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613A -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 Google Patents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613A
KR20180127613A KR1020170062612A KR20170062612A KR20180127613A KR 20180127613 A KR20180127613 A KR 20180127613A KR 1020170062612 A KR1020170062612 A KR 1020170062612A KR 20170062612 A KR20170062612 A KR 20170062612A KR 20180127613 A KR20180127613 A KR 2018012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nsing
hard member
reference substrat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7210B1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부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부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부메디칼
Priority to KR102017006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10B1/ko
Priority to CN201720854487.9U priority patent/CN208958453U/zh
Publication of KR2018012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A61H2230/625Pos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에 있어서, 내장실을 형성하는 외피 부재(10)와; 상기 외피 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장실 하부 공간을 채우며 후향 경사면(21)을 구비한 하드 부재(20)와; 상기 하드 부재(20)의 상부와 외피 부재(10)의 상측 하부를 채우는 소프트 부재(30)와; 상기 하드 부재(20)의 후향 경사면(21)에 접면 고정되는 기준 기판(40)과; 상기 기준 기판(40)과 갭(Gap)을 형성하며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감지 기판(50)과; 상기 기준 기판(40)과 감지 기판(50)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 기판(50)과 기준 기판(50)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감지 기판(40)에 의해 기준 기판(4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60)와; 상기 감지 센서(60)로부터 발생한 기판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힘에 관한 전기 신호를 취합하는 신호습득보드(70)와;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습득보드(70)로부터 헤드에 의해 감지 기판(50)을 통하여 가해지는 경추 인장력을 연산하는 마이콤(80, 프로세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Description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 Treatment Pillow with Slumber Monotoring Function }
본 발명은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04683호는 목디스크 예방 베개에 있어, 베개몸체(1)와 베개몸체 잡음대(7)를 각각 구성시키고 서로 결합시켜 목디스크 예방 베개로 구성시킴에 있어 베개몸체(1)의 겉쪽 상부에 목을 언저 놓을 수 있는 목자리홈(2)을 구성시키고 목자리홈(2) 좌,우에 베개몸체를 앞쪽으로 당길 수 있는 손잡이(3)를 구성시키며, 베개몸체의 안쪽 앞쪽면에 스프링 설치홈(6)을 구성시키며 베개몸체(1) 안쪽 양측면벽에 안쪽으로 돌출장석(5)을 구성시키며 베개몸체 잡음대(7)의 겉쪽 양쪽 측면벽에는 돌출장석 설치홈(8)을 구성시키고 이곳에 베개몸체(1)의 돌출장석(5)을 결합시켜 베개몸체(1)와 베개몸체 잡음대(7)를 결합 구성시키며, 한편 베개몸체를 ,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스프링(11)을 구비시켜 스프링 한쪽 끝을 베개몸체(1) 안쪽 앞쪽면에 구성시킨 스프링 설치홈(6)에 고정시키고 스프링의 다른 한쪽 끝은 베개몸체 잡음대(7) 후미에 구성시킨 스프링 설치홈(10)에 고정시킨 다음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서 상기 손잡이를 잡고 앞쪽으로 당기면 스프링이 확대되고 상기 손잡이를 천천히 놓을 때는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스프링의 탄성으로 베개몸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이와는 별도로 음이온 원적외선을 방출시키고 항균, 살균, 탈취력을 갖고 있는 실리카 토르마린과 항균력을 갖고 있는 실리카 은나노를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에 첨가시키고 기능성 목매트(4)를 구성시킴으로서 목매트의 청결함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목자리홈(2)에 설치시켜 목디스크 예방 베개를 완성시킨 다음 상기 손잡이를 잡고 베개몸체(1)를 앞으로 당긴 후 목매트(4) 위에 목을 올려놓고 상기 손잡이를 천천히 놓으면서 목뼈와 목뼈 사이를 이완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디스크 예방 베개를 개시한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경우 경추 인장 기계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경추 인장 치료를 박데 되는데 보통 머리 무게의 1.5배의 힘으로 10 ~ 20초 간격으로 인장과 이완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경추는 비정상적인(중력과 반대되는) 큰 힘을 순간적으로 받게되어 탈출된 디스크가 더 악화되거나 탈출전 디스크가 치료중에 탈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미 디스크가 탈출된 환자의 경우 전문가들이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경추 인장 치료시 비정상적인(중력과 반대되는) 큰 힘을 순간적으로 받게되어 탈출된 디스크가 더 악화되거나 탈출전 디스크가 치료중에 탈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의 자중에 의한 반력 내에서 경추 인장 효과를 발생하되 수면 중 지속적으로 편한 상태에서 인장이 가능하고 수면중 경추 인장이 발생하는 자세가 발생하는 경우 알람이 가능하고 수면 기간 동안에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였는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가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는,
