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603A -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603A
KR20180136603A KR1020170074687A KR20170074687A KR20180136603A KR 20180136603 A KR20180136603 A KR 20180136603A KR 1020170074687 A KR1020170074687 A KR 1020170074687A KR 20170074687 A KR20170074687 A KR 20170074687A KR 20180136603 A KR20180136603 A KR 20180136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ring
shock absorber
fix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민수
하진수
하태홍
Original Assignee
하민수
하태홍
하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민수, 하태홍, 하진수 filed Critical 하민수
Priority to KR102017007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603A/ko
Publication of KR2018013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35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tor-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3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positioning or withdrawing springs, e.g. coil or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양측과 함께 중앙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편,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COMPRESSION APPARATUS OF SHOCK ABSORBER SPR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양측과 함께 중앙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편,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서스펜션은 자동차의 충격완화 장치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주요 구성부품은 차륜을 지지하는 상하 아암과, 차륜과 상하아암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쇼크 업소버로 이루어져 주행시 쇼크 업소버에 의해 노면으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쇼크 업소버에는 탄성력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스프링이 장착되는데, 통상적으로 쇼크 업소버의 교환 및 정비시에는 2인 이상의 인력으로 탄발력이 강한 코일스프링을 압축하여 교환 및 수리를 하는 작업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프링 압착작업은 그 작업이 난해하여 오랜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또한 좁은 장소에서 2인 이상의 인력으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장소의 제한을 받아 정비작업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59393호(1999.10.15.)에는 '자동차의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기는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양측이 스프링걸이대에 의해 지지될 뿐 중앙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면서 흔들림이 발생되는 등 안정적인 압축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9393호(1999.10.15.) '자동차의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양측과 함께 중앙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편,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로 설치되며, 피니언에 잇맞물림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래크(190); 상기 래크(19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축핸들(200); 상기 래크(190)의 상단에 형성된 헤드(170)의 양측에 각각 힌지축(160)에 의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쇼크 업소버 스프링을 걸 수 있는 스프링걸이대(151)가 구비되는 스프링지지대(150);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에 구조적으로 일체화되어 형성된 힌지편(500); 상기 힌지편(500)이 양측에 좌우로 벌어지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지지편(400)이 고정되도록 보스부(320)가 구비되는 좌우고정대(300); 상기 좌우고정대(300)를 힌지(530)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나사축(700); 상기 이송나사축(7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좌우고정대(300)의 조임이나, 풀림작동을 수행하는 고정대조임핸들(800); 및 상기 좌우고정대(300)의 단부에 형성된 보스부(3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은 직경이 큰 쇼크 업소버(2000)를 지지하는 외측지지편(420)과, 직경이 작은 쇼크 업소버(1000)를 지지하는 내측지지편(410)이 구비된 지지편(400)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스프링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지지대(150) 간에 위치되면서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후방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부(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앙지지부(10)는, 전,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지지대(15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헤드(17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12)와, 상기 헤드(170)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12)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3)를 포함하는 이동부재(11); 및 상기 연결바(13)에 연결되고,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되는 걸이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이대(14)는,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5); 상기 걸림고리(15)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바(13)의 하부에 접하는 걸림판(16); 및 상기 걸림고리(15)와 상기 걸림판(16)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앙지지부(10)는, 상기 걸이대(14)를 상기 이동부재(11)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수단(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수단(2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전단부가 상기 걸이대(14)에 접하도록 후단부가 상기 연결부재(17)와 상기 연결바(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결속구(21);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21)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걸이대(14)를 상기 이동부재(11)에 결속하는 결속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헤드(17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1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공(17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바(12)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172)은, 각각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바(12)는, 내측 상,하부 모서리부가 각각 수평면(C)을 이루면서 상기 가이드공(172)을 이루는 내측 상,하부의 각 코너부(D)와의 사이로 빈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170)에 상기 스프링지지대(15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160); 및 상기 스프링지지대(15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회동각도를 구속하는 스토퍼(1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지지대(150)에는, 상기 힌지축(160)의 외면이 외부와 통하도록 하며, 상기 스토퍼(180)가 나사결합되는 고정공(17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171)에는, 지지구(181)와, 상기 지지구(181)와 상기 스토퍼(18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182)이 수용되되, 상기 지지구(181)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180)는,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182)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지지구(181)가 상기 힌지축(160)에 압착되도록 하거나 압착해제되도록 하면서 상기 스프링지지대(15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회동각도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공(171)은, 상기 스프링지지대(150)로부터 상기 힌지축(16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73)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양측과 함께 중앙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장치에서 지지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장치에서 고정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4에서 B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장치에서 고정대와 이송나사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장치에서 지지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장치에서 지지편에 의한 쇼크 업소버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 압축장치에서 외측지지편에 쇼크 업소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서 스토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서 중앙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서 중앙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서 이동부재와 걸이대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서 헤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서 쇼크 업소버 스프링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실용신안 제0159393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실용신안 제0159393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159393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후방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159393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는 받침대의 상단에 원주의 형태로 지지대(100)가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지지대(100)의 내부에는 래크(190)가 설치되어 지지대(100)의 일측에 설치된 피니언(미도시됨)에 잇맞물림되어 이동된다. 여기서, 쇼크 업소버 스프링은 쇼크 업소바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피니언에는 압축핸들(200)이 연결되어 피니언을 회전시키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래크(19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래크(190)의 상단에는 헤드(170)가 형성되며, 헤드(170)의 양측으로 각각 스프링지지대(15)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지지대(150)에는 스프링걸이대(151)가 설치되어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강선을 홀딩하게 된다.
