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332A - 하악골 지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악골 지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332A
KR20180134332A KR1020187026031A KR20187026031A KR20180134332A KR 20180134332 A KR20180134332 A KR 20180134332A KR 1020187026031 A KR1020187026031 A KR 1020187026031A KR 20187026031 A KR20187026031 A KR 20187026031A KR 20180134332 A KR20180134332 A KR 20180134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support
mandibular
structural memb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알. 브린컬
제프리 씨. 런던
배리 더블유. 라본
Original Assignee
비엘알 슬립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엘알 슬립웰 엘엘씨 filed Critical 비엘알 슬립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3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3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oclusive layer skin contac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하악골 지지 장치는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하악골 상부의 머리나 얼굴로부터 하악각의 영역까지 또는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하악각으로부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하악각까지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에 걸쳐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착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가 피부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악골 지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여기에 개시되고 교시되는 본 발명은 대체로 사람의 하악골을 지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악골의 후방 변위로부터 야기되는 기도 협착의 감소 또는 제거를 위한 장치를 간단하고 편안하며 용이하게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2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0/295,802호를 우선권으로 수반하는 출원이다.
후방 방향으로의 하악골의 이동은 통상적으로 인후 내의 기도의 제한이나 차단을 가져온다. 상기 인후의 기도 내의 이와 같은 제한은 수면 동안에 일어나는 경우와 같이 개인이 얼굴과 인후의 근육들을 이완시킬 때에 일어날 수 있거나, 지속적인 운동과 같이 깨어있는 활동 동안에 일어날 수 있다. 이완된 근육들은 상기 하악골의 지지를 감소시키며, 이는 상기 하악골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동된 하악골은 상기 인후 후방의 연조직이 늘어지게 한다. 늘어진 연조직은 이후에 호흡을 위해 필요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하악골 변위로부터 야기되는 기도에 대한 영향의 흔한 예는 코골이이다. 수면 중인 사람은 일반적으로 호흡이 보다 힘들어진 호흡에 의한 기도의 폐색에 반응할 것이며, 이에 따라 기도 내의 공기 압력이 증가된다. 증가된 공기 압력은 기도의 부분적인 개방을 가져온다. 코골이 소리는 연조직을 진동시키는 제한된 공기 흐름이다. 코골이 소리는 코를 고는 사람 근처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수면을 방해하며, 코를 고는 사람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힘든 호흡을 가지게 된다. 기도 폐색의 극단적인 경우들은 흔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으로 불리는 질병을 여기하며, 여기서 수면의 질은 심각하게 저하되고, 다른 해로운 건강에 대한 영향들이 나타난다.
종래 기술 분야에 수많은 유형들의 코골이를 위한 치료들이 존재한다. 이들 다양한 치료들은 외과적 및 기구적의 적어도 두 가지 분류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외과적 치료들은 연조직을 경직시키고 코골이를 감소시키는 의도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꼬인 가닥들이 코를 고는 사람의 연구개(soft palate) 내로 삽입되는 구개 임플란트들을 포함한다. 다른 외과적인 치료는 연조직을 짧게 하고 코를 고는 사람의 목젖을 제거하여, 수면 동안에 연조직들의 진동을 감소시키려는 의도로 기도를 확장시키기 위한 전통적이거나 레이저 보조 외과 기술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uvulopalatopharyngoplasty)이다. 또 다른 외과적인 치료는 낮은 강도의 고주파 신호들이 연구개 내의 조직을 수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주파 조직 절제술(radiofrequency tissue ablation)(고주파 온열 수술(somnoplasty))이다. 코골이에 대한 외과적인 치료들은 모두 수술과 연관된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싸고, 효능들이 불확실하다.
코골이에 대한 기구적인 치료들은 지속 기도 양압(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장치들을 포함한다. CPAP 장치의 사용자는 수면 동안에 코 및/또는 입 상부에 마스크를 착용한다. 상기 마스크는 기도 내부의 공기 압력을 대기압 위의 대략 70 파스칼 내지 120 파스칼까지 상승시키도록 코를 고는 사람의 기도를 통해 작용하는 에어 펌프에 부착된다. 상승된 압력은 늘어진 연조직에 의해 야기되는 기도 폐색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CPAP는 일반적으로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가장 신뢰성 있는 치료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장비는 부피가 크고, CPAP의 사용을 시작하는 많은 개인들에게 수면에 대해 불편하거나 지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들은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해 CPAP 기계의 사용을 시작하는 개인들의 대략 절반 정도가 견딜 수 없고, 사용을 지속할 수 없었던 점을 보여주고 있다.
코골이에 대한 다른 기구적인 치료들은 구강내 장치들을 포함한다. 구강내 장치들은 흔히 하부의 하악골이 부자연스러운 위치 내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재배치하여 기도를 개방시키려는 의도로 혀와 연구개의 진행 위치에 도움을 주는 정합되는 치과 마우스피스들을 형성한다. 구강내 장치들은 상대적으로 싸고, 때때로 턱의 통증, 안면 불편 및 변경된 치아 배열을 포함하는 다양하고 심각한 부작용들을 가진다.
이러한 구강내 장치들의 예들은 2010년 11월 16일에 Halstrom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7,832,403호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악골 위치 장치가 각기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평면의 대행하는 측면들 상에 상악 치열 결속 요소 및 하악 치열 결속 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조정 가능한 연결이 상기 상악 치열 결속 요소를 상기 하악 치열 결속 요소에 체결한다. 상기 조정 가능한 연결은 상기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세로축을 가지는 제1 조정 나사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조정 나사들은 상기 하악 치열 결속 요소에 대한 상기 상악 치열 결속 요소의 수평 및 수직 변위에 각이 영향을 미치도록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구조들이다.
이러한 구강내 장치들의 다른 예들은 2013년 12월 24일에 Hegd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613,283호를 포함하며, 여기에 대상의 치열에 고정되는 하악골 전방 이동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치열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대상의 상부 치열에 대한 하부 치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향상된 편안함을 위해 상기 상부 치열에 대한 상기 하부 치열의 자유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수면 장애 호흡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대한 대상의 혀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혀 유지 어셈블리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코골이의 감소나 방지를 위한 기계 장치들의 세 번째 분류는 대상의 얼굴 및/또는 목 상부나 이에 대해 외부적으로 착용되는 장치들이다. 일부 이러한 장치들은 고정기들이며, 머리와 목에 대해 착용되는 유사한 구조들이다. 예를 들면, 2014년 4월 15일에 Hohenhorst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695,607호에는 기도를 따라 조직 구조들을 제한 및/또는 지지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Hohenhorst에는 인후기도(pharyngeal airway) 자체의 벽들을 따라 목 내, 위 또는 부근의 조직 구조들을 외부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목 내, 위 또는 부근의 이들 조직 구조들을 인후기도로부터 멀리 편향되게 원하는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기계적인 지지는 인후기도를 향해 그 내부로 목 내, 위 또는 부근의 조직 구조들의 허탈(collapse)에 긍정적인 저항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수면 무호흡의 발생이 완화되거나 방지된다. Hohenhorst에 의해 개시된 이러한 장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예를 들면, 개인이 그의 목 주위에 고리의 접합과 형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후두의 레벨에서 전체 목에 대해 착용되고, 적당한 파스너들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고리 구조를 포함한다.
