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066A -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066A
KR20180134066A KR1020170071479A KR20170071479A KR20180134066A KR 20180134066 A KR20180134066 A KR 20180134066A KR 1020170071479 A KR1020170071479 A KR 1020170071479A KR 20170071479 A KR20170071479 A KR 20170071479A KR 20180134066 A KR20180134066 A KR 2018013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et
dte
distance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066A/ko
Publication of KR2018013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L11/18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26Vehicl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83Setting, resetting, cal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0Weight
    • B60W2530/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8Distance trav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특정 정보의 리셋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에서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기 설정된 리셋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셋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자로부터 리셋 여부를 확인받기 위한 리셋 문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리셋 문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리셋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산출 근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PROVIDING DTE INFOMATION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특정 정보의 리셋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동력원을 함께 사용하는 차를 말하며, 두 가지 동력원은 주로 엔진과 전기모터가 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만을 구비한 차량에 비해 연비가 우수하고 동력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 저감에도 유리하기 때문에 최근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함께, 최근 다양한 전기 자동차(또는 전기차, EV: Electric Vehicle)도 양산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는 전기 모터만을 이용하여 주행 가능한 거리인 "전기차 주행거리(DTE: Distance To Empty)"가 중요한 성능 지표가 된다.
현재 다양한 학습제어 방법이 개발되어 DTE의 정확성이 올라갔지만 전기차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일반 주행뿐 아니라 토잉(towing) 성능까지 갖춘 차종들의 DTE 정확성은 더욱 중요하게 될 전망이다.
현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량이나 EV 차량에서는 배터리에서 보내주는 가용에너지와 누적적으로 저장된 주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DTE 연산을 담당하는 제어기에서 계산된 값을 기준으로 DTE를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출력된 DTE는 운전자에게 주행가능 거리를 알려줌으로써 충전이 필요한 시점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단일 운전자가 아닌 여러명의 운전자(카쉐어링과 같은 개념)가 차량을 공유하는 경우 과거의 주행패턴을 활용한 과거 평균주행전비를 바탕으로 계산한 DTE 표시는 현재 운전자에게 매우 부정확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DTE는 과거와 현재의 주행패턴을 가지고 계산하게 되므로 현재 시점의 다양한 차량 상태를 반영하여 미래의 주행가능거리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토잉 디바이스 장착이나 탑승 인원 변동 등 차량 중량의 큰 변화가 발생한 경우, 실제 주행을 해보지 않고는 미리 DTE를 예측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러스터나 운전자가 쉽게 인지 가능한 위치에 DTE와 함께 표시되는 평균 연비는 쉽게 리셋될 수 있지만, DTE는 다기능제어를 위해 또는 많은 누적 주행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된 값이므로 운전자에게 RESET 하도록 유도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일반 운전자는 DTE를 RESET할 방법도 없다.
본 발명은 DTE 표시 제어가 가능한 전기 자동차 및 그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모드 전환의 방향에 따라 최적의 변속 패턴 전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에서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기 설정된 리셋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셋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자로부터 리셋 여부를 확인 받기 위한 리셋 문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리셋 문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리셋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산출 근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기 설정된 리셋 조건을 판단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리셋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자로부터 리셋 여부를 확인 받기 위한 리셋 문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리셋 문의 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응답으로 리셋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산출 근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소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전기 자동차는 운전제에 의한 DTE 리셋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SOC와 중량 변화와 같은 조건에 따라 운전자에게 DTE 리셋을 유도하거나, 운전자의 의지로 DTE 리셋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제어 계통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DTE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거리 정보 제공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거리 정보 제공 과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조를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내연기관 엔진(ICE, 110)과 변속기(150) 사이에 전기 모터(또는 구동용 모터, 140)와 엔진클러치(EC: Engine Clutch, 130)를 장착한 병렬형(Parallel Type)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이 도시된다.
이러한 차량에서는 일반적으로 시동후 운전자가 엑셀레이터를 밟는 경우, 엔진 클러치(130)가 오픈된 상태에서 먼저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140)가 구동되고, 모터의 동력이 변속기(150) 및 종감속기(FD: Final Drive, 160)를 거쳐 바퀴가 움직이게 된다(즉, EV 모드). 차량이 서서히 가속되면서 점차 더 큰 구동력이 필요하게 되면, 보조 모터(또는, 시동발전 모터, 120)가 동작하여 엔진(110)을 구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엔진(110)과 모터(140)의 회전속도가 동일해 지면 비로소 엔진 클러치(130)가 맞물려 엔진(110)과 모터(140)가 함께, 또는 엔진(110)이 차량를 구동하게 된다(즉, EV 모드에서 HEV 모드 천이). 차량이 감속되는 등 기 설정된 엔진 오프 조건이 만족되면, 엔진 클러치(130)가 오픈되고 엔진(110)은 정지된다(즉, HEV 모드에서 EV 모드 천이).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제동시 휠의 구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를 제동에너지 회생, 또는 회생 제동이라 한다.
