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842A - 정보 전달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전달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842A
KR20180132842A KR1020187032341A KR20187032341A KR20180132842A KR 20180132842 A KR20180132842 A KR 20180132842A KR 1020187032341 A KR1020187032341 A KR 1020187032341A KR 20187032341 A KR20187032341 A KR 20187032341A KR 20180132842 A KR20180132842 A KR 2018013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h
access network
terminal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514B1 (ko
Inventor
웨이 홍
쥬에지아 저우
밍 쟝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bear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전달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통신분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정보 전달 방법은,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는 단계 -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함 -,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에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 단말은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되는 송신 경로에 기반하여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통신 링크와 WLAN링크를 충분히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여, 단일한 링크를 이용하여 조성되는 막히는 것을 피하며, 업 링크 데이터의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달성한다.

Description

정보 전달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전달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티이-무선랜 어그리게이션(LTE-WLAN Aggregations, LWA)은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네트워크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접속망 디바이스(access network device)가 LWA를 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를 전송할 경우, eNB는 LTE네트워크를 통해 일부분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하는 동시에, UE의 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주소에 따라 , WLAN네트워크를 통해 나머지 부분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은 수신된 두 부분 데이터에 대해 어그리게이션함으로써, 데이터의 하향 전송(downlink transmission)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정보 전달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하기와 같다.
제1 측면은 정보 전달 방법을 제공하고, 당해 정보 전달 방법은,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는 단계 -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함 -,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에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 단말은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는 단계는,
접속망 디바이스가 시스템 정보의 지정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경로 정보를 설치하는 단계 - 지정 SIB는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임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에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접속망 디바이스가 각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서의 지정 SIB에 포함되는 경로 정보에 따라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에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서로 같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는 단계는,
접속망 디바이스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에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에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 단말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에 따라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불(boolean)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며, 또는,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이다.
제2 측면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당해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함 -,
단말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단말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시스템 정보의 지정 SIB에는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지정 SIB는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임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는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며, 또는,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당해 방법은,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할 경우, 단말이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한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이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측면은 정보 전달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정보 전달 장치는 정보 배치 모듈, 정보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정보 배치 모듈은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하며,
정보 전달 모듈은 단말에 경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은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배치 모듈은 제1 배치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제1 배치 서브 모듈은 시스템 정보의 지정 시스템 정보 블록(SIB:System Information Block )에 경로 정보를 설치하도록 구성되고, 지정 SIB는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전달 모듈은 제1 전달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제1 전달 서브 모듈은 각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서의 지정 SIB에 포함되는 경로 정보에 따라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다른 단말에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서로 같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배치 모듈은 제2 배치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제2 배치 서브 모듈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전달 모듈은 제2 전달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제2 전달 서브 모듈은 단말에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에 따라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며,
또는,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이다.
제4 측면은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데이터 송신 장치는 정보 수신 모듈, 경로 결정 모듈 및 제1 데이터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정보 수신 모듈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하며,
경로 결정 모듈은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데이터 송신 모듈은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수신 모듈은 제1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시스템 정보의 지정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는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지정 SIB는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수신 모듈은 제2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는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결정 모듈은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를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또는,
경로 결정 모듈은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를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당해 장치는 검출 모듈, 경로 결정 모듈 및 제2 데이터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검출 모듈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경로 결정 모듈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할 경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데이터 송신 모듈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5 측면은 접속망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당해 접속망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하며,
단말에 경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은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6 측면은 단말을 제공하고, 당해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하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7 측면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당해 시스템은 접속망 디바이스 및 접속망 디바이스와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고,
접속망 디바이스는 제3 측면의 정보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은 제4 측면의 데이터 송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접속망 디바이스는 제5 측면의 접속망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단말은 제6 측면의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수단은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망 디바이스를 통해 RRC연결을 구축하는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고, 단말에 당해 경로 정보를 전달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이 당해 경로 정보가 지시하는 송신 경로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단지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이동 통신 링크가 막히는 것을 초래하여, 업 링크 데이터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고,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되는 송신 경로에 기반하여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통신 링크와 WLAN링크를 충분히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여, 단일한 링크를 이용하여 조성되는 막히는 것을 피하며, 업 링크 데이터의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달성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할 수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냈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또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또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정보 전달 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접속망 디바이스(11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14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그 예시가 도면에 도시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한 것일 경우,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서로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서로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는 단지 트허 청구 범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서로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본문에 언급된 "유닛"은 메모리에 저장된 어떤 기능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키고, 본문에 언급된 "모듈"은 로직에 따라 나누는 기능성 구조를 가리키며, 당해 "모듈"은 단순히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문에 언급된 "복수"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가리킨다. "및/또는"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고,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3개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며, 예하면, 단독으로 존재하는 A, 동시에 존재하는 A와B, 단독으로 존재하는 B의 3개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일종"또는"의 관계인 것을 표시한다.
