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389A -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389A
KR20180128389A KR1020187020210A KR20187020210A KR20180128389A KR 20180128389 A KR20180128389 A KR 20180128389A KR 1020187020210 A KR1020187020210 A KR 1020187020210A KR 20187020210 A KR20187020210 A KR 20187020210A KR 20180128389 A KR20180128389 A KR 20180128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s
lever element
jaw
hous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503B1 (ko
Inventor
카이 루테-슈타인지엑
페터 루세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8012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8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the container for the material to be dispensed being de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5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expelling contents, e.g. by squeez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56Holders for collapsibl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8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e.g. this latter being surrounded by an enclosure, or the means for deform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기단부 (2), 상기 기단부 (2) 와 대향하는 상부 섹션 (3) 및 상기 기단부 (2) 와 상기 상부 섹션 (3) 사이의 측벽 섹션들 (4) 을 갖는 하우징 (1), 상기 하우징 (1)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압착기 (10) 로서, 상기 압착기 (10) 는 캐리어 요소 (11) 및 상기 튜브 (24) 를 파지하고 상기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착하기 위한 2 개의 대향하는 죠들 (12) 을 포함하는, 상기 압착기 (10)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1) 은 상기 상부 섹션 (3) 에서의 개구부 (5) 및 상기 측벽 섹션들 (4) 의 대향하는 부분들에서의 개구부들 (8) 을 갖고, 상기 개구부 (5) 를 통하여 상기 튜브 (24) 의 분배 출구가 안내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들 (8) 을 통해 상기 죠들 (12) 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죠들 (12) 은 일 단부가 상기 캐리어 요소 (11) 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압착기 (10) 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죠 (12) 상에 수동 레버 요소 (15) 를 또한 갖고, 상기 레버 요소 (15) 는 상기 레버 요소 (15) 에 수동으로 가해진 압력이 하나의 상기 죠 (12) 에 대한 힘을 다른 하나의 상기 죠 (12) 의 방향으로 발생시키는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연결 영역 (22) 에서 상기 죠 (12) 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 요소 (15) 는 보강 리브들 (17) 을 갖는 몸체 (16) 를 갖고, 상기 보강 리브들 (17)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외부 스킨 (18) 에 의해서 둘러 싸이게 되고, 상기 외부 스킨 (18) 의 하나의 영역은 파지 영역 (19) 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튜브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출되는 물질은 특히 접착제일 수 있다.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이런 종류의 디바이스들은 튜브를 취급하고, 물질을 압출하고, 그리고 표면에 상기 물질을 도포하는 것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의도된다. 특히, 물질의 투여 (dosing) 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의도된다.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EP 24 90 956 B1 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압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기는 지지 요소 및 파지를 위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착하는 2 개의 죠들을 포함한다. 레버 요소들은 압착기의 수동 작동을 위하여 죠들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를 개시하는 것이다. 특히, 디바이스의 취급은, 비교적 낮은 힘이 가해지더라도, 물질이 정확하게 투여될 수 있고, 그리고 튜브가 비워질 수 있다는 취지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주제에 의해서 달성된다. 추가의 실시 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개시되며, 상기 디바이스는 기단부, 상기 기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부분 및 상기 기단부와 상기 상부 부분 사이의 측벽 부분들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압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착기는 지지 요소 및 파지를 위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착하는 2 개의 죠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부 부분에서의 개구부 및 상기 측벽 부분들의 대향 측면들에서의 개구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분에서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튜브의 분배 출구가 안내될 수 있고, 상기 대향 측면들에서의 개구부들에 의해서 죠들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죠들은 일 단부가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압착기는 적어도 하나의 죠 상에 수동 레버 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레버 요소는 상기 레버 요소에 수동으로 가해진 압력이 하나의 죠에 대한 힘을 다른 하나의 죠를 향하여 발생시키는 배열로 연결 영역에서 죠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 요소는 보강 리브들을 갖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리브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외부 쉘에 의해서 둘러 싸이게 되고, 상기 외부 쉘의 하나의 영역은 파지 영역을 형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 영역들에서 수동 레버 요소들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착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압력은 레버 요소로부터 죠들로, 그리고 죠들로부터 변형 가능한 튜브로 전달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레버 요소가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변형 가능한 튜브에 비교적 낮은 힘을 전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를 위해, 레버 요소는 완전히 단단하지 않고, 따라서 완전히 강성적이지 않고, 오히려 내력 성능 (load-bearing capacity) 을 잃지 않으면서 보강 리브들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다. 보강 리브들은 이 경우에 파지 영역에서 노출되지 않지만 폐쇄된 외부 쉘에 의해서 덮혀진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취급을 개선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디바이스가 취급될 때, 파지 영역에서 노출된 리브형 구조물들이 사용자의 손가락들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적어도 불편하고 오히려 고통스러울 수 있고, 이는 상기 디바이스의 취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레버 요소는 연결 영역과 동일한 높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죠에 오목부를 갖는다. 이것은 상기 디바이스의 취급을 더욱 개선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들에 대한 확실한 유지를 만들어 내고, 그리고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손가락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오목부는 시각적으로 파지 영역을 강조한다.
