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161A - 퍼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퍼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161A
KR20180131161A KR1020170067816A KR20170067816A KR20180131161A KR 20180131161 A KR20180131161 A KR 20180131161A KR 1020170067816 A KR1020170067816 A KR 1020170067816A KR 20170067816 A KR20170067816 A KR 20170067816A KR 20180131161 A KR20180131161 A KR 20180131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scorbyl
acid
succinimidyl
cyste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938B1 (ko
Inventor
유창훈
손성길
최화춘
김지원
이정래
이인호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6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9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기존 2 단계로 진행되던 퍼머의 단계를 1 단계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퍼머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ermanent wave}
본 발명은 퍼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신체에 존재하는 털을 의미한다. 이러한 모발은 피부 어디에나 존재하나. 대개의 경우 두피에 존재하며, 자외선 혹은 추위나 더위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 물리적 충격 등의 다양한 외부 자극을 차단하는 인체의 조직의 역할을 수행한다.
사람의 모발의 경우 동물의 털이 가진 가장 큰 기능인 보온의 기능과는 별도로 미용의 기능이 가장 크다. 상기 모발은 외모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머리카락을 길러 자르거나 염색 또는 퍼머를 통해 미용적 기능을 충족하려 한다.
모발은 주로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의 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표피와 진피의 상호작용을 통해 모낭이 형성되고 이곳으로부터 모발이 생성되어 피부 밖으로 자라게 된다. 이 때 피부 내에 존재하는 모발을 모근, 피부 밖으로 나온 모발을 모간이라고 한다. 모근 중에서 하반부인 모모에서 대부분의 세포분열이 일어나며, 상반부에서는 약간의 분열만이 일어난다. 모발의 성장 분화를 위한 세포분열로 인하여 모발 케라틴을 형성하며 기저층의 분열을 통해 윗 방향의 분화로 각화된 각질층을 형성한다.
피부 밖으로 노출된 모간은 모수질, 모피질 그리고 모소피로 구성된다. 모수질은 모발의 중심부로 공동상의 벌집모양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멜라닌 색소를 포함한다. 모수질 바로 바깥쪽에 위치한 모피질은 케라틴 성분의 피질세포가 규칙적으로 정렬해 있으며 모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모발은 탄소 약 45%, 산소 약 28%, 수소 약 6%, 질소 약 15% 그리고 약 5%의 황의 원소 구성을 갖고 있으며 모낭에서 생성된 단백질로 구성된다. 모발의 약 90%는 아미노산의 긴 결합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며, 이 단백질들은 펩타이드 결합으로 불리는 화학적 결합 등으로 결합되어있다. 모발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으로는 시스테인, 아스파트산, 세린, 알라닌, 글루타믹산, 프롤린, 드레오닌, 이소류신, 글리신, 티로신, 류신, 페닐알라닌, 발린, 히스티딘, 알기닌, 메티오닌이 있으며, 이 중 황의 원소를 가진 시스테인이 모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모발의 중간층에 해당하는 모피질도 역시 언급한 아미노산들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아미노산의 결합들의 외부와는 세 가지의 결합을 통해 아미노산 결합 묶음끼리의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세 가지 결합 중 모발의 외형과 가장 밀접한 연관을 가진 이황화 결합을 통해 개개인의 모발의 곱슬거림이 결정된다. 이황화 결합은 시스테인 결합으로도 불리며, 다른 두 결합인 염 결합과 수소 결합보다 큰 결합력을 가진다. 시스테인 결합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테인 아미노산에 존재하는 황 원소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모발의 견고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모발의 미용적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행하는 다양한 행위로는 머리카락을 길러 자르거나, 염색을 하여 색을 입히거나 또는 퍼머를 통해 곱슬거림의 정도를 바꾸는 것 등이 있으며, 각자의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자신을 드러내거나 표현 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퍼머는 개인의 이미지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쉐도우 퍼머, 텍스쳐 퍼머, 베이비 퍼머, 러블리 퍼머, 루즈 퍼머, 스핀 퍼머, 볼륨 퍼머, 쉐도우 스핀 퍼머, 볼륨 쉐도우 퍼머, 호일 퍼머, 위빙 퍼머, 핀컬 퍼머, 드라이 퍼머, 셋팅 퍼머, 디지털 퍼머, 레인보우 퍼머, 아이롱 퍼머, 매직 퍼머, 볼륨 매직 퍼머, 트위스트 퍼머 등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퍼머가 존재한다.
