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044A - 3d 프린터용 토출기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용 토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044A
KR20180133044A KR1020170069485A KR20170069485A KR20180133044A KR 20180133044 A KR20180133044 A KR 20180133044A KR 1020170069485 A KR1020170069485 A KR 1020170069485A KR 20170069485 A KR20170069485 A KR 20170069485A KR 20180133044 A KR20180133044 A KR 2018013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r
spear
printing material
weigh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918B1 (ko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록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록, 이수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록
Priority to KR102017006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91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프린팅 소재를 토출하여 디자인된 조형물을 형성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외측에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린팅 소재가 투입되는 인입홀과, 상기 토출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고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되는 토출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홀, 인입홀, 및 토출구는 모두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형상의 스피어가 구비되고, 중앙홀에는 원기둥 형상의 웨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기 몸체의 상단에는 웨이트가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마게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홀에는 프린팅 소재가 투입된다.

Description

3D 프린터용 토출기{3D PRINTER EXTRUDER}
본 발명은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에 스피어(sphere)를 구비하고 베드 또는 적층물의 상부에 접촉되어 스피어가 올라가면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스피어와 노즐홀 사이로 토출되도록 한 3D 프린터의 토출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란 입체로 디자인된 형상을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 각종 소재를 층층이 쌍아 제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3D 프린터는 소재를 출력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데, 고체인 팰렛으로 된 소재를 레이저로 소결하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빛으로 소재를 굳히는 SLA(Stereolithography) 방식, 필라멘트를 용융하는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이 있다.
이들 방식 중에서 FFF 방식을 이용한 3D 프린터는 X-Y축으로 이동하는 이송 헤드와, 이 이송 헤드에 장착되는 압출기와, Z축으로 이동하는 베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출기는 필라멘트가 공급된다. FFF 방식은 필라멘트를 토출시켜 베드의 바닥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디자인된 형성을 조형한다.
상기 필라멘트는 일정한 직경을 갖으며, 공급릴에 감겨지는데, 상기 이송 헤드에 장착된 한 쌍의 드라이버 휠(Drive Wheel)로부터 가이드되어 압출기로 공급된다. 압출기에 형성된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용융된 필라멘트는 베드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 방식에서 사용하는 필라멘트는 주로 열가소성 재료인 ABS 또는 PLA 등이며, 이들 재료는 통상 리지드(rigid)한 형태를 갖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8741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14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6909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0880호
본 발명은 토출기의 스피어와 적층물의 접촉압력에 의해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되도록 한 3D 프린터용 토출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에 프린팅되어 굳어 있는 적층물의 상부에 토출기의 스피어가 눌러 상대적으로 상승한 경우에만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될 수 있는 3D 프린터용 토출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는 프린팅 소재를 토출하여 디자인된 조형물을 형성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로로서,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외측에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린팅 소재가 투입되는 인입홀과, 상기 토출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고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되는 토출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홀, 인입홀, 및 토출구는 모두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형상의 스피어가 구비되고, 중앙홀에는 원기둥 형상의 웨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기 몸체의 상단에는 웨이트가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마게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홀에는 프린팅 소재가 투입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토출기의 외측에는 가열기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가열기는 히터 또는 인덕션 코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어의 승강범위는 웨이트의 상측과 마게의 하측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삼차원 프린터가 프린팅할 때 토출구의 단부는 스피어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된다.