게다가, 레버 요소는, 예를 들면,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오목부에서 레버 요소의 외부 쉘의 곡률 반경 (r) 은 5 mm ≤ r ≤ 50 mm, 특히 16 mm ≤ r ≤ 35 mm 이다. 이런 방식으로 만곡된 부분은 파지 영역에서 특히 확실한 유지를 제공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지 리브들은 파지 영역에서 레버 요소의 외부 쉘 상에 배열된다. 파지 리브들은, 예를 들면, 외부 쉘 상에 최대 1 mm 의 비교적 작은 융기부들로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레버 요소의 종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열될 수 있다. 파지 리브들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취급을 더욱 개선하는데 있다.
파지 리브들은, 예를 들면, 외부 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외부 쉘과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레버 요소와 죠 사이의 연결 영역은 죠의 길이의 25% 미만인 길이 (L) 를 갖는다. 이 경우의 길이 측정은 레버 요소 또는 죠의 종방향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면, L 은 2 mm ≤ L ≤ 20 mm, 특히 3 mm ≤ L ≤ 12 mm 이다.
상기 치수의 경우에, 레버 요소와 죠 사이의 연결 영역은 죠에 사용자에 의해서 레버 요소에 가해지는 힘을 신뢰성있게 전달하기에 충분히 견고하고 안정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상기 연결 영역은 비교적 유연하고, 그리고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를 취급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레버 요소와 죠 사이의 연결 영역은 상기 영역에서 죠의 폭 (b) 의 최대 절반인 최대 폭 (v) 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v 는 최대 7 mm 일 수 있다.
게다가, 레버 요소와 죠 사이의 연결 영역은 지지 요소로부터 볼 때 실질적으로 죠의 3/4 에 배열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일 실시 형태에서, 연결 영역은 지지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죠의 상반부에 배열되지만, 죠의 최상부 20% 의 영역에는 배열되지 않는다.
이런 배열은 최적의 레버 작용이 달성되도록 한다. 연결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힘을 채널링하고, 그리고 죠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힘을 분배한다. 연결 영역이 하우징의 개구부에 너무 근접하게 배열되어서 튜브의 출구에 너무 근접하게 배열되면, 튜브가 그 출구의 바로 근처에서 충분히 유연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과 관련하여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튜브를 완전히 비우는 것도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차례로 연결 영역이 하우징의 개구부 및 따라서 튜브의 출구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도록 배열되면, 죠에 가해진 레버리지가 현저히 낮아지고,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를 낮은 힘으로 더 이상 취급할 수 없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레버 요소의 몸체는 죠들과 일체형이다. 이것은 레버 요소와 죠들이 특히 유연하고 동시에 안정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그 기단부에서 개방되고, 그리고 압착기는 그 개방된 기단부를 통하여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그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과 압착기 사이의 확실한 연결은 이런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개략 분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압착기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에 따른 압착기의 연결 영역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5 는 도 1 에 따른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압착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텅빈 하우징 (1) 을 도시한다. 하우징 (1) 은 기단부 (2), 상기 기단부 (2) 에 대향하는 상부 부분 (3), 상기 기단부 (2) 와 상기 상부 부분 (3) 사이에서 하우징 (1) 을 형성하는 측벽부들 (4) 을 포함한다. 튜브를 갖는 압착기 (도 1 에 미도시) 는 개방된 기단부 (2) 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튜브의 분배 출구는 상부 부분 (3) 에서 개구부 (5) 를 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 (1) 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들 (4) 에서 2 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의 각각에 하나의 개구부 (8) 를 더 포함한다. 개구부들 (8) 아래에서, 측벽부들 (4) 은 개방된 기단부가 둥근 단면을 갖지 않고 오히려 마찬가지로 돌출부들을 포함하도록 외부로 돌출하고 숄더들 (9) 을 형성한다.
