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22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226A
KR20210098226A KR1020200012148A KR20200012148A KR20210098226A KR 20210098226 A KR20210098226 A KR 20210098226A KR 1020200012148 A KR1020200012148 A KR 1020200012148A KR 20200012148 A KR20200012148 A KR 20200012148A KR 20210098226 A KR20210098226 A KR 2021009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ab node
duplex
node
iab
sche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희
김은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226A/ko
Publication of KR2021009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mobile termination)와 DU(distributed unit)을 포함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AB 노드의 MT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듀플렉스(duplex) 방식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ETWOR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확장 및 특정 지역에서의 용량 증대 등의 목적을 이유로 릴레이와 같은 기술의 수요가 존재한다. 이러한 수요에 따라, 멀티 홉을 지원하는 무선 백홀 기술을 기반으로, 단말과 무선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IAB 노드와 관련된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플렉스(duplex) 방식을 적응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에서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AB 노드에서 지원 가능한 듀플렉스 방식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플렉스 방식에 기반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mobile termination)와 DU(distributed unit)을 포함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IAB 노드의 MT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듀플렉스(duplex) 방식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mobile termination)와 DU(distributed unit)을 포함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AB 노드의 MT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듀플렉스(duplex) 방식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듀플렉스 방안을 적응적으로 선택하게 함으로써, IAB 노드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최적화된 통신 운용 방안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듀플렉스(duplex) 방안에 따른 자원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의 FD(full duplex) 방안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세미-FD(semi-FD) 모드에 따른 자원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을 위한 IAB 노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6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을 위한 측정 정보 획득의 예를 도시한다.
도 7a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을 위한 UL(uplink) 성능 예측의 예를 도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을 위한 DL(downlink) 성능 예측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FD 운용 시, UL 전송을 위한 IAB 노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FD 운용 시, DL 전송을 위한 IAB 노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존재하는 통신 표준 가운데 3GPP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단체에서 정의하는 가장 최신의 표준인 LTE 및 NR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3GPP NR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AB 노드의 통신 방식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IAB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시스템에서, IAB 노드의 설치 환경에 따라 Full-duplex 및 Half-duplex를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대상으로 한다. 이하, 본 개시에서 IAB 노드로 지칭되는 엔티티는 3GPP NR 규격상 Rel.16 IAB 뿐만 아니라, 유선 망에 연결되는 통신 장비(기지국, eNB, gNB를 포함)와 단말(UE, CPE를 포함) 간 다중 홉 (multi-hop)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기기(예: 중계기(Repeater), 릴레이(Relay))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AB 노드의 MT(mobile termination) 및 DU(distributed unit)(혹은 AU(access unit))의 구성에 따른 듀플렉스 방식을 적응적으로 선택 및 구성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무선 환경(100)에서, 기지국(110), IAB 노드(115), 및 단말(120)의 기능 및 역할이 서술되고, IAB 노드(115) 관점에서 다른 노드, 링크, 전송 방향에 따른 용어들이 정의된다.
도 1을 참고하면, 기지국(110)은, IAB 도너(IAB donor)로서 동작할 수 있다. IAB 도너란, 후술되는 IAB 노드(115)이 코어망(예: EPC(evolved packet core) 혹은 5GC(5G core))과 연결되도록, IAB 노드(115)를 서빙하는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base station)(110)은 단말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이하, 사용되는 '커버리지'의 용어는, 기지국(110)에서 서비스 가능한 영역(service coverage area)을 가리킬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하나의 셀(one cell)을 커버할 수도 있고, 다수의 셀들(multiple cells)을 커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의 셀들은 지원하는 주파수(frequency), 커버하는 섹터(sector)의 영역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gNB(next generation node 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5G 노드비(5G NodeB, NB)', 'gNB(next generation node 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 '무선 유닛(radio unit, RU), 원격 무선 장비(remote radio head, RRH)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기지국(110)을 하나의 엔티티로 서술하나, 실시 예에 따라, 분산된 엔티티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기지국(110)은 DU와 RU로 구별되어 구현될 수 있다. RU는 MMU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기와 스케줄링에 따른 신호를 방사하는 기기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위치에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하나 이상의 TRP들을 통해, 단말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AB 노드(115-1, 115-2)는, 무선 접속(access) 및 백홀(backhaul)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기지국(110)의 커버리지를 증설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백홀 연결이 무선으로 구성됨으로써, 유선 망의 설치없이 IAB 도너인 기지국(110)의 커버리지가 증가할 수 있다. IAB 노드(115-1)는 IAB 도너인 기지국(11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예: 무선 통신 반경 내). IAB 노드(115-1)는, IAB 도너인 기지국(110)과 백홀 링크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120)과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115-2)는 다른 노드인 IAB 노드(115-1)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예: 무선 통신 반경 내). 각 IAB 노드의 배치를 통해 고주파 대역(예: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에서 커버리지 증가가 달성될 수 있다. 각 IAB 노드는 멀티-홉뿐만 아니라, 릴레이 기술 또는 리피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IAB 노드(115-1), IAB 노드(115-2)는 IAB 노드(115)로 지칭되어 서술될 수도 있다.
IAB 노드(115)는 부모 노드(parent node)와 자식 노드(child node)와 연결될 수 있다. IAB 노드(115-1) 입장에서, 기지국(110)은 부모 노드(parent node), IAB 노드(115-2) 혹은 단말(120)은 자식 노드(child node)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115-2) 입장에서, IAB 노드(115-1)는 부모 노드, 단말(120)은 자식 노드로 지칭될 수 있다. IAB 노드와 부모 노드 간의 링크는 부모 링크(parent link), IAB 노드와 자식 노드 간의 링크는 자식 링크(child link)로 지칭된다.
단말(12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 혹은 IAB 노드(115)와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120)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120)은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120)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고객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또는 '차량(vehicle)용 단말',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110), IAB 노드(115), 단말(120)은,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빔에 기반하여 IAB 노드(115) 또는 단말(120)에게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빔에 기반하여 기지국(110) 또는 단말(120)에게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단말(120)은 빔에 기반하여 기지국(110) 또는 IAB 노드(115)에게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무선 환경(100)의 각 엔티티(기지국(110), IAB 노드(115), 단말(12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빔포밍 환경을 예로 서술하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예시적인 설명으로 인해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IAB 도너에서 단말로의 링크는 DL(downlink), 단말에서 IAB 도너로의 링크는 UL(uplink)이다. 중간에 IAB 노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더라도, 신호의 링크는 신호의 전송 방향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즉, IAB 노드가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링크는 DL, IAB 노드가 기지국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링크는 UL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IAB 노드의 측면에서, 코어망(유선망)의 IAB 도너로부터 혹은 IAB 도너에게 전달되는 신호의 링크는 부모 링크(parent link), 다른 IAB 노드 또는 단말에게 전달되는 신호이거나 다른 IAB 노드 또는 단말로부터의 신호의 링크 자식 링크(child link)로 지칭되어 서술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IAB 노드(115)는 부모 링크를 위한 MT(mobile termination)와 자식 링크를 위한 DU(distributed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망(유선망)과 연결되는 기지국(110)은 분산 배치(distributed deployment)로서, CU(central unit)와 DU(distributed unit)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CU는 하나 이상의 DU들과 연결되어 무선 접속 망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도 1과 달리 별도의 엔티티인 CU(예: gNB-CU)와 DU(예:gNB-DU)로 구별될 수 있고, IAB 노드(115)의 DU는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110)의 DU 혹은 다른 IAB 노드의 DU와 멀티 홉 방식(혹은 릴레이)를 통해 연결되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115)의 DU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1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115)의 MT는 단말(120)과 같이 초기 접속 절차(initial access procedure)를 통해 다른 IAB 노드 혹은 IAB 도너와 망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IAB 노드(115)의 MT는 CPE일 수 있다. 단말과 같은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 IAB 노드는 부모 노드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MT와 자식 노드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DU로 구분되어 있고 가정하여, 각 실시 예들이 서술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기능적 구분으로, MT와 DU가 물리적으로 다른 장치인 경우에만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가 IAB 노드로서 MT/DU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셀의 용량(capacity)를 증가시키고, 주파수 대역에서 충분한 커버리지 용량을 확보의 필요를 위해, 하나 이상의 IAB 노드들이 기지국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 IAB 노드들이 배치되는 무선 환경, 채널 환경, IAB 노드의 구성에 따라 지원 가능한 통신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b를 통해 통신 방식들의 예로써, 듀플렉스 방식들의 예가 서술된다.
