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42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423A
KR20180129423A KR1020170065441A KR20170065441A KR20180129423A KR 20180129423 A KR20180129423 A KR 20180129423A KR 1020170065441 A KR1020170065441 A KR 1020170065441A KR 20170065441 A KR20170065441 A KR 20170065441A KR 20180129423 A KR20180129423 A KR 2018012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nterference
subframe
symbols
ss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369B1 (ko
Inventor
박상규
김규환
임재진
전재호
최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369B1/ko
Priority to US15/991,562 priority patent/US10615948B2/en
Publication of KR2018012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423A/ko
Priority to US16/840,979 priority patent/US114447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69B1/ko
Priority to US17/716,508 priority patent/US11838245B2/en
Priority to US18/499,662 priority patent/US202400639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TDD(time duplex division)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ase station)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셀 내의 상향링크 신호(uplink, UL)의 전송을 차단하기(prevent) 위한 시그널링(signaling)을 수행하고, UL 서브프레임(subframe)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symbol)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TDD(time duplex divis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TDD(time duplex division)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및 단말 간 하향링크 통신 및 상향링크 통신을 서로 다른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지원한다. TDD 통신 시스템의 경우, 하향링크 전송와 상향링크 전송 간의 전환을 위해,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SSF) 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이 운용되고 있다. 한편, 셀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셀이 송신하는 신호는 오랜 시간동안 전송되기 때문에, 보호 구간을 넘어 다른 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plink subframe) 동안 수신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는 해당 셀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TDD 통신 시스템에서, 이러한 간섭에 의해 상향링크 통신에 대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셀의 전파 지연으로 인한 DL-to-UL(downlink to uplink)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셀로 인한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셀로부터의 간섭량에 따라 보호 구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TDD(time duplex division)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ase station)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셀 내의 상향링크 신호(uplink, UL)의 전송을 차단하기(prevent) 위한 시그널링(signaling)을 수행하고, UL 서브프레임(subframe)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symbol)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TDD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셀 내의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UL 서브프레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원하는 스케줄/주기에 따라 간섭을 측정하고 완화함으로써, 간섭의 영향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환경(wireless environment)을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OF(time-of-flight) 간섭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간섭 측정(measurement)을 위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간섭 제어(interference control)를 위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기지국에 대한 측정 결과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magangement)를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TDD(time duplex division)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UL 서브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셀 간 간섭을 측정하고 해당 간섭을 제어함으로써, 양질의 통신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들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연산 상태를 위한 용어(예: 단계(step), 동작(operation), 절차(procedure)), 데이터를 지칭하는 용어(예: 정보(information), 값(value), 명령(command)),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예: 기지국, DU(digital unit), RU(radio unit),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예: 신호(signal), 데이터(data), 트리거링(triggering), 통지(notification)),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과 LTE-A(LTE-advanced))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향링크를 예로 설명하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상향링크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wireless environment) 100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셀(cell)'의 용어는, 기지국(base station)에서 서비스 가능한 영역(service coverage area)을 가리킬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의 셀(one cell)을 커버할 수도 있고, 다수의 셀들(multiple cells)을 커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의 셀들은 지원하는 주파수(frequency), 커버하는 섹터(sector)의 영역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기지국은 셀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되거나, 셀은 기지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서빙 셀(serving cell)은 단말과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radio resource control)) signaling)을 제공하는 셀로써, 하나의 셀이거나 다수의 셀들을 가리킬 수 있다.
도 1a를 참고하면, 무선 통신 환경 100은 제1 기지국 110, 제2 기지국 120, 제3기지국 130, 및 단말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간섭을 측정하는 주체(이하, 측정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120 및 상기 제3 기지국 130이 간섭을 발생시키는 주체(이하, 간섭 후보 기지국)로 구분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기지국 120이 상기 제1 기지국 11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간섭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제1 기지국 110은 커버리지 내 단말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상기 커버리지는,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셀 115범위 내 단말들(예: 단말 14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5G 노드비(5G NodeB, 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 '무선 유닛(radio unit, RU), 원격 무선 장비(remote radio head, RRH)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커버리지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에 대한 설명은, 제1 기지국 110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제2 기지국 120 및 제3 기지국 130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2 기지국 120은 제3 기지국 130보다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한 