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484A -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484A
KR20180136484A KR1020187032858A KR20187032858A KR20180136484A KR 20180136484 A KR20180136484 A KR 20180136484A KR 1020187032858 A KR1020187032858 A KR 1020187032858A KR 20187032858 A KR20187032858 A KR 20187032858A KR 20180136484 A KR20180136484 A KR 2018013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ging
access network
light connection
network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785B1 (ko
Inventor
씨아오안 케
홍 왕
리시앙 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7/00502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96161A1/en
Publication of KR2018013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사용자 장치(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대한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의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고, UE 액세스 네트워크의 지연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이동 통신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라이트 커넥션(light connection)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의 이동 통신은 점차적으로 고속 송신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은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시스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며, 여기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101)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단말 디바이스이고; E-UTRAN(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tio Access Network)(102)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UE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지국(eNodeB/NodeB)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고;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03)는 UE의 이동성 콘텍스트, 세션 콘텍스트 및 보안 정보를 관리할 책임이 있고; SGW(Serving Gateway)(104)는 주로 사용자 평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MME(103)와 SGW(104)는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있을 수 있고; PGW(Packet Data Gateway)(105)는 과금, 법적 차단 등을 담당하며, SGW(104)와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 있을 수 있고;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al Entity)(106)는 QoS(Quality of Service) 정책 및 과금 규칙을 제공하고;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108)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라우팅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이며; HSS(Home Subscriber Server)(109)는 UE의 홈 소유권 서브시스템(home ownership subsystem)이며, UE의 현재 위치, 서빙 노드의 어드레스, 사용자 보안 정보, UE의 패킷 데이터 콘텍스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보호할 책임이 있다.
도 16은 차세대 네트워크(5G)의 초기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여기서, 초기 시스템 아키텍처는 NextGen UE, Next Gen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Next Ge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 Gen (R)AN), NextGen Core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Next Gen (R)AN과 NextGen Core 사이의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는 NG2(또한 NG-C로서 제시됨)이고,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는 NG3(또한 NG-U로서 제시됨)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일시적으로 명명되며, 3GPP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다른 이름의 사용은 본 발명의 주요 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NextGen Core는 사용자 평면 기능 엔티티 및 제어 평면 기능 엔티티를 더 포함한다.
가까운 미래에, 점점 더 많은 지능형 전기 장치, 인터넷 기반 홈 액세서리가 있을 것이며, 이는 모두 네트워크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한편으로, UE의 미래 부분은 종종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정적 또는 저 이동성, 저비용, 송신 또는 수신된 데이터는 종종 소량의 데이터에 포함되고 비연속적이다. 이러한 UE에 대해,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함으로써 야기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의 양보다 훨씬 더 많다. 반면에, 가상 현실과 같은 점점 더 많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미래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지연은 크게 감소된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지하고(save), 데이터 송신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UE 액세스 네트워크의 지연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네트워크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UE 액세스 네트워크의 지연이 감소될 수 있는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사용자 장치(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대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UE로부터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다음의 것: UE의 아이덴티티(identity),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mobility area scope information), UE에 대한 액세스 및 로밍 정보, UE에 의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CSG 아이덴티티 리스트, 페이징 보조 정보, 및 UE에 대한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는 다음의 것: 위치 영역 아이덴티티, 셀 아이덴티티, 주파수 아이덴티티, 주파수 대역 아이덴티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아이덴티티, 서비스 영역 아이덴티티,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의 아이덴티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영역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하거나;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것: UE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위해 허용되는지, UE의 베어러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이 허용되는지, UE의 세션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위해 허용되는지, UE의 QoS 흐름(QoS flow)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위해 허용되는지, UE의 서비스 데이터 흐름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위해 허용되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페이징 보조 정보는 다음의 것: UE의 무선 능력, 권장된 페이징 영역, 페이징 시도 정보, UE의 DRX 정보, 페이징 우선 순위, 커버리지 향상 레벨 및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정보와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다음의 것: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하는 것;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에 대한 저장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
UE에 대한 이동성 제어;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 의해 개시되는 페이징을 제어하는 것;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는지를 결정하는 것;
버퍼링된 UE 데이터를 폐기할지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 의해 개시되는 페이징을 제어하는 것은 다음의 것: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UE에 대한 페이징을 설정하는 것;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UE에 대한 페이징 영역 범위를 결정하는 것; 및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UE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하도록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게 요청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UE에 대한 이동성 제어는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이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장치는 수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장치는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하며: 저장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송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은, 다음의 단계:
UE에 의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UE에 의해, UE에 대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UE는 사전 설정에 의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하거나, U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UE로부터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다음의 것: UE의 아이덴티티,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 UE에 대한 액세스 및 로밍 정보, UE에 의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CSG 아이덴티티 리스트, 페이징 보조 정보, 및 UE에 대한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UE에 의해, UE에 대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다음의 것:
UE에 의해, UE가 UE에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에서 이동하는 것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것; 및
UE에 의해, UE에 대해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라이트 커넥션의 UE 연결 해제 또는 UE 연결 일시 정지(suspension)를 수락하도록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UE)는 수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UE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송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장치(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은 다음의 단계:
제1 노드에 의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노드에 의해, UE에 대해 결정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제2 노드 또는 U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노드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또는 제1 코어 네트워크 노드이고/이거나;
제2 노드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또는 제2 코어 네트워크 노드이다.
바람직하게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다음의 것:
UE의 아이덴티티,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 UE에 대한 액세스 및 로밍 정보, UE에 의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CSG 아이덴티티 리스트, 페이징 보조 정보, 및 UE에 대한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노드에 의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다음의 것: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
UE가 액세스하는 노드가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의 요청이 수신되는지,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UE 서비스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서비스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 지,
UE 베어러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베어러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UE 세션이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세션이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UE QoS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QoS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노드에 의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송신하도록 결정한다:
UE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고,
UE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전달될 필요가 있고,
UE에 대한 페이징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하에서 개시될 필요가 있고,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요청이 수신되고,
UE가 액세스하는 노드는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고,
UE는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고,
UE는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고,
UE는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고,
UE 베어러는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고,
UE 베어러는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고,
UE 서비스는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며,
UE 서비스는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다.