편리하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명사들에 대해 해석한다.
접속망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망의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network element)이다.
서로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지만, 서로 다른 명칭 또는 구체적인 구현 형식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접속망 디바이스는 세계 무선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에서의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이다. 선택 가능한, 접속망 디바이스는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에서의 기지국(NodeB)이다. 선택 가능한, 접속망 디바이스는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이다. 실제 네트워킹에서, 접속망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구현 형식은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중계기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전자 기기이다.
서로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지만, 서로 다른 명칭 또는 구체적인 구현 형식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은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지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대(Mobile), 원격지국(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일 수 있다. 실제 네트워킹에서, 단말의 구체적인 구현 형식은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가전, 스마트 인스트루먼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자동차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의 구체적인 수량과 구체적인 장착 위치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무선랜 종단(WLAN Termination, WT)은 LWA시스템에서 정의된 논리적 네트워크 엘리먼트이고, WLAN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대한 관리 기능을 구비한다.
LWA시스템에서, WT는 eNB와 일일이 대응되며 서로 연결되고, 통상적으로 함께 고정 설치된다. 하나의 WT는 동시에 복수의 WLAN AP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와 서로 연결된 각 WLAN AP에 대한 모니터링, 관리를 담당한다. LWA시스템에서, 접속망 디바이스가 WLAN링크를 통해 단말에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또는, WLAN링크를 통해 단말에 의해 전송된 업 링크 데이터 패킷를 수신할 경우, 당해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과 업 링크 데이터 패킷은 모두 접속망 디바이스와 서로 연결된 WT를 통과한다.
AP는: WLAN에서, 단말에 무선랜액세스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노드이다.
편리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접속망 디바이스를 eNB로하고,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LTE링크와 WLAN링크가 포함된 것을 예로 들어 예시적인 설명을 하며, 본 발명에 대해 한정이 구성되지 않는다.
도1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당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접속망 디바이스(110), WT(120), WLAN AP(130) 및 단말(140)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LTE에서의 eNB이다. 당해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LTE링크와 WLAN링크를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당해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또한 LTE링크와 WLAN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LTE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제1 다운링크 데이터와 제1 업 링크 데이터이고, WLAN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제2 다운링크 데이터와 제2 업 링크 데이터라고 가정하면,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제1 다운링크 데이터와 제2 다운링크 데이터로 패키징할 수 있고, LTE링크를 통해 제1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에 송신하고, WLAN링크를 통해 제2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에 송신하며,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LTE링크를 통해 제1 업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WLAN링크를 통해 제2 업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 업 링크 데이터와 제2 업 링크 데이터를 어그리게이션하고, 어그리게이션한 후의 업 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WT(120)와 일일이 대응되며 서로 연결되고, 통상적인 상황에서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WT(120)와 함께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동일한 메인보드에 형성되고, 또는, 접속망 디바이스(110)와 WT(120)는 광섬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WT(120)와 대응되며 서로 연결된다.
WT(120)는 제2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제2 업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WT(120)는 동시에 복수의 WLAN AP(130)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각 WLAN AP(130)에 의해 송신된 제2 업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된 WLAN AP(130)에 제2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WT(120)에 연결된 WLAN AP(130)의 수량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WLAN AP(130)는 제2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제2 업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실제 네트워킹에서, WLAN AP(130)는 무선 라우터, 무선 게이트웨이와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WLAN AP(130)는 동시에 복수의 WT(12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140)은 제1 업 링크 데이터와 제2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 다운링크 데이터와 제2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 밖에, 단말(140)은 또한 LWA기능을 구비한다. 즉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와 제2 다운링크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단말(140)은 제1 다운링크 데이터와 제2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어그리게이션을 할 수 있고, 단말(140)은 또한 업 링크 데이터를 제1 업 링크 데이터와 제2 업 링크 데이터로 나누고, LTE링크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110)에 제1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WLAN링크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110)에 제2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140)의 구체적인 수량과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2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흐름도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는 당해 데이터 전송 방법을 도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응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당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되,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LTE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한다.