시동발전 모터(120)는 엔진에 시동이 걸릴 때에는 스타트 모터의 역할을 수행하며, 시동이 걸린 후 또는 시동 오프시 엔진의 회전 에너지 회수시에는 발전기로 동작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스타트 제너레이터(HSG: Hybrid Start Generator)"라 칭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보조 모터"라 칭할 수도 있다.
상술한 파워 트레인이 적용되는 차량에서 제어기 간의 상호관계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제어 계통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내연기관(110)은 엔진 제어기(210)가 제어하고, 시동발전 모터(120) 및 전기 모터(140)는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220)에 의해 토크가 제어될 수 있으며, 엔진 클러치(130)는 클러치 제어기(230)가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 제어기(210)는 엔진 제어 시스템(EMS: Engine Management System)이라도 한다. 또한, 변속기(150)는 변속기 제어기(250)가 제어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시동발전 모터(120)의 제어기와 전기 모터(140) 각각을 위한 제어기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각 제어기는 그 상위 제어기로서 모드 전환 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ler Unit, 240)와 연결되어, 하이브리드 제어기(240)의 제어에 따라 주행 모드 변경, 기어 변속시 엔진 클러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또는 엔진 정지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그(240)에 제공하거나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 제어기(240)는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모드 전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일례로,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엔진 클러치(130)의 해제(Open) 시점을 판단하고, 해제시에 유압(습식 EC인 경우)제어나 토크 용량 제어(건식 EC인 경우)를 수행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제어기(240)는 EC의 상태(Lock-up, Slip, Open 등)를 판단하고, 엔진(110)의 연료분사 중단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엔진 정지 제어를 위해 시동발전 모터(120)의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토크 지령을 모터 제어기(220)로 전달하여 엔진 회전 에너지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하이브리드 제어기(240)는 과거 주행 데이터를 학습하고, 현재 주행 데이터를 적용하여 배터리 SOC에 따른 DTE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제어기간 연결관계 및 각 제어기의 기능/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 그 명칭에도 제한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제어기(240)는 그를 제외한 다른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해당 기능이 대체되어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제어기들 중 둘 이상에서 해당 기능이 분산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과거 주행 데이터를 학습하고, 현재 주행 데이터를 적용하여 배터리 SOC에 따른 DTE 정보를 계산하는 기능은 AVN 제어기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DTE 관리를 위한 별도의 제어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DTE 산출 및 후술할 DTE 리셋을 운전자에 문의할지 여부까지는 하이브리드 제어기(240)에서 결정하되, DTE 리셋 문의는 클러스터나 AVN 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결국, 기구적 구성 관점에서 DTE 산출 및 리셋을 위해서는, 적어도 DTE를 산출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DTE를 산출하는 제어기와, 리셋을 위한 문의/명령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제어기가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전기차의 경우 도 1 및 도 2에서 내연기관, 엔진 클러치, HSG와 관련된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DTE 산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DTE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과거 주행 평균 연비가 연산될 수 있다(S310). 또한, 과거 주행시 공조 소모 평균 에너지 비율이 연산될 수 있다(S320). 공조 소모 평균 에너지 비율을 과거 주행 평균 연비에 적용하면, 공조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온전히 주행에 의해 소모되는 과거 주행 평균 연비가 계산될 수 있다(S330).
현재의 주행 평균 연비가 계산되면(S340), 과거의 주행 평균 연비를 블렌딩하여 주행 연비가 연산될 수 있다(S350).
현재 공조 장치 소모 전력에 상응하는 연비를 구한 후(S360), 블렌딩으로 연산된 주행 연비를 적용하면 최종 평균 연비가 산출될 수 있다(S370).
현재 배터리 SOC에 산출된 최종 평균 연비를 적용하는 경우 최종 주행 가능 거리(DTE)가 연산될 수 있다(S380).