네트워크 노드 장치는 수신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송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기술적 솔루션으로부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UE의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UE에 의해 제어되고, UE에 더 가깝고 UE를 보다 유연하게 제어하는 주요 노드라 할 수 있으며, 이는 UE의 페이징 및 이동성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고, UE 연결 해제 및 UE 연결 셋업의 프로세스에서 설정된 시그널링을 절약할 수 있고, UE 액세스 네트워크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저지될 수 있고, UE 액세스 네트워크의 지연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위한 제1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위한 제2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위한 제3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1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2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3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4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5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6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7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의 차세대 네트워크(5G)의 초기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페이징 영역 범위(paging area scope)의 시그널링을 감소시키고, 서비스 셋업의 시그널링을 감소시키기 위해, 라이트 커넥션(light connection)의 UE 연결 모드(connection mode)가 제안된다. 라이트 커넥션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UE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UE가 비활성 상태(inactive)가 될 때, 기지국과 MME(S1 인터페이스 제어 평면) 사이의 UE에 대한 연결, 기지국과 SGW(S1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사이의 UE에 대한 연결, 기지국과 AMF(NG-C 인터페이스 제어 평면) 사이의 UE에 대한 연결, 기지국과 UPF(NG-U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사이의 UE에 대한 연결과 같이 UE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도록 코어 네트워크에게 요청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UE가 유휴 상태(idle state)이거나 비활성 상태일 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UE 콘텍스트를 여전히 유지하고, (MME, SGW, AMF, SMF, UPF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는 UE가 여전히 정상 연결 상태(normal connected state)에 있다고 간주한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있을 때, (SGW, UPF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는 UE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때, UE가 이미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을 경우(UE와 기지국 사이의 연결이 분리, 일시 정지 또는 비활성 상태인 경우)와, 다운링크 데이터가 있는 경우, 기지국은 UE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다.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 기존의 페이징은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개시된다. 코어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되는 UE의 이동성 영역 범위일 수 있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C 또는 TAI에 의해 구성된 리스트와 같은) 위치 영역의 리스트를 UE에 페이징하도록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게 요청할 수 있다. UE가 위치 리스트의 위치 영역에서 이동할 때, UE는 UE가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위치되는 위치 영역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UE가 (TAU 요청(TAU Request)와 같은)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송신하기 위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UE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문제점 1: 라이트 커넥션의 페이징은 UE 연결을 해제하거나 UE와의 연결이 비활성 상태가 되고 UE 콘텍스트를 저장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라고 함)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개시된다. UE가 페이징될 필요가 있을 때, 제1 무선 액세스 노드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하에 셀을 페이징하거나 인접한 셀을 페이징하도록 인접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통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페이징 셀의 일부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UE에 설정되는 위치 영역의 리스트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지원되지 않는 셀 하에 UE의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은 페이징의 자원만을 낭비할 뿐일 것이다.
문제점 2: 라이트 커넥션된(lightly connected) UE의 이동성 영역 범위(mobility area scop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UE에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는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점 3: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개시되는 페이징은 코어 네트워크 측의 정보가 여전히 부족하다.
문제점 4: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개시된 페이징의 영역 범위는 페이징을 개시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제한될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페이징을 개시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페이지를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콘텍스트를 갖지 않는다.
문제점 5: 일부 UE 또는 UE 서비스는 장시간 동안 휴면 상태인 UE와 같이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지 않다. 현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의 타입을 알지 못한다.
문제점 6: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경우, UE에 대한 보조 라이트 커넥션 정보(assistant light connection information)가 제공될 필요가 있는지가 불명확하다.
문제점 7: 코어 네트워크 노드가 제어 평면 데이터를 송신할 때, 데이터 재송신 타이머가 개시된다. 데이터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되고, 코어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acknowledge)을 수신하지 못하면, 코어 네트워크는 제어 평면 데이터를 재송신할 것이다. 라이트 커넥션의 UE에 대해, 제어 평면 데이터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도착하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은 트리거링된다. UE가 응답하지 않고, 재송신 타이머가 만료되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재송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어떤 데이터가 재송신되는지를 구별할 수 없다. 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서 다수의 반복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데 유익하지 않다. 더욱이, UE에 대한 다수의 반복된 제어 평면 데이터의 송신은 또한 UE의 카오스(chaos) 및 자원의 무선 측의 낭비를 초래한다.
문제점 8: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제어 평면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어 평면 데이터는 끝없이 재송신되지 않는다. 특정 수의 재송신이 도착되면, 재송신 프로세스는 종료될 것이다. 재송신 프로세스의 종료 후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연속적으로 페이징하는 것은 가치가 없다.
다음의 것은 본 출원의 설명 중 일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본 명세서에서의 라이트 커넥션은 또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비활성 연결(inactive connection) 또는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 예를 들어, 5G의 비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의 동작)에 의해 개시되는 페이징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는 또한 UE에 대한 페이징 영역 범위로서 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UE에 대한 핸드오버 제어 리스트는 또한 UE 액세스 및 로밍 정보로서 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eNB, NodeB,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중앙 제어 유닛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의 분배 유닛일 수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개념은 기능 또는 유닛으로서 가상화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중앙 제어 유닛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의 다수의 분배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MME, SGSN, SGW, CCNF, AMF, SMF 등과, Core Network Control Node(예를 들어, MME,CCNF,AMF), Core Network User Plane Node(SMF, UDF), Core Network Control Plan Function, Core Network User Plane Function, Core Network Control Plane Unit 및 Core Network User Plane Unit 등일 수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개념은 기능 또는 유닛으로서 가상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영역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한 라이트 커넥션에서 UE에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셀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RAN 영역의 아이덴티티는 셀이 속하는 RAN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라이트 커넥션에서의 UE는 또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에서 이동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위한 제1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다음의 것: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U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다음의 것: 초기 UE 콘텍스트 셋업 요청(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다운링크 NAS 요청(downlink NAS request), 페이징(paging) 및 새로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무선 액세스 노드로부터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다음의 것: 페이징 요청(paging request),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핸드오버 응답(handover response), UE 콘텍스트 회수 요청(Retrieve UE context Request), UE 콘텍스트 회수 응답(Retrieve UE context Response), 및 새로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다음의 것: UE의 라이트 커넥션 정보, UE 베어러(bearer)의 라이트 커넥션 정보, UE 서비스의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서 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다음의 것: UE의 아이덴티티,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 UE에 대한 액세스 및 로밍 정보, UE에 의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CSG 아이덴티티 리스트, 페이징 보조 정보(paging assistant information), 및 UE에 대한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것: UE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는 UE가 비활성 상태에 들어가거나 비활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로서 제시될 수 있음), UE 베어러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예를 들어, 특정 UE 베어러가 DRB ID, E-RAB ID 등과 같이 베어러를 나타내기 위한 아이덴티티와 함께 통상적으로 수반되는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UE 세션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예를 들어, 특정 UE 세션 레벨이 PDU 세션 ID(PDU Session ID) 등과 같이 세션을 나타내기 위한 아이덴티티와 함께 통상적으로 수반되는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UE QoS 흐름(QoS flow)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예를 들어, 특정 UE QoS 흐름 레벨이 QCI, QoS, Flow ID 등과 같이 세션을 나타내기 위한 아이덴티티와 함께 통상적으로 수반되는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 레벨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예를 들어, 특정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서비스 플로우 ID(Service Flow ID), IP quintuple, TFT 등과 같이 서비스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아이덴티티와 함께 통상적으로 수반되는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는 또한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지 또는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는데 적합한지로서 제시될 수 있다.