도 2a,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듀플렉스(duplex) 방안에 따른 자원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가로축은 시간 자원(예: 심볼, 슬롯, 서브프레임, 프레임), 세로축은 주파수 자원(예: RE(resource element), RB(resource block), BW(bandwidth), BWP(bandwidth part), 대역(band))을 나타낼 수 있다. IAB 노드는 도 1의 IAB 노드(115)를 예시한다. IAB 노드가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자원은, 부모 링크와 자식 링크가 각각 어떤 링크를 사용하는 지에 따라, 다양한 듀플렉스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제1 듀플렉스 방식(210)은 TDD(time division duplex)를 예시한다. IAB 노드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방식이며, 부모 링크 및 자식 링크 중 하나의 링크에서만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다. 링크 간 간섭은 없으나, 전체 자원의 반만 이용 가능하다. 제2 듀플렉스 방식(220)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예시한다. IAB 노드가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사용하기는 하지만(예: IAB 도너로부터의 신호 수신 및 단말로의 신호 송신), 송신과 수신은 동일한 무선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수행되지는 않으며, 주파수 상 다른 자원에서 수행된다. 링크 간 간섭은 없으나, 전체 자원의 반만 이용 가능하다.
도 2b를 참고하면, 제3 듀플렉스 방식(230)은 FD(full duplex)를 예시한다. IAB 노드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무선 자원에서 송신(Tx)과 수신(Rx)를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며, IAB 노드는 송신과 수신을 부모 링크와 자식 링크 각각에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부모 링크에서 송신은, IAB 노드가 IAB 도너로 신호를 전송하므로, 상향링크에 대응한다. 부모 링크에서 수신은, IAB 노드가 단말 혹은 다른 IAB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므로, 하향링크에 대응한다. FD 방식에서는, 전체 자원이 활용될 수 있으나, 링크 간 간섭(예: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이 통신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2 듀플렉스 방식(220)도 Full-duplex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부모 링크와 자식 링크 간의 송신, 수신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도 가능한 듀플렉스 방식이 FD로 지칭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FD 방식이란 단순히 IAB 노드가 다른 노드에게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 분만 아니라, IAB 노드의 부모 링크로부터의 수신 및 자식 링크로의 송신이 동시에 수행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동시에 다른 주파수 자원에서 부모 링크에서의 송신(혹은 수신)과 자식 링크에서의 수신(혹은 송신)이 각각 수행되는 제2 듀플렉스 방식(220)은 FDD로 지칭된다.
제4 듀플렉스 방식(240)은 SDD(spatial division duplex)를 예시한다. IAB 노드는 공간적으로 구별되는 링크를 통해, 부모 링크 및 자식 링크 모두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IAB 노드는 공간적으로 구별되는 링크를 통해, 부모 링크 및 자식 링크 모두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IAB 노드는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다시 말해, IAB 노드는 부모 링크와 자식 링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다. 전체 자원이 활용될 수 있으나, 링크 간 간섭(예: 멀티 셀 간섭)이 통신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DL과 UL에 따른 트래픽 비율이 1:1이 아닌 경우, 해당 듀플렉스 방식이 제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IAB, Repeater, Relay 기술은 듀플렉스 방식으로서, FD, FDD, TDD 중 하나만을 지원하여 운용되었다. IAB 노드에 FDD 또는 TDD(도 2a의 제1 듀플렉스 방식(210), 제2 듀플렉스 방식(220))가 적용될 경우, 하나의 무선 자원에서 부모 링크 및 자식 링크 중 하나는 데이터 전송을 할 수가 없어 무선 자원의 절반을 낭비할 수밖에 없다. IAB 노드에 SDD(도 2b의 제4 듀플렉스 방식(240)) 가 적용될 경우, 부모 링크 및 자식 링크 모두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무선 자원이 낭비 없이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두 링크들을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링크 간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부모 링크에서의 송신은 UL, 자식 링크에서의 송신은 DL을 의미하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DL 및 UL 간 트래픽 비율이 1:1이 아니라면 부모 링크에서의 DL 및 UL 간 트래픽 비율과 자식 링크에서의 DL 및 UL 간 트래픽 비율은 불일치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DL 및 UL 간 트래픽 비율이 1:1인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제한적인 활용만 가능하다.
IAB 노드에 전이중 통신 방식(Full-duplex, FD)(도 2b의 제3 듀플렉스 방식(230)가 적용될 경우의 부모 링크와 자식 링크에서 모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 무선 자원이 낭비 없이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송수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전송된 신호가 바로 수신되는 자기 간섭 (Self-interference)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Full-duplex의 성능은 자기 간섭의 정도에 의해 결정되며, 자기 간섭이 클 경우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가 매우 낮아, 자원의 낭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반이중 통신 방식(Half-duplex, HD)보다 낮은 전송률을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 간섭 정도에 따라, 유리한 듀플렉스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주변 환경의 변화(예: 인접 셀들의 위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배치, 채널 상황, 단말들의 수, 부하)에 따라, 자기 간섭으로 인한 영양이 달라지게 되고, 이는 곧 유리한 듀플렉스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항상 고정된 듀플렉스 방식을 사용한다면, 개별 노드(예: IAB 노드)를 설치할 때마다 특정 듀플렉스 방안을 수동적으로(on demand)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오버헤드(예: 인적 낭비)가 야기된다. 뿐만 아니라, FD(Full duplex)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HD를 통해 자원이 낭비된다면 최적의 전송률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개시는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듀플렉스 방식을 적응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IAB 노드의 장치 및 방안이 서술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의 FD(full duplex) 방안의 예를 도시한다. IAB 노드로서, 도 1의 IAB 노드(115)가 예시된다. IAB 노드의 부모 노드로서, 도 1의 기지국(110)이 예시된다. IAB 노드(115)는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를 스스로 측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각 듀플렉스 방식(혹은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115)는 예측된 성능에 기반하여 현재 환경에서 어떠한 듀플렉스 방식이 유리한지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IAB 노드(115)가 FD로 동작하는 것이 유리한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상황이 서술된다.
도 3을 참고하면, IAB 노드(115)는 MT(115a)와 DU(115b)를 포함할 수 있다. MT(115a)는 부모 노드인 기지국(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DU(115b)는 단말 혹은 다른 IAB 노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의 경우, MT(115a)는 부모 노드인 기지국(1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MT(115a)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수신 빔포밍 시, 수신 빔의 메인 로브(main lobe)외에 사이드 로브(side lobe)가 발생한다. 이러한 사이드 로브는 간섭으로 DU(115b)의 신호 전송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의 경우, DU(115b)는 자식 노드인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U(115b)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 빔포밍 시, 송신 빔의 메인 로브 외에 사이드 로브가 발생한다. 이러한 사이드 로브는 간섭으로 MT(115a)의 신호 수신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는 수신(Rx), DU는 송신(Tx) 시 MT SIR은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는 MT(115a)의 수신 빔의 기지국(gNB) 방향의 메인 로브 이득(main lobe gain) - DU 방향의 사이드 로브 이득(side lobe gain)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3
는 DU 송신 빔의 UE 방향의 메인 로브 이득 - MT 방향의 사이드 로브 이득을 의미한다. PL1는 부모 노드에서 MT(115a)로의 경로 손실, PL2는 DU(115b)에서 MT(115a)로의 경로 손실을 의미한다.
일 예로, 기지국(110)과 MT(115a)의 거리가 MT(115a)와 DU(115b) 간 거리의 약 10배이고, MT(115a)의 수신 빔 및 DU(115b)의 송신 빔 이득 차이가 약 30dB인 경우, MT SIR는 약 40dB로 FD가 가능하다. 기지국(110)과 MT(115a)의 거리가 MT(115a)와 DU(115b) 간 거리의 약 20배이고, MT(115a)의 수신 빔 및 DU(115b)의 송신 빔 이득 차이가 약 15dB 일 때, MT SIR는 약 4dB로 FD가 불가능하다. 즉, IAB 노드가 부모 노드와 배치된 거리, IAB 노드 내 MT/DU간 배치, MT/DU의 각도, IAB 노드의 MT의 빔포밍 능력, DU의 빔포밍 능력, 사용 가능한 빔의 채널 품질, 채널 상황 등에 따라, FD의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다.