도 2 는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전체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도 1 에 따른 하우징 (1), 상기 하우징 (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튜브 (24) 를 갖는 압착기 (10), 상기 하우징 (1) 상에 위치될 수 있는 도포 노즐 (30) 및 상기 도포 노즐 (30) 상에 위치될 수 있는 폐쇄 캡 (40) 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5 에 상세하게 도시된 압착기 (10) 는 튜브 (24) 의 분배 출구가 개구부 (5) 를 통하여 안내되고, 그리고 압착기 (10) 의 레버 요소들 (도 3 내지 도 5 에 보다 상세히 도시됨) 이 개구부들 (8) 에서 노출되거나 개구부들 (8) 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우징 (1) 의 개방된 기단부 (2) 를 통하여 내부에 삽입된 튜브 (24) 와 함께 안내된다.
도 3 내지 도 5 는 압착기 (10) 의 단면 또는 측면을 도시한다. 압착기 (10) 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된 2 개의 죠들 (12) 을 포함하고, 상기 죠들은 펜치들의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고, 그리고 하단부 (13) 가 지지 요소 (11) 에 연결된다. 압착기 (10) 가 하우징 (1) 내로 삽입될 때, 지지 요소 (11) 는 하우징 (1) 의 저부를 형성한다.
휴지 상태에서, 죠들 (12) 은 그 상단부 (14) 가 서로 분기된다. 이것은 도 3a 에 도시된다. 튜브, 예를 들면, 접착제 튜브는 죠들 (12) 이 외부 튜브 벽에 접하도록 죠들 (12)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죠 (12) 는 수동으로, 즉 사용자에 의해서, 그리고 손으로 조작될 수 있는 레버 요소 (15) 를 포함한다. 각각의 레버 요소 (15) 는 연결 영역 (20) 에서 죠 (12) 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 요소는, 예를 들면, 죠 (12) 와 일체형이 되도록 사출 성형된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연결 영역 (20) 은 죠 (12) 또는 레버 요소 (15) 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 (11) 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죠 (12) 의 3/4 에 배열되고, 다시 말해서, 지지 요소 (11) 로부터 멀리 떨어진 죠 (12) 의 상반부에 배열되지만, 죠 (12) 의 최상부 20% 의 영역에는 배열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매우 효과적인 레버 작용이 달성되며, 이는 튜브가 매우 정확하게 그리고 비교적 낮은 힘을 가하는 것으로 압착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잔유물이 튜브로부터 효과적으로 비워질 수 있게 한다. 튜브를 압착하는데 필요한 힘은 전형적으로 18 내지 28 N, 특히 20 내지 25 N 의 범위이다.
게다가, 연결 영역 (20) 은 단지 죠들 (12) 이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죠들 (12) 의 길이의 최대 1/4 에 걸쳐서 연장된다. 죠들 (12) 의 높은 유연성은 또한 죠들 (12) 의 폭의 절반의 횡방향으로 최대 범위를 갖는 연결 영역 (20) 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연결 영역 (20) 은 그의 가장 넓은 지점에서 폭이 6.8 mm 이다.
