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722A -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8722A KR20180128722A KR1020170064201A KR20170064201A KR20180128722A KR 20180128722 A KR20180128722 A KR 20180128722A KR 1020170064201 A KR1020170064201 A KR 1020170064201A KR 20170064201 A KR20170064201 A KR 20170064201A KR 20180128722 A KR20180128722 A KR 201801287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wel
- keys
- key
- consonant
- assig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시스템은 하나의 단자음이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자음키들; 두개의 모음들이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모음키들;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에 할당된 단자음의 격음이 할당되는 하나의 격음키; 및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에 할당된 단자음의 겹음이 할당되거나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에 할당된 모음들 각각의 이중 모음이 할당되는 하나의 겹음키를 포함하되, 4열4행 매트릭스 구조로 제1 행은 {{ㄱ}, {ㄴ}, {ㅅ}, {ㅏ, ㅜ}}, 제2 행은 {{ㄷ}, {ㄹ}, {ㅇ}, {ㅓ, ㅗ}}, 제3 행은 {{ㅁ}, {ㅂ}, {ㅈ}, {ㅣ, ㅐ}}, 제4 행은 {격음키, {ㅎ}, 겹음키, {ㅡ, ㅔ}}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자음과 모음이 배치된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입력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왔다.
첫째는 좌표 방식으로, 현대전자의 '걸리버', SK텔레텍의 '스카이' 등의 이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 방식은 액정화면에 입력하려는 자모를 띄워 좌우 이동키로 커서를 움직여 선택하는 방식이다.
둘째는 연속누르기 방식으로, LG정보통신의 '사이언'구형 모델, 모토로라의 '스타택' 등이 이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 방식은 하나의 키에 2∼3개의 자음 및 모음을 배치해 키를 1∼5회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입력할 자음이나 모음이 표시되도록 한 방식이다.
셋째는 자소의 해체 방식으로, 삼성의 '천지인'이나 LG정보통신의 '나랏글2000' 등이 이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 방식은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더 작은 기본 모양 단위로 해체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지인'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지인'은 모든 모음을 천(ㆍ), 지(ㅡ), 인(ㅣ)의 조합으로 표현한 다. 예를 들어 모음 'ㅏ'는 'ㅣ'와 'ㆍ'의 조합으로, 'ㅑ'는 'ㅣ', 'ㆍ' 및 'ㆍ'의 조합으로, 'ㅙ'는 'ㆍ', 'ㅡ', 'ㅣ', 'ㆍ' 및 'ㅣ'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자음은 하나의 키에 2개씩 배열하여 클릭과 더블 클릭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는 연속해서 3번 클릭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천지인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한글 입력 방식들이 제안되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나랏글2000'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나랏글2000'은 'ㄱ', 'ㄴ', 'ㄹ', 'ㅁ', 'ㅅ', 'ㅇ'을 기본자음하고, '덧쓰기' 기능에 의해 모든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모음 'ㄷ'은 'ㄴ'과 '덧쓰기'의 조합으로, 'ㅈ'은 'ㅅ'과 '덧쓰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ㅋ', 'ㅌ', 'ㅊ, 'ㅍ'의 격음도 평음에 '덧쓰기'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ㄴ'에 '덧쓰기'를 조합하여 'ㄷ'을 만든뒤 다시 '덧쓰기'를 조합하여 'ㅌ'을 만들게 된다. 'ㅑ', 'ㅕ', 'ㅛ', 'ㅠ' 등의 겹모음은 'ㅏ', 'ㅓ', 'ㅗ', 'ㅜ'에 '나란히' 기능을 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종래의 방식들은 한글 한글자를 표시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키입력 횟수가 대단히 많아 한글 문자를 표시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한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먼저, 좌표 방식은 엄밀히 말해 입력이라기보다는 선택이라고 해야 할 것이고, 연속 누르기 방식은 너무나 많은 키 입력 횟수로 인해 실용적 차원에서는 거의 논외가 되고 있다. 이에 비해 자소 해체 방식은 그 실용성을 인정받아 최근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첫째, 몇 가지 기본적인 모양으로 자음과 모음을 재구성해야 하는 관계로 직시성, 즉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배울 수 있는 가능성이 떨어진다.