FD 방식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므로, 전체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낭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IAB 노드 내 MT/DU간 야기되는 자기 간섭으로 인해 FD 방식이 불리한 상황도 발생할 수 있는 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는 어떤 듀플렉스 방식이 현재 환경에서 유리한지 적응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보다 다양한 듀플렉스 방식들 중에서 최적의 듀플렉스 방식을 선택하기 위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세미 전이중 통신(semi-FD) 방식이 정의될 수 있다. 세미 FD는 DL/UL 중 어느 하나에만 full-duplex가 적용되고, 다른 것에는 FDD 또는 TDD가 적용되는 방식으로, 도 4a 내지 도 4b를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FD 방식이란 단순히 IAB 노드가 다른 노드에게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 분만 아니라, IAB 노드의 부모 링크로부터의 수신 및 자식 링크로의 송신이 동시에 수행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세미(Semi) Full Duplex 모드
도 4a,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세미-FD(semi-FD) 모드에 따른 자원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가로축은 시간 자원(예: 심볼, 슬롯, 서브프레임, 프레임), 세로축은 주파수 자원(예: RE(resource element), RB(resource block), BW(bandwidth), BWP(bandwidth part), 대역(band))을 나타낼 수 있다. IAB 노드는 도 1의 IAB 노드(115)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b를 통해 서술되는 듀플렉스 방식들은, DL 및 UL 중 하나에서만 FD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FD를 사용하는 링크 및 다른 링크의 통신 방식에 따라, 각 듀플렉스 방식이 구별될 수 있다.
도 4a, 도 4b를 참고하면, 제1 세미 FD 방식(410)은 DL-FDD, UL-FD를 나타낸다. 제2 세미 FD 방식(420)은 DL-TDD, UL-FD를 나타낸다. 제3 세미 FD 방식(430)은 DL-FD, UL-FDD를 나타낸다. 제4 세미 FD 방식(440)은 DL-FD, UL-TDD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는 DL에 대한 FD 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AB 노드는 UL에 대한 FD 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L 및 UL 모두 FD가 가능하다면, IAB 노드는 도 2의 듀플렉스 방식(230)에 따라 FD를 선택할 수 있으나, 둘 중 하나만 FD가 가능하다면, IAB 노드는 도 4a 내지 도 4b의 방식들 중 하나로 듀플렉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를 통해 서술된 듀플렉스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며, 세미 FD 방식을 제외한 다른 듀플렉스 방식들 중에서 최적의 듀플렉스 방식을 선택하는 것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써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치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듀플렉스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IAB 노드는 보다 높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적응적으로 듀플렉스 방식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관련 시그널링을 제안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향링크(Downlink: DL) 및 상향링크(Uplink: UL)의 Full-duplex, Frequency-division-duplex, Time-division-duplex 성능을 예측하고,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최적의 운용 방법(듀플렉스 방식, 서빙 셀, 서빙 빔, MT 빔)을 찾기 위한 IAB 노드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Full-duplex 운용 중 IAB 노드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술된 동작들과 관련된 IAB 노드의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술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IAB 노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통해, 적응적으로 듀플렉스 방식을 선택하고, 운용하기 위한 IAB의 구체적인 동작들이 서술된다.
듀플렉스 선택 방안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을 위한 IAB 노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IAB 노드로서, 도 1의 IAB 노드(115)가 예시된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하나의 IAB 노드에서 다수 개의 셀들을 형성하여 자식 노드와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IAB 노드가 다수 개의 DU들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DU는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부모 노드와 통신 시 사용 가능한 빔을 MT 빔, 자식 노드와의 통신 시 사용 가능한 빔을 DU 빔으로 정의하도록 하며, MT 빔의 개수는
Figure pat00004
, DU 빔의 개수는
Figure pat00005
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01)에서, IAB 노드는 MT 빔 별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T 빔 별 측정 정보란, IAB 노드의 MT 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 혹은 IAB 노드의 MT 빔을 이용하여 다른 노드(예: 부모 노드, 기지국, IAB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획득되는 결과를 의미한다.
IAB 노드는, MT를 통해 코어망(예: EPC, 5GC)로의 연결 접속을 제공하는 부모 노드를 검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다른 부모 노드에서 전송되는 액세스 신호, 예를 들어, SS/PBCH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IAB 노드는 SS/PBCH 블록을 측정하고, 셀을 식별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식별된 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AB 노드는 하나 이상의 MT 빔들 각각을 위한 서빙 셀과 서빙 빔(SS/PBCH 인덱스)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하나 이상의 MT 빔들은 전체 MT 빔들 중에서 임계값(threshold) 이상의 채널 품질(예: RSRP)을 제공하는 빔일 수 있다. IAB 노드는 하나 이상의 MT 빔들 및 관련 통신 정보(서빙 셀 ID, 부모 노드 ID, 서빙 빔 인덱스)를 각 MT 빔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부모 노드와 연결될 수 있는 MT 빔을 식별할 수 있다. IAB 노드는 MT 빔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MT 빔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MT 빔들은 IAB 노드에서 지원 가능한 전체 빔들이거나, 설정에 의해 미리 결정된 빔 집합의 빔일 수 있다. IAB 노드는, MT 빔들 중에서, 부모 노드와 접속하기 위해 이용 가능성이 높은 후보로서, 하나 이상의 MT 빔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IAB 노드는 식별된 MT 빔 별로 DL 송신과 UL 송신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기 위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 예는 도 6을 통해 자세히 서술된다.
IAB 노드는 UL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UL 통신 시, MT의 송신 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DU에게 미치는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MT 빔을 송신 빔으로 설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U 수신 빔들을 스위핑함으로써,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IAB 노드는 MT 빔을 고정하고, 파일럿 신호들을 DU 빔 개수만큼 송신할 수 있다. IAB 노드는 각 MT 빔에 대한 UL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 예는 도 7a를 통해 자세히 서술된다.
IAB 노드는 DL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L 통신 시, DU의 송신 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MT에게 미치는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MT 빔을 수신 빔으로 설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U 송신 빔들을 스위핑함으로써,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IAB 노드는 MT 빔 별로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 및 측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L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 예는 도 7b를 통해 자세히 서술된다.
단계(503)에서, IAB 노드는, MT 빔 별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IAB 노드의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IAB 노드는 해당 MT 빔에 대한 DL 측정 결과와 UL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해당 IAB 노드의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MT 빔들 중에서 서빙 셀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후보 빔으로 식별된 MT 빔 각각에 대하여 듀플렉스 방식 별 통신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대상이 되는 듀플렉스 방식은, 도 2의 제1 듀플렉스 방식(210), 도 2의 제2 듀플렉스 방식(220), 도 2의 제3 듀플렉스 방식(230), 도 2의 제4 듀플렉스 방식(240), 도 4의 제1 세미 FD 방식(410), 도 4의 제2 세미 FD 방식(420), 도 4의 제3 세미 FD 방식(430), 도 4의 제4 세미 FD 방식(44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AB 노드는, IAB 노드의 성능에 따라, 해당 MT 빔 사용시 적합한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AB 노드는 MT 빔 #0에 대한 FDD 혹은 TDD 운용 시 IAB 노드의 성능이 MT 빔 #0에 대한 FD 운용 시 성능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IAB 노드는 MT 빔 #0 운용 시 듀플렉스 방안으로서 FD를 이용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듀플렉스 방식으로서 FD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505)에서, IAB 노드는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기반하여 MT 빔을 식별할 수 있다. IAB 노드는 MT 빔에 기반하여 부모 노드와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부모 노드에게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을 가리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IAB 노드는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따른 자원 할당에 기반하여 부모 노드 혹은 자식 노드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기반하여 서빙 셀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IAB 노드는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대응하는 서빙 셀과 서빙 빔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단계(501)의 측정 과정에서 획득되는 셀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셀과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의 초기 설치 시, 부모 노드와의 접속 절차가 요구되고, 이 때 기 측정된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이후, IAB 노드는 MT 빔에 기반하여 부모 노드(예: 부모 IAB 노드 혹은 IAB 도너,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U 빔에 기반하여 자식 노드(예: 자식 IAB 노드 혹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IAB 노드의 운용 최적화를 위한 방안이 서술되었다, 도 5에서는 일회적인 동작들로서 언급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IAB 노드는 다양한 환경에서 상술된 절차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IAB 노드는 주기적으로 도 5의 자동 운용 최적화 절차에 따른 통신 방식(예: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기적인 확인을 통해 IAB 노드의 통신 방식이 적응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채널 상태가 변하거나, 다른 IAB 노드가 설치되거나, IAB 노드의 일부 부품이 고장나는 경우 등, 초기 설치 대비 환경 변화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IAB 노드의 통신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IAB 노드는 지정된 이벤트 발생 시, 도 5의 자동 운용 최적화 절차에 따른 통신 방식(예: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코어망에 새로 혹은 다시 연결되는 등, 재구성(reconfiguration)되는 경우, 혹은 수동(on-demand) 입력에 따라 지정된 이벤트를 검출하고, 단계(501) 내지 단계(503)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을 위한 측정 정보 획득의 예를 도시한다. IAB 노드로서, 도 1의 IAB 노드(115)(MT(115a)와 DU(115b)를 포함)가 예시된다. IAB 노드(115)는 네트워크 노드(예: 부모 노드)와의 채널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IAB 노드(115)는 네트워크 노드의 셀(예: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셀 #1(611),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셀 #2(612))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IAB 도너 혹은 다른 IAB 노드일 수 있다. 