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215A -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215A
KR20180133215A KR1020180062576A KR20180062576A KR20180133215A KR 20180133215 A KR20180133215 A KR 20180133215A KR 1020180062576 A KR1020180062576 A KR 1020180062576A KR 20180062576 A KR20180062576 A KR 20180062576A KR 20180133215 A KR20180133215 A KR 2018013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wafer
work
chip
holding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4147B1 (en
Inventor
요시아키 요도
진얀 자오
시게노리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18013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c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ip capable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chips by dividing a plate-shaped workpiece without using an expand sheet. The method comprises: a laser processing step of irradiating a laser beam having transmittance to a silicon wafer only in a chip region along a line to be divided, forming a modified layer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in the chip region, and making an outer surplus region as a reinforcing unit in which the modified layer is not formed; and a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silicon wafer into individual chips by applying force to the silicon wafer. In the dividing step, the force is applied by one cooling or heating to divide the silicon wafer into individual chips.

Description

칩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HIP}[0001]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0002]

본 발명은 판형의 피가공물을 분할하여 복수의 칩을 제조하는 칩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by dividing a plate-shaped workpiece into a plurality of chips.

웨이퍼로 대표되는 판형의 피가공물(워크)을 복수의 칩으로 분할하기 위해, 투과성이 있는 레이저 빔을 피가공물의 내부에 집광시켜, 다광자 흡수에 의해 개질된 개질층(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개질층은 다른 영역에 비교해서 취약하기 때문에, 분할 예정 라인(스트리트)을 따라서 개질층을 형성하고 나서 피가공물에 힘을 가함으로써, 이 개질층을 기점으로 피가공물을 복수의 칩으로 분할할 수 있다. In order to divide a plate-shaped workpiece (workpiece) represented by a wafer into a plurality of chips, a transmissive laser beam is condensed inside the workpiece to form a modified layer (modified region) modified by multiphoton absorptio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Since the modified layer is weaker than other regions,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workpiece into a plurality of chips starting from the modified layer by applying a force to the workpiece after forming the modified layer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have.

개질층이 형성된 피가공물에 힘을 가할 때에는, 예컨대, 신장성이 있는 익스팬드 시트(익스팬드 테이프)를 피가공물에 붙여 확장하는 방법이 채용된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이 방법에서는, 통상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피가공물에 개질층을 형성하기 전에 익스팬드 시트를 피가공물에 붙이고, 그 후, 개질층을 형성하고 나서 익스팬드 시트를 확장하여 피가공물을 복수의 칩으로 분할한다.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workpiece on which the modified layer is formed, for example, a method of expanding an expand sheet (expanded tape) having stretchability by attaching it to the workpiece is adopt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In this method, the expand sheet is attached to the workpiece before the modified layer is formed on the workpiece by irradiating a laser beam, and after that, the modified layer is formed, and then the expand sheet is expanded so that the workpie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hips .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237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2-192370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06136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10-206136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익스팬드 시트를 확장하는 방법에서는, 사용후의 익스팬드 시트를 다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칩의 제조에 요하는 비용도 높아지기 쉽다. 특히, 점착재가 칩에 잔류하기 어려운 고성능의 익스팬드 시트는, 가격도 높기 때문에, 그와 같은 익스팬드 시트를 이용하면, 칩의 제조에 요하는 비용도 높아진다.However, in the method of expanding the expand shee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panded sheet after use can not be used again, the cost for manufacturing the chip tends to increase. Particularly, a high-performance expanded sheet in which the adhesive material is difficult to remain on the chip is high in price, and therefore, when such an expanded sheet is use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increas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익스팬드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판형의 피가공물을 분할하여 복수의 칩을 제조할 수 있는 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by which a plurality of chips can be manufactured by dividing a plate-shaped workpiece without using an expanded sheet.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하면, 교차하는 복수의 분할 예정 라인에 의해 칩이 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칩 영역과, 상기 칩 영역을 둘러싸는 외주 잉여 영역을 갖는 실리콘 웨이퍼로부터 복수의 상기 칩을 제조하는 칩의 제조 방법으로서, 실리콘 웨이퍼를 유지 테이블로 직접 유지하는 유지 단계와, 상기 유지 단계를 실시한 후에, 실리콘 웨이퍼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의 집광점을 상기 유지 테이블에 유지된 실리콘 웨이퍼의 내부에 위치 부여하도록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서 실리콘 웨이퍼의 상기 칩 영역에만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상기 칩 영역의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서 개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외주 잉여 영역을 개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보강부로 하는 레이저 가공 단계와, 상기 레이저 가공 단계를 실시한 후에, 상기 유지 테이블로부터 실리콘 웨이퍼를 반출하는 반출 단계와, 상기 반출 단계를 실시한 후에, 실리콘 웨이퍼에 힘을 부여하여 실리콘 웨이퍼를 개개의 상기 칩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단계에서는, 한번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해 상기 힘을 부여하여 실리콘 웨이퍼를 개개의 상기 칩으로 분할하는 칩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preparing a plurality of chips from a silicon wafer having a chip reg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be chips by a plurality of lines to be divided, A holding step of holding a silicon wafer directly on a holding table; and a holding step of holding the light-converging point of a laser beam having a transmittance to a silicon wafer after the holding step,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only to the chip area of the silicon wafer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so as to position the inside of the silicon wafer, and a modified layer is formed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of the chip area, A laser processing step of making the laser processing step as an unformed reinforcing part, And a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silicon wafer into individual chips by applying a force to the silicon wafer after carrying out the carrying out step, wherein the step of dividing the silicon wafer into individual chips And the silicon wafer is divided into individual chips by applying the force by cooling or heating the wafer.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가공 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 분할 단계를 실시하기 전에, 상기 보강부를 제거하는 보강부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유지 테이블의 상면은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단계에서는, 상기 유연한 재료로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측을 유지해도 좋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laser processing step is performed, the step of removing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before the dividing step. Further, i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tabl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n the holding step, the surface side of the silicon wafer may be held by the flexible material.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에서는, 실리콘 웨이퍼를 유지 테이블로 직접 유지한 상태로, 실리콘 웨이퍼의 칩 영역에만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분할 예정 라인을 따르는 개질층을 형성하고, 그 후, 한번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해 힘을 부여하여 실리콘 웨이퍼를 개개의 칩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실리콘 웨이퍼에 힘을 가하여 개개의 칩으로 분할하기 위해 익스팬드 시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익스팬드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판형의 피가공물인 실리콘 웨이퍼를 분할하여 복수의 칩을 제조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ser beam is irradiated to only a chip region of a silicon wafer in a state in which a silicon wafer is directly held by a holding table to form a modified layer along a line to be divided, Since the silicon wafer is divided into individual chips by applying a force by cooling or heating o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expand sheet to divide the silicon wafer into individual chips by applying a force to the silicon waf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licon wafer, which is a plate-shaped workpiece,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hips without using an expand sheet.

또한,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에서는, 실리콘 웨이퍼의 칩 영역에만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분할 예정 라인을 따르는 개질층을 형성하고, 외주 잉여 영역을 개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보강부로 하기 때문에, 이 보강부에 의해 칩 영역은 보강된다. 따라서, 반송 등을 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이 개개의 칩으로 분할되어 버려, 실리콘 웨이퍼를 적절히 반송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ser beam is irradiated to only a chip region of a silicon wafer to form a modified layer along a line to be divid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is made into a reinforcing portion Therefore, the chip region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portion. Therefore, the silicon wafer is divided into individual chips by the force applied when carrying, etc., so that the silicon wafer can not be properly transported.