내장실을 형성하는 외피 부재(10)와;
상기 외피 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장실 하부 공간을 채우며
후향 경사면(21)을 구비한 하드 부재(20)와;
상기 하드 부재(20)의 상부와 외피 부재(10)의 상측 하부를 채우는 소프트 부재(30)와;
상기 하드 부재(20)의 후향 경사면(21)에 접면 고정되는 기준 기판(40)과;
상기 기준 기판(40)과 갭(Gap)을 형성하며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감지 기판(50)과;
상기 기준 기판(40)과 감지 기판(50)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 기판(50)과 기준 기판(50)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감지 기판(40)에 의해 기준 기판(4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60)와;
상기 감지 센서(60)로부터 발생한 기판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힘에 관한 전기 신호를 취합하는 신호습득보드(70)와;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습득보드(70)로부터 헤드에 의해 감지 기판(50)을 통하여 가해지는 경추 인장력을 연산하는 마이콤(80, 프로세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의 경추 인장 치료시 비정상적인(중력과 반대되는) 큰 힘을 순간적으로 받게되어 탈출된 디스크가 더 악화되거나 탈출전 디스크가 치료중에 탈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헤드의 자중에 의한 반력 내에서 경추 인장 효과를 발생하되 수면 중 지속적으로 편한 상태에서 인장이 가능하고, 비정상적 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알람이 가능하고 수면 기간 동안에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였는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가 제공된다.
이로인해 디스크 환자가 정자세로 누워서 수명을 취하도록 유도하고 정자세로 수명을 취하는 동한 적당한 힘으로 헤드 자중에 의한 경추 인장효과를 갖도록 하고 비정? 자세를 교정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는,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에 있어서, 내장실을 형성하는 외피 부재(10)와; 상기 외피 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장실 하부 공간을 채우며 후향 경사면(21)을 구비한 하드 부재(20)와; 상기 하드 부재(20)의 상부와 외피 부재(10)의 상측 하부를 채우는 소프트 부재(30)와; 기 하드 부재(20)의 후향 경사면(21)에 접면 고정되는 기준 기판(40)과; 상기 기준 기판(40)과 갭(Gap)을 형성하며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감지 기판(50)과; 상기 기준 기판(40)과 감지 기판(50)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 기판(50)과 기준 기판(50)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감지 기판(40)에 의해 기준 기판(4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60)와; 상기 감지 센서(60)로부터 발생한 기판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힘에 관한 전기 신호를 취합하는 신호습득보드(70)와;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습득보드(70)로부터 헤드에 의해 감지 기판(50)을 통하여 가해지는 경추 인장력을 연산하는 마이콤(80, 프로세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2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에서, 하드 부재(20)는, 사용자의 어깨측(전방)에 설치되는 제1 하드 부재(20a)와, 상기 제1 하드 부재(20a)에 대향되게 사용자의 헤드하부(후방)에 설치되는 제2 하드 부재(2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드 부재(20a)와 제2 하드 부재(20b)는 서로 이격되게 갭(Gap2)을 형성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드 부재(20a) 및 제2 하드 부재(20b) 사이에 하드부재 간극조절 수단(90)이 더 구비된다.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는, 베이스 칼럼(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1 하드 부재(20a)를 후방으로 당기는 수평력 인가 수단(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60)는 비접촉 거리 감지 센서로써 상기 기준 기판(40)과 감지 기판(50) 사이에 설치되는 정전 용량 센서일 수 있다. 아니면, 감지 센서(60)는 감지 기판(40)에 의해 기준 기판(4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로드셀일 수 있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조절 수단(90)은, 밀폐된 에어실(81)과, 에어실(81)을 상하에서 밀폐하는 유연성 자바라(83)와, 에어실(81)에 주입공(86)을 통하여 고압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장치(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콤(80, 프로세서)은 상기 신호습득보드(70)로부터 전달된 감지 기판(50)과 기준 기판(50)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감지 기판(40)에 의해 기준 기판(40)에 가해지는 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한다. 사용자 헤드에 의해 베개를 종방향(후방 - 전방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는 경우 사용자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헤드가 정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 장치에 기록 저장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하여 모니터링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외피 부재
20 : 하드 부재
30 : 소프트 부재
40 : 기준 기판
50 : 감지 기판
60 : 감지 센서
70 : 신호습득보드
80 : 마이콤(80, 프로세서)
90 : 상기 간극조절 수단(90)은,
110 : 베이스 칼럼
120 : 수평력 인가 수단