1) 선택적으로, UE의 아이덴티티는 다음의 것: S-TMSI, IMSI, Resume ID, UE Identity Index Value, short Mac_I 및 C-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의 아이덴티티는 UE의 페이징 아이덴티티 또는 UE 콘텍스트를 획득하기 위한 아이덴티티로서 사용될 수 있다. UE 아이덴티티 인덱스 값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UE의 페이징 사이클(paging cycle)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E의 아이덴티티는 (S-TMSI, IMSI 등과 같은) 코어 네트워크 측에서의 UE의 아이덴티티 및/또는 (Resume ID, short MAC_I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의 UE의 아이덴티티일 수 있다.
2) 페이징 보조 정보는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UE의 무선 능력(예를 들어, 지원된 주파수 포인트(예를 들어, EARFCN, 대역)). 예를 들어, UE의 무선 능력을 지원하는 셀은 UE의 페이징 영역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UE의 무선 능력을 지원하지 않는 셀은 UE의 페이징 영역 범위 내에 있지 않을 수 있다.
- 권장된 페이징 영역. 선택적으로, 권장된 페이징 정보는 다음의 것: 권장된 페이징 셀의 리스트, 권장된 페이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페이징 시도 정보(Paging Attempt Information). 선택적으로, 페이징 시도 정보는 다음의 것: 페이징 시도 카운트(Paging Attempt Count), 의도한 페이징 시도 수(Intended Number of Paging Attempts), 다음 페이징 영역 범위(Next Paging Area Scope)가 변경되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UE의 Discontinuous Reception(DRX) 정보. 선택적으로, UE의 DRX 정보는 다음의 것: UE 특정 DRX(UE-specific DRX), UE의 향상된 DRX(enhanced DRX), 및 향상된 DRX 하의 UE의 페이징 시간 윈도우(paging time windo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에 대한 DRX 정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UE의 페이징 프레임 또는 페이징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페이징 우선 순위(Paging priority).
- MPDCCH(Machine Type Communication PDCCH)-반복과 같은 페이징 반복 시간에 대응할 수 있는 커버리지 향상 레벨(Coverage Enhancement Level). 최신 커버리지 향상 레벨 등.
- 코어 네트워크 도메인 정보(CN 도메인).
-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 정보.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 정보는 다음의 것: 제어 평면 데이터의 시퀀스 수, 제어 평면 데이터의 타입, 제어 평면 데이터가 재송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인지의 인디케이션, 제어 평면 데이터의 현재의 재송신 수, 제어 평면 데이터에 대한 재송신 타이머의 지속 시간(예를 들어, NAS PDU의 재송신 타이머), 최대 재송신 수,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시간(또한,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지속 시간으로서 제시될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평면 데이터의 타입은 베어러 설정, 수정 및 삭제의 관련된 NAS 시그널링; PDU 세션 설정, 수정 및 삭제의 관련된 NAS 시그널링과 같이 UE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비-액세스 계층 시그널링 타입(non-access stratum signaling type)(예를 들어, NAS 시그널링)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된 정보는 각각의 수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 패킷과 함께 수신되거나 제어 평면 데이터와 별개로 수신될 수 있다. 제어 평면 데이터 패킷과 함께 수신 모드는, 개별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에 의한 수신, 제어 평면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됨에 의한 수신,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NAS 전송 메시지(예를 들어, UL NAS 전송, DL NAS 전송)에 의한 수신일 수 있다.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시간은 제어 평면 데이터 및 최대 재송신 수에 대한 재송신 타이머의 지속 시간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어 평면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다음의 것: 데이터에 대한 재송신 타이머의 지속 시간, 최대 재송신 수 및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추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타입의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된 정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전 설정되며,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된 정보는 다음의 것: 데이터에 대한 재송신 타이머의 지속 시간, 최대 재송신 수 및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어 평면 데이터 및/또는 수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의 시퀀스 수에 의해, 현재 수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가 재송신된 데이터인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시퀀스 수에 대응하는 제어 평면 데이터가 재송신되는지를 추론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어 평면 데이터의 시퀀스 수 및/또는 제어 평면 데이터가 재송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인지의 인디케이션에 의해, 시퀀스 수에 대응하는 수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시간이 재송신 타이머의 다른 지속 시간으로 확장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어 평면 데이터에 의해 트리거링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을 계속할 수 있고/있거나 제어 평면 데이터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현재 재송신 수에 따라 다음의 것: 제어 평면 데이터가 재송신된 데이터인지, 그것이 마지막 재송신인지,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추론할 수 있다.
3)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는 다음의 것: 위치 영역 아이덴티티, 셀 아이덴티티, 주파수 아이덴티티, 주파수 대역 아이덴티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아이덴티티, 서비스 영역 아이덴티티,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아이덴티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AI, TAC, RAN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RAI와 같은 UE의 위치 아이덴티티.
PCI 및 ECGI와 같은 셀 아이덴티티.
EARFCN과 같은 주파수 아이덴티티.
eNB ID, eNB UE X2AP ID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아이덴티티.