다양한 퍼머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그 기본 원리는 한가지로 다음과 같다. 1제를 이용하여 모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결합인 시스테인 결합을 끊어주는 환원 단계를 통해 모발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해주며, 언급한 다양한 퍼머 종류에 따라 모발의 외형을 결정해 준다. 퍼머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도구와 기기를 이용하여 모발의 외형을 잡아 준 뒤 환원된 모발에 2제를 이용하여 모발을 다시 중화하는 단계를 거치며, 해당 단계에서 1제를 이용하여 끊어 주었던 시스테인 결합을 새로 결정한 모발의 외형에 따라 다시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모발의 형태를 변화시킨다.
일련의 단계를 거치는 시간은 상당하며, 이를 단순화 하여 단일 단계로 모발의 외형을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모발 표면의 시스테인 잔기의 환원과 결합을 단일 단계로 수행할 수 있는 퍼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본 발명은 환원제; 및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퍼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머용 조성물은 종래 두 단계의 퍼머 방법, 즉, 모발 내 시스테인의 티올(-SH)기 간의 결합을 환원하고 산화하는 두 단계의 퍼머 방법을 하나의 단계로 줄임으로써, 퍼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계로 퍼머를 진행하므로, 미용실에 가지 않고도 혼자서 손쉽게 퍼머를 할 수 있다.
도 1은 모발 퍼머 효과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환원제; 및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퍼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퍼머용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환원제는 모발에 작용하여, 상기 모발의 시스테인 결합을 환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환원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퍼머용 환원제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원제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에리토르브산,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포테슘 아스코르베이트, 칼슘 아스코르베이트, 암모늄 아스코르베이트, 모노에탄올아민 아스코르베이트, 디에탄올아민 아스코르베이트, 소듐 에리토르베이트, 디소듐 아스코르빌 술페이트, 디소듐 에리토르빌 술페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테트라 2-헥실데카네이트, 아스코르빌 미리스테이트, 아스코르빌 라우레이트,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빌 프로피오네이트, 아스코르빌 타르트레이트, 아스코르빌 시트레이트, 아스코르빌 숙시네이트, 아스코르빌 벤조에이트, 포테슘 (아스코르빌/토코페릴) 포스페이트, 에틸 아스코르브산, 알란토인 아스코르베이트, 키토산 아스코르베이트, 메틸실라놀 아스코르베이트, 아스코르빌 테트라데실헥실,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 폴리펩티드,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및 아스코르빌 메틸실라놀펙티네이트,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레이트,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 암모늄 티오글리콜레이트, 소듐 티오글리콜레이트, 글리세린 티오글리콜레이트, 시스테인, 시스테인 히드로클로라이드, N-아세틸-L-시스테인, 티오글리세롤, 티올아세트산, 티오말산, 시스테아민, 아황산, 암모늄 아황산염, 소듐 아황산염, 아황산수소암모늄, 아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 소듐 티오황산염, 시스타민, N,N’-비스아크릴로일-시스타민, 3,3’-디치오프로피오닉 애시드, 글루타치온 디설파이드, 시스테인 염산염, N-아크릴로일-시스테아민, 2-이미노치올란, N-아세틸호모시스테인치오락톤, 1,4-디치오트레이톨, 글루타치온 및 이들 화합물의 염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환원제는 전체 조성물(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퍼머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퍼머용 조성물은 환원제와 함께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하므로, 환원제에 의해 환원된 시스테인 결합을 원하는 모양으로 재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바이닐기, 아세틸렌기, 말레이미드기, 할로아세틸기 및 피리딜디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바이닐기 또는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3-부타다이엔, 3-메틸-1,4-펜타다이엔, 1,4-펜타다이엔, 1,5-헥사다이엔, 1,7-옥타다이엔, 테트라바이닐실레인, 1,6-헵타다이엔, 1,9-데카다이엔, 1,4-펜타다이엔-3-올, 1,13-테트라데카다이엔, 다이알릴아마인, 테트라알릴실레인, 트리알릴포스파인, 다이알릴다이메틸실레인, 다이알릴메틸아마인, 1,6-헵타다이엔-4-올, 알릴설파이드, 바이닐아크릴레이트, 바이닐메타크릴레이트,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바이닐터미네이티드, 다이비닐설폰, 3-메틸-1-펜텐-4-인-3-올, 알릴-프롭-2-이닐-아마인, 3-알릴옥시-1-프로파인, 알릴프로파이올레이트, 프로팔길아크릴레이트로, 1,6-헵타디아인, 