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747A - 한우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 Google Patents

한우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747A
KR20180133747A KR1020170070989A KR20170070989A KR20180133747A KR 20180133747 A KR20180133747 A KR 20180133747A KR 1020170070989 A KR1020170070989 A KR 1020170070989A KR 20170070989 A KR20170070989 A KR 20170070989A KR 20180133747 A KR20180133747 A KR 20180133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woo
phosphate
extract
meat
bark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일
최성호
최영석
최정석
이진규
정지택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747A/ko
Publication of KR2018013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30Mea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5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7Reformed meat products other than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2Replac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은 육가공품에 첨가시 저장성 개선 효과(지방산패 저감, 단백질변패 저감 및 유해세균 억제)가 우수할 뿐 아니라, 종래의 인산염 기반의 식품 첨가물이 가지는 문제점을 막을 수 있다. 특히, 한우사골 추출물의 경우 고단백, 저칼로리, 고칼슘 소재로서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바, 식품 첨가제로서 각종 식품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Description

한우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Phosphate substitute compositions using hanwoo shank bones extract, and meat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산염은 인의 산화물에 알칼리성 이온이 결합한 화합물로, 체내에 들어가면 분해되어 인을 만든다. 인산염은 대표적인 식품 첨가물의 하나로, 국내에서 식품 첨가물로 허가된 인산염은 인산철,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제3인산칼륨, 제1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제1인산암모늄, 제2인산암모늄, 제1인산칼슘, 제2인산칼슘, 제3인산칼슘, 제2인산마그네슘, 제3인산마그네슘, 폴리인산나트륨, 폴리인산칼륨, 메타인산나트륨, 메타인산칼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글리세로인산칼륨, 글리세로인산칼슘, 피로인산제이철, 피로인산철나트륨, 산성알루미늄인산나트륨, 염기성알루미늄인산나트륨 등 30 여종에 이른다.
인산염은 육가공품, 해산물,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여러 식품에 첨가되어 식품의 조직력, 유화력 및 관능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튀김요리에 폴리인산나트륨을 첨가하면 바삭한 식감을 낼 수 있고, 반죽에 인산염을 첨가하면 쫄깃한 식감을 낼 수 있고, 음료에 첨가하면 탄산음료 고유의 톡 쏘는 상쾌함을 낼 수 있다. 단무지와 같은 절임식품에 인산염을 첨가하면 색감과 식감이 증가한다. 또한, 햄, 소시지, 치킨, 어묵, 베이컨, 맛살 등의 육가공품에 인산염을 첨가하면 조직력 및 관능성이 증가하고, 커피크림에 인산염을 첨가하여 커피의 신맛을 감소하며 훼더링 현상을 방지하고 풍미를 유지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각종 햄 및 소시지 등의 육가공품은 제조과정 중 원료육에 염지제, 발색제, 보존제, 산화방지제 및 결착제 등의 첨가물을 첨가하고 있다. 이러한 첨가물 중 결착제로서의 인산염은 혼합(mixing),유화(emulsifying)과정에서 보수력을 증가시켜 연도와 다즙성을 개선하고, 단백질, 지방, 물과의 친화력을 형성, 상호간 결착력을 증진시켜 혼합기질(matrix)을 형성하는 작용, 그리고 금속이온을 활성화하여 지방산화를 억제하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등 햄 및 소시지류의 제조에 필수적인 첨가물이다.
이와 같이, 많은 식품에 인산염이 포함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인산염의 섭취가 늘어나, 1990년대 470㎎ 정도에 불과하던 성인의 1일 평균 인산염 섭취량이 이제 1,000㎎에 육박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인산염의 과다 섭취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산염류는 피부질환과 아토피를 유발하는 등 유해성이 높은 대표적인 물질로 분류되고 있으며, 최근, 과도한 인산염의 섭취가 체내의 칼슘, 철 및 마그네슘 균형에 영향을 미쳐 그 결과로 뼈와 관련된 질병의 위험이 증가시킨다는 것이 보고되었고 (J. Nutr. Biochem. 2006, 17:479-484), 동물실험에서 무기인산을 과량 섭취한 쥐의 폐암 증식 속도가 적당량을 섭취한 그룹에 비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나, 인산염 과다 섭취가 폐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보고되기도 하였다(Am J Respir Crit Care Med. 2009 Jan 1;179(1):59-68).
따라서 인산염은 합성 화합물이라는 한계로 인해 최근에 소비자들로부터 꺼려지고 있으며, 더욱이 급격히 증가하는 안전한 식품에 대한 요구로 인해 천연물로의 대체 요구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육가공산업에 있어서 인산염 및 아질산염과 같은 인체 유해 첨가제의 사용 없이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조직특성, 저장성 및 관능성이 우수한 육가공품 발명하고자 노력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을 거쳐 최적의 조건으로 도출된 한우사골 추출물을 육가공품 제조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인산염의 첨가 없이도 저장성 개선(지방산패 저감, 단백질변패 저감 및 유해세균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해조류 분말을 추가로 첨가하는 경우 인산염을 사용한 처리구 대비 더욱 우수한 관능성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191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2731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성이 우수한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체 무해하고 저장성이 우수한 고품질 육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체 무해하고 저장성이 우수한 고품질 육가공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웰빙 육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우사골 추출물은 한우사골 및 한우잡뼈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을 2~3배 중량으로 가하여 100~125℃에서 20~50시간 가열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육가공품, 어육제품, 유가공품, 절임식품, 조미식품, 수산가공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베이커리 제품, 조미료, 음료, 커피, 면, 과자, 김치 및 양념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육가공품은 햄 또는 소시지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가공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육가공품은 해조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육에 한우사골 추출물, 물(또는 얼음) 및 소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원료육 75~85중량%, 한우사골 추출물 5~15중량%, 물 8~10중량% 및 소금 1.0~1.5중량%를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원료육에 한우사골 추출물, 물(또는 얼음) 및 소금 이외에 해조류 분말을 더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육가공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은 육가공품에 첨가시 저장성 개선 효과(지방산패 저감, 단백질변패 저감 및 유해세균 억제)가 우수할 뿐 아니라, 종래의 인산염 기반의 식품 첨가물이 가지는 문제점을 막을 수 있다. 