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987B1 - 거북목 교정기 - Google Patents

거북목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987B1
KR102540987B1 KR1020210033605A KR20210033605A KR102540987B1 KR 102540987 B1 KR102540987 B1 KR 102540987B1 KR 1020210033605 A KR1020210033605 A KR 1020210033605A KR 20210033605 A KR20210033605 A KR 20210033605A KR 102540987 B1 KR102540987 B1 KR 102540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neck
spring
fro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881A (ko
Inventor
양정재
Original Assignee
양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재 filed Critical 양정재
Priority to KR102021003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9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Abstract

본원은 거북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는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제1 유닛을 갖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닛을 갖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북목 교정기{TURTLE NECK STRAIGHTENING APPARATUS}
본원은 거북목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는 사람들은 등이 굽어지고 목이 어깨보다 앞쪽으로 치우쳐서 고개가 숙여지는 등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체와 목 등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즉, 사람의 고개가 1센티미터 앞으로 빠질 때마다 목뼈에는 2-3킬로그램의 하중이 더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거북목이 있는 사람들은 최고 15킬로그램까지 목에 하중이 있을 수 있으며, 그 결과 당연히 뒷목과 어깨가 결리고 아플 수 있다.
이러한 거북목 자세는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없을수록 잘 생기지만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일상 생황에서 많이 하는 요즘에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올바르지 않은 자세는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이러한 문제들을 모두 거북목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도 1은 거북목 자세 교정이 필요한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거북목 자세로 발생하는 장애는 생각보다 크고 교정이 어렵다. 또한, 거북목 자세로 인해 근육이 과하게 긴장하는 상태가 장기화되면 근막통증 증후군이 생겨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통증은 지속된다. 그리고 뒤통수 아래 신경이 머리뼈와 목뼈 사이에 눌려서 두통이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통증은 수면을 방해해서 금방 피로해지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거북목 자세를 오래하면 목뼈의 정상적인 역학이 무너져서 목의 관절염이 가속되고, 이는 단순히 통증만 있는 것이 아니라 호흡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목뼈에 붙은 근육들은 갈비뼈를 올려서 호흡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올바르지 않은 거북목 자세는 이 근육들이 수축하는 것을 방해하여 폐활량을 최고 3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거북목 자체 때문은 아니지만 여러 문제들이 발생해서 거북목이 있는 사람들의 골절 위험이 정상인에 비해 1.7배가 높고, 노인들을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 관찰을 했을 때 사망률이 1.4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평상시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거북목 자세가 되지 않도록 스스로 주의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컴퓨터 및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의지만으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9993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이 앞으로 빠지는 자세인 거북목 자세를 교정하여 뒷목과 어깨가 결리고 아플 수 있는 증상을 예방하고, 나아가 근막통증 증후군, 두통, 목의 관절염 예방에도 도움을 주어 일상생활 속에서 거북목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거북목 교정기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는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제1 유닛을 갖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닛을 갖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어깨 부위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제1 몸체부를 통하여 상기 머리 부위에 대해 소정의 미는 힘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제1 유닛의 하면과 상기 제2 유닛의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간에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구조를 갖는 연결 부재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상기 제1 유닛은,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양 단에 연결되는 양 사이드 부재 및 상기 양 사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전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중간부재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양 사이드 부재 중 제1사이드 부재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되, 상기 전면부재가 상기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와 상기 목 부위의 일부를 개방된 형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면부재 운동부 및 상기 양 사이드 부재 중 제2사이드 부재의 끝단에 상기 전면부재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전면부재 결합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재는, 일측 끝단은 상기 전면부재 운동부와 결합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전면부재 결합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제1사이드 부재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전면부재 운동부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사이드 부재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전면부재 결합부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는, 외력이 상기 스프링에 가해진 후, 상기 스프링이 서서히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상기 스프링부의 유형은, 상기 거북목 교정기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목 부위의 유형을 고려하여 달리 결정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머리 부위에 대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제1 쿠션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하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어깨 부위에 대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제2 쿠션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는 상기 제1 쿠션부 및/또는 상기 제2 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온열 기능을 제공하는 온열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는 상기 제1 쿠션부 및/또는 상기 제2 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안마 기능을 제공하는 안마 제공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는 상기 제1쿠션부 및/또는 상기 제2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탈착식 기능을 제공하는 탈착식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제1몸체부가 사용자의 머리 내지 목 부위를 상측 방향으로 견인되도록 하여 거북목 자세를 교정 및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제1 몸체부가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부와 연결 부재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부위 내지 목 부위 전체를 사선방향(대각선 방향)으로 견고히 견인되도록 하여, 거북목 자세가 효과적으로 교정 및 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1은 거북목 자세 교정이 필요한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연결 부재의 벌림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전면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돌출된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3 내지 도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부의 탈착식 블록의 예시인 벨크로 부착형, 탄성밴드형 및 홈 금형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사선방향으로 구비된 스프링부 및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블록"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8은 각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는 제1몸체부(1), 제2몸체부(1'), 연결부재(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거북목 교정기(100)는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도록 착용될 수 있다.
