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437A - 신규의 erbb2-표적화 항체 - Google Patents

신규의 erbb2-표적화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437A
KR20180133437A KR1020187031322A KR20187031322A KR20180133437A KR 20180133437 A KR20180133437 A KR 20180133437A KR 1020187031322 A KR1020187031322 A KR 1020187031322A KR 20187031322 A KR20187031322 A KR 20187031322A KR 20180133437 A KR20180133437 A KR 20180133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erbb2
nucleic acid
domain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오나르도 시빌리오
파트리지오 지아코미니
Original Assignee
이스티튜토 바이오키미코 이탈리아노 지오바니 로렌치니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티튜토 바이오키미코 이탈리아노 지오바니 로렌치니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이스티튜토 바이오키미코 이탈리아노 지오바니 로렌치니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13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3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translation products of onco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282Platin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61K2039/507Compri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parate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체, 특히 ERBB2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의 신규의 에피토프를 결합시키는 단클론 항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의 특징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료 항체로는 할 수 없는 신규의 및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수용체-매개의 신호발생 및 생물학적 다운스트림 효과에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항체 및 이의 인간화 유도체로 이루어진 조성물, 또한 ERBB2-저농도/무증폭 유방암에 대해 이 항체 및 유도체를 특히 트라스투주맙 및 페르투주맙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의 ERBB2-표적화 항체
본 발명은 항체 분야 특히 ERBB2 티로신 키나제의 신규한 에피토프를 결합시키는 항체에 관한 것이다.
암은 국소적으로 성장 및/또는 원거리의 장기에까지 침입 및/또는 분포되는(전이) 변형 세포의 급속한 증식을 총괄적으로 정의하는 일반 용어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 원인의 1위를 차지하는데 대부분 이러한 전이에 기인하며 특히 유방암은 그 중 다섯번째 사망원인이다(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97/en/index.html).
성장인자에 대한 이상 반응은 인체 종양의 자연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RTK)의 ERBB 패밀리는 이량체 수용체 조합의 개입하에 신호발생하는 4개의 일원 (상피 성장인자 수용체 ERBB1 혹은 HER-1 내지 ERBB-4 혹은 HER-4)을 포함한다. ERBB2 (또한 HER2 혹은 Neu-Erb 라고 함)는 공유된 (바람직한) 이종이량체화 파트너, 마스터 코디네이터 및 적분체(integrator)이다. 이상 ERBB 신호 발생은 성상세포종, 두개 및 경부 편평세포암, 유방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 또한 흑색종과 육종을 포함한 인체 종양의 발병 원인으로서 동반된다. 대부분 유전자 증폭에 기인하는 ERBB2 과발현은 유방암 중 약 30%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검출 가능하고, 이는 공격적인 임상과정에 관련하며 나쁜 예후를 예견하는 것이다.
뉴레굴린(NRG1) 혹은 소위 헤르굴린(HRG)을 포함한 몇가지 자연 성장인자가 개입될 경우, ERBRTK 수용체는 포스포릴화하여 발암성 세포내 신호발생 캐스캐이드, 특히 세포 증식과 세포 생존에 각각 수반되는 RAS-RAF-MAPK-ERK 및 PI3K-AKT 경로를 촉발한다.
또다른 접근 방식 중에서 수용체 분자의 외배엽 도메인에 대한 항체가 ERBB2 경로를 표적화하는 가장 성공적인 전략을 제공했다. 표현형 트라스투주맙(Herceptin®) 및 페르투주맙(Omnitarg®) 항체 같은 치료용 항체가 암치료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이는 종래의 항세균 발육성 작용제 및 화학치료제 등과 달리 상기의 항체는 특별히 악성세포에 대한 제한 분포의 항원 구조를 표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트라스투주맙 및 페르투주맙 (이하 TTZ 및 PTZ)은 재조합 인간화 항체로서 단독으로 혹은 화학요법과 조합하여 이용하며, 현재는 ERBB2-과발현/ERBB2-증폭 유방암 환자에 대한 바람직한 치료 선택사양 중에 정기적으로 포함된다. TTZ과 PTZ의 조합체는 활성적이며 기존 TTZ 치료시 진행성을 나타냈던 전이성 HER2-양성 유방암 환자에서 우수한 내성을 갖는다 (Baselga J, et al.J Clin Oncol 2010;28:1138-44).
불행히도 TTZ는 ERBB2 원-종양형성 유전자가 과발현 및/또는 증폭되는 유방암 병변을 가진 환자에서만 임상적으로 효과적이다. 이러한 환자를 동정하기 위하여, 국제 우수 임상실험 지침서에서는 IVD-인증 면역조직화학 키트를 사용할 것을 처방하고 있다. 환자에게는 염색도가 3+ 강도 (높음, 고리형 균일 염색)에 도달하는 혹은 적어도 2+ (예: 병변의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불완전 고리 패턴 및/또는 불균일성)일 때 TTZ 치료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후자의 경우 세포유전학적 방법으로 평가한 바와 같이 유전자를 증폭시켜야 한다 (http://www.cap.org/apps/docs/committees/immunohistochemistry/summary_of_recommendations.pdf).