접속망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당해 데이터를 단말에 전달할 경우, 현재의 링크 상황 및 미리 배치된 송신 책략에 따라, 어느 데이터는 LTE링크를 통해 전송하고, 어느 데이터는 WLAN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LTE링크 및 WLAN링크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속망 디바이스는 RRC연결을 구축하는 단말을 위해 각자의 경로 정보를 배치함으로써, 단말이 어떤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지시한다.
단계 202,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에 경로 정보를 전달한다.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커버된 셀에 진입한 후, 당해 접속망 디바이스와 RRC연결을 구축하고,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된 시스템 정보 또는 송신(유니캐스팅)하는 RRC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생성된 경로 정보를 시스템 정보에 추가할 수 있고, 브로드캐스팅의 방식으로 RRC연결을 구축한 각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며,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또한 생성된 경로 정보를 RRC시그널링에 추가할 수 있고, 단말 사이와의 RRC연결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단계 203,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에서 당해 경로 정보를 획득하며,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당해 RRC시그널링으로부터 당해 경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204, 단말이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한다.
단말은 획득된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이용되는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한다.
단계 205, 단말이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업 링크 데이터는 LWA어그리게이션을 통해 전송하는 업 링크 데이터이다. 즉 접속망 디바이스는 단말에 의해 업로드된 LTE업 링크 데이터와 WLAN업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LTE업 링크 데이터와 WLAN업 링크 데이터에 대해 어그리게이션을 할 필요가 있음으로써, 어그리게이션한 후의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관련 기술에서, 단말은 단지 LTE링크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서로 다른 것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된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은 LTE링크와 WLAN네트워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업 링크 데이터를 분류 송신하여, 단지 LTE링크를 통해서만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조성하는 LTE링크가 막히는 것을 피한다. 동시에, WLAN링크를 이용하여 부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통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한다.
앞서 말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접속망 디바이스를 통해 RRC연결을 구축하는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고, 단말에 당해 경로 정보를 전달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이 당해 경로 정보가 지시하는 송신 경로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단지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이동 통신 링크가 막히는 것을 초래하여, 업 링크 데이터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고,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되는 송신 경로에 기반하여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통신 링크와 WLAN링크를 충분히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여, 단일한 링크를 이용하여 조성되는 막히는 것을 피하며, 업 링크 데이터의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달성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단계 201과 단계 202는 접속망 디바이스 측의 정보 전달 방법으로 단독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술한 단계 203 내지 단계 205는 단말 측의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 단독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여기서 서술하지 않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브로드캐스팅의 형식으로 셀에서의 각 단말(140)에 시스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당해 시스템 정보를 통해, 단말(140)은 셀에 있는 네트워크 특징 등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통일하게 셀에서의 각 단말에 서로 같은 경로 정보를 배치할 수 있고, 브로드캐스팅의 방식으로 당해 시스템 정보를 각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아래에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a는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흐름도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는 당해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도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응용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당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접속망 디바이스가 시스템 정보의 지정 SIB에 경로 정보를 설치하되, 지정 SIB는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이다.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에서는, 하나의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마스터 정보 블록)와 복수의 SIB를 포함한다. MIB에는 제한되어 있는 가장 중요하고 가장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물리 브로드캐스팅 채널)를 통해 전송하며, SIB는 SI(System Information, 시스템 정보)를 적재하기 위한 것이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물리 하향 공유 채널)를 통해 전송하며, SIB와 SI사이의 매핑 관계는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정보에서의 SIB는 단말에 배치된 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접속망 디바이스는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LTE링크와 WLAN링크의 링크 상황 및 데이터 전송 품질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을 지시하여 어떤 경로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예컨대, LTE링크의 링크 상황이 비교적 나쁘고(또는 데이터의 전송 품질이 비교적 나쁨) WLAN링크의 링크 상황이 비교적 좋을(또는 데이터의 전송 품질이 비교적 좋음) 경우, 접속망 디바이스는 단말을 지시하여 WLAN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기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미리 설치된 송신 책략(적시성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데이터는 LTE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적시성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낮은 데이터는 WLAN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함)에 따라, 단말의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결정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접속망 디바이스는 결정된 송신 경로에 따라, 상응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경로 정보를 시스템 정보에서의 지정 SIB에 추가한다. 당해 지정 SIB는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예컨대 SIB1)거나, 시스템 정보에서의 새로 추가된 SIB(예컨대 SIB19, SIB20 등)일 수도 있다.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당해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는 LTE링크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며, 또는,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LTE링크이다.