둘째, 이로 인해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야기된다. 즉 한 자소의 구현을 위해 여러 개의 키를 이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
셋째, 결과적으로 입력 타수가 매우 많게 되고 입력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4*4개의 키로 구현된 키패드 상에서 자음키와 모음키를 서로 다른 열에 배치시키되, 자음과 모음 각각의 사용빈도와 가나다순을 고려하여 배치시킨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은 하나의 단자음이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자음키들; 두개의 모음들이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모음키들;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에 할당된 단자음의 격음이 할당되는 하나의 격음키; 및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에 할당된 단자음의 겹음이 할당되거나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에 할당된 모음들 각각의 이중 모음이 할당되는 하나의 겹음키를 포함하되, 4열4행 매트릭스 구조로 제1 행은 {{ㄱ}, {ㄴ}, {ㅅ}, {ㅏ, ㅜ}}, 제2 행은 {{ㄷ}, {ㄹ}, {ㅇ}, {ㅓ, ㅗ}}, 제3 행은 {{ㅁ}, {ㅂ}, {ㅈ}, {ㅣ, ㅐ}}, 제4 행은 {격음키, {ㅎ}, 겹음키, {ㅡ, ㅔ}}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음은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상위의 행에 배치되거나 상기 모음과 인접한 열에 배치되고, 상기 모음은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상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음키들은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 각각에 할당된 자음 {ㄱ, ㄷ, ㅂ, ㅈ}의 격음 {ㅋ, ㅌ, ㅍ, ㅊ}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겹음키들은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 각각에 할당된 자음 {ㄱ, ㄷ, ㅂ, ㅈ}의 겹음 {ㄲ, ㄸ, ㅃ, ㅉ}이거나,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각각에 할당된 모음 {ㅜ, ㅗ, ㅐ, ㅔ}에 대한 이중 모음 {ㅠ, ㅛ, ㅒ, ㅖ}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하나의 모음키가 클릭되고,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다른 하나의 모음키가 클릭되면, 모음 {ㅝ, ㅟ, ㅞ, ㅚ, ㅘ, ㅢ}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하나의 모음키가 클릭되고,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다른 하나의 모음키가 클릭되면, 입력 순서에 의해 모든 조합 가능한 모음 중 사용 가능한 모음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모음 {ㅓ, ㅗ}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고, 모음 {ㅣ, ㅐ}이 배치된 키를 연속으로 두번 클릭하면, 모음 {ㅙ}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상기 격음키, 상기 겹음키 각각에는 해당 자소와 함께 미리 정해진 기호가 할당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4*4개의 키로 구현된 키패드 상에서 자음키와 모음키를 서로 다른 열에 배치시키되, 자음과 모음 각각의 사용빈도와 가나다순을 고려하여 배치시킴으로써, 키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키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 각각의 사용빈도와 가나다순을 고려하여 배치시키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자소일수록 적은 타수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 각각의 사용빈도와 가나다순을 고려하여 배치시키기 때문에 자판 사용상의 직시성을 높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지인'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나랏글2000'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주글'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호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나랏글2000'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주글'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호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 빈도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배치된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을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4*4개의 키로 구현된 키패드 상에서 자음키와 모음키를 서로 다른 열에 배치시키되, 자음과 모음 각각의 사용빈도와 가나다순을 고려하여 배치시킨 새로운 방식의 전자 기기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한글 입력 시스템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을 포괄하는 전자 기기를 위한 입력 장치로 터치 스크린이나 키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한글 입력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가 키패스 상에서 자음키와 모음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자소를 인식할 수 있다.