이와 대조적으로, 기타의 모든 유방암 환자들은 (ERBB2 1+/2+; 무증폭) 대다수가 (약 70%) 항체-매개의 ERBB2 수용체 차단의 이점을 가질 수 없고, 진단시 ERBB2-고농도 종양은 치료학적 항-ERBB2 압력을 벗어나기 위해 이차적으로 ERBB2를 상실할 수 있으며 (Tortora J. Natl. Cancer Inst. 2011; 43:95-8), 이는 재발/진행 중인 부자격 환자 수의 증가를 가져온다. 따라서 항체 요법의 응용 범위를 이러한 혼성 ERBB2-저농도 그룹 중의 적어도 일부 환자들에게로 확대하는 것이 크게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ERBB2에 대한 추가적인 항체를 개발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 항체들, 기본적으로 TTZ 및 PTZ와의 보완성, 대체성 및/또는 공동상승 효과가 있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이러한 신규의 항체들이 ERBB2-고농도 및 ERBB2-고농도 설정치에서 모두 작용하여, 한편으로는 TTZ-민감성 종양에 대한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하며 또다른 한편으로는 저농도 ERBB2 발현에 기인한 치료에 대한 1차적 및 2차적인 내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여러 연구진에서 ERBB2에 대한 다수의 단클론 항체들을 개시하였으나, 대부분의 경우 이들의 시험관내 및 체내 항신생물질 (즉, 항종양)의 특성은 구체적으로 평가된 바가 없었다. 예를 들어, Digiesi G. et al.는 뮤린 mAb의 제조 및 종양 유전자 GP185HER2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이의 특성화에 대해 개시했다(Hybridoma 1992, 11(4), 519-527). Lombardi A. et al (Protein Expr. Purif. 2005, 44(1) 10-15) 및 Galeffi P. et al. (J. Translational Medicine 2006, 4(39), 1-13)는 대장균, 식물 및 세포 무함유 계통내 ErbB-2에 대한 단일 사슬 항체의 발현에 대해 기술했다. 그러나 이들 IgGs의 코드화 DNA 서열이나, 분자, 생화학적, 생물학적 및 항증식성 특성들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TZ 및 PTZ 이외의 항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항체는 암치료를 위해 특히 ERBB2-고농도/증폭 및 ERBB2-저농도/무증폭 유방암 세포들 모두 및 마우스 이종이식체에 있어서 ERBB2 수용체 차단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단독으로 혹은 TTZ 및 PTZ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ErbB2의 세포외 도메인에 위치한 에피토프를 결합시키는 특이적이고 신규한 항체를 동정, 특성화 및 인간화했다. 이 에피토프는 TTZ 및 PTZ에 의해 인지된 다른 에피토프들과 구별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상기 결합의 특이적인 점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료 항체로는 얻을 수 없는 새로운 및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수용체-매개의 신호발생 및 생물학적 다운스트림 효과에 부가적인/공동상승 작용적인 개입이 가능하다 것이다. 신규의 항체는 또한 TTZ이 낮은 임상효능을 갖는다고 예상되는 ERBB2 저농도 발현의 종양에서 종양의 퇴행을 유도할 수 있다. 덧붙여서, 신규의 항체는 ERBB2-과발현 종양 및 ERBB2-저농도 종양 모두에서 부가적인 형태로 종양 퇴행을 유도함으로써 TTZ 및 PTZ과의 공동상승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ERBB2의 특이적인 에피토프를 결합하는 항체 혹은 그 단편으로서 이는:
a) SEQ ID NO:1에서 상보성 결정부위 (CDRs, 밑줄친 굵은글씨 부분)에 대해 적어도 80%의 동일성을 갖는 중사슬 가변형(VH) 도메인; 및
b) SEQ ID NO:2에서 상보성 결정부위 (CDRs, 밑줄친 굵은글씨 부분)에 대해 적어도 80%의 동일성을 갖는 경사슬 가변형(VL) 도메인을 포함한다.
VH 서열 (SEQ ID NO:1)
QVQLVQSGAEVKKPGASVKISCKAS GYTFSNYWIEW VRQAPGQGLEWMG EILPGSGSTNYNEKLK GRVTSTRDTSISTAYMELSRLRSDDTGVYY CARGGGNYPYYFDY WGQGTTVTVSS
VL 서열 (SEQ ID NO:2)
DIQMTQSPSTLSASVGDRVT ITCKASQDVGTAVA WYQQKPGKAPKLLIY WASTRHTGVP SRFSGSGSGTEFTLTISSLQPDDFA DYFCQQYSSYRTFGAG TKLEIK
놀랍게도 본 발명의 항체는 TTZ 및 PTZ 양쪽과의 공동상승 작용으로 또한 TTZ 및'PTZ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쪽에 대해 불응하는 종양에서 시험관내 및 체내의 BB2-지속형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이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인 mAb W6/800이라는 항체는 TTZ 및 PTZ과는 상이하다. 이 항체는 ERBB2-고농도/증폭 및 ERBB2-저농도/무증폭 유방암 세포 모두 및 생쥐 이종이식체에서 ERBB2 수용체 차단을 향상하기 위해 암치료용으로 단독 혹은 TTZ 및 PTZ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두 폴리펩티드 서열간의 "서열 동일성"은 양측 서열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SEQ ID NO:1 및/또는 SEQ ID NO:2 중의 CDR 서열에 의해 코드화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아미노산의 퍼센트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펩티드 서열은 적어도 80%, 더 바람직하게는 85%,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0, 93%, 95%, 96%, 97%, 98% 혹은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항체라는 용어는 항체에서 적어도 1개의 항원 결합부위를 갖거나 및/또는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단편" 혹은 "유도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면역글로불린 중사슬과 적어도 하나의 면역글로불린 경사슬을 포함한다. 면역글로불린 사슬은 가변형 도메인과 선택적으로 불변 도메인을 포함한다. 가변형 도메인을 상보성 결정부위(CDRs), 예컨대, CDR1, CDR2 및/또는 CDR3 부위, 및 프레임워크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자연 항체 및/또는 합성 기원의 항체, 예컨대, 포유동물 기원의 항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불변 도메인 - 존재할 경우 - 은 인간 불변 도메인이다. 가변형 도메인은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변형 도메인, 즉, 인간화 혹은 인간 가변형 도메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는 다중클론 혹은 단클론 항체일 수 있다. 단클론 항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항체는 바람직하게 재조합 항체, 인간화 혹은 완전 인간 항체, 키메라 항체, 다중특이형 항체, 특히, 이중특이형 항체와 이들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단클론 항체는 적절한 방법 예컨대 Kohler & Milstein법 (Nature 1975;256:495-7) 혹은 재조합 DNA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클론 항체는 또한 Clackson et al.(Nature 1991;352:624-8)에서 개시한 기술을 이용하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인간화 형태의 항체는 키메라화 반응 혹은 CDR 이식방법 등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인간화 항체 제조를 위한 기타 대안적인 방법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EP-A1 0 239 400 및 WO 90/07861에 개시되어 있다. 