제1몸체부(1)는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도록, 예를 들어 'O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몸체부(1')는 사용자의 목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일예로 ‘ㄷ’자 형상,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몸체부(1)는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제1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머리 부위라 함은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연결되는 머리 밑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제2몸체부(1')는 제1몸체부(1)의 하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거치(지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2)는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사이에 배치되고,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부재(2)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에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hinge, 경첩) 구조를 갖는 연결 부재(2)로서, 고정 연결 부재(2)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2)는 힌지 연결 부재(2)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는 내부에 탄성력 내지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2c)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스프링(2c)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몸체부(1)를 상측 방향으로 벌리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를 오므리기 위해서는 외력을 이용하여 스프링(2c)을 압축하여 오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프링(2c)에 전달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2c)의 탄성력 내지 복원력에 의해 제1몸체부(1)에 상측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어,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는 벌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연결부재(2)에 구비되는 스프링(2c) 등에 의하여 제1몸체부(1)는 상측 방향으로 힘을 전달받게 되고, 전달받은 힘에 의하여 후술하는 전면부재(13)가 사용자의 턱을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하여, 사용자의 목 내지 턱을 상측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2)에 구비되는 스프링(2c)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가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하측 방향으로 압축 또는 팽창하여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2)가 제1부재(2a), 제2부재(2b), 스프링(2c), 지지판(2d)를 구비하여 스프링(2c)의 탄성력 내지 복원력을 이용하여 사선방향으로 벌림 동작 또는 오므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몸체부(1) 내의 제1유닛(10)은, 중간부재(11) 및 중간부재(11)의 양 단에 연결되는(연장 형성되는) 양 사이드 부재(12) 및 양 사이드 부재(12)와 연결되는 전면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양 사이드 부재는 제1 사이드 부재(12a) 및 제2 사이드 부재(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부재(12a)는 일예로 중간부재(11)의 일단에 연결된 부재이고, 제2 사이드 부재(12b)는 일예로 중간부재(11)의 타단에 연결된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기준으로, 일예로 중간부재(11)의 일단은 중간부재(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일단을 의미하고, 중간부재(11)의 타단은 중간부재(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일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중간부재(11)의 일단은 우측에 위치한 일단을 의미하고, 중간부재(11)의 타단은 좌측에 위치한 일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중간부재(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단이 좌측이고 타단이 우측인 것으로 예시하기로 한다.
즉, 제1유닛(10)은 중간부재(11), 중간부재(11)의 일측과 연결되는(즉, 중간부재의 좌측에 연결되는) 제1 사이드 부재(12a) 및 중간부재(11)의 타측과 연결되는(즉, 중간부재의 우측에 연결되는) 제2 사이드 부재(12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몸체부(1') 내의 제2유닛(10')은, 중간부재(11') 및 중간부재(11')의 양 단에 연결되는(연장 형성되는) 양 사이드 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닛(10')의 양 사이드 부재(12')는 제1 사이드 부재(12a') 및 제2 사이드 부재(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부재(12a')는 일예로 중간부재(11')의 일단에 연결된 부재이고, 제2 사이드 부재(12b')는 일예로 중간부재(11')의 타단에 연결된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기준으로, 일예로 중간부재(11')의 일단은 중간부재(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일단을 의미하고, 중간부재(11')의 타단은 중간부재(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일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중간부재(11')의 일단은 우측에 위치한 일단을 의미하고, 중간부재(11')의 타단은 좌측에 위치한 일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중간부재(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단이 좌측이고 타단이 우측인 것으로 예시하기로 한다.
즉, 제2유닛(10')은 중간부재(11'), 중간부재(11')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사이드 부재(12a') 및 중간부재(11')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사이드 부재(12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2)는 제1유닛(10)의 중간부재(11)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재(2)는 제1유닛(10)의 중간부재(11)의 하면의 중심 부분 및 제2유닛(10')의 중간부재(11')의 상면의 중심 부분과 연결되도록(두 중심 부분을 연결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재(13)는 제1유닛(10)의 양 사이드 부재(12)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목 부위 중 턱 부위 내지 턱 하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면부재(13)의 일측은 제1사이드 부재(12a)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제2사이드 부재(12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재(13)의 상측면은 사용자의 턱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전면부재(13)의 후진측면 일부(또는 일부면)가 턱이 안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턱이 안착되는 후진측면 일부에 쿠션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에 구비되는 스프링 등에 의하여 제1몸체부(1)는 상측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전달받은 힘은 전면부재(13)에 전달되며, 전면부재(13)에 안착된 사용자의 턱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유닛(10)의 중간부재(11), 양 사이드 부재(12) 및 전면부재(13)는 거북목 교정기(100) 착용시 안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면부재(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부위 중 턱 부위 내지 턱 하측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턱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양 사이드 부재(12)는 제1몸체부(1)(또는 제1유닛(10))가 사용자의 목 주위를 감쌀 때 사용자의 목 부위 양 측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목 후방을 감싸는 중간부재(11)는 사용자의 목 후방이 안착할 수 있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유닛의 중간부재(11'), 양 사이드 부재(12')는 거북목 교정기(100) 착용시 안착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인 목 후방 하부 및 어깨 부위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양 사이드 부재(12')는 하측으로 유선형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의 연결 부재(2)의 벌림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는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에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연결 부재(2)에 구비된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2의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도 9와 같이 제1몸체부(1)를 상측 방향으로 벌리게 된다.