특히, 한우사골 추출물의 경우 고단백, 저칼로리, 고칼슘 소재로서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바, 식품 첨가제로서 각종 식품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물의 추출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은 식품에 사용되는 인산염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육가공품(햄 또는 소시지), 어육제품, 유가공품, 절임식품, 조미식품, 수산가공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베이커리 제품, 조미료, 음료, 커피, 면, 과자, 김치 및 양념장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특별히 그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육가공품에 있어서 첨가제로 사용되는 인산염은 pH와 이온 강도를 증가시켜 보수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육의 pH가는 0.1 ~ 0.2 정도 증가하면서 음이온 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육단백질 내부 공간이 확장되어 보수력이 증진됨); 결착력을 증가시키고(인산염은 고기의 pH를 증가시키고 금속이온을 불활성화시켜서 육단백질 분자 구조 사이에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을 넓혀주는 것 뿐만 아니라 염용성 단백질의 팽화와 용해를 촉진시켜 소시지의 결착력을 증진시킴); 저장성을 개선하는(지방산패를 촉진시키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2가 양이온과 결합하여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지방 산패를 억제시키고 미생물 성장에 필수적인 금속이온들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저장성이 증진됨) 기능을 갖는바, 육가공품의 제조에 필수적인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인산염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산염류는 피부질환과 아토피를 유발하는 등 유해성이 높은 대표적인 물질로 분류되고 있으며, 최근, 과도한 인산염의 섭취가 체내의 칼슘, 철 및 마그네슘 균형에 영향을 미쳐 그 결과로 뼈와 관련된 질병의 위험이 증가시킨다는 것이 보고되었고, 동물실험에서 무기인산을 과량 섭취한 쥐의 폐암 증식 속도가 적당량을 섭취한 그룹에 비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나, 인산염 과다 섭취가 폐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이에, 인산염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육가공에서 결착제로 사용 가능한 물질로는 크게 단백질계의 물질들과 탄수화물계의 물질들이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인산염과 동등한 효능을 보인 명확한 대체 물질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산염을 대체할 수 있는 식품 첨가제로서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한우사골 추출물’은 한우사골에 물을 가하고 열을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로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한우사골 추출물은 한우사골 및 한우잡뼈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을 2~3배 중량으로 가하여 100~125℃에서 20~50시간 가열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한우사골 추출물은 인산염 대체제로서 다양한 식품에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햄, 소시지, 베이컨, 떡갈비와 같은 육가공품에 인산염 대체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가공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육가공품은 관능성 증진을 위해 해조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해조류 분말은 다시마, 미역 및 우뭇가사리의 혼합한 분말일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다시마, 미역 및 우뭇가사리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해조류를 물에 씻어 80℃ 온도의 물에서 7초간 담그었다가 건져내서 수분을 제거한 후 분말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원료육에 한우사골 추출물, 물(또는 얼음) 및 소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원료육은 분쇄물을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육가공품으로 떡갈비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육고기의 살코기 부분을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될 수 있으며, 햄이나 소시지를 제조하고 하는 경우 육고기의 살코기 부분과 지방 부분을 분쇄하여 일정 비율로 혼합한 형태로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육의 형태는 육가공품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한우사골 추출물은 한우사골에 물을 가하고 열을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로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한우사골 추출물은 한우사골 및 한우잡뼈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을 2~3배 중량으로 가하여 100~125℃에서 20~50시간 가열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구성성분들은 원료육 75~85중량%, 한우사골 추출물 5~15중량%, 물 8~10중량% 및 소금 1.0~1.5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육가공품의 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원료육에 한우사골 추출물, 물(또는 얼음) 및 소금 이외에 해조류 분말을 더 혼합하여 육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해조류 분말은 다시마, 미역 및 우뭇가사리의 혼합한 분말일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다시마, 미역 및 우뭇가사리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해조류를 물에 씻어 80℃ 온도의 물에서 7초간 담그었다가 건져내서 수분을 제거한 후 분말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성성분들은 원료육 75~85중량%, 한우사골 추출물 5~15중량%, 물 8~10중량%, 소금 1.0~1.5중량% 및 해조류 분말 0.5~1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가공품 제조방법은 상기 (a) 단계(원료육에 한우사골 추출물, 물(또는 얼음) 및 소금을 혼합하는 단계) 이후에 추가적으로 혼합물을 충진하는 단계; 가열하는 단계; 훈연하는 단계; 및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계를 더 거칠 수 있으며, 육가공품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육가공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육가공품은 인산염 첨가 없이도, 인산염 첨가한 경우 대비 동등하거나 더욱 우수한 저장특성을 보이며; 고단백, 저칼로리, 고칼슘 특성을 가진 한우사골 추출물을 인산염 대체제로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재료 준비
본 실험에서 사용된 한우사골 및 한우잡뼈는 만평축산물(충북 청주시 흥덕구 내수동로 10)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소금(예은암푸드), 인산염((주)이에스과학기술연구소)은 각각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통계분석
본 실험의 통계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The SAS system Release 9.4, 2012)의 General linear model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Tukey's Studentized Range (HSD) Test를 사용하여 유의성 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 실시예 1>
한우사골 최적 추출법 구명
<1-1> 한우사골 추출물 제조
본 발명자는 한우사골 추출물의 최적 추출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가열방식, 시간 및 온도 조건을 달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한우사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한우사골 및 잡뼈를 육절기로 절단 후 흐르는 물에 12시간 담가두어 핏물을 제거하고, 끓는 물에서 30분간 데친 후 불순물(부유지방 등)을 제거하고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사골 4kg에 생수 8L를 부어 처리구별 조건에 따라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감압농축(1L를 100㎖로 농축)하거나 이를 동결건조하여 하기 실험에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자세한 조건은 하기 표 1에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한우사골 추출에 사용된 기기는 경서E&P에서 구입한 전자동 무압력 추출기로서 모델명이 KS220S-25L인 것을 사용하였다. 무압과 압력은 레버를 통해 제어하였으며, 압력조건은 0.15~0.2 MPa이었다.
한우사골 추출물의 조건
처리구 t1 t2 t3 t4
가열식 무압 가열식 무압 가열식 압력 가열식 압력 가열식
재료 한우사골 2kg
한우잡뼈 2kg
한우사골 2kg
한우잡뼈 2kg
한우사골 2kg
한우잡뼈 2kg
한우사골 2kg
한우잡뼈 2kg
시간 (Hour) 24 48 24 48
온도 (℃) 100 100 125 125
<1-2> 한우사골 추출물의 영양성분 분석
먼저 본 실험에서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4종류의 처리구별 한우사골 추출물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수분, 지방, 단백질, 회분(%)은 AOAC방법(1990)에 따라 측정하였다.
