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952A -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 Google Patents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952A
KR20180131952A KR1020170138647A KR20170138647A KR20180131952A KR 20180131952 A KR20180131952 A KR 20180131952A KR 1020170138647 A KR1020170138647 A KR 1020170138647A KR 20170138647 A KR20170138647 A KR 20170138647A KR 20180131952 A KR20180131952 A KR 20180131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lant
control agent
extract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549B1 (ko
Inventor
김철홍
한송희
박주연
강범용
Original Assignee
(주)현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농 filed Critical (주)현농
Publication of KR2018013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2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hepatica, hydrastis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63/0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로 백두옹(Pulsatilla korea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TMV)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An control agent of plant viruses using Pulsatilla koreana}
본 발명은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에 대한 병해 방제 효과가 우수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물 바이러스는 약 2,000여 종이 분리 보고되었으며, 국내에서 보고된 식물 바이러스는 약 120 여종이다. 식물 바이러스는 많은 식물체에 병을 유발하고 각종 농작물과 화훼류의 생산량 저하, 품질 저하 및 품종 퇴화 등 농업생산 전반에 걸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식량 및 각종 식물체 등의 국제 교역량이 증가되면서 국내에 존재하지 않던 외국의 병원성 식물 바이러스까지 유입되어 그로 인한 피해가 점차 심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재배식물에 대한 바이러스의 예방, 치료 및 검역은 농업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Cucumber mosaic virus, CMV)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식물 바이러스이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는 감염으로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일정한 시일이 소요되며, 감염 초기에는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한번 감염이 되면 조기에 방제할 수 없어서 연초의 품질이 저하되고 수확량이 감소되지만 아직 뚜렷한 방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Cucumber mosaic virus, CMV)는 식물 바이러스 중 가장 넓은 기주범위를 갖는 바이러스로서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적인 방법으로 약 800여 종의 식물에 전신 감염시킬 수 있는 병원체로 전염원이 어디에나 존재한다. 이와 같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가 화훼 및 채소의 대표작물에 감염되면 변색, 기형, 얼룩등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죽기도 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식물 바이러스 병의 방제는 주로 식물재배시기의 조절, 무병 식물체 재배 등의 경종적 방법과 바이러스 매개체인 곤충을 구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으나 이들은 간접적인 방제수단으로서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직접적인 방제수단을 강구하기 위하여 항 식물 바이러스 활성물질의 탐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백두옹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의 생약명으로써 할미꽃의 뿌리만을 일컫기도 하다. 할미꽃은 동아시아와 유럽지역에 약 30여 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할미꽃의 잎은 뿌리에서 뭉쳐서 나며, 새의 털처럼 깊게 갈라지는데 꽃은 적자색으로 4~5월에 피고, 흰색의 긴 털이 붙어 있다.
할미꽃의 뿌리인 백두옹은 헤데라제닌 글루코시드(hederagenin glucoside) 화합물인 사포닌이 풍부해서 옛날부터 한방에서는 진통, 지혈, 소염, 건위, 익혈, 풍상, 산기, 수렴, 이질, 지사, 신경통 등에 약재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뿌리의 살충효과를 이용하여 구충제로도 이용하는 등 용도가 다양한 약용 식물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백두옹에 대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로 이용가능성은 전혀 알려진 바 없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3085호: 식물 바이러스 방제용 조성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1719호: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백두옹 추출물을 포함하며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해 방제 효과가 우수한 방제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TMV)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상기 방제제는 에탄올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방제제는 상기 백두옹 추출물이 0.0001 내지 0.01중량% 혼합된다.
또는, 상기 방제제는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Pseudomonas chlororaphi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두옹 추출물을 이용하여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방제 효과가 우수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제공한다.