일부 실시예에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는 위치 영역 TA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다. 다른 실시예에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는 라이트 커넥션에서의 UE의 이동성을 위한 셀, 또는 라이트 커넥션에서의 UE의 UE 이동성의 이동성을 위한 RAN 영역과 같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설정되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이다. 설정된 RAN 영역 또는 셀은 UE에 대해 설정된 TA 영역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UE가 설정된 TA 영역을 이동하여 UE가 연결될 때 UE는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를 트리거링할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이러한 기회를 취해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를 UE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 네트워크 노드에 알리지 않을 수 있고, UE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날 때 네트워크에 알릴 필요가 있고, 위치 업데이트 요청 절차를 개시한다. UE가 유휴 상태, 라이트 커넥션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UE 연결을 먼저 셋업할 필요가 있고, 그런 다음 위치 업데이트 요청 절차를 개시한다. UE가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날 때, 위치 업데이트를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알릴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날 때, 위치 업데이트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알릴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는 UE에 대한 페이징 영역 범위 정보로서 설정될 수 있고,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내의 UE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한다.
4)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액세스 및 로밍 정보는 또한 다음의 것: UE가 로밍 UE인지의 여부, UE 액세스를 허용하는 범위, UE 로밍을 허용하는 범위, UE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범위, UE 로밍을 허용하는 범위 및 핸드오버 제한 리스트 중 하나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액세스 및 로밍 정보는 다음의 것: 액세스를 허용하는 PLMN의 아이덴티티(예를 들어, 등록 및 등가 PLMN), 액세스를 허용하는 위치 영역의 아이덴티티, 액세스를 허용하는 셀의 아이덴티티, 액세스를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의 아이덴티티,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PLMN 아이덴티티(예를 들어, 등록 및 등가 PLMN)의 아이덴티티,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위치 영역의 아이덴티티,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셀의 아이덴티티,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E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의 UE에 대해서는 페이징이 개시될 수 있고, UE가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하는 범위 내의 UE에 대해서는 페이징이 개시될 수 없다.
5)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타입 정보는 다음의 것: UE의 타입, UE 베어러의 타입 및 UE의 서비스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커넥션은 UE의 일부 타입 상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 중 일부는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지 않다.
단계(202)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필요에 따라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라이트 커넥션 제어는 다음의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에 대한 저장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것.
UE에 대한 이동성 제어.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 의해 개시되는 페이징 제어.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
버퍼링된 UE 데이터를 폐기할지를 판단하는 것.
1)선택적으로,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 의해 개시되는 페이징 제어는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UE에 대한 페이징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페이징 자원은 페이징 사이클, 페이징 시간, 페이징 프레임 및 페이징 서브프레임과 같을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페이징 영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결정되는 페이징 영역 범위는 다음의 것: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하의 셀)의 페이징 영역 범위,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하의 셀)의 페이징 영역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UE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하도록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UE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할 필요가 있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단계(201)에서 페이징 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페이징 자원을 설정하거나 페이징 영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의 수신된 무선 능력에 따라 페이징 제어를 수행한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지원하는 셀 및/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고;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지원하지 않는 셀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의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수신된 CSG 아이덴티티 리스트에 따라 페이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이동성 영역 범위에 따라 페이징 제어를 수행한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이동성 영역 범위를 지원하는 셀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이동성 영역 범위를 지원하지 않는 셀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 정보(예를 들어,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 정보)에 따라 UE(예를 들어, 라이트 커넥션 또는 비활성 상태의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 제어를 결정하며, 예를 들어, 페이징 반복 횟수 또는 페이징의 지속 시간을 결정한다. UE로부터의 페이징 응답이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시간 내에서 수신되지 않으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페이징 시도를 반복할 수 있다. 제어 평면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 시간이 만료되는 동안, UE로부터의 임의의 응답이 여전히 수신되지 않으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다음의 것: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을 중지하는 것, 제어 평면 데이터에 대한 송신 실패를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알리는 것, 관련된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 UE가 도착할 수 없다는 것을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알리는 것,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의 실패를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회신하는 것,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UE 연관된 연결을 해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2)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이동성 제어는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핸드오버 제한 리스트에 따라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를 설정한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는 핸드오버 제한 리스트에서 허용되지 않는 범위가 되지 않아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이동성 영역 범위에 따라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를 설정한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는 UE에 대한 수신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이동성 영역 범위를 초과할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에 대해 설정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는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설정을 지원하지 않는 위치 영역(예를 들어, TA)의 셀, RAN 영역 또는 기지국을 UE의 이동성 영역 범위로서 설정할 수 없다.
3) 선택적으로,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다음의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수신된 인디케이션(indication)에 따라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없을 때, 라이트 커넥션은 수행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향상된 DRX를 갖는 UE와 같이,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위치 업데이트를 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콘텍스트를 해제하고, UE와 무선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UE 연결을 해제할 때 무선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UE 연관된 연결을 해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의 수신된 타입이 UE로 하여금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지에 따라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제, 이러한 방법의 방법 흐름은 종료한다.
4) 선택적으로,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다음의 것: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지, UE 베어러를 유지, 해제 및 일시 중지할 수 있는지, UE 세션을 유지, 해제 및 일시 중지할 수 있는지, UE QoS 흐름을 유지, 해제 및 일시 중지할 수 있는지,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유지, 해제 및 일시 중지할 수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대한 정보에 따라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a)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UE를 설정할 수 있는지의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UE를 설정할 수 없다.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UE를 설정할 수 있다.
b) UE 베어러를 유지, 해제 및 일시 중지할 수 있는지의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 베어러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베어러가 비활성 상태가 될 때(예를 들어, UE 베어러가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 송신을 갖지 않을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 베어러와 연관된 터널을 해제할 수 없거나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UE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다면, UE 베어러의 데이터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여전히 직접 도착할 수 있다.
UE 베어러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베어러가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베어러를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 베어러에 대한 터널을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할 수 있다. 따라서, UE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으면, UE 베어러 상의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에 도착한 후, 코어 네트워크는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레벨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거나 UE 베어러(예를 들어, RAN과 CN 사이의 UE 베어러에 대한 터널)를 설정하도록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 UE 베어러 셋업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페이징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에 응답한 후에, UE는 연결된 상태로 들어가고, UE 베어러 상에서 데이터를 계속 송수신할 수 있다.
c) UE 세션을 유지, 해제 및 일시 중지할 수 있는지의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 세션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세션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예를 들어, UE 세션이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 송신을 갖지 않을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 세션과 연관된 터널을 해제할 수 없거나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UE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다면, UE 세션 레벨의 데이터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여전히 직접 도착할 수 있다.