처리구별 한우사골 추출물의 영양성분
t1 t2 t3 t4
수분 (%) 96.58±0.07a 94.12±0.08b 93.01±0.14d 93.38±0.09c
단백질 (%) 3.16±0.08d 5.56±0.10c 6.71±0.14a 5.87±0.08b
지방 (%) 0.15±0.01b 0.20±0.01b 0.13±0.03b 0.59±0.14a
회분 (%) 0.08±0.00c 0.09±0.01bc 0.13±0.00ab 0.14±0.03a
칼로리 (cal/g) 127.70 397.25 412.40 388.15
a- d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무압 가열식+24시간+100℃
t2 : 무압 가열식+48시간+100℃
t3 : 압력 가열식+24시간+125℃
t4 : 압력 가열식+48시간+125℃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영양성분 중 수분은 t1 처리구가 96.58%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3 처리구가 93.01%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단백질은 t3 처리구가 6.71%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1 처리구가 3.16%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지방은 t4 처리구가 0.59%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1, t2와 t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회분은 압력 가열식에서 장시간 고온 추출하였을 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칼로리는 t1 처리구가 127.70cal/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t3 처리구가 412.40cal/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1-3> 한우사골 추출물의 당도, 염도, 탁도, 육색 분석
당도는 디지털 당도계(Atago digtal refractometer PAL-3, Japan)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매회 측정시 마다 증류수로 닦아내고 다음 측정을 하였다.
염도는 디지털 염도계(Atago digtal refractometer PAL-03S, Japan)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매회 측정시 마다 증류수로 닦아내고 다음 측정을 하였다.
탁도는 각 시료를 균질하게 섞이도록 흔들어 준 다음 whatman No. 1 여과지로 여과하여 Double beam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90nm에서 transmittance를 측정하였고, 이때 blank는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탁도를 % transmittance로서 나타내었다.
육색(L*, a*, b*)은 백색판(L*, 94.04; a*, 0.13; b*, -0.51)으로 표준화시킨 spectro colormeter(Model JX-777, Color Techno. System Co., Japan)로 측정하였는데, 이때 광원은 백색형광등(D65)을 사용하여 Hunter Lab 표색계의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 그리고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 값으로 나타냈다. 반복은 5반복으로 평균값을 취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한우사골 추출물의 당도, 염도, 탁도, 육색
t1 t2 t3 t4
당도(%) 3.93±0.05d 7.26±0.05c 7.83±0.05b 8.03±0.05a
염도(%) 3.70±0.00d 6.36±0.05c 6.90±0.00b 7.23±0.05a
탁도(%) 0.52±0.00b 2.89±0.02a 0.33±0.01c 0.29±0.00d
Hunter color* L 33.55±0.73b 57.33±0.27a 18.56±0.96d 21.44±0.40c
a 0.61±0.06c -1.48±0.08d 6.63±0.75a 5.14±0.59b
b 5.89±0.47c 6.52±0.14bc 8.51±0.87a 7.16±1.60b
a- d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무압 가열식+24시간+100℃
t2 : 무압 가열식+48시간+100℃
t3 : 압력 가열식+24시간+125℃
t4 : 압력 가열식+48시간+125℃
*L : lightness(명도), a : redness(적색도), b : yellowness(황색도)
가열방식, 시간 및 온도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액의 당도와 염도는 압력 가열식에서 장시간 고온 추출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탁도는 t2 처리구가 2.89%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4 처리구가 0.29%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육색 중 L값은 t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a값은 t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b값은 a값과 같이 t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1-4> 한우사골 추출물의 관능특성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5명의 관능검사요원이 처리구간 색도, 점도, 풍미, 점도 및 전체기호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해 1점은 매우 어둡다, 풍미가 매우 나쁘다, 맛이 매우 나쁘다, 점도가 매우 약하다, 종합기호도가 매우 나쁘다로, 5점은 매우 밝다, 풍미가 매우 좋다, 맛이 매우 좋다, 점도가 매우 강하다, 종합기호도가 매우 좋다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한우사골 추출물의 관능특성
t1 t2 t3 t4
색깔 3.66±0.57b 5.00±0.00a 1.66±0.57c 1.66±0.57c
풍미 3.00±0.00ab 3.33±0.57a 2.33±0.57bc 1.66±0.57c
3.33±0.57a 3.33±0.57a 1.33±0.57b 1.66±0.57b
점도 3.00±0.00b 4.33±0.57a 2.33±0.57bc 2.00±0.00c
종합기호도 3.33±0.57a 3.66±0.57a 2.33±0.57b 2.00±0.00b
a- c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무압 가열식+24시간+100℃
t2 : 무압 가열식+48시간+100℃
t3 : 압력 가열식+24시간+125℃
t4 : 압력 가열식+48시간+125℃
*1점 : 매우 어둡다, 풍미가 매우 나쁘다, 맛이 매우 나쁘다, 점도가 매우 약하다, 종합기호도가 매우 나쁘다
5점 : 매우 밝다, 풍미가 매우 좋다, 맛이 매우 좋다, 점도가 매우 강하다, 종합기호도가 매우 좋다
가열방식, 시간 및 온도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액의 관능특성은 압력 가열식에서 장시간 고온 추출하였을 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무압 가열식에서 48시간 100℃로 추출한 t2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1-5> 한우사골 추출물의 저장특성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1>을 통해 준비된 t1~t4 각 처리구별 돈육 유화물의 품질특성 중에서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기간 중에 pH, 지방산패도(TBA), 총미생물수 및 휘발성염기태질소(VBN)를 일령별로 조사하여 부패진행의 척도로 사용하였다.
pH는 시료 10g을 채취한 후 증류수 100㎖와 함께 stomacher(400 lab blender, seward, London, England)로 30초간 균질하여 pH-meter(WTW pH 720, Germany)로 측정하였다. 반복은 3반복으로 평균값을 취하였다.
지방산패도(TBA, 2-thiobarbituric acid)는 Witte 등(1970)의 추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TBA(2-thiobarbituric acid)수치로 나타내었으며, 시료 10g에 cold 10% perchloric acid 15㎖와 3차 증류수 25㎖를 Homogenizer에서 10,000rpm으로 10초 동안 균질을 한다. 균질액을 Whatman No. 2 filter paper를 사용하여 여과하였으며, 여과액 5㎖와 0.02M thiobarbituric acid(TBA)용액 5㎖를 넣어 완전히 혼합한 다음, 냉암소에서 16시간 방치후 Spectrophotometer(DU-650, Beckman, USA)를 이용하여 529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lank는 3차 증류수를 이용하였다. TBA수치는 시료 1,000g당 ㎎ malonaldehyde(mg malonaldehyde/kg)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standard curve는 y=0.1975x-0.0011 (r=0.999)이었으며, y=흡광도, x=TBA가로 계산하였다.