도 1은 담배 잎에 발생한 병반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2의 (a)는 실시 예 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담배 잎에 처리시 나타난 병반수를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의 병반수와 비교한 그래프, (b)는 (a)에서 나타낸 병반수를 이용한 방제가 비교 그래프,
도 3은 실시 예 1 내지 4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담배 잎에 처리시 방제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실시 예 3, 5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담배 잎에 처리한 방제가를 양성대조군의 방제가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5의 (a)는 실시 예 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고춧잎에 처리시 나타난 병반수를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의 병반수와 비교한 그래프, (b)는 (a)에서 나타낸 병반수를 이용한 방제가 비교 그래프,
도 6은 실시 예 1 내지 4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고춧잎에 처리한 방제가 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실시 예 3, 5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고춧잎에 처리한 방제가를 양성대조군의 방제가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유효성분으로서 백두옹 추출물을 함유한다.
백두옹은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의 생약명으로서 할미꽃의 뿌리를 일컫는다. 할미꽃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숙근초로 한국 전역의 산과 들에 자란다. 키는 40㎝ 정도이고 전체에 흰색의 털이 밀생한다. 적자색의 꽃은 4~5월경 포엽(苞葉)의 중심에서 나온 긴 꽃줄기의 끝에 1송이씩 핀다. 겉에는 털이 있지만 안쪽에는 없다.수술은 많고 꽃밥은 황색이며 암술도 많다.
본 발명은 할미꽃의 뿌리인 백두옹을 이용하며, 백두옹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이 가능하다. 일 예로 백두옹에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10 내지 150℃에서 1 내지 40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 또는 온침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환류냉각추출, 초음파 추출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추출방법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리세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백두옹 추출물 자체이거나 공지의 부형화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공지의 부형화 물질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액체 희석제, 액화된 기체 희석제, 고체 희석제, 또는 기타 적당한 보조제, 예를 들면 유화제, 분산제 또는 기포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농약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제화를 위해서는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제화 방법을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가령,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상, 연막제, 캅셀형 및 젤상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백두옹 추출물을 0.00001 내지 90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백두옹 추출물을 에탄올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 하게 백두옹 추출물은 0.0001 내지 0.01중량% 혼합된다. 즉, 백두옹 추출물은 1mg/kg 내지 100mg/kg의 농도가 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식물의 품종, 생육 정도, 경작지 환경, 식물병의 발병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기존에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Pseudomonas chlororaphis)와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토양 또는 생장 중인 식물의 잎 등에 처리함으로써 식물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바이러스 중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TMV)에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므로 담배 모자이크병과 오이 모자이크병에 대해 방제효과가 뛰어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세척 및 건조시켜 준비한 백두옹을 잘게 자른 후, 백두옹에 대하여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액상의 백두옹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에탄올에 백두옹 추출물을 혼합하여 백두옹 추출물 농도가 100mg/kg인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 예 2)
세척 및 건조시켜 준비한 백두옹을 잘게 자른 후, 백두옹에 대하여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액상의 백두옹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에탄올에 백두옹 추출물을 혼합하여 백두옹 추출물 농도가 10mg/kg인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 예 3)
세척 및 건조시켜 준비한 백두옹을 잘게 자른 후, 백두옹에 대하여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액상의 백두옹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에탄올에 백두옹 추출물을 혼합하여 백두옹 추출물 농도가 1mg/kg인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 예 4)
세척 및 건조시켜 준비한 백두옹을 잘게 자른 후, 백두옹에 대하여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액상의 백두옹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에탄올에 백두옹 추출물을 혼합하여 백두옹 추출물 농도가 0.1mg/kg인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 예 5)
세척 및 건조시켜 준비한 백두옹을 잘게 자른 후, 백두옹에 대하여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액상의 백두옹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에 백두옹 추출물을 혼합시켜 백두옹 추출물 농도가 1mg/kg인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수득하였다.
