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391A -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391A
KR20180131391A KR1020180053721A KR20180053721A KR20180131391A KR 20180131391 A KR20180131391 A KR 20180131391A KR 1020180053721 A KR1020180053721 A KR 1020180053721A KR 20180053721 A KR20180053721 A KR 20180053721A KR 20180131391 A KR20180131391 A KR 20180131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 elements
sub
sensor elemen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486B1 (ko
Inventor
타카유키 스즈키
신지 타카스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31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소자의 크기가 큰 경우 또는 접촉 면적이 작은 경우라도 고정밀도로 접촉 위치를 검출 가능한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에 사용되는 센서 소자(110)는, 도전성 주 가지부(111)와, 도전성인 복수의 부 가지부(112)를 구비하고, 각각의 부 가지부의 일방 단부는 주 가지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또한 타방 단부는 개방 단부로, 인접하는 2개의 부 가지부는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터치 센서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센서 소자 중에서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의 부 가지부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단말기 등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터치 센서가 내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는 유저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 소자(센서 전극)를 포함하고 있고, 각 센서 소자에 있어서 유저의 손가락과 터치 펜 등이 접촉(근접하는 것을 포함한다)할 때 정전 용량이 변한다. 터치 센서는, 모든 센서 소자에 있어서 정전 용량이 변화했는지에 기초하여 접촉(예를 들면 접촉의 중심) 위치를 검출한다.
종래 다양한 형상 및 배치의 센서 소자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센서 소자가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센서 소자가 다이아몬드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14-211685 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표공보 2013-508887 호
터치 센서에 포함되는 센서 소자의 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비례한다. 센서 소자가 많아질수록 미세한 가공이 필요해지고, 또한 센서 소자의 접속에 필요한 배선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커진다. 근년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센서 소자의 수가 증가하고, 제조 비용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터치 센서에 포함되는 센서 소자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각 센서 소자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 경우에는 접촉 위치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센서 소자의 크기가 큰 경우 유저의 손가락과 터치 펜이 터치 센서에 접촉할 때에 접촉 범위가 복수의 센서 소자에 걸쳐지지 않고 1개의 센서 소자 중에 머무를 확률이 높아진다. 접촉 범위가 복수의 센서 소자에 걸쳐지는 경우 터치 센서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의 출력값을 통합하여 접촉의 자세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 범위가 1개의 센서 소자 중에 머무를 경우에는, 1개의 센서 소자 중 어디에 실제 접촉이 위치했다고 하더라도 터치 센서는 상기 1개의 센서 소자의 중심에 접촉이 위치하는 것으로서 산출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및 2의 기술에 있어서 특히 각 센서 소자의 크기가 큰 경우,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저하된다.
마찬가지로 유저가 터치 펜을 사용하여 터치 센서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접촉 범위가 복수의 센서 소자에 걸쳐지지 않고 1개의 센서 소자 중에 머물러, 접촉 위치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센서 소자의 크기가 큰 경우 또는 접촉 면적이 작은 경우라도 고정밀도로 접촉 위치를 검출 가능한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터치 센서로서,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는, 도전성 주 가지부, 도전성인 복수의 부 가지부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 가지부의 일방 단부는 상기 주 가지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또한 타방 단부는 개방 단부로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부 가지부는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 중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센서 소자의 상기 부 가지부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소자의 크기가 큰 경우 또는 접촉 면적이 작은 경우라도 고정밀도로 접촉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를 포함한 TFT 기판의 상세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센서 소자 상의 접촉 영역 모식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터치 센서(100)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이다. 터치 센서(100)가 이용하는 구체적인 검출 방식은, 자기 용량식 및 상호 용량식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터치 센서(100)는, 복수의 센서 소자(110, 센서 전극이라고도 한다)와, 터치 IC(Integrated Circuit, 120)를 구비한다. 각 센서 소자(110)와 터치 IC(120) 사이는 도전성 배선(130, 라운딩이라고도 한다)에 의해 접속된다.
센서 소자(110)는, ITO(산화인듐주석), IZO(산화인듐아연) 등 투명한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시인성을 위해 센서 소자(110)끼리 이간되어 표현되어 있지만, 도 5를 가지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센서 소자(110)끼리 배치 영역이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터치 IC(120)는, 센서 소자(110)에 접촉 검출용 전압을 인가하고, 유저의 손가락과 터치 펜 등이 접촉(근접하는 것을 포함한다)된 센서 소자(110)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접촉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이다.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한 접촉 위치 산출 방법으로서 이미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소자(110)와 터치 IC(120)의 접속 방식으로서, 각 센서 소자(110)와 터치 IC(120) 사이가 접속되는 내부 접속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센서 소자(110)와 터치 IC(120)의 접속 방식으로서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접하는 센서 소자(110) 사이를 접속하는 동시에 또한 단부의 센서 소자(110)를 터치 IC(120)에 접속하는 베젤 접속 방식이 이용되어도 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100)를 구비한 표시 장치(200)의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200)는, 표시부로서 소망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100)의 실장 방식으로서, 터치 센서(100)를 액정 패널의 액정 셀 중에 구성하는 인셀 방식이 이용되고 있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액정 구동용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에 포함되는 공통 전극이 센서 소자(110)로서 구성된다.