휘발성염기태질소(VBN, volatile basic nitrogen)는 高坂(1975)의 방법을 이용하여 시료 10g에 증류수 90㎖를 가하여 10,000rpm으로 약 30초 균질한 후, 균질액을 Whatman No. 2 filter paper를 사용하여 여과하였으며, 여과액 3㎖를 Conway unit 외실에 넣고 내실에는 0.01N 붕산용액 1㎖와 지시약(0.066% methyl red + 0.066% bromocresol green)을 3방울 가한다. 뚜껑과의 접착부위에 glycerine을 바르고 뚜껑을 닫은 후 50% K2CO3 1㎖를 외실에 주입을 하고, 즉시 밀폐시킨 다음 용기를 수평으로 교반한 후 37℃에서 12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0.02N H2SO4로 내실의 붕산용액을 적정하였다. 휘발성염기태질소(VBN)의 수치는 100g 시료당 ㎎(㎎%)으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VBN= ((a-b)*F*28.014*100)/시료의 양
- a: 주입된 황산의 양(㎖)
- b: blank에 주입된 황산의 양(㎖)
- f: 0.02N H2SO4 표준화 지수
- 28.014=0.02N H2SO4 1㎖ 소모하는데 필요한 N의 양
한편, 총미생물수는 연속희석법을 이용하여 시료 10g에 0.1% peptone 용액 90㎖를 가하여 stomacher bag으로 30초간 균질을 한다. 이후 연속희석 시킨 시료를 PCA(plate count agar)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시켰다(APHA, 1992). 배양 종료후 colony counter로 count하였다. 총미생물수의 단위는 Log cfu/g으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한우사골 추출물의 저장특성(pH, TMC, VBN, TBA)
항목 저장 t1 t2 t3 t4
pH 0 일 7.60±0.00b 7.71±0.01a 7.33±0.02c 7.10±0.00d
4 일 7.76±0.02b 7.82±0.01a 7.28±0.01c 7.09±0.01d
7 일 7.79±0.05b 7.89±0.00a 7.40±0.01c 7.17±0.01d
TMC
(log cfu/g)
0 일 1.23±0.33 1.30±0.00 1.00±0.00 1.00±0.00
4 일 1.69±0.12a 1.38±0.12ab 1.15±0.21b 1.15±0.21b
7 일 1.69±0.12b 2.69±0.00a 1.30±0.00c 2.81±0.04b
VBN
(mg%)
0 일 14.55±0.54d 23.06±0.98c 39.07±0.96b 55.27±0.31a
4 일 13.81±1.51d 19.21±1.09c 42.91±1.23b 52.71±0.38a
7 일 15.09±0.47d 26.63±4.27c 41.45±0.72b 53.44±0.79a
TBA
(mg malonaldehyde/ 1,000g)
0 일 4.57±0.05a 1.55±0.14b 0.39±0.00d 0.73±0.16c
4 일 5.63±0.11a 1.14±0.04b 0.40±0.00d 0.86±0.03c
7 일 5.33±0.17a 1.11±0.12b 0.47±0.02d 0.91±0.01c
a- d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무압 가열식+24시간+100℃
t2 : 무압 가열식+48시간+100℃
t3 : 압력 가열식+24시간+125℃
t4 : 압력 가열식+48시간+125℃
가열방식, 시간 및 온도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액의 저장특성 중 pH는 저장기간 동안 t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총미생물수를 나타내는 TMC는 저장 0일에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7일의 최종 TMC는 t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휘발성염기태질소를 나타내는 VBN은 저장 0, 4, 7일 모든 기간에서 압력 가열식으로 장시간 고온 추출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t1에서 두드러지게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한편, 지방산패도를 나타내는 TBA는 저장 0, 4, 7일 모든 기간에서 t1 처리구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총미생물수가 낮으면서 휘발성염기태질소(VBN)이 가장 낮은 t1 처리구가 저장성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6> 한우사골 추출물의 무기질 함량
시료를 정확히 vessel에 칭량하여 CMOS급 질산 10㎖를 넣고 180℃에서 20분간 분해한 뒤 100㎖ 볼륨 플라스크에 No.6 여과지를 이용해 vessel안에 있는 시료를 모두 증류수로 씻어내어 여과하여 표선까지 표정한다. 이후 ICP-OES를 이용하여 각 원소별로 standard를 조제하여 측정 후 결과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한우사골 추출물의 무기질 함량(mg/kg)
항목 t1 t2 t3 t4
Ca 8.41±0.38b 10.21±0.46a 9.59±0.06a 10.33±0.33a
Fe 0.53±0.03c 1.61±0.07b 1.58±0.04b 2.12±0.08a
P 25.18±0.76b 27.49±0.02a 27.81±0.30a 28.24±0.99a
Mg 2.81±0.13d 6.09±0.28c 9.66±0.60b 15.68±0.79a
Cu 0.09±0.00c 0.34±0.00a 0.14±0.00b 0.15±0.00b
Zn 0.09±0.01b 0.17±0.00a 0.07±0.00b 0.06±0.00b
K 94.78±5.04c 125.82±4.29b 133.37±4.77ab 141.36±4.53a
Na 197.41±7.70d 319.58±12.13c 361.62±16.09b 428.61±12.49a
a- d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무압 가열식+24시간+100℃
t2 : 무압 가열식+48시간+100℃
t3 : 압력 가열식+24시간+125℃
t4 : 압력 가열식+48시간+125℃
가열방식, 시간 및 온도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액의 무기질 함량은 무압 가열식에서 24시간 100℃로 추출한 t1 처리구의 전체적인 무기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칼슘과 인은 T2, T3와 T4 처리구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철, 마그네슘과 칼륨은 압력 가열식에서 48시간 125℃로 추출한 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구리와 아연은 무압 가열식에서 48시간 100℃로 추출한 t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1-7> 한우사골 추출물의 지방산 조성
지방산 조성은 Folch 등(1957)의 방법으로 메탄올: 클로로포름(1:2, v/v)로 지방을 추출하였으며 가수분해는 Morrison과 Smith(1964)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Varian 3600, Varian,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조건은 silica capillarycolumn(Omegawax 205, 30m×0.32mm I.D., 0.25um filmthickness)을 이용하였고 Injection port 온도는 250℃이었으며 검출기 온도는 260℃로 유지하였다. 분석결과는 전체 피크면적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한우사골 지방산 조성(%)
t1 t2 t3 t4
미리스트산(C14:0) 2.13 2.38 2.22 2.23
팔미트산(C16:0) 23.21 23.68 23.42 23.33
팔미톨레산(C16:ln7) 2.57 2.84 2.76 2.57
스테아르산(C18:0) 17.96 17.39 16.85 17.02
올레산(C18:ln9) 51.18 50.22 51.75 51.35
리놀레산(C18:2n6) 1.86 2.61 1.97 2.64
감마-리놀레산(C18:3n6) 0.06 0.07 0.07 0.07
리놀렌산(C18:3n3) 0.04 0.08 0.05 0.09
에이코센산(C20:ln9) 0.92 0.62 0.84 0.59
아라키돈산(C20:4n6) 0.03 0.07 0.02 0.04
100 100 100 100
t1 : 무압 가열식+24시간+100℃
t2 : 무압 가열식+48시간+100℃
t3 : 압력 가열식+24시간+125℃
t4 : 압력 가열식+48시간+125℃
가열방식, 시간 및 온도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액의 지방산 조성은 올레산(C18:ln9)이 50.22~51.7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팔미트산(C16:0)이 23.21~23.68%로 두 번째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모든 처리구의 지방산 조성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지방산 조성의 비율을 살펴보면 하기 표 8과 같다.