새로운 방식의 한글 입력 방식을 '아주글' 입력 방식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주글'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주글'의 키보드 조합은 4열4행 매트릭스 구조의 키로 구현되되, 자음 'ㄱ'이 배치되어 있는 제1 자음키, 자음 'ㄴ'이 배치되어 있는 제2 자음키, 자음 'ㅅ'이 배치되어 있는 제3 자음키, 자음 'ㄷ'이 배치되어 있는 제4 자음키, 자음 'ㄹ'이 배치되어 있는 제5 자음키, 자음 'ㅇ'이 배치되어 있는 제6 자음키, 자음 'ㅁ'이 배치되어 있는 제7 자음키, 자음 'ㅂ'이 배치되어 있는 제8 자음키, 자음 'ㅈ'이 배치되어 있는 제9 자음키, 자음 'ㅎ'이 배치되어 있는 제10 자음키, 격음이 배치되어 있는 격음키, 겹음이 배치되어 있는 겹음키, 모음 'ㅏ'와 'ㅜ'가 함께 배치되어 있는 제1 모음키, 모음 'ㅓ'와 'ㅗ'가 함께 배치되어 있는 제2 모음키, 모음 'ㅣ'와 'ㅐ'가 함께 배치되어 있는 제3 모음키, 모음 'ㅡ'와 'ㅔ'가 함께 배치되어 있는 제4 모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음은 {ㄱ, ㄴ, ㅅ, ㄷ, ㄹ, ㅇ, ㅁ, ㅂ, ㅈ, ㅎ}의 10개의 단자음, {ㅋ, ㅌ, ㅍ, ㅊ}의 4개의 격음(거센소리), {ㄲ, ㄸ, ㅃ, ㅆ, ㅉ}의 5개의 겹음(된소리)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판에 단자음을 최대한 배열하고 '격음'과 '겹음'의 기능을 하는 키를 이용함으로써 '격음'과 '겹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면 이론적으로나 직관적으로 타당한 자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외에도 각 자음의 사용빈도수도 아울러 고려하여 단자음을 최대한 배열하기 위하여 자주 쓰이지 않는 '격음'과 '겹음' 기능을 별도의 키에 배정하였다.
또한,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성되는데, 단모음은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의 10자이고, 이중모음은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의 11자이다.
자판에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을 최대한 배열하고, '격음' 또는 '겹음'의 기능을 하는 키를 이용하여 {ㅑ, ㅠ, ㅕ, ㅛ, ㅒ, ㅖ}을 입력하고,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의 조합에 의해 {ㅝ, ㅟ, ㅞ, ㅚ, ㅘ, ㅢ, ㅙ}을 입력할 수 있다.
자주 쓰이는 자소일수록 적은 타수로 입력해야 효율적이고 빠른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글 문서에서 자소가 사용되는 빈도수는 문서의 종류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의 많은 양의 말뭉치에서 빈도를 구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한글 사용 빈도의 분석'(김흥규, 강범모 저, 컴퓨터와 인문학 시리즈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1997)의 통계치에 의거하였다. 아래의 [표 1]과 [표 2]에 우리말 자음과 모음의 사용빈도수를 제시한다.
백분율(%) | 누적(%) | 백분율(%) | 누적(%) | ||
ㅇ | 21.22 | 21.22 | ㅆ | 1.93 | 94.73 |
ㄴ | 14.96 | 36.18 | ㅊ | 1.63 | 96.36 |
ㄱ | 12.36 | 48.54 | ㅌ | 1.00 | 97.36 |
ㄹ | 10.79 | 59.32 | ㅍ | 0.90 | 98.26 |
ㅅ | 6.84 | 66.17 | ㄸ | 0.57 | 98.84 |
ㄷ | 6.46 | 72.63 | ㄲ | 0.54 | 99.38 |
ㅈ | 5.91 | 78.54 | ㅋ | 0.35 | 99.73 |
ㅁ | 5.33 | 83.87 | ㅉ | 0.15 | 99.89 |
ㅎ | 5.07 | 88.93 | ㅃ | 0.12 | 100.01 |
ㅂ | 3.87 | 92.80 |
백분율(%) | 누적(%) | 백분율(%) | 누적(%) | ||
ㅏ | 21.84 | 21.84 | ㅚ | 1.12 | 95.93 |
ㅣ | 15.33 | 37.17 | ㅛ | 1.01 | 96.94 |
ㅡ | 12.74 | 49.91 | ㅑ | 0.70 | 97.64 |
ㅓ | 10.67 | 60.58 | ㅝ | 0.64 | 98.28 |
ㅗ | 9.80 | 70.38 | ㅟ | 0.54 | 98.82 |
ㅜ | 6.85 | 77.23 | ㅠ | 0.53 | 99.36 |
ㅕ | 4.74 | 81.97 | ㅖ | 0.48 | 99.83 |
ㅐ | 4.61 | 86.58 | ㅙ | 0.12 | 99.95 |
ㅔ | 4.33 | 90.91 | ㅞ | 0.03 | 99.98 |
ㅢ | 2.06 | 92.96 | ㅒ | 0.02 | 100 |
ㅘ | 1.85 | 94.81 |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표 1]과 [표 2]의 빈도수에 따라 상위빈도의 자음과 모음을 한 번 클릭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하며, 하위빈도의 자음과 모음은 두 번 이상의 클릭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자음 {ㄱ, ㄴ, ㅅ, ㄷ, ㄹ, ㅇ, ㅁ, ㅂ, ㅈ, ㅎ}을 한 번 클릭으로 입력하며, 모음 {ㅏ, ㅓ, ㅡ, ㅣ}을 한 번 클릭으로 입력하게 한다. 