도 1은 피가공물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레이저 가공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유지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레이저 가공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레이저 가공 단계후의 피가공물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의 (B)는, 레이저 가공 단계후의 피가공물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보강부 제거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분할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유지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변형예에 관한 분할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변형예에 관한 분할 단계에서 칩 영역을 분할하기 전의 피가공물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workpiec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laser machining apparatus.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olding step, and Fig.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aser processing step.
Fig. 4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workpiece after the laser machining step, and Fig. 4B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workpiece after the laser machining step.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dividing step.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olding step according to a modification.
8A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ividing step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and FIG. 8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workpiece before dividing a chip area in a dividing step according to a modification, Fig.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한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은, 유지 단계(도 3의 (A) 참조), 레이저 가공 단계(도 3의 (B), 도 4의 (A) 및 도 4의 (B) 참조), 반출 단계, 보강부 제거 단계(도 5의 (A) 및 도 5의 (B) 참조) 및 분할 단계(도 6 참조)를 포함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h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ip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holding (see Fig. 3A), laser processing (see Fig. 3B, Fig. 4A and Fig. (Refer to FIG. 5 (A) and FIG. 5 (B)) and a dividing step (see FIG. 6).

유지 단계에서는, 분할 예정 라인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칩 영역과, 칩 영역을 둘러싸는 외주 잉여 영역을 갖는 피가공물(워크)을 척 테이블(유지 테이블)로 직접 유지한다. 레이저 가공 단계에서는, 피가공물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분할 예정 라인을 따르는 개질층(개질 영역)을 칩 영역에 형성하고, 외주 잉여 영역을 개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보강부로 한다. In the holding step, a workpiece (work) having a chip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the line to be divided and an outer peripheral surplus area surrounding the chip area is directly held by the chuck table (holding table). In the laser processing step, a laser beam of a wavelength having a transmittance to the workpiece is irradiated to form a modified layer (modified region)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in the chip reg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is made into a reinforcing portion do.

반출 단계에서는, 유지 테이블로부터 피가공물을 반출한다. 보강부 제거 단계에서는, 피가공물로부터 보강부를 제거한다. 분할 단계에서는, 한번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해 힘을 부여하여 피가공물을 복수의 칩으로 분할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In the carrying out step, the workpiece is carried out from the holding table. In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the reinforced portion is removed from the workpiece. In the dividing step, a force is applied by one cooling or heating to divide the workpiece into a plurality of chips.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피가공물(워크)(11)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11)은, 예컨대 실리콘(Si), 비소화갈륨(GaAs), 인화인듐(InP), 질화갈륨(GaN),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의 반도체, 사파이어(Al2O3), 소다 유리, 붕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의 유전체(절연체), 또는, 탄탈산리튬(LiTa3), 니오븀산리튬(LiNb3) 등의 강유전체(강유전체 결정)로 이루어진 원반형의 웨이퍼(기판)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al example of a work (work) 11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work 11 is made of a semiconductor such as silicon (Si), gallium arsenide (GaAs), indium phosphide (InP), gallium nitride (GaN), silicon carbide (Ferroelectric crystal) made of a dielectric (insulator) such as Al 2 O 3 , soda glass, borosilicate glass, or quartz glass, or a lithium tantalate (LiTa 3 ) or lithium niobate (LiNb 3 ) Wafer (substrate).

피가공물(11)의 표면(11a)측은, 교차하는 복수의 분할 예정 라인(스트리트)(13)에 의해 칩이 되는 복수의 영역(15)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 이하에서는, 칩이 되는 복수의 영역(15)을 모두 포함하는 대략 원형의 영역을 칩 영역(11c)이라고 부르고, 칩 영역(11c)을 둘러싸는 고리형의 영역을 외주 잉여 영역(11d)이라고 부른다. The surface 11a side of the work 11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15 which become chips by a plurality of lines 13 to be divided which intersect each o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ubstantially circular region including all of the plurality of regions 15 serving as chips is referred to as a chip region 11c, and an annular region surrounding the chip region 11c is referred to as an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11d. .

칩 영역(11c) 내의 각 영역(15)에는, 필요에 따라서, IC(Integrated Circuit),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 BAW(Bulk Acoustic Wave) 필터 등의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Each of the regions 15 in the chip region 11c is provided with an integrated circuit (IC),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aser diode (LD), a photodiode, A SAW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nd a BAW (Bulk Acoustic Wave) filter.

이 피가공물(11)을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칩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가공물(11)이 실리콘 웨이퍼인 경우에는, 예컨대, 메모리나 센서 등으로서 기능하는 칩을 얻을 수 있다. 피가공물(11)이 비소화갈륨 기판이나 인화인듐 기판, 질화갈륨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발광 소자나 수광 소자 등으로서 기능하는 칩을 얻을 수 있다. A plurality of chips can be obtained by dividing the work 11 along the line 13 to be divided. Specifically, when the work 11 is a silicon wafer, for example, a chip functioning as a memory or a sensor can be obtained. When the work piece 11 is a gallium arsenide substrate, an indium phosphide substrate, or a gallium nitride substrate, a chip functioning as,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element or a light receiving element can be obtained.

피가공물(11)이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파워 디바이스 등으로서 기능하는 칩을 얻을 수 있다. 피가공물(11)이 사파이어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발광 소자 등으로서 기능하는 칩을 얻을 수 있다. 피가공물(11)이 소다 유리나 붕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유리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광학 부품이나 커버 부재(커버 유리)로서 기능하는 칩을 얻을 수 있다. When the work 11 is a silicon carbide substrate, a chip functioning as, for example, a power device can be obtained. When the work 11 is a sapphire substrate, a chip functioning as,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obtained. In the case where the work 11 is a glass substrate made of soda glass, borosilicate glass, quartz glass or the like, for example, a chip functioning as an optical component or a cover member (cover glass) can be obtained.

피가공물(11)이 탄탈산리튬이나, 니오븀산리튬 등의 강유전체로 이루어진 강유전체 기판(강유전체 결정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필터나 액츄에이터 등으로서 기능하는 칩을 얻을 수 있다. 또, 피가공물(11)의 재질, 형상, 구조, 크기, 두께 등에 제한은 없다. 마찬가지로, 칩이 되는 영역(15)에 형성되는 디바이스의 종류, 수량, 형상, 구조, 크기, 배치 등에도 제한은 없다. 칩이 되는 영역(15)에는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In the case where the work piece 11 is a ferroelectric substrate (ferroelectric crystal substrate) made of a ferroelectric such as lithium tantalate or lithium niobate, a chip functioning as, for example, a filter or an actuator can be obtained. The material, shape, structure, size, and thickness of the work 11 are not limited. Likewise, the type, quantity, shape, structure, size, arrangement, and the like of devices formed in the chip area 15 are not limited. A device may not be formed in the chip area 15.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에서는, 피가공물(11)로서 원반형의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복수의 칩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이 피가공물(11)을 척 테이블로 직접 유지하는 유지 단계를 행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가공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hips are manufactured using a disk-shaped silicon wafer as the work 11. Specifically, first, the holding step of holding the work 11 directly on the chuck table is perform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laser machining apparatu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 장치(2)는, 각 구성 요소가 탑재되는 베이스(4)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4)의 상면에는, 피가공물(11)을 흡인, 유지하기 위한 척 테이블(유지 테이블)(6)을 X축 방향(가공 이송 방향) 및 Y축 방향(인덱싱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이동 기구(8)는, 베이스(4)의 상면에 고정되고 X축 방향에 대략 평행한 한쌍의 X축 가이드 레일(10)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laser machining apparatus 2 includes a base 4 on which respective components are mounte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 is provided with a chuck table (holding table) 6 for holding and holding the work 11 in the X-axis direction (machining fee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ndexing feed direction) A moving mechanism 8 is provided.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8 includes a pair of X-axis guide rails 10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X축 가이드 레일(10)에는, X축 이동 테이블(1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X축 이동 테이블(12)의 이면측(하면측)에는 너트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너트부에는, X축 가이드 레일(10)에 대략 평행한 X축 볼나사(1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To the X-axis guide rail 10, an X-axis moving table 12 is slidably attached. A nut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lower surface side) of the X-axis moving table 12. An X-axis ball screw 14, which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X-axis guide rail 10, Respectively.