상황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지국 12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약 60km(kilometer)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제3 기지국 13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약 140km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단말 14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wireless channel)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단말 140은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140은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단말 140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예: 단말 14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18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 상기 제2 기지국 120, 및 상기 제3 기지국 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EMS는 네트워크 요소들(network element, NE)의 관리의 효율성 및 일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 EMS 180은 네트워크 요소(NE)로서 상기 제1 기지국 110, 상기 제2 기지국 120, 및 상기 제3 기지국 13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상기 EMS 18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 상기 제2 기지국 120, 또는 상기 제3 기지국 130과 별도의 엔티티(entity)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 기지국 110, 상기 제2 기지국 120, 또는 상기 제3 기지국 13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EMS 18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의 사전 설정을 위하여, 예를 들어, 상기 제1 상기 제1 기지국 110, 상기 제2 기지국 120, 및 상기 제3 기지국 130 각각의 UL/DL 구성의 설정, SSF 구성의 설정, 간섭 측정 및 간섭 제어의 트리거링, 초기 파라미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환경 100은, TDD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환경 100은, TDD 통신 방식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간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TDD 통신 방식을 위한 자원 구조가 설명된다. TDD 프레임(frame)은 상향링크(uplink, UL) 전송을 위한 UL 서브프레임(subframe)과 하향링크(downlink, DL) 전송을 위한 DL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햐항링크 전송에서 상향링크 전송으로의 전환을 위한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SSF)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UL 서브프레임, DL 서브프레임, 및 특수 서브프레임의 조합은, UL/DL 구성(configuration)으로 지칭된다. 다른 UL/DL 구성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UL 서브프레임, DL 서브프레임, 및 특수 서브프레임의 다른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UL/DL 구성 #2는 6개의 DL 서브프레임들, 2개의 UL 서브프레임들, 및 2개의 특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고, UL/DL 구성 #5는 8개의 DL 서브프레임들, 1개의 UL 서브프레임, 및 1개의 특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무선 통신 환경 100은 LTE(long term evolution)-TDD 통신 시스템이 지원될 수 있다. 이 때, UL/DL 구성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운용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 에서 D는 DL 서브프레임, S는 특수 서브프레임, U는 UL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UL/DL 구성 서브프레임 번호 각 서브프레임 개수
0 1 2 3 4 5 6 7 8 9 DL UL S
0 D S U U U D S U U U 2 6 2
1 D S U U D D S U U D 4 4 2
2 D S U D D D S U D D 6 2 2
3 D S U U U D D D D D 6 3 1
4 D S U U D D D D D D 7 2 1
5 D S U D D D D D D D 8 1 1
6 D S U U U D S U U D 3 5 2
셀들 사이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의 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셀들은 동일한 UL/DL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지국들(예: 제1 기지국 110, 제2 기지국 120, 제3 기지국 130)의 UL/DL 구성은 동일하게 설정된 상황을 가정한다.
TDD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가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므로, 기지국 및 단말은 하향링크-상향링크 간 전환이 요구될 수 있다. TDD 프레임은, 상기 전환을 위한 특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파일롯 구간(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보호 구간(guard period, GP), 및 상향링크 파일롯 구간(uplink pilot time slot, UpPTS)을 포함할 수 있다. DwPTS는 특수 서브프레임 내 하향링크 자원을 위한 구간으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UpPTS는 특수 서브프레임 내 상향링크 자원을 위한 구간으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보호 구간(GP)은,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모두 일어나지 않는 구간으로,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구간일 수 있다. 보호 구간(GP)은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예: 1ms)내에서 DwPTS와 UpPTS의 사이에 위치한 구간일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DwPTS, 보호 구간, 및 UpPTS의 조합은, 특수 서브프레임 구성(SSF configuration)으로 지칭된다. 다른 SSF 구성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DwPTS의 길이, 보호 구간의 길이, 및 UpPTS의 길이의 다른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UL/DL 구성 #5는 DwPTS가 3개의 심볼들, 보호 구간이 9개의 심볼들, 및 UpPTS가 2개의 심볼들을 차지하는 조합을 나타내고, UL/DL 구성 #7은 DwPTS가 10개의 심볼들, 보호 구간이 2개의 심볼들, 및 UpPTS가 2개의 심볼들을 차지하는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무선 통신 환경 100이 LTE-TDD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 SSF 구성은 하기의 표 2와 같이 운용될 수 있다.
SSF 구성 심볼 번호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0 Dw GP Up
1 Dw GP Up
2 Dw GP Up
3 Dw GP Up
4 Dw GP Up
5 Dw GP Up
6 Dw GP Up
7 Dw GP Up
8 Dw GP Up
9 Dw GP Up
한편, 인접 셀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는,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으로 인해, 다른 셀의 DwPTS 구간 이후에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구간(GP)의 길이는 기지국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당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보호 구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DwPTS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또는 UpPTS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모두 전송되지 않는 구간이 길어지는 바, 간섭을 피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TOF 간섭의 예를 도시한다.
도 1b를 참고하면, 그래프 150은 도 1a의 제2 기지국 120이 전송한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제1 기지국 110이 수신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래프 155는 도 1a의 제3 기지국 130이 전송한 제2 하향링크 신호를 제1 기지국 110이 수신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제2 기지국 120 또는 제3 기지국 130과 연결된 단말은 아니지만,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전파의 확산으로 인해 상기 제1 하향링크 신호 및 제2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 110, 제2 기지국 120, 및 제3 기지국 130 모두 SSF 구성 #7(DwPT: 심볼 10개, GP: 심볼 2개, UpPTS: 심볼 2개)로 설정되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기지국 120은, 제3 기지국 130보다 제1 기지국 110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 상황이 설명된다.