레버 요소 (15) 는 보강 리브들 (17) 을 갖는 몸체 (16) 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들은 레버 요소 (15) 가 그의 단단하지 않은 형성 (non-solid formation) 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안정적이게 한다. 레버 요소 (15) 의 단단한 형성은 유연성이 결여되게 하고,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취급을 더욱 어렵게 한다. 보강 리브들 (17) 은, 도 3a 내지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요소 (15) 의 종방향을 가로지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보강 리브들은 또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복수의 방향들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들 (17) 또는 만곡된 보강 리브들 (17) 이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리브들 (17) 은 적어도 레버 요소 (15) 의 파지 영역 (19) 에서 레버 요소 (15) 의 표면에서 노출되지 않고, 대신에 외부 셸 (18) 에 의해서 둘러 싸이거나 덮여진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의도된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노출된 보강 리브들 (17) 과 접촉하지 않는다. 외부 쉘 (18) 은 레버 요소 (15) 를 완전히 또는 특정 영역들에서만 둘러 쌀 수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보강 리브들 (17) (도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은 파지 영역 (19) 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노출되고, 그리고 상기 파지 영역에서 외부 쉘 (18) 에 의해서 둘러 싸여지지 않는다.
레버 요소 (15) 는 연결 영역 (20) 과 동일한 높이에서 오목부 (21) 를 가지며, 파지 영역 (19) 은 보다 나은 손가락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오목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튜브 (명확성을 위해 도면들에 미도시) 가 압착될 때의 압착기의 기능은 도 3a 내지 도 3c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a 는 휴지 위치라고 지칭되는 제 1 위치의 압착기 (10) 를 도시하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레버 요소들 (15) 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죠들 (12) 은 넓게 개방되어 있다.
도 3b 는 중간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위치의 압착기 (10) 를 도시하며, 상기 제 2 위치는 손가락들을 사용하여 레버 요소들 (15) 을 함께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서 레버 요소들 (15) 및 따라서 죠들 (12) 에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질 때로 가정된다. 상기 중간 위치에서, 죠들 (12) 은 그 상단부 (14) 가 여전히 서로 상당히 분기되지만, 상기 하단부의 1/3 에서는 이미 서로 접촉되어 있다. 여기서, 죠들 (12) 은 레버 요소들 (15) 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함께 단순히 눌려지지 않고 오히려 각각의 경우에 그 자체로 구부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연결 영역 (20) 의 배열 및 설계는 죠들 (12) 이 구부러지게 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특히 아래로부터 튜브가 효과적으로 비워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c 는 제 3 위치의 압착기 (10) 를 도시하며, 상기 제 3 위치에서, 죠들 (12) 은 서로 완전히 접촉하고, 그리고 도 3b 로부터 진행하여 레버 요소들 (15) 에 힘이 추가로 가해질 때로 가정된다.
도 3a 내지 도 3c 는 튜브가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압착기 (10) 를 도시한다. 튜브가 죠들 (12) 사이에 배열될 때, 죠들 (12) 은 서로 더 이상 접촉할 수 없다. 그때, 접촉 대신에, 밀접한 수렴이 강하게 압착된 튜브가 사이에 배열되는 상태로 발생할 수 있다.
도 4 는 죠 (12) 와 레버 요소 (15) (이 도면에서 미도시) 사이의 연결 영역 (20) 을 도시한다. 여기서, 연결 영역 (20) 은 그 상단부의 영역에서 최대 폭 (v) 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v 는 상기 연결 영역에서 죠 (12) 의 폭 (b) 의 최대 절반이다.
도 5 는 압착기 (10) 의 측면도이다. 외부 쉘 (18) 의 파지 영역 (19) 에 배열되고,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 파지 리브들 (22) 은 그 내부에서 볼 수 있다. 파지 리브들 (22) 은, 예를 들면, 외부 쉘 (18) 자체에 성형물들로서 설계될 수 있다.