UE 세션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세션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예를 들어, UE 세션이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 송신을 갖지 않을 때), UE 세션을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하기 위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요청은, 예를 들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 세션에 대한 터널을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한다. 따라서, UE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다면, UE 세션의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서 버퍼링될 수 있다.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에 도착하면, 코어 네트워크는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레벨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거나 코어 네트워크는 UE와의 세션(예를 들어, RAN과 CN 간의 UE 세션에 대한 터널)을 설정하도록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 UE 세션 셋업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페이징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에 응답한 후에, UE는 연결된 상태로 들어가고, UE 세션 상의 데이터를 계속 송수신할 수 있다.
모든 UE 세션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면, 조건이 만족되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UE를 설정하는 대신에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를 해제할 수 있다.
d) UE QoS 흐름을 유지, 해제 및 일시 중지할 수 있는지의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 QoS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QoS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UE에 대한 QoS 흐름 데이터 송신이 없을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 QoS 흐름과 연관된 터널을 해제할 수 없거나 유지할 수 있다. UE QoS 흐름이 UE 세션과 연관된 터널에서 송신되므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 QoS 흐름과 연관된 유지된 터널은 QoS 흐름이 위치되는 UE 세션과 연관된 터널일 수 있다 위치. 따라서, UE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다면, UE QoS 흐름의 데이터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여전히 직접 도착할 수 있다.
UE QoS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QoS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베어러를 QoS 흐름과 연관 해제하도록 UE에 요청할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QoS 흐름을 해제하도록 코어 네트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UE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다면, UE QoS 흐름의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에 도착하면, 코어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레벨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거나 코어 네트워크는 QoS 흐름에 대한 자원을 설정하도록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요청할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QoS 흐름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거나 이에 상응하여 무선 베어러를 UE QoS 흐름과 연관시킬 수 있다.
UE 세션에서 QoS 흐름 중 어느 것도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세션 내의 모든 UE QoS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세션을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UE 베어러에서 QoS 흐름 중 어느 것도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세션 내의 모든 UE QoS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베어러를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UE 세션에서 QoS 흐름 중 적어도 하나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세션에서 모든 UE QoS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 세션에 대한 터널을 해제하거나 유지하도록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UE 베어러에서 QoS 흐름 중 적어도 하나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베어러에서 모든 UE QoS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베어러를 해제하거나 유지하도록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e)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유지, 해제 및 일시 중지할 수 있는지의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UE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 흐름 데이터 송신이 없을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에 대한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과 연관된 터널을 해제할 수 없거나 유지할 수 있다.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UE 세션의 터널에서 송신되므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에 대한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과 연관된 유지된 터널은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위치되는 UE 세션과 연관된 터널일 수 있다 위치. 따라서, UE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다면,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의 데이터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여전히 직접 도착할 수 있다.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서비스 데이터 흐름과 연관된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해제하도록 코어 네트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UE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다면,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의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에 도착하면, 코어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레벨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거나 코어 네트워크는 서비스 데이터 흐름에 대한 자원을 설정하도록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요청할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이에 상응하여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UE 세션에서 서비스 데이터 흐름 중 어느 것도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세션 내의 모든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세션을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UE QoS 흐름에서 서비스 데이터 흐름 중 어느 것도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QoS 흐름 내의 모든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QoS 흐름을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UE 베어러에서 서비스 데이터 흐름 중 어느 것도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베어러에서 모든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베어러를 해제하거나 일시 중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UE 세션에서 서비스 데이터 흐름 중 적어도 하나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세션에서 모든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UE 세션에 대한 터널을 해제하거나 유지하도록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UE QoS 흐름에서 서비스 데이터 흐름 중 적어도 하나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QoS 흐름에서 모든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QoS 흐름을 해제하거나 유지하도록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UE 베어러에서 서비스 데이터 흐름 중 적어도 하나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UE가 라이트 커넥션이 되거나 UE 베어러에서 모든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비활성 상태가 될 때,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 베어러를 해제하거나 유지하도록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5) 선택적으로, 버퍼링된 UE 데이터를 폐기할지를 판단하는 것은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반복된 제어 평면 데이터를 폐기할지 또는 버퍼링된 UE 데이터를 폐기할지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 정보(예를 들어,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 데이터 관련 정보)에 따라 반복된 제어 평면 데이터를 폐기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재송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확인할 때와, 재송신된 이전의 제어 평면 데이터가 아직 송신되지 않았거나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았으면,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다음의 것: 재송신된 이전의 제어 평면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 재송신된 이전의 제어 평면 데이터와 관련된 페이징을 중지하는 것, 재송신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위한 제2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UE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UE는 사전 설정에 의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거나, UE는 다음의 것: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단계(302)에서, UE는 UE에 대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UE가 UE에 대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남을 UE는 네트워크에 알린다. UE가 UE에 대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날 때, UE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 셋업, 연결 재개 또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개시하는 것을 네트워크에 알릴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날 때, UE는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나고, UE는 연결 셋업 또는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한다. 수신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UE 콘텍스트를 저장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아닌 경우, UE 콘텍스트는 UE 콘텍스트를 저장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UE에 대해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는 라이트 커넥션의 UE 연결 해제 또는 UE 연결 일시 중지를 수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UE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이동하면, UE는 UE에 대해 획득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UE가 액세스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또는 UE가 액세스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한다.
이제, 이러한 방법의 방법 흐름은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위한 제3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1), 제1 노드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노드는 다음의 것: 무선 네트워크 노드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노드는 제2 무선 네트워크 노드 또는 제1 코어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노드는 UE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
UE가 액세스하는 노드가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 노드는 다음의 것: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요청이 수신되는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요청은 UE 또는 UE가 액세스하는 노드로부터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요청은 UE에 대한 새로운 무선 상태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UE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예를 들어, UE의 가입 데이터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예를 들어, 장시간 동안 절전 모드에 있는 UE, 장시간 동안 네트워크의 위치를 업데이트하지 않는 UE, 빠르게 이동하는 UE;
UE 서비스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서비스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UE 베어러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베어러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UE 세션이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세션이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UE QoS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QoS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하는지;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한지.