처리구별 한우사골 지방산 조성 비율 비교(%)
t1 t2 t3 t4
SFA(%) 43.31 43.46 42.50 42.59
UFA(%) 56.68 56.53 57.49 57.40
MUFA(%) 54.68 53.69 55.36 54.53
PUFA(%) 2.00 2.84 2.13 2.86
n3 0.04 0.08 0.05 0.09
n6 1.95 2.75 2.07 2.76
t1 : 무압 가열식+24시간+100℃
t2 : 무압 가열식+48시간+100℃
t3 : 압력 가열식+24시간+125℃
t4 : 압력 가열식+48시간+125℃
가열방식, 시간 및 온도에 따른 한우사골 추출액의 지방산 조성 비율을 비교하였을 때 불포화 지방산(UFA)의 비율은 56.53~57.49%였고, 포화 지방산(SFA)의 비율은 42.50~43.46%로 불포화 지방산의 조성 비율이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불포화 지방산 중 단가 지방산(MUFA)의 비율은 53.69~55.36%였고, 다가 지방산(PUFA)의 비율은 2.00~2.86%로 단가 지방산의 조성 비율이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가 지방산 중 n3 지방산의 비율은 0.04~0.09%였고, n6 지방산의 비율은 1.95~2.76%로 n6 지방산의 조성 비율이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모든 처리구의 지방산 조성 비율을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종합한 결과, 고단백, 저칼로리 및 우수한 저장성 등에 t1 처리구가 가장 부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실시예 2>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돈육 혼합물의 품질특성 평가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돈육혼합물의 인산염 대체 효과를 살펴보았다.
<2-1> 돈육 혼합물 제조
돈육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주재료인 분쇄한 원료육에 첨가물로서 한우사골 추출물, 소금, 인산염을 하기 표 9에서 나타내는 배합비에 따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품질특성 평가를 위한 시료로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특히, 본 실험에서 사용한 한우사골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처리군 중 무압 가열식 100℃ 온도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t1 처리구를 사용하였다.
t1 처리구: 한우사골 및 잡뼈를 육절기로 절단 후 흐르는 물에 12시간 담가두어 핏물을 제거하고, 끊는 물에서 30분간 데친 후 불순물(부유지방 등)을 제거하고 세척한 뒤, 사골 4kg에 생수 8L를 부어 무압 가열식 100℃ 온도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10배로 농축한 것으로, 간략하게 ‘한우사골 추출물’이라 명칭한다.
실험에서 사용된 돈육은 충북 도내 정육점(만평축산물)에서 구입한 돼지의 등심 부위를 지름 4.5~8.0mm의 크기로 세절한 후 사용하였다. 분쇄한 원료육에 소금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기타 구성성분을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돈육 혼합물은 진공포장하여 4℃ 온도조건에서 저장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한우사골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구성성분 및 함량(g)
구성성분 처리구
T1 T2 T3 T4
주재료 돈육 등심 440.5 440.5 440.5 440.5
얼음(증류수) 50 50 50 50
첨가물 한우사골 추출물 0 25 50 75
인산염 2.5 1.5 0.5 0
소금 7 7 7 7
<2-2>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돈육의 일반성분 및 육질특성
먼저, 본 실험에서는 상기 표 9에서 나타낸 4종류의 샘플들의 육질 일반성분 및 육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 지방, 단백질, 회분(%)은 AOAC방법(1990)에 따라 측정하였다.
육질의 일반성분 분석은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은 AOAC방법(1980)에 따라 측정하였다.
보수력(WaterHolding Capacity, WHC)은 Laakkonen 등(1970)의 방법에 따라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였다. 분쇄된 시료 0.5±0.05g을 원심분리관의 상부 filter 관에 넣고 80℃ water-bath에 넣고 20분간 가열한 후 10분간 방냉시켰다. 상부 filter관을 원심분리관 하부에 넣고 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한 후 남은 시료를 가열 전 시료무게 비율로 표시하였다.
가열감량은 3㎝ 두께의 우육 슬라이스를 원형(중량 150±5g)으로 정형한 후 Polypropylene bag에 넣고 진공포장하여 70℃ water-bath에 넣고 40분간 가열한 후 30분간 방냉시킨 후, 가열 후 감량된 무게를 초기시료의 무게비율(%)로 측정하였다.