인간 항체는 또한 시험관내 방법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적절한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파지 디스플레이, 이스트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메라 항체"는 상이한 종 예컨대 생쥐와 인간으로부터 얻은 폴리펩티드들로 이루어진 항체에 관련한다. 키메라 항체의 제조는 예를 들어 WO 89/09622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항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조합 단클론 인간화 항체로서, 중사슬 가변형(VH) 도메인과 경사슬 가변형(VL) 도메인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CDRs과 80%의 동일성을 갖고, VH의 아미노산 서열 중 나머지는 SEQ ID NO:1과 적어도 80%의 동일성을 및 VL의 아미노산 서열 중 나머지는 SEQ ID NO:2 혹은 SEQ ID NO:3과 적어도 80%의 동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펩티드 서열은 적어도 80%, 더 바람직하게는 85%,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0%, 93%, 95%, 96%, 97%, 98% 혹은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VL 서열 (SEQ ID NO:3)
AIQLTQSPSSLSASVGDRVT ITCKASQDVGTAVA WYQQKPGKAPKLLIY WASTRHTGVP SRFSGSGSGTDFTLTISSLQPEDFA DYFCQQYSSYRTFGAG TKLEIK
여기서 CDRs은 밑줄친 굵은 글씨 부분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항체 혹은 그의 단편은 SEQ ID NO:1과 100%의 동일성을 갖는 중사슬 가변형(VH) 도메인 및 SEQ ID NO:2 혹은 SEQ ID NO:3과 100%의 동일성을 갖는 경사슬 가변형(VL) 도메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체 혹은 그의 단편은 Fab 단편, Fab' 단편, F(ab') 단편, Fv 단편, 이원체, 소분자량 면역약제 (SMIP), 어피바디(affibody), 어비머(avimer), 나노체, 도메인 항체, 혹은 ScFv 등일 수 있다.
"어비머"는, 예를 들어, 시험관내 엑손 셔플링 및 파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가공한 다중체형 결합 단백질이나 펩티드를 말한다. 단일 에피토프 면역글로불린 도메인과 비교시, 다중 결합 도메인이 연결되어 더 큰 친화력과 특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나노체" 혹은 단일 도메인 항체는 단일 단량체 가변형 항체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항체에 관련한다.
"어피바디" 분자는 다수의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도록 가공된 소형 고친화성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IgG1, IgG2, IgG3, IgG4, IgM, IgA1, IgA2, IgAsec, IgD 및 IgE 항체 형태이다. 생성된 항체는 처음부터 특정한 1종의 동형체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반대로 어떤 동형체나 가질 수 있고 동형체 교환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의 항체 혹은 항체 단편은 치료 목적을 위해 선택적으로 탈면역화 한다. 당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항체를 예컨대 약물 표적화 및 이미징 분야를 위한 다른 성분들에 결합시킬 수도 있음이 명백하다. 이러한 결합 처리는 접착 부위에 대한 항체나 항원의 발현 후에 화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결합 산물을 DNA 레벨에서 본 발명의 항체나 항원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진단 목적으로 본 발명의 항체 혹은 항체 단편을 표지화, 즉, 표지 그룹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적절한 표지는 방사능 표지, 형광 표지, 적절한 염료 그룹, 효소 표지, 색소유전자, 화학발광 그룹, 비오티닐 그룹, 2차 리포터에 의해 인지된 소정의 폴리펩티드 에피토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지된 항체 혹은 항체 단편은 특히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이나 체내 분자 이미징에 사용할 수 있다.
치료 목적으로, 본 발명의 항체 혹은 항체 단편은 이펙터 그룹 특히 방사능 그룹이나 세포독성 그룹 같은 치료 이펙터 그룹과 접합될 수 있다.
표지 그룹이나 이펙터 그룹은 다양한 길이의 스페이서 암에 의해 부착되어 입체 장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항체 혹은 그의 단편을 코드화 하는 핵산 분자 또는 엄격한 조건에서 상기 항체 혹은 그의 단편에 보합할 수 있는 핵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항체, 항체 단편 혹은 그의 유도체를 코드화 하는 본 발명의 핵산 분자는 예를 들어 DNA, cDNA, RNA 합성 제조한 DNA, RNA, 또는 상기의 핵산 분자를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포함하는 것으로서 재조합 방식으로 제조한 키메라 핵산 분자 등일 수 있다. 핵산 분자는 또한 전체 유전자나 이의 실질적인 부분에 상응하거나 혹은 그 단편 및 유도체에 상응하는 게놈형 DNA일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핵산 분자는 cDNA 분자이다.
"엄격한 조건하에 보합 처리하는"은 예를 들어 Sambrook et aI.,("Expression of cloned genes in E. coli" in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198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New York, USA)에 기술된 바와 같은 표준화된 보합 조건하에 2개의 핵산 단편이 또다른 핵산 단편과 보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조건은 예를 들어: 약 45℃에서 6.0 x SSC으로 보합처리한 다음 50℃에서 2.0 x SSC, 바람직하게는 65℃에서 2.0 x SSC 혹은 50℃에서 0.2 x SSC, 바람직하게는 65℃에서 0.2 x SSC로 세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이 벡터는 예를 들어 파지, 플라스미드, 바이러스형 혹은 레트로바이러스형 벡터일 수 있다. 레트로바이러스형 벡터는 복제가능 혹은 복제불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벡터는 발현 벡터로서, 이의 핵산 분자는 원핵 및/또는 진핵 숙주세포에서 전사 및 선택적으로 발현시키는 하나 이상의 조절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숙주는 원핵세포 혹은 진핵세포이거나 또는 인간외 유전자변형 동물일 수 있다. 이 숙주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폴리누클레오티드 혹은 벡터는 숙주의 게놈에 통합되어 있거나 염색체외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숙주는 원핵세포 혹은 진핵세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박테리아, 곤충, 진균류, 식물, 동물, 포유동물 혹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세포일 수 있다. 바람직한 진균 세포는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세스속, 특히, S. 세레비시에 종류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상술한 항체의 합성 및 배양시 이 항체를 회수할 수 있는 조건하에 본 발명의 숙주르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항체 혹은 그의 단편, 본 발명의 핵산 분자, 벡터, 숙주, 혹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 조성물은 치료학적/약제학적 조성물 혹은 진단학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진단 조성물은 본원에서 정의한 고증식성 질환의 발병 발병 상태나 질병 상태를 평하가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더 포함한다.