다른 이러한 장치들은 기도를 기계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대상의 얼굴이나 목에 부착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1998년 5월 19일에 Corcor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52,524호에는 코골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Corcoran의 장치는 오목한 내측 표면 및 볼록한 외측 표면을 가지는 경질의 타원형 지지 베이스와 사람 피부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 물질이 전체의 볼록한 내측 표면상에 층으로 되는 결합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수면 중인 개인이 코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자 않도록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얼굴의 위 상악 얼굴 근육들 및 위 상악골(상부 턱뼈) 사이에 작은 공기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수면 중인 사람의 코골이를 방지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코골이가 방지되거나, 현저하게 감소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의 다른 예는 2010년 9월 14일에 Macke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7,793,661호에 개시되어 있다. Macken에는 목의 특정한 영역에 부착되는 코골음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부착 수단은 접착제, 클립 또는 임플란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목의 이러한 영역에 대해 소정의 당기는 힘을 인가하여, 목의 이러한 영역이 그 정상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팽창되게 한다. 이러한 팽창은 수면 중인 사람의 인후 내의 폐색을 개방시키며, 이에 따라 코골이를 제거하고,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일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장치의 또 다른 예는 2012년 5월 29일에 Beaudr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88,330호에 개시되어 있다. Beaudry에는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하는 드레싱(dressing) 메커니즘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섹션 및 상기 제3 섹션은 각기 접착층을 갖는 일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에 놓이는 비접착성 배리어층이 상기 접착층의 일부 및 제1 또는 제3 섹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3 섹션들의 적어도 하나는 대응되는 후크 및 루프 파스너들의 대응되는 후크 또는 루프 부재들에 고정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후크 또는 루프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Beaudry에 의해 개시된 메커니즘의 몇몇 형태들은 인체 내로의 기체들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한 피부 리프팅 메커니즘들 및 방법들,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많은 산소가 비강을 통과하게 하고 이에 따라 허파 내로의 산소의 흐름 및 허파로부터 내쉬는 공기의 흐름 모두를 증가시키는 피부 리프팅 메커니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여기에 개시되고 교시되는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제시되지 못한 코골이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개시되고 교시되는 본 발명은 사용하기에 간단하고 편안하며, 제조하기에 비싸지 않고, 외과적 수술을 요구하지 않는다.
개시되는 본 발명의 가능한 일 실시예의 간단한 요약에 있어서, 하악골 지지 장치(mandible support device)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가지며, 제1 섹션(section),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하는 구조 부재(structural member)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 부재의 제1 섹션 및 제3 섹션은 각기 근위부(proximal portion) 및 원위부(distal portion)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섹션의 근위부는 상기 제2 섹션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섹션의 근위부는 상기 제2 섹션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섹션은 하악골의 각도(the angle of the mandible)로도 언급되는 하악각(gonial angle)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상이 조절되고 크기가 조절된다. 상기 제1 섹션, 상기 제2 섹션 및 상기 제3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탄성 성질들을 나타내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요소는 각기 제1 접착 측부 및 제2 접착 측부를 갖는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접착층의 제2 측부는 상기 제1 섹션의 원위부의 제1 측부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착층의 제2 측부는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부의 제1 측부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다. 상기 구조 부재는 적어도 상기 하악골 상부의 영역, 예를 들면 광대뼈(zygomatic bone) 및/또는 상악골(maxilla)로부터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까지 턱을 향하는 상기 하악골의 경과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상 및 크기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들 중의 다른 것의 간단한 요약에 있어서, 하악골 지지 장치는 구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 부재는 지지 요소(support component) 및 접착 요소(adhesive component)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지지 요소는 얼굴의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하악각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착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가 상기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의 기능은 수면 동안에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하악골의 수동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요소의 일 단부는 상기 하악골 상부의 머리나 얼굴의 표피에, 예를 들면, 상기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에 대해 부착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의 다른 단부는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요소에 인가되는 장력은 중력 및 근육 이완의 결과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들 중의 또 다른 것의 간단한 요약에 있어서, 하악골 지지 장치는 구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 부재는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으로부터 상악전구골 영역에 걸쳐 상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의 기능은 수면 동안에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하악골의 수동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요소의 일 단부는 상기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머리나 얼굴의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요소의 다른 단부는 상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머리나 얼굴의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을 가로지르며, 상기 상악전구골 상부의 머리나 얼굴의 표피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악전구골에 걸쳐 상기 지지 요소에 인가되는 장력은 중력 및 근육 이완의 결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하악골 지지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구조 부재의 제1 섹션의 원위부의 제1 측부는 상기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되고, 상기 구조 부재의 제2 섹션은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구조 부재의 제3 섹션의 원위부의 제1 측부는 턱을 향하는 상기 하악골의 경과를 따른 영역의 표피에 부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 대상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 대상의 선택적인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 대상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 대상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 대상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 대상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 대상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4는 치료되지 않은 대상(도 14a) 및 치료된 대상(도 14b)의 주석이 달린 MRI 이미지들을 예시하며, 여기서 상기 치료된 대상은 도 11에 도시된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의 상부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를 착용한 대상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앞서 설명한 도면들 및 다음의 특정한 구조들과 기능들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자들이 발명한 발명의 범주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제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도면들과 상세한 설명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특허가 보호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발명들을 구현하고 이용하도록 교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명료성과 이해의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상업적 실시예들의 모든 특징들이 설명되거나 도시되지는 않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또한 본 발명의 측면들을 포함하는 실제 상업적 실시예의 개발이 이러한 상업적 실시예에 대한 개발자의 궁극적인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수많은 구현에 특정되는 결정들이 요구될 것인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구현에 특정되는 결정들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지만, 특정한 구현, 장소에 의해 때때로 변동될 수 있는 시스템 관련, 사업 관련, 정부 관련 및 다른 제약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발자의 노력들은 절대적인 의미에서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될 수 있지만, 이러한 노력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이점을 향유하는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과업이 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고 교시되는 본 발명이 수많은 다양한 변형들과 선택적인 형태들을 허용하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와 같은 단수의 항목의 사용이 항목들의 숫자의 제한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단", "하단", "좌측", "우측", "상부의", "하부의", "아래", "위", "측부"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연관 용어들의 사용은 도면들에 대한 특정한 참조에서 명료성을 위해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며, 본 발명이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하악골 변위(mandibular displacement)의 감소 또는 제거를 위해 사용되도록 설계된 하악골 지지 장치(mandible support device)를 발명하였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는 수면 동안, 지속적인 운동 활동들 동안, 또는 상기 하악골의 지지가 후방 방향으로의 하악골 변위를 감소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임의의 다른 활동들이나 상황들 동안에 사용될 수 있다. 수면 동안의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의 사용은 코골이의 감소나 제거 및/또는 향상된 수면과 휴식의 질을 가져온다. 깨어있는 활동들 동안의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의 사용은 하악골 변위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기도의 면적을 증가시키며, 보다 큰 호흡 효율 및/또는 감소된 호흡 노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는 상기 하악골의 수동적 지지를 제공하는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후방 방향으로의 하악골 변위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는 유연한 스트랩(strap)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스트랩은 적어도 상기 하악골 상부의 영역, 예를 들면 광대뼈(zygomatic bone) 및/또는 상악골(maxilla), 하악각(gonial angle)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크기가 조절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는 유연한 스트랩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스트랩은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으로부터 상악전구골(premaxilla) 영역에 걸쳐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크기가 조절된다. 이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스트랩은 또한 접착 물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접착 물질은 상기 유연한 스트랩이 사람의 얼굴 및/또는 목을 커버하는 표피(epidermis)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유연한 스트랩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많은 가능한 실시예들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는 구조 부재(structural member)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는 순차적으로 지지 요소(support component) 및 접착 요소(adhesive component)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하악골 상부의 영역, 예를 들면 상기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하악각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착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가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의 기능은 수면 동안에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하악골의 수동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요소는 적어도 상기 광대뼈 및/또는 상기 상악골과 같은 상기 하악골 상부의 영역 및 상기 하악각 상부나 이들에 대한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요소 내의 장력은 근육 이완과 상기 하악골에 대한 중력 및 생체 역학적 힘들의 효과들의 결과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제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는 구조 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110)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가지며, 제1 섹션(section)(120), 제2 섹션(130) 및 제3 섹션(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120)은 제1 섹션 원위부(distal portion)(150) 및 제1 섹션 근위부(proximal portion)(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섹션(140)은 제3 섹션 원위부(170) 및 제3 섹션 근위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 근위부(160)는 상기 제2 섹션(130)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섹션 근위부(180)는 상기 제2 섹션(13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섹션(130)은 상기 하악각의 형상과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상이 조절되고 크기가 조절된다. 상기 제2 섹션(130)의 형상 및 크기는 특정한 적용과 사용자의 광대뼈, 상악골, 또는 상기 하악골 상부의 다른 영역에 대한 상기 제1 섹션(120)의 의도된 위치 결정에 따라 특정한 사용자의 하악각 또는 평균적인 하악각 크기 및 형상 보다 어느 정도 크거나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하악각의 영역으로부터 턱을 향하는 상기 하악골을 따라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 부재(110)는 여기에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은 적합한 접착제와 함께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110)의 접착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110)의 제1 측부에 대해 배치되는 접착층의 원인이 된다. 상기 접착 요소는 적어도 상기 제1 섹션 원위 단부(150) 및 상기 제3 섹션 원위 단부(170)의 영역들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야 한다. 그러나, 접착층이 또한 상기 제2 섹션(13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섹션(130) 내에 제3 접착부가 생성된다. 또한, 접착층은 상기 구조 부재(110)의 전체 제1 측부 상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조 부재(110)의 제1 측부 전체 상부에 접착 영역이 생성된다. 상기 접착제와 접착 영역들의 양, 유형, 수량 및 배치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는 또한 위치 결정 요소(positioning component)(19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요소(19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 섹션(130)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악각의 형상과 크기에 실질적으로 부합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결정 요소(190)는 상기 구조 부재(110)의 지지 요소의 제1 측부 또는 제2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결정 요소(190)는 두 가지의 주요한 기능들에 기여하며, 첫 번째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의 정확한 배치를 보조하고, 두 번째는 상기 하악골의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방지한다.