즉, 연결 부재(2)는 제1몸체부(1)를 상측 방향으로 밀게 되어, 전면부재(13)에 안착된 사용자의 턱을 들어올리는 벌림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목, 턱 내지 얼굴을 상측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도 1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의 전면부재(13)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제1몸체부(1)는 양 사이드 부재(12) 중 제1사이드 부재(12a)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면부재(13)가 결합하여 고정되되, 전면부재(13)가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와 목 부위의 일부를 개방된 형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면부재 운동부(20) 및 양 사이드 부재(12) 중 제2사이드 부재(12b)의 끝단에 전면부재(13)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전면부재 결합부(30)를 더 포함하고, 전면부재(13)는 일측 끝단은 전면부재 운동부(20)와 결합하고 타측 끝단은 전면부재 결합부(30)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13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면부재(13)는 타측 끝단이 전면부재 결합부(30)와 결합하는 경우, 제1몸체부(1)는 사용자의 목 주위를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고, 타측 끝단이 전면부재 결합부(30)와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전면부재(13)가 전면부재 운동부(20)에 의하여 위치가 변할 수 있고, 제1몸체부(1)는 사용자의 목 일부를 감싸고 나머지 일부는 개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전면부재(13)와 전면부재 결합부(30)의 결합이 해제되어 제1몸체부(1)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거북목 교정기(100)를 사용자의 목 부위 일부를 감싸도록 한 뒤, 전면부재(13)의 타측과 전면부재 결합부(30)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목 전체를 감싸도록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거북목 교정기(100)를 완전히 착용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턱은 전면부재(13)에 안착될 수 있고, 연결부재(2)에 의하여 상측 방향의 힘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턱, 얼굴 내지 목을 상측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전면부재(13)의 타측과 전면부재 결합부(30)는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면부재 결합부(30)는 결합부재(13a)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재(13a)는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핀의 형태로, 핀의 일측면 방향이 돌출하되 핀의 끝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두께가 얇아지는 핀이 형성될 수 있다. 핀 형태의 결합부재(13a)는 끝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전면부재 결합부(30)의 홈에 삽입은 용이하나, 삽입 후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핀 형태의 결합부재(13a)에서 일측면으로 돌출된 부위에 의하여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고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전면부재(13)의 타측과 전면부재 결합부(30)의 예시에서, 고정 결합된 전면부재(13)의 타측과 전면부재 결합부(3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전면부재 결합부(30) 또는 제2사이드 부재(12b)는 결합해제 버튼을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가 결합해제 버튼을 누르는 경우 핀 형태의 결합부재(13a)가 홈을 벗어나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전면부재(13)의 일측은 전면부재 운동부(20)와 결합하여 고정되되, 전면부재(13)가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와, 목 부위의 일부를 개방된 형태로 움직이도록 위치를 변경 또는 운동할 수 있다. 전면부재(13)가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라 함은, 전면부재(13)의 일측과 타측이 제1사이드 부재(12a)와 제2사이드 부재(12b)와 연속되는 형태를 형성하여, 제1유닛(10) 또는 제1몸체부(1)가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전면부재(13)가 목 부위 일부를 개방하는 상태라 함은, 전면부재(13)의 타측이 전면부재 결합부(30)와 결합이 해제되고, 제1유닛(10) 또는 제1몸체부(1)가 사용자의 목 부위의 일부를 감싸고, 나머지 일부는 개방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면부재(13)의 일측과 전면부재 운동부(20)는 예시적으로 전술한 연결부재(2)와 같이 힌지 결합을 할 수 있다. 전면부재(13)의 타측은 전면부재 결합부(30)와 결합이 해제되면, 예시적으로, 힌지 결합에 의하여 전면부재(13)의 타측은 우측 방향에서 전진방향, 전진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전면부재(13)는 전면부재 운동부(20), 전면부재 결합부(30)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거나, 전면부재(1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북목 교정기(100)를 탈착할 수 있고,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견고히 고정되어 사용자의 턱 내지 얼굴을 상측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의 돌출된 제1연장부(40) 및 제2연장부(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몸체부(1)는 제1사이드 부재(12a) 내부에 스프링(41)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질 때 전면부재 운동부(20)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연장부(40) 및 제2사이드 부재(12b) 내부에 스프링(51)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질 때 전면부재 결합부(30)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연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40)와 제2연장부(50)는 각각 전진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제1사이드 부재(12a)와 제2사이드 부재(12b) 내부에 위치한 각각의 스프링(41, 51)이 압축되면서, 제1사이드 부재(12a)와 제2사이드 부재(12b)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전면부재 운동부(20) 및 전면부재 결합부(30)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연장부(40)와 제2연장부(50)는 각각 스프링(41, 51)을 포함할 수 있고, 전진방향 외력에 의해 스프링(41, 51)이 압축되어 전진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1연장부(40)와 제2연장부(50)에 각각 연결되는 전면부재 운동부(20)와 전면부재 결합부(30)가 전진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연장부(40)와 제2연장부(50)가 외력에 의해 돌출된 후, 외력이 사라지면 압축된 스프링(41, 51)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1사이드 부재(12a)와 제2사이드 부재(12b)로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하기 위해 전면부재(13)가 전면부재 결합부(30)와 결합이 해제된 상태(즉, 사용자의 목 부위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거북목 교정기(100)를 사용자의 목 부위에 위치시키고, 전면부재(13)의 타측을 전면부재 결합부(3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연장부(40) 및 제2연장부(50)에 전진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제1연장부(40) 및 제2연장부(50)가 각각 제1사이드 부재(12a) 및 제2사이드 부재(12b)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제1연장부(40)와 제2연장부(50)에 연결된 전면부재 운동부(20) 및 전면부재 결합부(30)가 각각 전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면부재 운동부(20), 전면부재 결합부(30)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를 따라 전면부재(13)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는 전면부재(13)의 타측을 보다 쉽게 전면부재 결합부(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40) 및 제2연장부(50)는 각각 스프링(41, 51)을 포함하여, 전진부재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턱을 후진방향으로 견인하는 힘을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거북목 교정기(100)의 교정 효과가 상승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거북목 교정기(100)는 연결 부재(2)가 상측 방향으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턱이 안착되는 전달부재에 동일한 방향인 상측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여 사용자의 턱을 상측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고, 제1연장부(40) 및 제2연장부(50)의 스프링(41, 51)의 복원력에 의해 발생하는 후진 방향의 힘이 전면부재(13)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턱을 후진 방향으로 견인하여, 상측 방향 및 후진 방향의 힘이 결합된 힘이 사용자의 턱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제1연장부(40)와 제2연장부(50)는 외력이 스프링(41, 51)에 가해진 후 전진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1연장부(40)와 제2연장부(50)가 돌출된 후 외력이 사라지면 스프링(41, 51)이 서서히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복원부는 스프링(41, 51)이 서서히 복원, 즉 제1연장부(40) 및 제2연장부(50)가 각각 제1사이드 부재(12a)와 제2사이드 부재(12b)에 서서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 복원부에 의해 전면부재(13)가 급격히 후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는, 제1스프링(3a) 및 제2스프링(3b)를 포함하는 스프링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3)는 제1유닛(10)의 양 사이드 부재(12)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3)는 양 사이드 부재(12) 각각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3a, 