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014A -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014A
KR20180132014A KR1020180152603A KR20180152603A KR20180132014A KR 20180132014 A KR20180132014 A KR 20180132014A KR 1020180152603 A KR1020180152603 A KR 1020180152603A KR 20180152603 A KR20180152603 A KR 20180152603A KR 20180132014 A KR20180132014 A KR 2018013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ib
blocking portion
lens barre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석
권태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2014A/ko
Publication of KR2018013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가 광축 방향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각 유효면 및 상기 유효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인접한 렌즈와 접촉하는 리브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의 이미지측 면은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2 렌즈의 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차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MAE}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등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원통형의 배럴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적층 결합되고, 하우징 내부에 렌즈 배럴과 렌즈 하부에 광학 필터 및 이미지 센서가 결합된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형광등 불빛이나 어두운 암실에서 일정한 각도로 강한 빛을 입사시키면 특정한 각도의 빛이 렌즈 배럴에 수용되는 렌즈 리브면에서 내면 반사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빛은 결상과 관련이 없는 빛으로 화면에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렌즈 리브면에서의 내면 반사를 통해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입사되는 빛을 차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로 빛이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렌즈 조립체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가 광축 방향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각 유효면 및 상기 유효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인접한 렌즈와 접촉하는 리브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의 이미지측 면은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2 렌즈의 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차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결상면을 갖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는 무광 잉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잉크젯 프린팅 또는 레이저 프린팅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의 리브면으로 입사되는 빛은 상기 차단부에 의해 내면 반사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 및 카메라 모듈은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로 빛이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차단부가 입사각 45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의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차단부가 입사각 50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의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차단부가 입사각 45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의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차단부가 입사각 50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의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00)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10), 상기 내부 공간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1), 렌즈의 외면에 구비되는 차단부(30), 상기 렌즈(11)를 고정시키는 압입링(20)을 포함한다.
렌즈 배럴(10)은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하나 이상의 렌즈(11)가 광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은 중공이 구비된 원통형일 수 있으며, 그 상부면에는 광 투과를 위한 렌즈공(10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렌즈(11)는 상기 렌즈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광축을 따라 적층되며, 각각의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렌즈(11)의 중심부에는 유효면 및 유효면의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접한 렌즈와 접촉하는 리브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경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렌즈공(10a)의 중심에서 렌즈 배럴의 외주면(1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렌즈 배럴(10)에 구비되는 렌즈(1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지만, 이하에서는 상기 렌즈(11)는 제1 내지 제4 렌즈(12, 14, 16, 18)로 구비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렌즈 배럴(10)에는 전원 인가 시 상기 렌즈(11)를 광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는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쇄교하여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의 이동을 실현하는 마그네트와 코일을 이용한 VCM(Voice Coiol Motor), 전원 인가 시 압전체의 변형에 의해 렌즈의 이동을 실현하는 압전체를 이용한 피에조 액츄에이터(Piezo actuator)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11) 사이에는 렌즈 사이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상기 렌즈(11)의 수광부를 투과하는 영상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유효면의 외경보다 큰 홀을 중심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크기와 형상은 렌즈(11)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대신에 렌즈의 새그(sag)값을 조정하거나, 렌즈의 리브면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스페이서를 생략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에 대응되게 리브면의 두께를 형성하거나, 복수 개의 렌즈(11)의 새그(sag)값을 조정하여, 렌즈간 간격을 조율할 수도 있다.
압입링(20)은 렌즈(11)가 렌즈 배럴(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렌즈 배럴(10)의 내측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입링(20)은 렌즈 배럴(10)의 개구에 삽입되어 렌즈 배럴(10)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렌즈(11)의 리브면과 렌즈 배럴(10)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압입링(20)링과 렌즈 배럴(10)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 압입링(20)은 렌즈 배럴(10)의 내측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차단부(30)는 해상도의 질을 떨어뜨리는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 배럴(10)에 수용되는 렌즈(11)의 리브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렌즈(11)에 일정한 각도로 입사되는 빛은 렌즈(11)의 리브면에서 내면 반사를 일으켜 후술할 이미지 센서(70)의 결상면에 입사하게 된다.
이러한 빛은 결상면에 노이즈를 형성하며, 해상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11)의 리브면에 내면 반사를 방지하는 차단부(30)를 형성하여, 이미지 센서(70)의 결상면에 입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30)는 무광 잉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잉크젯 프린팅 또는 레이저 프린팅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렌즈(11)의 리브면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30)를 구성하는 무광 잉크는 빛의 반사를 차단할 수 있는 재료라면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며, 일 예로써, 카본계 물질(Graphene Oxide, DLC: Diamond Line Carbon), 크롬계 산화물(CrO, CrO2), 구리계 산화물 (CuO), 망간계 산화물(MnO2), 코발트계 산화물(CoO), 황화물(CoS2, Co3S4), 니켈계 산화물(Ni2O3)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30)는 렌즈(11)가 적층되는 방향으로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렌즈(11)의 유효면의 테두리를 따라 리브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30)는 유효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차단부(30)에 의해 리브면의 내면 반사가 차단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차단부가 입사각 45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의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차단부가 입사각 50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의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10)에 수용되는 제1 렌즈(12)를 통과한 입사각 초기 45도의 강한 빛은 상기 제1 렌즈(12)를 통과하고 제2 렌즈(14)의 유효면으로 입사하게 된다.