X축 볼나사(14)의 일단부에는 X축 펄스 모터(16)가 연결되어 있다. X축 펄스 모터(16)로 X축 볼나사(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X축 이동 테이블(12)은 X축 가이드 레일(10)을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X축 가이드 레일(10)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X축 방향에 있어서 X축 이동 테이블(1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X축 스케일(18)이 설치되어 있다. An X-axis pulse motor 1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X-axis ball screw 14. The X axis moving table 12 moves in the X axis direction along the X axis guide rail 10 by rotating the X axis ball screw 14 by the X axis pulse motor 16. An X-axis scale 18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X-axis moving table 12 in the X-axis direc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X-axis guide rail 10.

X축 이동 테이블(12)의 표면(상면)에는, Y축 방향에 대략 평행한 한쌍의 Y축 가이드 레일(20)이 고정되어 있다. Y축 가이드 레일(20)에는, Y축 이동 테이블(2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Y축 이동 테이블(22)의 이면측(하면측)에는 너트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너트부에는, Y축 가이드 레일(20)에 대략 평행한 Y축 볼나사(2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A pair of Y-axis guide rails 20, which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re fixed to th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X-axis moving table 12. On the Y-axis guide rail 20, a Y-axis moving table 22 is slidably attached. A Y-axis ball screw 24, which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Y-axis guide rail 20, is provided with a nut portion (not shown) on the back side (lower side) Respectively.

Y축 볼나사(24)의 일단부에는 Y축 펄스 모터(26)가 연결되어 있다. Y축 펄스 모터(26)로 Y축 볼나사(2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Y축 이동 테이블(22)은 Y축 가이드 레일(20)을 따라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Y축 가이드 레일(20)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Y축 방향에 있어서 Y축 이동 테이블(2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Y축 스케일(28)이 설치되어 있다. A Y-axis pulse motor 2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Y-axis ball screw 24. The Y-axis moving table 22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along the Y-axis guide rail 20 by rotating the Y-axis ball screw 24 by the Y-axis pulse motor 26. A Y axis scale 28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Y axis moving table 22 in the Y axis direc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Y axis guide rail 20.

Y축 이동 테이블(22)의 표면측(상면측)에는 지지대(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대(30)의 상부에는 척 테이블(6)이 배치되어 있다. 척 테이블(6)의 표면(상면)은, 전술한 피가공물(11)의 이면(11b)측(또는 표면(11a)측)을 흡인, 유지하는 유지면(6a)으로 되어 있다. 유지면(6a)은, 예컨대 산화알루미늄 등의 경도가 높은 다공질재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유지면(6a)은, 폴리에틸렌이나 에폭시 등의 수지로 대표되는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A support table 3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side (upper surface side) of the Y-axis moving table 22, and a chuck table 6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able 30. Th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chuck table 6 is a holding surface 6a for sucking and holding the side of the back surface 11b (or the surface 11a side) of the work 11 described above. The holding surface 6a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having high hardness such as aluminum oxide. However, the holding surface 6a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ypified by a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epoxy.

이 유지면(6a)은, 척 테이블(6)의 내부에 형성된 흡인로(6b)(도 3의 (A) 등 참조)나 밸브(32)(도 3의 (A) 등 참조) 등을 통해 흡인원(34)(도 3의 (A) 등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척 테이블(6)의 하측에는 회전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척 테이블(6)은, 이 회전 구동원에 의해 Z축 방향에 대략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The holding surface 6a is connected to the chuck table 6 through a suction path 6b (see FIG. 3A), a valve 32 (see FIG. 3A, etc.) And is connected to a suction source 34 (see FIG. 3A, etc.). A rotation driving source (not shown) is provided below the chuck table 6, and the chuck table 6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Z axis direction by the rotation driving source.

수평 이동 기구(8)의 후방에는 기둥형의 지지 구조(3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구조(36)의 상부에는, Y축 방향으로 신장된 지지 아암(38)이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 아암(38)의 선단부에는, 피가공물(11)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파장(흡수되기 어려운 파장)의 레이저 빔(17)(도 3의 (B) 참조)을 펄스 발진하여, 척 테이블(6) 위의 피가공물(11)에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유닛(40)이 설치되어 있다. In the rear of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8, a columnar support structure 36 is provided. A support arm 38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36. The tip end of the support arm 38 is provided with a light-transmissive wavelength There is provided a laser irradiation unit 40 which emits pulses of a laser beam 17 (see FIG. 3 (B))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for example, a wavelength) and irradiates the work 11 on the chuck table 6.

레이저 조사 유닛(40)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피가공물(11)의 표면(11a)측 또는 이면(11b)측을 촬상하는 카메라(42)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42)로 피가공물(11) 등을 촬상하여 형성된 화상은, 예컨대, 피가공물(11)과 레이저 조사 유닛(40)의 위치 등을 조정할 때에 사용된다. A camera 42 for picking up an image of the surface 11a side or the back surface 11b side of the work 11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aser irradiation unit 40. [ An image formed by picking up the work 11 and the like with the camera 42 is use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11 and the laser irradiation unit 40, for example.

척 테이블(6), 수평 이동 기구(8), 레이저 조사 유닛(40), 카메라(42) 등의 구성 요소는,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닛은, 피가공물(11)이 적절히 가공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The components such as the chuck table 6,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8, the laser irradiation unit 40, and the camera 42 ar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component so that the workpiece 11 is properly processed.

도 3의 (A)는, 유지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 도 3의 (A)에서는, 일부의 구성 요소를 기능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지 단계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피가공물(11)의 이면(11b)을 척 테이블(6)의 유지면(6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밸브(32)를 개방하여 흡인원(34)의 부압을 유지면(6a)에 작용시킨다.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holding step. 3 (A), som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s. 3 (A), the back surface 11b of the work 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surface 6a of the chuck table 6, for example. Then, the valve 32 is opened to appl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suction source 34 to the holding surface 6a.

이에 따라, 피가공물(11)은, 표면(11a)측이 상측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 테이블(6)에 흡인, 유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11)의 이면(11b)측을 척 테이블(6)로 직접 유지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가공물(11)에 대하여 익스팬드 시트를 붙일 필요가 없다. As a result, the work 11 is attracted to and held by the holding table 6 with the surface 11a side exposed on the upper side. 3 (A), the chuck table 6 directly holds the side of the back surface 11b of the work 11, as shown in Fig. 3 (A).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attach an expand sheet to the work 11.

유지 단계의 후에는, 피가공물(11)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17)을 조사하고,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르는 개질층을 형성하는 레이저 가공 단계를 행한다. 도 3의 (B)는, 레이저 가공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의 (A)는, 레이저 가공 단계후의 피가공물(11)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의 (B)는, 레이저 가공 단계후의 피가공물(11)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 도 3의 (B)에서는, 일부의 구성 요소를 기능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다. After the holding step, a laser processing step is carried out for irradiating the work 11 with a laser beam 17 having a wavelength that is transparent and forming a modified layer along the line 15 to be divided. 4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workpiece 11 after the laser machining step,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laser machining step. FIG. (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workpiece 11 after the laser machining step. In Fig. 3 (B), some of the components ar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s.

레이저 가공 단계에서는, 우선 척 테이블(6)을 회전시켜, 예컨대 대상이 되는 분할 예정 라인(13)이 연장되는 방향을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한다. 다음으로, 척 테이블(6)을 이동시켜, 대상이 되는 분할 예정 라인(13)의 연장선상에 레이저 조사 유닛(40)의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즉, 대상의 분할 예정 라인(13)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척 테이블(6)을 이동시킨다. In the laser processing step, first, the chuck table 6 is rotat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be-divided line 13 to be a target extends, for example, is made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Next, the chuck table 6 is moved to align the laser irradiation unit 40 on the extension of the line to be divided 13 to be a target. Then, as shown in Fig. 3 (B), the chuck table 6 is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nded line to be divided 13 extends).