표시 장치(200)는 편광판(201), 터치 센서(100)를 포함하는 TFT 기판(202), 컬러 필터 기판(203), 편광판(204), 접착제(205) 및 커버 유리(206)를 순서대로 중첩한 구성을 가진다. 도 2에서는 시인성을 위해 부재끼리 이간되어 기재되어 있지만 부재 사이는 접촉되어도 되고 부재 사이에 스페이서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 2의 표시 장치(200)의 구성은 일례로서, 표시 장치(200)에 포함되는 부재의 추가, 생략, 순서 변경이 있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100)를 포함하는 TFT 기판(202)의 상세한 단면도이다. TFT 기판(202)에 있어서, 유리 기판(L1) 상에 버퍼층(L2), 반도체 활성층(L3) 및 게이트 절연막(L4)이 적층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L4) 상에는 게이트 전극(L5) 및 소스/드레인 전극(L6)이 형성되어 있고, 소스/드레인 전극(L6)은 게이트 절연막(L4)을 관통하여 반도체 활성층(L3)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L5) 및 소스/드레인 전극(L6) 사이를 채우도록 층간 절연막(L7)이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소스/드레인 전극(L6)을 덮도록 패시베이션층(L8, L9)이 형성되어 있다.
패시베이션층(L8, L9) 상에는 공통 전극(L1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L10)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110)로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공통 전극(L10)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L11)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L11) 상에는 배선층(L12)이 형성되고, 배선층(L12)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L13)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L13) 상에는 공통 전극(L10) 및 배선층(L12)을 접속하는 배선 전극(L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L13) 상에는 화소 전극(L15)이 형성되어 있고, 화소 전극(L15)은 소스/드레인 전극(L6)에 접속되어 있다(접속부는 도시하지 않음).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이미 알려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CVD법, PCVD법, PVD법 등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TFT 기판(202)의 구성은 일례로, TFT 기판(202)에 포함되는 층의 추가, 생략, 순서 변경이 있어도 된다.
표시 장치(200)는 표시부로서, 액정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OLED(유기 EL) 패널을 포함해도 된다. 표시 장치(200)에 터치 센서(100)를 설치하는 실장 방식으로서, 인셀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센서(100)를 액정 패널의 표면에 설치하는 아웃셀 방식(외장 방식) 혹은 터치 센서(100)를 액정 패널 내의 편광판과 컬러 필터 기판 사이에 설치하는 온셀 방식이 이용되어도 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110)의 상면도이다. 센서 소자(110)는, 면 형상의 도전 재료가 도 4의 형상으로 성형됨으로써 형성된다. 센서 소자(110)는 주 가지부(main branch)(111)와, 주 가지부(111)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부 가지부(sub branch)(112)를 구비한다. 주 가지부(111)는, 2개의 직선 형상이 직교된 십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부 가지부(112)는, 서로 이간되어 평행하게 주 가지부(111)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부 가지부(112)의 일방 단부는 주 가지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또한 타방 단부는 개방 단부이다. 다시 말하면 주 가지부(111) 및 부 가지부(112)는, 어류의 뼈 또는 빗살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주 가지부(111) 및 부 가지부(112)의 선단, 즉, 뾰족한 끝은 정방형의 각 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센서 소자(110)는 전체적으로 정방 형상을 이룬다.
인접하는 2개의 부 가지부(112)의 간격 A2는, 부 가지부(112)의 굵기 A1(즉 부 가지부(112)의 연장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폭)보다 크다. 이로써 이웃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에 대해서, 일방 센서 소자(110)의 부 가지부(112)를, 타방 센서 소자(110)의 부 가지부(112) 사이의 간극에 배치할 수 있다.
주 가지부(111)의 굵기 A3(즉, 주 가지부(111)의 연장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폭)는, 성형 가능한 임의의 값이면 되지만 부 가지부(112)의 굵기 A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주 가지부(111)를 굵게 함으로써 도 1과 같이 배선(130)을 센서 소자(110)에 접속할 때 배선(130)을 주 가지부(111)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110)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에는 터치 센서(100)에 있어서의 x-y 방향이 표시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터치 센서(100)에 있어서의 x-y 방향은 터치 센서(100)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200)에 있어서의 x-y 방향과 일치한다.
