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371A - 떠 있는 메쉬 면을 갖는 안창 - Google Patents

떠 있는 메쉬 면을 갖는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371A
KR20180127371A KR1020187027872A KR20187027872A KR20180127371A KR 20180127371 A KR20180127371 A KR 20180127371A KR 1020187027872 A KR1020187027872 A KR 1020187027872A KR 20187027872 A KR20187027872 A KR 20187027872A KR 20180127371 A KR20180127371 A KR 20180127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foam base
suspension
insole
mesh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229B1 (ko
Inventor
라이언 링홀쯔
헝-치아 린
Original Assignee
플라에,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에, 인크. filed Critical 플라에, 인크.
Priority to KR102023703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529A/ko
Publication of KR2018012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386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specially adapted for sweaty feet;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specially adapted for sweaty feet; waterproof
    • A43B17/102Moisture absorbing socks; Moisture dissipating soc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에 형성된 캐비티 위에 신장되어 있고 떠 있는 메쉬 재료로 구성되는 안창이 제공된다. 상기 메쉬는 발포 베이스와 상기 발포 베이스의 아래에 배치된 경질 프레임을 둘러싼다. 캐비티가 발포 베이스의 상단면과 발포 베이스 위에 배치된 메쉬의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에 대해 "트램펄린" 효과를 제공하도록, 발포 베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현수형 메쉬 면을 갖는 안창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원에 그 내용 전체가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2016년 2월 25일에 "INSOLE WITH SUSPENDED MESH SURFACE"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299,587호와 관련이 있고 이 미국 가특허 출원을 U.S.C. § 119(e)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종래의 신발류용 안창은 발포재 등과 같은 압축 재료로 만들어진다. 발포재는 착용자의 발에 일정 수준의 편안함을 제공하지만,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전체 발에 들어맞지 않고, 이에 따라 특정 압박 지점만을 지지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특정 안창은 다른 사용자들 보다는 일부 사용자들에게 더 잘 어울리므로, 일관되게 사용자에게 편안한 신발을 사용자가 찾기가 힘들다.
발포 안창의 다른 단점은, 발포 안창이 공기가 발 주위에서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발의 땀이 발포재 상에 모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모든 착용자에게 맞춤형 핏을 제공하는, 안창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창 상에 형성되는 땀을 감소시키는, 안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에 형성된 캐비티 위에서 신장되어 있고 떠 있는 메쉬 재료로 구성되는 안창이 제공된다. 상기 메쉬는 발포 베이스와 상기 발포 베이스의 아래에 배치된 경질 프레임을 둘러싼다. 캐비티가 발포 베이스의 상단면과 발포 베이스 위에 배치된 메쉬의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에 대해 "트램펄린" 효과를 제공하도록, 발포 베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메쉬 재료는 신발의 갑피에 고정된다. 갑피가 밑창에 고정된 경우에, 신발의 착용자가 "트램펄린" 효과를 경험할 수 있기 위하여, 신발의 밑창의 내부는 신발의 밑창에 있어서의 발포재 층과 메쉬 층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목적과 그 밖의 특징 및 목적은, 여러 도면에 걸쳐서 대응하는 참조 부호들이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내고 있는 첨부 도면에 비추어 읽을 필요가 있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창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측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모든 구성요소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12는 안창의 폭을 가로질러 취한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안창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안창의 길이를 따라 취한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안창을 사용하고 있을 때, 안창의 길이를 따라 취한 도 1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경질 프레임과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가 동시 성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안창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안창의 측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18은 안창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안창의 길이를 따라 취한 도 15에 도시된 안창의 구성요소들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라스트에 끼운 메쉬 갑피의 바닥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라스트에 끼운 메쉬 갑피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라스트에 끼운 메쉬 갑피의 절취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라스트에 끼운 메쉬 갑피의 다른 절취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안창(10)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로 만들어진 발포 베이스(12)를 포함한다. 경질 프레임(14)이 발포 베이스(12)의 아래에 배치되고, 발포 베이스(12)와 경질 프레임(14)은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에 삽입된다. 경질 프레임(14)은,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 안에 넣어진 경우, 서스펜션 메쉬에 텐션을 유발하는 데 필요한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경질 프레임(14)은 나일론 또는 탄소 섬유로 구성된다.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는 사전에 꿰매 놓은 인클로저 또는 "글러브"로서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발포 베이스(12)와 경질 프레임(14)을 사전에 조립한 후에, 서스펜션 메쉬로 만들어진 메쉬 "글로브"(16)에 억지 끼워맞춤한다.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는 슬릿 개구(20)를 포함하고, 이 슬릿 개구를 통하여 사전 조립한 발포 베이스(12)와 경질 프레임(14)이 억지 끼워맞춤된다.
