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284A - 복합성능 방화문 - Google Patents

복합성능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284A
KR20180129284A KR1020170065078A KR20170065078A KR20180129284A KR 20180129284 A KR20180129284 A KR 20180129284A KR 1020170065078 A KR1020170065078 A KR 1020170065078A KR 20170065078 A KR20170065078 A KR 20170065078A KR 20180129284 A KR20180129284 A KR 2018012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rizontal
fire door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858B1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102017006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85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성능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방화문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방화문의 양 측면을 이루는 두 측면프레임;
상기 두 측면프레임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방화문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패널; 및
상기 두 측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프레임은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후단부에서 방화문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결합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후방결합부를 연결하도록 측면부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중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패널은 전면 가장자리가 상기 후방결합부의 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후면패널의 후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된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후방결합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성능 방화문은 후면패널의 가장자리가 측면프레임의 후방결합부와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후면패널과 측면프레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목재 등의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후면패널을 적용하더라도 후면패널을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재질의 후면패널을 적용함으로써 방화문의 실내 측을 미려하고 세련되게 장식할 수 있고, 방화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성능 방화문{Composite performance fire door}
본 발명은 복합성능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단열성을 갖되, 방화문에서 실내를 향한 면을 비금속 재질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한 복합성능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143호(2010.11.16.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열전달 차단부재가 마련된 방화문"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면을 형성하고 후방으로 절곡된 측면을 갖는 제1판재;
후면을 형성하고 절곡된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판재와 일정간격을 두고 단절된 상태로 형성된 제2판재; 및
상기 제1판재 및 상기 제2판재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판재 또는 상기 제2판재의 말단에 끼워지도록 일정 깊이를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가 형성된 수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제1판재와 제2판재가 단절된 상태에서 수지부재를 매개로 상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실내측 또는 실외측의 열기가 반대편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외기가 방화문의 측면과 문틀의 사이로 유입될 경우 방화문의 후면이 단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방화문의 측면과 문틀의 사이로 냉기가 유입될 경우 방화문의 후면이 냉각되어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방화문의 전면(全面)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실내를 향해 배치된 방화문의 후면 측에 결로가 더욱 발생하기 쉬우며, 방화문의 질감이 단조롭고 고급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143호(2010.11.1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화문이 우수한 단열성을 갖도록 하되, 방화문에서 실내 측을 향한 면을 비금속 재질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한 복합성능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성능 방화문은,
방화문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방화문의 양 측면을 이루는 두 측면프레임;
상기 두 측면프레임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방화문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패널; 및
상기 두 측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프레임은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후단부에서 방화문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결합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후방결합부를 연결하도록 측면부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중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패널은 전면 가장자리가 상기 후방결합부의 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후면패널의 후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된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후방결합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성능 방화문은 후면패널의 가장자리가 측면프레임의 후방결합부와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후면패널과 측면프레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목재 등의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후면패널을 적용하더라도 후면패널을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재질의 후면패널을 적용함으로써 방화문의 실내 측을 미려하고 세련되게 장식할 수 있고, 방화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성능 방화문의 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방화문의 일측 부분을 발췌한 평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고정유닛이 체결된 부분을 발췌한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도 1]을 기준으로 전면패널(100) 측을 전방, 후면패널(300) 측을 후방, 문틀(F)에서 방화문(D)의 중심을 향한 측을 내측, 방화문(D)의 중심에서 문틀(F)을 향한 측을 외측으로 방향을 특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성능 방화문(D)은 크게 전면패널(100), 측면프레임(200), 후면패널(300), 고정유닛(400), 마감부재(500), 고정개스킷(600), 코너단열재(700), 보강프레임(800), 측방단열재(900), 중앙단열재(1000) 및 지지개스킷(1100)으로 이루어진다.