상술한 바와 같이 구해진 DTE는 과거 주행 기록이 적용되며, DTE 연산 당시에는 차량의 중량 변화 등의 조건이 바로 적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 차량 상황에 맞는 보다 정확한 DTE 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DTE 리셋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정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자에게 DTE 리셋 여부를 문의하며, 운전자가 리셋 여부 문의에 동의하거나 별도의 리셋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DTE가 리셋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DTE가 리셋된다고 함은 과거 주행 평균 학습치를 리셋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주행 평균 학습치가 리셋됨에 따라 표시되는 DTE는, 기 설정된 기본값을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값은 성인 운전자 1인만 탑승한 차량 중량 및 상온을 기준으로 한 평균 주행 연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조건은 현재 배터리 SOC가 일정 값(이하, 편의상 "SOC_L"이라 칭함) 미만인 경우 및/또는 차량 중량이 일정값(이하, 편의상 "M_LOW"라 칭함)을 초과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먼저, 소정 조건으로 현재 SOC가 고려되는 경우의 주행 거리 정보 제공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거리 정보 제공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SOC가 기 설정된 SOC_L 값 미만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410). 본 판단은 key on(또는 EV/HEV ready)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 수행될 수도 있다.
만일, 현재 SOC가 SOC_L 값 미만인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DTE 리셋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S420). 문의의 형태는 음성 출력 및/또는 시각출력의 형태일 수 있으며, 운전자는 음성인식 또는 명령 입력을 위한 조작계 조작 등을 통해 DTE 리셋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각 출력의 경우 AVN이나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팝업창을 출력하거나, 계기판의 특정 경고등 점등의 형태 등이 될 수 있으며, 조작계는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 키버튼 입력, 다이얼 입력, 제스쳐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전자가 DTE 리셋을 선택하는 경우, DTE 산출을 위한 과거 데이터는 소거되고, 기 결정된 디폴트 설정과 현재 배터리 상태(SOC)에 따른 DTE 값이 출력될 수 있다(S430).
만일, 현재 SOC 값이 SOC_L 값 이상이거나 운전자가 리셋을 거부한 경우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DTE 정보가 산출되어 출력될 수 있다(S440).
한편, SOC 값 외에, 차량의 중량 변동이 DTE 리셋을 트리거하는 조건이 될 수도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거리 정보 제공 과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중량(m)이 기 설정된 M_LOW 값을 초과하고, 현재 SOC가 기 설정된 SOC_L 값 미만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510).
이때, 차량의 중량은 아래 수학식 1의 방법으로 추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m은 차량의 총 추정 중량이고,
Figure pat00002
은 변속기 효율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03
는 타이어의 동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Figure pat00004
는 엔진 클러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는 각각 엔진의 토크와 마찰 토크를 나타낸다. 아울러,
Figure pat00007
는 엔진과 HSG 간의 풀리비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는 각각 HSG의 토크와 전기 모터의 토크를 나타낸다. 끝으로,
Figure pat00010
는 각각 주행 부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하면, 일정 시간 구간(t0에서 t1) 동안 차량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 구간 동안의 힘 적분값을 가속도 값으로 나누는 방법으로 차량의 총 중량이 추정될 수 있다.
물론, 수학식 1은 차량의 총 중량을 추정하는 방법의 일례로, 본 발명은 차량 총 중량의 추정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단계는 key on(또는 EV/HEV ready) 상태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수학식 1의 계산법은 소정 시간만큼의 주행이 필요하기 때문에 key on후 일정 시간 이상 주행이 이루어진 경우 수행될 수도 있다.
차량 중량(m)이 기 설정된 M_LOW 값을 초과하고, 현재 SOC가 기 설정된 SOC_L 값 미만인 경우, 운전자에게 DTE 리셋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S520). 문의의 형태는 음성 출력 및/또는 시각출력의 형태일 수 있으며, 운전자는 음성인식 또는 명령 입력을 위한 조작계 조작 등을 통해 DTE 리셋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각 출력의 경우 AVN이나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팝업창을 출력하거나, 계기판의 특정 경고등 점등의 형태 등이 될 수 있으며, 조작계는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 키버튼 입력, 다이얼 입력, 제스쳐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전자가 DTE 리셋을 선택하는 경우, DTE 산출을 위한 과거 데이터는 소거되고, 기 설정된 디폴트 값에 따른 DTE 값이 출력될 수 있다(S530).
만일, 현재 SOC 값이 SOC_L 값 이상이거나, 차량 중량(m)이 M_LOW 값 이하이거나, 운전자가 리셋을 거부한 경우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DTE 정보가 산출되어 출력될 수 있다(S540).
물론, 차량에서 DTE 리셋을 제안하지 않는 경우라도, 운전자가 소정 메뉴 조작을 통해 DTE 리셋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S550)에도 DTE 산출을 위한 과거 데이터는 소거되고, 기 설정된 디폴트 값에 따른 DTE 값이 출력될 수 있다(S530).