적절한 약제학적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의 예는 당해 분야에서 주지되어 있으며, 인산염 완충염수액, 물, 오일/물 에멀젼 같은 에멀젼, 각종 습윤제, 멸균용액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주지의 종래 방법에 따라 제형화 할 수 있다.
적절한 조성물의 투여는 다양한 방식으로 효능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맥, 복강, 피하, 근육내, 국소, 피내, 비강내, 기도내 투여 등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정맥 투여, 근육내 투여 및/또는 피하 투여 방식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절한 용량으로 대상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용량의 용법은 담당의사 및 임상적 요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적으로 혹은 전신계통에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를 위한 조제물은 멸균 수용액 혹은 비수용액, 현탁액 및 에멀젼을 포함한다. 비수용성 용매의 예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유 같은 식물성 오일, 및 에틸 올레이트 같은 주사용 유기 에스테르 등이다. 수용성 담체는 물, 알코올/수용성 용액, 에멀젼 혹은 염수 및 완충 매질을 포함한 현탁액 등을 포함한다. 비경구적 비히클은 염화나트륨 용액, 링거 덱스트로스,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 락테이트 링거액, 혹은 고정유 (지방유) 등을 포함한다. 정맥 비히클은 유체 및 영양 보충제, 전해질 보충제 (링거 덱스트로스에 기초한 것) 등을 포함한다. 방부제와 기타 첨가제도 또한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생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및 불활성 기체 등이 있다. 더욱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사용 목적에 따른 작용제들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인 항체 혹은 항체 단편 등의 활성 작용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항체 및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항신생물작용제 (즉, 항종양제)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합체는 예를 들어 비정상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다양한 항종양제가 현재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어는 고증식성 장애의 예방, 완화 및/또는 치료가 가능한 모든 작용제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세포자살을 유도하는 항종양제이다.
바람직하게, 항종양제는 항체, 소분자, 나노입자, 항대사물질, 알킬레이트제,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 미세소관-표적화제, 키나제 저해제, 단백질 합성 저해제, 면역치료제, 호르몬이나 그 유사체, DNA 나노결합제 및/또는 mTOR 저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항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항종양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제피티닙, 라파티닙, 수니티닙, 페메트렉세드, 베바시주맙, 세툭시맙, 이마티닙, 알렘투주맙, 트라스투주맙, 페르투주맙, 리툭시맙, 에를로티닙, 보르테조밉 등을 포함하며, 특히 트라스투주맙과 페르투주맙을 들 수 있다. 역시 본원에서 개시하고 특허청구하는 조성물에 사용되는 기타의 구체적인 항종양제는,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 안트라사이클린, 플루오로피리미딘, 빈카 알칼로이드, 백금 염류 등의 화학치료제, 특히, 카페시타빈, 다우노루비신, 다우노마이신, 닥티노마이신,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 에소루비신, 블레오마이신, 마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사이토신 아라비노사이드, 비스-클로로에틸 니트로스우레아, 부술판, 미토마이신 C, 악티노마이신 D, 미트라마이신, 프레드니손,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타목시펜, 다카르바진, 프로카르바진, 헥사메틸 멜라민, 펜타메틸 멜라민, 미톡산트론, 암사크린, 클로람부실, 메틸 사이클로헥실 니트로스우레아, 멜팔란, 사이클로포스파미드, 6-메르캅토푸린, 6-티오구아닌, 시타라빈(CA), 5-아자사이티딘, 히드록시우레아, 데옥시코포르마이신, 4-히드록시페록시 사이클로포스포-아미드, 5-플루오로우라실(5-FU), 5-플루오로데옥시우리딘(5-FUdR), 메토트렉사이트(MTX), 콜키신, 탁솔,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에토포시드, 트리메트렉사이트, 테니포시드, 시스플라스틴 및 디에틸 스틸베스톨(DE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활성 작용제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조성물과 조합하여 투여할 수 있고, 및/또는 조사치료 및/또는 방사선 치료법을 병행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증식성 질환, 특히 신생물 질환이나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또한 고증식성 질환, 특히 신생물 질환이나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정의하는 고증식성 질환은 신생물 형성, 즉, 조직의 비정상적인 및/또는 제어되지 않는 신생 성장을 말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조직의 제어되지 않는 신생 성장"은 성장 조절의 기능장애 및/또는 상실에 기인할 수 있다. 고증식성 질환은 종양 질환 및/또는 전이성 혹은 침입성 암종을 포함한다.
고증식성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ERBB2 발현, 과발현 혹은 과다활성과 관련이 있거나, 이에 수반되거나 혹은 이에 기인한 장애 중에서 선택되며, 예를 들어, 암, 특히 흑색종, 유방암, 난소암, 신장암, 위장관/결장암, 폐암, 신장의 투명세포암, 전립선암 및/또는 육종 등을 포함한다. 특히, 이들 종양에서 암의 전개와 성장을 촉진함에 있어 ERBB2의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이 단백질을 억제함으로써 확실한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항체를 포유 동물에 투여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의 질환은 ERBB2 활성이나 발현의 비정상적인 레벨과 직접적인 혹은 간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나, IVD 면역조직화학 검사시 ERBB2 발현이 중간치 수준으로 낮을 경우 (예, IHC에서 1+/2+)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http://www.cap.org/apps/docs/committees/immunohistochemistry/summary_of_recommendations.pdf), ERBB2 유전자가 증폭하지 않으므로 TTZ 투여가 부적절하고 임상적으로 효과를 나타내지 않게 된다.