예컨대, 접속망 디바이스는 SIB1에 인디케이션(Indication)을 새로 추가하여,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인디케이션의 값이 true일 경우,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LTE링크로 지시하고, 당해 인디케이션의 값이 false일 경우,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WLAN 링크로 지시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실시예는 단지 상술한 가능한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예시적인 설명을 한 것으로, 경로 정보를 설치하는 구체적인 방식 구성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단계 302, 접속망 디바이스가 각 단말에 당해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되, 서로 다른 단말에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가 서로 같다.
경로 정보의 설치를 완성한 후, 접속망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팅의 방식으로, RRC연결을 구축한 각 단말에 당해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고, 서로 다른 단말에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서로 같다. 즉 접속망 디바이스가 커버된 셀에서, 각 단말에 의해 수신된 경로 정보는 서로 같다.
단계 303,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상응하게, 단말은 당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를 획득한다.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은 당해 시스템 정보에 지정 SIB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당해 시스템 정보에 지정 SIB를 포함할 경우, 당해 SIB에 포함된 경로 정보를 더 획득한다.
단계 304, 단말이 당해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한다.
단말은 획득된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더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가 이용하는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LTE링크로 결정하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며, 또는,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LTE링크로 결정하고.
기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정보에서의 경로 정보가 기타 데이터 유형을 이용하여 저장할 경우, 단말은 상응한 해독 방식을 이용하여 그의 지시된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05, 단말이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 업 링크 데이터에 대해 패키징 처리를 한 후, 상응한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업 링크 데이터의 분류 전송을 구현한다.
예컨대, 경로 정보가 단말을 지시하여 LTE링크를 통해 적시성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WLAN링크를 통해 적시성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낮은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단말은 적시성 요구가 비교적 낮은 업 링크 데이터를 LTE데이터 패킷으로 패키징하고, LTE링크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당해 LTE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며, 이와 동시에, 단말은 적시성 요구가 비교적 낮은 업 링크 데이터를 WLAN데이터 패킷으로 패키징하고, WLAN링크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당해 WLAN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앞서 말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접속망 디바이스를 통해 RRC연결을 구축하는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고, 단말에 당해 경로 정보를 전달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이 당해 경로 정보가 지시하는 송신 경로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단지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이동 통신 링크가 막히는 것을 초래하여, 업 링크 데이터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고,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되는 송신 경로에 기반하여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통신 링크와 WLAN링크를 충분히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여, 단일한 링크를 이용하여 조성되는 막히는 것을 피하며, 업 링크 데이터의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에 경로 정보를 추가하고, 당해 시스템 정보를 각 단말에 브로드캐스팅하며, 셀에서의 모든 단말에 대한 통일된 배치를 구현하여, 배치 효율이 비교적 높으며, 전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원가를 낮춘다.
기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서 경로 정보를 배치하지 않았을 경우, 단말은 디폴트 경로(예컨대 LTE링크)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서 경로 정보를 배치할 경우, 단말은 당해 경로 정보가 지시하는 송신 경로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306,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단말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에 지정 SIB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만약 시스템 정보에 지정 SIB가 포함되지 않으면, 하기의 단계 307을 실행하며, 만약 시스템 정보에 지정 SIB가 포함되면, 당해 지정 SIB에 지정된 인디케이션(경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더 검출하고, 지정 SIB에 지정된 인디케이션가 포함될 경우, 상술한 단계 304를 실행하고, 지정 SIB에 지정된 인디케이션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하기의 단계 307을 실행한다.
단계 307,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이 LTE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시스템 정보에 경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검출할 경우, 단말은 LTE링크(디폴트 경로)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단계 301과 단계 302는 접속망 디바이스 측의 정보 전달 방법으로 단독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술한 단계 303 내지 단계 307은 단말 측의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 단독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여기서 서술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서로 다른 단말에 대해 서로 다른 송신 경로를 배치할 수 있기 위해, 접속망 디바이스는 각각 단말을 위해 서로 다른 경로 정보를 배치할 수 있고, 유니캐스팅RRC시그널링의 방식을 통해 상응한 단말에 송신한다. 아래에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a는 또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흐름도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는 당해 데이터 전송 방법을 도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응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당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 접속망 디바이스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설치한다.
RRC연결 재배치(RRCConnectionReconfiguration) 시그널링은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RRC연결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고, 측정 배치의 수정, 무선 베어러를 전환, 무선 베어러,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 등을 배치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배치한다.