또한 삼차원 프린터가 프린팅 준비 상태일 때에는 웨이트의 하중으로 스피어를 누르고 있어서 스피어가 토출구를 막게 되며, 프린팅하기 위해 토출기가 하강하여 스피어가 이전에 프린팅한 적층물을 누르게 되면 스피어와 웨이트는 상승하도록 하여 스피어와 토출구 사이에서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나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웨이트의 상측과 마게의 하측 사이의 공간에는 스피링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웨이트의 하면은 라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기의 스피어와 적층물의 접촉압력에 의해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에 프린팅되어 굳어 있는 적층물의 상부에 토출기의 스피어가 눌러 상대적으로 상승한 경우에만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의 측면 일부를 절개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를 사용하여 조형물을 프린팅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어와 웨이트의 상승과 하강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의 측면 일부를 절개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는 프린팅 소재를 용융 및 토출하고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토출기(100)와, 상기 토출기의 외측 하단에 구비되는 가열기(200)와, 상기 토출기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는 냉각기(30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토출기의 하측에는 디자인된 조형물이 프린팅되는 베드와, 상기 토출기의 이동동작 및 토출기의 냉각 및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기의 하측에는 베드가 설치된다. 상기 베드(bed)에는 토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미리 설계된 디자인된 조형물이 형상화된다. 상기 베드의 하부에는 히터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controller)는 토출기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는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디자인된 조형물을 적층할 수 있도록 토출기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100)에는 프린팅 소재가 투입된다. 상기 프린팅 소재는 와이어 형상의 필라멘트일 수 있으며, 상기 필라멘트의 소재로는 ABS, PLA, 금속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프린팅 소재는 액상의 소재, 분말 상태의 입자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홀(111)과, 상기 중앙홀의 외측에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린팅 소재가 투입되는 인입홀(112)과, 상기 토출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고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되는 토출구(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홀, 인입홀, 및 토출구는 모두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도 3의 VAC 참조)와 연통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간부에는 볼(ball) 형상의 스피어(120, sphere)가 구비되고, 중앙홀에는 원기둥 형상의 웨이트(130, weight)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토출기 몸체의 상단에는 웨이트가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마게(140)가 더욱 형성된다.
상기 스피어는 토출구의 반경 보다 큰 반경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토출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다만 스피어의 일부가 토출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웨이트는 그 무게(자중)으로 인해 스피어의 상부와 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웨이트의 무게로 인해 토출구는 항상 스피어에 의해 막고 있어, 공간부에 있는 용융된 프린팅 재료가 토출기의 외부로 나가지 않는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프린팅 소재로서 와이어 형상의 필라멘트(STC)가 투입된다. 상기 필라멘트는 ABS, PLA, 금속 등일 수 있다.
상기 토출기의 하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는 프린팅 소재가 용융된 상태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프린팅 소재의 용융을 위해 토출기 몸체에는 가열기가 더욱 구비된다.
상기 가열기(200)는 프린팅 소재를 용융시키고 토출구로부터 토출될 때까지 프린팅 소재의 용융상태를 유지시킨다. 가열기는 히터 또는 인덕션 코일일 수 있다. 필라멘트의 소재가 ABS, PLA 이라면 가열기는 히터(heater)가 설치되며, 필라멘트의 소재가 금속이라면 가열기에는 인덕션 코일이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인덕션 코일을 토출기 몸체의 외부에 감은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가열기로 프린팅 소재를 용융시킬 때, 가열기로부터 발생한 열이 토출기 몸체로 인입되는 부분에 이르기까지 열이 전달되면 토출기 몸체의 인입구(112-1)에서 필라멘트가 용융되어 버리고, 고체상태의 프린팅 소재가 인입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열기의 상측에는 냉각기가 더욱 설치된다. 상기 냉각기(300)는 방열핀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냉각 효율의 향상을 위해 방열핀에 냉각팬을 더욱 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토출기의 공간부에는 스피어(120)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홀에 설치된 웨이트(130)는 스피어의 상부를 누르고 있다. 