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523A -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 사이에 유전체 막을 가진 통신 잭 - Google Patents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 사이에 유전체 막을 가진 통신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523A
KR20180130523A KR1020187029965A KR20187029965A KR20180130523A KR 20180130523 A KR20180130523 A KR 20180130523A KR 1020187029965 A KR1020187029965 A KR 1020187029965A KR 20187029965 A KR20187029965 A KR 20187029965A KR 20180130523 A KR20180130523 A KR 20180130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s
mandrel
capacitive plate
compartment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107B1 (ko
Inventor
새티쉬 아이. 파텔
로만 제이. 처노빅
진 드 디유 무탕가나
Original Assignee
팬듀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듀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팬듀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13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01R13/6466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on substrate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01R13/6469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on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케이블 연결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잭을 위한 설계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크로스토크 보상을 제공하는 PIC의 두 개의 층 사이에서의 얇은 유전체 막을 이용하는 RJ45 잭이다. 보상은 얇은 유전체 막을 끼워 넣은 커패시터 판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PIC의 층이 매우 근접해 있으며 요구되는 경우 보다 높은 결합을 달성하도록 허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보상이 플러그/잭 접촉 포인트에 가깝게 발생하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플러그/잭 접촉 포인트에 더 가깝게 보상을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데이터 경로를 따라 더 요구된 보상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 사이에 유전체 막을 가진 통신 잭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연결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잭을 위한 설계에 관한 것이다.
RJ45 플러그 및 잭과 같은 네트워크 연결성 구성요소가 각각, 미리 결정된 양의 크로스토크를 생성하고 소거한다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알려져 있다. RJ45 잭 내에서 크로스토크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거하기 위해, 보상 회로가 플러그/잭 짝짓기 인터페이스에 가능한 가깝게 이동되어야 한다는 것이 동일하게 알려져 있다.
이를 달성하는 하나의 방법은 플러그 잭 짝짓기 인터페이스에 비교적 가까운 포인트에서 잭의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plug interface contact: PIC)에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8/0045090호에서 제공되며 여기에서 도 15A 내지 도 15G는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를 상부에 갖는 가요성 회로 보드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잭을 예시한다. 효과적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가요성 회로 보드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많은 돈이 든다.
플러그/잭 짝짓기 인터페이스에 가깝게 크로스토크 회로를 이동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잭의 접촉 트레이스 중 일부에서 크로스오버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4/0073195호에서 볼 수 있으며 여기에서 PIC에서의 크로스오버는 슬레드(sled)의 맨드릴 가까이에서 구현된다. 이들 크로스오버는 보상이 플러그/잭 짝짓기 인터페이스 후 비교적 곧 시작하도록 허용하지만, 그로부터 충분히 바람직한 양의 결합을 획득하는 것이 어려워서, 보상 신호의 보다 많은 부분이 순(net) 보상 신호를 달성하기 위해 플러그/잭 짝짓기 인터페이스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발생되게 한다.