1 하우징
2 기단부
3 상부 부분
4 측벽 부분
5 개구부
8 개구부
9 숄더들
10 압착기
11 지지 요소
12 죠
13 제 1 단부
14 제 2 단부
15 레버 요소
16 몸체
17 보강 리브들
18 외부 쉘
19 파지 영역
20 연결 영역
21 오목부
22 파지 리브들
24 튜브
30 도포 노즐
40 폐쇄 캡

Claims (10)

  1.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 기단부 (2),
    - 상기 기단부 (2) 와 대향하는 상부 부분 (3) 및
    - 상기 기단부 (2) 와 상기 상부 부분 (3) 사이의 측벽 부분들 (4) 을 갖는 하우징 (1),
    - 상기 하우징 (1)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압착기 (10) 로서, 상기 압착기 (10) 는 지지 요소 (11) 및 파지를 위해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상기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착하는 2 개의 죠들 (12) 을 포함하는, 상기 압착기 (10)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1) 은 상기 상부 부분 (3) 에서의 개구부 (5) 및 상기 측벽 부분들 (4) 의 대향 측면들에서의 개구부들 (8)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 (5) 를 통하여 상기 튜브 (24) 의 분배 출구가 안내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들 (8) 에 의해서 상기 죠들 (12) 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죠들 (12) 은 일 단부가 상기 지지 요소 (11) 에 고정되고,
    상기 압착기 (10) 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죠 (12) 상에 수동 레버 요소 (1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요소 (15) 는 상기 레버 요소 (15) 에 수동으로 가해진 압력이 하나의 상기 죠 (12) 에 대한 힘을 다른 하나의 상기 죠 (12) 를 향하여 발생시키는 배열로 연결 영역 (22) 에서 상기 죠 (12) 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 요소 (15) 는 보강 리브들 (17) 을 갖는 몸체 (16)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리브들 (17)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외부 쉘 (18) 에 의해서 둘러 싸이게 되고, 상기 외부 쉘 (18) 의 하나의 영역은 파지 영역 (19)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 (15) 는 연결 영역 (20) 과 동일한 높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죠 (12) 에 오목부 (21)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21) 에서 상기 레버 요소 (15) 의 상기 외부 쉘 (18) 의 곡률 반경 (r) 은 5 mm ≤ r ≤ 50 mm, 특히 16 mm ≤ r ≤ 3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영역 (19) 의 상기 파지 리브들 (22) 은 상기 레버 요소 (15) 의 상기 외부 쉘 (18)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 (15) 와 상기 죠 (12) 사이의 연결 영역 (20) 은 상기 죠 (12) 의 길이의 25% 미만인 길이 (L)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L) 는 2 mm ≤ L ≤ 20 mm, 특히 3 mm ≤ L ≤ 12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 (15) 와 상기 죠 (12) 사이의 상기 연결 영역 (20) 은 상기 연결 영역에서 상기 죠 (12) 의 폭 (b) 의 최대 절반인 최대 폭 (v)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 (15) 와 상기 죠 (12) 사이의 연결 영역 (20) 은 상기 지지 요소 (11) 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죠 (12) 의 상반부에 배열되지만, 상기 죠 (12) 의 최상부 20% 의 영역에는 배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 (15) 의 상기 몸체 (16) 는 상기 죠들 (12) 과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1) 은 그 기단부 (2) 에서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압착기 (10) 는 개방된 상기 기단부 (2) 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1) 내로 삽입되어 그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튜브 (24) 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87020210A 2016-04-12 2017-04-11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396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6084.8 2016-04-12
DE102016206084.8A DE102016206084B4 (de) 2016-04-12 2016-04-12 Vorrichtung zum Herausdrücken eines Stoffes aus einer verformbaren Tube
PCT/EP2017/058680 WO2017178487A1 (de) 2016-04-12 2017-04-11 Vorrichtung zum herausdrücken eines stoffes aus einer verformbaren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389A true KR20180128389A (ko) 2018-12-03
KR102396503B1 KR102396503B1 (ko) 2022-05-10

Family

ID=5853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210A KR102396503B1 (ko) 2016-04-12 2017-04-11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56726B2 (ko)
EP (1) EP3442879B1 (ko)
JP (1) JP6957503B2 (ko)
KR (1) KR102396503B1 (ko)
CN (1) CN108698734B (ko)
BR (1) BR112018012457B1 (ko)
CA (1) CA3020366C (ko)
DE (1) DE102016206084B4 (ko)
ES (1) ES2842548T3 (ko)