그래프 150을 참고하면, 가로축 151은 심볼(symbol)을 나타내고, 세로축 152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영역 153은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2 기지국 120에서의 송신 상태를 나타내고, 영역 154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기지국 110에서의 수신 상태를 나타낸다. DwPTS에 걸쳐 상기 제2 기지국 120으로부터 전송된 제1 하향링크 신호는, 3개의 심볼들에 해당하는 전파 지연을 걸쳐 상기 제1 기지국 110에게 전송되었다. 상기 제2 기지국 120의 8번째 심볼에서 전송된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일부는, 상기 제1 기지국 110에서, 11번째 심볼에서 수신되었다. 11번째 심볼은 DwPTS는 아니지만, 보호 구간 내에 도착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기지국 110에 간섭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그래프 155를 참고하면, 가로축 156은 심볼을 나타내고, 세로축 157은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영역 158은 제2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3 기지국 130에서의 송신 상태를 나타내고, 영역 159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기지국 110에서의 수신 상태를 나타낸다. DwPTS에 걸쳐 상기 제3 기지국 130으로부터 전송된 제2 하향링크 신호는, 7개의 심볼들에 해당하는 전파 지연을 걸쳐 상기 제1 기지국 110에게 전송되었다. 상기 제3 기지국 120의 8번째 심볼에서 전송된 제2 하향링크 신호의 일부는, 상기 제1 기지국 110에서, 다음 서브프레임인 UL 서브프레임의 1번째 심볼에서 수신되었다. 제3 기지국 120의 제2 하향링크 신호가, 다른 셀인 제1 기지국 110의 UL 서브프레임에 유입되었는 바, 상기 제2 하향링크 신호의 일부는 상기 제1 기지국 110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2 하향링크 신호를 간섭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거리 셀의 전파 지연으로 인하여, 특수 서브프레임을 넘어 UL 서브프레임에 유입되는 심볼들의 간섭은 TOF(time-of-flight) 간섭, 원거리 셀 간섭, 전파지연 간섭, 또는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해당 간섭을 TOF 간섭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다른 셀의 하향링크 신호가 UL 신호의 자원 영역에 유입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으로 전송되는 UL 신호는 하향링크 신호로 인한 간섭(TOF 간섭)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TOF 간섭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 즉 TOF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TOF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성이 서술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base station)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도 1a의 제1 기지국 110, 제2 기지국 120, 또는 제3 기지국 13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기지국 110이 기준으로 동작이 설명되나, 설명되는 동작은 다른 기지국(제2 기지국 120, 제3 기지국 1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다른 네트워크 요소(NE)들을 제어하는 EMS(예: 도 1a의 EMS 180)의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되나, 상기 EMS는 별도의 엔티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기지국 110은 무선 통신부 210, 백홀 통신부 220, 저장부 230, 및 제어부 24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 210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bit sequence)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 송신 시, 상기 무선 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변조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무선 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 210은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송수신기(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상기 무선 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는 제1 기지국 110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예: 제2 기지국 120),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백홀통신부를 통해 다른 기지국인 제2 기지국 120 또는 제3 기지국 130과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 23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230은 상기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상기 저장부 230은, 측정 동작을 위한 사전 설정 파라미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 230은 측정 동작이 수행되는 주기(period), 측정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duration),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들의 설정 정보(setting inform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23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예: 제2 기지국 120, 제3 기지국 130)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의 값을 심볼 별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EMS 180이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독립적인 엔티티에 구현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 파라미터들은 상기 EMS 180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 240은 제1 기지국 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기 제어부 240은 상기 무선 통신부 210 및 백홀 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240은 상기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write), 읽을 수 있다(read).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40은,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TOF 간섭의 측정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미리 설정(set)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240은 간섭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통계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40은, 상기 측정 및 측정 결과를 통계화하는 수행하는 간섭 측정부 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 측정부 242는, 상기 저장부 230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제어부 240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이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 240을 구성하는 회로(circuitry)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간섭 측정부 242는, 측정 결과를 심볼 별로 구분하거나, 특정 심볼의 수신 신호 세기값의 대표값(예: 평균값)을 산출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240은 측정된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제어부 240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기지국 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상술한 TOF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들이 서술된다.
TOF 간섭 측정( Intereference Measurement)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간섭 측정(interference measurement)을 위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기지국은 상기 도 1a의 제1 기지국 110일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간섭 측정 동작은 EMS 에 의해 트리거링 될 수 있다. 상기 도 1a의 기지국에 EMS 기능이 포함되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네트워크 사업자의 온디맨드(on-demand) 설정 또는 미리 지정된 설정에 따라 상기 간섭 측정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볼마다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의 통계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TOF 간섭의 세기가 순간적으로 상승함이 확인되는 경우, 간섭 측정 동작은 개시될 수 있다. 한편, EMS가 상기 제1 기지국 110과는 별도의 엔티티로 구성되는 경우(예: EMS 180),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사전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링(triggering) 메시지를 상기 EMS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310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UL 차단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UL 차단 시그널링은, 임의의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차단하기 위한 시그널링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다른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예: PUSCH 전송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을 차단(prevent)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에 연결될 단말들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하여, 셀 금지(cell barr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으로의 접속이 금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생성된 시스템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연결 시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새로운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RRC 연결된 단말들을 강제로 핸드오버(forced handover)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간섭을 측정하고자 하는 캐리어(이하, 측정 캐리어(measurement carrier))와 다른 캐리어로 RRC 연결된 단말들을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RRC 연결된 모든 단말들 각각에게 핸드오버 