3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프링(3a, 3b)은 제1 스프링(3a) 및 제2 스프링(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예로 제1 스프링(3a)은 제1 사이드 부재(12a)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제2 스프링(3b)은 제2 사이드 부재(12b)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프링부(3)는 제1 사이드 부재(12a)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1 스프링(3a) 및 제2 사이드 부재(12b)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2 스프링(3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3)(3a, 3b)는 제1유닛(10)의 하면과 제2유닛(10')의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닛(10) 내 제1 사이드 부재(12a)의 하면에는 제1 스프링(3a)의 상측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1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닛(10') 내 제1 사이드 부재(12a')의 상면에는 제1 스프링(3a)의 하측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2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유닛(10)의 제1 사이드 부재(12a)의 하면에는 제1 사이드 부재(12a)의 하면과 수직이 되는 상측 방향을 향해 제1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유닛의 제1 사이드 부재(12a')의 상면에는 제1사이드 부재(12a')의 상면과 수직하는 하측 방향을 향해 제2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3a)은 일단이 제1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고, 타단이 제2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됨으로써,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스프링부(3)(3a)는 일단이 제1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고, 타단이 제2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됨으로써, 제1유닛(10) 내 제1 사이드 부재(12a)와 제2유닛(10') 내 제1 사이드 부재(12b)의 사이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프링(3a)는 제1 수용홈(미도시) 및 제2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유닛(10) 내 제2 사이드 부재(12b)의 하면에는 제2 스프링(3b)의 상측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3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닛(10') 내 제2 사이드 부재(12b')의 상면에는 제2 스프링(3b)의 하측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4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프링(3b)는 제3 수용홈(미도시) 및 제4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프링(3b)은 일단이 제3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고, 타단이 제4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됨으로써,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스프링부(3)(3b)는 일단이 제3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고, 타단이 제4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됨으로써, 제1유닛(10) 내 제2 사이드 부재(12b)와 제2유닛(10') 내 제2 사이드 부재(12b')의 사이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프링(3a)은 제1유닛(10) 내 제1 사이드 부재(12a)의 하면 및 제2유닛(10') 내 제1 사이드 부재(12a')의 상면과 수직하도록,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프링(3b)은 제1유닛(10) 내 제2 사이드 부재(12b)의 하면 및 제2유닛(10') 내 제2 사이드 부재(12b')의 상면과 수직하도록,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프링부(3)(3a, 3b)는 제1유닛(10)의 하면과 제2유닛(10')의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3)(3a, 3b)는 소정의 탄성력(미리 설정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부(3)(3a, 3b)는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2) 사이에 배치되고, 제2몸체부(1')가 어깨 부위에 거치되었을 때 제1몸체부(1)를 통하여 사용자의 머리 부위(머리 밑 부분)에 대해 소정의 미는 힘(미리 설정된 힘에 대응하는 미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스프링부(3)는 사용자가 제2몸체부(1')를 사용의 어깨 부위에 거치시켜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하였을 때, 압축된 스프링(3a, 3b)의 탄성 복원력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머리 밑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몸체부(1) 내 특히 제1유닛(10)의 상면이 사용자의 머리 밑 부분을 상측 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미는 힘, 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프링부(3)는 압축된 스프링(3a, 3b)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제1몸체부(1)(혹은 제1유닛(10))가 머리 밑 부분을 상측 방향으로 미는 힘(척력)을 가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부(3)는 미관상 보기 좋도록, 일예로 제1 스프링(3a)과 제2 스프링(3b)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스프링(3a)과 제2 스프링(3b) 각각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유닛은 예시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2)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에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hinge, 경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2)에 의하면,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는 연결 부재(2)를 기준으로 제1몸체부(1)의 하면과 제2몸체부(1')의 상면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벌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반대로 제1몸체부(1)의 하면과 제2몸체부(1')의 상면 간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오므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스프링부(3)가 연결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의 벌림 동작의 벌림 각도는, 스프링부(3)(3a, 3b)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도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각도의 최대 각도는 스프링부(3)의 연장 가능한 최대 길이에 대응하는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3)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도는 바람직하게 스프링부(3)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기본 상태(탄성력이 있는 기본 상태)에서의 스프링부(3)의 길이에 해당하는 각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프링부(3)는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사이에 벌어지는 각도를 소정의 각도 이내로 제한함과 더불어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에 부딪히지 않고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완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가 서로 연결되도록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3)에 의하면,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오므림 동작의 발생시, 스프링부(3)에 의해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사이의 충격력이 완화될 수 있다.
즉, 스프링부(3)는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의 오므림 동작의 발생시에, 두 몸체부(1, 1’) 간의 충격을 완화(두 몸체부가 충돌할 때의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스프링부(3)는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에 대하여,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에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에 적용되는 스프링부(3)의 유형은,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목 부위의 유형을 고려하여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부(3)의 유형이라 함은, 스프링부(3)에 포함된 스프링(3a, 3b)의 두께, 길이 및 탄성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목 부위의 유형이라 함은 사용자의 목의 두께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스프링부(3)는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프링부(3)에 포함된 제1 스프링(3a)과 제2 스프링(3b)은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거북목 교정기(100)에 적용되는 스프링부(3)의 유형(스프링의 두께나 길이, 탄성력 등)은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목 부위의 유형(목의 두께나 길이 등)에 따라 달리 결정(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두께라 함은 폭(너비), 둘레 등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목 길이가 제1 길이 범위에 속하는 경우, 스프링부(3) 내에는 제1 길이를 