전면패널(100)은 방화문(D)의 전면(前面)을 이루는 것으로서,
사각 판 형상의 전면부(110);
전면부(110)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두 수직절곡부(120); 및
두 수직절곡부(120)의 후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두 수평절곡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면프레임(200)은 두 개가 구비되어 전면패널(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방화문(D)의 양 측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된 측면부(210);
측면부(210)의 후단부에서 방화문(D)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결합부(220);
측면부(210)와 후방결합부(220)를 연결하도록 측면부(210)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중첩부(230);
측면부(210)의 전단부에서 방화문(D)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면패널(100)의 수평절곡부(130) 전면과 마주하는 전방결합부(240); 및
측면부(210)와 전방결합부(240)를 연결하도록 측면부(210)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중첩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면패널(100)과 측면프레임(200)은 금속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때 측면프레임(200)의 후방중첩부(230)는 측면프레임(200)을 이루는 금속판재의 후부(後部)를 포개지도록 절곡함으로서 형성되며, 전방중첩부(250)는 측면프레임(200)을 이루는 금속판재의 전부(前部)를 포개지도록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프레임(200)의 후방중첩부(230)는 후면패널(300)의 후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이에 의해 후면패널(300)은 방화문(D)의 측면으로 비(非)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후방중첩부(230)는 그 후단부가 폐문(閉門)시 방화문(D)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문틀(F)에 고정된 패킹(P)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측면프레임(200)과 문틀(F)의 사이로 유입된 냉기 또는 열기가 후면패널(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후면패널(300)은 두 측면프레임(200)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전면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방화문(D)의 후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측면프레임(200)의 후방결합부(220)와 접하는 단열패널(310); 및
단열패널(310)의 후면에 겹쳐진 아우터패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열패널(310)은 불연 또는 준불연 또는 난연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특히 마그네슘 보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패널(320)은 단열패널(310)과 동일한 넓이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진다. 아우터패널(320)은 목재, 합성수지, 세라믹 등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우터패널(320)에는 후술될 고정프레임(410)이 놓일 수 있도록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된 단턱부(321)가 형성된다.
후면패널(300)은 전면의 가장자리가 측면프레임(200)의 후방결합부(220) 후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고정유닛(400)은 두 측면프레임(200)과 후면패널(30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면패널(300)의 후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된 고정프레임(410); 및
고정프레임(410)을 관통하여 후방결합부(22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부재(420)는 나사 또는 리벳으로 이루어져 고정프레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체결된다.
고정프레임(410)은 측면프레임(200)의 후방중첩부(230)와 후면패널(300)의 사이에 개재된 수직부(411), 수직부(411)의 후단부에서 방화문(D)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평부(412), 제1수평부(412)와 겹쳐지도록 제1수평부(412)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제2수평부(413), 그리고 고정부재(420)를 이루는 나사 또는 리벳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제1수평부(412)에 관통 형성된 안착공(4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고정프레임(410)은 후면패널(300)의 측면과 후면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따라서 고정부재(420)의 체결 시 후면패널(30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응력에 의해 후면패널(30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410)은 고정부재(420)가 체결되는 부분이 상호 겹쳐진 제1수평부(412)와 제2수평부(413)로 이루어짐에 따라 후면패널(300)의 가장자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패널(300)을 함께 관통하는 구조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체결 시 후면패널(3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고정프레임(410)의 수직부(411)와 후면패널(300)을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한 후 수직부(411)와 후면패널(300) 사이의 공간을 지나는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마감부재(500)는 후면패널(300)의 단턱부(321)를 메우도록 고정프레임(410)의 후면에 부착됨으로써 고정유닛(400)을 가리어 방화문(D)의 실내 측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게 한다.
마감부재(500)는 발포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패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창문의 틈막이로 사용되는 모헤어(mohai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개스킷(600)은 난연단열재 또는 준불연단열재 또는 불연단열재로 이루어져 전면패널(100)의 수평절곡부(130)와 측면프레임(200)의 전방결합부(24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전면패널(100)의 수평절곡부(130)와 측면프레임(200)의 전방결합부(240) 사이에 개재된 제1밀폐부(610);
제1밀폐부(610)의 내측 단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어 전면패널(100)의 수평절곡부(130) 내측 단부와 측면프레임(200)의 측면부(210) 사이에 개재된 제2밀폐부(620); 및
제2밀폐부(620)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면패널(100)의 수평절곡부(130) 후면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너단열재(700)는 난연단열재 또는 준불연단열재 또는 불연단열재로 이루어져 전면패널(100)의 전면부(110)와 측면프레임(200)의 전방결합부(240)의 사이에 개재된다.
결국, 전면패널(100)과 측면프레임(200)은 측면프레임(200)의 전방결합부(240)가 전면패널(100)의 전면부(110)와 수평절곡부(13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개스킷(600)과 코너단열재(700)에 의해 상호 비(非) 접촉되게 고정된다. 또한, 이때에 측면프레임(200)은 후술될 보강프레임(800), 측방단열재(900) 및 중앙단열재(1000)에 의해 전면패널(100)의 내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개스킷(400)은 전면패널(100)과 측면프레임(200)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틈새를 막아 전면패널(100)과 측면프레임(200)의 사이에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게 한다.
보강프레임(800)은 두 개가 구비되어 두 측면프레임(200)의 내측 면에 각각 근접하게 배치된 것으로서,
측면프레임(200)의 측면부(210) 및 전방중첩부(250)의 내측 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수직보강부(810); 및
수직보강부(810)의 전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보강부(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방단열재(900)는 난연단열재 또는 준불연단열재 또는 불연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두 개가 구비되어 두 측면프레임(200)과 두 보강프레임(800)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다.