안전 커버(18)가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의 아래에 배치된다. 안전 커버(18)는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구조적으로 안전한 커버(18)는,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가 사전 조립한 발포 베이스(12)와 경질 프레임(14) 위에 억지 끼워맞춤된 후, "글러브" 구성요소가 이동하고 움직이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안전 커버(18)는 또한,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의 슬릿 개구(20)와 "글러브" 구조의 바늘땀을 은폐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해 보면, 안창(10)의 단면도는, 서스펜션 메쉬 층(16)이 경질 프레임(14)과 발포 베이스(12) 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프레임의 경질 구조로 인해,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의 상단과 발포 베이스(12)의 사이에 공기 채널(22)을 형성하도록, 메쉬는 발포 베이스(12)의 상단면 위에 떠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메쉬는, 주위 공기가 서스펜션 메쉬 층(16)과 발포 베이스(12)의 상단면 사이로 지나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트램펄린 핏(trampoline fit)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안창(10)의 구조는 착용자에게 두 가지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첫 번째로,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의 메쉬는, 착용자의 발의 윤곽을 따르도록 휘어, 압박 지점을 따르며 고유하게 필요한 곳에서 착용자를 지지할 것이므로, 맞춤형 핏을 제공한다. 이는 트램펄린 위에 서 있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데, 이 경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발의 고유의 토포그래피 주위에 순응할 것이다. 두 번째로, 발이 들어 올려질 때,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는 다시 튀어나와서 주위 공기가 발 아래에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는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땀으로부터 습기가 형성되는 방지하고 발을 격리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종래의 압축 풋 베드(foot bed)를 단순히 천공하여 발이 항상 풋 베드의 대부분과 접촉해 있는 상태로 남게 되는 다른 해결 방안에 비해 상당한 이점이다.
도 15~도 18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서스펜션 메쉬(16a)는 경질 프레임(14a)과 동시 성형되어, "글러브" 구조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16a)와 경질 프레임(14a)은 동시 성형되며 이에 따라 본질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심미적으로 깔끔한 모습을 제공하므로, 안전 커버(18)는 선택적일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발포 베이스(12)만이 메쉬 인클로저(16a)에 삽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양한 타입의 메쉬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스태틱 메쉬(static mesh)가 이용된다. (발의 바닥에 있는) 충격의 초점은 메쉬에 가하는 텐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스태틱 메쉬가 특히 적절하다. 또한, 안창의 구조에서 메쉬의 수직 탄력성을 위해 할당되는 공간은, 신발의 내부 체적뿐만 아니라, 대개의 경우에 최대 15 ㎜인 발가락 대 발뒤꿈치의 상승 높이에 의해 제한된다. 경질 프레임(14) 자체는 또한, 프레임의 디자인(측벽 각도 및 윤곽) 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경도 및 재료 조성에 따라 고유의 양의 탄력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메쉬 층의 탄력성에 대한 제어는, 프레임의 디자인과 재료 조성을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재료 특성들이 이들 재료의 구조적 무결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허용하는 것으로 교시된 바와 같이, 메쉬는 인장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메쉬 재료는 장섬유 형태의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진다. 연속 섬유라고도 알려져 있는 이러한 장섬유는, 200 내지 500의 일반 종횡비(섬유 길이 대 직경의 비로서 정의됨)를 갖는다. 상기 장섬유의 경우, 인장 강도를 견딜 수 있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메쉬는 Chang Sing Co., Ltd.에서 직물 코드 CS366으로 판매하는 통기성이 큰 메쉬로 제조된다. 이러한 메쉬는 독일에서 제조되고 Liebers에 의해 판매되는 트리콧 편기에서 편성된다. 상기 메쉬에 사용되는 섬유는 150 데니어/48 필라멘트(50% 삼각 단면 광택 원사 및 50% 반무광 원사)이다. 버진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지칭되는 상기 원사는 Nanya Plastics Corporation에서 입수할 수 있다. 많은 다른 메쉬 재료도 유사한 특성을 나타낸다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메쉬는, (Stoll v-베드 위편기 등과 같은) CNC 편기에서, 싱글 시임리스 직물 내에 복수의 상호 연결된 층을 편성한 것으로, 이를 대개 3D 편성 또는 성형이라 한다. 질적으로 그 범위가 탄력성에서부터 구조성에까지 이르는 복수의 원사를 이용하는 추가적인 능력을 통해, CNC 편기는, 착용자에 대해 무한한 조절 가능성과 개인 맞춤성을 용납하도록 재료의 특성 및 기하구조에서 있어서 큰 차별성을 갖는 직물의 생산을 허용한다(예를 들어, 착용자가 회내를 상쇄시키기 위해 발의 안쪽 측부에서 큰 지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 서스펜션 메쉬는 발뒤꿈치의 안쪽 측부에 있어서 스태틱 스레드로 편성되어 기하구조를 치밀화할 수 있다).
