 그림(15))에 대해서 체험 속성 및 게임 속성 모두 부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체험 속성에 관련한 영상을 생성할 것인지 또는 게임 속성에 관련한 영상을 생성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추가적으로 기초하여 타겟(차 형상의 그림(15))에 관련한 영상이 제 2 공간상에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 2 공간은, 카메라 좌표계(camera coordinate)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공간은 현실 세계가 사용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표시되도록 투영된 공간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공간은 사용자가 실제로 보는 실제 환경과 일치하는 공간이 카메라 좌표계 상에 투영된 공간을 지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품을 활용한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100)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실감을 높이고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장소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타겟을 카메라부(110)로 촬영하면 상기 타겟에 관련된 영상이 제 2 공간 상에 생성되며,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체험 및/또는 게임을 통한 학습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부와 놀이가 병행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타겟에 관련한 영상이 도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20)는 타겟에 부여된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제 2 공간 상에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속성은, 게임 속성 및 체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20)는, 타겟에 부여된 속성이 게임 속성인 경우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타겟 부여된 속성이 체험 속성인 경우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체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게임 및 상기 체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규칙 학습 및 교육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예를 들어, 축구 선수)에 대한 이미지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예를 들어, 축구 경기 규칙에 대한 학습이 가능한 게임 및/또는 체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예를 들어, 자동차)에 대한 이미지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예를 들어, 교통 안전에 대한 학습이 가능한 게임 및/또는 체험 영상)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예시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권리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 2 공간 상에 타겟에 관련된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타겟에 관련된 영상을 이용하여 체험 및/또는 게임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타겟(축구 선수)에 대한 이미지가 획득됨에 따라 제 2 공간에 타겟(축구 선수)에 관련한 영상이 생성됨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2 공간에 생성된 타겟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1, 23)(도 4, 도 5 참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타겟에 관련된 영상을 이용하는 체험 영상 및/또는 게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1, 23)(도 4, 도 5 참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타겟에 관련된 영상을 이용하는 체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5에는 타겟(축구 선수)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의 회전, 임의의 동작(예를 들어, 뛰기, 드리블하기 등)을 수행하는 체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타겟(자동차)에 대한 이미지가 획득됨에 따라 제 2 공간에 타겟(자동차)에 관련한 영상이 생성됨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10)에 의해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자동차)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타겟(자동차)에 부여된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타겟(자동차)에 관련한 영상이 제 2 공간상에 생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타겟에 대하여 게임 속성 및 체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이 부여될 수 있다. 도 7은 타겟에 부여된 속성이 체험 속성인 경우 사용자 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8은 타겟에 부여된 속성이 게임 속성인 경우 사용자 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이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갖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추가적으로 기초하여 체험 영상 및/또는 게임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임 영상이 도시된다. 여기서 게임 영상은, 도로 주행 게임에 관한 것으로 예시되나 본 개시의 권리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 타겟에 관련한 영상(즉, 타겟에 대한 3D 증강 영상)을 이용하는 임의의 게임이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체험 영상 및/또는 게임 영상은 영상들이 제공될 때 타겟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이 함께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이 축구 선수인 경우 제 2 공간에 생성되는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은 축구에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겟이 자동차인 경우 제 2 공간에 생성되는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은 자동차에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타겟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20)는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색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타겟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색상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타겟에 대하여 상기 추출된 색상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공간(예를 들어, 종이)에 표시된 타겟(예를 들어, 차 형상의 그림)에 대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색상을 칠한 경우, 사용자가 칠한 색상이 적용된 타겟에 관련한 영상이 제 2 공간 상에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20)는 타겟에 관련한 마커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마커와 매칭되는 가상 이미지와 그 밖이 보조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부(140)에서 검색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30)로 표시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동작이란,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에 대한 회전, 색 변환, 임의의 이동,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는 게임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전술한 기재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일 뿐,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전술되고 그리고 후술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 모두와 통신할 수 있어서, 이들의 동작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2 공간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제어부(1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타겟에 대응하는 속성 및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증강 현시된 컨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증강현실 제품 현시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제어부(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면, 카메라부(110)로부터 획득된 영상과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정합하는 알고리즘),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마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치(10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출력들을 보조하기 위하여 도면에 개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0)에서 상기 증강 현실 제품 현시 시스템을 지원할 때 발생되는 음향 신호(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음, 효과음 등)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상기 증강 현실 제품 현시 시스템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예를 들어, 타겟의 인식, 타겟에 대한 촬영 시작 등)를 알리거나, 또는, 카메라부(110)의 촬영을 보조하기 위하여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 장치(100)와 관련되는 서버와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선택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110)에 의해 제 1 공간 상에 배치된 타겟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되고, 그리고 사용자 선택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이 증강현실 시스템을 접목하여 수행됨으로써,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제공되는 증강현실 제품현시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선택입력부는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은, 상기 타겟에 대하여 증강현실 시스템을 접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은, 상기 타겟의 이동 동작, 상기 타겟에 대한 색상 변환 동작, 상기 타겟에 대한 크기 조정 동작, 상기 타겟에 대한 컨텐츠 생성 동작, 상기 타겟에 대한 컨텐츠 정보 제공 동작, 상기 타겟에 대한 아이템 구매 동작, 상기 타겟에 관련하여 생성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공유 동작 및 사전 결정된 링크 접속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전술되는 하나 이상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 및/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전자통신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저장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20) 그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품을 활용한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단계 S110 내지 단계 S130은 사용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는 인식된 음성을 번역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일 뿐이며, 각 단계의 순서는 변경 및/또는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각 단계들 외의 추가적인 단계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9에 설명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될 수 있다(S110).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타겟에 부여된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제 2 공간 상에 생성될 수 있다(S120). 여기서 상기 속성은, 게임 속성 및 체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은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S130).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사용자 장치로서,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
    상기 타겟에 부여된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제 2 공간상에 생성하는 제어부-상기 속성은, 게임 속성 및 체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제 2 공간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에 부여된 속성이 게임 속성인 경우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게임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타겟 부여된 속성이 체험 속성인 경우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체험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및 상기 체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규칙 학습 및 교육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한,
    사용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색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타겟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사용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의 색상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타겟에 대하여 상기 추출된 색상을 적용시키는,
    사용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타겟에 대응하는 속성 및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은,
    월드 좌표계(world coordinate)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은,
    카메라 좌표계(camera coordinate)에 위치하는,
    사용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인 제품은,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의류나 프린트된 원단, 광고원단, 종이, 열쇠고리, 모자, 가방의 공산품, 카다로그, 잡지, 광고지, 서적, 커튼, 카페트, 벽지, 달력, 시트지, 이불, 매트, 인테리어용품, 마개나 뚜껑, 용기, 자석교구, 나무교구, 완구, 색칠북, 교재 및 포장지, 택(tag), 이미지, 마크 및 글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의 외관, 택 또는 제품 내부에 제공되는 카드의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표시한 모든 제품이며,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또는 미리 생성된 컨텐츠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및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적용한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인,
    사용자 장치.
  9. 인코딩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증강현실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증강현실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전자통신기기의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제 1 공간상에 표시된 타겟 즉, 제품의 내외관에 표시된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통해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타겟에 부여된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제 2 공간 상에 생성하는 동작-상기 속성은, 게임 속성 및 체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제 2 공간 상에 생성된 상기 타겟에 관련한 영상을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전자통신기기 프로그램.
KR1020170075612A 2017-06-15 2017-06-15 게임기능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 KR20180136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12A KR20180136648A (ko) 2017-06-15 2017-06-15 게임기능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12A KR20180136648A (ko) 2017-06-15 2017-06-15 게임기능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48A true KR20180136648A (ko) 2018-12-26