1,7-옥타디아인, 1,8-노나디아인, 트리프로파길아마인, 다이프로파길아마인 및 프로파길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말레이미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n-Arm 폴리옥시에틸렌 말레이미드 (n은 2내지 8의 정수), N-(α-말레이미도아세톡시)-숙신이미드 에스터, 1,4-비스-말레이미도부탄, 비스-말레이미도헥산, 비스-말레이미도에탄,N-(β-말레이미도프로피온산)히드라지드·TFA, N-(β-말레이미도프로필옥시)숙신이미드 에스터, 1,8-비스-말레이미도에탄(다이에틸렌-글리콜, 1,11-비스-말레이미도트리에틸렌글리콜, 다이티오-비스-말레이미도에탄(Dithiobis-maleimidoethane), N-(ε-말레이미도카프로익산)히드라지드, N-(ε-말레이미도카프로일옥시)숙신이미드 에스터, N-(γ-말레이미도부티릴옥시)숙신이미드 에스터, N-κ-말레이미도운데카노익산,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 사이클로헥산-1-카복시-(6-아미도카프로에이트), m-말레이미도벤조일-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 4-(4-N-말레이미도페닐)-부티릭산 히드라지드HCI, N-(p-말레이미도페닐)이소시아네이트,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복실레이트, 숙신이미딜-6-(β-말레이미도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 숙신이미딜 4-(p-말레이미도-페닐)부티레이트, N-(ε-말레이미도카프로일옥시)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N-(γ-말레이미도부트릴옥시)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N-(κ-말레이미도운데카노일옥시)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m-말레이미도벤조일-N-하이드록시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설포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복실레이트, 설포숙신이미딜 4-(p-말레이미도페닐)부티레이트, 트리스-(2-말레이미도에틸)아민 및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PEG)n-말레이미드 (n은 2내지 100의 정수)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할로아세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2-[N2-(4-아지도-2,3,5,6-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N6-(6-비오틴아미도카프로일)-L-리시닐]에틸메탄티오설페이트, 2-{N2-[N6-(4-아지도-2,3,5,6-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N6-(6-비오틴아미도카프로일)-L-리시닐]에틸메탄티오설페이트, 숙신이미딜 3-(브로모아세트아미도)프로피오네이트, N-숙신이미딜 아이오도아세테이트, N-숙신이미딜 (4-아이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 및 설포숙신이미딜(4-아이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피리딜디티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피리딜 디설파이드 화합물로서, N-(4-[ρ-아지도살리실아미도]부틸)-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온아미드, 1,4-다이-(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온아미도) 부탄, 숙신이미딜 6-(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 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오닐히드라지드, 4-숙신이미딜옥시카보닐-메틸-α-(2-피리딜다이티오)톨루엔, N-숙신이미딜 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오네이트, 설포숙신이미딜 6-(α-메틸-α-[2-피리딜다이티오]-톨루아미도)헥사노에이트, 설포숙신이미딜 6-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 및 설포- NHS-(2-6-[비오틴아미도]-2-(p-아지도벤즈아미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 또는 3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퍼머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성분 이외에도 증류수, 산화안정제, 보습제 및 방부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퍼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환원제는 제형 내에서 산화되려는 성질이 강하므로, 제형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산화안정제를 사용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안정제로는 퍼머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여러 종류의 산화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EDTA-4Na, EDTA-2Na 등의 금속이온봉쇄제 또는 구연산나트륨 등의 pH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퍼머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L-판테놀, 솔비톨,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및 솔비톨 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퍼머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이용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퀴터늄-15, 페녹시에탄올, 에탄올, 