한우사골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일반성분 및 육질특성
평가항목 T1 T2 T3 T4
일반성분(%) 수분 74.03±0.47a 73.90±0.36a 72.51±0.76b 73.91±0.18a
단백질 20.45±0.60c 20.94±0.40bc 22.64±0.77a 21.70±0.17ab
지방 2.93±0.13a 2.80±0.03a 2.59±0.08b 2.37±0.02c
회분 2.57±0.01a 2.34±0.01b 2.24±0.02c 2.00±0.06d
육질특성 보수력 69.57±3.79a 56.92±2.26b 55.00±7.33b 49.04±3.60b
가열감량(%) 12.76±0.39d 21.24±0.28c 26.98±0.58b 29.59±1.50a
a- d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한우사골 추출물 0g+인산염 2.5g
T2 : 한우사골 추출물 25g+인산염 1.5g
T3 : 한우사골 추출물 50g+인산염 0.5g
T4 : 한우사골 추출물 75g+인산염 0g
그 결과 상기 표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우사골 추출물 및 인산염 수준에 따른 일반성분 중 수분은 T1, T2와 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단백질은 T1과 T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T3와 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에 지방, 회분과 보수력은 한우사골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인산염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가열감량은 한우사골 추출물 첨가 수준이 높고, 인산염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가열감량 값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돈육의 pH
본 실험에서는 상기 표 9에서 나타낸 4종류의 샘플들의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pH를 측정하였다. pH는 10g을 채취한 후 증류수 100㎖와 함께 stomacher(400 lab blender, seward, London, England)로 30초간 균질하여 pH-meter(WTW pH 720, Germany)로 측정하였다. 반복은 3반복으로 평균값을 취하였다.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돈육의 pH 변화
T1 T2 T3 T4
0 일 5.96±0.01a 5.85±0.01b 5.66±0.01c 5.60±0.01d
5 일 6.14±0.00a 5.94±0.01b 5.75±0.00c 5.69±0.00d
a- d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한우사골 추출물 0g+인산염 2.5g
T2 : 한우사골 추출물 25g+인산염 1.5g
T3 : 한우사골 추출물 50g+인산염 0.5g
T4 : 한우사골 추출물 75g+인산염 0g
저장기간 중 pH는 저장 0, 5일 모든 기간에서 한우사골 추출물 첨가 수준이 높고, 인산염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pH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pH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pH 증가는 육단백질 내부의 공간이 확장되어 그 사이로 물을 포집할 수 있어 보수력이 증진되며, 염용성 단백질의 팽화와 용해를 촉진시켜 육즙과 지방분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시지와 같은 돈육혼합물의 경우 5.7 이상에서는 보수력 및 결착력이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상기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보수력 및 결착력이 증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4>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돈육 혼합물의 조직특성
본 실험에서는 한우사골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조직감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Rheometer(Compac-100, Sun Scientific Co., Japan)를 사용하여 mastication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2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한우사골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조직특성
T1 T2 T3 T4
탄력성(%) 83.78±3.16a 85.43±3.18a 68.21±5.19b 68.39±14.53b
응집성(%) 67.97±1.22a 55.84±5.59b 49.59±2.53c 43.04±2.82d
씹힘성(g) 323.61±58.27a 284.31±61.17a 89.88±6.35b 76.19±12.29b
깨짐성(g) 27210.41±5606.15a 24339.80±5635.01a 6143.32±777.55b 5270.82±1650.50b
a- d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한우사골 추출물 0g+인산염 2.5g
T2 : 한우사골 추출물 25g+인산염 1.5g
T3 : 한우사골 추출물 50g+인산염 0.5g
T4 : 한우사골 추출물 75g+인산염 0g
조직특성 중 탄력성, 씹힘성과 깨짐성은 T1과 T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고, T3와 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응집성은 한우사골 추출물 첨가 수준이 높고, 인산염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2-5>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돈육 혼합물의 육색
육색은 백색판(L*, 94.04; a*, 0.13; b*, -0.51)으로 표준화시킨 spectro colormeter(Model JX-777, Color Techno. System Co., Japan)로 측정하였는데, 이때 광원은 백색형광등(D65)을 사용하여 Hunter Lab 표색계의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 그리고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 값으로 나타냈다. 반복은 5반복으로 평균값을 취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3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한우사골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육색
T1 T2 T3 T4
가열 전 L 47.17±0.99d 48.40±1.78c 51.98±1.39b 53.79±1.04a
가열 전 a 4.93±0.38a 4.80±0.56a 3.99±0.44b 3.43±0.22c
가열 전 b 9.04±0.43d 10.75±0.72c 13.00±0.37b 14.84±0.32a
가열 후 L 72.17±1.21 71.88±1.78 71.51±0.81 72.53±0.94
가열 후 a 3.59±0.59b 4.29±0.80a 4.40±0.16a 4.12±0.22a
가열 후 b 12.63±0.66c 14.82±1.14b 16.34±0.86a 16.20±0.50a
a- d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한우사골 추출물 0g+인산염 2.5g
T2 : 한우사골 추출물 25g+인산염 1.5g
T3 : 한우사골 추출물 50g+인산염 0.5g
T4 : 한우사골 추출물 75g+인산염 0g
*L : lightness(명도), a : redness(적색도), b : yellowness(황색도)
육색 중 가열 전 L과 b값은 한우사골 추출물 첨가 수준이 높고, 인산염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가열 전 a값은 반대로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가열 후 L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열 후 a값은 한우사골 추출물이 첨가된 T2, T3와 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가열 후 b값도 T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한우사골 추출물이 첨가된 T3와 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2-6>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돈육 혼합물의 저장특성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2-1>을 통해 준비된 T1~T4 각 처리구별 돈육 혼합물의 품질특성 중에서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기간 중에 지방산패도(TBA), 총미생물수 및 휘발성염기태질소(VBN)를 일령별로 조사하여 부패진행의 척도로 사용하였다. 실험의 저장조건은 진공포장 후 4℃에서 14일간 저장시키면서 분석하였다.