앞서 말한 것을 고려하여, 제조하기에 비교적 경제적인 채로 있으면서 적절한 크로스토크 소거를 제공하는 개선된 잭 설계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실시형태는 비교적 경제적인 채로 있으면서 적절한 크로스토크 소거를 제공하는 개선된 잭 설계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크로스토크 보상을 제공하는 PIC의 두 개의 층 사이에서 얇은 유전체 막을 이용하는 RJ45이다. 보상은 얇은 유전체 막을 끼워 넣은 커패시터 판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PIC의 층이 매우 근접해 있으며 요구되는 경우 보다 높은 결합을 달성하도록 허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보상이 플러그/잭 접촉 포인트에 가깝게 발생하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플러그/잭 접촉 포인트에 더 가깝게 보상을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데이터 경로를 따라 더 요구된 보상 및/또는 크로스토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이다. 상기 통신 잭은 상기 통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aperture)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레드로서, 상기 슬레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근접하며 맨드릴을 갖고, 제2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원위인, 상기 슬레드, 제1 PIC로서,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가진, 상기 제1 PIC, 제2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가진, 상기 제2 복수의 PIC, 및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막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 막은 또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제2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제2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이다. 상기 통신 잭은 상기 통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를 가진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크러쉬 리브(crush rib)를 추가로 갖는, 상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레드로서, 상기 슬레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근접해 있으며 맨드릴을 갖고, 제2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원위인, 상기 슬레드, 제1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제2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및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막을 포함하며, 상기 크러쉬 리브는 상기 유전체 막에 맞닿은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를 압축시킨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이다. 상기 통신 잭은 상기 통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레드로서, 상기 슬레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근접해 있으며 맨드릴을 갖고, 제2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원위인, 상기 슬레드, 제1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제2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및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1 용량성 판 및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2 용량성 판을 통해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에 용량 결합하며,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제2 용량성 판에 중첩하며 그 위에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이어지는 다음의 도면, 설명, 및 임의의 청구항을 참조하여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상부 등각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잭의 하부 등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잭의 확대된 하부 등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슬레드 어셈블리의 확대된 전방 상부 등각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레드 어셈블리의 확대된 후방 상면 등각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슬레드 어셈블리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정면도이다.
도 7a는 도 4의 슬레드 어셈블리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상면도이다.
도 7b는 도 7a로부터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방 하우징의 후방 하부 등각도이다.
도 9는 구획부 라인(9-9)에 대해 취해진 도 8의 전방 하우징의 등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방 하우징의 등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방 하우징의 등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구획 라인(12-12)에 대해 취해진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가 도 1에 예시되며, 이것은 잭(20) 및 대응하는 RJ45 플러그(26)를 가진 패치 패널(12)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을 도시한다. 플러그(26)가 잭(20)과 짝을 이루면, 데이터는 이들 커넥터를 통해 양쪽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이 패치 패널을 갖는 것으로 도 1에 예시되지만,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다른 능동형 또는 수동형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형 장비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모듈식 패치 패널, 펀치-다운 패치 패널, 커플러 패치 패널, 벽면 잭 등일 수 있다. 능동형 장비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데이터 센터 및 또는 전기통신 룸에서 발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더넷 스위치, 라우터, 서버, 물리 계층 관리 시스템, 및 PoE(power-over-Ethernet) 장비; 보안 디바이스(카메라 및 다른 센서 등) 및 도어 액세스 장비; 및 워크스테이션 영역에서 발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화, 컴퓨터, 팩스 머신, 프린터, 및 다른 주변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캐비넷, 랙, 케이블 관리 및 오버헤드 라우팅 시스템, 및 다른 이러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잭(20)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한다.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잭은 전방 하우징(32), 슬레드 어셈블리(34), 인쇄 회로 보드(PCB)(42), 절연 변위 접촉(IDC)(46 및 48), IDC 지지대(50), 후방 하우징(54), 및 와이어 캡(55)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레드 어셈블리(34)는 PIC(362, 363, 364, 및 368)로 이루어진 상부 PIC 층(56), PIC(361, 365, 366, 및 367)로 이루어진 하부 PIC 층(58), 슬레드(38), 및 얇은 유전체 막(40)을 포함한다. PIC의 첨자 번호는 ANSI/TIA-568-C.2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RJ45 핀 위치를 나타낸다.