결국, 보강프레임(800)은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프레임(200)과 함께 측방단열재(900)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수직보강부(810)의 후단부와 수평보강부(820)의 외측 단부는 측방단열재(900)에 의해 각각 측면프레임(200)의 전방중첩부(250)와 측면프레임(200)의 후방결합부(220)에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측면프레임(200)과 보강프레임(800)이 상호 단열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중앙단열재(1000)는 난연단열재 또는 준불연단열재 또는 불연단열재로 이루어져 전면패널(100)의 전면부(110)와 후면패널(300)의 후면부(310)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두 보강프레임(800)의 사이에 개재된다.
지지개스킷(1100)은 난연단열재 또는 준불연단열재 또는 불연단열재로 이루어지며, 보강프레임(800)의 수평보강부(820)와 전면패널(100)의 전면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전면패널(100)과 보강프레임(800)이 상호 단열된 상태를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게 한다.
결국, 보강프레임(800)은 측방단열재(900)를 매개로 하여 측면프레임(200)을 지지하게 되고, 지지개스킷(1100)을 매개로 하여 전면패널(100)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측면프레임(200)과 전면패널(100)의 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복합성능 방화문(D)은 후면패널(300)의 가장자리가 측면프레임(200)의 후방결합부(220)와 고정프레임(410)의 제1수평부(412) 및 제2수평부(413)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제1수평부(412) 및 제2수평부(413)를 지나 후방결합부(22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420)에 의해 후면패널(300)과 측면프레임(200)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아우터패널(320)을 목재, 합성수지, 세라믹 등의 비금속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후면패널(300)을 적용함으로써 방화문(D)의 실내 측을 미려하고 세련되게 장식할 수 있고, 방화문(D)의 단열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성능 방화문(D)은 전면패널(100)과 두 측면프레임(200)이 고정개스킷(600) 및 코너단열재(700)에 의해 상호 비(非) 접촉식으로 고정됨으로써 단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성능 방화문(D)은 전면패널(100)과 두 측면프레임(200)이 이들의 사이 공간을 채우도록 방화문(D)에 삽입된 고정개스킷(600), 코너단열재(700), 보강프레임(800), 측방단열재(900) 및 중앙단열재(1000)에 의해 상호 고정됨으로써 전면패널(100)과 두 측면프레임(3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나사 또는 리벳이 필요치 않으며, 이에 따라 용이하고, 나사 또는 리벳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화문(D)의 평단면도를 위주로 전면패널(100), 후면패널(200) 및 측면프레임(300)의 연결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연결구조는 방화문(D)의 양 측부는 물론, 방화문(D)의 상부 및 하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면패널 110 : 전면부
120 : 수직절곡부 130 : 수평절곡부
200 : 측면프레임 210 : 측면부
220 : 후방결합부 230 : 후방중첩부
240 : 전방결합부 250 : 전방중첩부
300 : 후면패널 310 : 단열패널
320 : 아우터패널 321 : 단턱부
400 : 고정유닛 410 : 고정프레임
411 : 수직부 412 : 제1수평부
413 : 제2수평부 414 : 안착공
420 : 고정부재 500 : 마감부재
600 : 고정개스킷 610 : 제1밀폐부
620 : 제2밀폐부 630 : 걸림부
700 : 코너단열재 800 : 보강프레임
810 : 수직보강부 820 : 수평보강부
900 : 측방단열재 1000 : 중앙단열재
1100 : 지지개스킷

Claims (9)

  1. 방화문(D)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100);
    상기 전면패널(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방화문(D)의 양 측면을 이루는 두 측면프레임(200);
    상기 두 측면프레임(200)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면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방화문(D)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패널(300); 및
    상기 두 측면프레임(200)과 상기 후면패널(300)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유닛(400);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프레임(200)은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된 측면부(210);
    상기 측면부(210)의 후단부에서 방화문(D)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결합부(220); 및
    상기 측면부(210)와 상기 후방결합부(220)를 연결하도록 측면부(210)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중첩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패널(300)은 전면 가장자리가 상기 후방결합부(220)의 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유닛(400)은
    상기 후면패널(300)의 후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된 고정프레임(410); 및
    상기 고정프레임(410)을 관통하여 상기 후방결합부(22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300)은
    상기 후방결합부(220)와 접하는 단열패널(310); 및
    상기 단열패널(310)의 후면에 겹쳐진 아우터패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410)은
    상기 후방중첩부(230)와 상기 후면패널(300)의 사이에 개재된 수직부(411);
    상기 수직부(411)의 후단부에서 방화문(D)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평부(412);
    상기 제1수평부(412)와 겹쳐지도록 제1수평부(412)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제2수평부(413); 및
    상기 고정부재(420)를 이루는 나사 또는 리벳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수평부(412)에 관통 형성된 안착공(4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300)에는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된 단턱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제1수평부(412)와 제2수평부(413)는 상기 단턱부(321)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321)를 메우도록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후면에 부착된 마감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00)은