선택적으로, UE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예를 들어, 새로운 RRC 상태, 예를 들어 비활성 RRC 상태와 같은) 연결이 분리되고, 일시 중지되거나 비활성이 된 후에, 새로운 무선 상태는 UE가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RRC 상태와 같은) 무선 상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트 커넥션이 지원되는지는 다음의 것: 사용자 평면 CIOT EPS 최적화를 지원할지, RRC 연결 일시 중지를 지원할지, RRC 연결 재개를 지원할지, 및 새로운 무선 상태(상술한 바와 같은 새로운 무선 상태)를 지원할지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라이트 커넥션이 허용되는지는 다음의 것: 사용자 평면 CIOT EPS 최적화를 허용할지, RRC 연결 일시 중지를 허용할지, RRC 연결 재개를 허용할지, 및 새로운 무선 상태(상술한 바와 같은 새로운 무선 상태)를 허용할지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제1 노드는 UE에 대한 결정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노드는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제2 노드 또는 UE로 송신한다. 제2 노드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또는 제2 코어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노드는 다음의 시나리오 중 적어도 하나에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송신한다:
UE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를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핸드오버하도록 결정한다.
UE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UE 콘텍스트가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여전히 저장되어 있는 동안, UE는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한다.
UE에 대한 페이징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하에서 개시될 필요가 있다.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요청이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요청은 제1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UE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요청은 UE에 대한 새로운 무선 상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UE가 액세스하는 노드가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한다.
UE는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한다.
UE는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한다.
UE는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다.
UE 베어러는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한다.
UE 베어러는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다.
UE 서비스는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한다.
UE 서비스는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다.
UE 세션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한다.
UE 세션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다.
UE 서비스 QoS 흐름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한다.
UE 서비스 QoS 흐름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다.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은 라이트 커넥션을 허용한다.
UE 서비스 데이터 흐름은 라이트 커넥션에 적합하다.
이제, 이러한 방법의 방법 흐름은 종료한다.
아래에 나타나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의 특정 내용은 모두 단계(201)에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지칭하며, 이는 나중에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1의 개략도이다. UE에 대한 연결이 설정될 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필요에 따라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501), RRC 연결은 UE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정된다. 연결은 RRC 연결 셋업(RRC connection setup), RRC 연결 재개(RRC connection resume) 또는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의 절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50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초기 UE 메시지(initial UE message)를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메시지는 (단계(4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요청을 포함한다.
단계(503),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초기 콘텍스트 셋업 요청 메시지(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message), UE 연결 셋업 인디케이션 메시지(UE connection setup indication message) 또는 다운링크 NAS 메시지(downlink NAS message)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메시지는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송신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UE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한다. 특정 동작은 단계(202)에서 설명되고, 이러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단계(504)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RRC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request message)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RRC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라이트 커넥션의 연결 해제 또는 연결 일시 중지를 수락하도록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동작은 단계(302)에서 설명되며,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UE는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completion message)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반환할 수 있다.
단계(505),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초기 UE 콘텍스트 셋업 응답을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반환할 수 있다.
이제, 이 실시예의 방법 흐름은 종료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2의 개략도이다. UE가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하고, UE가 정상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 업데이트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필요에 따라 UE에 대한 업데이트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601)에서, UE는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핸드오버 후의 타겟 셀의 위치 영역은 UE의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난다(단계(201)에서 설명됨).
단계(602)에서, UE는 업링크 UE 정보 메시지(uplink UE information message)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메시지는 NAS 메시지 TAU 업데이트 요청(NAS message TAU update request)을 반송한다.
단계(603),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NAS 메시지 TAU 업데이트 요청을 업링크 NAS 운반 메시지(Uplink NAS Transport message)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포워딩한다.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수신한 후,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두 가지 방식으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업데이트한다. 두 가지 방식은 각각 단계(604), 단계(605) 및 단계(606)이다.
단계(604),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NAS 운반 메시지(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NAS 운반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 및 위치 영역 TA의 리스트와 같이,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에 대한 저장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605),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UE 정보 메시지(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를 UE에 송신한다.
단계(606)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UE 콘텍스트 수정 요청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message)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 및 위치 영역 TA의 리스트와 같이,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에 대한 저장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제, 이 실시예의 방법 흐름은 종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는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된 위치 영역의 리스트(예를 들어, TA(Tracking area) 아이덴티티의 리스트)이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해 설정된 위치 영역의 리스트를 지원하지 않는 셀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고, UE에 대해 설정된 위치 영역의 리스트를 지원하는 셀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노드가 UE를 페이징하는 것을 다른 UE에 통지하면, UE에 대해 설정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 영역의 리스트는 다른 무선 액세스 노드에 송신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3의 개략도이다. UE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간의 핸드오버(예를 들어, X2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라이트 링크 정보를 수신한다.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701)에서,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를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 무선 액세스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송신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단계(702),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핸드오버 응답(handover response)을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반환한다.
단계(703),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RRC 재설정 요청(RRC reconfiguration request)을 UE에 송신한다.
단계(704), UE는 RRC 설정 완료(RRC configuration completion)를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반환한다.
단계(705),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경로 전환 요청(path switch request)을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706),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경로 전환 확인 응답 메시지(path switch acknowledge message)를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된 경로 전환 확인 응답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가 이미 존재하면,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핸드오버가 완료된 후,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를 서빙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저장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를 제어할 수 있다. 특정 동작은 단계(202)에서 설명되었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이 실시예의 방법 흐름은 종료된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4의 개략도이다. UE가 (S1 핸드오버와 같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타겟 무선 액세스 노드에 알리는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이는 각각 단계(801) 및 단계(802)이다.
단계(801),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요구되는 핸드오버(HANDOVER required)를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 포워딩한다. 선택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타겟 무선 액세스 노드가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와 함께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결정하거나 CIOT 베어러를 핸드오버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단계(802),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핸드오버 요청을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에 대한 포함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신되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일 수 있거나,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직접 생성되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일 수 있다.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는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803),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핸드오버 응답을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804),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핸드오버 응답을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805),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RRC 재설정 명령을 UE에 송신한다.
단계(806), UE는 재설정 완료를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807),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핸드오버 통지를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핸드오버가 완료된 후,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를 서빙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 상에서 액세스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동작은 단계(2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이 실시예의 방법 흐름은 종료된다.
실시예 5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5의 개략도이다. UE가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후, UE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간다. UE는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동안 연결 셋업을 개시하도록 결정한다. UE가 연결 셋업을 개시하는 이유는 UE가 사전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나고, 데이터 송신 요구 사항 또는 응답 페이징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901),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로부터 분리된다. RRC 연결이 해제되거나 RRC 연결이 일시 중지될 때,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된 UE에 대한 이동성 영역 범위 정보는 단계(201)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단계(902), RRC 연결은 UE와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셋업된다. RRC 연결은 RRC 연결 셋업, RRC 연결 재개 또는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의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한다.