위치 결정 요소(190)는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에 대한 상기 구조 부재(110)의 제2 섹션(130)의 위치 결정을 보조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90)는 상기 위치 결정 요소(190)의 윤곽들의 위치가 상기 구조 부재(110)가 사용자에게 적용될 때에 상기 하악각에 대해 느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구조 부재(110) 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90)는 상기 사용자의 표피 상에서 편안하게 되고,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의 형상과 크기를 따를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90)는 또한 일부 촉각적 저항을 제공하도록 충분하게 단단해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각에 대한 상기 구조 부재(110)의 제2 섹션(130)의 배치에 관해 상기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이 제공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90)는 상기 하악골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후방 방향으로의 상기 하악골의 이동을 감소시키는 추가적인 기능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결정 요소(190)는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얼굴과 목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될 때에 상기 하악각이 얼굴과 목 근육들의 이완에 따를 수 있는 레지(ledge)와 같은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골의 후방 변위의 방지에 기여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의 동작의 메커니즘은 상기 하악골의 수동적인 외부 지지에 의존한다. 이러한 수동적 지지는 상기 하악각에 제공된다. 수면이나 지속적 운동 활동을 동안에, 예를 들면, 목과 인후의 근육들이 이완된다. 이들 근육들은 상기 하악골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며, 근육들의 이완은 상기 하악골의 지지의 감소를 가져온다. 상기 감소된 근육 지지는 상기 하악골이 중력 및 다른 생체 역학적 힘들로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된 하악골은 상기 인후의 뒤의 연조직이 늘어지게 한다. 늘어진 연조직은 호흡을 위해 필요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상기 인후의 기도 내의 이와 같은 제한은, 예를 들면, 수면 동안이나 지속적인 운동 활동들 동안에, 다른 예로는 얼굴과 인후의 근육들이 이완될 때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이완된 근육들은 상기 하악골의 지지를 감소시키며, 이는 상기 하악골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된 하악골은 상기 인후의 뒤의 연조직이 늘어지게 한다. 늘어진 연조직은 이후에 호흡을 위해 필요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수면 중인 사람은 일반적으로 보다 힘들어진 호흡에 의한 기도의 폐색에 반응할 것이며, 이에 따라 기도 내의 공기 압력이 증가된다. 증가된 공기 압력은 기도의 부분적인 개방을 가져온다. 코골이 소리는 상기 연조직을 진동시키는 제한된 공기 흐름이다. 운동 추종의 경우, 기도 크기나 면적의 운동 감소는 호흡과 산소 효율을 감소시킬 것이며, 증가된 호흡 곤란과 감소된 운동 수행을 가져온다.
다양한 하악골 지지 장치들(100)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의 양은 또한 상기 구조 부재(110)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10)의 지지 요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종이 및 종이와 같은 물질, 직조 천연 섬유, 직조 합성 섬유 및 직조 혼합 섬유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10)의 지지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의 측부 섹션들 내에 또는 상기 구조 부재(110)의 지지 요소의 물질 내로의 직조 섬유들로서 탄성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의 지지 요소의 탄성 또는 이의 결핍은 이에 따라 상기 구조 부재(110)의 지지 요소에 대한 사용되는 물질의 선택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 부재(110)의 지지 요소의 부분 구성 물질을 변경함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의 탄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수면 동안에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를 지지하는 양과 함께 감소되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 부재(110)의 지지 요소를 위해 사용되는 상기 물질의 탄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의 물리적인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물질의 탄성은 충분한 힘이 상기 하악골을 위한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게 할 것이지만, 여전히 상기 사용자가, 예를 들어, 깨어 있으면서 말하는 동안에 그의 또는 그녀의 하악골을 움직이게 할 것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의 하악골 지지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의 정도는 또한 상기 구조 부재(110)가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표피의 영역과 상기 광대뼈에 대한 영역 사이에서 신장되는 정도까지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의 적용 동안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200)의 적용의 가능한 하나의 위치가 도시된다. 하악골 지지 장치(200)는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 부재(210)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 부재(210)의 제1 섹션(220)은 상기 구조 부재(210)의 접착 요소의 사용에 의해 상기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에 대한 표피와 같이 상기 하악골 상부의 연조직에 부착되었다. 상기 구조 부재(210)의 제2 섹션(230)은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210)의 제1 섹션(220)은 상기 제1 섹션(210)의 적어도 일부 내의 상기 구조 부재(210)의 제1 측부에 대해 배치되는 접착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210)의 제2 섹션(230)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한 적용에 따라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접착 요소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두 개의 하악골 지지 장치들(300)의 배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300)의 구조 부재(31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목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1 섹션(320)의 원위 단부(350)는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접착 요소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에 대해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2 섹션(330)은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에 대해 배치된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2 섹션(330)은 구조 부재(310)의 접착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의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악각에 대해 후방인 영역의 표피에 대한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2 섹션(330)의 부착이 본 발명의 필수적인 측면은 아니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3 섹션(340)의 원위 단부(370)는 구조 부재(310)의 접착 요소에 의해 턱을 향해 상기 하악골에 대해서나 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되는 목의 일부의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310)가 위치 결정 요소(39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위치 결정 요소(390)는 상기 하악각의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300)의 기능은 수면 동안에 상기 얼굴과 목의 근육들이 이완될 때에 상기 하악골의 후방 변위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거나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하악각에서 상기 하악골에 대한 수동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접착 요소는 상기 하악골 상부의 얼굴이나 머리의 연조직과 턱의 아래 및/또는 후방인 영역 상에 상기 구조 부재(310)의 지지 요소를 고정시킨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1 섹션(320)의 원위 단부(350)의 접착 요소의 배치는 비록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상기 광대뼈 또는 상기 상악골 상에나 이들에 대해 위치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상기 하악골의 무게는 이에 따라 상기 구조 부재(310)의 지지 요소의 제1 섹션(3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3 섹션(340)은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2 섹션(330)의 위치를 안정화시키며,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2 섹션(330)의 곡면이 상기 하악각을 부드럽게 안게 하고, 상기 하악골을 지지하며, 후방 방향으로의 이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300)의 사용의 하나의 방법은 상기 구조 부재(310)의 지지 요소의 일 측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 요소를 사용하여 광대뼈 또는 상악골의 영역에 대해서 표피에 대한 상기 제1 섹션(320)의 원위 단부(350)의 적용으로 시작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300)가 위치 결정 요소(390)를 가질 경우, 상기 위치 결정 요소(390)는 상기 위치 결정 요소(390)의 곡면이 상기 하악각에 가깝도록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 위치 결정 요소(390)가 상기 구조 