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368A -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368A
KR20180131368A KR1020180018853A KR20180018853A KR20180131368A KR 20180131368 A KR20180131368 A KR 20180131368A KR 1020180018853 A KR1020180018853 A KR 1020180018853A KR 20180018853 A KR20180018853 A KR 20180018853A KR 20180131368 A KR20180131368 A KR 20180131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ylindrical portion
sink
food was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686B1 (ko
Inventor
송영봉
Original Assignee
송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봉 filed Critical 송영봉
Priority to KR102018001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68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02C2013/280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the beater elements are attached to disks mounted on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교반처리하는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1차 처리수단과, 상기 1차 처리수단의 음식물 배출구에 연장설치된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처리수단을 거쳐 연결수단을 지나 공급된 음식물을 2차 처리하는 2차 처리수단, 상기 1차 처리수단과 2차 처리수단을 감싸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1차 처리수단의 상단부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결합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상기 1차 처리수단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Food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Crusing and Agitating Food}
본 발명은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처리수단을 통한 분쇄와 2차 처리수단을 통한 미생물 처리 및 교반 처리를 통하여 생활하수로 배출이 가능한 크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사후 처리 비용을 줄이고 환경오염등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계적으로 쓰레기의 약 30% 이상이 음식물 쓰레기에 해당하고,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분해하면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고, 또한 병원균이 자생하여 위생에 큰 문제로 되고 있으며, 또한 상수원을 오염시키는 문제, 계속되는 쓰레기 매립장의 신설의 제한 등으로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동식물성 섬유질, 단백질, 탄수화물, 칼슘, 수분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웠고,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매립하게 되면 소량은 큰 문제로 되지 않지만 다량인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추출물이 지하수 및 상수원으로 유입되어 이들 오염시키게 되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처리하거나 건조 및 분쇄처리하거나 발효과정을 거쳐 비료나 사료로 재활용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 소멸시키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를 소각시에는 소각에 따른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제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더불어『다이옥신』과 같은 유독가스의 필연적인 발생으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음식물을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은 염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비료나 사료로 적합하지 못하였고, 건조방식은 인체에 유해한 폐가스 및 폐수의 배출 등에 따른 2차 오염 문제가 야기되고 있고, 발효방식이나 기존 소멸방식에 있어서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시 발생되는 심한 악취로 인해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디스포저)는 필요한 경우 작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배출관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 하부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또는 분쇄날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분쇄한 후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상태에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하수도관에서 분해가 되지 않아 관로가 막히거나 역한 냄새가 외부로 올라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때 이를 좀더 잘게 분쇄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하수도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분쇄칼날 구조로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상하층 구조의 분쇄칼날 구조는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분쇄칼날의 부러짐이 발생하여 수명이 짧아지며, 상하 분쇄칼날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작동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현재 음식물 처리장치는 가정내 씽크대에 부착설치되어 음식물을 분쇄하여 2차적으로 별도로 모아서 별도로 정해진 장소에 분리수거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형태가 대부분이며, 또한 별도로 분쇄된 음식물을 장시간 미생물 처리하는 미생물 처리기도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 처리장치는 1차적으로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을 다시 저장하여 장시간 미생물 처리를 하여야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음식물 처리성능도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얻어내기가 힘들며 더욱이 법에 의해 마련된 기준을 충족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인해, 종래 음식물 처리장치에서는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적으로 집하장으로 가져가야 하며, 이때 수거하는 쓰레기봉투의 구입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 및 처리를 위한 소각장이 다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후처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사용자는 분쇄기 형태의 음식물 처리장치를 선호하기는 하지만, 이는 음식물을 분쇄하여 처리하는 기준인 잔류 쓰레기가 20% 미만이어야 하는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건을 충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01569호(2013년08월23 등록)(발명의 명칭: 이중 분쇄날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음식물 처리 장치의 분쇄기와 미생물 처리 및 교반 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분쇄 및 교반처리 장치의 기능을 결합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차 처리수단을 통한 분쇄와 2차 처리수단을 통한 미생물 처리 및 교반 처리를 통하여 생활하수로 배출이 가능한 크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사후 처리 비용을 줄이고 환경오염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교반처리하는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1차 처리수단과,