WO (1) WO2017178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2529A1 (de) * 2016-02-18 2017-08-24 Henkel Ag & Co. Kgaa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Kleb- und oder Dichtstoff
USD886192S1 (en) 2018-12-14 2020-06-02 The Gorilla Glue Company Llc Dispenser for adhesive
US11261018B2 (en) 2018-12-14 2022-03-01 The Gorilla Glue Company Llc Tool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 from a deformable tube
US11407563B2 (en) 2019-11-27 2022-08-09 The Gorilla Glue Company Llc Devices and systems for dispensing material
USD950645S1 (en) 2019-11-27 2022-05-03 The Gorilla Glue Company Llc Dispenser
KR102564677B1 (ko) 2023-02-21 2023-08-08 주식회사 원진포리머 튜브용 압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8229A1 (en) * 2006-03-17 2007-09-20 Taoka Chemical Co., Ltd. Composite container for adhesive
KR20100022009A (ko) * 2007-04-30 2010-02-26 키슬링 아게 계측 디바이스
US20120248145A1 (en) * 2009-10-23 2012-10-04 Loctite (R&D) Limited Device for expressing substances from a deformable tube
KR101560139B1 (ko) * 2015-06-16 2015-10-26 김일한 비틀림 방지 공구용 플라이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980530A1 (en) * 1998-06-30 2000-02-09 Loctite R & D Ltd Device for Expressing Substances from a Deformable Tube
DK1699512T3 (da) * 2003-11-03 2012-09-17 Glaxo Group Ltd Fluiddispenseringsindretning
US8794858B2 (en) * 2011-06-04 2014-08-05 Optmed Inc. Dispenser handle
CN203186657U (zh) * 2013-02-18 2013-09-11 宁波百仕高联合工业有限公司 一种胶水管夹
CN105730799A (zh) * 2014-12-10 2016-07-06 宁波百仕高联合工业有限公司 一种管装胶水的挤胶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8229A1 (en) * 2006-03-17 2007-09-20 Taoka Chemical Co., Ltd. Composite container for adhesive
KR20100022009A (ko) * 2007-04-30 2010-02-26 키슬링 아게 계측 디바이스
US20120248145A1 (en) * 2009-10-23 2012-10-04 Loctite (R&D) Limited Device for expressing substances from a deformable tube
KR101560139B1 (ko) * 2015-06-16 2015-10-26 김일한 비틀림 방지 공구용 플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0366A1 (en) 2017-10-19
CN108698734A (zh) 2018-10-23
ES2842548T3 (es) 2021-07-14
US10556726B2 (en) 2020-02-11
KR102396503B1 (ko) 2022-05-10
JP6957503B2 (ja) 2021-11-02
US20190100356A1 (en) 2019-04-04
EP3442879A1 (de) 2019-02-20
JP2019513642A (ja) 2019-05-30
DE102016206084A1 (de) 2017-10-12
CA3020366C (en) 2024-01-16
EP3442879B1 (de) 2020-11-18
DE102016206084B4 (de) 2018-04-26
CN108698734B (zh) 2020-12-22
WO2017178487A1 (de) 2017-10-19
BR112018012457B1 (pt) 2022-08-23
BR112018012457A2 (pt)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503B1 (ko) 변형 가능한 튜브로부터 물질을 압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RU2410164C2 (ru) Тонкостенное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отформованные за одно целое спусковой механизм и пружину,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TWI495602B (zh) Quantitative discharge of extruded containers
US20170340084A1 (en) Refill for a device for treating the hair, having a coupling relief
KR20090009197A (ko) 가전기기용 텔레스코픽 연장장치
CA2351278C (en) A mop wringer in combination with a mophead
US20230200514A1 (en) Massage applicator
KR20170037947A (ko) 도포 팁을 구비한 튜브
US20040026459A1 (en) Gripping device for flexible bag dispenser
US10495246B2 (en) Fluid line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80113504A (ko) 접착제 및/또는 실런트를 도포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570199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2011030472A (ja) 釣り餌容器
KR102674202B1 (ko) 파마약 용기
KR20220000356U (ko) 튜브짜개
JP3195369U (ja) チューブ容器絞り器
KR101238853B1 (ko) 절약형 봉지
KR102284793B1 (ko) 알뜰형 치약 튜브용기
CN217081026U (zh) 一种用于模具孔洞中的组合式销钉
AU2018280353B2 (en) Cosmetic retrieval device
CN106361449A (zh) 防止喷嘴的脱落的料筒
KR200458641Y1 (ko) 튜브용기 압착구
US20110209298A1 (en) Roller for a cleaning device
JP2019064741A (ja) 定量吐出スクイズ容器
KR20070000517U (ko) 튜브 압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