Claims (3)

  1.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에 있어서,
    내장실을 형성하는 외피 부재(10)와;
    상기 외피 부재(1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장실 하부 공간을 채우며
    후향 경사면(21)을 구비한 하드 부재(20)와;
    상기 하드 부재(20)의 상부와 외피 부재(10)의 상측 하부를 채우는 소프트 부재(30)와;
    상기 하드 부재(20)의 후향 경사면(21)에 접면 고정되는 기준 기판(40)과;
    상기 기준 기판(40)과 갭(Gap)을 형성하며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감지 기판(50)과;
    상기 기준 기판(40)과 감지 기판(50)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 기판(50)과 기준 기판(50)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감지 기판(40)에 의해 기준 기판(4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60)와;
    상기 감지 센서(60)로부터 발생한 기판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힘에 관한 전기 신호를 취합하는 신호습득보드(70)와;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습득보드(70)로부터 헤드에 의해 감지 기판(50)을 통하여 가해지는 경추 인장력을 연산하는 마이콤(80, 프로세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상기 마이콤(80, 프로세서)은 상기 신호습득보드(70)로부터 전달된 감지 기판(50)과 기준 기판(50) 사이의 비접촉 거리 또는 감지 기판(40)에 의해 기준 기판(40)에 가해지는 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헤드에 의해 베개를 종방향(후방 - 전방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는 경우 사용자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헤드가 정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 장치에 기록 저장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하여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부재(20)는,
    사용자의 어깨측(전방)에 설치되는 제1 하드 부재(20a)와,
    상기 제1 하드 부재(20a)에 대향되게 사용자의 헤드하부(후방)에 설치되는 제2 하드 부재(2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드 부재(20a)와 제2 하드 부재(20b)는 서로 이격되게 갭(Gap2)을 형성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드 부재(20a) 및 제2 하드 부재(20b) 사이에 하드부재 간극조절 수단(90)이 더 구비되고,

    베이스 칼럼(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1 하드 부재(20a)를 후방으로 당기는 수평력 인가 수단(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지 센서(60)는 비접촉 거리 감지 센서로써 상기 기준 기판(40)과 감지 기판(50) 사이에 설치되는 정전 용량 센서이거나,
    아니면 상기 감지 센서(60)는 감지 기판(40)에 의해 기준 기판(4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조절 수단(90)은,
    밀폐된 에어실(81)과,
    상기 에어실(81)을 상하에서 밀폐하는 유연성 자바라(83)와,
    상기 에어실(81)에 주입공(86)을 통하여 고압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장치(8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KR1020170062612A 2017-05-21 2017-05-21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KR101957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12A KR101957210B1 (ko) 2017-05-21 2017-05-21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CN201720854487.9U CN208958453U (zh) 2017-05-21 2017-07-14 能监控睡眠的颈椎间盘患者用颈椎拉伸枕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12A KR101957210B1 (ko) 2017-05-21 2017-05-21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613A true KR20180127613A (ko) 2018-11-29
KR101957210B1 KR101957210B1 (ko) 2019-06-19

Family

ID=6456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612A KR101957210B1 (ko) 2017-05-21 2017-05-21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7210B1 (ko)
CN (1) CN208958453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318B1 (ko) * 2004-06-23 2006-07-11 김부길 자세 교정 및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경추 온열 치료기
KR101732262B1 (ko) * 2015-08-07 2017-05-0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용 베개
KR101797189B1 (ko) * 2015-12-29 2017-11-14 박철진 스마트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318B1 (ko) * 2004-06-23 2006-07-11 김부길 자세 교정 및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경추 온열 치료기
KR101732262B1 (ko) * 2015-08-07 2017-05-0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용 베개
KR101797189B1 (ko) * 2015-12-29 2017-11-14 박철진 스마트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210B1 (ko) 2019-06-19
CN208958453U (zh)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1337B (zh) 用于操纵人的休息条件的有源枕头系统和方法
KR101191800B1 (ko) 걸음걸이 진단을 위한 신발 깔창
US9706942B2 (en) Wearable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822208B2 (ja) 運動計測装置
US7048697B1 (en) Biologic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closed pneumatic sound sensor
JP2017506539A (ja) 自動位置調節を備えた患者インタフェース
US20170035329A1 (en) Flexible capacitive pressure sensor and respiration monitor using the same
KR102079343B1 (ko) 거북목 교정기
WO2017032344A1 (zh) 压力信号采集垫和枕头
KR102079341B1 (ko) 거북목 교정기
KR101957210B1 (ko) 수면 모니터링이 가능한 목 디스크 환자용 경추 인장 베개
WO2012036639A1 (en) Eeg electrodes with gated electrolyte storage chamber and an adjustable eeg headset assembly
JP2016030030A (ja) 生体情報検知マット
KR101941543B1 (ko) 수면베개
JP2009279211A (ja) 体動センサ
KR20180064247A (ko) 허리 자세의 가변모드 모니터링 장치
KR20200016249A (ko) 신생아용 맥박계
JP2016146953A (ja) 生体情報検出装置
US20220323009A1 (en) In-canal ear tips
KR101112622B1 (ko) 휴대용 어지럼 진단장치
JP2005052524A (ja) 生体情報収集装置付きベッド
CN203677058U (zh) 挂扣式传感设备的挂扣结构及挂扣式传感设备
CN211325054U (zh) 一种防止脊柱侧弯和驼背的检测带
JP2020039852A (ja) 便座装置
KR102540987B1 (ko) 거북목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