이제 도 19~도 22를 살펴보면, 메쉬(24)가 종래의 라스팅 보드를 대신하여 사용되어 있고 메쉬(24)가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캐비티를 갖는 상태로 갑피(25)가 밑창에 정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발포 베이스(12)와 경질 프레임(14) 상에 끼워맞춰진 메쉬에 관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9~도 22에 도시된 상기 대안적인 구성의 한 가지 이점은, 이 경우에는 메쉬(24)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21의 실시형태에서, 메쉬(24)는 밑창(30)에 있어서 메쉬와 발포 쿠션재(32)의 사이에 있는 개방 캐비티(28) 위에 떠 있다. 발포 쿠션재(32)는 충격을 받을 때 메쉬가 바닥에 이른다면 보호를 제공하도록 밑창에 박혀 있다. 도 22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캐비티는 중창 발포재(34)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CNC 편기는 또한, 단일 3D 편성 시임리스 직물 부품으로서 조합된 갑피(26) 및 메쉬 라스팅 보드(24)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여러 대안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이러한 모든 대안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Claims (9)

  1. 신발용 안창으로서: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
    상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에 삽입된 발포 베이스;
    상기 발포 베이스를 지지하기 위한 경질 프레임으로서, 상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상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와 접촉하고 있는 것인 경질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베이스는, 상기 발포 베이스의 상단면과 상기 발포 베이스의 상기 상단면에 인접한 상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의 내부 표면 사이에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신발용 안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는 상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의 표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더 포함하고, 이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통해 상기 발포 베이스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인 신발용 안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프레임은 상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에 삽입되는 것인 신발용 안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프레임과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는 동시 성형되는 것인 신발용 안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메쉬의 메쉬는, 200 내지 500의 일반 종횡비(섬유 길이 대 직경의 비로서 정의됨)를 갖는 장섬유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만들어진 통기성 메쉬인 것인 신발용 안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메쉬 인클로저의 아래에 배치된 안전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신발용 안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는 싱글 시임리스 직물 내의 복수의 상호 연결된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용 안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은, 상기 안창의 조절 가능성 및 개인 맞춤성을 제공하도록, 질적으로 그 범위가 탄력성에서부터 구조성에까지 이르는 복수의 서로 다른 원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용 안창.
  9. 신발로서:
    신발용 갑피;
    상기 갑피에 고정되는 메쉬 라스팅 보드;
    상기 갑피 및 메쉬 라스팅 보드가 고정되는 밑창;
    상기 밑창 내에 그리고 상기 메쉬 라스팅 보드 아래에 박혀 있는 발포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 라스팅 보드는, 상기 메쉬 라스팅 보드와 상기 발포 베이스 사이에 캐비티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발포 베이스 위에 떠 있는 것인 신발.
KR1020187027872A 2016-02-25 2017-02-24 떠 있는 메쉬 면을 갖는 안창 KR10267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3909A KR20230145529A (ko) 2016-02-25 2017-02-24 떠 있는 메쉬 면을 갖는 안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9587P 2016-02-25 2016-02-25
US62/299,587 2016-02-25
PCT/US2017/019450 WO2017147490A1 (en) 2016-02-25 2017-02-24 Insole with suspended mesh surfa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909A Division KR20230145529A (ko) 2016-02-25 2017-02-24 떠 있는 메쉬 면을 갖는 안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371A true KR20180127371A (ko) 2018-11-28
KR102670229B1 KR102670229B1 (ko) 2024-05-28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39701B2 (ja) 2023-09-06
AU2017222673A1 (en) 2018-09-13
CN113693343A (zh) 2021-11-26
AU2017222673B2 (en) 2022-10-20
EP3419467A1 (en) 2019-01-02
EP3419467A4 (en) 2019-10-23
JP7097526B2 (ja) 2022-07-08
CN113693343B (zh) 2023-11-14
JP2022109929A (ja) 2022-07-28
CN109152441B (zh) 2021-10-08
WO2017147490A1 (en) 2017-08-31
KR20230145529A (ko) 2023-10-17
CN109152441A (zh) 2019-01-04
US10092064B2 (en) 2018-10-09
CA3015775A1 (en) 2017-08-31
EP3419467B1 (en) 2021-07-14
US20170245591A1 (en) 2017-08-31
JP2019506255A (ja)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35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US7637032B2 (en) Footwear structure with textile upper member
US20190029331A1 (en) Sock with Trigonomic Arch Support
JP7339701B2 (ja) 浮き支持形態メッシュ表面を備えたインソール
KR20190013904A (ko) 신발 갑피
KR102670229B1 (ko) 떠 있는 메쉬 면을 갖는 안창
KR100304012B1 (ko) 슬리퍼
JP5746395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製法の靴
JP2013048823A (ja) プラットフォーム製法の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