슬레드 어셈블리(34)의 조립 동안, 하부 PIC 층(58)의 PIC(361, 365, 366, 및 367)는 하부 PIC 배치 슬롯(64)으로 위치되는 PIC(361, 365, 366, 및 367) 상에 숄더(60)를 갖고 슬레드(38) 상에서 각각의 PIC 슬롯으로 위치된다. 제자리에 있을 때, 이들 PIC는 슬레드(38)의 보다 작은 맨드릴(68) 위에 형성된다. 얇은 유전체 막(40)은 슬레드(38) 상에서 가이드 포스트(39)와 동조한 유전체 막(40) 상에 가이드 홀(41)을 갖고 하부 PIC 층(58)으로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부 PIC 층(56)의 PIC(362, 363, 364, 및 368)는 상부 PIC 배치 슬롯(62)으로 위치되는 PIC(362, 363, 364, 및 368) 상에 숄더(60)를 갖고 슬레드(38) 상에서 각각의 PIC 슬롯으로 위치된다. 제자리에 있을 때, 이들 PIC는 슬레드(38)의 보다 큰 맨드릴(70) 위에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 PIC 층 사이에 유전체 막(40)을 가둔다. PIC(36)는 슬레드(38) 상에서 각각의 위치에 위치됨에 따라 즉시 맨드릴 주위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부 및 하부 층 양쪽 모두가 그에 따라 배치된 후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막(40)을 사용하는 것은 상부 PIC 층(56) 및 하부 PIC 층(58)의 정전용량 판(66)이 서로의 대략 0.002인치 내에 배치되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그 사이에 배리어를 유지하면서 두 개의 PIC 층 사이에 보다 크고 및/또는 보다 정확한 양의 용량성 및 유도성 보상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부 PIC 층(56) 및 하부 PIC 층(58)은 서로의 미러 이미지이다. 이것은 단일 금속 스탬핑 프로세스의 사용을 허용하며, 잠재적으로 전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PIC 맨드릴(68 및 70) 주위에 형성된 PIC(36)를 가진 전방 슬레드 어셈블리(34)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PIC(361 및 362, 364 및 365, 그리고 367 및 368) 사이에서의 크로스오버 기하학적 구조(61)는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의 시작을 나타내며 따라서 PIC(36)에서 생성된 불쾌한 크로스토크의 양을 감소시킨다. 유전체 막(40)을 크로스오버 영역(61)으로 연장시키는 것은 상부 및 하부 PIC가 그것들이 그 외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허용하며, 보다 정확한 보상이 플러그/잭 짝짓기 포인트에 더 가깝게 발생하도록 허용한다.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슬레드 어셈블리(34)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상면도를 도시하는 도 7a 및 도 7a로부터의 상세도를 도시하는 도 7b에서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다. 도 7a에서, PIC(36)는 연장되지만 맨드릴(68 및 70) 주위에 아직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된다는 것을 주의하자.
원하는 용량성 결합을 보다 정확하게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몇몇 용량성 판은 그것들의 대응하는 판에 대해 오버사이징된다. 이것의 예는 판(71)이 판(73)에 중첩하며 적어도 0.001인치인 거리(75)만큼 그 위에 연장되는 도 7b의 상세도에서 예시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현하는 것은 판(71 또는 73) 중 어느 하나를 정확한 위치에서 벗어나게 할 제조 변화를 지속하면서 적절한 레벨의 용량성 결합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리(75)가 0.005인치이고 판(73)이 0.002인치만큼 비스듬해져 있다면, 두 개의 판(71 및 73) 사이에서의 중첩 영역은 동일한 채로 있어서, 용량성 결합이 동일한 채로 있게 한다. 실시형태에서, 거리(75)는 주어진 커패시터 판 주위에서 전부 연장된다.
도 8은 전방 하우징(32)의 후방 하부 등각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에서 구획부 라인(9-9)에 대해 취해진 전방 하우징(32)의 등각 단면도를 도시한다. 잭(20)의 조립 동안, PIC(36)는 전방 하우징(32)의 하우징 빗(72)을 통해 이동하며, 이것은 높은 잠재적 드웰 검사(Hipot) 실패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플러그 삽입의 반복성을 증가시킨다. 부가적으로, 전방 하우징(32)의 크러쉬 리브(74)는 상부 PIC 층(56), 유전체 막(40), 및 하부 PIC 층(58) 사이에서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PIC 층(56)에 바짝 댄다. 층 사이에서의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은 정전용량 판(66)이 특정된 전기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잭에서 크로스토크를 보다 정확하게 보상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정전용량 판(66) 사이에 공극을 감소시키는 것은 하우징에서 많은 형태의 바이어싱 부재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자. 대안적인 크러쉬 리브(82 및 86)를 가진 전방 하우징(80 및 84)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각각,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다.