소르비산칼륨,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및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머용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또는 화장학적 제형을 제조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침투 보조제 및 제품의 제형화를 위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피부유연화제, 외관향상제, 향료, 안료, 금속이온 봉쇄제 등의 다양한 성분을 또한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의 퍼머, 스트레이트 퍼머 또는 안티-프리즈(anti-frizz) 등의 다양한 퍼머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퍼머용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 한 뒤 원하는 형태로 모발의 외형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환원제에 의해 모발의 티올기가 환원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환원된 티올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둘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통해 상기 환원된 티올기가 재결합함으로써, 모발의 외형이 단일 단계로 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퍼머 시간을 단축하고, 간편하게 퍼머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2.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퍼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정제수 적량 적량
EDTA4Na 0.2 0.2
티오글리콜산 6.0 6.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지방 알코올 5.0 5.0
비이온계면활성제 3.0 3.0
구연산 적량 적량
구연산나트륨 적량 적량
1,3-부타다이엔 10.0 5.0
비교예 1.
하기 표 2 및 3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퍼머용 조성물(1제 및 2제로 구성)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wt%
제1제 정제수 적량
EDTA4Na 0.2
티오글리콜산 6.0
암모니아수(28%) 3.5
프로필렌글라이콜 3.0
하이드롤라이즈드프로테인 1.0
Tween20 1.0
향료 0.3
  원료명 wt%
제2제 정제수 적량
EDTA4Na 0.2
페나세친 0.5
과산화수소(30%) 7.0
Tween40 2.5
인산 적량
실험예 1. 모발 퍼머 효과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퍼머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여 퍼머를 실시하였다. 컬(Curl) 상태의 모발은 온도가 25℃이고 상대습도가 60%인 항온 항습기에 넣어 시간 경과에 따른 고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식 1에 따라 컬 리텐션[Curl Retention, C.R(%)]을 측정하였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 1에서, L0는 헤어 트레스(Hair Tress) 길이를 나타내고, Lt는 t 시간 경과 후 헤어 트레스(Hair Tress)의 길이를 나타내며, Ls는 컬(Curl)된 최초 헤어 트레스(Hair Tress) 길이(t=0)를 나타낸다. 상기 식 1의 출전 문헌은 『Albert L.Micchelli,B.A., and F.Theodore Koehler,B.S."Polymer Properties Influencing Curl Retention at High Humidity" J.Soc.Cosmetic Chemists.19,863~880(Dec 9,1968)』이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머용 조성물은 1제 및 2제를 함께 사용하는 비교예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의 퍼머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환원제; 및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퍼머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환원제는 아스코르브산, 에리토르브산,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포테슘 아스코르베이트, 칼슘 아스코르베이트, 암모늄 아스코르베이트, 모노에탄올아민 아스코르베이트, 디에탄올아민 아스코르베이트, 소듐 에리토르베이트, 디소듐 아스코르빌 술페이트, 디소듐 에리토르빌 술페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테트라 2-헥실데카네이트, 아스코르빌 미리스테이트, 아스코르빌 라우레이트,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빌 프로피오네이트, 아스코르빌 타르트레이트, 아스코르빌 시트레이트, 아스코르빌 숙시네이트, 아스코르빌 벤조에이트, 포테슘 (아스코르빌/토코페릴) 포스페이트, 에틸 아스코르브산, 알란토인 아스코르베이트, 키토산 아스코르베이트, 메틸실라놀 아스코르베이트, 아스코르빌 테트라데실헥실,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 폴리펩티드,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및 아스코르빌 메틸실라놀펙티네이트,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레이트,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 암모늄 티오글리콜레이트, 소듐 티오글리콜레이트, 글리세린 티오글리콜레이트, 시스테인, 시스테인 히드로클로라이드, N-아세틸-L-시스테인, 티오글리세롤, 티올아세트산, 티오말산, 시스테아민, 아황산, 암모늄 아황산염, 소듐 아황산염, 아황산수소암모늄, 