갖는 스프링(3a, 3b)이 포함(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목 길이가 제1 길이 범위 보다 긴 길이를 포함하는 제2 길이 범위에 속하는 경우, 스프링부(3) 내에는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는 스프링(3a, 3b)이 포함(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제1 길이 범위는 0cm 이상 10cm 미만의 범위이고, 제2 길이 범위는 10cm 이상 20cm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제1 길이는 일예로 5cm 이고, 제2 길이는 8c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수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사용자의 목 두께(목 둘레)가 제1 두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스프링부(3) 내에는 제1 두께를 갖는 스프링(3a, 3b)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목 두께(목 둘레)가 제1 두께 범위 보다 긴 길이를 포함하는 제2 두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스프링부(3) 내에는 제1 두께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갖는 스프링(3a, 3b)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두께 범위에 속하는 사용자의 목 둘레는 사용자의 목이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프링부(3)에는 일예로 0cm 이상 5cm 미만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제1 두께로서 가지는 스프링(3a, 3b)이 포함(적용)될 수 있다. 반면, 제2 두께 범위에 속하는 사용자의 목 둘레는 제1 두께 범위에 속하는 사용자의 목 두께 대비 상대적으로 두꺼운 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프링부(3)에는 일예로 5cm 이상 10cm 이하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제2 두께로서 가지는 스프링(3a, 3b)이 포함(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거북목 교정기(100)에는 사용자의 목 부위의 유형을 고려하여 스프링부(3)에 포함된 스프링(3a, 3b)의 유형이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스프링부(3)에 포함된 스프링(3a, 3b)의 유형이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스프링부(3)에 포함된 스프링(3a, 3b)은, 일예로 사용자의 목 부위의 유형을 고려하여 교체될 수도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스프링(3a, 3b)의 상태를 고려하여 교체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3a, 3b)의 상태라 함은 스프링(3a, 3b)의 탄성력 정도(탄성도), 변형 정도(변형도, 변형 수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본 거북목 교정기(100)의 잦은 사용에 의하면 스프링부(3)에 포함된 스프링(3a, 3b)의 탄성도가 초기 탄성도 대비 약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프링부(3)에 의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의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부(3)에 포함된 스프링(3a, 3b)은 탄성도나 변형도(변형 정도) 등과 같은 스프링의 상태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1')는 제2유닛(10')의 양 단과 연결되며 제2유닛(10')의 전방향측에 배치되는 지지 관절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관절 유닛(80)은,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거치되는 제2몸체부(1')(특히 제2몸체부(1') 내 제2유닛(10'))가 어깨 부위에 고정되도록, 제2유닛(10')의 내면을 향해 굽힘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관절 유닛(80)은 제2유닛(10')의 양 단으로부터 전방향을 향하되, 하측으로 굽어지는 유선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관절 유닛(80)은 제2유닛(10')의 양단으로부터 전방향을 향하여 연장될수록(즉, 점차 멀어질수록) 하측 방향을 향하여 곡선 형태를 이루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관절 유닛(80)의 곡선 형상에 의하면, 지지 관절 유닛(80)은 굽힘 동작하였을 때 지지 관절 유닛(80)의 전방향측 일단이 사용자의 가슴 부위 내지 쇄골 부위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굽혀질 수 있다. 즉, 지지 관절 유닛(80)은 굽힘 동작하였을 때 전방향측 일단이 사용자의 가슴 부위 내지 쇄골 부위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굽혀지도록(이동되도록) 굽힘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관절 유닛(80)은 본 거북목 교정기(100)가 사용자의 상체에 견고하게 고정(지지)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관절 유닛(80)은, 제2유닛(10')의 양 사이드 부재 중 제1 사이드 부재(12a')와 연결되는 제1 지지 관절 유닛(81) 및 양 사이드 부재 중 제2 사이드 부재(12b')와 연결되는 제2 지지 관절 유닛(8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관절 유닛(80)은 제2몸체부(1')(특히 제2몸체부(1') 내 제2유닛(10'))가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거치되었을 때 제2몸체부(1')가 사용자의 상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유닛(10')의 내면을 향해 굽힘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관절 유닛(81) 및 제2 지지 관절 유닛(82)은 일예로 단일 관절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제1 지지 관절 유닛(81) 및 제2 지지 관절 유닛(82)에는 복수 개의 관절 부재가 포함될 수 있고, 관절 부재의 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지 관절 유닛(80)에 의한 굽힘 동작의 굽힘 가능 각도의 범위는 일예로 제2유닛(10')의 내면(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하측 후방 방향)을 향하여 0˚ 이상 140˚ 이하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지지 관절 유닛(81) 및 제2 지지 관절 유닛(82) 각각은 제2유닛(10')의 내면을 향하여 0˚ 이상 140˚ 이하의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굽힘 가능하도록(굽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관절 유닛(80)에 의한 굽힘 동작의 굽힘 각도는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체 둘레에 따라 각기 다르게 결정(설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지지 관절 유닛(80)은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체 둘레에 맞게 굽힘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체 둘레에 맞추어, 지지 관절 유닛(80)의 굽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지지 관절 유닛(80)은 굽힘 동작을 통해 본 거북목 교정기(100)가 사용자의 상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굽힘 동작이 이루어진 지지 관절 유닛(80)의 하면은 사용자의 상체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 관절 유닛(80)은 사용자의 상체 부위(특히, 사용자의 가슴 부위 내지 쇄골 부위)에 밀착되도록(최대한 접촉되도록) 굽혀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관절 유닛(80)은, 본 거북목 교정기(100)가 사용자의 상체 혹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어, 거북목 증후군에 대한 효과적인 교정(고정) 내지 예방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몸체부(1)는 상측 영역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위에 대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제1 쿠션부(60)와 제1몸체부(1)의 하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1')는, 제2몸체부(1')의 하측 영역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대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제2 쿠션부(60’)와 제2몸체부(1')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2 지지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쿠션부(60) 및 제2 쿠션부(60’)는 예시적으로 메모리 폼(memory foam)이나 라텍스(latex)와 같은 연한 재질의 소재, 코코넛팜(coconut palm)과 같은 경한 재질의 소재, 솜, 에어(ai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쿠션부(60) 및 제2 쿠션부(60’)는 쿠션감의 제공이 가능한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거북목 교정기(100)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닿는 부분)은 제1 쿠션부(60) 및 제2 쿠션부(60’)와 같이 쿠션감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일예로 플라스틱 계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70)는 제1몸체부(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지지부(70')는 제2몸체부(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70) 및 제2지지부(70')는 예시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부(1)는 제1유닛(10)의 내면에 마련되는 돌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0)는 제1유닛(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50)의 노출 영역은 제1쿠션부(60)나 제2쿠션부(60')와 같이 쿠션감을 제공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제1쿠션부(60) 및/또는 제2쿠션부(60') 내에 구비되고,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에 대하여 온열 기능을 제공하는 온열 발생 유닛(4)을 포함할 수 있다.