명령(command)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도 1a의 단말 140에게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140은, 상기 측정 캐리어와 다른 캐리어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RRC 연결된 단말들의 연결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단말들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타이머(timer)의 동작에 따라, 상기 RRC 연결된 단말들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한 뒤에도, 상기 제1 기지국 1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타이머를 운용하여, 타이머 완료시 일괄적으로 잔여 단말들의 RRC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측정하기 위한 UL 서브프레임 동안, 새로운 UL 전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섭 후보 기지국들(예: 도 1a의 제2 기지국 120, 제3 기지국 130)에게도 UL 차단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간섭 후보 기지국들 각각의 커버리지 내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라 하더라도, 해당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간에 유입되어 간섭 신호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간섭 신호는, 정확한 TOF 간섭 측정을 저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간섭 후보 기지국들의 구성은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떨어진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하는 TOF 간섭 거리가 180 km인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180km 이내의 기지국들은 상기 간섭 후보 기지국들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EMS 180이 상기 제1 기지국 110과는 별도의 엔티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EMS 18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뿐만 아니라 TOF 간섭의 영향이 예상되는 간섭 후보 기지국들 모두에게, UL 차단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트리거링 메시지는, 상기 UL 차단 시그널링을 야기시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UL 차단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 및 다른 기지국들(예: 제2 기지국 120 및 제3 기지국 130)은 상기 셀 금지 동작, 강제 핸드오버 동작, 강제 RRC 연결 해제 동작을 통하여,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상향링크 신호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설정된 SSF의 구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UL 차단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지국 110은, 별도의 SSF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UL 차단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특수 서브프레임 구성을 제1 SSF 구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SSF 구성은, 다른 기지국들의 SSF 구성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측정하기 위한 UL 서브프레임 동안, TOF 간섭을 측정하기 위하여, 간섭 후보 기지국들(예: 도 1a의 제2 기지국 120, 제3 기지국 130)과 SSF 구성을 일치시킬 수 있다. 서로 다른 SSF 구성인 경우, UL 서브프레임의 경계가 달라서 정확한 TOF 간섭이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제1 SSF 구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 또는 EMS 180의 제어에 따라, 간섭 후보 기지국들도 각각 특수 서브프레임 구성을 상기 제1 SSㄹ 구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들 간의 SSF 구성이 일치함에 따라, 정확한 TOF 간섭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SF 구성은 하향링크 부분인 DwPTS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SSF 구성은 표 2의 SSF 구성 #7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SSF 구성은 기준 SSF 구성으로 지칭될 수 있다.
320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UL 서브프레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서 인위적으로(artificially)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간섭 후보 기지국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310 단계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RRC 연결된 단말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인위적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더미(dummy)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데이터는,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트래픽에 대한 데이터가 아니라,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각 기지국은, 트리거링 메시지 전송시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사전에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제 하향링크 트래픽(traffic)이 없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PD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OCNS(orthogonal downlink noise simulator)를 통해,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EMS 180이 상기 제1 기지국 110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 대신 상기 EMS 180이 직접 TOF 간섭을 발생시키기 위해, 측정 기지국인 상기 제1 기지국 110외에 다른 간섭 후보 기지국이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 기지국은, 측정 동작의 트리거링 메시지 전송시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지정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량에 따라 인위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PRB 사용량이 20%인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 또는 EMS 180의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기지국들 각각은, 20% 부하 비율의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통계 결과에 따른 기지국 별 PRB 비율에 따라 인위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 120에서 추정된(estimated) PRB 사용량은 '3'이고, 제3 기지국 130에서 추정된 PRB 사용량은 '1'인 경우, 상기 제2 기지국 120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제1 하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3 기지국 130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제2 하향링크 신호의 부하 비율은 3 대 1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각각의 하향링크 신호의 부하량은, 실제 통신 환경과 유사한 측정 환경이 되도록, 추정되는 PRB 사용량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 또는 EMS 180의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기지국들 각각은, 해당 기지국에 저장된 PRB 사용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인위적으로 생성할 하향링크의 부하를 결정할 수 있다.
간섭 후보 기지국들 각각에서 생성된 하향링크 신호는 측정 대상인 UL 서브프레임 직전의 특수서브프레임에서 중첩되어 수신될 수 있다. 제1 기지국 110은, 수신된 중첩되 신호에 대한, TOF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 110에서 송신되는 하향링크 신호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서빙 셀 내 단말이 송신하는 상향링크 신호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측정되는 수신 세기는 모두 간섭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UL 서브프레임 내에서 심볼 단위로 TOF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특정 거리로부터의 TOF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심볼은 20km만큼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표 2의 SSF 구성 #7로 설정된 경우, UL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심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약 90~110km 거리로부터 TOF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되는 신호의 세기 파라미터는 신호의 수신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라미터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측정되는 신호의 세기 파라미터는, 신호의 품질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라미터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또는 SNR(signal to noise ratio)일 수도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측정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심볼 단위로 측정한 뒤, 측정 결과를 서브프레임 내 몇 번째 심볼에서 어느 정도의 크기로 측정되는지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각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결과를 심볼 단위로 저장하는 동작은 통계화 동작(statistical operation)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심볼은,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떨어진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310 단계 이후 320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UL 차단 시그널링은, 측정 동작 도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TOF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 동작, TOF 간섭 측정 동작, 및 측정 결과의 처리 동작이 흐름순으로 설명되었다. 이하, 도 4에서는, 예를 들어 TOF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들이 서술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간섭 측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a의 제1 기지국 110이 TOF 간섭을 측정하는 상황이 예로 설명된다.