단계(903),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UE 콘텍스트 회수 요청을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메시지는 다운링크 데이터 포워딩 어드레스와 같은 데이터 포워딩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단계(904),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를 인증하고, UE 콘텍스트 회수 응답을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UE 콘텍스트 회수 응답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905), RRC 연결은 UE와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셋업된다. RRC 연결은 RRC 연결 셋업, RRC 연결 재개 또는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906)에서,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필요에 따라 UE의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RRC 연결 재설정 요청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907),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경로 전환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한다.
단계(908)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경로 전환 확인 응답을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이제, 이 실시예의 방법 흐름은 종료된다.
실시예 6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6의 개략도이다. UE가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후, 이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간다.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UE를 페이징할 필요가 있을 때,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페이징 제어를 위해 UE에 대한 페이징을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01),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페이징을 UE 또는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1002),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수신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따라 UE에 대한 페이징 제어를 수행하며, 이러한 페이징 제어는 단계(2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UE가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서 페이징을 수신하면, UE는 페이징 응답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 셋업을 개시한다. 단계(1003 내지 1008)는 단계(902 내지 907)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이 실시예의 방법 흐름은 종료된다.
실시예 7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 7의 개략도이다.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후, UE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간다. UE는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된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난 후에 위치 업데이트 절차를 개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101)는 단계(9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단계(1102)에서, UE는 이동성 영역 범위를 벗어나고, RRC 연결 셋업 또는 RRC 연결 재개를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UE 위치 업데이트는 메시지에 나타내어진다.
단계(1103),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location update request)을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1104), 소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 응답(location update response)을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위치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1105), 타겟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위치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UE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위치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수신 모듈, 제어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송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또는 다음을 포함한다: 저장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는 수신 모듈, 제어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송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제어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어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송신 모듈은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기술적 방식으로부터, UE에 대한 라이트 커넥션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더 가까운 UE에 의해 제어되는 주요 노드라고 불리는 것을 알 수 있고, UE를 제어하기 위해 더 유연할 수 있으며, UE 페이징 및 이동성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다. UE 연결 해제 및 UE 연결 셋업의 시그널링을 저장하고, UE에 대한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정신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또는 개선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으로 들어감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단말기의 재개 식별(ID) 및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콘텍스트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라이트 커넥션으로 들어가는 단계;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재개 ID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개 ID에 기초하여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영역 정보 및 페이징 사이클링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영역 정보는 트래킹 영역 또는 셀 아이덴티티의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사이클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페이징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성 영역을 벗어날 경우, 이동성 영역의 변경을 알리는 위치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재개 ID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라이트 커넥션으로 들어가는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으로 들어감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단말기의 재개 식별(ID), 및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송신된 라이트 커넥션 보조 메시지에 기초하는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영역 정보 및 페이징 사이클링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커넥션 보조 메시지는 초기 콘텍스트 셋업, UE 콘텍스트 수정, 다운링크 NAS 요청 또는 핸드오버 요청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라이트 커넥션 보조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 상기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지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영역 정보 또는 페이징 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의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영역 정보는 트래킹 영역 또는 셀 아이덴티티의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사이클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DRX)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페이징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가 이동성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의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으로 들어감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단말기의 재개 식별(ID) 및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콘텍스트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라이트 커넥션으로 들어가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상기 재개 ID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재개 ID에 기초하여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영역 정보 및 페이징 사이클링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영역 정보는 트래킹 영역 또는 셀 아이덴티티의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사이클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DRX)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페이징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성 영역을 벗어날 경우, 이동성 영역의 변경을 알리는 위치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연결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재개 ID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라이트 커넥션으로 들어가는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으로 들어감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단말기의 재개 식별(ID), 및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송신된 라이트 커넥션 보조 메시지에 기초하는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정보는 페이징 영역 정보 및 페이징 사이클링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커넥션 보조 메시지는 초기 콘텍스트 셋업, UE 콘텍스트 수정, 다운링크 NAS 요청 또는 핸드오버 요청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라이트 커넥션 보조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 상기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지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영역 정보 또는 페이징 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영역 정보는 트래킹 영역 또는 셀 아이덴티티의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사이클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DRX)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이 상기 라이트 커넥션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페이징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가 이동성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
KR1020187032858A 2016-05-13 2017-05-15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74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320273 2016-05-13
CN201610320273.3 2016-05-13
CN201710302323.XA CN107371215B (zh) 2016-05-13 2017-05-02 一种轻连接控制的方法及设备
CN201710302323.X 2017-05-02
PCT/KR2017/005026 WO2017196161A1 (en) 2016-05-13 2017-05-15 Light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484A true KR20180136484A (ko) 2018-12-24
KR102174785B1 KR102174785B1 (ko) 2020-11-05

Family

ID=6030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858A KR102174785B1 (ko) 2016-05-13 2017-05-15 라이트 커넥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0750473B2 (ko)
EP (1) EP3443805B1 (ko)
JP (1) JP6972023B2 (ko)
KR (1) KR102174785B1 (ko)
CN (2) CN1135568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6811B (zh) 2016-05-13 2024-04-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轻连接控制的方法及设备
EP3474590B1 (en) * 2016-06-21 2023-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rrc state of terminal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CN108307490B9 (zh) * 2016-08-11 2022-09-1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对用户设备进行轻连接控制的方法及相应设备
CN108024294B (zh) 2016-11-02 2020-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切换方法及装置