차별화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접속망 디바이스는 셀에서의 각 단말의 트래픽의 사용 상황, 네트워크의 지지 상황 등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단말을 위해 서로 다른 경로 정보를 배치하고, 당해 경로 정보를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추가하여, 대응되는 단말에 후속으로 송신하는데 편리하다.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당해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정보에 설치한 값이 true일 경우,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는 LTE링크이고, 경로 정보에 설치한 값이 false일 경우,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며, 또는, 경로 정보에 설치한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고, 경로 정보에 설치한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LTE링크이다.
예컨대, 접속망 디바이스는 단말의 트래픽의 사용 상황을 획득할 수 있고, 트래픽의 사용 상황이 단말의 나머지 트래픽이 역치보다 큰 것을 지시할 경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배치한 목표 송신 경로는 LTE링크이고,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서의 경로 정보의 값을 true로 설치하고, 트래픽의 사용 상황이 단말의 나머지 트래픽이 역치보다 작은 것을 지시할 경우,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배치한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고,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서의 경로 정보의 값을 false로 설치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실시예는 단지 상술한 가능한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예시적인 설명을 한 것으로, 경로 정보를 설치하는 구체적인 방식 구성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단계 402,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에 당해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의 설치를 완성한 후, 접속망 디바이스는 유니캐스팅의 방식을 통해, 대응되는 단말에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즉 접속망 디바이스가 셀에서의 각 단말을 위해 배치하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접속망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팅와 유니캐스팅의 2가지 방식을 서로 결합할 수도 있고, 브로드캐스팅의 방식으로 셀에서의 다수의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통일적으로 배치하며, 다시 유니캐스팅의 방식을 통해 셀에서의 소수의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단독적으로 배치하고(유니캐스팅에 의해 배치되는 경로 정보의 우선순위가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배치된 경로 정보보다 높다. 즉 단말은 우선적으로 유니캐스팅에 의해 배치된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전송함),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403,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상응하게,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당해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404, 단말이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한다.
나아가, 단말은 획득된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가 이용하는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LTE링크로 결정하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며, 또는,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단말은 목표 송신 경로를 LTE링크로 결정한다.
기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서의 경로 정보가 기타 데이터 유형을 이용하여 저장할 경우, 단말은 상응한 해독 방식을 이용하여 그가 지시하는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405, 단말이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술한 단계 305와 유사하게,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 업 링크 데이터에 대해 패키징 처리를 한 후, 상응한 송신 경로를 통해 전송함으로써,업 링크 데이터의 분류 전송을 구현한다.
앞서 말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접속망 디바이스를 통해 RRC연결을 구축하는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고, 단말에 당해 경로 정보를 전달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이 당해 경로 정보가 지시하는 송신 경로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단지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이동 통신 링크가 막히는 것을 초래하여, 업 링크 데이터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고,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되는 송신 경로에 기반하여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통신 링크와 WLAN링크를 충분히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여, 단일한 링크를 이용하여 조성되는 막히는 것을 피하며, 업 링크 데이터의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추가하고, 유니캐스팅의 방식을 통해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대응되는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셀에서의 단말의 타깃성 배치를 구현한다.
기타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수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배치하지 않았을 경우, 단말은 디폴트 경로(예컨대 LTE링크)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배치할 경우, 단말은 당해 경로 정보가 지시하는 송신 경로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406,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단말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만약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가 포함되면, 상술한 단계 404를 실행하고, 만약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하기의 단계 407를 실행한다.
단계 407,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이 LTE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을 검출할 경우, 단말은 LTE링크(디폴트 경로)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단계 401과 단계 402는 접속망 디바이스 측의 정보 전달 방법으로 단독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술 단계 403 내지 단계 407은 단말 측의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 단독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여기서 서술하지 않는다.
하기는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5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정보 전달 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당해 정보 전달 장치는 전용 하드웨어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도1에서의 접속망 디바이스(110)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당해 정보 전달 장치는 정보 배치 모듈(510), 정보 전달 모듈(520)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배치 모듈(510)은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는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전달 모듈(520)은 단말에 경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은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배치 모듈(510)은 제1 배치 서브 모듈(5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배치 서브 모듈(511)은 시스템 정보의 지정 SIB에 경로 정보를 설치하도록 구성되고, 지정 SIB는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전달 모듈(520)은 제1 전달 서브 모듈(5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달 서브 모듈(521)은 각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서의 지정 SIB에 포함되는 경로 정보에 따라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다른 단말에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서로 같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배치 모듈(510)은 제2 배치 서브 모듈(5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배치 서브 모듈(512)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전달 모듈(520)은 제2 전달 서브 모듈(5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달 서브 모듈(522)은 단말에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에 따라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며, 또는,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WLAN링크이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이다.