    사각 판 형상의 전면부(110);
    상기 전면부(110)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두 수직절곡부(120); 및
    상기 두 수직절곡부(120)의 후단부에서 방화문(D)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두 수평절곡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프레임(200)은
    상기 측면부(210)의 전단부에서 방화문(D)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절곡부(130)의 전면과 마주하는 전방결합부(240); 및
    상기 측면부(210)와 상기 전방결합부(240)를 연결하도록 측면부(210)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중첩부(2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패널(100)과 상기 측면프레임(200)은 상기 수평절곡부(130)와 상기 전방결합부(240)의 사이에 개재된 고정개스킷(600), 그리고 상기 전면부(110)와 상기 전방결합부(240)의 사이에 개재된 코너단열재(700)에 의해 상호 비(非) 접촉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개스킷(600)은
    상기 수평절곡부(130)와 상기 전방결합부(240)의 사이에 개재된 제1밀폐부(610);
    상기 제1밀폐부(610)의 내측 단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절곡부(130)의 단부와 상기 측면부(210)의 사이에 개재된 제2밀폐부(620); 및
    상기 제2밀폐부(620)의 후단부에서 방화문(D)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절곡부(130)의 후면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면프레임(200)의 내측 면에 각각 근접하게 배치된 두 보강프레임(800);
    상기 두 측면프레임(200)과 상기 두 보강프레임(800)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 두 측방단열재(900); 및
    상기 두 보강프레임(800)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전면패널(100)과 상기 후면패널(300)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중앙단열재(10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800)은
    상기 측면부(210) 및 상기 전방중첩부(250)의 내측 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수직보강부(810); 및
    상기 수직보강부(810)의 전단부에서 방화문(D)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보강부(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보강부(810)의 후단부와 상기 수평보강부(820)의 외측 단부는 상기 측방단열재(900)에 의해 각각 상기 전방중첩부(250)와 상기 후방결합부(220)에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부(820)와 상기 전면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수평보강부(820)의 전면에 부착된 지지개스킷(11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성능 방화문.
KR1020170065078A 2017-05-26 2017-05-26 복합성능 방화문 KR10194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078A KR101942858B1 (ko) 2017-05-26 2017-05-26 복합성능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078A KR101942858B1 (ko) 2017-05-26 2017-05-26 복합성능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284A true KR20180129284A (ko) 2018-12-05
KR101942858B1 KR101942858B1 (ko) 2019-01-28

Family

ID=6474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078A KR101942858B1 (ko) 2017-05-26 2017-05-26 복합성능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9701A (zh) * 2019-12-18 2020-05-08 涡阳县幸福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隔热功能的金属门
GB2589956A (en) * 2019-09-09 2021-06-16 Tacam Steel Pte Ltd Composi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435B1 (ko) 2019-04-10 2019-12-11 주식회사 의성방화문 방화문의 문틀 단열방법
KR102076448B1 (ko) * 2019-07-08 2020-02-11 정성수 방화성이 우수한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9956A (en) * 2019-09-09 2021-06-16 Tacam Steel Pte Ltd Composi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119701A (zh) * 2019-12-18 2020-05-08 涡阳县幸福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隔热功能的金属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858B1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858B1 (ko) 복합성능 방화문
KR101788657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CN106016925B (zh) 用于冰箱的门体及其制备方法、冰箱
US20060273700A1 (en) Door comprisign insulating glazing and refrigerating appliance fitted therewith
CN101918778A (zh) 电器门和具有这种门的家用电器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20170141433A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열커튼월
KR20180044591A (ko) 고강도 커튼월결합구조
KR20200068834A (ko)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유리받침대의 조립구조
CN214833810U (zh) 无切缝盒式四面企口金属幕墙夹芯板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863614B1 (ko) 방화문의 단열구조
KR101925486B1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JP6014358B2 (ja) プレハブ式貯蔵庫
KR102214125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20180115085A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JP2018168586A (ja) 戸体および建具
KR20110085644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구조
JP6414849B2 (ja) パネルの接合構造
JP2018087424A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323366Y1 (ko) 금속판재를 연결하는 단열이음부재 및 상기단열이음부재를 구비하는 단열문
KR101697739B1 (ko) 복합 커튼월
KR20190000082A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JP6312286B2 (ja) 目地構造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