온열 발생 유닛(4)은 일예로 제1쿠션부(60) 및 제2쿠션부(60') 내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일예로 제1쿠션부(60) 및 제2쿠션부(6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제1쿠션부(60)에 구비되는 온열 발생 유닛(4)은 제1 온열 발생 유닛이라 달리 표현되고, 제2쿠션부(60')에 구비되는 온열 발생 유닛(4)은 제2 온열 발생 유닛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온열 발생 유닛(4)이 제1 온열 발생 유닛인 경우, 온열 발생 유닛(4)은 사용자의 머리 부위(혹은 목 부분)에 대하여 열을 방출(온열을 발생)시켜 온열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온열 발생 유닛(4)이 제2 온열 발생 유닛인 경우, 온열 발생 유닛(4)은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대하여 열을 방출(온열을 발생)시켜 온열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온열 발생 유닛(4)은 열 방출부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온열 발생 유닛(4)은 일예로 전류를 통해 열이 발생되는 열선(hot wire)과 같은 형태로 쿠션부(30, 30’) 내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열 발생 유닛(4)은 다양한 형태 내지 재료로 이루어진 발열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제1쿠션부(60) 및/또는 제2쿠션부(60') 내에 구비되고,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에 대하여 안마 기능을 제공하는 안마 제공 유닛(5)을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제공 유닛(5)은 온열 발생 유닛(4)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안마 제공 유닛(5)은 일예로 제1쿠션부(60) 및 제2쿠션부(60') 내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일예로 제1쿠션부(60) 및 제2쿠션부(6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제1쿠션부(60)에 구비되는 안마 제공 유닛(5)은 제1 안마 제공 유닛이라 달리 표현되고, 제2쿠션부(60')에 구비되는 안마 제공 유닛(5)은 제2 안마 제공 유닛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안마 제공 유닛(5)이 제1 안마 제공 유닛인 경우, 안마 제공 유닛(5)은 사용자의 머리 부위(혹은 목 부분)에 대하여 안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안마 제공 유닛(5)이 제2 안마 제공 유닛인 경우, 안마 제공 유닛(5)은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대하여 안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안마 제공 유닛(5)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유닛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안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안마 제공 유닛(5)은 쿠션부(30, 30’) 내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마 제공 유닛(5)은 다양한 형태 내지 재료로 이루어진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본 거북목 교정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6)는 온열 발생 유닛(4) 및 안마 제공 유닛(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는 일예로 본 거북목 교정기(100)의 일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6)는 온열 발생 유닛(4)의 동작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는 온열 발생 유닛(4)의 동작 유형으로서, 온열 발생 유닛(4)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방출 온도,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는 안마 제공 유닛(5)의 동작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는 안마 제공 유닛(5)의 동작 유형으로서, 안마 제공 유닛(5) 내 진동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진동의 세기(강도),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제1몸체부(1)에 구비되고,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 유닛(미도시) 및 자세 측정 유닛(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센싱 값을 분석하는 분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세 측정 유닛(미도시)는 일예로 제1몸체부(1) 중 제1유닛(10) 내 중간 부재(11)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세 측정 유닛(미도시)는 사용자의 자세 내지 본 거북목 교정기(100)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일예로 자세 센서(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세 측정 유닛(미도시)에는 사용자의 자세 내지 본 거북목 교정기(100)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각종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분석부(미도시)는 자세 측정 유닛(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센싱 값을 분석할 수 있으며, 센싱 값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른 자세인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이 되는 허용치를 벗어나는지 분석할 수 있다. 센싱 값이 허용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분석부(미도시)는 본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르지 않은 자세(거북목 증후군을 유발하는 거북목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값이 허용치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자세는 올바른 자세로서 정상 자세라 달리 표현되고, 센싱 값이 허용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자세는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서 이상 자세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6)는 분석부(미도시)에 의한 센싱 값의 분석 결과 센싱 값이 허용치를 벗어나되, 미리 설정된 시간(미리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센싱 값이 허용치를 벗어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사용자의 자세가 이상 자세인 것으로 판단(인식)하여 안마 제공 유닛(5)에 포함된 진동 유닛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은 예시적으로 10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부(6)는 일예로, 사용자의 자세가 이상 자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세기의 진동이 제1 패턴으로 발생되도록 진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진동 유닛의 진동 세기(강도)는 일예로 제1 세기(약), 제2 세기(중) 및 제3 세기(강)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패턴은 예시적으로 진동이 1초 간격으로 on/off가 반복되는 형태의 패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자세 측정 유닛(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센싱 값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이상 자세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이상 자세인 경우 제어부(6)의 제어를 통해 진동 유닛의 동작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사용자가 현재 이상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진동으로 알려(인식시켜) 스스로 정상 자세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제1쿠션부(60) 내에 구비되는 감압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거북목 교정기(100)에는 일예로 복수개의 감압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본 거북목 교정기(100)에는 복수개의 감압센서로서 4개의 감압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감압센서 중 제1 감압센서는 제1 관절 유닛(21)의 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제2 감압센서는 제2 관절 유닛(22)의 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제3 감압센서는 제1 사이드 부재에 대응하는 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제4 감압센서는 제2 사이드 부재에 대응하는 쿠션부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감압센서의 수 및 감압센서의 구비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적용)될 수 있다.
분석부(미도시)는 복수개의 감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 값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이상 자세(이는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서, 거북목 증후군을 유발하는 거북목 자세를 의미할 수 있음)를 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미도시)는 복수개의 감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 값 중에 미리 설정 감압 센싱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센싱 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미리 설정된 제2 시간)동안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사용자의 자세가 이상 자세인 것으로 판단(인식)하여 안마 제공 유닛(5)에 포함된 진동 유닛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상 자세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의 진동 유닛의 동작 제어 예는 앞서 설명했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은 예시적으로 10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자세 측정 유닛(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센싱 값의 분석뿐만 아니라, 감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센싱 값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이상 자세인지 판단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상 자세인 경우 제어부(6)의 제어를 통해 진동 유닛의 동작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사용자가 현재 이상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진동으로 알려(인식시켜) 스스로 정상 자세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도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부(60)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13 및 도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부(60)의 탈착식 블록(60a)의 예시인 벨크로 부착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부(60)의 탈착식 블록(60a)의 예시인 탄성밴드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부(60)의 탈착식 블록(60a)의 예시인 홈 금형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2 내지 도16을 참조하면, 본 거북목 교정기(100)는 제1쿠션부(60) 내에 구비되고, 본 거북목 교정기(100)의 사용자에 대하여 탈착식 기능을 제공하는 탈착식 블록(60a)을 포함할 수 있다. 탈착식 블록(60a)은 온열 발생 유닛(4) 및 안마 제공 유닛(5)과 동일내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탈착식 블록(60a)은 일예로 제1쿠션부(60) 및 제2쿠션부(60') 내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일예로 제1쿠션부(60) 및 제2쿠션부(6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탈착식 블록(60a)은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편리에 따라 부착 또는 분리를 하기 위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탈착식 블록(60a)의 구현 예인 벨크로 부착형, 탄성밴드형 및 홈 금형 방식이 설명된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탈착식 블록(60a)은 벨크로 부착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벨크로 부착형 탈착식 블록(60a)은 벨크로의 후크부(수벨크로)를 갖는 영역과 루프부(암벨크로)를 갖는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제1쿠션부(60)가 벨크로의 후크부를 갖는 영역이 될 수 있고, 제1쿠션부(60)를 구비하는 제1몸체부(1)가 벨크로의 루프부를 갖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탈착식 블록(60a)은 제1쿠션부(60)의 형상 내부의 상단과 하단에 벨크로의 후크부를 구비할 수 있고, 제1몸체부(1)의 상단과 하단에 벨크로의 루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13을 참조하면, 제1쿠션부(60)는 제1몸체부(1)의 일부를 감싸기 위해 'ㄷ'자 형태를 형상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쿠션부(60)는 제1몸체부(1)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상될 수 있다.