그 후, 대상이 되는 분할 예정 라인(13) 상의 2개소에 존재하는 칩 영역(11c)과 외주 잉여 영역(11d)의 경계의 한쪽 바로 위에 레이저 조사 유닛(40)이 도달한 타이밍에, 이 레이저 조사 유닛(40)으로부터 레이저 빔(17)의 조사를 시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11)의 상측에 배치된 레이저 조사 유닛(40)으로부터, 피가공물(11)의 표면(11a)을 향해 레이저 빔(17)이 조사된다. Thereafter, at the timing when the laser irradiation unit 40 reaches immediately above one of the boundaries between the chip region 11c and the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11d existing at two positions on the target division target line 13, Irradiation of the laser beam 17 from the irradiation unit 40 is started. 3 (B),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from the laser irradiation unit 4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11 toward the surface 11a of the work 11 17) are examined.

이 레이저 빔(17)의 조사는, 레이저 조사 유닛(40)이, 대상이 되는 분할 예정 라인(13) 상의 2개소에 존재하는 칩 영역(11c)과 외주 잉여 영역(11d)의 경계의 다른쪽 바로 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즉, 여기서는, 대상의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칩 영역(11c) 내에만 레이저 빔(17)을 조사한다. The irradiation of the laser beam 17 is performed such that the laser irradiation unit 40 irradiates the laser beam 17 to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chip region 11c existing in two places on the intended division scheduled line 13 and the outer peripheral region 11d Continue until you reach the top. That is, in this case, the laser beam 17 is irradiated only in the chip region 11c along the target line to be divided 13.

또한, 이 레이저 빔(17)은, 피가공물(11)의 내부의 표면(11a)(또는 이면(11b))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깊이의 위치에 집광점을 위치 부여하도록 조사된다. 이와 같이, 피가공물(11)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17)을 피가공물(11)의 내부에 집광시킴으로써, 집광점 및 그 근방에서 피가공물(11)의 일부를 다광자 흡수에 의해 개질하여, 분할의 기점이 되는 개질층(개질 영역)(19)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의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칩 영역(11c) 내에만 레이저 빔(17)을 조사하기 때문에, 대상의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칩 영역(11c) 내에만 개질층(19)이 형성된다. The laser beam 17 is irradiated so as to position the light-converging point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11a (or the back surface 11b) of the inside of the work 11. As described above, by condensing the laser beam 17 having a transmittance with respect to the work 11 in the work 11, a part of the work 11 can be absorbed by the multi-photon absorption at the light- (Modified region) 19 serving as a starting point of the division can be forme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laser beam 17 is irradiated only in the chip region 11c along the intended line to be divided 13, the laser beam 17 is modified only in the chip region 11c along the planned line to be divided 13 A layer 19 is formed.

대상의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미리 정해진 깊이의 위치에 개질층(19)을 형성한 후에는, 동일한 순서로, 대상의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다른 깊이의 위치에 개질층(19)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11)의 표면(11a)(또는 이면(11b))으로부터의 깊이가 상이한 3개의 위치에 개질층(19)(제1 개질층(19a), 제2 개질층(19b), 제3 개질층(19c))을 형성한다. After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13 of the target,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another depth along the intended line to be divided 13 in the same order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B), for example,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at three positions different in depth from the surface 11a (or the back surface 11b) of the work 11, The first reforming layer 19a, the second reforming layer 19b, and the third reforming layer 19c).

다만, 하나의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형성되는 개질층(19)의 수나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하나의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형성되는 개질층(19)의 수를 1개로 해도 좋다. 또한, 개질층(19)은, 표면(11a)(또는 이면(11b))에 크랙이 도달하는 조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표면(11a) 및 이면(11b)의 양쪽에 크랙이 도달하는 조건으로 개질층(19)을 형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11)을 보다 적절히 분할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number or position of the reforming layer 19 formed along one line to be divided 13.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modified layers 19 formed along one planned line to be divided 13 may be on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under a condition that a crack reaches the surface 11a (or the back surface 11b). Of course, the modified layer 19 may be 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a crack reaches both the surface 11a and the back surface 11b. As a result, the work 11 can be more appropriately divided.

피가공물(11)이 실리콘 웨이퍼인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개질층(19)이 형성된다. When the work 11 is a silicon wafer,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피가공물 : 실리콘 웨이퍼Workpiece: Silicon wafer

레이저 빔의 파장 : 1340 nm Wavelength of laser beam: 1340 nm

레이저 빔의 반복 주파수 : 90 kHz Repetition frequency of laser beam: 90 kHz

레이저 빔의 출력 : 0.1 W∼2 W Laser beam output: 0.1 W to 2 W

척 테이블의 이동 속도(가공 이송 속도) : 180 mm/s∼1000 mm/s, 대표적으로는 500 mm/sThe moving speed of the chuck table (processing feed rate): 180 mm / s to 1000 mm / s, typically 500 mm / s

피가공물(11)이 비소화갈륨 기판이나 인화인듐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개질층(19)이 형성된다. When the work 11 is a gallium arsenide substrate or an indium phosphide substrate,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피가공물 : 비소화갈륨 기판, 인화인듐 기판Workpiece: gallium arsenide substrate, indium phosphide substrate

레이저 빔의 파장 : 1064 nm Wavelength of laser beam: 1064 nm

레이저 빔의 반복 주파수 : 20 kHz Repetition frequency of laser beam: 20 kHz

레이저 빔의 출력 : 0.1 W∼2 W Laser beam output: 0.1 W to 2 W

척 테이블의 이동 속도(가공 이송 속도) : 100 mm/s∼400 mm/s, 대표적으로는 200 mm/sThe moving speed (machining feed rate) of the chuck table is 100 mm / s to 400 mm / s, typically 200 mm / s

피가공물(11)이 사파이어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개질층(19)이 형성된다. When the work 11 is a sapphire substrate,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피가공물 : 사파이어 기판Workpiece: sapphire substrate

레이저 빔의 파장 : 1045 nm Wavelength of laser beam: 1045 nm

레이저 빔의 반복 주파수 : 100 kHz Repetition frequency of laser beam: 100 kHz

레이저 빔의 출력 : 0.1 W∼2 W Laser beam output: 0.1 W to 2 W

척 테이블의 이동 속도(가공 이송 속도) : 400 mm/s∼800 mm/s, 대표적으로는 500 mm/sThe moving speed of the chuck table (processing feed rate): 400 mm / s to 800 mm / s, typically 500 mm / s

피가공물(11)이 탄탈산리튬이나 니오븀산리튬 등의 강유전체로 이루어진 강유전체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개질층(19)이 형성된다. When the work 11 is a ferroelectric substrate made of a ferroelectric such as lithium tantalate or lithium niobate,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피가공물 : 탄탈산리튬 기판, 니오븀산리튬 기판Workpiece: Lithium tantalate substrate, lithium niobate substrate

레이저 빔의 파장 : 532 nm Wavelength of laser beam: 532 nm

레이저 빔의 반복 주파수 : 15 kHz Repetition frequency of laser beam: 15 kHz

레이저 빔의 출력 : 0.02 W∼0.2 W Laser beam output: 0.02 W to 0.2 W

척 테이블의 이동 속도(가공 이송 속도) : 270 mm/s∼420 mm/s, 대표적으로는 300 mm/sThe moving speed of the chuck table (machining feed rate): 270 mm / s to 420 mm / s, typically 300 mm / s

피가공물(11)이 소다 유리나 붕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유리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개질층(19)이 형성된다. When the work 11 is a glass substrate made of soda glass, borosilicate glass, quartz glass or the like,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피가공물 : 소다 유리 기판, 붕규산 유리 기판, 석영 유리 기판Workpiece: Soda glass substrate, borosilicate glass substrate, quartz glass substrate