저장기간 중에 지방산패도(TBA), 총미생물수 및 휘발성염기태질소(VBN) 분석방법은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돈육 혼합물의 지방산패도, 총미생물수, 휘방성염기태질소
항목 저장 처리구
T1 T2 T3 T4
TBA(mg malonaldehyde/ 1,000g) 0일 0.43
±0.05a
0.30
±0.05b
0.24
±0.04b
0.25
±0.02b
5일 0.24
±0.03
0.25
±0.03
0.24
±0.02
0.27
±0.02
10일 0.33
±0.06a
0.31
±0.03b
0.28
±0.02c
0.29
±0.01c
VBN(mg%) 0일 14.18
±1.38b
14.68
±1.35b
16.33
±0.19ab
17.58
±2.09a
5일 17.93
±0.83b
16.56
±1.10c
17.31
±0.98b
18.13
±1.51a
10일 19.57
±0.41a
17.40
±0.4c
18.53
±0.58b
18.23
±1.74b
총미생물수
(Log cfu/g)
0일 2.15
±0.21
2.30
±0.00
2.38
±0.12
2.38
±0.12
5일 2.87
±0.04b
3.87
±0.04a
3.15
±0.21b
3.65
±0.06a
10일 4.22
±0.14
4.16
±0.01
4.48
±0.14
4.25
±0.02
a- c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한우사골 추출물 0g+인산염 2.5g
T2 : 한우사골 추출물 25g+인산염 1.5g
T3 : 한우사골 추출물 50g+인산염 0.5g
T4 : 한우사골 추출물 75g+인산염 0g
저장특성 중 지방산패도를 나타내는 TBA는 저장 0일에 한우사골 추출물이 첨가된 T2, T3와 T4 처리구가 T1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저장 10일에도 한우사골 추출물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휘발성염기태질소를 나타내는 VBN은 저장 0일에 한우사골 추출물 첨가 수준이 높고, 인산염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VBN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장 10일에는 T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2~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총미생물수를 나타내는 TMC는 저장 0일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5일에는 T1과 T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저장 10일에는 각 처리구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한우사골 추출물이 인산염을 대체하여 저장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돈육 혼합물의 관능특성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2-1>을 통해 준비된 T1~T4 각 처리구별 돈육 혼합물의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관능평가는 5인의 판정요원이 주관적으로 색깔, 쓴맛, 풍미, 조직감, 다즙성 및 종합기호도의 6개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배점은 1점(매우 나쁘다)에서 5점(매우 우수하다)으로 평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15에서 나타내었다.
한우사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관능특성
T1 T2 T3 T4
색깔 4.00±0.00 3.50±0.54 3.50±0.54 3.50±0.54
쓴맛 2.66±0.51b 3.00±0.89b 3.50±0.54ab 4.33±0.81a
풍미 3.50±0.54a 3.00±0.63ab 2.66±0.51b 2.50±0.54b
조직감 3.83±0.40a 3.00±0.63b 2.66±0.51bc 2.00±0.63c
다즙성 2.83±0.40 3.33±0.81 3.16±0.98 3.16±0.98
종합기호도 3.53±0.40a 3.40±0.54ab 3.22±0.63bb 3.20±0.51b
a- c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한우사골 추출물 0g+인산염 2.5g
T2 : 한우사골 추출물 25g+인산염 1.5g
T3 : 한우사골 추출물 50g+인산염 0.5g
T4 : 한우사골 추출물 75g+인산염 0g
*1점 : 매우 어둡다, 매우 쓰다, 풍미가 매우 나쁘다, 매우 무르다, 매우 다즙하지 않다, 종합기호도가 매우 나쁘다
5점 : 매우 밝다, 매우 쓰지 않다, 풍미가 매우 좋다, 매우 단단하다, 매우 다즙하다, 종합기호도가 매우 좋다
관능특성 중 색깔과 다즙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풍미, 조직감과 종합기호도는 한우사골 추출물 첨가 수준이 높고, 인산염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쓴맛은 인산염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각 처리구별 종합기호도가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 실시예 3>
한우사골 추출물 및 해조류를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품질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본 발명의 한우사골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경우 인산염 첨가군 대비 기호도 향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해조류로서 다시마, 미역 및 우뭇가사리의 혼합물을 첨가함에 따른 돈육 혼합물의 관능특성과 저장성 개선을 평가하였다.
<3-1> 한우사골 추출물 및 해조류를 이용한 돈육 혼합물 제조
실험에서 사용된 돈육은 충북 도내 정육점에서 구입한 돼지의 등심 부위를 지름 4.5~8.0mm의 크기로 세절한 후 사용하였다. 분쇄한 원료육은 혼합기에 투입하여 다른 구성성분과 혼합하였으며, 충진한 다음 가열 및 냉각(가열 80℃, 훈연은 온도 76~82℃, 습도 40~50%, 시간 2시간, 냉각 4℃) 공정을 거쳐 진공포장하여 4℃ 온도조건에서 저장하면서 시료도 사용하였다.
한편,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및 우뭇가사리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해조류를 물에 씻어 80℃ 온도의 물에서 7초간 담그었다가 건져내서 수분을 제거한 후 분말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돈육 혼합물 전체 구성요소의 배합비는 하기 표 16에서 나타내었다.
한우사골 추출물 및 해조류를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구성성분 및 함량(g)
구성성분 처리구
T1 T5 T6 T7
주재료 돈육 등심 440.5 440.5 440.5 440.5
얼음(증류수) 50 50 50 50
첨가물 한우사골 추출물 0 25 50 75
인산염 2.5 1.5 0.5 0
소금 7 7 7 7
해조류 분말 0 5 5 5
<3-2> 한우사골 추출물 및 해조류를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저장특성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3-1>을 통해 준비된 T1, T5, T6, T6 각 처리구별 돈육 혼합물의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기간 중에 지방산패도(TBA), 총미생물수 및 휘발성염기태질소(VBN)를 일령별로 조사하여 부패진행의 척도로 사용하였다. 실험의 저장조건은 진공포장 후 4℃에서 14일간 저장시키면서 분석하였다.