도 5에는, x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동일 형상을 가지는 3개의 센서 소자(110a, 110b, 110c)가 표시되어 있다. 시인성을 위해서 센서 소자(110a) 및 센서 소자(110c) 중에는 다수의 사선이 표시되어 있고, 센서 소자(110b) 중에는 다수의 점이 표시되어 있다. 각 센서 소자(110)의 중심에는 가상적인 중심점 B가 표시되어 있다.
실제 터치 센서(100)에 있어서는, x 방향 및 y 방향 양방을 따라서, 터치 센서(100)의 크기에 대응하는 수의 센서 소자(110)가 배치된다. 센서 소자(110a, 110b, 110c)는, 각 센서 소자(110a, 110b, 110c)가 이루는 정방형의 대각선이 x 방향 및 y 방향에 일치하도록 다이아몬드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각 센서 소자(110)의 중심점이 등간격으로 x 방향에 평행한 직선 상 및 y 방향에 평행한 직선 상에 배열되기 때문에 유저가 접촉 위치를 일방향으로 움직일 때 센서 소자(110)에 의해 검출되는 접촉 위치의 궤적이 지그재그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센서 소자(110a)의 부 가지부(112)는, 이웃하는 센서 소자(110b)의 부 가지부(112)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반대로 센서 소자(110b)의 부 가지부(112)는, 이웃 센서 소자(110a)의 부 가지부(112)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에 포함되는 부 가지부(112)들끼리 교대로 배치된다. 도 5에는 x 방향을 따른 센서 소자(110)의 배치만 도시되어 있지만, y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에 포함되는 부 가지부(112)들을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의 배치 영역을 중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1개의 센서 소자(110)의 부 가지부(112)가 이웃 센서 소자(110)의 중심점 B에 가까워지므로, 터치 센서(100)에 대한 접촉이 복수의 센서 소자(110) 사이에 걸쳐지기 쉬워진다.
각 부 가지부(112)는, 직선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폭(굵기)을 가지고 연장된 직선 형상을 가진다. 인접하는 2개의 부 가지부(1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에 포함되는 부 가지부(112)들을 교대로 배치 가능하다면 부 가지부(112)는 직선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상이나 꺾은선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각 부 가지부(112)는, 주 가지부(111)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 가지부(111) 및 부 가지부(112)가 이루는 각도는 45도이다.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에 포함되는 부 가지부(112)들을 교대로 배치 가능하다면 주 가지부(111) 및 부 가지부(112)가 이루는 각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110) 상의 접촉 영역 C의 모식도이다. 도 6(a)의 센서 소자(110)의 형상 및 배치는 도 5와 동일하다. 도 6(b)는, 비교예로서의 종래의 센서 소자(310) 상의 접촉 영역 C의 모식도이다. 도 6(b)의 센서 소자(310)는 직사각형의 평판 전극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동일). 접촉 영역 C는 유저의 손가락과 터치 펜 등이 센서 소자(110, 310)에 접촉(근접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하고 있는 영역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접촉 영역 C를 직경 D인 원으로 하고 있다. 도 6(a), 6(b)에서는 시인성을 위해서 접촉 영역 C 중에는 다수의 점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 영역 C가 센서 소자(110, 310)보다 작은 경우를 생각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110)를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앙의 센서 소자(110b)의 중심점 B 상에 접촉 영역 C가 위치하는 경우, 접촉 영역 C는 상기 센서 소자(110b) 뿐만 아니라 거기에 인접하는 센서 소자(110a, 110c)에도 접촉한다. 따라서 센서 소자(110b)의 출력값에 더하여 인접하는 센서 소자(110a, 110c)의 출력값을 이용함으로써 접촉 영역 C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센서 소자(310)를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1개의 센서 소자(310)의 중심점 B 상에 접촉 영역 C가 위치하는 경우, 접촉 영역 C는 상기 센서 소자(310) 내에 머무르기 때문에 인접하는 센서 소자(310)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촉 영역 C의 위치는 1개의 센서 소자(310)의 중심점 B 상에 있다고 간주되고, 1개의 센서 소자(310) 내의 어디에 있는지를 산출할 수는 없다.