레이저 빔의 파장 : 532 nm Wavelength of laser beam: 532 nm

레이저 빔의 반복 주파수 : 50 kHz Repetition frequency of laser beam: 50 kHz

레이저 빔의 출력 : 0.1 W∼2 W Laser beam output: 0.1 W to 2 W

척 테이블의 이동 속도(가공 이송 속도) : 300 mm/s∼600 mm/s, 대표적으로는 400 mm/sThe moving speed of the chuck table (processing feed rate): 300 mm / s to 600 mm / s, typically 400 mm / s

피가공물(11)이 질화갈륨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개질층(19)이 형성된다. When the work 11 is a gallium nitride substrate,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피가공물 : 질화갈륨 기판Workpiece: Gallium nitride substrate

레이저 빔의 파장 : 532 nm Wavelength of laser beam: 532 nm

레이저 빔의 반복 주파수 : 25 kHz Repetition frequency of laser beam: 25 kHz

레이저 빔의 출력 : 0.02 W∼0.2 W Laser beam output: 0.02 W to 0.2 W

척 테이블의 이동 속도(가공 이송 속도) : 90 mm/s∼600 mm/s, 대표적으로는 150 mm/sThe moving speed of the chuck table (machining feed rate): 90 mm / s to 600 mm / s, typically 150 mm / s

피가공물(11)이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인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개질층(19)이 형성된다. When the work 11 is a silicon carbide substrate,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피가공물 :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Workpiece: Silicon carbide substrate

레이저 빔의 파장 : 532 nm Wavelength of laser beam: 532 nm

레이저 빔의 반복 주파수 : 25 kHz Repetition frequency of laser beam: 25 kHz

레이저 빔의 출력 : 0.02 W∼0.2 W, 대표적으로는 0.1 W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0.02 W to 0.2 W, typically 0.1 W

척 테이블의 이동 속도(가공 이송 속도) : 90 mm/s∼600 mm/s, 대표적으로는,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의 벽개 방향에서 90 mm/s, 비벽개 방향에서 400 mm/s(Moving feed rate) of the chuck table: 90 mm / s to 600 mm / s, typically 90 mm / s in the cleavage direction of the silicon carbide substrate and 400 mm / s in the clearing direction

대상의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필요한 수의 개질층(19)을 형성한 후에는, 전술의 동작을 반복하여, 다른 모든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개질층(19)을 형성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개질층(19)이 형성되면, 레이저 가공 단계는 종료한다. After the necessary number of the reforming layers 19 are formed along the intended line to be divided 13,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peated to form the modified layer 19 along all the lines 15 to be divided.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along all the lines to be divided 13, the laser processing step is termina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칩 영역(11c) 내에만 개질층(19)을 형성하고, 외주 잉여 영역(11d)에는 개질층(19)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이 외주 잉여 영역(11d)에 의해 피가공물(11)의 강도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반송 등을 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피가공물(11)이 개개의 칩으로 분할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레이저 가공 단계후의 외주 잉여 영역(11d)은, 개질층(19)이 형성된 칩 영역(11)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로서 기능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only in the chip region 11c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13 and the modified layer 19 is not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redundant region 11d, The strength of the work 11 is maintained by the region 11d. Thereby, the work 11 is not divided into individual chips due to the force applied when carrying or the like. Thus, the outer peripheral redundant region 11d after the laser processing step functions as a reinforcing portion for reinforcing the chip region 11 on which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 잉여 영역(11d)에 개질층(19)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개질층(19)으로부터 신장한 크랙이 표면(11a) 및 이면(11b)의 양쪽에 도달하여 피가공물(11)이 완전히 분할된 상황에서도, 각 칩이 탈락, 이산되는 일은 없다. 일반적으로, 피가공물(11)에 개질층(19)이 형성되면, 이 개질층(19)의 근방에서 피가공물(11)은 팽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질층(19)의 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팽창의 힘을, 보강부로서 기능하는 링형의 외주 잉여 영역(11d)에서 내측을 향해 작용시킴으로써, 각 칩을 눌러서 탈락, 이산을 방지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odified layer 19 is not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region 11d, the crack extending from the modified layer 19 reaches both the surface 11a and the backside 11b Even when the work 11 is completely divided, the chips do not fall off and are not dispersed. Generally, when the modified layer 19 is formed on the work 11, the work 11 expands in the vicinity of the modified layer 1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pansion force generated by the formation of the reforming layer 19 is caused to act inwardly in a ring-like outer peripheral region 11d functioning as a reinforcing portion, .

레이저 가공 단계의 후에는, 척 테이블(6)로부터 피가공물(11)을 반출하는 반출 단계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피가공물(11)의 표면(11a)(또는 이면(11b))의 전체를 흡착, 유지할 수 있는 반송 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 피가공물(11)의 표면(11a) 전체를 흡착하고 나서, 밸브(32)를 개방하여 흡인원(34)의 부압을 차단하고, 피가공물(11)을 반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주 잉여 영역(11d)이 보강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반송 등을 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피가공물(11)이 개개의 칩으로 분할되어 버려, 피가공물(11)을 적절하게 반송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After the laser processing step, a carrying-out step of carrying out the work 11 from the chuck table 6 is carried out. More specifically, the entire surface 11a of the work 11 is covered with a transport unit (not shown) capable of adsorbing and holding the entire surface 11a (or the back surface 11b) of the work 11, The valve 32 is opened to cut off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suction source 34, and the work 11 is taken out.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er peripheral redundant region 11d functions as a reinforcing portion, the work 11 is divided into individual chips due to the force applied when carrying, etc., The work 11 can not be properly transported.

반출 단계의 후에는, 피가공물(11)로부터 보강부를 제거하는 보강부 제거 단계를 행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보강부 제거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 도 5의 (A) 및 도 5의 (B)에서는, 일부의 구성 요소를 기능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다. 보강부 제거 단계는, 예컨대,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하는 분할 장치(52)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After the carrying-out step, a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for removing the reinforced portion from the work 11 is performed.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5 (A) and 5 (B), some of the components ar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s.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is performed, for example, by using the dividing device 52 shown in Figs. 5A and 5B.

분할 장치(52)는, 피가공물(11)을 흡인, 유지하기 위한 척 테이블(54)을 포함하고 있다. 이 척 테이블(54)의 상면의 일부는, 피가공물(11)의 칩 영역(11c)을 흡인, 유지하는 유지면(54a)으로 되어 있다. 유지면(54a)은, 척 테이블(54)의 내부에 형성된 흡인로(54b)나 밸브(56) 등을 통해 흡인원(58)에 접속되어 있다. The dividing device 52 includes a chuck table 54 for sucking and holding the work 11.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uck table 54 is a holding surface 54a for sucking and holding the chip area 11c of the work 11. The holding surface 54a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ource 58 through a suction path 54b formed in the chuck table 54, a valve 56, and the like.

또한, 척 테이블(54)의 상면의 다른 일부에는, 피가공물(11)의 외주 잉여 영역(11d)(즉 보강부)을 흡인, 유지하기 위한 흡인로(54c)의 일단이 개구되어 있다. 흡인로(54c)의 타단측은, 밸브(60) 등을 통해 흡인원(5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척 테이블(54)은,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 방향에 대략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One end of a suction path 54c for sucking and holding the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11d (i.e., the reinforcing portion) of the work 11 is opened in anoth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uck table 54. [ The other end side of the suction passage 54c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ource 58 through a valve 60 or the like. The chuck table 54 is connected to a rotation driving source (not shown) such as a motor and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척 테이블(54)의 상측에는 절삭 유닛(62)이 배치되어 있다. 절삭 유닛(62)은, 유지면(54a)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회전축이 되는 스핀들(64)을 포함하고 있다. 스핀들(64)의 일단측에는, 결합재에 지립이 분산되어 이루어진 고리형의 절삭 블레이드(66)가 장착되어 있다. A cutting unit 62 is disposed above the chuck table 54. The cutting unit 62 includes a spindle 64 which becomes a rotation ax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holding surface 54a. On one end side of the spindle 64, an annular cutting blade 66 having abrasive grains dispersed therein is mounted.