이밖에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대상자에게 있어서 ERBB2 관련 암의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a) 대상자의 체외 혹은 체내 세포를 본원 특허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개시된 항체 혹은 항원결합 부위와 접촉시키고; 및
(b) 상기 세포 상의 ERBB2의 결합 레벨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ERBB2 결합 레벨은 대상자가 ERBB2와 관련된 암을 갖고 있음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용어 중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은 암이 없는 건강한 대상자와 비교시 높은 ERBB2 레벨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상자는 동물, 더 바람직하게는 포유 동물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도 1은 mAb W6/800, TTZ 및 PTZ를, 과발현에서 검출불가한 발현까지 상이한 농도의 ERBB2를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방암 세포에 결합하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비교 도시한다
도 2는 mAb W6/800가, TTZ 및 PTZ 에피토프와 상이하거나 위상학적으로 구분되는 ERBB2 외배엽 도메인 에피토프를 결합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mAb W6/800가, ERBB2-과발현 BT-474 유방암 세포에 대한 항증식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더욱이, 조합하여 사용시 mAb W6/800는 상호간의 공동상승 효과보다 TTZ 및 PTZ과의 공동상승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도 4는 PTZ 및 TTZ와 달리, mAb W6/800이 ERBB2-저농도 BRC230 유방암 세포에 대한 항증식 효과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이 ERBB2 저농도 설정시, mAb W6/800의 항증식 효과는 부가적이며 TTZ 및 PTZ과 공동상승적이다.
도 5는 mAb W6/800이 누드 생쥐에서 ERBB2-저농도 BRC 230 종양 이종이식체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TTZ보다 우수하며 PTZ와 유사함을 도시한다.
도 6은 TTZ 및 PTZ과 조합된 mAb W6/800이 누드 생쥐에서 ERBB2-저농도 BRC 230 종양 이종이식체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TTZ/PTZ 조합체보다 우수함을 도시한다.
도 7은 인간 Ig 골격 상에 mAb W6/800 CDRs를 이식할 때 유방암 세포를 결합시키는 능력이 TTZ 및 뮤린 mAb에 유사한 정도인 인간화 항체를 도시한다.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로부터 mAb W6/800의 제조: 일반 절차
재료와 방법:4주령 BALB/c 암컷 생쥐에게 인간 ERBB2 수용체로 유전자도입한 NIH/3T3 세포 (1 x 107)를 복강 주사하여 1주 간격으로 3회 면역처리했다. 마지막 면역처리 뒤 5일 후, 뮤린 비분비 골수종 세포주 NS-1을 이용하여 체세포 융해를 위해 비장세포를 제거했다 (
Figure pct00001
and Milstein,Nature 1975:256:495-7). 유전자 도입체에 결합하고 모계 NIH/353 세포에는 결합하지 않는 하이브리도마 세포 분비항체를 제한 희석으로 2회 클론화하고, 유동 세포분석법, 면역 침전법, 또한 수종의 ERBB2 유전자 도입체에는 결합하고 모계 세포 및 ERBB2가 결핍된 것으로 공지된 인간세포주에는 결합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상기 항체를 특징화 했다. 다음, 이 항체들은, 기존 연구에서 TTZ 및 TPZ에 대하여 선택적 민감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 (Baselga J, et al. J Clin Oncol 2010;28:1138-44) ERBB2-증폭/과발현 세포주 SKBR3 및 BT-474 같은 인간 유방암 세포주의 고증식성 상태를 저해하는 능력에 대해 스크리닝 했다. 이 사전 스크리닝으로 mAb W6/800을 수득했으며 이는 상기 세포주의 성장 및 이에 대한 3H-티미딘의 병합을 억제한다. 이러한 결과는 mAb W6/800이 생물학적 성질 측면에서 TTZ과 PTZ에 유사함을 시사했으며, 이에 추가적인 연구로 이어지고 하기와 같이 예시된 예상밖의 결과를 가져왔다.
실시예
실시예 1: features of mAb W6/800.
재료와 방법: mAb W6/800은 IgG2a 이다. Ig 서열 SEQ ID NO: 4 및 SEQ ID NO:5
(SEQ ID NO:4)
QVQLQQSGAELMKPGASVKISCKAT GYTFSNYWIEW VKQRPGHGLEWIG EILPGSGSTNYNEKLK GKATFTADTSSNTAYMQLSSLTSEDSGVYY CARGGGNYPYYFDY WGQGTTVTVSS
(SEQ ID NO:5)
IELMTQSHKFMSTSVGDRVS ITCKASQDVGTAVA WYQQKPGQSPKLLIY WASTRHTGVP DRFTGSGSGTDFTLTISNVQSEDLA DYFCQQYSSYRTFGAG TKLE
상기의 서열들은 종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제너레이트(degenerate) 프라이머쌍을 이용한 하이브리도마 세포 RNA 및 PCR 증폭으로부터 역전사에 의해 수득했다 (Wang Z, et al. J Immunol Methods 2000;233:167-77).
하이브리도마 배양으로 정제된 mAb W6/800, 및 TTZ과 PTZ ( 체내 임상 용도의 상용 조제물로부터 수득한)를 상이한 ERBB2 레벨을 발현하는 유방암 세포주 결합능력에 대해 유동 세포분석법으로 시험하여, 이 결합 패턴이 서로 유사한지 혹은 상이한지를 확인했다 (도 1a). 유방암 세포는 또한 ERBB2에 대한 다중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으로 평가했다 (도 1b). 도 1a 에서, 표적 세포를 3개의 mAb (10 μg/ml)을 동시에 이용하여 30분간 배양한 뒤 2회 세척하고 다시, 생쥐 Ig (뮤린 W6/800) 혹은 인간 Ig (인간화 TTZ 및 PTZ)에 대한 플루오레신 IsoThiCyanate (FITC)-표지화 2차 항체를 소정의 희석도로 희석한 최적의 희석액으로 30분간 배양한 뒤, 벡톤 & 디킨슨 FACScan 유동 세포분석기로 그 결과를 판독했다. 도 1b 에서, 상기 지적된 대표 세포주 (100 μg/lane 총 세포 단백질)로부터 수득한 비이온성 세제 가용성 추출물을 SDS-PAGE로 융해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필터 상에서 일렉트로블롯 처리했다. 필터를 2개 스트라이프로 절단하여 각각에 ERBB2에 대한 mAb 3D5 (Thermo Scientific) 및 동일화 대조군으로서 ERp57에 대한 다중클론 항체 (자가 제조)을 도포했다.