도 6(a), 도 6(b)의 센서 소자(110, 310)의 형상 및 배치를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접촉 영역 C의 위치를 산출했다. 도 6(a)의 센서 소자(110)를 실시예로 하고, 도 6(b)의 센서 소자(310)를 비교예로 했다. 실시예의 외경 E를 9.86 mm로 하고 비교예의 외경 E를 5.7 mm로 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외경 E는 다르지만 동일한 화소 수(화소 사이즈 0.17925 mm일 때 1024 화소)에 대응한다. 이들 센서 소자에 대해서, 접촉 영역의 크기(직경)를 1 mm, 3 mm, 5 mm로 한 경우 시그널 레벨 및 접촉 위치(접촉 영역의 중심점)의 계산을 수행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1은, 대상 센서 소자 상에 접촉 영역을 위치시킨 경우 상기 대상 센서 소자에 인접하는 1개의 인접 센서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시그널 레벨의 비율을 도시한다. 비교예에서는, 도 6(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접촉 영역이 대상 센서 소자 내에 머무르기 때문에 인접 센서 소자의 시그널 레벨은 0 %이다. 그에 비해서 실시예에서는, 접촉 영역의 크기가 3 mm 이상인 경우에는 인접 센서 소자의 시그널 레벨이 0 %보다 커졌다. 이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접촉 영역이 위치하는 센서 소자뿐만 아니라 거기에 인접하는 센서 소자에 있어서도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상 센서 소자 및 인접 센서 소자의 출력값으로부터 접촉 영역의 위치를 산출했다. 표 2는, 산출된 접촉 영역의 위치와 실제 접촉 영역의 위치의 갭 양, 즉, 어긋난 양을 도시한다. 접촉 영역의 크기가 1 mm, 3 mm, 5 mm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비교예보다 실시예의 어긋난 양이 작다. 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상 센서 소자의 출력값 및 인접 센서 소자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접촉 영역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종래보다 고정밀도로 접촉 영역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접하는 센서 소자(110)의 부 가지부(112)들이 교대로 배치되고, 일방 센서 소자(110)의 부 가지부(112)가 타방 센서 소자(110)의 중심점 B에 가까워지므로 터치 센서(100)에 대한 접촉이 복수의 센서 소자(110) 사이에 걸쳐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인접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110)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접촉 영역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110)는, 사이즈를 크게 해도 검출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터치 센서(100)에 포함되는 센서 소자(110)의 수를 저감할 수 있고, 반대로 동일한 수의 센서 소자(110)로 대형 터치 센서(10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펜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접촉 영역이 작은 경우라도 접촉 영역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소자(110)는 각 센서 소자(110)가 이루는 정방형의 대각선이 x 방향 및 y 방향에 일치하도록 다이아몬드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소자(110)는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센서 소자(110)의 배치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소자(110)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에는, 터치 센서(100)에 있어서의 x-y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도 7에는,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 배치된 동일 형상을 가지는 4개의 센서 소자(110)가 표시되어 있다. 시인성을 위해 센서 소자(110) 중에는 다수의 사선 또는 다수의 점이 표시되어 있다. 각 센서 소자(110)의 중심에는, 가상적인 중심점 B가 표시되어 있다. 실제 터치 센서(100)에 있어서는, x 방향 및 y 방향 양방을 따라서, 터치 센서(100)의 크기에 대응하는 수의 센서 소자(110)가 배치된다.
센서 소자(110)는, 각 센서 소자(110)가 이루는 정방형의 변이 x 방향 또는 y 방향에 일치하도록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에 포함되는 부 가지부(112)들끼리 교대로 배치된다. 도 5에는 x 방향을 따른 센서 소자(110)의 배치만 도시되어 있지만, y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에 포함되는 부 가지부(112)들을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110)의 배치 영역을 중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1개의 센서 소자(110)의 부 가지부(112)가 이웃 센서 소자(110)의 중심점 B에 가까워지므로, 터치 센서(100)에 대한 접촉이 복수의 센서 소자(110) 사이에 걸쳐지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터치 센서(100)에 대한 접촉이 복수의 센서 소자(110) 사이에 걸쳐지기 쉬워지므로 접촉 영역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는 달리 센서 소자(110)의 중심점 B의 위치가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서 다소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지만, 센서 소자(110)의 중심점 B 사이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평판 센서 소자를 다이아몬드상으로 배치하는 구성보다 지그재그 정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00: 터치 센서 110: 센서 소자
111: 주 가지부 112: 부 가지부
120: 터치 IC 130: 배선
200: 표시 장치 201: 편광판
202: TFT 기판 203: 컬러 필터 기판
204: 편광판 205: 접착제
206: 커버 유리 310: 센서 소자

Claims (11)

  1.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는, 도전성 주 가지부와, 도전성인 복수의 부 가지부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 가지부의 일방 단부는 상기 주 가지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또한 타방 단부는 개방 단부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부 가지부는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 중에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센서 소자의 상기 부 가지부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부 가지부 사이의 간격은, 각각의 상기 부 가지부의 굵기보다 큰 터치 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 중에서 제 1 센서 소자의 상기 부 가지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 중에서 제 2 센서 소자의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부 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 가지부는 직선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부 가지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 가지부는, 상기 부 가지부의 연장 방향이 상기 주 가지부에 대해서 45도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에 있어서, 상기 주 가지부는, 2개의 직선 형상이 직교된 십자 형상을 가지는 터치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 소자에 있어서, 상기 주 가지부의 선단 및 상기 부 가지부의 선단은, 정방형의 각 변 상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소자로부터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욱 구비한 터치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소자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자기 용량식 및 상호 용량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터치 센서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표시부에 대해서 인셀 방식, 온셀 방식 및 아웃셀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180053721A 2017-05-30 2018-05-10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2080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6226A JP7043186B2 (ja) 2017-05-30 2017-05-30 タッチセンサおよび表示装置