스핀들(64)의 타단측에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고, 스핀들(64)의 일단측에 장착된 절삭 블레이드(66)는, 이 회전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한다. 절삭 유닛(62)은, 예컨대 승강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고, 절삭 블레이드(66)는, 이 승강 기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A cutting blade 66 mounted on one end side of the spindle 64 is connected to a rotation driving source (not shown) such as a motor by a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tation driving source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spindle 64, do. The cutting unit 62 is supported by, for example, a lifting mechanism (not shown), and the cutting blade 66 moves vertically by the lifting mechanism.

또, 척 테이블(54)의 상면에는, 피가공물(11)의 칩 영역(11c)과 외주 잉여 영역(11d)의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삭 블레이드(66)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삭 블레이드용 여유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huck table 54 is provided with a cutting blade 66 for preventing contact with the cutting blade 6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hip region 11c and the outer peripheral region 11d of the work 11,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보강부 제거 단계에서는, 우선, 피가공물(11)의 이면(11b)을 척 테이블(54)의 유지면(54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밸브(56, 60)를 개방하고, 흡인원(58)의 부압을 유지면(54a) 등에 작용시킨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11)은, 표면(11a)측이 상측에 노출된 상태로 척 테이블(54)에 흡인, 유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11)의 이면(11b)측을 척 테이블(54)로 직접 유지한다. 즉, 여기서도, 피가공물(11)에 대하여 익스팬드 시트를 붙일 필요가 없다. In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first, the back surface 11b of the work 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surface 54a of the chuck table 54. Then, the valves 56 and 60 are opened and a negative pressure of the suction source 58 is applied to the holding surface 54a or the like. Thus, the work 11 is sucked and held by the chuck table 54 in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11a side is exposed on the upper sid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 the back surface 11b side of the work 11 is directly held by the chuck table 54. As shown in Fig. That is, also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affix the expand sheet to the work 11.

다음으로, 절삭 블레이드(66)를 회전시켜, 피가공물(11)의 칩 영역(11c)과 외주 잉여 영역(11d)의 경계에 절입시킨다. 아울러,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 테이블(54)을, 수직 방향에 대략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칩 영역(11c)과 외주 잉여 영역(11d)의 경계를 따라서 피가공물(11)을 절단할 수 있다. Next, the cutting blade 66 is rotated to be inser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hip region 11c and the outer peripheral region 11d of the work 11. Further, as shown in Fig. 5 (A), the chuck table 54 is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Thus, the work 11 can be cut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chip region 11c and the outer peripheral region 11d.

그 후, 밸브(60)를 폐쇄하여, 피가공물(11)의 외주 잉여 영역(11d)에 대한 흡인원(58)의 부압을 차단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 테이블(54)로부터 외주 잉여 영역(11d)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척 테이블(54) 위에는, 피가공물(11)의 칩 영역(11c)만이 남는다. Thereafter, the valve 60 is closed to cut off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suction source 58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11d of the work 11. Then, as shown in Fig. 5 (B), the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11d is removed from the chuck table 54. Fig. As a result, only the chip area 11c of the work 11 remains on the chuck table 54.

보강부 제거 단계의 후에는, 피가공물(11)을 개개의 칩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피가공물(11)의 내부(표면(11a)과 이면(11b) 사이)에 큰 온도차를 형성하고, 열충격(서멀 쇼크)에 의해 힘을 부여하여 피가공물(11)을 분할한다. 도 6은, 분할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 도 6에서는, 일부의 구성 요소를 기능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다. After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a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work 11 into individual chips is performed. Specifically,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is formed inside the work 11 (between the surface 11a and the back 11b), and the work 11 is divided by applying a force by thermal shock (thermal shock) .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dividing step. In Fig. 6, som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represented by function blocks.

분할 단계는, 계속해서 분할 장치(52)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장치(52)는, 척 테이블(54)의 상측에 배치된 분사 노즐(온도차 형성 유닛)(68)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분할 단계에서는, 이 분사 노즐(68)로부터 피가공물(11)의 표면(11a)에 냉각용의 유체(21)를 분무함으로써, 열충격의 발생에 필요한 온도차를 형성한다. 다만, 가열용 유체(21)를 분무함으로써, 열충격의 발생에 필요한 온도차를 형성해도 좋다. The dividing step is subsequently performed using the dividing device 52. [ As shown in Fig. 6, the dividing device 52 further includes a jetting nozzle (temperature difference forming unit) 68 disposed above the chuck table 54. As shown in Fig. In the dividing step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emperature difference required for generating a thermal shock is formed by spraying the cooling fluid 21 on the surface 11a of the work 11 from the injection nozzle 68. However, by spraying the heating fluid 21, a temperature difference necessary for generating a thermal shock may be formed.

냉각용 유체(21)로는, 예컨대 기화함으로써 더욱 열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 질소 등의 저온의 액체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11)의 표면(11a)측을 신속하게 냉각시켜, 필요한 온도차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필요한 온도차란, 피가공물(11)을 개질층(19)을 따라서 파단하기 위해 필요한 응력을 초과하는 열충격을 얻을 수 있는 온도차를 말한다. 이 온도차는, 예컨대 피가공물(11)의 재질이나 두께, 개질층(19)의 상태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As the cooling fluid 21, it is preferable to use a low-temperature liquid such as liquid nitrogen which can further remove heat by, for example, vaporization. As a result, the surface 11a side of the work 11 can be cooled quickly, and the required temperature difference can be easily formed. Here, the required temperature difference refers to a temperature difference at which a thermal shock exceeding the stress necessary for breaking the work 11 along the modified layer 19 can be obtained.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determined depending on, for example,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work 11, the state of the modified layer 19, and the like.

다만, 유체(21)의 종류나 유량 등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충분히 냉각된 에어 등의 기체나, 물 등의 액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유체(21)로서 액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액체를 동결시키지 않을 정도로 낮은 온도(예컨대 응고점보다 0.1℃∼10℃ 정도 높은 온도)까지 냉각시켜 두면 좋다.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and flow rate of the fluid 21. For example, a gas such as sufficiently cooled air or a liquid such as water may be used. When a liquid is used as the fluid 21, the liquid may be cooled to a temperature low enough not to freeze the liquid (for example,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reezing point by about 0.1 to 10 DEG C).