각 네트워크 노드는, 서빙 셀을 통해 IAB 노드(115)에게, 채널 상태의 측정을 위한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ESS(extended synchronization signal), SS block (또는 SS/PBCH block로 지칭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준 신호는 BRS(beam reference signal), BRRS(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측정 신호로서, SS/PBCH 블록이 예로 서술되나, 다른 신호들이 품질 측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AB 노드(115)는 수신되는 신호들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측정 정보를 통해, 각 신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품질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BRSRP(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EVM(error vector magnitude), BER(bit error rate), BLER(block error rate), 기타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들 혹은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metric)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측정 품질로서, RSRP가 예로 서술되나, 다른 신호들이 품질 측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AB 노드(115)의 MT(115a)는 하나 이상의 셀들이 전송하는 SS/PBCH 블록들을 수신하고, 각 SS/PBCH 블록에 대한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하나 이상의 MT 빔들을 형성할 수 있다. DL 측정의 경우, MT 빔은 수신 빔일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 별로 각 SS/PBCH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 별로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AB 노드(115)는 어떤 부모 노드(혹은 셀)와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고, 해당 셀에 접속하는 것이 유리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115)는, 어떤 부모 노드에게 어떤 MT(115a)의 빔이 적합한 지, 부모 노드의 어떤 빔에게 어떤 MT(115a)의 빔이 적합한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115a)에서 지원 가능한 하나 이상의 MT 빔들을 스위핑함으로써, IAB 노드(115)에 접속 가능한 서빙 셀들, 각 서빙 셀에서 MT 빔과 적합한 빔들, 각 빔 조합에 따른 신호 품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에 대응하는 서빙 셀, 서빙 셀의 빔(SS/PBCH 블록), 해당 빔의 RSRP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일부 실시 예들에서, IAB 노드(115)는, IAB 노드(115)의 모든 MT 빔들 각각에 대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RSRP 값들에 기초하여 일부 MT 빔들에 대한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IAB 노드(115)는 상위 N개(N은 1 이상의 정수)의 품질을 갖는 조합(SS/PBCH 블록-MT 빔)들을 식별하고, 해당 SS/PBCH 블록에 대응하는 MT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IAB 노드(115)는 임계값(
Figure pat00006
)이상의 RSRP를 갖는 SS/PBCH 블록들을 식별하고, 해당 SS/PBCH 블록에 대응하는 MT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에 따른 서빙 셀, 서빙 빔, 및 RSRP에 대한 정보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AB 노드(115)가 저장하는 정보의 조합은, 하기의 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MT 빔들이 식별된 상황이다.
Candidate Index MT 빔 Serving Cell Serving 빔 RSRP [dBm]
1 3 0 9 -60
2 4 0 9 -65
3 17 1 12 -73
4 18 1 12 -74
IAB 노드(115)는 저장된 MT 빔 별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각 조합에서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7a 내지 도 7b를 통해 서술된다.
도 7a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을 위한 UL(uplink) 성능 예측의 예를 도시한다. 도 7a에서는 도 5의 단계(503)에서 IAB 노드의 구체적인 동작들이 서술된다. IAB 노드로서, 도 1의 IAB 노드(115)가 예시된다. IAB 노드(115)는 MT(115a), DU(11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 MT(115a)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송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DU(115b)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수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MT(115a)의 송신 빔은, DU(115b)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MT(115a)에서 DU(115b)로의 간섭 영향(710)을 고려하여, IAB 노드(115)는 듀플렉스 별 운용 시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 별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향링크의 각 듀플렉스 방식의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도 6에서 언급된 MT 빔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MT(115a)의 송신 및 DU(115b)의 수신에 대한 각 MT 빔의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먼저, IAB 노드(115)는 MT 빔을 사용하여 파일럿 신호(pilot signal)을 전송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사용 가능한 모든 DU 빔들 각각에 대해,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DU 빔들을 스위핑(sweeping)함으로써, 각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측정을 통해 품질(RSRP)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는 다른 노드와의 통신이 아닌, IAB 내 MT-DU 간 자가(self)-통신을 위한 신호를 위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파일럿 신호는 기존 무선 규격 상의 기준 신호(예: CSI-RS) 혹은 동기 신호(예: SS/PBCH block)일 수도 있다.
IAB 노드(115)는 하나의 MT 빔에 기반하여 파일럿 신호들을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파일럿 신호는 DU 빔 별 측정을 위해, 동일한 MT 빔마다
Figure pat00007
번 반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DU들이 IAB 노드(115)에 구비된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DU에서는 측정 동작을 동시에 진행되며, 파일럿 신호는 각 DU의 빔 개수(
Figure pat00008
) 중 최대값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DU에서 측정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파일럿 신호는 총 DU들의 빔 개수들만큼 전송될 수도 있다.
IAB 노드(115)는 상술된 동작들을 하나 이상의 MT 빔들 각각에 대하여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IAB 노드(115)는 도 6의 과정을 통해 식별된 하나 이상의 MT 빔들 각각에 대하여, DU 수신 빔 별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 별로 획득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각 MT 빔에서의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예로, IAB 노드(115)는 하나의 MT 빔의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 및 DU 빔을 스위핑(sweeping)을 통해 획득된 RSRP 값들 중 최대값을 이용해, 각 duplex 별 운용 시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는 FD 방식(예: 도 2의 제3 듀플렉스 방식(230))의 상향링크 성능,
Figure pat00011
는 FDD 방식(예: 도 2의 제2 듀플렉스 방식(220))의 상향링크 성능,
Figure pat00012
는 TDD 방식(예: 도 2의 제1 듀플렉스 방식(210))의 상향링크 성능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IAB 노드(115)는, 자기 간섭 임계 값에 기반하여 듀플렉스 별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AB 노드(115)는 각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을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예측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는 UE 신호의 RSRP 타겟(target) 값으로, 일 예로 -120dBm이 될 수 있다.
Figure pat00016
는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 임계값으로, 자기 간섭 없이 자원을 반만 사용하는 것보다 자기 간섭이 있더라도 자원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예측되는 SIR (signal-to-interference ratio)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17
는 일 예로 20dB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Y는 고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Y는 사전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Y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IAB 도너 전달되는 값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IAB 노드(115)는, SIC 예측값에 기반하여 듀플렉스 별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AB 노드(115)는 각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을 하기와 같이 예측할 수 있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이 때, dB2lin은 dB scale 값을 선형 스케일(linear scale)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이며, Z는 SIC(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예측값이고, NF는 예측되는 잡음(noise floor)를 의미하고, 일 예로, -124dBm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Z는 고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Z는 사전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Z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IAB 도너 전달되는 값일 수 있다.
다수의 DU들이 존재하는 경우, IAB 노드(11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DU 별 성능을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과 DU의 조합에 대한, 듀플렉스 방안 별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115)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DU 별 성능을 통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에 대한, 모든 DU들을 고려한 듀플렉스 방안 별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계산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되는 결과는 하기와 같이 'UL 성능'으로 표현될 수 있다.