JPJP-P-2017-106226 201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391A true KR20180131391A (ko) 2018-12-10
KR102080486B1 KR102080486B1 (ko) 2020-02-24

Family

ID=6466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721A KR102080486B1 (ko) 2017-05-30 2018-05-10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43186B2 (ko)
KR (1) KR1020804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2201A1 (en) * 2009-06-02 2010-12-02 Avago Technologies Ecbu (Singapore) Pte. Ltd. Sensor Patterns for Mutual Capacitance Touchscreens
KR20110076188A (ko) * 2009-12-29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 용량 센싱 장치 및 제조방법
JP2013508887A (ja) 2009-10-27 2013-03-07 ペルセプトイベ ピクエ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投影型静電容量式タッチ検出
KR20130075673A (ko) * 2011-12-27 2013-07-05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스 인코포레이션 감지 전극 구조물 및 감지 전극 구조물을 채용한 터치 패널
KR20140051649A (ko) * 2012-10-23 2014-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탈 메쉬형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4211685A (ja) 2013-04-17 2014-11-13 ジオマ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一体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3275A (ja) 2001-11-22 2003-08-08 Omron Corp 入力装置
JP5832772B2 (ja) 2011-04-13 2015-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CN102622129A (zh) 2012-02-29 2012-08-01 苏州瀚瑞微电子有限公司 一种感应层的布线结构
CN102662544A (zh) 2012-03-31 2012-09-12 苏州瀚瑞微电子有限公司 双层ito布线结构
TW201445621A (zh) 2013-05-24 2014-12-01 Wintek Corp 觸控感測電極結構及觸控裝置
CN104077002B (zh) 2014-07-04 2017-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触控显示装置
DE102015120168A1 (de) 2015-11-09 2017-05-11 Schott Ag Zweidimensionale Sensoranordnu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2201A1 (en) * 2009-06-02 2010-12-02 Avago Technologies Ecbu (Singapore) Pte. Ltd. Sensor Patterns for Mutual Capacitance Touchscreens
JP2013508887A (ja) 2009-10-27 2013-03-07 ペルセプトイベ ピクエ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投影型静電容量式タッチ検出
KR20110076188A (ko) * 2009-12-29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 용량 센싱 장치 및 제조방법
KR20130075673A (ko) * 2011-12-27 2013-07-05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스 인코포레이션 감지 전극 구조물 및 감지 전극 구조물을 채용한 터치 패널
KR20140051649A (ko) * 2012-10-23 2014-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탈 메쉬형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4211685A (ja) 2013-04-17 2014-11-13 ジオマ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一体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486B1 (ko) 2020-02-24
JP2018200662A (ja) 2018-12-20
JP7043186B2 (ja)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242B1 (ko) 인셀 터치 패널
US11599216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256310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JP4967780B2 (ja) 座標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US9063607B2 (en) Dual mode touch sensing module and dual mode touch sensing display
US9904387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US8378993B2 (en) Capacitive touch display panel
JP5841630B2 (ja) タッチ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9817503B2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in-cell touch display panel using same
US9746947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2445799A (zh) 液晶显示装置
JP2019091159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1539330B1 (ko)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US9665196B2 (en) Touch sensor-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EP3599542A1 (en) Touch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955612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substrate
KR20160085400A (ko) 터치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93445A (ko) 셀프 커패시터 방식 인셀 터치 액정표시장치
US9703434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31127B1 (ko) 터치 일체형 표시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048534A (ko)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30072599A1 (en) Sensor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ensor module
KR20180131391A (ko)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2013002432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9524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