부재(310) 상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2 섹션(330)은 상기 구조 부재(310)가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하악각의 위, 뒤 또는 아래에 충분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장력은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에 가져와질 때에 상기 구조 부재(310)에 인가되어야 한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2 섹션(330)이 접착 요소를 구비할 경우, 장력은 상기 제2 섹션(330)의 접착 요소가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표피에 부착되는 동안에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1 섹션(320) 내에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2 섹션(330)이 접착 요소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1 섹션(320) 및 제2 섹션(330) 내의 장력은 상기 구조 부재가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 주위에 위치하면서,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3 섹션(340)의 원위 단부(370)가 턱을 향하는 상기 하악골의 경과를 따라 상기 목의 표피에 부착될 때까지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300)의 사용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1 섹션(320)의 원위 단부(350)는 상기 하악각을 향해 당겨지며,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3 섹션(340)의 원위 단부(370)의 지지 요소의 일 측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 요소를 이용하여 턱의 아래나 후방의 영역에 대한 면적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된다. 물론, 상기 적용의 방법이 또한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제3 섹션(340)의 원위 단부(370)가 턱의 아래나 뒤의 영역에 대한 상기 표피에 먼저 부착되고, 상기 구조 부재가 상기 하악각 주위의 후방 방향과 상기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에 대한 영역을 향해 상방으로 당겨지도록 반전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섹션(320) 및 상기 제3 섹션(340)이 상기 광대뼈 및 상기 턱 아래의 영역을 향해 각기 당겨지고, 상기 구조 부재(310)의 접착 요소로 여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적절한 위치들에 부착되는 동안에 상기 제2 섹션(330)이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표피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임의의 예에서, 상기 구조 부재(310)가 상기 하악각의 뒤나 아래로 당겨지게 하는 힘은 상기 하악골에 제공되는 지지의 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공되는 지지의 정도는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다 큰 양의 지지가 수면 동안에 보다 큰 정도의 후방 하악 이동을 경험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기초하는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섹션(340)은 얼굴의 대향하는 측부들에 대해 턱 아래를 가로지르고, 대향하는 광대뼈 또는 상악골에 대해 표피에 부착되도록 도 3에 도시된 경우를 넘어서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하악골에 대해 변경된 정도의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구조 부재(410)를 포함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40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구조 부재(410)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가지며, 제1 섹션(420), 제2 섹션(430) 및 제3 섹션(4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420)은 제1 섹션 원위부(450) 및 제1 섹션 근위부(47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섹션(440)은 제3 섹션 원위부(460) 및 제3 섹션 근위부(47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 근위부(470)는 상기 제2 섹션(430)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섹션 근위부(475)는 상기 제2 섹션(43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섹션(430)은 상기 하악각의 형상과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상과 크기가 조절된다. 상기 원위 단부들(450, 460) 및 이들 각각의 근위 단부들(470, 475) 사이에 걸치는 상기 구조 부재(410)의 부분들은 원하는 특정한 적용 기술에 따라 다른 폭, 물질 및/또는 탄성으로 치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구조 부재(510)를 포함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50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구조 부재(510)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가지며, 제1 섹션(520), 제2 섹션(530) 및 제3 섹션(5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520)은 두 가지(branch)들인 전방 가지(522) 및 후방 가지(524)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가지(522) 및 상기 후방 가지(524)는 각기 각각의 원위부(552, 554) 및 각각의 근위부(562, 564)로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방 가지 근위부(562) 및 상기 전방 가지 근위부(564)는 상기 제1 섹션(520)은 상기 제2 섹션(530)에 연결되는 지점에서 연결된다. 상기 제3 섹션(540)은 제3 섹션 원위부(570) 및 제3 섹션 근위부(5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 근위부(560)는 상기 제2 섹션(530)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섹션 근위부(580)는 상기 제2 섹션(53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섹션(530)은 상기 하악각의 형상과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상과 크기가 조절된다.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하악골 지지 장치(500)의 이러한 실시예의 적용은 상기 하악골 상부의 얼굴의 연조직에 대한 상기 제1 섹션 전방 가지(522) 및 상기 제1 섹션 후방 가지(524) 모두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섹션 전방 가지(522)는 광대뼈의 영역 내의 표피에 부착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 섹션 후방 가지(524)는 상악골의 영역 내의 표피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500)는 위치 결정 요소(5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하악골 지지 장치(600)가 얼굴의 일 측부의 광대뼈 또는 상악골의 영역으로부터 얼굴의 제2 측부의 광대뼈 또는 상악골의 영역까지 걸치고, 얼굴의 제1 측부 및 제2 측부의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610)는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610)의 지지 요소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610)의 지지 요소는 제1 섹션(615), 제2 섹션(620), 제3 섹션(625), 제4 섹션(630), 제5 섹션(635), 제6 섹션(640) 및 제7 섹션(64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615)은 원위 영역(650) 및 근위 영역(655)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섹션(625)은 근위 영역(660) 및 원위 영역(665)을 포함한다. 상기 제5 섹션(635)은 원위 영역(670) 및 근위 영역(675)을 포함한다. 상기 제7 섹션(645)은 근위 영역(680) 및 원위 영역(68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615)의 근위 단부(655)는 상기 제2 섹션(620)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섹션(625)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섹션(620)에 연결된다. 상기 제7 섹션(645)의 근위 단부(680) 및 상기 제5 섹션(635)의 근위 단부(675)는 상기 제6 섹션(640)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섹션(625)의 원위 단부(665) 및 상기 제5 섹션(635)의 원위 단부(670)는 상기 제4 섹션(630)에 연결된다.
상기 구조 부재(610)의 지지 요소의 제2 섹션(620) 및 제6 섹션(640)은 상기 하악각의 형상과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600)는 위치 결정 요소들(690, 695)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위치 결정 요소들(690, 695)은 제2 섹션(620) 및 제6 섹션(640) 내에 각기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위치 결정 요소들(690, 695)은 상기 구조 부재(610)의 지지 요소의 제1 측부 또는 제2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논의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요소들(690, 695)은 두 가지의 주요한 기능들에 기여하며, 첫 번째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600)의 정확한 배치를 보조하고, 두 번째는 상기 하악골의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제1 섹션(615) 및 상기 제3 섹션(625)의 근위 영역들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섹션(620)의 부분들과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 일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5 섹션(635) 및 상기 제7 섹션(685)의 근위 영역들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6 섹션(640)의 부분들과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섹션(625) 및 상기 제5 섹션(635)의 원위 영역들은 상기 제4 섹션(630)의 부분들에 대해 배치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들에 연결된다.