이로써 전체적인 입력 속도와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으며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빈도가 높은 자음을 위에서부터 배치하거나 모음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모음도 위에서부터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아주글'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자음 키의 조작에 있어서, 한 번 클릭하면 키에 배정된 자음, 연속으로 격음키를 클릭하면 자음의 격음,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자음의 겹음이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ㄱ', 연속으로 격음키를 클릭하면 'ㅋ' 또는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ㄲ'으로, 제3 자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ㅅ',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ㅆ', 제4 자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ㄷ', 연속으로 격음키를 클릭하면 'ㅌ' 또는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ㄸ'으로, 제8 자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ㅂ', 연속으로 격음키를 클릭하면 'ㅍ' 또는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ㅃ'으로, 제9 자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ㅋ', 연속으로 격음키를 클릭하면 'ㅊ' 또는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ㅉ'으로 인식된다.
즉, 제1 자음키, 제4 자음키, 제8 자음키, 제9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 {ㄱ, ㄷ, ㅂ, ㅈ}은 격음과 겹음이 모두 있고, 제3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 {ㅅ}은 겹음만이 있으며, 제2 자음키, 제5 자음키, 제6 자음키, 제7 자음키, 제10 자음키에 해당하는 자음 {ㄴ, ㄹ, ㅇ, ㅁ, ㅎ}은 격음과 겹음이 없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자음 {ㄱ, ㄴ, ㅅ, ㄷ, ㄹ, ㅇ, ㅁ, ㅂ, ㅈ, ㅎ}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면 해당하는 자음이 인식되어 그 인식된 자음이 입력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자음 {ㄱ, ㄷ, ㅂ, ㅈ}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면 해당 자음이 인식되고, 연속으로 격음키를 클릭하면 해당 자음의 격음이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자음 {ㄱ, ㄷ, ㅅ, ㅂ, ㅈ}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면 해당 자음이 인식되고,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해당 자음의 겹음이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격음 또는 겹음이 있는 자음에 상응하는 자음키가 클릭되면, 해당하는 자음의 격음이 격음키에 표시되고, 해당하는 자음의 겹음이 겹음키에 표시되기 때문에, 이렇게 표시된 격음과 겹음을 클릭하여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자음 {ㄱ, ㄷ, ㅂ, ㅈ}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고 격음키를 한번 클릭하면 각각 격음 {ㅋ, ㅌ, ㅍ, ㅊ}이 입력되고, 자음 {ㄱ, ㄷ, ㅂ, ㅈ}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고 겹음키를 한번 클릭하면 각각 겹음 {ㄲ, ㄸ, ㅃ, ㅉ}이 입력된다.
또한, 자음 {ㅅ}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고 겹음키를 한번 클릭하면 겹음 {ㅆ}이 입력된다.
모음 키의 조작에 있어서, 한 번 클릭하면 키에 배정된 좌측 모음, 두 번 클릭하면 우측 모음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ㅏ', 두번 클릭하면 'ㅜ'로, 제2 모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ㅓ', 두번 클릭하면 'ㅗ'로, 제3 모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ㅣ', 두번 클릭하면 'ㅐ'로, 제4 모음키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ㅡ', 두번 클릭하면 'ㅔ'로 인식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모음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면 좌측의 모음 {ㅏ, ㅓ, ㅣ, ㅡ}이 인식되고, 연속으로 두 번 클릭하면 우측의 모음 {ㅜ, ㅗ, ㅐ, ㅔ}이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모음 {ㅏ, ㅜ}, {ㅓ, ㅗ}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면 좌측의 모음이 인식되고,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이중모음 {ㅑ, ㅕ}이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모음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이 배치된 키를 연속으로 두번 클릭하면 우측의 모음이 인식되고, 연속으로 겹음키를 클릭하면 이중모음 {ㅠ, ㅛ, ㅒ, ㅖ}이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모음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이 배치된 키 중 하나를 한번 또는 두번 클릭하고 나서, 모음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이 배치된 키 중 다른 하나를 한번 또는 두번 클릭하면, 모음 {ㅝ, ㅟ, ㅞ, ㅚ, ㅘ, ㅢ, ㅙ}이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모음 {ㅝ, ㅟ, ㅞ, ㅚ, ㅘ, ㅢ, ㅙ}을 입력할 수 있지만, 본원발명에서는 입력 타수를 줄일 수 있는 모음 입력 방안을 제안한다.