상기 1차 처리수단의 음식물 배출구에 연장설치된 연결수단(62)과,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처리수단을 거쳐 연결수단을 지나 공급된 음식물을 교반처리하는 2차 처리수단,
상기 1차 처리수단과 2차 처리수단을 감싸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1차 처리수단의 상단부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결합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상기 1차 처리수단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 처리수단은,
음식물을 담아 교반처리 하기위한 원통부(22),
상기 원통부(22)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된 거름망 형태의 내부원통부(24),
상기 내부원통부(24)내에 삽입설치되는 복수개의 세라믹볼(300),
상기 원통부(22)의 중심축상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용 날개(22b)를 구비한 회전축(22a),
상기 회전축(22a)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상기 원통부(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된 유입수단,
상기 원통부(22)의 타측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배출수단(23),
상기 원통부(22)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은 몸체부의 배출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을 거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축(22a)의 회전과 상기 내부원통부(24)의 회전을 통해 2차 처리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1차 처리수단은
모터(18)의 회전축(18a)과 고정되고 다수의 배수공(17a)을 갖는 회전판(17)을 형성하고, 회전판(17)의 상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회전 분쇄날(17b,17c)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모터(18) 상부면 및 회전판(17)은 원통형 커버판(19)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커버판(19)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판(17)을 감싸면서 상기 모터(18)상면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돌출부(16a)가 원통 내측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원통형 고정판(16)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판(19)의 상방에는 몸체부(110)의 상부 개구부를 지나 연장배치된 원통형의 상부커버판(15)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판(15)의 상부에는 중간판(13)의 결합 배치되며,
상기 중간판(13)의 테두리면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개구부(110a-1)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중간판(13)의 상부에는 링형 결합부재(14)가 설치되며,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와 맞춤 결합하기 위해 상부의 직경을 배수구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한 배수구 하우징(12)을 체결고정하며,
배수구 하우징(12)의 내측에는 센서가 설치된 뚜껑(11a)이 구비된 원통형 안내수단(11)이 결합되며,
상기 안내수단(11)의 저면은 상기 링형 결합부재(14)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11a)에는 뚜껑이 폐쇄되면 자동으로 작동되게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1차 처리수단을 통한 분쇄와 2차 처리수단을 통한 미생물 처리 및 교반 처리를 통하여 생활하수로 배출이 가능한 크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사후 처리 비용을 줄이고 환경오염등에도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의 2차 처리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를 통한 음식물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의 2차 처리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를 통한 음식물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싱크대(S)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교반처리하는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1차 처리수단과,
상기 1차 처리수단의 음식물 배출구에 연장설치된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처리수단을 거쳐 연결수단을 지나 공급된 음식물을 교반처리하는 2차 처리수단,
상기 1차 처리수단과 2차 처리수단을 감싸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1차 처리수단의 상단부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결합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상기 1차 처리수단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수단은 저면에서부터 상방으로 모터(18), 회전판(17), 원통형 커버판(19), 상부 커버판(15), 중간판(13), 배수구 하우징(12), 뚜껑(11a)이 구비된 마개수단(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1차 처리수단은,
모터(18)의 회전축(18a)과 고정되고 다수의 배수공(17a)을 갖는 회전판(17)을 형성하고, 회전판(17)의 상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회전 분쇄날(17b,17c)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모터(18) 상부면 및 회전판(17)은 원통형 커버판(19)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커버판(19)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판(17)을 감싸면서 상기 모터(18)상면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돌출부(16a)가 원통 내측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원통형 고정판(16)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판(19)의 상방에는 몸체부(110)의 상부 개구부를 지나 연장배치된 원통형의 상부커버판(15)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판(15)의 상부에는 중간판(13)의 결합 배치되며,
상기 중간판(13)의 테두리면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개구부(110a-1)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중간판(13)의 상부에는 링형 결합부재(14)가 설치되며,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와 맞춤 결합하기 위해 상부의 직경을 배수구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한 배수구 하우징(12)을 체결고정하며,
배수구 하우징(12)의 내측에는 센서가 설치된 뚜껑(11a)이 구비된 원통형 안내수단(11)이 결합되며,
상기 안내수단(11)의 저면은 상기 링형 결합부재(14)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싱크대(S)의 배수구를 통해 1차 처리수단의 안내수단(11)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뚜껑(11a)의 폐쇄상태를 센싱하게 되면, 모터(18)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 분쇄날(17b,17c)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고정판(16)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여 배출구(19a)를 통해 물과 함께 연결수단으로 배출하게 구성된다.