상기 구조 부재(610)는 또한 여기에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은 적합한 접착제와 함께 접착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구조 부재(610)의 접착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610)의 제1 측부에 대해 배치되는 접착층의 원인이 된다. 상기 접착 요소는 상기 제1 섹션(615)의 원위 영역(650)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7 섹션(645)의 원위 영역(685), 그리고 상기 제4 섹션(630)의 일부 또는 상기 제3 섹션(625) 및 상기 제5 섹션(635)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층은 상기 구조 부재(610)의 전체 제1 측부 상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조 부재(610)의 제1 측부 전체 상부에 접착 영역이 생성된다. 상기 접착제 및 접착 영역들의 양, 유형, 수량 및 배치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60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690, 695)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목 상부의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600)의 위치 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690, 695)은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690, 695)의 윤곽들의 위치가 상기 구조 부재(610)가 상기 사용자에게 적용될 때에 상기 하악각에 대해 느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구조 부재(610) 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690, 695)은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표피 상에서 편안하게 되고,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의 형상과 크기에 따를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여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690, 695)은 또한 일부 촉각 저항들 제공하도록 충분히 단단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각에 대한 상기 구조 부재(610)의 배치에 관하여 상기 사용자(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600)를 적용하는 다른 개인)에게 촉각 피드백에 제공된다.
도 7은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경우에 가능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지지 장치(700)의 배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700)의 구조 부재(71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목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710)의 제1 섹션(715)의 원위 단부(750)는 상기 구조 부재(710)의 접착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에 대해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710)의 제2 섹션(720)은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에 대해 배치된다. 상기 구조 부재(710)의 제2 섹션(720)은 상기 구조 부재(710)의 접착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의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의 표피에 대해 상기 구조 부재(710)의 제2 섹션(720)을 부착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필수적인 측면은 아니다. 상기 구조 부재(710)의 제3 섹션(725)의 원위 단부(765)와 상기 제5 섹션(735)의 원위 단부(770) 및/또는 상기 제4 섹션(730)은 구조 부재(710)의 접착 요소에 의해 턱의 후방의 영역 내의 목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710)의 제7 섹션(745)의 원위 단부(785)는 상기 제7 섹션(740)이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에 대해 배치되는 이와 같은 배향으로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의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710)가 위치 결정 요소들(790, 795)을 포함할 경우,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790, 795)은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에 위치한다. 사용자에 대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적용의 방법은 여기에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들의 적용의 방법과 유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예시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악골 지지 장치(800)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가지고, 제1 단부(820) 및 제2 단부(830)를 가지는 구조 부재(810)로 도시된다. 상기 구조 부재(810)는 상기 하악각의 형상 및 크기와 비슷하게 형성될 수 있는 위치 결정 요소(84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810)는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요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단부 부근 및 실질적으로 상기 제2 단부 부근에서 상기 지지 요소의 일 측부의 부분들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요소(840)가 상기 접착 요소가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 요소의 측부 상에 최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 부재가 상기 위치 결정 요소(840)의 에지들이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배치의 목적으로 접촉에 의해 식별되게 하도록 충분히 얇은 경우에 상기 위치 결정 요소(840)가 상기 지지 요소의 일 측부 상에 위치할 수 있거나, 상기 지지 요소, 상기 구조 부재의 제2 단부 부근의 상기 지지 요소에 내부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접착 요소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가 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되며, 여기서 이러한 접착제는 상기 표피에 대한 상기 지지 요소의 일시적인 부착을 위해 사람 피부 상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본 문에 있어서, "일시적인 부착(temporary adhesion)"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8 시간 내지 12 시간에 걸치는 충분한 시한 동안의 부착을 언급하도록 의도되며, 최소한 불편함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자기 접착식 물질, 접착 성질들을 나타내기 위해 적셔져야 하는 접착제,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접착제인 것으로 고려된다.
도 9는 사용자에 대한 하악골 지지 장치(900)의 배치를 예시한다. 구조 부재(910)의 제1 단부(920)는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을 커버하거나 근처의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910)의 제2 단부(930)는 상기 사용자의 하악각에 대해 후방의 영역 내의 표피에 부착된다.
도 10은 사용자에 대한 하악골 지지 장치(1000)의 배치의 선택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사용의 바람직한 적용이나 방법에서, 두 개의 하악골 지지 장치들(1000)이 상기 사용자에게 적용되며, 하나는 상기 하악골의 각 측부 상에나 이에 대해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0)의 구조 부재(1010)가 상기 광대뼈 또는 상악골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까지의 거리에 걸치도록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다시 알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1 단부(1020)는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되고,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2 단부(1030)는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을 커버하거나 이에 대한 표피에 부착된다.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0)는 위치 결정 요소(104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2 단부(1030)를 상기 하악각에 대해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040)는 또한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추가의 수동적 지지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지지 요소는 상기 접착 요소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접착 물질은 그 길이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탄성 성질을 가질 수 있지만, 이와 같은 탄성 성질이 본 발명의 요구 사항은 아니다. 상기 구조 부재(1010)가 수면 동안의 사용을 위해 사람의 머리, 얼굴 및/또는 목의 표피에 적용되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접착 요소는 여전히 적어도 여덟 시간 내지 열두 시간의 기간 동안 상기 표피 상의 그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면서 상기 표피로부터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여야 한다. 유사하게, 상기 구조 부재(1010)가 사람의 머리, 얼굴 및/또는 목의 표피에 적용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구조 부재(1010)가 열두 시간까지 또는 이를 초과하는 시한 동안에 제 위치에 남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지지 요소로 만들어지는 물질은 이상적으로는 수분 및/또는 공기의 투과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지지 요소의 이러한 "투습성"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의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지지 요소는 탄성 성질들을 나타내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거나, 탄성 성질들을 나타내는 물질로 전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지지 요소는 비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지지 요소가 그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탄성인 물질을 포함할 경우, 상기 탄성은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0)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 필수적인 상기 하악골의 실질적인 수동적 지지를 제거하기 위해 그렇게 크지 않아야 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0)는 상기 하악골의 수동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면 동안의 얼굴과 목 근육들의 이완의 결과로 일어나는 근육 지지의 감소를 극복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0)의 구조 부재(1010)의 지지 요소는 상기 접착 요소로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지지 요소의 제1 단부(1020)의 일 측부를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의 영역 내의 표피에 접촉시켜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 상부 또는 이들에 대해 상기 영역의 연조직을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1 단부(1020)를 상기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의 영역 내의 표피에 부착시킨다.