결과:
TTZ, PTZ 및 mAb W6/800은 모두 시험 세포주에 결합한다. 이들 상이한 세포들에서의 상대적 ERBB2 발현량을 유동 세포분석법으로 3개의 mAb에서 같은 방식으로 산출하고 (도 1a), 이는 웨스턴 블롯에서 제4의 다른 항체로 독립적으로 평가한 값과 일치한다 (도 1b). 내부 음성 대조군이 포함되며 이 대조군의 1차 항체는 무관련한 특이성을 가진 뮤린 IgG2이다. 이들은 회색 음영의 막대그래프로 나타냈다 (도 1a). 뮤린 Igs로 염색한 배경만 도시되는데, 이는 대조군 인간 Ig의 신호가 겹쳐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측면에서 mAb W6/800은 TTZ과 PTZ에 유사하게 나타난다.
실시예 2: mAb W6/800은 트라스투주맙 및 페르투주맙 에피토프과 상이하고 뚜렷하게 구별되는 ERBB2 에피토프를 결합시킨다.
재료와 방법: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 (5 x 105)를 인산염 (0.01M) 완충 (pH 7.4) 염수 (0.9%) 즉 PBS으로,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이 200 μg/ml의 mAb W6/800, TTZ 혹은 PTZ를 함유한 50 μl의 PBS으로 얼음 상에서 30분간 사전배양했다. 플루오레신 IsoThioCyanate (FTTC)-표지화 mAb W6/800(10 μl, 사전결정된 최적 희석도)을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능력에 대해 시험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방암에서 발현하지 않은 에피토프를 인지하는 무관련 FITC-표지화 뮤린 IgG2 항체가 포함되었다. FACScan (B&D)로 세포를 분석했다.
결과: FITC-mAb W6/800의 표지화는 표지화되지 않은 mAb W6/800으로 사전배양하여 완전히 차단했으나 (도 2, 좌측 두번째 패널), TTZ 및 PTZ으로 사전배양시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나머지 패널). 마찬가지로, FITC-표지화 TTZ 및 PTZ의 결합은 각각 TTZ과 PTZ에 의해서만 차단되었으며, mAb W6/800에 의해서는 차단되지 않았다 (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결과는 상기 3가지 에피토프가 서로 상이하고 위상적으로 서로 구별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실시예 3: ERBB2-과발현/증폭 세포에 대한 mAb W6/800의 항증식 효과
재료와 방법: ERBB2-과발현/증폭 BT-474 인간 유방암 세포 (Baselga J, et al. J Clin Oncol 2010;28:1138-44)를 RPMI 0.2% FBS에서 18시간 성장시켰다. 다음, FBS 농도를 10%로 조정하고, TTZ, PTZ 및 mAb W6/800의 용량 증가가 수반되거나 수반되지 않은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세포를 성장시켰다. 단일 작용제 처리 이외에도, 이중 작용제 처리 실험시 동일량의 항체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세포를 성장시켰다. 실험의 마지막 4시간 동안, 3H-티미딘으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용리시키고, TCA-침전물 개수를 3회 중복하여 평가함으로써 방사능 전구체의 DNA 병합을 측정했다 (도 3).
결과: 단일 작용제로서 mAb W6/800은 TTZ 및 PTZ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더 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들 두 항체가 서로 공동상승 작용할 때보다, 이들 모두와 상기 단일 작용제가 공동상승 작용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3).
실시예 4: ERBB2-저농도/무증폭 세포에 대한 mAb W6/800의 항증식 효과.
재료와 방법: ERBB2-저농도/무증폭 BRC 230 인간 유방암 세포 (Amadori et al. Breast Cancer Res Treat Rep 1993;28:251-60)를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성장 및 처리했다. 3H-T티미딘 병합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했다 (도 4).
결과: mAb W6/800은 ERBB2-저농도 세포에 대하여 시험관내에서 유일하게 치료 효과가 있는 단일 작용제였다. 또한 TTZ 및 PTZ과 공동상승 효과를 나타냈다 (도 4).
실시예 5: mAb W6/800은 체내 종양 성장을 저해한다.
재료와 방법: ERBB2-저농도 BRC230 인간 유방암 세포 (5 x 105)를 누드/CD1 생쥐에게 피하 주사했다 (그룹 당 5마리). 이종이식체가 60 mm3 (시간 0)에 도달하면 생쥐에게 무작위로 PBS, TTZ, PTZ 혹은 mAb W6/800을 복강주사하여 (i.p.) 공급했다. 설정한 시간동안 종양 성장을 캘리퍼로 관찰했다. 1주에 2회씩 3주간 10 mg/kg의 항체를 투여했다 (도 5).
결과: mAb W6/800은 ERBB2를 과발현하지 않는 종양 이종이식체에 대해 PTZ에 필적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TTZ보다는 훨씬 우수했다 (도 5).
실시예 6: mAb W6/800, TTZ 및 PTZ은 체내 종양세포 성장의 저해 공동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재료와 방법: ERBB2-저농도 BRC230 인간 유방암 세포의 종양 이종이식체를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형성 및 관찰했다 (도 6). 상기의 항체 조합체로 (각 mAb를 10 mg/kg의 용량으로) 처리를 수행했다.
결과: mAb W6/800-TTZ 조합체는 저농도 ERBB2를 발현하는 종양 이종이식체의 제어에 있어서 mAb W6/800-PTZ 및 TTZ-PTZ 조합체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도 6).