앞서 말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정보 전달 장치는 접속망 디바이스를 통해 RRC연결을 구축하는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고, 단말에 당해 경로 정보를 전달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이 당해 경로 정보가 지시하는 송신 경로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단지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이동 통신 링크가 막히는 것을 초래하여, 업 링크 데이터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고,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되는 송신 경로에 기반하여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통신 링크와 WLAN링크를 충분히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여, 단일한 링크를 이용하여 조성되는 막히는 것을 피하며, 업 링크 데이터의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에 경로 정보를 추가하고, 당해 시스템 정보를 각 단말에 브로드캐스팅하며, 셀에서의 모든 단말에 대한 통일된 배치를 구현하여, 배치 효율이 비교적 높으며, 전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원가를 낮춘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추가하고, 유니캐스팅의 방식을 통해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대응되는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셀에서의 단말의 타깃성 배치를 구현한다.
도6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당해 데이터 송신 장치는 전용 하드웨어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도1에서의 단말(140)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당해 데이터 송신 장치는 정보 수신 모듈(610), 경로 결정 모듈(620) 및 제1 데이터 송신 모듈(630)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신 모듈(610)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접속망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는 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WLAN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결정 모듈(620)은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송신 모듈(630)은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접속망 디바이스에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수신 모듈(610)은 제1 수신 서브 모듈(6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611)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시스템 정보의 지정 SIB에는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지정 SIB는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수신 모듈(610)은 제2 수신 서브 모듈(6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612)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는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boolean이고,
경로 결정 모듈(620)은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를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또는,
경로 결정 모듈은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를 WLAN링크로 결정하고,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목표 송신 경로를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당해 장치는 검출 모듈(640), 경로 결정 모듈(820) 및 제2 데이터 송신 모듈(6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검출 모듈(640)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로 결정 모듈(820)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할 경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모듈(650)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LTE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말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는 접속망 디바이스를 통해 RRC연결을 구축하는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고, 단말에 당해 경로 정보를 전달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이 당해 경로 정보가 지시하는 송신 경로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단지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이동 통신 링크가 막히는 것을 초래하여, 업 링크 데이터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고,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되는 송신 경로에 기반하여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통신 링크와 WLAN링크를 충분히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여, 단일한 링크를 이용하여 조성되는 막히는 것을 피하며, 업 링크 데이터의 전송 효율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에 경로 정보를 추가하고, 당해 시스템 정보를 각 단말에 브로드캐스팅하며, 셀에서의 모든 단말에 대한 통일된 배치를 구현하여, 배치 효율이 비교적 높으며, 전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원가를 낮춘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망 디바이스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경로 정보를 추가하고, 유니캐스팅의 방식을 통해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대응되는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셀에서의 단말의 타깃성 배치를 구현한다.
도7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접속망 디바이스(11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당해 접속망 디바이스(110)는 프로세서(71), 메모리(72), 발신기(73) 및 수신기(7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는 메모리(72)와 서로 연결된다.
프로세서(7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7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유닛을 작동하는 것을 통해, 여러가지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72)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당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72)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74),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수요되는 응용 프로그램 모듈(75)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71)는 메모리(72)에서의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여, 위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접속망 디바이스(110)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72)는 예를 들어 에스램(SRAM), 이이피롬(EEPROM), 이프롬(EPROM), 피롬(PROM), 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발신기(73)는 변복조 유닛과 멀티플 입력 멀티플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안테나를 포함하고, MIMO안테나는 멀티 안테나 포트에 의해 발신과 수신하는 것을 지지하는 안테나이다. 선택 가능하게, MIMO안테나는 적어도 2개의 발사 안테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발신기(73)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수신기(76)는 발신기(73)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수신기(76)는 변복조 유닛과 MIMO안테나를 포함하고, MIMO안테나는 적어도 2개 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도7에 도시된 접속망 디바이스(110)의 구조가 접속망 디바이스(110)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부품 또는 어떤 부품을 조합, 또는 서로 다른 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8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14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당해 단말(140)은 프로세서(81), 메모리(82), 발신기(83) 및 수신기(8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는 메모리(82)와 서로 연결된다.