상기 뚜껑(11a)에는 뚜껑이 폐쇄되면 자동으로 작동되게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뚜껑(11a)의 주위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수단은,
음식물을 담아 교반처리 하기위한 원통부(22),
상기 원통부(22)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된 거름망 형태의 내부원통부(24),
상기 내부원통부(24)내에 삽입설치되는 복수개의 세라믹볼(300),
상기 원통부(22)의 중심축상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용 날개(22b)를 구비한 회전축(22a),
상기 회전축(22a)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상기 원통부(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된 유입수단,
상기 원통부(22)의 타측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배출수단(23),
상기 원통부(22)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은 몸체부의 배출수단(112)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62)을 거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축(22a)의 회전과 상기 내부원통부(24)의 회전을 통해 2차 처리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1차 처리수단에서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미세한 크기로 만들어서 배출시킨다. 이때, 뚜껑이 폐쇄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 되므로 냄새도 잡아주게 된다.
또한, 2차 처리수단에서는 세라믹볼(300)을 통한 미생물 처리와 함께 1차 처리수단에서보다 더욱 더 미세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 된다. 상기 세라믹 볼의 크기는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세라믹볼(300)의 형상도 원형, 사각,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투입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1,32,33은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회전하면서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fan)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부호 42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를 나타내며, 52는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기 전에 2차 처리수단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22c)를 폐쇄하는 뚜껑을 나타낸다.
상기 1차 처리수단에서는 분쇄하는 순간 사라지는 구조로서, 예를 들면, 1분동안 계속 분쇄만 하게 된다. 분쇄시간이 조정가능하다. 자동기능이 있어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2차 처리기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는 먼저, 사용자가 뚜껑(11a)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에 뚜껑(11a)을 폐쇄시키면, 센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어 이후 1차 처리수단의 모터가 작동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다. 이후 일정시간(예를 들면 설정된 시간이 30초, 1분, 1분 30초 동안 작동될 수 있으며, 스위치(미도시) 신호가 on 된 상태에서는 일정시간 작동된 후 멈추게 된다.) 작동된 후 배출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2차 처리수단으로 전달된다.
1차 처리수단과 2차 처리수단은 연결수단(62)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특히 연결수단을 지난 음식물 쓰레기는 2차 처리수단으로 계속 공급되면서 일정시간 후에는 2차 처리수단이 작동을 시작한다. 즉, 2차 처리수단의 회전축이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게 되고 이 작업을 소정시간 동안(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2시간 등, 사용자가 설정가능함) 작동된다. 2차 처리수단으로부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거의 액체 상태가 될 때까지(입자크기 1mm~3mm정도) 작동된다. 이후 소정시간 경과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된다.
2차 처리수단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공급된 상태이며 물이 많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오버플로우 배출구(222)가 개방되게 된다.
2차 처리수단은 수평기준 소정각도 α(약 30~40도)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축의 작동에 의해 좌에서 우로 계속 섞여지면서 교반처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처리수단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1차 분쇄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더 미세하게 교반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경사각을 가지고 경사진 형태이다. 내부에 세라믹볼은 양(수)을 조절하여 투입가능하며, 재질은 예를 들면 1000~1300 ℃에서 구워진 황토 세라믹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2차 처리수단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액상화 처리가 진행된다. 2차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는 메시 형태의 내부원통부(24)의 미세한 구멍(메시)을 통해 소정크기 이하의 음식물 쓰레기(F)로 배출되게 된다. 2차 처리수단에서의 물(W)은 오버플로우 배출수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싱크대(S)의 뚜껑(11a)을 폐쇄하면, 1차 처리수단(10)이 작동되고, 이후 소정시간 경과후 2차 처리수단(20)이 작동되며, 이후 음식물쓰레기(F)가 배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1차 처리수단을 통한 분쇄와 2차 처리수단을 통한 미생물 처리 및 교반 처리를 통하여 생활하수로 배출이 가능한 크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사후 처리 비용을 줄이고 환경오염등에도 대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차 처리수단
11: 원통형 안내수단
11a: 뚜껑
12: 하우징
13: 중간판
14: 링형 결합부재
15: 상부커버판
16: 고정판
16a: 돌출부
17: 회전판
17a: 배수공
17b,17c: 회전 분쇄날:
18: 모터
18a: 회전축
19: 원통형 커버판
20: 2차 처리수단
22: 원통부
22a: 회전축
22b: 교반용 날개
23: 오버플로우 배출수단
24: 내부원통부
62: 연결수단
100: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110: 몸체부
222: 오버플로우 배출구
300: 세라믹 볼
S: 싱크대
W: 물
F: 음식물 쓰레기(처리된 상태를 나타냄)

Claims (3)

  1.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교반처리하는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1차 처리수단과,
    상기 1차 처리수단의 음식물 배출구에 연장설치된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처리수단을 거쳐 연결수단을 지나 공급된 음식물을 교반처리하는 2차 처리수단,
    상기 1차 처리수단과 2차 처리수단을 감싸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1차 처리수단의 상단부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결합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상기 1차 처리수단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 처리수단은,
    음식물을 담아 교반처리 하기위한 원통부(22),
    상기 원통부(22)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된 거름망 형태의 내부원통부(24),
    상기 내부원통부(24)내에 삽입설치되는 복수개의 세라믹볼(300),
    상기 원통부(22)의 중심축상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용 날개(22b)를 구비한 회전축(22a),