실시예 7:
재료와 방법: mAb W6/800에서 중사슬 및 경사슬의 CDRs를 인간 Ig 골격에 이식했다. 인간화 형태의 항체가 종래 기술의 공지방법, 예컨대, 키메라 형성 혹은 CDR 이식법 등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인간화 항체의 제조를 위한 다른 대안적인 방법들은 주지의 기술이며, 예컨대, EP-Al 0 239 400 및 WO 90/07861에 개시되어 있다. 인간 항체는 또한 시험관내 방법에 따라 유도할 수도 있다. 적절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파지 디스플레이, 이스트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인간화된 중사슬 SEQ N0.1 및 경사슬 SEQ. N0.2 혹은 SEQ. N0.3을 표준 발현 벡터, 예를 들어, pcDNA3 혹은 그 유사물에 클론화하고, CH0 세포에 공동-유전자도입했다. 이들 세포를 엘름마이어 플라스크에 담아 120 rpm의 쉐이커 상의 37℃ 및 5% CO2 조건의 배양기 내에서 적어도 14일간 배양했다. 상청액을 표준 단백질 A 수지에 통과시켜 정제했다. CH0 상청액으로부터 정제된 SEQ NO. 1 및 SEQ NO. 2에 상응하는 인간화 W6/800 항체인
Figure pct00002
huW6/800를 SK-BR-3 유방암 세포에 대한 결합능력에 관하여 상기 항체의 모계 뮤린 항체 및 TTZ와 비교했다. 유동 세포분석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상기 3가지 항체 및 무관련 특이성을 가진 대조군 IgG2을 동일한 농도 (10 μg/ml)로 30분간 배양하고, 2회 세척한 후 다시, 상기한 바와같이, 인간 또는 뮤린에 대한 FITC-표지화 2차 항체로 배양했다 (도 7).
결과: 인간화 항체 및 TTZ은 SK-BR-3 세포에 대해 서로 필적하는 결합력을 나타냈고 실질적으로 항-뮤린 Ig에 대한 반응성을 상실했다 (도 7). 이는 인간 골격 상에 W6/800 CDRs이 성공적으로 이식된 것을 입증한다. 2가지 상이한 항뮤린 Ig 조제물 (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도 위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인간화 항체는 ERBB2-음성 세포와는 반응하지 않았다 (도시하지 않음).
서열 목록 <110> 이스티튜토 바이오키미코 이탈리아노 지오바니 로렌치니 에스.피.에이. <120> 신규 ERBB2-표적 항체 <130> 13919PTWO <150> IT102016000033776 <151> 2016-04-01 <160> 5 <170> BiSSAP 1.3 <210> 1 <211> 120 <212> PRT <213> 인공 서열 <220> <223> VH 도메인 인간화 mAB W6/800 <220> <221> 도메인 <222> 26..36 <223> CDR1 <220> <221> 도메인 <222> 50..65 <223> CDR2 <220> <221> 도메인 <222> 96..109 <223> CDR3 <400> 1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Trp Ile Glu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Glu Ile Leu Pro Gly Ser Gly Ser Thr Asn Tyr Asn Glu Lys Leu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Ser Thr Arg Asp Thr Ser Ile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Arg Leu Arg Ser Asp Asp Thr Gly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y Gly Gly Asn Tyr Pro Tyr Tyr Phe Asp Tyr Trp Gly Gln 100 105 110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2 <211> 106 <212> PRT <213> 인공 서열 <220> <223> VL 도메인 인간화 mAb W6/800 <220> <221> 도메인 <222> 21..34 <223> CDR1 <220> <221> 도메인 <222> 50..59 <223> CDR2 <220> <221> 도메인 <222> 85..100 <223> CDR3 <400> 2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Th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p Val Gly Thr Ala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rp Ala Ser Thr Arg His Th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Glu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Asp Asp Phe Ala Asp Tyr Phe Cys Gln Gln Tyr Ser Ser Tyr Arg Thr 85 90 95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3 <211> 106 <212> PRT <213> 인공 서열 <220> <223> VL 도메인 인간화 mAb W6/800 <220> <221> 도메인 <222> 21..34 <223> CDR1 <220> <221> 도메인 <222> 50..59 <223> CDR2 <220> <221> 도메인 <222> 85..100 <223> CDR3 <400> 3 Ala Ile Gln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p Val Gly Thr Ala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rp Ala Ser Thr Arg His Th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Asp Tyr Phe Cys Gln Gln Tyr Ser Ser Tyr Arg Thr 85 90 95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4 <211> 120 <212> PRT <213> 인공 서열 <220> <223> VH 도메인 뮤린 mAb W6/800 <220> <221> 도메인 <222> 26..36 <223> CDR1 <220> <221> 도메인 <222> 50..65 <223> CDR2 <220> <221> 도메인 <222> 96..109 <223> CDR3 <400> 4 Gln Val Gln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Met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Ile Ser Cys Lys Ala Thr Gly Tyr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Trp Ile Glu Trp Val Lys Gln Arg Pro Gly Hi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Glu Ile Leu Pro Gly Ser Gly Ser Thr Asn Tyr Asn Glu Lys Leu 50 55 60 Lys Gly Lys Ala Thr Phe Thr Ala Asp Thr Ser Ser Asn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Glu Asp Ser Gly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y Gly Gly Asn Tyr Pro Tyr Tyr Phe Asp Tyr Trp Gly Gln 100 105 110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5 <211> 104 <212> PRT <213> 인공 서열 <220> <223> VL 도메인 뮤린 mAb W6/800 <220> <221> 도메인 <222> 21..34 <223> CDR1 <220> <221> 도메인 <222> 50..59 <223> CDR2 <220> <221> 도메인 <222> 85..100 <223> CDR3 <400> 5 Ile Glu Leu Met Thr Gln Ser His Lys Phe Met Ser Thr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Se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p Val Gly Thr Ala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Ser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rp Ala Ser Thr Arg His Thr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Asn Val Gln Ser 65 70 75 80 Glu Asp Leu Ala Asp Tyr Phe Cys Gln Gln Tyr Ser Ser Tyr Arg Thr 85 90 95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100

Claims (17)

  1. SEQ ID NO:1에서 상보성 결정부위 (CDRs)에 대해 적어도 80%의 동일성을 갖는 중사슬 가변형(VH) 도메인; 및 SEQ ID NO:2에서 상보성 결정부위 (CDRs)에 대해 적어도 80%의 동일성을 갖는 경사슬 가변형(VL)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체 혹은 그의 단편으로서,
    상기 항체는 ERBB2 수용체의 에피토프를 결합시키고, 상기 에피토프는 트라스투주맙 및 페르투주맙에 의해 인지된 에피토프와 동일하지 않은 것인 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재조합 단클론 항체인 것인 항체.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인간화된 것인 항체.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서열의 나머지가 SEQ ID NO:1과 적어도 80% 동일한 중사슬 가변형(VH) 도메인, 및 아미노산 서열의 나머지가 SEQ ID NO:2 혹은 SEQ ID NO:3과 적어도 80% 동일한 경사슬 가변형(VL) 도메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항체.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의 동형체를 IgG1, IgG2, IgG3, IgG4, IgM, IgA1, IgA2, IgA, IgD, 및 IgE 항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는 것인 항체.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지화 그룹에 결합되는 항체.