Candidate Index MT 빔 Serving Cell Serving 빔 RSRP [dBm] Duplex UL 성능
1 3 0 9 -60 TDD, FDD 1
FD 0
2 4 0 9 -65 TDD, FDD 1
FD 2
3 17 1 12 -73 TDD, FDD 1
FD 2
4 18 1 12 -74 TDD, FDD 1
FD 0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을 위한 DL(downlink) 성능 예측의 예를 도시한다. 도 7b에서는 도 5의 단계(503)에서 IAB 노드(115)의 구체적인 동작들이 서술된다. IAB 노드(115)로서, 도 1의 IAB 노드(115)가 예시된다. IAB 노드(115)는 MT(115a), DU(11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의 상향링크에서의 동작들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MT(115a)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수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DU(115b)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송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DU(115b)의 송신 빔은, MT(115a)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DU(115b)에서 MT(115a)로의 간섭 영향(720)을 고려하여, IAB 노드(115)는 듀플렉스 별 운용 시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 별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하향링크의 각 듀플렉스 방식의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도 6에서 언급된 MT 빔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MT(115a)의 수신 및 DU(115b)의 송신에 대한 각 MT 빔의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먼저, IAB 노드(115)는 DU(115b)에서 운용 가능한 DU 빔들 각각에 기반하여 파일럿 신호(pilot signal)을 전송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사용 가능한 모든 DU 빔을 스위핑(sweeping)하여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하나의 MT 빔에 기반하여, 각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RSRP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는, 다른 노드와의 통신이 아닌, IAB의 MT(115a) 및 DU(115b) 간 self-통신을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하향링크 자가 간섭 측정을 위한 파일럿 신호는, 도 7a에서 언급된 상향링크 자가 간섭 측정을 위한 파일럿 신호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하향링크 자가 간섭 측정을 위한 파일럿 신호는, 도 7a에서 언급된 상향링크 자가 간섭 측정을 위한 파일럿 신호와 다를 수 있다.
IAB 노드(115)는 하나의 MT 빔에 기반하여 파일럿 신호들을 반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후, IAB 노드(115)는 동작들을 MT 빔 별로 반복하여 상술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즉, IAB 노드(115)는 도 6의 과정을 통해 식별된 하나 이상의 MT 빔들 각각에 대하여, DU 송신 빔 별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DU 빔들 각각에 기반하여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IAB 노드(115)의 DU(115b)를 통해 DU 빔들을 스위핑(sweeping)하며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각 MT 빔에 기반하여 수신된 신호들의 RSRP 값들 중 최대값을 이용해, 각 듀플렉스(duplex) 별 운용 시 성능을 아래와 같이 예측할 수 있다.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는 FD 방식(예: 도 2의 제3 듀플렉스 방식(230))의 하향링크 성능,
Figure pat00022
는 FDD 방식(예: 도 2의 제2 듀플렉스 방식(220))의 하향링크 성능,
Figure pat00023
는 TDD 방식(예: 도 2의 제1 듀플렉스 방식(210))의 상향링크 성능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IAB 노드(115)는, 자기 간섭 임계 값에 기반하여 듀플렉스 별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AB 노드(115)는 각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을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예측할 수 있다.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이 때,
Figure pat00026
는 사용된 MT 빔의 RSRP 값으로, 도 6의 MT 빔 식별 시, 획득된 값이다.
Figure pat00027
는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 임계값으로, 자기 간섭 없이 자원을 반만 사용하는 것보다 자기 간섭이 있더라도 자원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예측되는 SIR (signal-to-interference ratio)이며,
Figure pat00028
는 일 예로, 20dB 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Y는 고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Y는 사전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Y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IAB 도너 전달되는 값일 수 있다.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이 때, dB2lin은 dB scale 값을 선형 스케일(linear scale)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이며, Z는 SIC(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예측값이고, NF는 예측되는 잡음(noise floor)를 의미하고, 일 예로, -124dBm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Z는 고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Z는 사전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Z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IAB 도너 전달되는 값일 수 있다.
다수의 DU들이 존재하는 경우, IAB 노드(11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DU 별 성능을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과 DU의 조합에 대한, 듀플렉스 방안 별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115)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DU 별 성능을 통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IAB 노드(115)는, MT 빔에 대한, 모든 DU들을 고려한 듀플렉스 방안 별 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IAB 노드(115)는 계산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되는 결과는 하기와 같이 'DL성능'으로 표현될 수 있다.
Candidate
Index
MT 빔 Serving Cell Serving 빔 RSRP [dBm] Duplex UL
성능
DL
성능
1 3 0 9 -60 TDD, FDD 1 1
FD 0 2
2 4 0 9 -65 TDD, FDD 1 1
FD 2 0
3 17 1 12 -73 TDD, FDD 1 1
FD 2 2
4 18 1 12 -74 TDD, FDD 1 1
FD 2 2
도 7a 내지 도 7b에서는 자기 간섭 측정을 위한 파일럿 신호를 새로이 정의하고, 파일럿 신호에 따른 DU 빔 및 MU 빔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듀플렉스 별 성능 예측 방안이 서술되었다. 이 때, 일부 실시 예들에서, 신규 파일럿 신호 대신 기존에 정의된 기준 신호 혹은 동기 신호가 품질 측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SS/PBCH 블록이 예로 서술된다.
DU에서 SS/PBCH 블록 전송 시, IAB 노드(115)의 MT는 후보(candidate) MT 빔에 기반하여 DL RSPR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115)의 MT는 DL RSRP에 기반하여 UL RSRP를 획득할 수 있다.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는 DU에서 전송 전력,
Figure pat00033
는 MT에서의 전송 전력을 의미한다. IAB 노드(115)는 MT 송신 전력에서, (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만큼을 감산함으로써, UL RSRP를 획득할 수 있다.
신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기존에 정의된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좀 더 시간이 오래 걸리고, UL 성능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신규 파일럿 신호 송신/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 오버 헤드가(overhead)가 없어 data 통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운용에 따라 두 가지 방안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초 설치하는 경우 신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을 이용하고, 운용 중에 적응적으로 듀플렉스 방안 별 성능을 측정할 때(예: 보수 절차(maintenance procedure)로서 주기적으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규격에 정의되는 기준 신호 혹은 동기 신호가 측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를 통해, IAB 노드는 듀플렉스 별 하향링크 성능 측정 결과 및 듀플렉스 별 상향링크 성능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IAB 노드에 적합한 듀플렉스 방안을 선택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L 및 UL성능 예측값으로부터 IAB 성능 예측값을 계산할 수 있다. IAB 성능 예측 값은 각 후보(candidate)에 대한 성능 메트릭으로 표현되며, 일 예로,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3>
IAB 성능 =
Figure pat00036
(UL 성능 중 최대값) +
Figure pat00037
(DL 성능 중 최대값)
IAB 노드는, 다수의 후보들 중에서 IAB 성능이 가장 높은 후보에 대응하는 MT 빔, 서빙 셀(Serving Cell), 서빙 빔(Serving beam)을 식별할 수 있다. 만약 가장 높은 성능 예측값을 갖는 후보들이 복수인 경우, IAB 노드는 RSRP가 높은 선택지를 우선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Figure pat00038
인 실시 예를 통해 운용 방안 선택 방법을 보인다. 아래에 IAB성능의 최대값은 2이며, 동일한 IAB 성능 값을 갖는 후보들 중에서는 RSRP가 가장 높은 후보가 선택되었다.
Candidate
Index
MT 빔 Serving Cell Serving 빔 RSRP [dBm] Duplex UL
성능
DL
성능
IAB
성능
1 3 0 9 -60 TDD, FDD 1 1 1.5
FD 0 2
2 4 0 9 -65 TDD, FDD 1 1 1.5
FD 2 0
3 17 1 12 -73 TDD, FDD 1 1 2
(선택)
FD 2 2
4 18 1 12 -74 TDD, FDD 1 1 2
FD 2 2
IAB 노드는, IAB 성능이 가장 높은 후보 인덱스에서, UL 성능 중 최대값, DL 성능 중 최대값을 갖는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IAB 노드는 선택된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각각의 DL/UL을 운용한다. 즉, DL과 UL에 서로 다른 듀플렉스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성능 중 최대값을 갖는 듀플렉스 모드는 TDD, UL 성능 중 최대값을 갖는 듀플렉스 모드는 FD라면, IAB 노드는 dl-tdd-ul-fd의 semi-FD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위 표의 실시 예에서, IAB 노드는 DL/UL 모두 FD를 선택할 수 있다. 여러 듀플렉스 모드들 간 성능이 동일하다면, FD의 우선순위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FDD/TDD에 대한 성능 값과 FD에 대한 성능 값이 같다면, FD를 우선하도록 IAB 노드는 설정될 수 있다. FD 우선 규칙은, IAB 노드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듀플렉스 방식 별 성능이 동일하더라도, IAB 노드는 FD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FDD/TDD 간 우선 순위는 부모 노드의 제어를 따를 수 있다.
