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514A -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1514A KR20180131514A KR1020180143436A KR20180143436A KR20180131514A KR 20180131514 A KR20180131514 A KR 20180131514A KR 1020180143436 A KR1020180143436 A KR 1020180143436A KR 20180143436 A KR20180143436 A KR 20180143436A KR 20180131514 A KR20180131514 A KR 201801315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
- sink body
- synthetic resin
- plate portion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5—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 싱크대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싱크대 바디; 상기 싱크대 바디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및 상기 싱크대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싱크대 바디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싱크대 바디는 소정의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를 부분별로 조립해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를 이루는 각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조립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싱크대 바디가 제작됨은 물로 종전처럼 연결 부위가 없다는 점에서 수분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높아지고, 재활용성 역시,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10)는 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릇을 씻거나 음식을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도 1의 싱크대(10)를 싱크 하부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싱크대(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싱크대 바디(20)와, 싱크대 바디(20)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30)와, 싱크대 바디(20)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box) 형상을 갖는 싱크대 바디(20)는 싱크대 바디(20)를 이루는 각 부분들, 즉 하판부, 측판부, 내부 격판부(선반), 후판부 등의 판재들이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로 조립되는 조립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싱크대 바디(20)는 엠디에프(MDF)라 불리는 중밀도 섬유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가스레인지와 개수대(11)는 상판(4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는 싱크대 바디(20)의 전면에서 회동 개폐된다. 도어(30)의 개수와 형상은 도시된 것과 달리 변경될 수도 있다. 도어(30) 역시, 싱크대 바디(20)와 마찬가지로 엠디에프(MDF)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종래의 싱크대(10), 특히 싱크대 바디(20)는 집성목이나 엠디에프(MDF)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수분에 취약하다. 뿐만 아니라 싱크대 바디(20)는 다수의 판재가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로 조립되는 조립형 구조라는 점에서도 수분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에, 이와 같은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혹은 외관의 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싱크대 바디(20)의 외면에 소정의 시트(sheet), 예컨대 비닐지로 형성되는 시트를 부착하기도 하지만 시트를 부착하더라도 시트가 부착되지 않는 부위, 예컨대 연결 부위 등에는 수분이 침투할 수밖에 없으며, 시트 부착 역시 접착제가 들어가기 때문에 그 자체로 위해가 될 수 있다.
결국, 종래의 싱크대(10)는 위와 같은 단점으로 인한 수분에 약한 단점, 강성에 취약한 단점,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단점, 하중이 커지는 단점, 재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 등 다양한 단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신개념의 합성수지 싱크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를 부분별로 조립해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를 이루는 각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조립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싱크대 바디가 제작됨은 물로 종전처럼 연결 부위가 없다는 점에서 수분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높아지고, 재활용성 역시,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싱크대 바디; 상기 싱크대 바디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및 상기 싱크대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싱크대 바디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싱크대 바디는 소정의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싱크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소정의 합성수지는 환경 친화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 또는 HDPE)이며, 상기 싱크대 바디는, 하부를 이루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의 양 사이드(side)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부의 양 사이드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하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후면을 이루는 후판부; 및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및 상기 후판부 사이의 공간이 다수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격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한 사출성형 시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후판부 및 상기 격판부를 이루는 상기 싱크대 바디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후판부 및 상기 격판부 중 적으로 어느 하나에 일체로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인서트 너트(insert nu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싱크대 바디를 소정의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으로 제작하는 싱크대 바디 일체 제작단계; 상기 싱크대 바디의 전면 개구에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설치하는 도어 설치단계; 및 상기 싱크대 바디의 상면에 상판을 설치하는 상판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합성수지는 환경 친화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 또는 HDPE)이며, 상기 싱크대 바디는, 하부를 이루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의 양 사이드(side)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부의 양 사이드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하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후면을 이루는 후판부; 및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및 상기 후판부 사이의 공간이 다수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격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싱크대 바디 일체 제작단계에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한 사출성형 시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후판부 및 상기 격판부를 이루는 상기 싱크대 바디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싱크대 바디 일체 제작단계에서 상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후판부 및 상기 격판부 중 적으로 어느 하나에 다수의 인서트 너트(insert nut) 일체로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를 부분별로 조립해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를 이루는 각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조립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싱크대 바디가 제작됨은 물로 종전처럼 연결 부위가 없다는 점에서 수분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높아지고, 재활용성 역시,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친환경 제품으로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보관 및 제작, 설치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다양한 색상 및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싱크대 바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합성수지 싱크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싱크대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싱크대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싱크대 바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합성수지 싱크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싱크대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싱크대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세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싱크대 바디의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2의 합성수지 싱크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100)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110)를 부분별로 조립해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110)를 이루는 각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조립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싱크대 바디(110)가 제작됨은 물로 종전처럼 연결 부위가 없다는 점에서 수분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높아지고, 재활용성 역시,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100)는 싱크대 바디(110), 제1 및 제2 도어(131,132), 그리고 상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대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100)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도면에서 제1 및 제2 도어(131,132), 그리고 상판(140)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가리킨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싱크대 바디(110)는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사출 구조물로 적용된다.