저장기간 중에 지방산패도(TBA), 총미생물수 및 휘발성염기태질소(VBN) 분석방법은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돈육 혼합물의 지방산패도, 총미생물수, 휘방성염기태질소
항목 저장 처리구
T1 T5 T6 T7
TBA(mg malonaldehyde/ 1,000g) 0일 0.43
±0.05a
0.32
±0.00b
0.28
±0.02bc
0.26
±0.02c
5일 0.24
±0.03
0.24
±0.01
0.25
±0.04
0.24
±0.02
10일 0.33
±0.06a
0.28
±0.03c
0.28
±0.02c
0.30
±0.01b
VBN(mg%) 0일 14.18
±1.38b
15.02
±1.35b
18.21
±0.19a
18.80
±2.09a
5일 17.93
±0.83
17.56
±1.10
17.99
±0.12
18.01
±0.02
10일 19.57
±0.41a
17.40
±0.2c
18.52
±0.44b
19.50
±1.02a
총미생물수
(Log cfu/g)
0일 2.15
±0.21
2.52
±0.02
2.20
±0.15
2.21
±0.14
5일 2.87
±0.04b
3.02
±0.12a
3.25
±0.02a
3.58
±0.08a
10일 4.22
±0.14
4.52
±0.12
4.25
±0.25
4.60
±0.02
a- c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한우사골 추출물 0g+인산염 2.5g
T5 : 한우사골 추출물 25g+인산염 1.5g+해조류 5g
T6 : 한우사골 추출물 50g+인산염 0.5g+해조류 5g
T7 : 한우사골 추출물 75g+인산염 0g+해조류 5g
저장특성 중 지방산패도를 나타내는 TBA는 저장 0일에 한우사골 추출물과 해조류가 첨가된 T5, T6와 T7 처리구가 T1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저장 10일에는 T5, T6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휘발성염기태질소를 나타내는 VBN은 저장 0일에 한우사골 추출물 첨가 수준이 높고, 인산염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VBN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장 10일에는 T1과 T7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T5과 T6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총미생물수를 나타내는 TMC는 저장 0일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5일에는 T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저장 10일에는 각 처리구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3> 한우사골 추출물 및 해조류를 첨가한 돈육 혼합물의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상기 실시예<2-7>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하는 하기 표 18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한우사골 추출물 및 해조류의 첨가에 따른 관능특성
T1 T5 T6 T7
색깔 4.00±0.00a 3.80±0.21b 3.80±0.40b 3.80±0.44b
쓴맛 2.66±0.51b 3.12±0.20ab 3.68±0.80ab 4.20±0.22a
풍미 3.50±0.54c 3.88±0.20a 3.80±0.25b 3.82±0.02b
조직감 3.83±0.40b 3.90±0.21a 3.89±0.40a 3.90±0.20a
다즙성 2.83±0.40c 3.35±0.42b 3.50±0.00a 3.52±0.02a
종합기호도 3.53±0.40c 3.80±0.80b 3.93±0.54a 3.94±0.51a
a- c각 처리구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T1 : 한우사골 추출물 0g+인산염 2.5g
T5 : 한우사골 추출물 25g+인산염 1.5g+해조류 5g
T6 : 한우사골 추출물 50g+인산염 0.5g+해조류 5g
T7 : 한우사골 추출물 75g+인산염 0g+해조류 5g
*1점 : 매우 어둡다, 매우 쓰다, 풍미가 매우 나쁘다, 매우 무르다, 매우 다즙하지 않다, 종합기호도가 매우 나쁘다
5점 : 매우 밝다, 매우 쓰지 않다, 풍미가 매우 좋다, 매우 단단하다, 매우 다즙하다, 종합기호도가 매우 좋다
관능특성 중 색깔은 T1이 가장 높은 반면, 풍미, 조직감 및 다즙성의 경우 한우사골 추출물과 해조류를 첨가한 T5~T7 처리구에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종합기호도의 경우 인산염의 첨가 없이 한우사골 추출물을 75g 첨가한 T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본 발명의 한우사골 추출물이 인산염을 대체하여 저장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관능특성 개선을 위해서는 해조류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우사골 추출물은 한우사골 및 한우잡뼈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을 2~3배 중량으로 가하여 100~125℃에서 20~50시간 가열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육가공품, 어육제품, 유가공품, 절임식품, 조미식품, 수산가공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베이커리 제품, 조미료, 음료, 커피, 면, 과자, 김치 및 양념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육가공품은 햄 또는 소시지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용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5. 한우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가공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육가공품은 해조류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가공품.
  7. 원료육에 한우사골 추출물, 물(또는 얼음) 및 소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원료육 75~85중량%, 한우사골 추출물 5~15중량%, 물 8~10중량% 및 소금 1.0~1.5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가공품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원료육에 한우사골 추출물, 물(또는 얼음) 및 소금 이외에 해조류 분말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가공품 제조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육가공품.
KR1020170070989A 2017-06-07 2017-06-07 한우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KR20180133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89A KR20180133747A (ko) 2017-06-07 2017-06-07 한우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89A KR20180133747A (ko) 2017-06-07 2017-06-07 한우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747A true KR20180133747A (ko) 2018-12-17

Family

ID=6500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989A KR20180133747A (ko) 2017-06-07 2017-06-07 한우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7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62B1 (ko) 2020-10-19 2021-06-01 권용문 문경약돌을 먹인 한우의 사골농축액을 이용한 다용도 간장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62B1 (ko) 2020-10-19 2021-06-01 권용문 문경약돌을 먹인 한우의 사골농축액을 이용한 다용도 간장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ández‐Ginés et al.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logna sausages made with citrus fiber
Kumar et al. The storage stability and textur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low‐fat ground pork patties with Carrageenan as fat replacer
do Amaral et al. Development of a low fat fresh pork sausage based on chitosan with health claims: Impact on the quality, functionality and shelf-life
EP2263482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oil-containing meat-based products comprising a reduced amount of additives
Okokon et al. Proximat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freshly produced apple fruit juic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treated with natural and artificial preservatives
KR101091068B1 (ko)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이용한 육가공 제품의 제조방법
Ninan et al. Frozen storage studies of value‐added mince‐based products from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peters 1852)
Badr et al. Effect of addition watermelon rind powder on quality criteria and microbial aspects of beef burger patties during frozen storage periods
Kumar et al. Evaluation of sodium alignate as a fat replacer on processing and shelf-life of low-fat ground pork patties
KR20180133747A (ko) 한우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인산염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품
CN111919883A (zh) 一种用于低温调理肉制品的复配保水保油剂及其应用方法
Hashem et al. Effect of sodium alginate on the quality of chicken sausages
Barbut et al. Lipid oxidation in chicken nuggets as affected by meat type, phosphate and packaging
KR101860204B1 (ko) 무간수 기능성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0855B1 (ko) 저장성이 향상된 저염 유화형 식육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5822B1 (ko) 유청단백질 및 구아검을 포함하는 육가공 제품의 제조방법
Baioumy et al. Effect of quinoa seed and tiger nut mix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 beef patties.
Miller et al. Effects of various phosphates on the palatability, appearance and storage traits of flaked and formed restructured beef steaks
RU2436417C1 (ru) Паштет крабовый натуральный
KR20130131560A (ko) 기계발골계육을 함유한 닭고기 패티의 제조방법
KR100887240B1 (ko) 과메기 식해 조성물 및 제조 방법
Abdulrahem et al. Effect of concentrations of basil seed gum on the sensory properties of chicken sausage
Thakur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 of oregano essential oil on shelf‐life of chicken patties
KR20160080341A (ko) 흑마늘 김치소스 햄버그스테이크의 제조방법
Sánchez-Zapata et al. The effect of replacing water with tiger nut milk (Horchata) liquid coproduc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oxidation (haemopigments and lipids) of a cooked pork liver meat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