상술한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은 LB액체배지(pH7.5) 100ml에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Pseudomonas chlororaphis, KACC 91055) 균주를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진탕기에서 150rpm으로 진탕배양하여 수득하였다. 이때, 집락형성단위(Colony-forming unit, CFU)는 1×107CFU/ml이었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실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백두옹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담배 종자를 농도 70%(w/w) 에탄올 용액과 농도 2%(w/w) 치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순차적으로 담가 종자를 소독한 후 멸균수를 이용하여 3회 반복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멸균된 바이오 상토(베스트상토, 흥농종묘)에 파종하였다.
발아된 종자는 2주 후에 멸균된 상토가 담긴 15×15cm 크기의 포트에 옮겨 심고 28~30℃, 상대습도 30~45%를 유지하는 유리온실에서 2달 동안 생육하였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접종원은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에 의해 이병된 담배건조잎 0.02g과 규조토 0.12g을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 (potassium phosphate) 10ml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 예에서 조제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상술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접종원과 5:5(V:V)로 혼합하였다. 그 뒤, 유리온실에서 2달 동안 생육한 담배의 잎에 한 잎당 300㎕씩 면봉을 이용하여 상처 유발하며 접종하여 시험군을 제작하였다.
접종 5일 후, 담배 잎에서 발생하는 병반의 수(Spot No.)를 세어 방제가 (control value)를 계산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실시 예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대신 멸균수를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실시 예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대신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을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의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은 실시예5에서 사용한 배양액과 동일하다.
방제가는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시험군 방제가(%) = {1-(T/C)}×100, (T:시험군 병반수, C:음성대조군 병반수)
양성대조군 방제가(%) = {1-(P/C)}×100, (P:양성대조군 병반수, C:음성대조군 병반수)
도 1은 실시 예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100mg/kg)를 처리한 담배 잎과, 음성대조군((-) control)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00mg/kg)가 처리된 담배 잎은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도 2의 (a)는 실시 예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00mg/kg)와 음성대조군((-) control) 및 양성대조군(O6)을 담배 잎에 처리시 나타난 병반수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b)는 (a)에서 나타낸 병반수를 이용한 방제가 비교 그래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실시 예 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00mg/kg)는 5±1.5의 병반수를 형성하였고 양성대조군(06)은 6±0.8의 병반수를 형성 반면 음성대조군((-) control)은 76±2.3의 병반수를 형성하였다.
도 2의(b)를 참조하면, 실시 예 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00mg/kg) 는 음성대조군((-) control) 대비 93%의 방제가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 1 내지 4(백두옹100mg/kg)(백두옹10mg/kg)(백두옹1mg/kg)(백두옹0.1mg/kg)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들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 예1 내지 3의 식물바이러스 방제제 (백두옹 100mg/kg)(백두옹10mg/kg)(백두옹1mg/kg)는 우수한 방제가를 보이나 실시 예4의 식물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0.1mg/kg)는 19%의 방제가로 방제효과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백두옹 추출물의 농도 1 내지 100mg/kg에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인다.
도 4는 실시 예 3, 5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mg/kg)(O6+백두옹1mg/kg)를 담배 잎에 처리한 방제가를 양성대조군(O6)의 방제가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성대조군(O6)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O6+백두옹(1mg/kg))의 방제율이 5.3% 상승한 95.2%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제제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실험>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백두옹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고추 종자를 농도 70%(w/w) 에탄올 용액과 농도 2%(w/w) 치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순차적으로 담가 종자를 소독한 후 멸균수를 이용하여 3회 반복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멸균된 바이오 상토(베스트상토, 흥농종묘)에 파종하였다.
발아된 종자는 2주 후에 멸균된 상토가 담긴 15×15cm 크기의 포트에 옮겨 심고 28~30℃, 상대습도 30~45%를 유지하는 유리온실에서 생육하였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접종원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에서 이병된 고추건조잎 0.02g과 규조토 0.12g을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potassium phosphate) 10ml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 예에서 조제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상술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접종원과 5:5(V:V)로 혼합한 뒤 유리온실에서 2달 동안 생육한 고춧잎에 한 잎당 300㎕씩 면봉을 이용하여 상처 유발하며 접종하여 시험군을 제작하였다.