상기 제2 렌즈(14)의 유효면으로 입사한 초기 입사각 45도의 강한 빛은 상기 제2 렌즈(14)의 물체측의 타면에서 반사된 후 상기 제2 렌즈(14)의 물체측의 리브면으로 입사하게 된다.
여기서, 실선은 빛의 이동경로를 의미하며, 점선은 상기 차단부(50)에 의해 차단되는 빛의 경로를 의미한다.
상기 제2 렌즈(14)의 물체측의 리브면으로 입사한 빛은 다시 상기 제2 렌즈(14)의 물체측의 타면 리브면으로 입사하고 결국에는 이미지 센서(70)의 결상면에 입사하게 된다.
이러한 빛은 해상도를 떨어뜨리는 플레어 현상을 일으키므로 미연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1차적으로 상기 제2 렌즈(14)의 물체측의 리브면에 차단부(30)를 형성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70)의 결상면에 입사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되지 아니하고 다시 반사된 일부 빛은 상기 제2 렌즈(14)의 물체측의 타면 리브면의 차단부(30)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2차적으로 차단하는 경우 제3 렌즈(16)의 물체측 면의 리브면에까지 차단부(30)를 형성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빛을 차단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배럴(10)에 수용되는 제1 렌즈(12)를 통과한 입사각 50도의 강한 빛은 상기 제2 렌즈(14)를 통과하고 제3 렌즈(16)의 유효면 외곽으로 입사하게 된다.
여기서, 실선은 빛의 이동경로를 의미하며 점선은 상기 차단부(50)에 의해 차단되는 빛의 경로를 의미한다.
상기 제3 렌즈(16)의 유효면 외곽으로 입사한 초기 입사각 50도의 강한 빛은 상기 제3 렌즈(16)의 물체측의 타면의 리브면에 반사된 후 상기 제3 렌즈(16)의 물체측의 리브면으로 입사하게 된다.
상기 제3 렌즈(16)의 물체측의 리브면으로 입사한 빛은 다시 상기 제3 렌즈(16)의 물체측 타면의 리브면으로 입사하고 결국에는 이미지 센서(70)의 결상면에 입사하게 된다.
이러한 빛은 해상도를 떨어뜨리는 플레어 현상을 일으키므로 미연에 차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1차적으로 상기 제3 렌즈(16)의 물체측의 타면 리브면에 차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70)의 결상면에 입사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차단되지 아니하고 다시 반사된 일부 빛은 상기 제3 렌즈(160)의 물체측의 리브면의 차단부(30)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는 특정한 입사각인 45도와 50도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렌즈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10) 내부에 구비되는 렌즈의 수와 굴절률 등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11)의 리브면에서 내면 반사를 하는 빛의 입사각은 상이하게 되며, 상기 렌즈(11)의 수와 굴절률의 변화에 대비하여, 렌즈 배럴(1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11)의 리브면에 차단부(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렌즈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라 렌즈의 특성이 정해시면 그에 해당하는 렌즈의 리브면에만 차단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상기 렌즈 조립체(100) 및 하우징(9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90)은 광학 필터(60), 미지 센서(70) 및 기판(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조립체(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한다.
상기 광학 필터(60)는 상기 이미지 센서(70)와 인접한 렌즈 사이에 구비되는 적외선 필터(IR cut-off filter), 커버 글래스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광학 필터(60)는 원칙적으로 광학적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상기 광학 필터(60)는 적외선을 차단하고 가시 광선만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하며, 디지털 이미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현상을 방지하고, 고화질, 고해상도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광학 필터(60)는 상기 이미지 센서(70)의 이미지 영역에 해당하는 결상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9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 센서(70)는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결상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이미지 결상면을 구비하며,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이다.