도 4를 참고하면, 그래프 400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측정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그래프 400의 가로축은 시각을 나타낸다. 측정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윈도우(window)가 정의된다. 여기서, 윈도우는 진단 윈도우(diagonosis window) 또는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해당 윈도우를 측정 윈도우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일 예로, 측정 윈도우는 01:00부터 08:00까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측정 윈도우가 설정된 구간 동안,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지국 110은 측정 주기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주기는 1시간(1:00)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1시 정각, 2시, 정각 ..., 7시 정각마다 측정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주기적으로 UL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주기는, 트리거링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측정 주기 내 측정 구간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 구간은 1분(00:01)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제1 측정 구간 411(1시 0분부터 1시 1분), 제2 측정 구간 412(2시 0분부터 2시 1분), ..., 제6 측정 구간 416(6시 0분부터 6시 1분), 제7 측정 구간 417(7시 0분부터 7시 1분)동안 각각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각 측정 구간 내 포함되는 UL 서브프레임 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1분, 즉 60초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들, 상기 복수의 개의 프레임들 각각에 포함되는 UL 서브프레임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2 측정 구간 412(1분)에 포함되는 6천 개의 프레임들에 포함된 UL 서브프레임들 각각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UL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심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대해서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TDD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14개의 심볼들 중 7개의 심볼들(심볼 #0 420, 심볼 #1 421, 심볼 #2 422, 심볼 #3 423, 심볼 #4 424, 심볼 #5 425, 심볼 #6 426)에 대해서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측정하고자 하는 TOF 간섭의 정도, 간섭 후보 기지국과 측정 기지국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개수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개수는, 측정 결과에 따라 통계 정보에 따라 다양한 옵션(option)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측정 대상 심볼의 개수가 많은 것이, 거리별 TOF 간섭을 제어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반면, 일정 거리 이상의 기지국은, TOF 간섭으로 인한 영향이 적은 바, 많은 심볼 구간 동안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저장하는 것은 오버헤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오버헤드 및 통계 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개수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는 경우, 간섭 측정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새로운 단말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해 설정된 시스템 정보 대신, 셀 접속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생성 및 방송할 수 있다. 또한, 간섭 측정 절차가 종료되는 경우, 인위적인 하향링크 셀 부하의 제공 동작(artificial DL cell loading)은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다른 간섭 후보 기지국들 모두 에게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EMS 180이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별도로 구현된 경우에는, 상기 EMS 180이 다른 간섭 후보 기지국들 모두에게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4에서는, 전파 지연으로 인해 원거리 셀들간 TOF 간섭을 측정하는 동작이 서술되었다. 이하, 5 내지 도 6을 통해, 상기 측정된 결과에 기초한 TOF 간섭 제어의 구체적인 동작들이 서술된다.
TOF 간섭 제어(Interference Control)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간섭 제어(interference control)를 위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기지국은 상기 도 1a의 제1 기지국 110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510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UL 서브프레임의 심볼에서 측정되는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TOF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TOF 간섭의 발생 여부는, 실제 간섭 신호의 존재 유무가 아니라 측정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른 TOF 간섭의 제어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도 3 내지 도 4에 따른 TOF 간섭 측정 절차를 통해, UL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심볼 별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 값(예: RSSI)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심볼 별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 값에 기반하여, TOF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특정 심볼(UL 심볼)의 수신 세기 값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TOF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심볼의 위치는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간섭 후보 기지국과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특정 심볼은 검출하고자 하는 간섭원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SSF 구성이 SSF 구성 #7이고, 약 90km부터 110km 떨어진 기지국으로부터의 TOF 간섭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첫 번째 심볼의 RSSI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통해, TOF 간섭의 발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준 SSF 구성이 SSF 구성 #7이고, 약 110km부터 130km 떨어진 기지국으로부터의 TOF 간섭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두 번째 심볼의 RSSI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통해, TOF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기준 SSF 구성이 SSF 구성 #7이고, 약 130km부터 150km 떨어진 기지국으로부터의 TOF 간섭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세 번째 심볼의 RSSI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통해, TOF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특정 위치의 심볼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TOF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특정 위치의 심볼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TOF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수신 세기 값이 검출 임계값(detection threshold)보다 크거나 같게 측정되는 심볼의 개수가 임계 심볼수(threshold symbol number)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TOF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검출 임계값보다 크게 측정되는 심볼의 개수가 많음은, 손상되지 않고 전달되어 제1 기지국 110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 6의 그래프 600은, 제1 기지국 110의 측정 결과의 예를 도시한다. 가로축은 측정한 심볼을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세로축은 RSSI를 나타낸다. 여기서, 검출 임계값 또는 임계 심볼수는, TOF 간섭을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TOF 간섭을 제어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검출 임계값 또는 임계 심볼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검출 임계값 또는 임계 심볼수의 조절에 따라, TOF 간섭의 제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임계값이 제1 임계값 610(예: -91 dbm)이고, 임계 심볼수가 3개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첫 번째 심볼 및 두 번째 심볼만이 상기 제1 임계값 610을 초과하므로, 상기 제1 기지국 110에 TOF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임계값이 제2 임계값 620(예: -98dbm)이고, 임계 심볼수가 3개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6개의 심볼이 제2 임계값 620을 초과하므로, 상기 제1 기지국 110에 TOF 간섭이 발생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520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TOF 간섭이 발생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5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TOF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해당 측정 주기에서의 TOF 간섭 관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530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TOF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SSF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간섭 후보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TOF 간섭으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발생한 TOF 간섭을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을 완화하도록 SSF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에 설정된 SSF 구성을 기준 SSF 구성에서 제2 SSF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SSF 구성은 타겟 SSF 구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2 SSF 구성은, 기준 SSF 구성보다 DwPTS의 길이가 짧을 수 있다. 