잭(20)과 플러그(26)의 상호 작용은 도 1에서 구획부 라인(12-12)에 대해 취해진 도 12의 단면도에서 도시된다. 이러한 뷰는 플러그/잭 접촉 포인트(76) 및 부가적인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가 구현될 수 있는 PCB(42)에 대한 그것의 위치를 예시한다. 포인트(76)에 비교적 가까운 판(66) 및 유전체 막(40)을 포함하는 용량성 회로와 조합하여 크로스오버 구획부(61)를 구현함으로써, 전체 크로스토크 보상 요건은 단순화된다. 이것은 불쾌한 크로스토크가 PIC에서 발생되는 거리가 감소되기 때문에, 플러그-잭 접촉 포인트(76)와 보상의 제1 스테이지 사이에서의 위상 지연이 감소되기 때문에, 및 PIC보다 더 멀리(예로서, PCB(42)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보상 회로가 잠재적으로 보다 낮은 규모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비-제한적이며(그들이 대표적으로 표지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변경, 치환, 및 등가물이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주의하자. 부가적으로, 설명된 실시형태는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대신에 이러한 조합이 허용할 수 있다면 잠재적으로 조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많은 대안적인 방식이 있다는 점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어지는 청구항은 본 발명의 실제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모든 이러한 변경, 치환,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36)

  1.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으로서,
    상기 통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aperture)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레드(sled)로서, 상기 슬레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근접해 있으며 맨드릴을 갖고, 제2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원위인, 상기 슬레드;
    제1 복수의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PIC: plug interface contact)로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제2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및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막으로서, 상기 유전체 막은 또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상기 제2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상기 제2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유전체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제2 구획부에서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를 크로스 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은 제1 맨드릴 및 제2 맨드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맨드릴은 상기 제2 맨드릴보다 큰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의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1 맨드릴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의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맨드릴 주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크러쉬 리브(crush rib)를 포함하되, 상기 크러쉬 리브는 상기 유전체 막에 맞닿은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를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쉬 리브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에 맞닿은 상기 유전체 막을 추가로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용량성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용량성 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용량성 판의 각각은 대략 0.002 인치만큼 상기 제2 용량성 판 중 하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1 용량성 판 및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2 용량성 판을 통해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에 용량 결합하며,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상기 제2 용량성 판에 중첩하며 그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적어도 0.001인치의 거리만큼 상기 제2 용량성 판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제2 판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0.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으로서,
    상기 통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를 가진 하우징으로서, 복수의 크러쉬 리브를 추가로 갖는, 상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레드로서, 상기 슬레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근접해 있으며 맨드릴을 갖고, 제2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원위인, 상기 슬레드;
    제1 복수의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PIC)로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제2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및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막;을 포함하되,
    상기 크러쉬 리브는 상기 유전체 막에 맞닿은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를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쉬 리브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에 맞닿은 상기 유전체 막을 추가로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제2 구획부에서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를 크로스 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은 제1 맨드릴 및 제2 맨드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맨드릴은 상기 제2 맨드릴보다 큰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의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1 맨드릴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의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맨드릴 주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용량성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용량성 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용량성 판의 각각은 대략 0.002인치만큼 상기 제2 용량성 판 중 하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1 용량성 판 및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2 용량성 판을 통해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에 용량 결합하되,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상기 제2 용량성 판에 중첩하며 그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적어도 0.001인치의 거리만큼 상기 제2 용량성 판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제2 판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8.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으로서,
    상기 통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레드로서, 상기 슬레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근접해 있으며 맨드릴을 갖고, 제2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원위인, 상기 슬레드;