또한, 도15를 참조하면, 탈착식 블록(60a)은 탄성밴드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탈착식 블록(60a)은 제1몸체부(1)를 감싸는 형태를 형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밴드형 탈착식 블록(60a)은 양쪽 끝단에 벨크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밴드형 탈착식 블록(60a)은 벨크로의 후크부를 갖는 영역과 루프부를 갖는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 탄성밴드형 탈착식 블록(60a)은 버클이나 탄성밴드의 길이 조절을 통해 제1몸체부(1)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16을 참조하면, 탈착식 블록(60a)은 홈 금형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홈 금형 방식이란, 쐐기 맞물림이나 원터치식 기계 결합 방식을 말하며, 예를 들어, 제1몸체부(1)의 내부가 홈을 구비하고, 제1쿠션부(60)의 탈착식 블록(60a)이 상기 홈에 결합 가능한 쐐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 제1쿠션부(60)의 탈착식 블록(60a)이 홈을 구비하고, 제1몸체부(1)가 탈착식 블록(60a)의 홈에 결합 가능한 쐐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탈착식 블록(60a)은 예시적으로, 벨크로 부착형, 탄성밴드형 및 홈 금형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타입의 탈착식 블록(60a)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탈착식 블록(60a)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온열 기능을 제공하는 온열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온열 발생 유닛은 열 방출부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온열 발생 유닛은 일예로 전류를 통해 열이 발생되는 열선(hot wire)과 같은 형태로 탈착식 블록(60a) 내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열 발생 유닛은 다양한 형태 내지 재료로 이루어진 발열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도17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의 사선방향으로 구비된 스프링부(3) 및 연결부재(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7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의 연결부재(2)는 제1 부재(2a), 제2 부재(2b), 스프링(2c) 및 지지판(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a)는 제1몸체부(1)와 고정 결합되되, 홀(h)을 가질 수 있다.
제2부재(2b)는 일단이 제2몸체부(1')와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제1부재(2a)의 홀(h)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1부재(2a)는 제1몸체부(1) 내 제1유닛(10)의 중간부재의 하면과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제2부재(2b)는 제2몸체부(1') 내 제2유닛(10')의 중간부재의 상면과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2c)은 제1부재(2a)의 홀(h) 내에 수용되고, 제1부재(2a)와 제2부재(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2c)은 제1부재(2a)와 제2부재(2b)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2d)은 제1부재(2a)의 홀(h) 내에 수용되되, 제2부재(2b)와 스프링(2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2)는 스프링부(3)와 평행을 이루도록 사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2)는 가스쇽(가스 쇼바), 가스스프링(gasspring)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2)가 제1부재(2a), 제2부재(2b), 스프링(2c), 지지판(2d)를 구비하는 경우 거북목 교정기(100)는 연결 부재(2) 내 스프링(2c)에 의하여 제1몸체부(1)의 위치가 제2몸체부(1')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선방향을 따라 변화됨으로써,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에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제1몸체부(1)는 스프링(2c)의 압축으로 인해, 제2몸체부(1')를 향하여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사선 이동(즉, 제2몸체부(1')에 가까워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에 오므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제1몸체부(1)는 스프링(2c)의 복원(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제2몸체부(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사선 이동(즉, 제2몸체부(1')로부터 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간에 벌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몸체부(1)는 스프링(2c)의 압축시 상대적으로 제2몸체부(1')의 고정 위치를 기준으로 타측 사선방향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제1몸체부(1)는 스프링(2c)의 복원시 상대적으로 제2몸체부(1')의 고정 위치를 기준으로 일측 사선방향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부(3)는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 사이에 배치되고, 제2몸체부(1')가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거치되었을 때 제1몸체부(1)를 통하여 머리 부위에 대해 소정의 미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프링부(3)는 제1유닛(10)의 하면과 제2유닛(10')의 상면에 대해 사선을 이루도록 사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3)는 제1 스프링(3a) 및 제2 스프링(3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닛(10) 내 제1 사이드 부재(12a)의 하면에는 제1 스프링(3a)의 상측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1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닛(10') 내 제1 사이드 부재(12a’)의 상면에는 제1 스프링(3a)의 하측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2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유닛(10)의 제1 사이드 부재(12a)의 하면에는 제1 사이드 부재(12a)의 하면과 사선이 되는 사선방향을 향해 제1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유닛의 제1 사이드 부재(12a’)의 상면에는 제2 사이드 부재(12a’)의 상면과 사선이 되는 사선방향을 향해 제2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3a)는 제1 수용홈(미도시) 및 제2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사선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유닛(10) 내 제2 사이드 부재(12b)의 하면에는 제2 스프링(3b)의 상측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3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닛(10') 내 제2 사이드 부재(12b’)의 상면에는 제2 스프링(3b)의 하측 일단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4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유닛(10)의 제2 사이드 부재(12b)의 하면에는 제2 사이드 부재(12b)의 하면과 사선이 되는 사선방향을 향해 제3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유닛의 제2 사이드 부재(12b’)의 상면에는 제2 사이드 부재(12b’)의 상면과 사선이 되는 사선방향을 향해 제4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프링(3b)는 제3 수용홈(미도시) 및 제4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몸체부(1)와 제2몸체부(1')의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사선 배치될 수 있다.