즉, 모음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이 배치된 키 중 하나를 한번 클릭하고 나서, 모음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이 배치된 키 중 다른 하나를 한번 클릭하면, 모음 {ㅝ, ㅟ, ㅞ, ㅚ, ㅘ, ㅢ}이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모음 {ㅘ}를 입력하는 경우, 모음 {ㅓ, ㅗ}가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고, 모음 {ㅏ, ㅜ}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면, 사용 가능한 모음을 인식하게 된다. 즉, 입력 순서에 의해 모든 조합 가능한 모음은 {ㅓ, ㅏ}, {ㅓ, ㅜ}, {ㅗ, ㅏ}, {ㅗ, ㅜ}가 되지만, 이 중 사용 가능한 모음 {ㅗ, ㅏ}이 인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음 {ㅝ, ㅟ, ㅞ, ㅚ, ㅘ, ㅢ}이 인식될 수 있다.
다만, 모음 {ㅙ}는 모음 {ㅓ, ㅗ}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고, 모음 {ㅣ, ㅐ}이 배치된 키를 연속으로 두번 클릭해야만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예컨대, "왜 왔냐"를 입력하려는 경우, 자음 {ㅇ}을 한번 클릭, 모음 {ㅓ, ㅗ}을 한번 클릭, 모음 {ㅣ, ㅐ}을 두번 클릭하여 '왜'를 입력하고,
도 6b를 참조하면, 자음 {ㅇ}을 한번 클릭, 모음 {ㅓ, ㅗ}를 한번 클릭, 모음 {ㅏ, ㅜ}를 한번 클릭, 자음 {ㅅ}을 한번 클릭하고 겹음키를 한번 클릭하여 '왔'을 입력하며,
이때, 자음 {ㅅ}을 한번 클릭하면 겹음키에 자음 {ㅆ}이 표시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자음 {ㄴ}을 한번 클릭, 모음 {ㅏ, ㅜ}을 한번 클릭하고 겹음키를 한번 클릭하여 '냐'를 입력함으로써, 총 12번의 키를 눌러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모음 {ㅏ, ㅜ}을 한번 클릭하면 겹음키에 자음 {ㅑ}이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호 입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음 {ㄱ, ㄴ, ㅅ, ㄷ, ㄹ, ㅇ, ㅁ, ㅂ, ㅈ, ㅎ}이 배치된 키를 한번 길게 클릭하면, 기호 {,}, {.}, {?}, {'}, {~}, {^}, {:}, {(}, {)}, {@}가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모음 {ㅏ, ㅜ}, {ㅓ, ㅗ}, {ㅣ, ㅐ}이 배치된 키를 한번 길게 클릭하면, 클릭된 키에 함께 표시된 기호 {!}, {...}, {♡}가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호는 사용자자 자주 쓰는 기호로 미리 설정해두고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음 {ㅡ, ㅔ}를 한번 길게 누르면, 각 자소가 배키된 키에 기호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 하나의 단자음이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자음키들;
두개의 모음들이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모음키들;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에 할당된 단자음의 격음이 할당되는 하나의 격음키; 및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에 할당된 단자음의 겹음이 할당되거나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에 할당된 모음들 각각의 이중 모음이 할당되는 하나의 겹음키;
를 포함하되, 4열4행 매트릭스 구조로 제1 행은 {{ㄱ}, {ㄴ}, {ㅅ}, {ㅏ, ㅜ}}, 제2 행은 {{ㄷ}, {ㄹ}, {ㅇ}, {ㅓ, ㅗ}}, 제3 행은 {{ㅁ}, {ㅂ}, {ㅈ}, {ㅣ, ㅐ}}, 제4 행은 {격음키, {ㅎ}, 겹음키, {ㅡ, ㅔ}}로 배치된,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음은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상위의 행에 배치되거나 상기 모음과 인접한 열에 배치되고,
상기 모음은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상위에 배치되는,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음키들은,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 각각에 할당된 자음 {ㄱ, ㄷ, ㅂ, ㅈ}의 격음 {ㅋ, ㅌ, ㅍ, ㅊ}인,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겹음키들은,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 각각에 할당된 자음 {ㄱ, ㄷ, ㅂ, ㅈ}의 겹음 {ㄲ, ㄸ, ㅃ, ㅉ}이거나,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각각에 할당된 모음 {ㅜ, ㅗ, ㅐ, ㅔ}에 대한 이중 모음 {ㅠ, ㅛ, ㅒ, ㅖ}인,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하나의 모음키가 클릭되고,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다른 