이상은 쇼크 업소버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쇼크 업소버 자체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도 3에서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지지대(150)의 아래쪽 지지대(100)에 힌지편(500)이 형성되고, 힌지편(500)은 상,하힌지편(510,520)으로 나뉘어 형성된다.
힌지편(500)의 양측에는 힌지(530)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로 벌어지도록 회동가능하게 좌우고정대(300)가 고정된다.
좌우고정대(300)는 이송나사축(700)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구조적으로 연결되며, 이송나사축(700)은 좌우고정대(300)를 나사결합하여 관통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송나축(700)의 중심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720)가 원형으로 파인형태로 형성된다.
홈부(720)는 지지대(100)의 일측으로 돌출 성형된 고정편(110)의 절결홈(111)에 삽입되어 이송나사축(70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송나사축(700)의 한쪽에는 고정대조임핸들(800)이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대조임핸들(800)의 회전에 의해 좌우고정대(300)가 좌우로 조임이나, 풀림 작동을 수행한다.
도 5는 고정대조임핸들(800)이 연결된 이송나사축(700)과 좌우고정대(300)와의 결합관계를 더욱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양측 좌우고정대(300)의 가로방향으로 이송나사축(700)이 관통되고 이송나사축(700)의 관통된 한쪽은 고정대조임핸들(800)이 일체로 형성되며 또 다른 한쪽은 캠(810)으로 단부가 감싸진다.
이송나사축(700)이 관통되는 부위는 좌우고정대(300)의 일면에 원형의 삽입공(32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320)에 길이가 짧은 원주형태의 너트(33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너트(330)의 나사공(331)에 이송나사축(700)의 나사부(710)가 나사결합 됨으로써 좌우고정대(300)를 구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이송나사축(700)에 대한 너트(330)의 결합상태는 양측 좌우고정대(300)에 동시에 형성되어 이송나사축(700)의 회전에 의하여 양측 좌우고정대(300)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게 작동된다.
너트(330)가 삽입된 삽입홈(320)의 이송나사축(700) 관통부위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장공(321)의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것은 좌우고정대(300)의 조임 및 풀림작동시 전후로 이동되는 이송나사축(700)의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이다.
좌우고정대의 조임 및 풀림 작동을 위해서는 이송나사축(700)의 양측에 형성된 나사부(710)의 일측은 왼나사, 또 다른 일측은 오른 나사의 형태를 갖게 되고 나사부(710)에 결합되는 좌우고정대(700)의 너트(330) 역시 양 나사부(710)의 형태에 대응하여 나사공(33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좌우고정대(300)에는 길이방향의 상하로 보강리브(310)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좌우고정대(300)의 단부에는 보스부(320)가 형성되어 보스부(320)에 지지편(40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도 6은 이러한 지지편(4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외측지지편(420)은 외측으로 완만한 곡면의 형태를 가지며 하부에는 외측지지편 받침판(422)이 직각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형태를 갖는다.
상기 외측지지편(420)의 일측에 구조적으로 연결된 내측지지편(410)은 각형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내,외측지지편(410,420)에는 치형(411,421)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치형(411,421)의 형태는 내측지지편(410)에는 수직으로 외측지지편(420)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외측지지편(420)의 수직방향에 대한 단면구조는 위쪽은 폭이 넓고 아래쪽은 폭이 좁은 단면 구조를 가진다.