아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 소듐 티오황산염, 시스타민, N,N’-비스아크릴로일-시스타민, 3,3’-디치오프로피오닉 애시드, 글루타치온 디설파이드, 시스테인 염산염, N-아크릴로일-시스테아민, 2-이미노치올란, N-아세틸호모시스테인치오락톤, 1,4-디치오트레이톨, 글루타치온 및 이들 화합물의 염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퍼머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환원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퍼머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바이닐기, 아세틸렌기, 말레이미드기, 할로아세틸기 및 피리딜디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퍼머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바이닐기 또는 아세틸렌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1,3-부타다이엔, 3-메틸-1,4-펜타다이엔, 1,4-펜타다이엔, 1,5-헥사다이엔, 1,7-옥타다이엔, 테트라바이닐실레인, 1,6-헵타다이엔, 1,9-데카다이엔, 1,4-펜타다이엔-3-올, 1,13-테트라데카다이엔, 다이알릴아마인, 테트라알릴실레인, 트리알릴포스파인, 다이알릴다이메틸실레인, 다이알릴메틸아마인, 1,6-헵타다이엔-4-올, 알릴설파이드, 바이닐아크릴레이트, 바이닐메타크릴레이트,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바이닐터미네이티드, 다이비닐설폰, 3-메틸-1-펜텐-4-인-3-올, 알릴-프롭-2-이닐-아마인, 3-알릴옥시-1-프로파인, 알릴프로파이올레이트, 프로팔길아크릴레이트로, 1,6-헵타디아인, 1,7-옥타디아인, 1,8-노나디아인, 트리프로파길아마인, 다이프로파길아마인 및 프로파길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퍼머용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말레이미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n-Arm 폴리옥시에틸렌 말레이미드, N-(α-말레이미도아세톡시)-숙신이미드 에스터, 1,4-비스-말레이미도부탄, 비스-말레이미도헥산, 비스-말레이미도에탄,N-(β-말레이미도프로피온산)히드라지드·TFA, N-(β-말레이미도프로필옥시)숙신이미드 에스터, 1,8-비스-말레이미도에탄(다이에틸렌-글리콜, 1,11-비스-말레이미도트리에틸렌글리콜, 다이티오-비스-말레이미도에탄(Dithiobis-maleimidoethane), N-(ε-말레이미도카프로익산)히드라지드, N-(ε-말레이미도카프로일옥시)숙신이미드 에스터, N-(γ-말레이미도부티릴옥시)숙신이미드 에스터, N-κ-말레이미도운데카노익산,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 사이클로헥산-1-카복시-(6-아미도카프로에이트), m-말레이미도벤조일-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 4-(4-N-말레이미도페닐)-부티릭산 히드라지드HCI, N-(p-말레이미도페닐)이소시아네이트,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복실레이트, 숙신이미딜-6-(β-말레이미도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 숙신이미딜 4-(p-말레이미도-페닐)부티레이트, N-(ε-말레이미도카프로일옥시)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N-(γ-말레이미도부트릴옥시)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N-(κ-말레이미도운데카노일옥시)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m-말레이미도벤조일-N-하이드록시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설포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복실레이트, 설포숙신이미딜 4-(p-말레이미도페닐)부티레이트, 트리스-(2-말레이미도에틸)아민 및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PEG)n-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퍼머용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할로아세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2-[N2-(4-아지도-2,3,5,6-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N6-(6-비오틴아미도카프로일)-L-리시닐]에틸메탄티오설페이트, 2-{N2-[N6-(4-아지도-2,3,5,6-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N6-(6-비오틴아미도카프로일)-L-리시닐]에틸메탄티오설페이트, 숙신이미딜 3-(브로모아세트아미도)프로피오네이트, N-숙신이미딜 아이오도아세테이트, N-숙신이미딜 (4-아이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 및 설포숙신이미딜(4-아이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퍼머용 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피리딜디티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N-(4-[ρ-아지도살리실아미도]부틸)-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온아미드, 1,4-다이-(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온아미도) 부탄, 숙신이미딜 6-(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 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오닐히드라지드, 4-숙신이미딜옥시카보닐-메틸-α-(2-피리딜다이티오)톨루엔, N-숙신이미딜 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오네이트, 설포숙신이미딜 6-(α-메틸-α-[2-피리딜다이티오]-톨루아미도)헥사노에이트, 설포숙신이미딜 6-3’-[2-피리딜다이티오]프로피온아미도)헥사노에이트 및 설포- NHS-(2-6-[비오틴아미도]-2-(p-아지도벤즈아미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퍼머용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테인의 티올(-SH)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되는 퍼머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의 퍼머, 스트레이트 퍼머 또는 안티-프리즈(anti-frizz)에 사용되는 퍼머용 조성물.