하나의 모음키가 클릭되면, 모음 {ㅝ, ㅟ, ㅞ, ㅚ, ㅘ, ㅢ}이 입력되는,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하나의 모음키가 클릭되고,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다른 하나의 모음키가 클릭되면, 입력 순서에 의해 모든 조합 가능한 모음 중 사용 가능한 모음이 입력되는,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ㅏ, ㅜ}, {ㅓ, ㅗ}, {ㅣ, ㅐ}, {ㅡ, ㅔ}} 중 모음 {ㅓ, ㅗ}이 배치된 키를 한번 클릭하고, 모음 {ㅣ, ㅐ}이 배치된 키를 연속으로 두번 클릭하면, 모음 {ㅙ}이 입력되는,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음키들, 상기 복수의 모음키들, 상기 격음키, 상기 겹음키 각각에는 해당 자소와 함께 미리 정해진 기호가 할당되는,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201A KR101927972B1 (ko) | 2017-05-24 | 2017-05-24 |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201A KR101927972B1 (ko) | 2017-05-24 | 2017-05-24 |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8722A true KR20180128722A (ko) | 2018-12-04 |
KR101927972B1 KR101927972B1 (ko) | 2018-12-12 |
Family
ID=6466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4201A KR101927972B1 (ko) | 2017-05-24 | 2017-05-24 |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7972B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7892B1 (ko) * | 2003-01-22 | 2014-03-27 | 김민겸 | 단어 또는 구절의 일부를 각각 풀입력방법 및 단축입력방법으로 처리하는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입력방법 |
-
2017
- 2017-05-24 KR KR1020170064201A patent/KR10192797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7972B1 (ko) | 2018-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81518B2 (ja) | 文字入力装置 | |
CN101021763A (zh) |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 |
CN101334692A (zh) | 连连看拼音输入法 | |
KR101808774B1 (ko) |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1927972B1 (ko) |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
KR101249329B1 (ko) |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EP2668554A2 (en) | Improved data entry systems | |
KR101921586B1 (ko) |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 |
CN100585541C (zh) | 用于输入中文汉字的方法 | |
KR20190066161A (ko) |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 |
KR101634089B1 (ko) | 영문자 입력방법, 영문자 입력장치 및 영문자 입력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JP3110695B2 (ja) | キー入力装置 | |
KR101445061B1 (ko) |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 |
KR101850674B1 (ko)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 |
KR20130004648A (ko) |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 |
JP2012113685A (ja) |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 |
KR100958468B1 (ko) | 한/영 문자 및 숫자 입력 방법 | |
KR20170018280A (ko) | 전자기기용 한글자판의 배열 및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자판 입력 시스템 | |
KR20190084865A (ko) | 문장 예측입력시스템 | |
CN105786206A (zh) | 一声一韵两下与符号快速输入法 | |
KR101954910B1 (ko) | 영문자 입력 방법, 영문자 입력 장치, 및 영문자 입력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20060093264A (ko) | 한자 입출력 장치 | |
KR20240053333A (ko) | 문장예측시스템의 예측단어 선택과 기호입력방법 | |
KR20240056903A (ko) | 문자키에 안내 키를 갖는 안구마우스 문장예측시스템 | |
KR20240029703A (ko) | 멀티 포인터를 활용한 문자 입력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