내,외측지지편(410,420)의 구조는 쇼크 업소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지편(400)의 하부에는 아래쪽으로 각형의 고정축(430)이 돌출되고 이와 같은 지지편(400)의 고정축(430)이 좌우측고정대(300)에 형성된 보스부(320)의 고정홈(311)에 삽입되는데, 고정축(430)과 보스부 고정홈(311)이 각형으로 이루어짐은 지지편(4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는 쇼크 업소버의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토퍼의 구조를 하나의 예로 나타낸 것으로, 헤드(170)와 스프링지지대(150)를 힌지축(160)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힌지축(160)의 외면을 외부와 통하도록 스프링지지대(150)에 고정공(171)이 형성된다.
고정공(171)에는 길이가 짧은 원주형태의 지지구(181)가 삽입되고 지지구(181)를 스토퍼(180)가 삽입되어 밀게 된다.
스토퍼(180)와 지지구(181) 사이에는 스프링(182)이 설치되어 스프링(182)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공(171) 내에서 지지구(181)를 밀어 힌지축(160)의 외면을 긴밀하게 지지한다.
한편, 쇼크 업소버 스프링을 홀딩시 스프링지지대(150)는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지지위치를 힌지축(160)의 수직방향에 따라 스프링지지대(150)를 이동하여 설정하게 되는데, 처음에 스프링지지대(150)의 위치를 설정시 지지구조가 없다면 스프링지지대(150)의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지지위치를 설정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힌지축(160)의 외면에는 지지구(181)에 의한 밀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홈(161)이 격자형으로 파여 형성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80)는 스프링지지대(150)의 벌림 정도를 설정하여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170)의 고정공(171)에 나사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즉, 스토퍼(18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면 스토퍼(180)의 단부와 지지구(181)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182)이 압축되고, 압축된 스프링(182)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70)의 힌지축(160)과 스프링지지대(150)의 밀착 정도가 조절된다.
이때, 스토퍼(180)는 스프링지지대(150)의 벌림 정도를 구속하는 것으로, 스프링지지대(150)의 외부로 노출된 스토퍼(18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면 스프링지지대의 회동 각도 다시 말하면, 벌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쇼크 업소버를 장착함에 있어서, 직경이 작거나 원형인 소형 쇼크 업소버(1000)를 기기에 장착시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고정대(300)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편(300)의 내측지지편(310)을 서로 마주보도록 좌우측고정대(300)에 설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각형의 내측지지편(410) 사이에 쇼크 업소버(10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쇼크 업소버(1000)가 내측지지편(410) 사이에 위치된 후에는 이송나사축(700)의 양측에 형성된 나사부(710)의 고정대조임손잡이(800)를 돌려 내측지지편(410)이 설치된 좌우고정대(300)를 안측으로 이동시켜 내측지지편(410)에 의해 쇼크 업소버(1000)의 외주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고정한다.
이와 반대로, 직경이 크고 대형이거나 보강리브(2200)가 있는 대형 쇼크 업소버(2000)를 기기에 장착할 때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고정대(300)에 설치된 지지편(400)의 설치방향을 반대로 하여 외측지지편(420)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외측지지편(420) 사이에 쇼크 업소버(2000)를 위치시켜 고정한다. 이때에는 쇼크 업소버(2000)의 플랜지(2100)가 외측지지편 받침판(422)에 안착되고 전술한 고정대와 고정대조임손잡이(800)의 조임작동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지지대(150) 간에 위치되면서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후방 중앙부가 헤드(170)에 지지되도록 하는 중앙지지부(1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여기서,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후방 중앙부는 스프링지지대(150) 간에 위치되면서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중심부와 전후 방향으로 대략 동일선상의 후방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지지부(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70)의 양측에 각각 힌지축(160)에 의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지지대(150)와 함께 쇼크 업소버 스프링이 헤드(17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양측과 함께 중앙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앙지지부(10)는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양측만이 스프링지지대(150)에 의해 지지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상하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중앙지지부(10)는 전,후단부를 가지며 스프링지지대(150) 간에 위치되도록 헤드(17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12)와 헤드(170)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한 쌍의 지지바(12)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3)를 포함하는 이동부재(11) 및 연결바(13)에 연결되며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되는 걸이대(14)를 포함한다.
걸이대(1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5), 걸림고리(15)의 하부에 위치되며 연결바(13)의 하부에 접하는 걸림판(16) 및 걸림고리(15)와 걸림판(16)을 연결하는 연결판(17)을 포함한다.