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2 단부(1030)는 이후에 상기 하악각의 바로 후방의 영역을 커버하는 피부에 부착된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1 단부(1020)의 적용 위치 결정이 본 발명의 기능을 여전히 수행하면서 사용자들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변화될 수 있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구조 부재(1010)에 대해 사용되는 물질, 상기 접착 물질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1 단부(1020)의 최적의 위치가 사용자의 코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의 어느 정도 전방이 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위치 결정 요소(1040)는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에 대한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2 단부(1030)의 위치 결정을 보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040)는 상기 위치 결정 요소(1040)의 윤곽들의 위치가 상기 구조 부재(1010)가 상기 사용자에게 적용될 때에 상기 하악각에 대해 느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구조 부재(1010) 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040)는 사용자의 표피들에 대해 편안하고,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의 형상과 크기를 따를 수 있도록 충분하게 유연하여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040)는 또한 일부 촉각 저항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단단해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각에 대한 상기 구조 부재(1010)의 제2 단부(1030)에 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이 제공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040)는 상기 하악골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후방 방향으로의 상기 하악골의 변위를 감소시키는 추가적인 기능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 결정 요소(1040)는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머리, 얼굴 또는 목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될 때에 상기 하악각이 얼굴과 목 근육들의 이완에 의지할 수 있는 레지와 같은 구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골의 후방 변위의 방지를 보조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브 부재(rib member)들(850)이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800)의 구조 부재(1010) 내에 매립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 부재(850)는 경질 또는 반경질의 물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트립(strip)들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 부재(850)는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 부재(850)는 상기 제1 단부(820)로부터 상기 제2 단부(830)까지 길이 방향으로 상기 구조 부재(810)의 형상을 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 부재(810)가 상기 하악골 상부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까지의 간격에 걸쳐 사람의 목과 얼굴의 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 상기 리브 부재(850)의 형상은 목과 얼굴의 표피에 적용될 때에 상기 리브 부재(850)가 상기 위치 결정 요소(840)를 상기 하악각에 대한 보다 가까운 정렬로 가져오기 위해 얼굴과 목에 대해 내측으로 힘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악각 바로 후방의 상기 내측으로의 힘은 상기 위치 결정 요소(840)가 상기 구조 부재(810)의 세로축을 따라 상기 후방 방향으로 상기 하악골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하악골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브 부재(850)는 또한 영역(8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결정 요소(840) 및 상기 구조 부재(810)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몇 가지 구성들 중에서 단지 하나이다.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800)의 적용의 하나의 방법은 상기 구조 부재(810)의 지지 요소의 일 측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 내의 피부에 대한 상기 제2 단부(830)의 적용으로 시작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800)가 위치 결정 요소(840)를 가질 경우, 상기 위치 결정 요소(840)는 상기 위치 결정 요소(840)의 곡면이 상기 하악각에 가깝도록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에 직접 위치해야 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80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경질의 부재들(850)을 포함할 경우, 상기 구조 부재(810)의 단부는 위치 결정 요소(840)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하악각 아래 또는 뒤의 그 위치에서 약간 내측으로 눌려지게 하도록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표피에 부착되어야 한다. 위치 결정 요소(840)가 상기 구조 부재(810) 상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조 부재(810)의 제2 단부(830)는 상기 구조 부재(810)가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하악각을 충분히 넘어서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800)의 사용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810)의 제1 단부(820)는 상기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을 향해 당겨지고, 상기 구조 부재(810)의 지지 요소의 일 측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 요소를 사용하여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의 면적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810)의 지지 요소의 제1 단부(820)가 상기 하악각 아래 또는 뒤와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을 향해 당겨지는 힘은 상기 하악골에 대해 제공되는 지지의 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공되는 지지의 정도는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다 큰 양의 지지가 수면 동안에 보다 큰 정도의 후방 하악 이동을 경험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분명히,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800)의 적용은 상기 구조 부재(810)의 제1 단부(820)를 광대뼈의 영역에 먼저 부착시키고, 이어서 상기 구조 부재(810)의 제2 단부(830)를 하악각을 향해 당기며, 상기 구조 부재(810)의 제2 단부(830)를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얼굴과 목의 영역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 부재(810)의 제2 단부(830)의 위치 결정이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800)의 보다 효과적인 적용에 일차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사용의 방법은 상기 구조 부재(810)의 제2 단부(830)를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을 커버하는 연조직들에 부착시키는 과정을 먼저 수반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예시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악골 지지 장치(1100)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가지고, 제1 단부(1120) 및 제2 단부(1130)를 가지는 구조 부재(111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구조 부재(1110)는 상기 하악각의 형상과 크기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는 위치 결정 요소(114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110)는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요소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단부 부근 및 실질적으로 상기 제2 단부 부근에서 적어도 상기 지지 요소의 일 측부의 부분들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요소(1140)가 상기 접착 요소가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 요소의 측부 상에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 위치 결정 요소(1140)의 에지들이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배치의 목적으로 접촉에 의해 식별되게 하도록 상기 구조 부재가 충분히 얇을 경우에 상기 위치 결정 요소(1140)가 상기 지지 요소의 일 측부 상에 위치할 수 있거나, 상기 구조 부재의 제2 단부 부근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내부로 위치할 수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결정 요소(1140)는 상기 구조 부재의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반경질의 플라스틱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140)는 해당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140)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에 대한 하악골 지지 장치(1100)의 배치를 예시한다. 상기 구조 부재(1110)의 제1 단부(1120)는 상기 사용자의 광대뼈 및/또는 상악골을 커버하거나 부근의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구조 부재(1110)의 제2 단부(1130)는 상기 사용자의 하악각 후방의 영역 내의 표피에 부착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140)의 배치는 상기 사용자의 하악각에, 이에 대해 또는 부근으로 도시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1140)의 최적의 배치는 상기 사용자의 필요와 생체 역학에 적합하도록 상기 하악각의 영역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도 12의 대상은, 예를 들어, 최적의 효과들을 위해 상기 하악각의 약간 전방의 상기 하악골을 따라 위치하는 위치 결정 요소(1140)를 가진다.
도 13은 사용자에 대한 하악골 지지 장치(1100)의 배치를 나타내는 선택적인 도면을 예시한다.
도 14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100)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기도에 대한 예시적인 효과들을 나타낸다. 도 14a는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58세의 남자의 시상 MRI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 이미지는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도의 치료되지 않은(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100)의 사용이 없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상대적인 기도의 좁아짐은 심각한 코골이를 완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대상의 혀는 연구개(soft palate)와 직접 접촉되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혀와 연구개 사이에 공간이 없는 위치에 쉽게 주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의 혀는 후두개(epiglottis)와 직접 접촉되며, 후두개와 혀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적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위치의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100)로 치료된 상태의 동일한 58세의 남자의 시상 MRI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치료된 상태에서, 상기 MRI 이미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좁은 지점에서 환자의 기도를 가로지르는 거리는 이제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치료되지 않은 환자의 기도의 경우의 대략 2.5배로 측정된다. 기도의 원형의 단면을 가정하면, 상기 기도를 가로지르는 치료되지 않은 최소의 거리로부터 상기 기도를 가로지르는 치료된 최대의 거리까지 2.5배로 증가되는 이러한 변화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100)를 사용하는 치료로 상기 기도의 면적을 250% 증가시킨다. 상세하게는, 상기 치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인 도 14b에서, 대상의 혀는 이제 보다 전방의 위치에 있고, 더 이상 연구개와 집적 접촉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도 14b의 MRI 이미지로부터 상기 혀와 상기 연구개 사이의 실질적인 간격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혀는 더 이상 상기 후두개와 집적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혀와 상기 후두개 사이에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100)의 사용으로부터 야기되는 실질적인 간격이 존재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사한 치료 효과들이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선택적인 실시예들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점이 예상된다.