듀플렉스 방식을 선택한 IAB 노드는, 부모 노드에 접속할 수 있다. 듀플렉스 방식은, 선택된 후보 인덱스에 대응한다. IAB 노드는, 선택된 후보 인덱스에 대응하는 셀, 서빙 빔, 그리고 MT 빔에 기반하여, 부모 노드와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부모 노드는, 선택된 서빙 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부모 노드는, 선택된 서빙 빔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는, 부모 노드에게 상기 IAB 노드의 듀플렉스 방식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메시지는 FD 가부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는 DL에서 FD 가부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는 UL에서 FD 가부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는 2비트로 구성되어, DL 및 UL 각각에서 FD 가부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는 2-bit로 구성될 수 있으며, '00'은 FD 불가능, '01'은 UL만 FD 가능, '10'은 DL만 FD 가능, '11'은 DL/UL 모두 FD 가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메시지는 미리 지정된 듀플렉스 방식들 중에서 특정 듀플렉스 방식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용 가능한 듀플렉스 방식들은 도 2의 제1 듀플렉스 방식(210), 도 2의 제2 듀플렉스 방식(220), 도 2의 제3 듀플렉스 방식(230), 도 2의 제4 듀플렉스 방식(240), 도 4의 제1 세미 FD 방식(410), 도 4의 제2 세미 FD 방식(420), 도 4의 제3 세미 FD 방식(430), 도 4의 제4 세미 FD 방식(44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는, IAB 노드가 운용할 듀플렉스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IAB 노드는 듀플렉스 방식 외에 측정 과정에서 이용된 다른 정보들을 듀플렉스 방식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AB 노드는 MT 빔에 대한 정보, MT 빔에 대응하는 서빙 빔에 대한 정보를 부모 노드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IAB 노드는 DU 별 성능 정보를 부모 노드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IAB 노드는 선택된 MT 빔 외에, 2 순위의 후보 인덱스에 대응하는 MT 빔, 서빙 셀, 서빙 빔에 대한 정보를 현재 접속된 부모 노드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자기 간섭 제거
Full duplex 운용 시 IAB 노드에서 부모 노드와의 통신과 자식 노드와의 통신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때, self-interference가 발생하게 되는데, IAB 노드에서는 self-interference 제거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아래의 순서도를 통해 보인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FD 운용 시, UL 전송을 위한 IAB 노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IAB 노드로서, 도 1의 IAB 노드(115)가 예시된다. FD의 UL 전송에서, IAB 노드의 MT가 부모 노드에게 신호를 전송할 때, IAB 노드의 DU는 동일 자원(예: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자식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IAB 노드의 DU가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하기 위해서는 MT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801)에서, IAB 노드는 DU에서 MT의 신호 및 DMRS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UL 전송인 바, DU는 신호를 수신하고, MT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MT에서 전송된 신호가 DU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DU에서 원활한 디코딩을 위해, IAB 노드는 MT의 신호에 대한 정보를 DU에게 전달할 것이 요구된다. IAB 노드는 MT와 D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MT와 DU는 유선 경로(wired)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IAB 노드는 유선 연결을 통해 MT의 정보를 DU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MT의 신호에 대한 정보는 MT에서 부모 노드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예: 기준 신호(예: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or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할 수 있다. MT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DU에게 알림으로써, DU는 간섭 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MT의 신호는 PDCCH 혹은 PDSCH 상에서 매핑되는 DMRS를 포함할 수 있다. DMRS는 UL DMRS일 수 있다. DMRS는 데이터 복조를 위해 정의되는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MT의 신호에 대한 정보는 MT에서 전달되는 DMRS 패턴(patter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은 시간-주파수 자원 축에서 RE 매핑(mapping)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패턴은 지정된 DMRS 매핑 패턴들 중에서 특정 패턴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DMRS 패턴 외에 MT의 신호에 대한 정보는 QCL된 자원(예: CSI-RS resource, SSB resource, SRS resource)과 같은 빔 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IAB 노드는 MT 간섭을 추정할 수 있다. MT 간섭이란, IAB 노드의 DU가 IAB 노드의 MT로 인해 겪는 간섭을 지칭한다. IAB 노드는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단계(801)에서 수신된 MT의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MT-DU간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MRS 패턴에 기반하여 MT-DU간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채널 추정 결과 및 MT의 신호를 통해 간섭 성분을 획득할 수 있다. 즉, IAB 노드는 MT로 인한 MT 간섭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805)에서 IAB 노드는 간섭 제거에 기반하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단계(803)에서 추정된 MT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지정된 자원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MT의 성분인 MT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IAB 노드는 MT 간섭에 제거된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원래 얻고자 하는 자식 노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채널 추정 및 데이터 복조를 위한 기준 신호로서 DMRS가 예시되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다른 종류의 기준 신호가 단계(803)의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거나, 별도의 목적으로 MT-DU 간 정의된 시퀀스가 DMRS 대신 이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FD 운용 시, DL 전송을 위한 IAB 노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IAB 노드로서, 도 1의 IAB 노드(115)가 예시된다. FD의 DL 전송에서, IAB 노드의 DU가 자식 노드에게 신호를 전송할 때, IAB 노드의 MT는 동일 자원(예: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부모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IAB 노드의 MT가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하기 위해서는 DU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도 9를 참고하면, 단계(901)에서, IAB 노드는 MT에서서 DU의 신호 및 DMRS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DL 전송인 바, MT는 신호를 수신하고, DU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DU에서 전송된 신호가 MT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MT에서 원활한 디코딩을 위해, IAB 노드는 DU의 신호에 대한 정보를 MT에게 전달할 것이 요구된다. IAB 노드는 MT와 D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MT와 DU는 유선 경로(wired)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IAB 노드는 유선 연결을 통해 DU의 정보를 MT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DU의 신호에 대한 정보는 DU에서 자식 노드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예: 기준 신호(예: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PDCCH or PDSCH)를 포함할 수 있다. DU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MT에게 알림으로써, MT는 간섭 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U의 신호는 PDCCH 혹은 PDSCH 상에서 매핑되는 DMRS를 포함할 수 있다. DMRS는 DL DMRS일 수 있다. DMRS는 데이터 복조를 위해 정의되는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DU의 신호에 대한 정보는 DU에서 전달되는 DMRS 패턴(patter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은 시간-주파수 자원 축에서 RE 매핑(mapping)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패턴은 지정된 DMRS 매핑 패턴들 중에서 특정 패턴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DMRS 패턴 외에 DU의 신호에 대한 정보는 QCL된 자원(예: CSI-RS resource, SSB resource)과 같은 빔 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903)에서 IAB 노드는 DU 간섭을 추정할 수 있다. DU 간섭이란, IAB 노드의 MT가 IAB 노드의 DU로 인해 겪는 간섭을 지칭한다. IAB 노드는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단계(801)에서 수신된 DU의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DU-MT간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MRS 패턴에 기반하여 DU-MT간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채널 추정 결과 및 DU의 신호를 통해 간섭 성분을 획득할 수 있다. 즉, IAB 노드는 DU로 인한 DU 간섭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905)에서 IAB 노드는 간섭 제거에 기반하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간섭 제거에 기반하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단계(903)에서 추정된 DU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지정된 자원에서 수신된 신호에서, DU의 성분인 DU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IAB 노드는 DU 간섭에 제거된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원래 얻고자 하는 부모(예: 도 1의 IAB 도너인 기지국(110)) 노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채널 추정 및 데이터 복조를 위한 기준 신호로서 DMRS가 예시되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다른 종류의 기준 신호가 단계(903)의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거나, 별도의 목적으로 DU-MT 간 정의된 시퀀스가 DMRS 대신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선택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에서는 IAB 노드 내 MT와 DU 간 배치, MT의 빔과 DU의 빔의 방향에 따른 케이스 별로 듀플렉스 방안이 서술된다. IAB 노드로서, 도 1의 IAB 노드(115)가 예시된다. MT 방향을 향하고, 기준값 이상의 이득을 제공하는 DU의 빔은 간섭 빔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케이스(1010)에서, IAB 노드의 MT의 방향으로 빔포밍 이득이 높은(예: 기준값 이상) IAB 노드의 DU의 간섭 빔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U로 인한 자기 간섭의 영향이 상당하여 FD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IAB 노드는 반이중 통신 방식(예: HD-FDD 혹은 HD-TDD)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020)에서, IAB 노드의 MT의 방향으로 빔포밍 이득이 높은(예: 기준값 이상) IAB 노드의 DU의 간섭 빔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U로 인한 자기 간섭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 FD가 가능할 수 있다. IAB 노드는 전이중 통신 방식(예: 도 2의 제3 듀플렉스 방식(230) 혹은 도 4a 내지 도 4b의 세미 FD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제3 케이스(1030)에서, IAB 노드는 다수의 DU들을 포함할 수 있다. IAB 노드는 각 DU 별로, MT의 방향을 향하는 간섭 빔의 존재 여부에 따라, 듀플렉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AB 노드는 DU #0을 위해 반이중 통신 방식(예: HD-FDD 혹은 HD-TDD)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IAB 