싱크대 바디(11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의 부피는 서로 다르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즉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과 달리 하나의 공간일 수도 있고 또한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의 내부 부피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싱크대 바디(110)는 소정의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합성수지는 환경 친화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 또는 HDPE)일 수 있다. 이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화학성분 배출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사용이 권장되는 성분으로, 열에 강해 전자레인지 사용 또한 가능해 일반 식품용기 재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강화 플라스틱, 영유아 장난감, 세제통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이비에스(ABS) 등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이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해서 싱크대 바디(110)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경우, 화학성분 배출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주방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며, 또한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싱크대 바디(110)는 하부를 이루는 하판부(111)와, 하판부(111)의 양 사이드(side)에 배치되어 하판부(111)의 양 사이드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112)와, 하판부(111)와 한 쌍의 측판부(112)의 후면을 이루는 후판부(113)와, 하판부(111), 한 쌍의 측판부(112) 및 후판부(113) 사이의 공간이 다수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을 이루도록 하는 격판부(114)를 포함한다.
이때,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한 사출성형 시 하판부(111), 한 쌍의 측판부(112), 후판부(113) 및 격판부(114)를 이루는 싱크대 바디(11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의 상태 그대로 사출성형될 수 있어서 별도로 조립공정이 필요치 않다.
또한 일체형이라서 다양한 칼라의 구현이 가능해지고, 또한 모양 역시 원하는 데로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판부(111), 한 쌍의 측판부(112), 후판부(113) 및 격판부(114) 중 적으로 어느 하나에 일체로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인서트 너트(150, insert nut)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너트(150)는 측판부(112)들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인서트 너트(150)들은 제1 및 제2 도어(131,132)와의 경첩 연결 시 연결 부위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인서트 너트(150)들이 돌출된 구조가 아니라는 점에서 외관의 미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및 제2 도어(131,132)는 싱크대 바디(110)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도어(131,132)는 싱크대 바디(110)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의 전방에 배치되어 해당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을 개폐한다.
상판(140)은 싱크대 바디(1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싱크대 바디(110)의 상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판(140)은 싱크대 바디(110)와 달리 스테인리스 스틸 혹은 대리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판(140)이 대리석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합성수지 싱크대(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이 내부에 형성되는 싱크대 바디(110)를 소정의 합성수지 즉 환경 친화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 또는 HDPE)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으로 제작한다(S10).
즉 본 단계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한 사출성형 시 하판부(111), 한 쌍의 측판부(112), 후판부(113) 및 격판부(114)를 이루는 싱크대 바디(11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한다.
이때, 싱크대 바디 일체 제작단계(S10)에서 상하판부(111), 한 쌍의 측판부(112), 후판부(113) 및 격판부(114) 중 적으로 어느 하나에 다수의 인서트 너트(150)가 일체로 인서트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인서트 너트(150)들은 제1 및 제2 도어(131,132)와의 경첩 연결 시 연결 부위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 싱크대 바디(110)의 전면 개구에 제1 및 제2 도어(131,132)를 설치한다(S20). 제1 및 제2 도어(131,132)는 싱크대 바디(110)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의 전방에 배치되어 해당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을 개폐한다.
그런 다음, 싱크대 바디(110)의 상면에 상판(140)을 설치함으로써(S30), 도 2와 같은 형태의 합성수지 싱크대(100)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110)를 부분별로 조립해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110)를 이루는 각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조립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싱크대 바디(110)가 제작됨은 물로 종전처럼 연결 부위가 없다는 점에서 수분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높아지고, 재활용성 역시,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싱크대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바디(210) 역시, 하부를 이루는 하판부(111)와, 하판부(111)의 양 사이드(side)에 배치되어 하판부(111)의 양 사이드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112)와, 하판부(111)와 한 쌍의 측판부(112)의 후면을 이루는 후판부(113)와, 하판부(111), 한 쌍의 측판부(112) 및 후판부(113) 사이의 공간이 다수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을 이루도록 하는 격판부(114)를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수납공간(110a)에는 선반(215)이 형성된다. 선반(215)은 제1 수납공간(110a)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는데, 이와 같은 선반(215) 역시, 싱크대 바디(210)의 사출성형 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210)를 부분별로 조립해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210)를 이루는 각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조립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싱크대 바디(210)가 제작됨은 물로 종전처럼 연결 부위가 없다는 점에서 수분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높아지고, 재활용성 역시,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싱크대의 싱크대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바디(310) 역시, 하부를 이루는 하판부(111)와, 하판부(111)의 양 사이드(side)에 배치되어 하판부(111)의 양 사이드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112)와, 하판부(111)와 한 쌍의 측판부(112)의 후면을 이루는 후판부(113)와, 하판부(111), 한 쌍의 측판부(112) 및 후판부(113) 사이의 공간이 다수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110a,110b)을 이루도록 하는 격판부(114)를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수납공간(110a)에는 제2 실시예처럼 선반(215)이 형성되는 반면, 제2 수납공간(110b)의 후판부(113)에는 환기구(316)가 형성된다.