변경된 SSF 구성이 적용되기 위해, 셀 해제(cell release) 및 셀 설정(cell setup)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간섭 후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의 UL 서브프레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SSF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보호 구간의 길이가 긴 SSF 구성으로 타겟 SSF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EMS 180이 별개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EMS 180을 통해 상기 타겟 SSF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EMS 180이 직접 SSF 구성의 변경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각각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간섭 후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의 UL 서브프레임으로의 유입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SSF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UpPTS가 늦게 시작하는 SSF 구성, 다시 말해 UpPTS의 길이가 짧은 SSF 구성으로, 타겟 SSF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TDD 시스템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채널과 하향링크 채널이 동일하다는 전제에 기인하여, 채널 상호성(channel reciprocity)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즉 간섭 후보 기지국으로부터의 TOF 간섭이 측정되는 바, 채널 상호성 고려시,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간섭 후보 기지국에게 간섭을 유발하는 공격자 셀(aggressor cell)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간섭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수 서브프레임에서 DwPTS의 길이가 짧은 SSF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DwPTS의 길이가 9인 SSF 구성 #7에서, DwPTS의 길이가 3인 SSF 구성 #5로 SSF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DwPTS의 길이가 짧은 SSF 구성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DwPTS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시 다른 기지국들에게 공격자 셀로 작용할 가능성(probability)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모든 셀들에 대한 테스트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채널 상호성을 이용하여 측정 기지국의 공격자 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TOF 간섭의 공격자 셀을 찾기 위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측정 기지국인 제1 기지국 110이 SSF 구성을 변경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측정 주체와 제어 주체는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EMS 180이 상기 제1 기지국 110과 달리 구현되는 경우, EMS 180이 변경될 SSF 구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EMS 180은, TOF 간섭을 측정하는 측정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변경될 SSF 구성(타겟 SSF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EMS 180은 타겟 SSF 구성을 가리키는 SSF 알림 정보를 SSF를 변경할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SSF 알림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TDD 시스템의 SSF 구성을 기준 SSF 구성에서 타겟 SSF 구성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SSF 구성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된 자원을 RF 송수신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주기와 제어 주기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 110은 매일 오전 1시부터 오전 8시동안, 1시간 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지만, 제어 주기는 더 장기간(long ter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지국 110은 측정 결과의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주 단위로(weekly) 또는 월 단위로(monthly) 측정된 통계 정보로부터 TOF 간섭을 판단(510 단계, 520 단계)하고, TOF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530 단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격자 셀의 SSF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 외에도 다른 간섭 제어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공격자 셀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전력을 낮출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의 전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하향링크 전송으로 인한 원거리 셀들에서의 간섭 영향이 적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측정 기지국(또는 측정 셀)이 TOF 간섭을 측정하는 동작, 측정된 간섭을 제어하는 동작이 중점적으로 서술되었다. 이하 도 7에서는, 기지국, 단말, EMS 등 네트워크 엔티티들 간의 측정을 위한 시그널링이 서술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간섭 관리(magangement)를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간섭 관리 절차는, 자동 원거리 간섭 검출 및 완화(automatic long-distance interference detection and mitigation, ALDM)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서와 달리, EMS가 기지국과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상황이 설명된다.
도 7을 참고하면, 710 단계에서, EMS 180은 트리거링 메시지를 제1 기지국 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링 메시지는 파라미터 설정(paratemeter setting)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 설정은, TOF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사전 설정 동작에서 요구되는 파라미터들의 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설정되는 파라미터들은, 제1 기지국 110 및 다른 간섭 후보 기지국들 모두가 설정할 기준 SSF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SSF 구성은 DwPTS의 길이가 다른 SSF 구성보다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SSF 구성은 표 2의 SSF 구성 #7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들은, 제1 기지국 110 및 다른 간섭 후보 기지국들 모두가 UL 차단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라미터들은, 특정 셀이 금지된 셀로 지정되도록 제어하는 파라미터, 특정 셀에서 다른 셀로 강제 핸드오버하도록 제어하는 파라미터, 또는 RRC 연결 해제의 타이머의 동작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720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은 사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710 단계에서 수신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SSF 구성을 기준 SSF 구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필요에 따라, 설정한 SSF 구성을 EMS 180에게 알릴 수 있다(724). 다시 말해, 724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새로운 UL 신호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하여, UL 차단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으로 새로운 단말이 접속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셀로의 연결을 금지하는 시스템 정보를 생성 및 방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서빙 셀에 연결된 단말이 없도록, 현재 RRC 연결된 단말들 모두에게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들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다른 셀(다른 캐리어 주파수)로 핸드오버하거나,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타이머가 완료되는 경우(예: 5초),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서빙 셀에 접속된 모든 단말들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사전 설정 단계와 함께, 722 단계에서 UL 차단 시그널링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UL 차단 시그널링은 TOF 간섭 측정 도중에는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722 단계에서 수행되지 않더라도, 732 단계, 752 단계,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manually)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기지국 110뿐만 아니라, 간섭 후보 기지국들 모두 상기 EMS 180로부터 수신한 파라미터 설정 정보에 따라, 사전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730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TOF 간섭은, 원거리 셀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의 전파 지연으로 인해, 서빙 셀의 UL 서브프레임의 심볼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가 유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간섭을 의미한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UL 서브프레임에서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측정 구간 동안,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구간이 60초이고, TDD 시스템의 UL/DL 구성이 UL/DL 구성 #5인 경우, 6000개의 프레임에 포함된 6000개의 UL 서브프레임들 내 심볼들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측정 구간 동안, 오버헤드를 고려하여 일부 UL 서브프레임들에 대해서만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UL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심볼들(예: 14개의 심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들(예: 도 4의 심볼 #0 420 내지 심볼 #6 426) 각각마다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간섭 후보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파라미터로, RSSI, RSRP 또는 RSRQ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EMS 180은 측정 기지국인 제1 기지국 110 외에 간섭 후보 기지국들 모두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인위적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각 간섭 후보 기지국은 지정된 PRB 사용량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거나, 각 간섭 후보 기지국에서 추정되는 PRB 사용량 통계에 기초하여 추정된 양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간섭 후보 기지국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중첩된 신호를 하나의 UL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할 수 있다.