프로세서(8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8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유닛을 작동하는 것을 통해, 여러가지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82)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당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82)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84),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수요되는 응용 프로그램 모듈(85)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81)는 메모리(82)에서의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여, 위의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140)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82)는 예를 들어 에스램(SRAM), 이이피롬(EEPROM), 이프롬(EPROM), 피롬(PROM), 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발신기(83)는 변복조 유닛과 멀티플 입력 멀티플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안테나를 포함하고, MIMO안테나는 멀티 안테나 포트에 의해 발신과 수신하는 것을 지지하는 안테나이다. 선택 가능하게, MIMO안테나는 적어도 2개의 발사 안테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발신기(83)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수신기(86)는 발신기(83)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수신기(86)는 변복조 유닛과 MIMO안테나를 포함하고, MIMO안테나는 적어도 2개 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도8에 도시된 단말(140)의 구조가 단말(140)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부품 또는 어떤 부품을 조합, 또는 서로 다른 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에서 개시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개시에 따른 기타 실시 형태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며, 본 개시에 개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 기술 또는 관용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며,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나타낸다.
이해되어야 하는 바로는, 본 개시는 위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수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5)

  1. 정보 전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접속망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사이에 무선 자원 제어(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상기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무선랜(WLAN)링크를 포함함 -,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에 상기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가 시스템 정보의 지정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상기 경로 정보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지정 SIB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상기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가 각 단말에 상기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서의 상기 지정 SIB에 포함되는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는 서로 동일함,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상기 경로 정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상기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에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불(boolean)유형이고,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는 상기 이동 통신 링크이고,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는 상기 WLAN링크이며, 또는,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는 상기 WLAN링크이며,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는 상기 이동 통신 링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7.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이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사이에 무선 자원 제어(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상기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무선랜(WLAN)링크를 포함함 -,
    상기 단말은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상기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스템 정보의 지정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는 상기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지정 SIB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는 상기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불(boolean)유형이고,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상기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고,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상기 WLAN링크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상기 WLAN링크로 결정하고,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상기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7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상기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상기 경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한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상기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2. 정보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정보 배치 모듈, 정보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배치 모듈은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사이에 무선 자원 제어(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상기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무선랜(WLAN)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전달 모듈은 상기 단말에 상기 경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배치 모듈은 제1 배치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치 서브 모듈은 시스템 정보의 지정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상기 경로 정보를 설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정 SIB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달 모듈은 제1 전달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달 서브 모듈은 각 단말에 상기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서의 상기 지정 SIB에 포함되는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다른 단말에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는 서로 동일함,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배치 모듈은 제2 배치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치 서브 모듈은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상기 경로 정보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달 모듈은 제2 전달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달 서브 모듈은 상기 단말에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불(boolean)유형이고,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는 상기 이동 통신 링크이고,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는 상기 WLAN링크이며, 또는,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는 상기 WLAN링크이며,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는 상기 이동 통신 링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장치.
  18.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정보 수신 모듈, 경로 결정 모듈 및 제1 데이터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신 모듈은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사이에 무선 자원 제어(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상기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무선랜(WLAN)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결정 모듈은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송신 모듈은 상기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모듈은 제1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정보의 지정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는 상기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지정 SIB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서의 원래의 SIB 또는 새로 추가된 SIB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모듈은 제2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는 상기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한 상기 RRC연결 재배치 시그널링에 포함된 상기 경로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의 데이터 유형은 불(boolean)유형이고,
    상기 경로 결정 모듈은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상기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고,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상기 WLAN링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또는,
    상기 경로 결정 모듈은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tru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상기 WLAN링크로 결정하며, 상기 경로 정보의 값이 false일 경우, 상기 목표 송신 경로를 상기 이동 통신 링크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검출 모듈, 경로 결정 모듈 및 제2 데이터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상기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로 결정 모듈은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상기 경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모듈은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상기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3. 접속망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을 위해 경로 정보를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사이에 무선 자원 제어(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상기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무선랜(WLAN)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에 상기 경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디바이스.