충분한 온도차가 형성되도록 피가공물(11)을 냉각시키면, 열충격에 의해 개질층(19)으로부터 크랙(23)이 신장하고, 피가공물(11)은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복수의 칩(25)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번의 냉각에 의해 필요한 힘을 부여하여, 피가공물(11)을 개개의 칩(25)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가공물(11)을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써 열충격을 발생시키고 있지만, 피가공물(11)을 급속히 가열함으로써 열충격을 발생시켜도 좋다. The crack 23 is extended from the modified layer 19 due to thermal shock and the work 11 is moved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13 to form a plurality of chips 25 ).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ork 11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chips 25 by applying a necessary force by one cool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thermal shock is generated by rapidly cooling the work 11, a thermal shock may be generated by rapidly heating the work 11.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에서는, 피가공물(워크)(11)을 척 테이블(유지 테이블)(6)로 직접 유지한 상태로, 피가공물(11)의 칩 영역(11c)에만 레이저 빔(17)을 조사하여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르는 개질층(19)을 형성하고, 그 후, 한번의 냉각에 의해 힘을 부여하여 피가공물(11)을 개개의 칩(25)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피가공물(11)에 힘을 가하여 개개의 칩(25)으로 분할하기 위해 익스팬드 시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익스팬드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판형의 피가공물(11)인 실리콘 웨이퍼를 분할하여 복수의 칩(25)을 제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ip area 11c of the work 11 is directly held by the chuck table (holding table) 6 while the work 11 The modified layer 19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13 is formed by irradiating only the laser beam 17 on the chip 11 ,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expand sheet for dividing the workpiece 11 into individual chips 25 by applying a force to the workpiece 11. [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hips 25 can be manufactured by dividing a silicon wafer, which is a plate-shaped work 11, without using an expand sheet.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칩의 제조 방법에서는, 피가공물(11)의 칩 영역(11c)에만 레이저 빔(17)을 조사하여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르는 개질층(19)을 형성하고, 외주 잉여 영역(11d)을 개질층(19)이 형성되지 않은 보강부로 하기 때문에, 이 보강부에 의해 칩 영역(11c)은 보강된다. 따라서, 반송 등을 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피가공물(11)이 개개의 칩(25)으로 분할되어 버려, 피가공물(11)을 적절하게 반송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ser beam 17 is irradiated to only the chip region 11c of the work 11 to form the modified layer 19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13, Since the outer peripheral redundant region 11d is made into a reinforcing portion in which the reforming layer 19 is not formed, the reinforcing portion strengthens the chip region 11c. Therefore, the work 11 is divided into the individual chips 25 by the force applied when carrying, etc., so that the work 11 can not be properly transported.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등의 기재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의 유지 단계에서는, 피가공물(11)의 이면(11b)측을 척 테이블(6)로 직접 유지하여, 표면(11a)측으로부터 레이저 빔(17)을 조사하고 있지만, 피가공물(11)의 표면(11a)측을 척 테이블(6)로 직접 유지하여, 이면(11b)측으로부터 레이저 빔(17)을 조사해도 좋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nd the lik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in the holding step of the above embodiment, the side of the back surface 11b of the work 11 is directly held by the chuck table 6, and the laser beam 17 is irradiated from the side of the surface 11a. The laser beam 17 may be irradiated from the back surface 11b side by directly holding the surface 11a side of the laser beam 11 with the chuck table 6. [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유지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관한 유지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에폭시 등의 수지로 대표되는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진 다공질형의 시트(다공성 시트)(44)에 의해 상면이 구성된 척 테이블(유지 테이블)(6)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olding step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In the holding step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as shown in Fig. 7, a porous sheet (porous sheet) 44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ypified by a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epoxy, (Holding table) 6 is preferably used.

이 척 테이블(6)에서는, 시트(44)의 상면(44a)에서 피가공물(11)의 표면(11a)측을 흡인,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표면(11a)측에 형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시트(44)는 척 테이블(6)의 일부이며, 척 테이블(6)의 본체 등과 함께 반복 사용된다. The chuck table 6 sucks and retains the surface 11a side of the work 11 from the upper surface 44a of the sheet 44. [ As a result, breakage of the device or the like formed on the surface 11a side can be prevented. This sheet 44 is a part of the chuck table 6 and is repeatedly us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of the chuck table 6 and the like.

단, 척 테이블(6)의 상면은, 전술한 다공질형의 시트(44)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피가공물(11)의 표면(11a)측에 형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등을 손상하지 않을 정도로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시트(44)는, 척 테이블(6)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손된 경우 등에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huck table 6 does not have to be constituted by the porous sheet 44 described above and at least the device 11 formed on the surface 11a side of the work 11 is damaged It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4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chuck table 6 so that it can be replaced when it is damag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출 단계의 후, 분할 단계의 전에, 보강부 제거 단계를 행하고 있지만, 예컨대, 레이저 가공 단계의 후, 반출 단계의 전에, 보강부 제거 단계를 행해도 좋다. 또, 반출 단계의 후, 분할 단계의 전에, 보강부 제거 단계를 행하는 경우에는, 보강부 제거 단계의 후에 피가공물(11)을 반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피가공물(11)을 적절히 반송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쉽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is performed after the carrying out step and before the dividing step. For example,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laser processing step and before the carrying out step.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after the carrying out step and before the dividing step, there is no need to carry the workpiece 11 after the reinforced portion removing step, so that the workpiece 11 can be properly transported It is easy to avoid problems such as disappearance.

또한, 보강부 제거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보강부의 폭이 피가공물(1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2 mm∼3 mm 정도가 되도록, 레이저 가공 단계에서 개질층(19)을 형성하는 범위를 조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예컨대 분할 단계에서 칩 영역(11c)을 분할하기 전에, 보강부에 분할의 기점이 되는 홈을 형성해도 좋다. 도 8의 (A)는, 변형예에 관한 분할 단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변형예에 관한 분할 단계에서 칩 영역(11c)을 분할하기 전의 피가공물(11)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Also, the step of removing the reinforced portion may be omitt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range of forming the modified layer 19 in the laser processing step so that the width of the reinforced portion is about 2 mm to 3 mm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work 11, for example. Further, for example, before the chip region 11c is divided in the dividing step, a groove serving as a starting point of division may be formed in the reinforcing portion. 8A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ividing step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and FIG. 8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work 11 before the chip area 11c is divided in the dividing step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 Of the present invention.

변형예에 관한 분할 단계에서는,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잉여 영역(11d)(즉 보강부)에 절삭 블레이드(66)를 절입시켜 분할의 기점이 되는 홈(11e)을 형성한다. 이 홈(11e)은, 예컨대 분할 예정 라인(13)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11e)을 형성함으로써, 열충격에 의해 피가공물(11)을 외주 잉여 영역(11d)마다 분할할 수 있게 된다. 또, 변형예에 관한 분할 단계에서는, 척 테이블(54)의 흡인로(54c)나 밸브(60) 등을 생략할 수 있다. 8 (A) and 8 (B), the cutting blade 66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 11d (i.e., the reinforcing portion) The groove 11e is formed. The groove 11e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13, for example. By forming such grooves 11e, the work 11 can be divid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plus regions 11d by thermal shock. In the separation step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the suction passage 54c, the valve 60, and the like of the chuck table 54 can be omitted.

기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관한 구조, 방법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Other structures, methods, and the lik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 피가공물(워크)
11a : 표면
11b : 이면
11c : 칩 영역
11d : 외주 잉여 영역
13 : 분할 예정 라인(스트리트)
15 : 영역
17 : 레이저 빔
19 : 개질층(개질 영역)
19a : 제1 개질층
19b : 제2 개질층
19c : 제3 개질층
21 : 유체
23 : 크랙
25 : 칩
2 : 레이저 가공 장치
4 : 베이스
6 : 척 테이블(유지 테이블)
6a : 유지면
6b : 흡인로
8 : 수평 이동 기구
10 : X축 가이드 레일
12 : X축 이동 테이블
14 : X축 볼나사
16 : X축 펄스 모터
18 : X축 스케일
20 : Y축 가이드 레일
22 : Y축 이동 테이블
24 : Y축 볼나사
26 : Y축 펄스 모터
28 : Y축 스케일
30 : 지지대
32 : 밸브
34 : 흡인원
36 : 지지 구조
38 : 지지 아암
40 : 레이저 조사 유닛
42 : 카메라
44 : 시트(다공성 시트)
44a : 상면
52 : 분할 장치
54 : 척 테이블(유지 테이블)
54a : 유지면
54b : 흡인로
54c : 흡인로
56 : 밸브
58 : 흡인원
60 : 밸브
62 : 절삭 유닛
64 : 스핀들
66 : 절삭 블레이드
68 : 분사 노즐(온도차 형성 유닛)
11: Workpiece (workpiece)
11a: surface
11b:
11c: chip area
11d: outer surplus area
13: Line to be divided (street)
15: area
17: laser beam
19: modified layer (modified region)
19a: First reformed layer
19b: second reformed layer
19c: third modified layer
21: Fluid
23: crack
25: Chip
2: Laser processing device
4: Base
6: Chuck table (holding table)
6a:
6b:
8: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10: X-axis guide rail
12: X-axis moving table
14: X-axis Ball Screw
16: X axis pulse motor
18: X axis scale
20: Y-axis guide rail
22: Y-axis moving table
24: Y-axis Ball Screw
26: Y-axis pulse motor
28: Y axis scale
30: Support
32: Valve
34: suction source
36: Support structure
38: Support arm
40: laser irradiation unit
42: camera
44: sheet (porous sheet)
44a: upper surface
52: Partitioning device
54: chuck table (holding table)
54a:
54b:
54c:
56: Valve
58: suction source
60: Valve
62: cutting unit
64: spindle
66: cutting blade
68: injection nozzle (temperature difference forming unit)