    제1 복수의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PIC)로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제2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및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1 용량성 판 및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2 용량성 판을 통해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에 용량 결합하며,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상기 제2 용량성 판에 중첩하며 그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적어도 0.001인치의 거리만큼 상기 제2 용량성 판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제2 판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1.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으로서,
    상기 통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바이어싱 부재;
    상기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레드로서, 상기 슬레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근접해 있으며 맨드릴을 갖고, 제2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원위인, 상기 슬레드;
    제1 복수의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PIC)로서,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제2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슬레드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및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상기 제1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막;을 포함하되,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유전체 막에 맞닿은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를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에 맞닿은 상기 유전체 막을 추가로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은 제1 맨드릴 및 제2 맨드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맨드릴은 상기 제2 맨드릴보다 큰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의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1 맨드릴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의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맨드릴 주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1 용량성 판 및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2 용량성 판을 통해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에 용량 결합하되,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상기 제2 용량성 판에 중첩하며 그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적어도 0.001인치의 거리만큼 상기 제2 용량성 판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6.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으로서,
    상기 통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를 가진 하우징;
    제1 복수의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PIC)로서,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두 개는 상이한 형태를 갖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제2 복수의 PIC로서,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은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하나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상기 제2 복수의 PIC;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복수의 PIC 및 상기 제2 복수의 PIC가 서로의 미러 이미지로서 배치되도록 유전체 막에 의해 상기 제2 복수의 PIC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슬레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레드의 제1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근접해 있으며 맨드릴을 갖고, 제2 단부는 상기 애퍼처에 원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는 상기 슬레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제2 복수의 PIC는 상기 슬레드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구획부 및 상기 맨드릴 주위에 형성된 제2 구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막은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상기 제2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상기 제2 구획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제2 구획부에서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를 크로스 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3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은 제1 맨드릴 및 제2 맨드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맨드릴은 상기 제2 맨드릴보다 큰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복수의 PIC의 각각의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1 맨드릴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복수의 PIC의 각각의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맨드릴 주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32.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유전체 막에 맞닿은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를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일부에 맞닿은 상기 유전체 막을 추가로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34.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1 용량성 판 및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제2 용량성 판을 통해 상기 제2 복수의 PIC 중 적어도 하나에 용량 결합하되,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상기 제2 용량성 판에 중첩하며 그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판은 적어도 0.001인치의 거리만큼 상기 제2 용량성 판 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36.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제2 판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플러그와 짝을 이루기 위한 통신 잭.
KR1020187029965A 2016-04-13 2017-04-05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 사이에 유전체 막을 가진 통신 잭 KR102354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97,553 2016-04-13
US15/097,553 US9634433B1 (en) 2016-04-13 2016-04-13 Communication jack having a dielectric film between plug interface contacts
PCT/US2017/026140 WO2017180390A1 (en) 2016-04-13 2017-04-05 Communication jack having a dielectric film between plug interface conta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523A true KR20180130523A (ko) 2018-12-07