도 15는 상악전구골 영역을 이용하여 하악골의 수동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는 구조 부재(1510)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1510)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가지며, 제1 섹션(1515), 제2 섹션(1520) 및 제3 섹션(15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1515)은 제1 섹션 원위부(1530) 및 제1 섹션 근위부(1535)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섹션(1525)은 제3 섹션 원위부(1545) 및 제3 섹션 근위부(15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 근위부(1535)는 상기 제2 섹션(1520)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섹션 근위부(1540)는 상기 제2 섹션(152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섹션(1520)은 대체로 코의 아래와 상순(upper lip) 상부의 얼굴의 영역의 형상과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상기 제3 섹션(1525)의 원위 단부(1545)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하악각의 영역 주위에 부착되는 동안에 상기 제1 섹션(1515)의 원위 단부(1530)가 사용자의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하악각의 영역에 부착하도록 형상과 크기가 조절된다. 상기 제2 섹션(1520)의 형상과 크기는 특정한 적용 및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의도되는 위치 결정에 따라 특정한 사용자의 상순 영역보다 어느 정도 크거나 작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1515)의 원위 단부(1530)는 사용자의 하악각의 크기와 형상에 가깝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섹션(1525)의 원위 단부(1545)는 상기 사용자의 하악각의 크기와 형상에 가깝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510)는 여기서 앞서 논의된 적합한 접착제와 함께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가진다.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접착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1 측부에 대해 배치되는 접착층의 원인이 된다. 상기 접착 요소는 적어도 상기 제1 섹션 원위 단부(1530) 및 상기 제3 섹션 원위 단부(1545)의 영역들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야 한다. 그러나, 접착층이 상기 전체 제1 섹션(1515) 및 상기 전체 제3 섹션(1525)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요소는 또한 상기 제2 섹션(1520)에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섹션(1520) 내에 제3 접착부를 생성한다. 또한, 접착층이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전체 제1 측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1 측부의 전체 상부에 접착 영역이 생성된다. 상기 접착제 및 접착 영역들의 양, 유형, 수량 및 배치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 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00)는 또한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섹션(1515)의 원위부(1530) 및 상기 제3 섹션(1525)의 원위부(1545) 부근에 각기 배치된다.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의 제1 측부 또는 제2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두 가지 주요한 기능들에 기여하며, 첫 번째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정확한 배치를 보조하고, 두 번째는 상기 하악골의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방지한다.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상기 하악각들 위, 뒤 또는 아래의 영역과 머리의 제1 및 제2 측부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섹션(1515) 및 상기 제3 섹션(1525) 각각의 위치 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의 윤곽들의 위치가 상기 구조 부재(1510)가 사용자에 대해 적용될 때에 각각의 상기 하악각들에 대해 느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구조 부재(1510) 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상기 사용자의 표피에 대해 편안하고,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의 형상과 크기를 따를 수 있도록 충분하게 유연하여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또한 일부 촉각 저항을 제공하도록 충분하게 단단해야 하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하악각들에 대한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1 섹션(1515) 및 상기 제3 섹션(1525) 각각의 배치에 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이 제공된다.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상기 하악골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후방 방향으로의 상기 하악골의 이동을 감소시키는 추가적인 기능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결정 요소들(1550, 1555)은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얼굴과 목을 커버하는 표피에 부착될 때에 상기 하악각이 얼굴과 목 근육들의 이완에 의지할 수 있는 레지와 같은 구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악골의 후방 변위의 방지를 보조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동작의 메커니즘은 상기 하악골의 수동적 외부 지지에 의존한다. 이러한 수동적 지지는 상기 하악각에 제공된다. 수면이나 지속적 운동 활동들 동안, 예를 들면, 얼굴과 인후의 근육들이 이완된다. 이들 근육들은 상기 하악골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며, 상기 근육들의 이완은 상기 하악골의 지지의 감소를 가져온다. 상기 감소된 근육 지지는 상기 하악골이 중력 및 다른 생체 역학적 힘들로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된 하악골은 상기 인후 후방의 연조직이 늘어지게 한다. 늘어진 연조직은 호흡을 위해 필요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상기 인후의 기도 내의 이와 같은 제한은, 예를 들면, 수면 또는 지속적인 운동 활동들 동안, 다른 예로서는 얼굴과 인후의 근육들이 이완될 때에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이완된 근육들은 상기 하악골의 지지를 감소시키며, 이는 상기 하악골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된 하악골은 상기 인후 후방의 연조직이 늘어지게 한다. 늘어진 연조직은 이후에 호흡을 위해 필요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수면 중인 사람은 대체로 보다 힘들어진 호흡에 의한 기도의 폐색에 반응할 것이며, 이에 따라 기도 내의 공기 압력이 증가된다. 증가된 공기 압력은 기도의 부분적인 개방을 가져온다. 코골이 소리는 연조직을 진동시키는 제한된 공기 흐름이다. 운동 추종의 경우, 기도 크기나 면적의 운동 감소는 호흡과 산소 효율을 감소시킬 것이며, 증가된 호흡 곤란과 감소된 운동 수행을 가져온다.
다양한 하악골 지지 장치(1500)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의 양은 또한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종이 및 종이와 유사한 물질, 직조 천연 섬유, 직조 합성 섬유 그리고 직조 혼합 섬유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는 상기 구조 부재의 측부 섹션들 내에 또는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의 물질 내로의 직조 섬유들로서 탄성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의 지지 요소의 탄성 또는 이의 결핍은 이에 따라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에 대한 사용되는 물질의 선택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의 부분 구성 물질을 변경함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의 탄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수면 동안에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를 지지하는 양과 함께 감소되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에 대해 사용되는 물질의 탄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물리적인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물질의 탄성은 충분한 힘이 상기 하악골을 위한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게 할 것이지만, 여전히 상기 사용자가, 예를 들어, 깨어 있으면서 말하는 동안에 그의 또는 그녀의 하악골을 움직이게 할 것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의 하악골 지지 장치(1500)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의 정도는 또한 상기 구조 부재(1510)가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표피의 영역과 상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상기 하악각 위, 뒤 또는 아래의 표피의 영역 사이에서 신장되는 정도까지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적용 동안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510)의 다양한 영역들이 특정한 적용의 필요, 요구되는 지지의 양, 상기 사용자에 대해 요구되는 편안함 등에 따라 달라지는 탄성의 정도를 가질 수 있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섹션(1520)은 상기 구조 부재(1510)가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에 걸쳐 신장되게 하는 탄성 성질들을 포함하는 섹션만이 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 섹션(1515) 및 상기 제3 섹션(1525)은 적은 탄성 특성들을 나타내거나 나타내지 않는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전체가 탄성 성질들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영역들의 위치 및 탄성의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적용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하악골 지지의 정도에 대해 변화되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적용의 위치가 도시된다. 하악골 지지 장치(1500)는 지지 요소 및 접착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 부재(1510)를 구비한다. 도 16은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10)의 제3 섹션(1525)이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접착 요소에 의해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는 얼굴의 좌측을 예시한다.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2 섹션(1520)은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 상부나 이에 걸쳐 위치한다. 상기 제2 섹션은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2 섹션(1520)의 모두나 일부 상의 접착 요소의 이용에 의해 얼굴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3 섹션(1525)은 상기 제1 섹션(1525)의 적어도 일부 내의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1 측부에 대해 배치되는 접착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2 섹션(1520)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한 적용에 따라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접착 요소를 가질 수 있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1 섹션은 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접착 요소의 사용에 의해 얼굴의 우측의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적용의 하나의 방법은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의 일 측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 요소를 사용하여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영역 내의 피부에 대한 상기 제3 섹션(1525)의 적용으로 시작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가 위치 결정 요소(1555)를 가질 경우, 상기 위치 결정 요소(1555)는 상기 위치 결정 요소(1555)가 상기 하악각의 전방 영역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에 직접 위치해야 한다. 위치 결정 요소(1555)가 상기 구조 부재(1510) 상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3 섹션(1525)의 원위 단부(1545)는 상기 구조 부재(1510)가 상기 하악골의 후방 이동에 대해 저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악각을 충분히 넘어서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사용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1 섹션(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15의 제1 섹션(1515)에 대응됨)은 상기 제2 섹션(1520)이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 상에나 이에 대해 안착하도록 상기 얼굴의 전방을 가로질러 당겨지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의 피부에 부착된다. 상기 제1 섹션(1515)의 원위 단부(1530) 상의 위치 결정 요소(1550)는 존재할 경우에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지지 요소의 제1 섹션(1515)이 상기 하악각 위, 아래 또는 뒤로 당겨지는 힘은 상기 상악전구골 영역 및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2 섹션(1520)으로부터 상기 하악골 에 제공되는 지지의 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공되는 지지의 정도는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다 큰 양의 지지가 수면 동안에 보다 높은 정도의 후방 하악 이동을 경험하는 사용자들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에 의해 허용되는 지지의 정도는 상기 구조 부재에 걸쳐, 특히 상기 제2 섹션(1520) 내에 제공되는 탄성의 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분명히,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1500)의 적용은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3 섹션(1525)을 부착하기 이전에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1 섹션(1515)을 부착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인 선택예로서, 얼굴의 각 측부들 상의 하악각들 위, 아래 또는 뒤의 표피에 부착되었던 상기 구조 부재(1510)의 제1 섹션(1515) 및 제3 섹션(1525)은 거의 서로 일치하고, 상기 상악전구골 영역에 대해 상기 구조 부재(1510)를 당기며, 과정 동안에 상기 제2 섹션(1520)을 신장시킨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들을 이용하는 다른 및 또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자들의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의 다양한 방법들과 실시예들이 개시된 방법들과 실시예들의 변화들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단일의 요소들에 대한 논의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단계들의 순서는 명확히 다르게 한정되지 않는 한 다양한 순서들로 일어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단계들은 다른 단계들과 결합될 수 있고, 설명된 단계들에 개재될 수 있으며 및/또는 다중의 단계들로 분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설명되었으며, 별도의 구성 요소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다중의 기능들을 갖는 구성 요소들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및 다른 실시예들의 내용으로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설명된 것은 아니다. 설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자명한 변경들과 대안들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및 개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인식된 본 발명의 사상이나 이용 가능성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특허법령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물의 범주나 범위 내에 해당되는 모든 이러한 변경들과 개선들을 전체적으로 보호하도록 의도하였다.