상기 이미지 센서(70)는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인 패턴회로가 인쇄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은 기판(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70)는 후술할 기판(80)의 상부면에 와이어 본딩 방식으로 탑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미지 센서(70)와 상기 기판(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70)는 렌즈(110를 통과한 광 이미지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키도록 전하 결합소자(CCD: Charge-Coupled Device) 또는 보상성금속산화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80)의 상기 이미지 센서(70) 주변에는 칩 모듈이 표면 실장기술(SMT)을 이용하여 실장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70)를 접착제로 부착시킨 후에는 상기 기판(80)과 상기 이미지 센서(70)는 와이어 본딩 공정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상기 기판(80)에 상기 이미지 센서97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와이어 본딩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등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90)은 상기 렌즈 배럴(10)을 내부에 수용하고, 결상면을 갖는 이미지 센서(70)가 전기적으로 탑재된 기판(80)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10)과 상기 하우징(90)의 결합 방식은 상기 렌즈 배럴(1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 배럴(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90)의 내주면에 상기 렌즈 배럴(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홈이 형성되는 나사 체결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렌즈 배럴(1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90)의 내주면 결합방식은 나사 체결 방식에 한정되지 안ㅇ흐며,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렌즈 배럴(10)과 하우징(90)의 결합방식은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의 수준에서 변경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차단부(30)가 입사각 45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차단부가 입사각 50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의 렌즈 리브면에 의한 내면 반사를 차단하는 작용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선은 빛의 이동경로를 의미하며, 점선은 상기 차단부(30)에 의해 차단되는 빛의 경로를 의미한다.
초기 입사각 45도 및 50도의 빛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30)는 상기 렌즈(11)의 리브면의 내면 반사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70)의 결상면에 입사되는 빛을 차단한다.
이때, 카메라 모듈(200)의 차단부(30)가 리브면의 내면 반사를 통해 이미지 센서(70)로 입사되는 빛을 방지하는 과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렌즈 조립체(100)의 차단부(30)가 리브면의 내면 반사를 통해 이미지 센서(70)로 입사되는 빛을 방지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은 특정한 렌즈의 수와 굴절률을 가진 카메라 모듈(200)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상기 카메라 모듈(200)의 설계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10) 내부에 구비되는 렌즈의 수와 굴절률 등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11)의 리브면에서 내면 반사를 하는 빛의 입사각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11)의 수와 굴절률의 변화에 대비하여 상기 렌즈 배럴(1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의 리브면에 차단부(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카메라 모듈(200)의 설계에 따라 렌즈의 특성이 정해지면 그에 해당하는 렌즈의 리브면에만 차단부(3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렌즈 배럴 11: 렌즈
20: 압입링 30: 차단부
60: 광학 필터 70: 이미지 센서
80: 기판 90: 하우징
100: 렌즈 조립체 200: 카메라 모듈

Claims (10)

  1.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가 광축 방향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각 유효면 및 상기 유효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인접한 렌즈와 접촉하는 리브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의 이미지측 면은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2 렌즈의 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차단부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3 렌즈의 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더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유효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리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연속적으로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유효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무광 잉크로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잉크젯 프린팅 또는 레이저 프린팅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 잉크는 카본계 물질, 크롬계 산화물, 구리계 산화물, 망간계 산화물, 코발트계 산화물, 황화물 및 니켈계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에는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도록 압입링이 삽입되고, 상기 압입링은 상기 렌즈의 리브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렌즈 조립체.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결상면을 갖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렌즈를 통과한 빛이 통과하는 광학 필터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80152603A 2018-11-30 2018-11-30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32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03A KR20180132014A (ko) 2018-11-30 2018-11-30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03A KR20180132014A (ko) 2018-11-30 2018-11-30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612A Division KR20160075085A (ko) 2014-12-19 2014-12-19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014A true KR20180132014A (ko) 2018-12-11

Family

ID=6467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603A KR20180132014A (ko) 2018-11-30 2018-11-30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20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034A (ko) * 2017-06-23 2022-04-25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다중 그룹 렌즈, 카메라 모듈과 그 조립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220053043A (ko) * 2017-06-16 2022-04-28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다중 그룹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전자 기기
WO2022154623A1 (ko) * 2021-01-18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타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043A (ko) * 2017-06-16 2022-04-28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다중 그룹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전자 기기
KR20220051034A (ko) * 2017-06-23 2022-04-25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다중 그룹 렌즈, 카메라 모듈과 그 조립 방법 및 전자 기기
WO2022154623A1 (ko) * 2021-01-18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타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07735A4 (en) * 2021-01-18 2024-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WITH META-LENS AN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5085A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40368723A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80132014A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50222793A1 (en) Camera module
KR20130127780A (ko) 카메라 모듈
US11703655B2 (en) Lens assembly
JP200819142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US20150130990A1 (en) Camera module
KR20170000252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50403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60064640A (ko) 카메라 모듈
KR20150006785A (ko) 카메라 모듈
US9148556B2 (en) Camera module configured to prevent introduction of foreign objects and to prevent irregularly reflected light from being introduced to image sensor
KR101053331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008808A (ko) 렌즈 조립체 및 카메라 모듈
KR101060915B1 (ko) 카메라 모듈
KR101113549B1 (ko) 렌즈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KR101327622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049242A (ko) 렌즈 모듈
KR20140077312A (ko) 카메라 모듈
KR20120047111A (ko) 렌즈배럴 구동장치
KR20090128852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9955053B2 (en) Image-capturing assembly and array lens units thereof
KR101089883B1 (ko) 렌즈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KR102064016B1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