이에 따라 토출구는 스피어로 막혀있는 상태가 되어서, 용융된 프린팅 소재는 공간부에서 토출구로 나오지 못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기를 사용하여 조형물을 프린팅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토출기가 하강하여 적층물(또는 베드, ASC)의 상부로 내려온 것은 나타낸 것인데, 스피어의 하부가 적층물의 상부를 누르면, 스피어는 상승한다. 이 상태가 되면 토출구와 스피어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어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나올 수 있다. 도 4의 점선과 점선의 화살표는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적층하여 조형물을 조형하기 위하여는 토출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융된 프린팅 소재를 토출하여야 하므로, 스피어는 구르는 상태가 된다. 만약 토출기가 더욱 하강하여 스피어가 공간부 내측으로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스피어의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고, 토출구의 단부만 적층물 또는 베드와 접촉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토출구의 단부가 이전에 프린팅한 적층물의 상부와 접촉하게 되므로, 토출구의 단부에 의해 이전에 프린팅한 적층물의 형태가 변형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피어의 상승은 제한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스피어가 적층물로 인해 상승하게 되면 공간부 내에서 스피어가 유동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웨이트의 하면에는 스피어의 상면과 대응되는 라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의 라운딩 홈의 반경은 스피어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어와 웨이트의 상승과 하강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프린팅 준비 상태의 토출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프린팅 상태의 토출기를 나타낸 것이다. 프린팅 준비 상태에서는 웨이트의 하중으로 스피어를 누르고 있어서 스피어가 토출구를 막고 있다. 그러나 토출기가 하강하여 스피어가 이전에 프린팅한 적층물을 누르게 되면 스피어와 웨이트는 상승하게 된다. 이 때, 토츨기의 몸체 상부에 결합된 마게는 웨이트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웨이트의 상측과 마게의 하측 사이의 공간에는 스프링(spring)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력으로 스피어를 누를 수 있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D1은 스피어의 승강범위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D2는 웨이트의 승강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D1은 D2와 동일한 거리값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도면부호 D3는 스피어가 최대 상승인 상태에서의 토출구와 스피어의 거리를 나타낸 것인데, 토출구의 단부는 스피어의 하단보다 높게 형성하여, 토출구 하측 단부가 이전에 프린팅한 적층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상기 D3는 적층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mm 내지 1mm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에 프린팅되어 굳어 있는 적층물의 상부에 토출기의 스피어가 눌러 상대적으로 상승한 경우에만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토출기 110 : 토출기 몸체
111 : 중앙홀 112 : 인입홀
112-1 : 인입구 113 : 토출구
120 : 스피어 130 : 웨이트
140 : 마게 200 : 가열기
300 : 냉각기
VAC : 공간부 STC : 필라멘트
ASC : 적층물

Claims (5)

  1. 프린팅 소재를 토출하여 디자인된 조형물을 형성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로로서,
    원기둥 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홀(111)과, 상기 중앙홀의 외측에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린팅 소재가 투입되는 인입홀(112)과, 상기 토출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고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토출되는 토출구(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홀, 인입홀, 및 토출구는 모두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VAC)와 연통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형상의 스피어(120)가 구비되고, 중앙홀에는 원기둥 형상의 웨이트(130)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기 몸체의 상단에는 웨이트가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마게(140)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홀에는 프린팅 소재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의 외측에는 가열기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가열기는 히터 또는 인덕션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의 승강범위는 웨이트의 상측과 마게의 하측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프린터가 프린팅할 때 토출구의 단부는 스피어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프린터가 프린팅 준비 상태일 때에는 웨이트의 하중으로 스피어를 누르고 있어서 스피어가 토출구를 막게 되며, 프린팅하기 위해 토출기가 하강하여 스피어가 이전에 프린팅한 적층물을 누르게 되면 스피어와 웨이트는 상승하도록 하여 스피어와 토출구 사이에서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나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토출기.