    상기 회전축(22a)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상기 원통부(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된 유입수단,
    상기 원통부(22)의 타측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배출수단(23),
    상기 원통부(22)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은 몸체부의 배출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을 거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축(22a)의 회전과 상기 내부원통부(24)의 회전을 통해 2차 처리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수단은
    모터(18)의 회전축(18a)과 고정되고 다수의 배수공(17a)을 갖는 회전판(17)을 형성하고, 회전판(17)의 상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회전 분쇄날(17b,17c)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모터(18) 상부면 및 회전판(17)은 원통형 커버판(19)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커버판(19)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판(17)을 감싸면서 상기 모터(18)상면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돌출부(16a)가 원통 내측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원통형 고정판(16)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판(19)의 상방에는 몸체부(110)의 상부 개구부를 지나 연장배치된 원통형의 상부커버판(15)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판(15)의 상부에는 중간판(13)의 결합 배치되며,
    상기 중간판(13)의 테두리면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개구부(110a-1)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중간판(13)의 상부에는 링형 결합부재(14)가 설치되며,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와 맞춤 결합하기 위해 상부의 직경을 배수구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한 배수구 하우징(12)을 체결고정하며,
    배수구 하우징(12)의 내측에는 센서가 설치된 뚜껑(11a)이 구비된 원통형 안내수단(11)이 결합되며,
    상기 안내수단(11)의 저면은 상기 링형 결합부재(14)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1a)에는 뚜껑이 폐쇄되면 자동으로 작동되게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KR1020180018853A 2018-02-15 2018-02-15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KR10196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53A KR101967686B1 (ko) 2018-02-15 2018-02-15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53A KR101967686B1 (ko) 2018-02-15 2018-02-15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008A Division KR20180131251A (ko) 2017-05-31 2017-05-31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368A true KR20180131368A (ko) 2018-12-10
KR101967686B1 KR101967686B1 (ko) 2019-04-10

Family

ID=6467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853A KR101967686B1 (ko) 2018-02-15 2018-02-15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4507A (zh) * 2019-09-19 2020-11-24 昆明特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中药材快速干燥制粉加工的芸洁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477B1 (ko) * 2019-09-05 2021-09-15 김광오 음식물처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827Y1 (ko) * 1999-09-17 2000-03-15 일오삼코리아주식회사 조리대용 음식물쓰레기의 발효건조장치
JP2015013249A (ja) * 2013-07-04 2015-01-22 トウ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owoosys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01529716B1 (ko) * 2014-09-30 2015-06-29 (주)예전씨앤씨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60020931A (ko) * 2014-08-14 2016-02-24 김관배 음식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827Y1 (ko) * 1999-09-17 2000-03-15 일오삼코리아주식회사 조리대용 음식물쓰레기의 발효건조장치
JP2015013249A (ja) * 2013-07-04 2015-01-22 トウ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owoosys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20160020931A (ko) * 2014-08-14 2016-02-24 김관배 음식물 처리장치
KR101529716B1 (ko) * 2014-09-30 2015-06-29 (주)예전씨앤씨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4507A (zh) * 2019-09-19 2020-11-24 昆明特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中药材快速干燥制粉加工的芸洁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686B1 (ko)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021B1 (ko) 파쇄기가 장착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190065092A (ko) 히팅장치가 구비된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KR10045986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67687B1 (ko) 내부원통부의 회전을 통한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KR1015297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H03245855A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KR1018527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928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67686B1 (ko)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KR101202272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2001803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60609A (ko) 3차 감량기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80131251A (ko)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KR20150074442A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83279B1 (ko) 분쇄 및 교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
KR20180134658A (ko) 내부원통부의 회전을 통한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91867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1314870B1 (ko) 음식물 처리 감량장치
KR100776021B1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시스템
KR10095069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미분말 분쇄 장치
KR20130039051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0230985Y1 (ko) 가정용음식쓰레기처리장치_
KR1008133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