Claims (10)

  1. 하악골 지지 장치(mandibular support device)에 있어서,
    지지 요소(support component) 및 접착 요소(adhesive component)를 포함하는 구조 부재(structural member)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 요소는 상기 지지 요소 및 착용자의 표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 요소는 상기 구조 요소를 상기 착용자의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구조 부재는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하악각(gonial angle)을 커버하는 표피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premaxilla) 영역에 대해 배치되며, 상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하악각을 커버하는 표피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지지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제1 섹션(section),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섹션은 근위부(proximal portion) 및 원위부(distal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섹션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섹션은 근위부 및 원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의 근위부는 상기 제2 섹션의 제1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섹션의 근위부는 상기 제2 섹션의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섹션의 원위부는 상기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상기 착용자의 하악각에 대해서 또는 넘어서는 영역을 커버하는 표피에 대해 배치되며;
    상기 제2 섹션의 원위부는 상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상기 착용자의 하악각에 대해서나 뒤의 영역을 커버하는 표피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상악전구골 영역에 걸쳐 상기 제1 섹션의 원위부가 배치되는 표피 및 상기 지지 요소의 상기 제3 섹션이 배치되는 표피 사이에 장력을 제공하며, 상기 장력은 상기 착용자의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성질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 요소(positioning component)가 상기 지지 요소의 상기 제1 섹션에 대해 배치되며, 상기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상기 착용자의 하악각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지지 요소의 상기 제3 섹션에 대해 배치되며, 상기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상기 착용자의 하악각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
  6. 사람의 기도(airway)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하악골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하악골 지지 장치는 지지 요소, 적어도 하나의 접착 요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의 제1 단부를 접착 요소를 사용하여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하악각에 대해서나 뒤의 영역을 커버하는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에 대해 상기 지지 요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요소의 상기 제2 단부를 접착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하악각에 대해서나 뒤의 영역을 커버하는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요소 내의 장력이 상기 하악골을 지지하도록 충분히 제공되기 위해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에 걸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소는 탄성 성질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하악골 지지 장치에 있어서,
    지지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 부재를 구비하며;
    각 접착 요소는 상기 지지 요소 및 착용자의 표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 요소는 상기 구조 요소를 상기 착용자의 표피에 일시적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지지 요소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얼굴의 제1 측부 상의 상기 착용자의 하악각에 대해서나 뒤의 영역을 커버하는 표피에 대해 배치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얼굴의 제2 측부 상의 상기 착용자의 하악각에 대해서나 뒤의 영역을 커버하는 표피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얼굴의 상악전구골 영역에 걸쳐 연결되며;
    상기 지지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상악전구골 영역에 걸쳐 상기 얼굴의 제1 측부의 하악각 및 상기 얼굴의 제2 측부의 하악각 사이에 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은 상기 착용자의 하악골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지지 장치.
KR1020187026031A 2016-02-16 2017-02-16 하악골 지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343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5802P 2016-02-16 2016-02-16
US62/295,802 2016-02-16
PCT/US2017/018168 WO2017143064A1 (en) 2016-02-16 2017-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mandibular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332A true KR20180134332A (ko) 2018-12-18

Family

ID=5962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031A KR20180134332A (ko) 2016-02-16 2017-02-16 하악골 지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416598A4 (ko)
JP (2) JP2019504749A (ko)
KR (1) KR20180134332A (ko)
CN (1) CN109219423A (ko)
AU (1) AU2017219742A1 (ko)
CA (1) CA3014422A1 (ko)
MX (1) MX2018009891A (ko)
WO (1) WO20171430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7648A (en) * 1943-01-21 1946-04-02 Butler Jacob Clem Splint
WO1994020051A1 (en) * 1993-03-04 1994-09-15 Peter William Keller Anti-snore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022891B2 (en) 1996-05-10 2006-04-04 Wallace J Beaudry Dressing and an epidermal positioning mechanism and method for using same
AU702632B2 (en) * 1996-09-27 1999-02-25 Cns, Inc Breathing assistance improvements
US5752524A (en) 1997-06-12 1998-05-19 Corcoran; Timothy C. Device for preventing or reducing snoring
US6512159B1 (en) * 2000-11-09 2003-01-28 Barry F. Shesol Facial wound dressing support device
JP4625600B2 (ja) * 2001-09-27 2011-02-02 医療法人社団松田歯科医院 睡眠時無呼吸等の防止具
US7032598B2 (en) * 2002-11-08 2006-04-25 Portnoy Leonard L Snoreway space block with snore strips or portnoy buccal tab
US20050274387A1 (en) * 2004-06-10 2005-12-15 John Mack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KR100912498B1 (ko) * 2008-12-26 2009-08-17 하재흡 수면 중 개구방지기구
US20110308528A1 (en) * 2010-06-22 2011-12-22 Jean-Paul Ciardullo Sleep disorder relief device and method
JP5268181B2 (ja) * 2010-06-30 2013-08-21 英雅 山本 睡眠時無呼吸症候群対策装具および対策枕
CN201759684U (zh) * 2010-09-09 2011-03-16 赵庆詹 一种下颌托
SE536192C2 (sv) * 2011-03-23 2013-06-18 Entpro Ab Hjälpmedel för stödjande av käkvinkeln
US9526661B2 (en) 2011-10-08 2016-12-27 Mary F. Riley Piro Facial structure stabiliz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9220629B2 (en) * 2012-02-27 2015-12-29 Hideo Koike Wearable airway supporting device
CN202920432U (zh) * 2012-12-03 2013-05-08 上海中医药大学附属龙华医院 用于固定人下颌骨的可调式固定器
DE202013001463U1 (de) * 2013-02-14 2013-03-22 Peter Krumschmidt Schnarchpflaster
US20160015154A1 (en) 2014-07-18 2016-01-21 Matthew P. Veeder Use of adhesive patch and tension strap to reduce wrinkles in skin
US10799387B2 (en) * 2015-01-26 2020-10-13 BLR Sleepwel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n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63868A (ja) 2022-04-22
CA3014422A1 (en) 2017-08-24
AU2017219742A1 (en) 2018-08-30
WO2017143064A1 (en) 2017-08-24
EP3416598A1 (en) 2018-12-26
CN109219423A (zh) 2019-01-15
JP2019504749A (ja) 2019-02-21
MX2018009891A (es) 2019-02-14
EP3416598A4 (en)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380B2 (ja) 口腔器具
US5915385A (en) Snore and stress relieving device
US20070181135A1 (en) Adjustable headgear assembly for sleep apnea patients
US20070256694A1 (en) System to alleviate snoring
WO1994020051A1 (en) Anti-snore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8521803A (ja) 呼吸補助装置
US20140216469A1 (en)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US20100224197A1 (en) Sleep appliance
KR100618457B1 (ko) 수면 중 코골기 및 호흡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JP6126575B2 (ja) 顎角部サポート用補助器具
JP2010104593A (ja) 舌位置制御装置
US20120160249A1 (en) Tongue advancement device for reducing obstructive sleep apnea condition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U2019262095B2 (en) Breathing assistance oral apparatus
US11246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dibular support
US11166841B1 (en)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 and methods
US10799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noring
KR20180134332A (ko) 하악골 지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JP2014147623A (ja) 呼吸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