걸림고리(15)는 연결판(17)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걸림판(16)은 연결판(17)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걸림고리(15)는 연결판(17)의 상부가 전방으로 벤딩되면서 반원 형태를 이루며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된다. 여기서, 걸림고리(15)는 전술한 스프링걸이대(151)와 같이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강선을 홀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걸림판(16)은 연결판(17)으로부터 걸림고리(15)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연결바(13)의 하부에 접한다.
즉, 연결판(17)을 중심으로 걸림고리(15)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걸림판(16)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이룬다.
중앙지지부(10)는 걸이대(14)를 이동부재(11)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수단(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전단부가 걸이대(14)에 접하도록 후단부가 연결판(17)과 연결바(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결속구(21)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속구(21)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면서 걸이대(14)를 이동부재(11)에 결속하는 결속부재(2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걸이대(14)는 이동부재(11)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걸림고리(15)가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되고 걸림판(16)이 연결바(13)에 접하면서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이 방지되면서 헤드(170)로부터 쇼크 업소버 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동부재(11)는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크기나 규격 등에 따라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이대(14)가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헤드(1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한 쌍의 지지바(1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공(17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가이드공(172)은 헤드(170)의 양측에 형성되며, 연결바(13)의 상,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공(17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이루는 일측이 헤드(170)의 측면을 이루면서 타측이 개방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걸이대(14)는 한 쌍의 지지바(12)가 가이드공(172)으로 결합되면서 헤드(17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바(12)는 걸이대(14)에 쇼크 업소버 스프링이 지지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대향되는 내측 방향으로 압착되는 한편,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쇼크 업소버 스프링을 압착하기 위한 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바(12)는 외력에 의한 가이드공(172)을 이루는 둘레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지지바(12)는 각각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12)의 내측은 한 쌍의 지지바(12)의 대향되는 면으로 그리고, 외측은 배향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지지바(12)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하부가 경사면을 이루면서 내,외측이 평행한 사다리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지지바(12)는 내측 상,하부 모서리부가 각각 모따기되면서 수평면(C)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공(17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부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되, 내측 상,하부의 각 코너부(D)가 모따기되지 않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중앙지지부(10)는 지지바(12)의 수평면(C)과 가이공(172)을 이루는 모서리(D)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면서 가이드공(172)으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외력에 의해 수평면(C)이 모서리(D) 방향으로 밀착되면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중앙지지부(10)는 걸이대(14)에 쇼크 업소버 스프링이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바(12)와 가이드공(172)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음으로써 흔들림 없이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중앙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구(18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를 이루면서 힌지축(160)에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토퍼(180)는 회전에 따라 스프링(182)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지지구(181)가 힌지축(160)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밀착해제되도록 하면서 스프링지지대(15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회동각도를 구속하기 때문에 지지구(181)와 힌지축(160) 간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면서 힌지축(160)의 손상 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공(171)은 스프링지지대(150)로부터 힌지축(16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73)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73)는 스토퍼(180)가 안정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프링지지대(150)의 회전에 따라 지지바(12)와 접하면서 스프링지지대(15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구(181)는 스토퍼(180)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182)의 탄성력에 의한 힌지축(160) 간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면서 힌지축(160)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중앙지지부 11 : 이동부재
12 : 지지바 13 : 연결바
14 : 걸이대 15 : 걸림고리
16 : 걸림판 17 : 연결판
20 : 결속수단 21 : 결속구
22 : 결속부재 100 : 지지대
110 : 고정편 150 : 스프링지지대
160 : 힌지축 161 : 미끄럼방지홈
170 : 헤드 171 : 고정공
180 : 스토퍼 181 : 지지구
182 : 스프링 190 : 래크
200 : 압축핸들 300 : 좌우고정대
400 : 지지편 500 : 힌지편
700 : 이송나사축 800 : 고정대조임핸들

Claims (8)

  1.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로 설치되며, 피니언에 잇맞물림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래크(190);
    상기 래크(19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압축핸들(200);
    상기 래크(190)의 상단에 형성된 헤드(170)의 양측에 각각 힌지축(160)에 의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쇼크 업소버 스프링을 걸 수 있는 스프링걸이대(151)가 구비되는 스프링지지대(150);
    상기 지지대(100)의 하부에 구조적으로 일체화되어 형성된 힌지편(500);
    상기 힌지편(500)이 양측에 좌우로 벌어지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지지편(400)이 고정되도록 보스부(320)가 구비되는 좌우고정대(300);
    상기 좌우고정대(300)를 힌지(530)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나사축(700);
    상기 이송나사축(7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좌우고정대(300)의 조임이나, 풀림작동을 수행하는 고정대조임핸들(800); 및