740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은 타겟 SSF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730 단계에서 측정한 TOF 간섭에 기초하여, 심볼별 수신 신호 세기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심볼별 수신 신호 세기값으로부터 TOF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TOF 간섭의 발생 여부는, 실제 간섭 신호의 존재 유무가 아니라 측정되는 TOF 간섭 정도에 따라 제어 동작의 수행 여부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을 제어하고자 하는 범위에 따라, UL 서브프레임 내의 특정 심볼의 위치에서의 수신 신호 세기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신호의 세기에 대한 임계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SF 구성 #7에서, 특수 서브프레임 다음의 UL 서브프레임의 2번째 심볼의 RSSI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110km에서 130km 사이의 기지국으로부터의 TOF 간섭이 발생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을 제어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라, UL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들 중, 수신 신호 세기값이 검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게 측정된 심볼의 개수와 임계 심볼수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임계값 또는 상기 임계 심볼수는 통계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사업자, EMS 180의 사용자, 또는 별도의 관리자(manager) 등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730 단계에서의 측정 결과에 따른 통계 결과에 기초하여 TOF 간섭의 발생이 빈번하게 관찰되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 임계값 또는 상기 임계 심볼수의 값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발생한 TOF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TOF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타겟 SSF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간섭 후보 기지국들의 SSF 구성을, 보호 구간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변경하거나,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SSF 구성을, UpPTS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TOF 간섭을 받는 희생자(victim) 셀인 반면, 채널 상호성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다른 간섭 후보 기지국들에게 공격자 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상기 제1 기지국 110의 SSF 구성을, DwPTS의 길이가 작아지도록(또는 최소가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채널 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공격자 셀을 찾기 위한 테스트 전송을 모든 셀에 대해 수행하지 않고,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
750 단계에서, 제1 기지국 110은 타겟 SSF 구성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사전 설정에 따라 설정된 기준 SSF 구성에서, 740 단계에서 결정한 타겟 SSF 구성으로 SSF 구성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필요에 따라, 갱신한 SSF 구성을 EMS 180에게 알릴 수 있다(754).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간섭 후보 기지국들의 SSF 구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지국이 또는 EMS 180이 상기 다른 간섭 후보 기지국들 각각에게 변경될 SSF 구성(타겟 SSF 구성)을 알릴 수 있다.
760 단계에서, EMS 180은 트리거링 메시지를 제1 기지국 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EMS 180은 710 단계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EMS 18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측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710 단계 및 760 단계 사이의 시구간은, 측정 주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 주기는 도 4에서의 측정 주기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는 1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110은 1시간 동안, 710 단계 내지 750 단계에서 설정된 SSF 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후 770 단계, 772 단계, 및 774 단계는 상술한 720 단계, 722 단계, 및 724 단계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후 동작들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그널링이다.
한편, EMS 180이 제1 기지국 110에 포함되는 경우, 710 단계, 754 단계, 760 단계, 및 774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EMS 180이 제1 기지국 110이 아닌 다른 기지국들(예: 제2 기지국 120, 제3 기지국 130)과 수행하는 신호 교환 절차들은 생략되지 않을 수 있다. 해당 절차는, 상기 EMS 180 대신 상기 제1 기지국 110이 통신 인터페이스(예: X2 interfacc)를 통해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7을 통하여, TDD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지연으로 인한 원거리 셀들 간 간섭, 즉 TOF 간섭을 측정하고, 발생된 간섭을 제어하는 TOF 간섭 관리 방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개시에 따라, 운용자는 TOF 간섭의 발생을 측정하고 원하는 측정 스케줄에 따라 기지국 또는 EMS를 제어함으로써, 시간대 또는 계절에 따라 적응적으로 TOF 간섭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6)

  1. TDD(time duplex division)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ase statio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셀 내의 상향링크 신호(uplink, UL)의 전송을 차단하기(prevent) 위한 시그널링(signaling)을 수행하는 과정과,
    UL 서브프레임(subframe)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symbol)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과정은,
    셀 차단 상태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된(RRC-connected) 단말들을 상기 UL 서브프레임의 캐리어와 다른 캐리어(carrier)로 핸드오버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된(RRC-connected) 단말들과의 RRC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간섭을 측정하기 위해 생성된 더미(dummy)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특수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구간에서 전송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각각에서 측정되는 자원 사용량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생성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는, 미리 지정된 부하 크기에 따라 생성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SSF) 구성(configuration)을 제1 SSF 구성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SSF 구성은 제1 SSF 구성인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의 SSF 구성을 제1 SSF 구성에서 제2 SSF 구성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SSF 구성은, 상기 제1 SSF 구성보다 짧은 하향링크 구간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UL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들 중 특정 심볼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심볼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심볼은, 검출하고자 하는 간섭원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UL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들 중 신호의 세기가 검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게 측정된 심볼의 개수가 임계 심볼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의 개수가 상기 임계 심볼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L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특수 서브프레임 다음 서브프레임인 방법.