상술한 주행 가능 거리 표시 방법을 통해, KEY ON 시 SOC 가 일정값(SOC_L)이하에서는 DTE RESET을 위한 팝업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1인 탑승 평균 주행가능거리(과거 주행학습평균 거리 반영 안함)를 알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충전부터 수행할지, 목적지까지 이동하여 충전할지 여부를 바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토잉 디바이스 탈거나 탑승자변화 등 무게 변동 요인이 있는 경우 운전자 요구에 의해 DTE를 RESET 시켜줌으로써 현시점에 1인 주행시 주행가능거리를 표시해 주면 운전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에서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기 설정된 리셋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셋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자로부터 리셋 여부를 확인 받기 위한 리셋 문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리셋 문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리셋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산출 근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근거 정보는,
    과거 주행 평균 연비 학습치를 포함하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하는 단계 이후,
    기 결정된 디폴트 설정 및 배터리 상태에 따라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리셋 조건은,
    배터리 상태(SOC)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및 차량 중량 값이 제2 기준 초과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중량 값은,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자동차에서 수집된 정보를 통해 추정되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중량 값은,
    상기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해 획득된 힘 적분량을 가속도로 나누어 구해지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문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리셋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과거 주행 평균 연비와 연재 주행 평균 연비 및 현재 배터리 상태 값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조건의 만족 여부와 무관하게, 운전자로부터 리셋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산출 근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소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는, DTE(Distance To Empty)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제공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변속 패턴 변경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1.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기 설정된 리셋 조건을 판단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리셋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자로부터 리셋 여부를 확인 받기 위한 리셋 문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리셋 문의 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응답으로 리셋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산출 근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소거하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근거 정보는,
    과거 주행 평균 연비 학습치를 포함하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소거가 수행된 후 기 결정된 디폴트 설정 및 배터리 상태에 따라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2 제어기로 전달하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리셋 조건은,
    배터리 상태(SOC)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및 차량 중량 값이 제2 기준 초과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중량 값은,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자동차에서 수집된 정보를 통해 추정되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중량 값은,
    상기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해 획득된 힘 적분량을 가속도로 나누어 구해지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리셋 문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리셋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과거 주행 평균 연비와 연재 주행 평균 연비 및 현재 배터리 상태 값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2 제어기로 전달하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리셋 조건의 만족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2 제어기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리셋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의 산출 근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소거하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정보는, DTE(Distance To Empty)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071479A 2017-06-08 2017-06-08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 KR20180134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479A KR20180134066A (ko) 2017-06-08 2017-06-08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479A KR20180134066A (ko) 2017-06-08 2017-06-08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066A true KR20180134066A (ko) 2018-12-18

Family

ID=6495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479A KR20180134066A (ko) 2017-06-08 2017-06-08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0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8451A1 (en) * 2019-03-15 2020-09-1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towing mode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8451A1 (en) * 2019-03-15 2020-09-1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towing mode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1247570B2 (en) 2019-03-15 2022-02-1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towing mode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2985B2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predicting driving pattern in the same
KR101974357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CN107253477B (zh) 控制具有压燃式发动机的混合动力车辆的方法
KR101713735B1 (ko) 친환경 차량의 저전압 직류 변환기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친환경 차량의 저전압 직류 변환기
KR101179637B1 (ko) 차량의 제어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차량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4314257B2 (ja) 車両の表示装置および車両の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816780B2 (ja) 車載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それに含まれる部分制御装置
US20130073113A1 (en) Vehicle and method for estimating a range for the vehicle
CN109747627B (zh) 混合动力车辆及该混合动力车辆的加热控制方法
KR10183851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충전 모드 제어 방법
CN103930296A (zh) 再生制动反馈显示系统和方法
CN103171548A (zh) 用于在混合动力车中控制ev模式与hev模式之间的转换的技术
KR20190067376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군집 주행 제어 방법
CN104105627B (zh) 混合动力车辆的管理系统、混合动力车辆的控制装置以及混合动力车辆的控制方法
US20170072937A1 (en) Enhanced electric drive mode having predicted destinations to reduce engine starts
CN103625461A (zh) 用于混合动力车的氧传感器的诊断系统和方法
JP6583298B2 (ja) 電動車両
KR20190069772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경로 탐색 방법
KR10244810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49954A (ko) 전기 모터를 구비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충돌 방지 제어 방법
KR102524295B1 (k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충전 제어 방법
CN109532560A (zh) 混合动力汽车的控制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KR20210029877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제어 방법
KR20180134066A (ko) 전기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거리 정보 제공 방법
JP645945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