KR1020170067816A 2017-05-31 2017-05-31 퍼머용 조성물 KR102486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16A KR102486938B1 (ko) 2017-05-31 2017-05-31 퍼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16A KR102486938B1 (ko) 2017-05-31 2017-05-31 퍼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61A true KR20180131161A (ko) 2018-12-10
KR102486938B1 KR102486938B1 (ko) 2023-01-10

Family

ID=6467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816A KR102486938B1 (ko) 2017-05-31 2017-05-31 퍼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9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67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또는 모발용 혼합형 퍼스널 케어 제품
WO2015017768A1 (en) * 2013-08-01 2015-02-05 Liqwd, Inc. Methods for fixing hair and skin
KR20170055774A (ko) * 2015-11-12 2017-05-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표면 개질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67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또는 모발용 혼합형 퍼스널 케어 제품
WO2015017768A1 (en) * 2013-08-01 2015-02-05 Liqwd, Inc. Methods for fixing hair and skin
KR20170055774A (ko) * 2015-11-12 2017-05-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표면 개질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938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030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KR101787310B1 (ko) 케라틴 처리 제형 및 방법
EP1896139B1 (en) Permanent waving and simultaneously coloring agent
US20190380936A1 (en) Functional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EP2123250A1 (en) Hair-shape controlling composition
KR102353497B1 (ko)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용도
US20090194121A1 (en) Hair shaping kit and process comprising at least one amine chosen from tertiary amines
JP4611105B2 (ja) ペプチドを含む毛髪処理用薬剤
US20200230046A1 (en) Chemical Composition
KR20180131161A (ko) 퍼머용 조성물
US20030082132A1 (en) Perming compositions and perming method by using the same
KR102491995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6825A (ko) 비듬 또는 가려움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5957B1 (ko) 메모리 헤어 스타일링제 및 그를 이용한 스타일링방법
KR102273879B1 (ko) 퍼머취 감소 및 퍼머 지속력 향상을 위한 모발 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제
KR102303392B1 (ko)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발 웨이브용 및 스트레이트용 조성물
JP4583989B2 (ja) パーマネントウエーブ加工用薬剤の調製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パーマネントウエーブ加工用薬剤の調製方法
US20180243203A1 (en) Process for treating keratin fibres with an alkoxysilane polymer bearing a nucleophilic group and an activated (thio)ester
US20210196615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JP2023003921A (ja) 毛髪変形用処理剤
DE102009047527A1 (de) Verwendung von Coenzym Q10 und/oder dessen Derivaten in Verfahren zur permanenten Haarumformung
US20060134042A1 (en) Hair shaping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tetramethylguanidine
EA040937B1 (ru) Уменьшение или предупреждение повреждения волос в процессе освет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