  14. TDD(time duplex division)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ase station)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셀 내의 상향링크 신호(uplink, UL)의 전송을 차단하기(prevent) 위한 시그널링(signaling)을 수행하고,
    UL 서브프레임(subframe)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symbol) 구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셀 차단 상태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방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된(RRC-connected) 단말들을 상기 UL 서브프레임의 캐리어와 다른 캐리어(carrier)로 핸드오버 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된(RRC-connected) 단말들과의 RRC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간섭을 측정하기 위해 생성된 더미(dummy)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특수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구간에서 전송되는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각각에서 측정되는 자원 사용량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생성되는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는, 미리 지정된 부하 크기에 따라 생성되는 장치.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의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SSF) 구성(configuration)을 제1 SSF 구성으로 설정(setting)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SSF 구성은 제1 SSF 구성인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의 SSF 구성을 상기 제1 SSF 구성에서 제2 SSF 구성으로 변경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SSF 구성은, 상기 제1 SSF 구성보다 짧은 하향링크 구간을 포함하는 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UL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들 중 특정 심볼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특정 심볼에서 측정된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심볼은, 검출하고자 하는 간섭원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간섭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UL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들 중 신호의 세기가 검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게 측정된 심볼의 개수가 임계 심볼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심볼의 개수가 상기 임계 심볼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UL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특수 서브프레임 다음 서브프레임인 장치.
KR1020170065441A 2017-05-26 2017-05-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19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41A KR102319369B1 (ko) 2017-05-26 2017-05-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5/991,562 US10615948B2 (en) 2017-05-26 2018-05-2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840,979 US11444744B2 (en) 2017-05-26 2020-04-06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716,508 US11838245B2 (en) 2017-05-26 2022-04-08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499,662 US20240063993A1 (en) 2017-05-26 2023-11-0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41A KR102319369B1 (ko) 2017-05-26 2017-05-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423A true KR20180129423A (ko) 2018-12-05
KR102319369B1 KR102319369B1 (ko) 2021-10-29

Family

ID=6440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441A KR102319369B1 (ko) 2017-05-26 2017-05-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10615948B2 (ko)
KR (1) KR102319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5829B (zh) * 2018-12-27 2021-10-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远端干扰的规避方法、系统及装置
KR20210116699A (ko) * 2019-02-11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gNB, 전자 장치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원격 간섭 관리 방법.
CN113572511A (zh) * 2020-04-29 2021-10-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136719A1 (en) * 2021-11-03 2023-05-04 Qualcomm Incorporated Excessive interference ind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7396A1 (en) * 2008-04-09 2009-10-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 frequency hopping with look ahead interference prediction
US20160080133A1 (en) * 2013-05-08 2016-03-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merica Flexible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with flexible subfram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8288B (zh) * 2010-12-02 2016-08-17 Lg电子株式会社 在基于时分双工的无线通信系统中发送ack/nack的方法和装置
US20130286902A1 (en) 2012-04-27 2013-10-31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for tdd in lte
US10903920B2 (en) * 2017-05-05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7396A1 (en) * 2008-04-09 2009-10-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 frequency hopping with look ahead interference prediction
US20160080133A1 (en) * 2013-05-08 2016-03-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merica Flexible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with flexible subfra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3103A1 (en) 2018-11-29
US11838245B2 (en) 2023-12-05
US11444744B2 (en) 2022-09-13
US20240063993A1 (en) 2024-02-22
US10615948B2 (en) 2020-04-07
KR102319369B1 (ko) 2021-10-29
US20200235904A1 (en) 2020-07-23
US20220239455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2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엑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115933B2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power control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system
CN107534547B (zh) 无线网络中的多用户全双工带内通信
US10129893B2 (en) Network node and method for handling cellular and D2D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O2016106604A1 (zh) 一种传输信号的方法和设备
EP3562222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8382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289917A1 (en)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0015754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downlink power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017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time division duplex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425087A (zh) 用于eirp约束的传输的csi报告到基站的传输
CN113489522B (zh) 无线通信中的链路恢复
US11863997B2 (en) Frame based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13305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1661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9167586B1 (en) Interference mitigation at cell edge region of enhanced node B of LTE wireless network
KR202100982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565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power control, and storage medium
US20220345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nit specific beam measurement and reporting
US202401216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f ue-to-ue crosslink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4100637A1 (en) Cross-link interference (cli) management via combined beams and aggressor selection
KR20230161970A (ko) 향상된 크로스 링크 간섭 측정 및 관리
CN116888915A (zh) 用于无线通信的资源切换方法
CN117834099A (zh) 资源配置方法及装置
KR20120010161A (ko) 기지국의 간섭 완화 방법, 그 방법을 지원하는 단말 및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