환기구(316)에 추후, 망부재(360)가 결합되어 제2 수납공간(110b)의 내부를 환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환기구(316) 역시, 싱크대 바디(310)의 사출성형 시 일체로 성형될 수 있어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310)를 부분별로 조립해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종전처럼 싱크대 바디(310)를 이루는 각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조립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싱크대 바디(310)가 제작됨은 물로 종전처럼 연결 부위가 없다는 점에서 수분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높아지고, 재활용성 역시,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씽크대 뿐만 아니라 세면대나 다른 일반가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싱크대 110 : 싱크대 바디
110a,110b : 제1 및 제2 수납공간 111 : 하판부
112 : 측판부 113 : 후판부
114 : 격판부 131,132 : 제1 및 제2 도어
140 : 상판 150 : 인서트 너트
110a,110b : 제1 및 제2 수납공간 111 : 하판부
112 : 측판부 113 : 후판부
114 : 격판부 131,132 : 제1 및 제2 도어
140 : 상판 150 : 인서트 너트
Claims (5)
-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싱크대 바디;
상기 싱크대 바디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및
상기 싱크대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싱크대 바디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싱크대 바디는 소정의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싱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합성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 또는 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이비에스(ABS)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싱크대 바디는,
하부를 이루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의 양 사이드(side)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부의 양 사이드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하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후면을 이루는 후판부; 및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및 상기 후판부 사이의 공간이 다수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격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한 사출성형 시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후판부 및 상기 격판부를 이루는 상기 싱크대 바디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싱크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후판부 및 상기 격판부 중 적으로 어느 하나에 일체로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인서트 너트(insert nu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싱크대.
-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싱크대 바디를 소정의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의 사출성형으로 제작하는 싱크대 바디 일체 제작단계;
상기 싱크대 바디의 전면 개구에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설치하는 도어 설치단계; 및
상기 싱크대 바디의 상면에 상판을 설치하는 상판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싱크대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합성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 또는 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이비에스(ABS)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싱크대 바디는,
하부를 이루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의 양 사이드(side)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부의 양 사이드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하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후면을 이루는 후판부; 및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및 상기 후판부 사이의 공간이 다수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격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싱크대 바디 일체 제작단계에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한 사출성형 시 상기 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후판부 및 상기 격판부를 이루는 상기 싱크대 바디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싱크대 바디 일체 제작단계에서 상하판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상기 후판부 및 상기 격판부 중 적으로 어느 하나에 다수의 인서트 너트(insert nut) 일체로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싱크대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436A KR20180131514A (ko) | 2018-11-20 | 2018-11-20 |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436A KR20180131514A (ko) | 2018-11-20 | 2018-11-20 |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1514A true KR20180131514A (ko) | 2018-12-10 |
Family
ID=6467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3436A KR20180131514A (ko) | 2018-11-20 | 2018-11-20 |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3151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176B1 (ko) | 2019-02-20 | 2020-07-23 | 양희숙 | 싱크대 |
KR102349616B1 (ko) * | 2021-08-24 | 2022-01-11 | 고영신 | 싱크대 |
KR102462222B1 (ko) | 2022-06-08 | 2022-11-01 | 연해림 | 싱크대용 목재 가공 장치 |
-
2018
- 2018-11-20 KR KR1020180143436A patent/KR2018013151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176B1 (ko) | 2019-02-20 | 2020-07-23 | 양희숙 | 싱크대 |
KR102349616B1 (ko) * | 2021-08-24 | 2022-01-11 | 고영신 | 싱크대 |
KR102462222B1 (ko) | 2022-06-08 | 2022-11-01 | 연해림 | 싱크대용 목재 가공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31514A (ko) |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 |
US6736470B2 (en) | Molded plastic dishwasher door assembly | |
US6997530B2 (en) | Fastening system for appliance cabinet assembly | |
US7410230B2 (en) | Refrigerator with multi-piece mullion having stepped offset | |
US20100287843A1 (en) | Door handle for refrigerator and combining structure for door handle | |
US20060082270A1 (en) |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 |
US7159694B2 (en) | Step stool tray | |
CN202869121U (zh) | 冰箱门壳与冰箱门盖连接结构 | |
US9326650B2 (en) | Toilet with storage compartment | |
USD532431S1 (en) | Container with extruder for molding compound | |
KR20210130344A (ko) |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61045Y1 (ko) | 시스템 캐비넷 | |
US20030233733A1 (en) | Soft-touch drawer pull | |
KR101249806B1 (ko) | 조립식 신발장 | |
KR200360505Y1 (ko) | 수납장 | |
JP5117941B2 (ja) | 引き出し式収納ケース体 | |
CN217429431U (zh) | 一种可加热的一次性餐盒 | |
KR20000017808U (ko) | 가구용 몰딩부재 | |
CN217429564U (zh) | 一种家具柜及其柜体结构 | |
CN214501871U (zh) | 一种玻璃结构的果菜盒专区 | |
KR102619584B1 (ko) | 캐비넷 장치 | |
KR960004982Y1 (ko) | 부엌용 벽찬장의 조립구조 | |
KR200395290Y1 (ko) | 서랍용 함체 | |
CN210446003U (zh) | 一种收纳盒 | |
CA2484872C (en) |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