노드는 DU #1 및 DU #2를 위해 전이중 통신 방식(예: 도 2의 제3 듀플렉스 방식(230) 혹은 도 4a 내지 도 4b의 세미 FD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간섭 빔의 존재 여부에 따른 듀플렉스 방식 선택 기법이 서술되었으나, 일부 실시 예들에서, 이러한 기준은, 지정된 개수 이상의 빔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로 대체될 수 있다. IAB 노드는 간섭 빔들의 개수가 기준보다 적은 경우, FD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AB 노드는, IAB 도너에게 FD 방식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IAB 노드에서 적응적으로 통신 방식(예: 듀플렉스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IAB 노드의 설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원 효율을 극대화하여 성능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 IAB, 릴레이(Relay), 리피터(Repeater) 기술에서는 고정된 듀플렉스 운용(Duplex) 운용 하에서 성능을 최적화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는 특정 듀플렉스 방식의 운용 시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이 아니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듀플렉스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반이중 통신(Half duplex) 운용 시, IAB의 부모 링크/자식 링크 중 하나는 데이터 전송을 할 수가 없어 무선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게 되며, 전이중 통신(Full-duplex)가 적용될 경우 자원 활용은 모두 할 수 있지만, 송수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자기간섭(Self-interference)이 발생하여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자기 간섭에 따라 어떤 운용 방법이 유리한지가 다른데, 종래 기술인 고정된 듀플렉스 운용 IAB의 경우, 설치 시마다 이의 유불리를 판단하여 설치하는 것은 어렵고 번거로우며, 환경의 변화 등으로 어떤 방법이 유리한지도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설치 환경에 무관하게 동일한 설치 방법을 제공하여 설치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IAB 노드의 기능적 구성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AB 노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에 예시된 구성은 IAB 노드(115)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IAB 노드(115)는 제어부(1101), MT(115a), DU(115b)를 포함할 수 있다. MT(115a)는 IAB 노드(115)의 부모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U(115b)는 IAB 노드(115)의 자식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1)는 IAB 노드(115)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101)는 MT(115a)와 DU(115b)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1)는 듀플렉스 방안 성능 측정을 위한 파일럿 신호의 송수신을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1)는 파일럿 신호의 송수신 타이밍 및 파일럿 신호의 전송/수신에 이용되는 빔을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1)는 듀플렉스 별 성능 예측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1)는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1)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1101)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101)는 DL 전송에서의 품질 측정을 위해 MT와 DU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1)는 MT의 수신 빔 및 DU의 송신 빔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1)는 UL 전송에서의 품질 측정을 위해 MT와 DU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1)는 MT의 송신 빔 및 DU의 수신 빔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101)는 UL 전송의 디코딩을 위하여, MT의 신호에 대한 정보 및 DMRS 패턴을 DU에게 전달하도록 MT 및 DU를 제어할 수 있다. DL 전송의 디코딩을 위하여, DU의 신호에 대한 정보 및 DMRS 패턴을 MT에게 전달하도록 MT 및 DU를 제어할 수 있다. 각 MT/DU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1)의 기능들은 저장부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부(1101)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이거나, 또는, 제어부(1101)을 구성하는 회로(circuitry)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101)는 IAB 노드(115)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T(115a)는 신호 처리부(1103a), MT 빔 생성부(1105a), RF 부(1107a)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03a), MT 빔 생성부(1105a)의 기능들은 저장부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 혹은 MT(115a)를 구성하는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03a)는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생성하며, 수신된 SSB/파일럿 신호로부터 RSRP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RSRP는 제어부(1101)로 전달된다. 또한 FD(Full Duplex) 운용 시, MT의 전송된 데이터(data) 정보는 DU 신호 처리부(1103b)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MT의 신호 처리부(1103a)와 DU 신호 처리부(1103b) 간 시그널링을 통해 MT 혹은 DU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한 정보(예: 데이터, DMRS 패턴)가 교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기 간섭 제거(self-interference cancell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빔 생성부(1105a)는 제어부(1101)의 명령에 따라, 신호 전송 시 사용될 빔 혹은 수신 시 사용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DL 송신의 경우, 빔 생성부(1105a)는 수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UL 송신의 경우, 빔 생성부(1105a)는 송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부모 노드와 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MT 빔들은, 듀플렉스 별 성능 측정을 위해 신호의 전송 혹은 수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RF 부(1107a)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혹은 수신할 수 있다. RF 부(1107a)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F 부(1107a)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RF 부(1107a)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RF 부(1107a)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RF 부(1107a)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RF 부(1107a)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부(1107a)는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01)은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RF 부(1107a)는 다수의 안테나 엘리멘트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RF 부(1107a)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RF 부(1107a)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RF 부(1107a)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RF 부(1107a)는,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제어부(305)의 설정에 따른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해, 신호에 빔포밍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RF 부(1107a)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RF 부(1107a)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RF 부(1107a)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하향링크 신호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예: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DM(demodulation)-RS), 시스템 정보(예: MIB, SIB, RMSI(remaining system information), OSI(other system information)), 설정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부(1107a)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신호는 랜덤 액세스 관련 신호(예: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RAP)(또는 Msg1(message 1)), Msg3(message 3)), 기준 신호(예: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DM-RS), 또는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U(115b)는 신호 처리부(1103b), DU 빔 생성부(1105b), RF 부(1107b)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03b), DU 빔 생성부(1105b)의 기능들은 저장부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 혹은 DU(115b)를 구성하는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03b)는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생성하며, 수신된 파일럿 신호로부터 RSRP를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RSRP는 제어부(1101)로 전달된다. 또한 FD(Full Duplex) 운용 시, DU의 전송된 데이터(data) 정보는 MT 신호 처리부(1103a)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MT의 신호 처리부(1103a)와 DU 신호 처리부(1103b) 간 시그널링을 통해 MT 혹은 DU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한 정보(예: 데이터, DMRS 패턴)가 교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기 간섭 제거(self-interference cancell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빔 생성부(1105b)는 제어부(1101)의 명령에 따라, 신호 전송 시 사용될 빔 혹은 수신 시 사용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DL 송신의 경우, 빔 생성부(1105b)는 송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UL 송신의 경우, 빔 생성부(1105b)는 수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자식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DU 빔들은, 듀플렉스 별 성능 측정을 위해 신호의 전송 혹은 수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RF 부(1107b)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혹은 수신할 수 있다. RF 부(1107b)는 RF 부(1107a)에 대한 설명이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IAB 노드(115)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IAB 노드(115)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는 제어부(1101)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는 MT 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는 DU 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는 서빙 셀과 관련된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는 MT 빔 별 최적의 듀플렉스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는 MT 빔 별 DL 성능, UL 성능, 또는 IAB 노드(115)와 관련된 계산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IAB 노드(115)의 구성은, IAB 노드(115)의 일 예일뿐, 도 11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는 IAB 노드(115)의 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 삭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IAB 노드는 하나 이상의 MT들과 하나 이상의 DU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IAB 노드는 하나의 MT와 3개의 DU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IAB 노드는 두 개의 MT와 하나의 DU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101)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MT(115a)에 포함되거나 DU(115b)에 포함될 수 있다.