US20190349813A1 (en) * 2016-12-29 2019-11-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flow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US11115855B2 (en) * 2017-01-13 2021-09-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L packe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QoS)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WO2018143415A1 (ja) * 2017-02-03 2018-08-0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基地局、及び方法
AU2017405271B2 (en) 2017-03-20 2021-04-01 Lg Electronics Inc.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MF node
WO2018202351A1 (en) * 2017-05-05 2018-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policy differentiation in 5g system
EP3618499B1 (en) * 2017-06-06 2023-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cell for determining handover of pdu session
WO2019113969A1 (zh) 2017-12-15 2019-06-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寻呼用户设备的方法、第一网络设备及用户设备
CN109982382B (zh) 2017-12-28 2020-12-0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服务质量流的处理方法及通信设备
CN109982383B (zh) * 2017-12-28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装置及设备
CN109996350A (zh) * 2018-01-03 2019-07-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5g系统中会话模式优化方法及装置
KR20240042255A (ko) * 2018-01-12 2024-04-0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5g nas에서의 프로토콜 향상을 위한 방법
CN110267343B (zh) * 2018-03-12 2020-11-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寻呼管理方法、网络数据分析功能及网络侧设备
KR20200019015A (ko) 2018-08-13 2020-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U session 연결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0830928B (zh) 2018-08-13 2021-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10536383B (zh) * 2019-01-18 2024-03-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节能方法、基站及终端
CN111770486B (zh) * 2019-03-30 2022-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漫游的方法及装置
CN111787611B (zh) * 2020-06-23 2023-05-23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更新寻呼周期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5529663A (zh) * 2021-06-24 2022-12-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864050B2 (en) * 2021-08-04 2024-01-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selection and paging based on travel information
CN115942408A (zh) * 2021-08-04 2023-04-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7062187A (zh) * 2022-05-05 2023-1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4462B2 (en) 2000-12-11 2005-09-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node handover in radio access network
US7342901B1 (en) 2001-05-01 2008-03-11 Nortel Networks Limited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90421B2 (en) * 2004-06-07 2009-09-15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idle mode of mobile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20070232330A1 (en) * 2006-03-30 2007-10-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of modifying a paging slot cycle index value
CN101242643B (zh) * 2007-02-09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双传输模式切换方法和通用接入网控制器
US7773991B2 (en) * 2007-04-02 2010-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cing access latency while protecting against control signaling data processing overload
US20100142485A1 (en) * 2007-08-13 2010-06-10 Eun Jong Lee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117570A (ko) * 2008-05-08 2009-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징 방법
US8290517B2 (en) * 2008-07-07 2012-10-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aging mechanis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577955B (zh) * 2008-07-11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空闲模式下节约信令功能的激活判断方法及系统
CN101784113B (zh) * 2009-01-19 2014-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寻呼系统、寻呼方法和设备
US20110122809A1 (en) * 2009-11-20 201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of 3gpp lte and 3gpp2 legac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890319B2 (ja) * 2010-01-08 2016-03-2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基地局およびリモートアクセスポイントでの電力消費の管理
KR101674221B1 (ko) * 2010-01-28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JP4800427B2 (ja) * 2010-02-09 2011-10-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局
KR101646521B1 (ko) * 2010-03-12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페이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202067B (zh) * 2010-11-05 2016-08-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切换的方法
US8442475B2 (en) 2010-11-15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access terminals using integrated proxy function
US8964611B2 (en) 2010-11-15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Data resume indicator for mobile device power conservation
US8682329B2 (en) * 2011-02-16 2014-03-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the same
US9030995B2 (en) * 2011-04-12 2015-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g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44926B2 (en) * 2011-11-22 2017-01-10 Sca Ipla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paging off-line state terminals
KR101306746B1 (ko) * 2011-12-08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접속시스템에서 mac 제어 메시지를 방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155121B2 (en) * 2012-03-27 2015-10-06 Blackberry Limited Re-establishment of suspended RRC connection at a different eNB
EP2645804B1 (en) * 2012-03-27 2017-12-20 BlackBerry Limited Re-establishment of suspended RRC connection at a different ENB
EP2888906B1 (en) * 2012-08-23 2021-03-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erating with multiple schedulers in a wireless system
WO2014069748A1 (ko) * 2012-11-01 201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an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3906262B (zh) * 2012-12-26 2019-0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承载分配方法及用户设备、基站和服务网关
US9847863B2 (en) * 2013-01-30 2017-1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procedures using an enhanced control channel
CN104322095B (zh) * 2013-05-23 2018-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位置区管理方法和核心网控制器
CN111031529A (zh) * 2014-05-09 2020-04-17 寰发股份有限公司 寻呼发送以及接收的增强方法以及用户设备
CN105338519A (zh) * 2014-08-07 2016-02-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支持低复杂度ue接入和寻呼的方法
US9763192B1 (en) * 2014-10-07 2017-09-12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sleep schedule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DK3634035T3 (da) * 2014-10-28 2023-06-12 Ericsson Telefon Ab L M Netværksknudepunkter, brugerudstyr og fremgangsmåder deri til håndtering af en forbindelse mellem brugerudstyret og et trådløst kommunikationsnetværk
WO2016111591A1 (ko) * 2015-01-08 2016-07-1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S2773776T3 (es) * 2015-03-06 2020-07-14 Lg Electronics Inc Método y aparato para reducir la señalización de radio localización
GB2548878A (en) * 2016-03-31 2017-10-04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10674475B2 (en) * 2016-04-22 2020-06-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core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CN113556811B (zh) * 2016-05-13 2024-04-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轻连接控制的方法及设备
US10367677B2 (en) *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2455586B1 (ko) * 2018-03-29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3-160656 *
3GPP R3-16089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3805A1 (en) 2019-02-20
US20190223152A1 (en) 2019-07-18
US11778587B2 (en) 2023-10-03
EP3443805B1 (en) 2023-02-22
US11122540B2 (en) 2021-09-14
EP3443805A4 (en) 2019-07-31
US20200196274A1 (en) 2020-06-18
CN113556811B (zh) 2024-04-05
JP2019515604A (ja) 2019-06-06
US20190246375A1 (en) 2019-08-08
CN107371215B (zh) 2021-07-27
US20240031987A1 (en) 2024-01-25
US20210410108A1 (en) 2021-12-30
US10750473B2 (en) 2020-08-18
CN107371215A (zh) 2017-11-21
JP6972023B2 (ja) 2021-11-24
US10645671B2 (en) 2020-05-05
CN113556811A (zh) 2021-10-26
KR102174785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587B2 (en) Light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1375471B2 (en)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request procedure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52163B2 (en)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lay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917868B2 (en) Method for notifying of mobility ev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80093992A (ko) Ue 컨텍스트 및 ue 연결 재개 방법
KR2018009667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80249479A1 (e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0702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05938B2 (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850173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ページング転送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7360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ircuit switch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20728A1 (en) Core network assisted ran paging
KR102309028B1 (ko) 사용자 장치 및 상응하는 장치 상에서 라이트 커넥션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KR102295847B1 (ko) 사용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