Family

ID=6500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12A KR20180136648A (ko) 2017-06-15 2017-06-15 게임기능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66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053B1 (ko) * 2019-12-02 2020-12-04 (주)라온파트너스 도서 정보 제공 서버 및 그에 의한 도서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053B1 (ko) * 2019-12-02 2020-12-04 (주)라온파트너스 도서 정보 제공 서버 및 그에 의한 도서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895B2 (en) Augmented reality image transformation
Craig Understanding augmented reality: Concepts and applications
KR101998852B1 (ko)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101692335B1 (ko)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증강현실 영상표시 방법
CN108389249B (zh) 一种多兼容性的vr/ar空间教室及其构建方法
CN104504423B (zh) Ar增强现实立体防伪系统及其方法
US20170186235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McCaffrey Unreal Engine VR cookbook: Developing virtual reality with UE4
CN107798932A (zh) 一种基于ar技术的早教训练系统
KR2014008261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전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JP6683864B1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CN106600669A (zh) 基于可变色荧光画板和增强现实的装置及运行方法
CN110715647A (zh) 使用多次三维扫描进行对象检测
CN112673400A (zh) 化身动画
CN104166966B (zh) 一种图像增强现实应用的实现方法
KR101581802B1 (ko) 현시된 컨텐츠 활용기능탑재의 제품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시스템
KR20160013451A (ko)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접목한 제품현시시스템
KR101940499B1 (ko)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KR20180136648A (ko) 게임기능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포함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
Helle et al. Miracle Handbook: Guidelines for Mixed Reality Applications for culture and learning experiences
JP7116410B2 (ja) 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KR101643569B1 (ko) 체험자가 채색한 색상이 적용된 입체 오브젝트의 동영상 출력 방법을 이용한 체험 방법
KR102148033B1 (ko) 색칠 ar 교구를 이용한 vr 구현 시스템
Parhizkar et al. A survey on web-based AR applications
JP6996136B2 (ja) 画像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06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19

Effective date: 2018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