Claims (3)

교차하는 복수의 분할 예정 라인에 의해 칩이 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칩 영역과, 상기 칩 영역을 둘러싸는 외주 잉여 영역을 갖는 실리콘 웨이퍼로부터 복수의 상기 칩을 제조하는 칩의 제조 방법으로서,
실리콘 웨이퍼를 유지 테이블로 직접 유지하는 유지 단계와,
상기 유지 단계를 실시한 후에, 실리콘 웨이퍼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빔의 집광점을 상기 유지 테이블에 유지된 실리콘 웨이퍼의 내부에 위치 부여하도록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서 실리콘 웨이퍼의 상기 칩 영역에만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상기 칩 영역의 상기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서 개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외주 잉여 영역을 개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보강부로 하는 레이저 가공 단계와,
상기 레이저 가공 단계를 실시한 후에, 상기 유지 테이블로부터 실리콘 웨이퍼를 반출하는 반출 단계와,
상기 반출 단계를 실시한 후에, 실리콘 웨이퍼에 힘을 부여하여 실리콘 웨이퍼를 개개의 상기 칩으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단계에서는, 한번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해 상기 힘을 부여하여 실리콘 웨이퍼를 개개의 상기 칩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의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chips from a silicon wafer having a chip reg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be a chip by a plurality of lines to be divided which intersect each other and an outer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chip region,
A holding step of holding the silicon wafer directly to the holding table,
Only the chip area of the silicon wafer along the expected line to be positioned so as to position the light-converging point of the laser beam having the wavelength that is transmissive to the silicon wafer inside the silicon wafer held in the holding table after the holding step A laser processing step of irradiating a laser beam to form a modified layer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in the chip area and making the outer peripheral redundant area a reinforcing part in which the modified layer is not formed,
A carrying-out step of taking out the silicon wafer from the holding table after performing the laser processing step;
And a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silicon wafer into individual chips by applying a force to the silicon wafer after performing the carrying out step,
Wherein in the dividing step, the force is applied by one cooling or heating to divide the silicon wafer into individual chi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가공 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 분할 단계를 실시하기 전에, 상기 보강부를 제거하는 보강부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removing the reinforcing portion after performing the laser processing step and before performing the dividing ste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테이블의 상면은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단계에서는, 상기 유연한 재료로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측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의 제조 방법.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tabl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n the holding step, the surface side of the silicon wafer is held with the flexible material.
KR1020180062576A 2017-06-05 2018-05-31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KR1025541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0732 2017-06-05
JP2017110732A JP6925717B2 (en) 2017-06-05 2017-06-05 Chip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215A true KR20180133215A (en) 2018-12-13
KR102554147B1 KR102554147B1 (en) 2023-07-10

Family

ID=6454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76A KR102554147B1 (en) 2017-06-05 2018-05-31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25717B2 (en)
KR (1) KR102554147B1 (en)
CN (1) CN108987339B (en)
TW (1) TWI76502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4747B (en) * 2020-11-09 2022-05-24 松山湖材料实验室 Wafer stripping method and wafer stripping devic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370A (en) 2000-09-13 2002-07-10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beam machining method
JP2003088973A (en) * 2001-09-12 2003-03-25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beam machining method
JP2003088974A (en) * 2001-09-12 2003-03-25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beam machining method
JP2008153420A (en) * 2006-12-18 2008-07-03 Seiko Epson Corp Dividing method of base, manufacturing method of drop discharge hea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JP2009043992A (en) * 2007-08-09 2009-02-26 Disco Abrasive Syst Ltd Treatment method for wafer
JP2010186971A (en) * 2009-02-13 2010-08-26 Disco Abrasive Syst Ltd Wafer processing method
JP2010206136A (en) 2009-03-06 2010-09-16 Disco Abrasive Syst Ltd Work dividing device
KR20130074737A (en) * 2011-12-26 2013-07-04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Wafer processing method
JP2014199834A (en)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ディスコ Holding means and processing method
JP2014236034A (en)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ディスコ Method for processing waf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8783A (en) * 1992-01-23 1993-08-06 Hitachi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H06275712A (en) * 1993-03-24 1994-09-30 Nec Kansai Ltd Dicing apparatus
JP4733934B2 (en) * 2004-06-22 2011-07-27 株式会社ディスコ Wafer processing method
JP4198123B2 (en) * 2005-03-22 2008-12-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Laser processing method
JP2007012878A (en) * 2005-06-30 2007-01-18 Disco Abrasive Syst Ltd Method of dividing wafer
JP2007019379A (en) * 2005-07-11 2007-01-25 Disco Abrasive Syst Ltd Method for processing wafer
JP4749851B2 (en) * 2005-11-29 2011-08-17 株式会社ディスコ Wafer dividing method
JP2007223854A (en) * 2006-02-24 2007-09-06 Seiko Epson Corp Substrate splitting method, substrate splitting apparatus, laser scribing apparatus,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139739B2 (en) * 2007-07-19 2013-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Lamination method
JP5967405B2 (en) * 2012-01-17 2016-08-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Laser cleaving method and laser cleaving apparatus
JP2013152988A (en) * 2012-01-24 2013-08-08 Disco Abrasive Syst Ltd Method for processing wafer
JP5988601B2 (en) * 2012-02-13 2016-09-07 株式会社ディスコ Method for dividing optical device wafer
JP2014209523A (en) * 2013-04-16 2014-11-06 株式会社ディスコ Wafer processing method
JP2015069975A (en) * 2013-09-26 2015-04-13 株式会社ディスコ Workpiece processing method
JP6366393B2 (en) * 2014-07-15 2018-08-01 株式会社ディスコ Wafer processing method
JP6347714B2 (en) * 2014-10-02 2018-06-27 株式会社ディスコ Wafer processing method
JP2017011134A (en) * 2015-06-23 2017-01-12 株式会社ディスコ Method for manufacturing device chip
JP6775880B2 (en) * 2016-09-21 2020-10-28 株式会社ディスコ Wafer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370A (en) 2000-09-13 2002-07-10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beam machining method
JP2003088973A (en) * 2001-09-12 2003-03-25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beam machining method
JP2003088974A (en) * 2001-09-12 2003-03-25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beam machining method
JP2008153420A (en) * 2006-12-18 2008-07-03 Seiko Epson Corp Dividing method of base, manufacturing method of drop discharge hea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JP2009043992A (en) * 2007-08-09 2009-02-26 Disco Abrasive Syst Ltd Treatment method for wafer
JP2010186971A (en) * 2009-02-13 2010-08-26 Disco Abrasive Syst Ltd Wafer processing method
JP2010206136A (en) 2009-03-06 2010-09-16 Disco Abrasive Syst Ltd Work dividing device
KR20130074737A (en) * 2011-12-26 2013-07-04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Wafer processing method
JP2014199834A (en)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ディスコ Holding means and processing method
JP2014236034A (en)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ディスコ Method for processing wa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147B1 (en) 2023-07-10
CN108987339A (en) 2018-12-11
JP6925717B2 (en) 2021-08-25
CN108987339B (en) 2023-12-15
TWI765027B (en) 2022-05-21
TW201903875A (en) 2019-01-16
JP2018206941A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21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KR10257895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hip
KR2018013321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JP6925721B2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9040914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9040910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905962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hip
JP2018206966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8206969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8206967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6925719B2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6925718B2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6821265B2 (en) How to make chips
JP6925722B2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KR2019012973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KR2019012973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JP2018206946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919583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hip
JP2019197828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919628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
JP2019197827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9197826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9197829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8206944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18206942A (en) Chip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