접종 5일 후,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이병된 고춧잎의 수를 확인하여 방제가를 확인하였다.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은 상술한 실험과 동일 조건으로 실시하였으나, 음성대조군은 실시 예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대신 멸균수를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실시 예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대신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을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의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은 상술한 실시 예5의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과 동일하다.
병 발생 정도를 식물체의 전체면적당 발병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발병도(Disease severity)로 측정하였다. 고춧잎의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발병도에 따라 0~20%:1, 20~40%:2, 40~60%:3 60~80%:4, 80~100%: 5로 발병 지수를 설정하고, 처리구당 발병 지수의 평균값을 조사한 후, 음성대조군의 발병 지수를 대비 시험군의 발병 지수를 구하였으며, 방제가는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시험군 방제가(%) = {1-(T/C)}×100, (T:시험군 발병 지수, C:음성대조군 발병 지수)
양성대조군 방제가(%) = {1-(P/C)}×100, (P:양성대조군 발병 지수, C:음성대조군 발병 지수)
도 5의 (a)는 실시 예 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00mg/kg)를 고춧잎에 처리시 나타난 병반수를 양성대조군(O6)의 병반수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b)는 (a)에서 나타낸 병반수를 이용한 방제가 비교 그래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실시 예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백두옹100mg/kg) 는 1.1±0.2의 발병 지수를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O6)은 0.7±0.2의 발병 지수를 나타낸 반면 음성대조군((-) control)은 4.7±0.2의 발병 지수를 나타낸다.
도 5의(b)를 참조하면, 실시 예1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00mg/kg)는 음성대조군((-) control) 대비 77%의 방제가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 1 내지 4(백두옹100mg/kg)(백두옹10mg/kg)(백두옹1mg/kg)(백두옹0.1mg/kg)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들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 예1 내지 3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00mg/kg)(백두옹10mg/kg)(백두옹1mg/kg)는 우수한 방제가를 보이나 실시 예4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0.1mg/kg)는 36%의 방제가로 방제효과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백두옹 추출물의 농도 1 내지 100mg/kg에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인다.
도 7은 실시 예 3,5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mg/kg),(O6+백두옹1mg/kg)를 고춧잎에 처리시 방제가와 양성대조군(O6)의 방제가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양성대조군(O6)보다 본 발명의 실시 예 3,5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백두옹1mg/kg),(O6+백두옹1mg/kg)의 방제율이 5% 상승한 90%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제제는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생물 생존율 실험>
실시예 5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있어서, 백두옹 추출물이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균주의 활성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Pseudomonas chlororaphis, KACC 91055) 균주의 단일 콜로니를 LB액체배지 100ml에 접종하여 배양기에서 28℃, 150 rpm,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 후 균체를 회수한 뒤 멸균수로 3회 반복 세척한 다음 멸균수에 현탁하여 OD600를 1.0으로 맞춘 후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LB액체배지 100ml에 접종원 1ml를 첨가한 후 배양기에서 28℃, 150 rpm으로 배양하면서 시간대별 CFU를 측정하였다.