  24.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접속망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사이에 무선 자원 제어(RRC)연결이 구축되어 있고, 상기 경로 정보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경로는 이동 통신 링크 또는 무선랜(WLAN)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업 링크 데이터의 목표 송신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송신 경로에 따라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에 상기 업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5.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접속망 디바이스 및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와 무선 자원 제어(RRC)연결이 구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는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접속망 디바이스는 제23 항의 접속망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제24항의 단말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187032341A 2016-06-29 2016-06-29 정보 전달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시스템 KR102201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7581 WO2018000221A1 (zh) 2016-06-29 2016-06-29 信息下发方法、数据发送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842A true KR20180132842A (ko) 2018-12-12
KR102201514B1 KR102201514B1 (ko) 2021-01-12

Family

ID=5727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341A KR102201514B1 (ko) 2016-06-29 2016-06-29 정보 전달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798610B2 (ko)
EP (1) EP3481098B1 (ko)
JP (1) JP6781272B2 (ko)
KR (1) KR102201514B1 (ko)
CN (1) CN106134247A (ko)
BR (1) BR112018077070A2 (ko)
ES (1) ES2928551T3 (ko)
PL (1) PL3481098T3 (ko)
RU (1) RU2718236C1 (ko)
SG (1) SG11201811581VA (ko)
WO (1) WO2018000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0125B (zh) * 2017-06-01 2020-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0042117A1 (zh) * 2018-08-30 2020-03-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人机飞行路径提供方法、获取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3640A (zh) * 2013-08-09 2016-03-30 高通股份有限公司 不相交的承载路由
WO2016084865A1 (ja) * 2014-11-27 2016-06-02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及びアクセスポイ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3077B2 (en) * 2000-07-21 2007-05-01 Hughes Network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uffer management in a performance enhancing proxy architecture
RU2384981C2 (ru) * 2005-07-07 2010-03-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межсетевого обмена беспроводных глобальных сетей и беспроводных локальных сетей или беспроводных персональных сетей
CN101299696B (zh) * 2007-04-30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局域网及其实现业务连续性的方法
EP2361468B1 (en) * 2008-09-26 2015-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ges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s
US9794848B2 (en) * 2011-07-25 2017-10-17 Ether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y-based handoff
KR20130074901A (ko) * 2011-12-27 2013-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해상 통신 시스템 및 방법
EP2893747B1 (en) * 2012-09-10 2019-12-04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Uplink configuration and transmission control in inter-site carrier aggregation
JP6047667B2 (ja) * 2012-12-20 2016-12-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重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装置
US9560645B2 (en) * 2014-01-31 2017-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E, a secondary ENB and a master ENB and respective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to the UE
US9609566B2 (en) * 2014-06-03 2017-03-28 Intel Corporation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for integrated WLAN/3GPP radio access technologies
US9942944B2 (en) * 2014-12-29 2018-04-10 Intel IP Corporation Network-initiated discovery and path selection procedures for multi-hop underlay networks
WO2016143560A1 (ja) * 2015-03-06 2016-09-1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3640A (zh) * 2013-08-09 2016-03-30 高通股份有限公司 不相交的承载路由
WO2016084865A1 (ja) * 2014-11-27 2016-06-02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及びアクセスポイ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28551T3 (es) 2022-11-21
JP2019519989A (ja) 2019-07-11
JP6781272B2 (ja) 2020-11-04
KR102201514B1 (ko) 2021-01-12
RU2718236C1 (ru) 2020-03-31
BR112018077070A2 (pt) 2019-04-02
EP3481098A1 (en) 2019-05-08
SG11201811581VA (en) 2019-01-30
US10798610B2 (en) 2020-10-06
EP3481098A4 (en) 2020-03-11
EP3481098B1 (en) 2022-09-28
PL3481098T3 (pl) 2023-01-30
WO2018000221A1 (zh) 2018-01-04
CN106134247A (zh) 2016-11-16
US20190132770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01964A (ja) 信号送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CN107925936B (zh) 终端装置、方法和系统
CN112823488A (zh) 多发射/接收点传输的方法和装置
EP3703456B1 (en) Method for terminal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that uses the method
EP3269091B1 (en) Communication network aggregation test payload
WO2021090607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KR20180135474A (ko) 무선 네트워크 노드, 기준 신호 구성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 및 방법
US1068177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20504520A (ja) ビーム選択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WO2020069182A1 (en) Sidelink synchronization methods for v2x in nr
CN112423393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210195604A1 (en)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1052848A (zh) 用于操作蜂窝无线电通信网络网络实体的方法以及蜂窝无线电通信网络网络实体
US20130094393A1 (en) Method,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tarting compressed mode
US10798610B2 (en) Information issuing method, data sen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80115818A (ko) 시그널링 송신 방법, 참고 신호 송신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US9615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physical cell identit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307467A (zh) 通信方法、基站以及终端
KR20230088430A (ko) 리라우팅 방법 및 장치, 통신기기
US98544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plit availability of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7910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LAN and LTE aggregation system
US20220312437A1 (en) Scheduling request prioritization
US202401630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serving and non-serving cel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domain reference points for reference signal sequence generation
EP43159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handling of the updates of serving/neighbor cell information
WO2023131471A1 (e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