제1몸체부(1)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스프링부(3)와 연결부재(2)의 스프링(3a, 3b, 2c)는 압축되어 오므림 동작을 할 수 있다.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압축된 스프링부(3)(3) 및 압축된 연결 부재(2)(2) 내 스프링(2c)은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복원된 스프링(3a, 3b, 2c)에 의해 제1몸체부(1)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사선 방향으로 밀리도록 할 수 있으며(즉, 사선 방향으로 견인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1몸체부(1)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 부위가 고정(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복원된 스프링(3a, 3b, 2c)에 의해 전면부재(13)의 상면이 사용자의 턱 부분을 사선 방향으로 밀면서(견인하면서) 지지하도록 해 전면부재(13)에 의하여 사용자의 턱 부분이 정자세로 고정(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거북목 교정기(100)에 의하여 사용자의 거북목 자세가 더 효과적으로 교정(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기(100)는 연결부재(2)의 내측면에 고정수단이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거북목 교정기(100)를 외부 사물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수단은 예시적으로 밸크로가 부착된 끈, 결합수단을 구비한 벨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는 연결부재(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고정수단이 결합하기 위하여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의자의 목받침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거북목 교정기(100)의 후면이 의자의 목받침 등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고정부에 결합하여 거북목 교정기(100)를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외부 사물에 고정된 거북목 교정기(100)를 착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증상을 완화,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거북목 교정기
1: 제1몸체부 1': 제2몸체부
10: 제1유닛 10': 제2유닛
11, 11': 중간부재
12, 12': 양 사이드 부재
13: 전면부재
20: 전면부재 운동부
30: 전면부재 결합부
40: 제1연장부
50: 제2연장부
60: 제1쿠션부 60': 제2쿠션부
60a: 탈착식 블록
70: 제1지지부 70': 제2지지부
80: 지지 관절 유닛
81: 제1지지 관절 유닛
82: 제2지지 관절 유닛
2: 연결부재
3: 스프링부
4: 온열 발생 유닛
5: 안마 제공 유닛
6: 제어부

Claims (12)

  1. 거북목 교정기로서,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지지하는 제1 유닛을 갖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닛을 갖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은,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양 단에 연결되는 양 사이드 부재 및 상기 양사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전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중간부재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양 사이드 부재 중 제1사이드 부재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재가 결합하여 고정되되, 상기 전면부재가 상기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와 상기 목 부위의 일부를 개방된 형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면부재 운동부;
    상기 양 사이드 부재 중 제2사이드 부재의 끝단에 상기 전면부재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전면부재 결합부;
    상기 제1사이드 부재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전면부재 운동부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사이드 부재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전면부재 결합부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부재는,
    일측 끝단은 상기 전면부재 운동부와 결합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전면부재 결합부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재의 타측 끝단이 상기 전면부재 결합부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목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재의 타측 끝단이 상기 전면부재 결합부와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목 일부를 감싸고 나머지 일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전면부재에 상측 방향으로의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는 각각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후진 방향의 힘이 발생하는 것인, 거북목 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어깨 부위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제1 몸체부를 통하여 상기 머리 부위에 대해 소정의 미는 힘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제1 유닛의 하면과 상기 제2 유닛의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인, 거북목 교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간에 벌림 동작 및 오므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구조를 갖는 연결 부재인 것인, 거북목 교정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는,
    외력이 상기 스프링에 가해진 후, 상기 스프링이 서서히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인, 거북목 교정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의 유형은, 상기 거북목 교정기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목 부위의 유형을 고려하여 달리 결정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인, 거북목 교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머리 부위에 대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제1 쿠션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하측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어깨 부위에 대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제2 쿠션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거북목 교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 및/또는 상기 제2 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온열 기능을 제공하는 온열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 및/또는 상기 제2 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안마 기능을 제공하는 안마 제공 유닛을 더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부 및/또는 상기 제2쿠션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탈착식 기능을 제공하는 탈착식 블록을 더 포함하는 거북목 교정기.
KR1020210033605A 2021-03-15 2021-03-15 거북목 교정기 KR102540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605A KR102540987B1 (ko) 2021-03-15 2021-03-15 거북목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605A KR102540987B1 (ko) 2021-03-15 2021-03-15 거북목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81A KR20220128881A (ko) 2022-09-22
KR102540987B1 true KR102540987B1 (ko) 2023-06-12

Family

ID=8344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605A KR102540987B1 (ko) 2021-03-15 2021-03-15 거북목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9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341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179998B1 (ko) 2020-07-07 2020-11-17 (주)퓨어플랜 거북목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633B1 (ko) * 2018-11-01 2020-12-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기
KR20210000165U (ko) * 2019-07-12 2021-01-20 이기양 턱 교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341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179998B1 (ko) 2020-07-07 2020-11-17 (주)퓨어플랜 거북목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81A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343B1 (ko) 거북목 교정기
EP2800492B1 (en) Helmet provided with an adjustable device for the helmet comfort liner
JP6358853B2 (ja) 動作補助装置
KR102079341B1 (ko) 거북목 교정기
JP2007159818A (ja) ストレッチマット
KR102048790B1 (ko) 공기주입으로 인해 구동되는 베개타입의 목 견인기
JP4170333B2 (ja) 伏臥用枕
JP6060170B2 (ja) 体幹装具
CN115778659B (zh) 基于柔性预紧的可调节驼背矫正器
KR20220033951A (ko) 경추교정 운동기구
KR102540987B1 (ko) 거북목 교정기
JP6338220B2 (ja) 胸部安定化装置
KR20160125825A (ko) 척추 지지 및 견인 장치
CN212756013U (zh) 姿势矫正装置
KR101294556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CN103402465B (zh) 颈部缓解装置及用于颈部缓解装置的帽子
KR20110063946A (ko) 목 보호대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102360195B1 (ko) 척추 보조 기구
KR20170005173A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CN105848528A (zh) 具有保持机构的颈靠
JP3959979B2 (ja) エアーマッサージ機
CN220756997U (zh) 一种颈枕
JP2005118397A (ja) 快適枕
KR102599666B1 (ko) 거북목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