IAB 노드의 시그널링 (signaling)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적응적 듀플렉스 운용을 위해 메시지가 정의된다. IAB 노드에서 운용 방안 선택이 종료되고, IAB 노드는 부모 노드와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특정 듀플렉스 방안(FDD, TDD, FD 지원 여부 등)을 지시하기 위해 메시지가 정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IAB 노드 내의 장치 간 메시지들이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MT는 제어부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MT는 부모 노드에 대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어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부모 노드에 대한 측정 결과는 SSB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SB 정보는 MT 빔, 서빙 셀, 서빙 빔, 서빙 RSRP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MT는 DU 빔에 기반하여 전송된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어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DU는 제어부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은 상향링크 전송에서, DU는 MT 빔에 기반하여 전송된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어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제어부는 MT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MT에게 파일럿 신호의 송신(UL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자원, 패턴, 횟수, 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는 MT에게 파일럿 신호의 수신(DL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자원, 패턴, 횟수, 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MT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는 듀플렉스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MT에게 전송할 수 있다. 듀플렉스 선택 결과는 제어부를 통해 MT/DU 간 공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제어부는 DU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는 DU에게 파일럿 신호의 수신(UL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자원, 패턴, 횟수, 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는 듀플렉스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DU에게 전송할 수 있다. 듀플렉스 선택 결과는 제어부를 통해 MT/DU 간 공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MT는 DU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FD(Full-duplex) 운용 시, DU에서의 디코딩을 위하여, MT는 MT의 신호 및 DMRS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DU에게 전송할 수 있다. DU는 MT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FD 운용 시, MT에서의 디코딩을 위하여, DU는 DU의 신호 및 DMRS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MT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IAB 노드(IAB 노드를 예시하나, 릴레이, 리피터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가 신규 설치되는 경우, 설치 환경에 무관하게 설치 방법을 제공하고, IAB 노드는 어떤 듀플렉스 방식이을 사용할지 선정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AB 노드 신규 설치 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FD 방식을 통해 무선 자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특정 듀플렉스 방안을 고정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더 높은 전송률이 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IAB 노드는 주변 환경의 변화(예: 신규 기지국 설치, 신규 IAB 노드 설치, 채널 변경, 부하 증가, 단말 접속 상태 변화)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된 빔(beam)이란 무선 채널에서 신호의 공간적인 흐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혹은 안테나 엘리멘트들(antenna elements)들)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형성 과정은 빔포밍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다수의 안테나 엘리멘트들이 밀집된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신호 이득에 따른 형상(즉, 커버리지)은 지향성(direction)을 가질 수 있다. 신호의 전송(transmission)에 사용되는 빔은 송신 빔 또는 신호의 수신(reception)에 사용되는 빔은 수신 빔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IAB 노드는, 일 구현 예로서, MT를 위한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거나 DU를 위한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IAB 노드가 송신 빔의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장치의 신호 이득이 증가할 수 있다. 송신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 측, 즉 송신 단의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를 통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송신 단은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를 변경하면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송신 빔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송신 단은 동일한(same)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빔 탐색을 위해 IAB 노드의 MT가 CSI-RS들을 수신하는 경우(예: 3GPP TS 38.214 repetition = 'on'), IAB 노드는 CSI-RS들이 동일한(same)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를 통해 전송됨을 가정할 수 있다.
IAB 노드가 수신 빔의 방향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장치의 신호 이득이 증가할 수 있다. 수신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송하는 경우, 신호를 수신하는 측, 즉 수신 단의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spatial domain reception filter)를 통해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AB 노드가, 다른 빔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여러 개의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IAB 노드는 단일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single spatial domain receive filter)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다중 동시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들(multiple simultaneous spatial domain receive filter)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로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SS/PBCH(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기준 신호에 대한 구성(configuration)으로서, CSI-RS resource 혹은 SRS-resource 등과 같은 지시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빔과 연관된(associated wit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빔과 연관된 정보란, 해당 구성(예: CSI-RS resource)이 다른 구성(예: 동일한 CSI-RS resource set 내 다른 CSI-RS resource)과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다른 공간 도메인 필터를 사용하는지 여부, 또는 어떤 기준 신호와 QCL(quasi-co-located)되어 있는지, QCL 되어 있다면 어떤 유형(예: QCL type A, B, C, D)인지를 의미할 수 있다. QCL 유형은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QCL-TypeA': {Doppler shift, Doppler spread, average delay, delay spread}
- 'QCL-TypeB': {Doppler shift, Doppler spread}
- 'QCL-TypeC': {Doppler shift, average delay}
- 'QCL-TypeD': {Spatial Rx parameter}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IAB 노드는 셀 품질, 듀플렉스 별 품질을 얻기 위하여, 빔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IAB 노드는 CSI-RS 혹은 SS/PBCH block에 기반하여 빔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mobile termination)와 DU(distributed unit)을 포함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AB 노드의 MT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듀플렉스(duplex) 방식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방식은 복수의 듀플렉스 방식들 중에서 식별되고,
    상기 복수의 듀플렉스 방식들은 동일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송신 및 수신이 모두 가능한 FD(full duplex) 방식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IAB 노드의 MT 빔들 각각에 대한 측정 품질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MT 빔들 중에서 상기 MT 빔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MT 빔에 기반하여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IAB 노드의 DU 빔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각 DU 빔에 대한 UL(uplink)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IAB 노드의 DU 빔들을 통해,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MT 빔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각 DU 빔에 대한 DL(downlink)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DL 측정 결과 및 상기 UL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듀플렉스 별 성능 지표(metric)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성능 지표에 기반하여 상기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MT 빔의 제1 듀플렉스 방식에 대한 제1 성능 지표(metric)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MT 빔의 제2 듀플렉스 방식에 대한 제2 성능 지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성능 지표 및 상기 제2 성능 지표에 기반하여, 상기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듀플렉스 방식은, 동일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1) 상기 IAB 노드의 MT의 송신과 상기 IAB 노드의 DU의 수신; 또는
    2) 상기 IAB 노드의 MT의 수신과 상기 IAB 노드의 DU의 송신이 가능한 FD(full duplex)이 가능한 듀플렉스 방식이고,
    상기 제2 듀플렉스 방식은,
    1) 상기 IAB 노드의 MT의 통신과 상기 IAB 노드의 DU의 통신이 시간 도메인에서 구분되는 TDD; 또는
    2) 상기 IAB 노드의 MT의 통신과 상기 IAB 노드의 DU의 통신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구분되는 FDD인 듀플렉스 방식인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을 가리키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 혹은 다른 IAB 노드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MT 빔에 기반하여 부모 노드와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부모 노드는 코어망(core network)를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다른 IAB 노드를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mobile termination)와 DU(distributed unit)을 포함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AB 노드의 MT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듀플렉스(duplex) 방식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방식은 복수의 듀플렉스 방식들 중에서 식별되고,
    상기 복수의 듀플렉스 방식들은 동일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송신 및 수신이 모두 가능한 FD(full duplex) 방식을 포함하는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AB 노드의 MT 빔들 각각에 대한 측정 품질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MT 빔들 중에서 상기 MT 빔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MT 빔에 기반하여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IAB 노드의 DU 빔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각 DU 빔에 대한 UL(uplink)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AB 노드의 DU 빔들을 통해,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MT 빔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각 DU 빔에 대한 DL(downlink)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DL 측정 결과 및 상기 UL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IAB 노드의 듀플렉스 별 성능 지표(metric)를 결정하고,
    상기 성능 지표에 기반하여 상기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MT 빔의 제1 듀플렉스 방식에 대한 제1 성능 지표(metric)를 결정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MT 빔의 제2 듀플렉스 방식에 대한 제2 성능 지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성능 지표 및 상기 제2 성능 지표에 기반하여, 상기 듀플렉스 방식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듀플렉스 방식은, 동일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1) 상기 IAB 노드의 MT의 송신과 상기 IAB 노드의 DU의 수신; 또는
    2) 상기 IAB 노드의 MT의 수신과 상기 IAB 노드의 DU의 송신이 가능한 FD(full duplex)이 가능한 듀플렉스 방식이고,
    상기 제2 듀플렉스 방식은,
    1) 상기 IAB 노드의 MT의 통신과 상기 IAB 노드의 DU의 통신이 시간 도메인에서 구분되는 TDD; 또는
    2) 상기 IAB 노드의 MT의 통신과 상기 IAB 노드의 DU의 통신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구분되는 FDD인 듀플렉스 방식인 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듀플렉스 방식을 가리키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 혹은 다른 IAB 노드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MT 빔에 기반하여 부모 노드와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모 노드는 코어망(core network)를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다른 IAB 노드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200012148A 2020-01-31 2020-01-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98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148A KR20210098226A (ko) 2020-01-31 2020-01-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148A KR20210098226A (ko) 2020-01-31 2020-01-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226A true KR20210098226A (ko) 2021-08-10

Family

ID=7731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148A KR20210098226A (ko) 2020-01-31 2020-01-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2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638A1 (en) * 2021-08-18 2023-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simultaneous reception in iab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638A1 (en) * 2021-08-18 2023-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simultaneous reception in iab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76396B (zh) 在空间准共址的高频多载波操作中用于波束管理的系统和方法
CN110546929B (zh) 传输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csi-rs)的方法和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35496B (zh) Ue辅助srs资源分配
CN107534547B (zh) 无线网络中的多用户全双工带内通信
US101355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US201702955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CN110622430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传输数据的设备和方法
EP3675548B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63539A1 (zh) 上报干扰测量的测量结果的方法和装置
CN113228525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估计方向的装置及方法
US118382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170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856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982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401216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f ue-to-ue crosslink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33194A1 (en) Technique for allocating spatial radio resources for a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WO202020647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band dl/ul beam correspondence testing
KR202200817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듀플렉스를 위한 링크 적응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