KR102354107B1 KR102354107B1 (ko) 2022-01-24

Family

ID=5854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965A KR102354107B1 (ko) 2016-04-13 2017-04-05 플러그 인터페이스 접촉부 사이에 유전체 막을 가진 통신 잭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9634433B1 (ko)
EP (2) EP3443621B1 (ko)
JP (2) JP7282522B2 (ko)
KR (1) KR102354107B1 (ko)
CN (1) CN108886220B (ko)
MX (1) MX2018011922A (ko)
TW (1) TWI733794B (ko)
WO (1) WO2017180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4433B1 (en) * 2016-04-13 2017-04-25 Panduit Corp. Communication jack having a dielectric film between plug interface contac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497A (en) * 1994-07-14 1997-05-06 Molex Incorporated Modular jack type connector
US20080045090A1 (en) * 2004-07-13 2008-02-21 Panduit Corp.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130288538A1 (en) * 2006-12-13 2013-10-31 Panduit Corp. Communication Jack Having Layered Plug Interface Contacts
US20140273638A1 (en) * 2013-03-15 2014-09-18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s having crosstalk compensatio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2257A (en) * 1993-07-08 1994-11-08 The Whitaker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nector terminal arrays having noise cancelling capabilities
GB2271678B (en) * 1993-12-03 1994-10-12 Itt Ind Ltd Electrical connector
US5769647A (en) 1995-11-22 1998-06-23 The Siemon Company Modular outlet employing a door assembly
GB9713849D0 (en) * 1997-06-30 1997-09-03 Amp Italia Capacitance coupled cross-talk suppressing communication connector
JP3651251B2 (ja) * 1998-04-08 2005-05-25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JP2003522368A (ja) 1998-04-16 2003-07-22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ク. 漏話低減電気ジャック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US6042427A (en) * 1998-06-30 2000-03-28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plug having low complementary crosstalk delay
GB2343558B (en) 1998-11-04 2002-10-30 Itt Mfg Enterpris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6176742B1 (en) * 1999-06-25 2001-01-23 Avaya Inc.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 connectors
JP3815208B2 (ja) * 2000-11-17 2006-08-30 松下電工株式会社 モジュラジャック
CN100530851C (zh) * 2004-04-06 2009-08-19 泛达公司 改进串扰补偿的电连接器
CN100557899C (zh) * 2004-07-13 2009-11-04 泛达公司 具有柔性印刷电路板的通信连接器
TWM282176U (en) * 2005-08-10 2005-12-01 Protall Internat Co Ltd Necklace for glasses
US7601034B1 (en) * 2008-05-07 2009-10-13 Ortronics, Inc. Modular insert and jack including moveable reactance section
DE102008026467B4 (de) * 2008-06-03 2011-12-29 Mc Technology Gmbh Steckverbindersystem
FR2934425B1 (fr) * 2008-07-28 2021-07-30 Legrand France Insert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insert.
EP2329566B1 (en) 2008-08-20 2018-08-01 Panduit Corp. High-speed connector with multi-stage compensation
US7708603B1 (en) * 2009-01-12 2010-05-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talk features
US7850492B1 (en) * 2009-11-03 2010-12-14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talk compensation
US8801473B2 (en) * 2012-09-12 2014-08-12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ors with a coupling zone
DE102013103069B3 (de) * 2013-03-26 2014-06-26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Übersprechkompensation
US9634433B1 (en) * 2016-04-13 2017-04-25 Panduit Corp. Communication jack having a dielectric film between plug interface conta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497A (en) * 1994-07-14 1997-05-06 Molex Incorporated Modular jack type connector
US20080045090A1 (en) * 2004-07-13 2008-02-21 Panduit Corp.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130288538A1 (en) * 2006-12-13 2013-10-31 Panduit Corp. Communication Jack Having Layered Plug Interface Contacts
US20140273638A1 (en) * 2013-03-15 2014-09-18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s having crosstalk compens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0390A1 (en) 2017-10-19
TW201810834A (zh) 2018-03-16
EP3443621A1 (en) 2019-02-20
CN108886220B (zh) 2021-06-25
CN108886220A (zh) 2018-11-23
US20200144770A1 (en) 2020-05-07
KR102354107B1 (ko) 2022-01-24
US10050384B2 (en) 2018-08-14
JP2019511825A (ja) 2019-04-25
US20180323547A1 (en) 2018-11-08
US9634433B1 (en) 2017-04-25
JP7282522B2 (ja) 2023-05-29
JP2022105517A (ja) 2022-07-14
JP7490701B2 (ja) 2024-05-27
EP3443621B1 (en) 2024-02-28
US10522947B2 (en) 2019-12-31
US20170302029A1 (en) 2017-10-19
US20220059971A1 (en) 2022-02-24
TWI733794B (zh) 2021-07-21
US11165202B2 (en) 2021-11-02
EP4372918A2 (en) 2024-05-22
MX2018011922A (es)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5103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talk communication
US10665993B2 (en) Communication connectors
US9246274B2 (en) Communication connectors having crosstalk compensation networks
US10673195B2 (en) Lead frame style communications connectors
KR20130143056A (ko) 개선된 크로스토크를 갖는 통신 플러그
US9601886B1 (en) Communication plugs and components thereof
US20140342610A1 (en) Communications jacks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with common mode crosstalk compensation
US20180254586A1 (en) Communication connectors utilizing multiple contact points
US9966703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JP7490701B2 (ja) プラグインタフェース接点間に誘電体膜を有する通信ジャック
US20190305483A1 (en) Connector with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