  7.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펙터 그룹에 결합되는 항체.
  8.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혹은 항체 단편을 코드화 하는 분리된 핵산.
  9. 제8항에 따른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로서, 상기 벡터는 발현 벡터이고 핵산 서열은 조절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인 벡터.
  10. 제8항에 따른 핵산 혹은 제9항에 따른 벡터를 포함하는 호스트 세포.
  11. 의약의 용도로 사용되는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8항에 따른 핵산 혹은 제9항에 따른 벡터.
  12.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8항에 따른 핵산 혹은 제9항에 따른 벡터와, 또한 적어도 또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ERBB2 발현, 과발현 혹은 과다활성을 특징으로 하는 고증식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8항에 따른 핵산, 제9항에 따른 벡터 혹은 제12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14. 유방암, 난소암, 신장암, 위장관/결장암, 폐암, 신장의 투명세포암, 전립선암, 흑색종 및/또는 육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있어 제13항에 따른 용도로서 사용되는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8항에 따른 핵산, 제9항에 따른 벡터 혹은 제12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15.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항종양제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것으로서, 제13항 또는 14항에 따른 용도로서 사용되는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8항에 따른 핵산, 제9항에 따른 벡터 혹은 제12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또다른 항종양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15항의 용도로 사용되는 항체 혹은 제16항에 따른 조성물로서,
    상기 추가적인 항종양제는 게피티닙, 랍타티닙, 수니티닙, 페메트렉세드, 베바시주맙, 세툭시맙, 이마티닙, 알렘투주맙, 트라스투주맙, 페르투주맙, 리툭시맙, 에를로티닙, 보르테조밉 등으로 이루어진 군, 특히 트라스투주맙과 페르투주맙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항체 혹은 조성물.
KR1020187031322A 2016-04-01 2017-03-31 신규의 erbb2-표적화 항체 KR20180133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A2016A002242A ITUA20162242A1 (it) 2016-04-01 2016-04-01 Un nuovo anticorpo anti-erbb2
IT102016000033776 2016-04-01
PCT/EP2017/057697 WO2017167967A1 (en) 2016-04-01 2017-03-31 Erbb2-targeting anti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437A true KR20180133437A (ko) 2018-12-14

Family

ID=5623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322A KR20180133437A (ko) 2016-04-01 2017-03-31 신규의 erbb2-표적화 항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20553B2 (ko)
EP (1) EP3436483B1 (ko)
JP (1) JP7055750B2 (ko)
KR (1) KR20180133437A (ko)
CN (1) CN109071671B (ko)
IT (1) ITUA20162242A1 (ko)
WO (1) WO2017167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263A1 (en) * 2016-05-12 2017-11-1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nti-erbb-2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P7386796B2 (ja) * 2017-11-14 2023-11-27 グリーン クロス ラボ セル コーポレーション 抗-her2抗体又はその抗原結合フラグメント、及びこれを含むキメラ抗原受容体
US11649294B2 (en) 2017-11-14 2023-05-16 GC Cell Corporation Anti-HER2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07679D0 (en) 1986-03-27 1986-04-30 Winter G P Recombinant dna product
JPH02503867A (ja) 1988-04-15 1990-11-15 プロテイン デザイン ラブ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l‐2レセプター特異的キメラ抗体
IL162181A (en) 1988-12-28 2006-04-10 Pdl Biopharma Inc A method of producing humanized immunoglubulin, and polynucleotides encoding the same
EP2575880B1 (en) * 2010-05-27 2019-01-16 Genmab A/S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er2 epitope
CA2872226A1 (en) * 2012-05-02 2013-11-07 Symphogen A/S Humanized pan-her antibody compositions
KR20150101915A (ko) * 2014-02-27 2015-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gui 화면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CN106459212B (zh) * 2014-02-28 2021-07-13 美勒斯公司 结合erbb-2和erbb-3的抗体
TWI695011B (zh) * 2014-06-18 2020-06-01 美商梅爾莎納醫療公司 抗her2表位之單株抗體及其使用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1671B (zh) 2022-11-04
EP3436483B1 (en) 2021-09-15
CN109071671A (zh) 2018-12-21
ITUA20162242A1 (it) 2017-10-01
WO2017167967A1 (en) 2017-10-05
US20190112387A1 (en) 2019-04-18
JP7055750B2 (ja) 2022-04-18
US11220553B2 (en) 2022-01-11
EP3436483A1 (en) 2019-02-06
JP2019512258A (ja)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2840A1 (en) Antibody and use thereof
CN106459212B (zh) 结合erbb-2和erbb-3的抗体
ES2708124T3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moléculas heteromultiméricas
US8841424B2 (en) Humanized AXL antibodies
JP5995851B2 (ja) ErbB3結合抗体
US20220218836A1 (en) Endosialin-binding antibody
JP2022516826A (ja) 抗cldn18.2抗体およびその使用
WO2012020059A1 (en) Humanized egfr antibodies
AU2019315177A1 (en) Treatment of metastatic brain tumor by administration of antibody-drug conjugate
WO2018182420A1 (en)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erbb-2/erbb-3 positive tumors
KR20230132544A (ko) 신규한 항-그렘린1 항체
CN109071671B (zh) Erbb2靶向抗体
US9051370B2 (en) Humanized EGFR antibodies
JP2023517754A (ja) 抗muc1-sea抗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