KR1020170069485A 2017-06-05 2017-06-05 3d 프린터용 토출기 KR10195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85A KR101956918B1 (ko) 2017-06-05 2017-06-05 3d 프린터용 토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85A KR101956918B1 (ko) 2017-06-05 2017-06-05 3d 프린터용 토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44A true KR20180133044A (ko) 2018-12-13
KR101956918B1 KR101956918B1 (ko) 2019-06-19

Family

ID=6467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485A KR101956918B1 (ko) 2017-06-05 2017-06-05 3d 프린터용 토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107B1 (ko) * 2019-07-25 2021-01-25 한국전력공사 3d프린팅 장치 및 3d프린팅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108A (ja) * 2000-02-09 2001-08-14 Japan Steel Works Ltd:The 糊付装置および糊付け方法
KR101469095B1 (ko) 2014-03-10 2014-12-04 (주) 우진 더블유.티.피. 3d 프린터를 이용한 전자기기용 인테나 제조방법
KR20150098142A (ko) 2014-02-19 2015-08-27 (주)비앤케이 금속분말이 함유된 fdm 방식의 3d 프린터용 복합필라멘트 조성물
JP2015190031A (ja) * 2014-03-28 2015-11-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物質積層装置及び積層部材の製造方法
KR20150140880A (ko) 2014-05-16 2015-12-17 (주)이에이스 2축 직선운동과 선회운동이 가능한 3d 프린터
KR101587411B1 (ko) 2014-08-11 2016-01-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3d 메탈 프린터의 열처리장치 및 그 구조물 열처리방법
KR20170135307A (ko) * 2016-05-31 2017-12-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3d 프린터의 노즐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108A (ja) * 2000-02-09 2001-08-14 Japan Steel Works Ltd:The 糊付装置および糊付け方法
KR20150098142A (ko) 2014-02-19 2015-08-27 (주)비앤케이 금속분말이 함유된 fdm 방식의 3d 프린터용 복합필라멘트 조성물
KR101469095B1 (ko) 2014-03-10 2014-12-04 (주) 우진 더블유.티.피. 3d 프린터를 이용한 전자기기용 인테나 제조방법
JP2015190031A (ja) * 2014-03-28 2015-11-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物質積層装置及び積層部材の製造方法
KR20150140880A (ko) 2014-05-16 2015-12-17 (주)이에이스 2축 직선운동과 선회운동이 가능한 3d 프린터
KR101587411B1 (ko) 2014-08-11 2016-01-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3d 메탈 프린터의 열처리장치 및 그 구조물 열처리방법
KR20170135307A (ko) * 2016-05-31 2017-12-0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3d 프린터의 노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107B1 (ko) * 2019-07-25 2021-01-25 한국전력공사 3d프린팅 장치 및 3d프린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918B1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7080B2 (ja) 3次元物体プリンタにおけるマルチノズル押出印刷ヘッドを動作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932493B2 (ja) 3次元物体プリンタ用の押出印刷ヘッド
US20190022934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object, and material supply unit to be used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JP6803822B2 (ja) 3次元物体プリンタにおける押出機ヘッドのためのフィラメントの熱処理を容易と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フィラメントヒータ
JP2018530671A (ja) 付加製造のための粉末供給
KR102536436B1 (ko) 적층 가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출기 헤드를 위한 최적화된 노즐 배열
KR20170038839A (ko) 그래뉼 및/또는 액체를 공급받는 3-d 프린터 헤드용 그래뉼/액체 유동 조정 장치
CN106671403B (zh) 用于利用微波能和纳米粒从三维打印物体去除支承结构的系统和方法
KR101843323B1 (ko) 3d 프린터
KR20190058292A (ko) 압출기의 각도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적층 가공 동안 멀티 노즐 압출기의 속도를 조정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0407A (ko) 용융기,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장치, 그리고, 사출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부재 간의 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956918B1 (ko) 3d 프린터용 토출기
CN109952190B (zh) 熔融沉积建模方式的三维打印机
KR20160125614A (ko) 3d 프린터용 압출기의 온도조절장치
JP2013536771A (ja) 3次元物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200035348A (ko) 다중-노즐 압출기를 갖는 3차원 물체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34862B1 (ko) 가변 노즐을 구비한 프린터 헤드
CN101115600B (zh) 用于制造热熔油墨颗粒的方法和模具
KR101967699B1 (ko) 자기유변탄성체를 활용한 3d 프린터 가변 노즐
KR101635720B1 (ko) 인덕션 코일을 구비한 메탈 3d 프린터
EP15458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 fluid material by means of a continuous jet printing technique
KR101752061B1 (ko) 3d 프린터용 노즐 장치
KR20170011558A (ko) 3차원 프린터의 직경 가변형 노즐 및 그 제어방법
US20210205887A1 (en) Three dimensional (3d) printed molds having breakaway features
EP3538370B1 (en) Fluid ejection 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