처리군은 LB 용액배지 100ml에 접종원 1ml를 첨가한 후 실시 예1의 백두옹 추출물을 농도가 1mg/kg가 되도록 첨가한 뒤, 배양기에서 28℃, 150 rpm으로 배양하면서 시간대별 CFU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고 24h 48h 72h 96h
대조군 4.3×109CFU/ml 3.2×109CFU/ml 2.1×109CFU/ml 1.5×109CFU/ml
처리군 5.2×109CFU/ml 3.8×109CFU/ml 3.3×109CFU/ml 2.5×109CFU/ml
표 1을 참조하면, 시간대별 미생물의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백두옹 추출물과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을 혼합한 방제제는 백두옹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균주의 생존율에 있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백두옹 추출물은 슈도모나스 클로라라피스 균주의 활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TMV)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에탄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상기 백두옹 추출물이 0.0001 내지 0.01중량%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Pseudomonas chlororaphi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KR1020170138647A 2017-05-31 2017-10-24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KR102021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098 2017-05-31
KR20170068098 2017-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952A true KR20180131952A (ko) 2018-12-11
KR102021549B1 KR102021549B1 (ko) 2019-09-16

Family

ID=6467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647A KR102021549B1 (ko) 2017-05-31 2017-10-24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5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67A (ko) * 2019-06-27 2021-01-06 (주)현농 토마토 생육촉진 및 황화바이러스 방제를 위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토마토의 재배방법
CN114365751A (zh) * 2021-12-15 2022-04-19 云南省烟草公司玉溪市公司 一种烟草内源抗烟草花叶病毒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85B1 (ko) 2007-04-11 2008-04-18 강원도 식물 바이러스 방제용 조성물
KR101131719B1 (ko) 2011-04-11 2012-04-03 한국폴리텍바이오대학산학협력단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85B1 (ko) 2007-04-11 2008-04-18 강원도 식물 바이러스 방제용 조성물
KR101131719B1 (ko) 2011-04-11 2012-04-03 한국폴리텍바이오대학산학협력단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12, Vol.55, pp.89-94 (2012)* *
J. Phytopathol., 2012, Vol.160, pp.181-186 (201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67A (ko) * 2019-06-27 2021-01-06 (주)현농 토마토 생육촉진 및 황화바이러스 방제를 위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토마토의 재배방법
CN114365751A (zh) * 2021-12-15 2022-04-19 云南省烟草公司玉溪市公司 一种烟草内源抗烟草花叶病毒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365751B (zh) * 2021-12-15 2023-11-14 云南省烟草公司玉溪市公司 一种烟草内源抗烟草花叶病毒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549B1 (ko)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272B1 (ko) 3종의 리포펩타이드계 화합물을 생산하고,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jck-12 균주 및 항진균성 합성농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0823085B1 (ko) 식물 바이러스 방제용 조성물
Nwachukwu et al. Evaluation of plant extracts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Sclerotium rolfsii causing cocoyam cormel rot in storage
KR20180131952A (ko)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JP7425884B2 (ja) 様々な植物に抵抗性を誘導するバシラスサチリスjck-1398菌株、これを用いたマツ材線虫病防除用組成物及び防除方法
KR102159034B1 (ko) 산옥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솜털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21550B1 (ko)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KR101225103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1817704B1 (ko) 친환경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KR10220152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와 식물추출물 혼합제형 해충방제제
CN115462386A (zh) 一种杀菌组合物及其应用
KR102069114B1 (ko) 솜털곰팡이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자주꿩의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이의 용도
KR102069118B1 (ko) 푸른곰팡이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자주꿩의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이의 용도
KR20180023092A (ko) 사피움 박카툼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풋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TRIPATHI et al. Determination of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by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some Medicinal Plants.
AE Hassan et al. Incidence of root-rot and wilt disease complex of olive trees in New Valley Governorate in Egypt and its control
KR101680854B1 (ko) 녹나무 및 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추역병 방제용 조성물
Kumar et al. Antagonistic potentiality of bioagents against wilt of cumin (Cuminum cyminum)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cumini
CN109526974A (zh) 一种高效防治水稻稻瘟病的组合物及应用方法
KR102201524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와 식물추출물 혼합제형의 항균조성물
Okey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control of fungal diseases of cocoa (Theobromae cacao L.) pod using extracts of plant origin
CN113502227B (zh) 藤仓镰刀菌、含有该菌的菌剂和除草剂及它们的应用
KR102586242B1 (ko) 오이탄저병을 방제하는 슈도모나스 세사미(Pseudomonas sesami) BC4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며 열에 안정성을 갖는 미생물 제제
KR102336864B1 (ko) 산옥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솜털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