    상기 좌우고정대(300)의 단부에 형성된 보스부(3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은 직경이 큰 쇼크 업소버(2000)를 지지하는 외측지지편(420)과, 직경이 작은 쇼크 업소버(1000)를 지지하는 내측지지편(410)이 구비된 지지편(400)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의 스프링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지지대(150) 간에 위치되면서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후방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부(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부(10)는,
    전,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지지대(15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헤드(17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12)와, 상기 헤드(170)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12)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3)를 포함하는 이동부재(11); 및
    상기 연결바(13)에 연결되고,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되는 걸이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4)는,
    쇼크 업소버 스프링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5);
    상기 걸림고리(15)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바(13)의 하부에 접하는 걸림판(16); 및
    상기 걸림고리(15)와 상기 걸림판(16)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부(10)는,
    상기 걸이대(14)를 상기 이동부재(11)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수단(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수단(2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전단부가 상기 걸이대(14)에 접하도록 후단부가 상기 연결부재(17)와 상기 연결바(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결속구(21);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21)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걸이대(14)를 상기 이동부재(11)에 결속하는 결속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7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1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공(17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바(12)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공(172)은,
    각각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2)는,
    내측 상,하부 모서리부가 각각 수평면(C)을 이루면서 상기 가이드공(172)을 이루는 내측 상,하부의 각 코너부(D)와의 사이로 빈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70)에 상기 스프링지지대(15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160); 및
    상기 스프링지지대(15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회동각도를 구속하는 스토퍼(1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지지대(150)에는,
    상기 힌지축(160)의 외면이 외부와 통하도록 하며, 상기 스토퍼(180)가 나사결합되는 고정공(17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171)에는,
    지지구(181)와, 상기 지지구(181)와 상기 스토퍼(18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182)이 수용되되,
    상기 지지구(181)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180)는,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182)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지지구(181)가 상기 힌지축(160)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밀착해제되도록 하면서 상기 스프링지지대(15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회동각도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171)은,
    상기 스프링지지대(150)로부터 상기 힌지축(16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73)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KR1020170074687A 2017-06-14 2017-06-14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KR20180136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87A KR20180136603A (ko) 2017-06-14 2017-06-14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87A KR20180136603A (ko) 2017-06-14 2017-06-14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03A true KR20180136603A (ko) 2018-12-26

Family

ID=6500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687A KR20180136603A (ko) 2017-06-14 2017-06-14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66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9492A (zh) * 2019-05-30 2019-07-23 海盐新星机电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种规格的弹簧拆装器
CN110834288A (zh) * 2019-08-12 2020-02-2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花键与轴的装配辅助工装
CN111958552A (zh) * 2020-08-14 2020-11-20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邯郸供电分公司 一种断路器合闸弹簧更换专用工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9492A (zh) * 2019-05-30 2019-07-23 海盐新星机电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种规格的弹簧拆装器
CN110834288A (zh) * 2019-08-12 2020-02-2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花键与轴的装配辅助工装
CN110834288B (zh) * 2019-08-12 2021-04-2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花键与轴的装配辅助工装
CN111958552A (zh) * 2020-08-14 2020-11-20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邯郸供电分公司 一种断路器合闸弹簧更换专用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6672B (zh) 保持器
US6957808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workpiece
KR20180136603A (ko)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장치
US9179774B2 (en) Adjustable shelving system
US4477865A (en) Mounting device for lighting device for bicycle
AU2018202687A1 (en) Equipment mounting system
US20130185926A1 (en) Pipe clamp device and a method for its use
US20110260012A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US20050260893A1 (en) Connector assembly for clamping tool and system utilizing same
US10499728B2 (en) Furniture frame for securing a foldable furniture pillar
US8528870B2 (en) Retaining device for stand for sawing machine
US11383651B2 (en) Load carrier foot
KR100855391B1 (ko) 차량용 거치대
US20050129482A1 (en) Retention device
TWI681887B (zh) 夾球結構及包括該夾球結構之攜車架
US11092882B2 (en) Photographic and video equipment bracket with deployable attachment point
KR20210023054A (ko) 자동차 쇼크업소버 스프링의 압축방법
JP5199558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機構
JP2001054227A (ja) 捩れ防止ダンパー用電線クランプ
US20070284493A1 (en) Adjustable clamp assembly
CN219974232U (zh) 反弹器
EP3241710A1 (en) Load carrier foot
JP3015223U (ja) 家具転倒防止具
JP3171374U (ja) 塗料缶保持具
JP3096758U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支持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