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24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249A
KR20180127249A KR1020180057459A KR20180057459A KR20180127249A KR 20180127249 A KR20180127249 A KR 20180127249A KR 1020180057459 A KR1020180057459 A KR 1020180057459A KR 20180057459 A KR20180057459 A KR 20180057459A KR 20180127249 A KR20180127249 A KR 20180127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grant
resource
uplin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901B1 (ko
Inventor
배덕현
이윤정
황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2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04L5/10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with dynamo-electric generation of carriers; with mechanical filters or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repeti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명세서는, 단말이 기지국에 의한 동적 스케줄링(예: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는, 단말이 기지국에 의한 동적 스케줄링 없이도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 등을 통해 전달되는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구성하는 방법, 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획득한 경우의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repeti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복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횟수(repetition numb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호핑(hopping)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복 횟수는, 슬롯 기반의(slot based) 반복 전송 및 비-슬롯 기반의(non-slot based) 반복 전송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수의 파형 유형(waveform type)들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적용될 특정 파형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CP-OFDM(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유형(resource allocation type)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이 연속적(contiguous)으로 할당되는 경우,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상기 DFT-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이 불연속적(non-contiguous)으로 할당되는 경우,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상기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다수의 파형 유형들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과 상기 RF 유닛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repeti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반복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횟수(repetition numb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호핑(hopping)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수의 파형 유형(waveform type)들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적용될 특정 파형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CP-OFDM 또는 DFT-s-OFDM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다수의 파형 유형들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동적 스케줄링(예: 상향링크 그랜트 등)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생략할 수 있는 경우에도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동적 스케줄링(예: 상향링크 그랜트 등)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생략할 수 있는 경우에도,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에 필수적인 또는 도움이 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거나, 자체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안테나 포트들에 기반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단말이 다수의 안테나 포트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및 뉴머롤로지 별 자원 그리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general NB, generation N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NR(New RAT)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smartphone) 및 IoT(Internet Of Things) 단말들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통신 망을 통해 주고받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에서는 기존의 통신 시스템(또는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예: 향상된 이동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기기들 및 사물(object)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의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통신의 신뢰성(reliability) 및/또는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service) 및/또는 단말(terminal) 등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예: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의 디자인도 논의 되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은 NR(New RAT, Radio Access Technology)로 지칭되며, 상기 NR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NR 시스템으로 지칭된다.
용어 정의
eLTE eNB: eLTE eNB는 EPC 및 NGC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eNB의 진화(evolution)이다.
gNB: NGC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NR을 지원하는 노드.
새로운 RAN: NR 또는 E-UTRA를 지원하거나 NGC와 상호 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종단 간 범위와 함께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특정 시장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operator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네트워크 기능은 잘 정의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잘 정의된 기능적 동작을 가진 네트워크 인프라 내에서의 논리적 노드.
NG-C: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U: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비 독립형(Non-standalone) NR: gNB가 LTE eNB를 EP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거나 또는 eLTE eNB를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는 배치 구성.
비 독립형 E-UTRA: eLTE eNB가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gNB를 요구하는 배치 구성.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 NG-U 인터페이스의 종단점.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상기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g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gNB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 (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
NR(New Rat) 뉴머롤로지(Numerology) 및 프레임(frame) 구조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또는,
Figure pat00001
)으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뉴머롤로지 및 프레임 구조를 살펴본다.
*
*NR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다수의 OFDM 뉴머롤로지들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와 관련하여, 시간 영역의 다양한 필드의 크기는
Figure pat00003
의 시간 단위의 배수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04
이고,
Figure pat00005
이다. 하향링크(downlink) 및 상향링크(uplink) 전송은
Figure pat00006
의 구간을 가지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선 프레임은 각각
Figure pat00007
의 구간을 가지는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 및 하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User Equipment, UE)로 부터의 상향링크 프레임 번호 i의 전송은 해당 단말에서의 해당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작보다
Figure pat00008
이전에 시작해야 한다.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09
에 대하여, 슬롯(slot)들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Figure pat00010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고, 무선 프레임 내에서
Figure pat00011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슬롯은
Figure pat00012
의 연속하는 OFDM 심볼들로 구성되고,
Figure pat00013
는, 이용되는 뉴머롤로지 및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에 따라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에서 슬롯
Figure pat00014
의 시작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OFDM 심볼
Figure pat00015
의 시작과 시간적으로 정렬된다.
모든 단말이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 또는 상향링크 슬롯(uplink slot)의 모든 OFDM 심볼들이 이용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는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16
에서의 일반(normal)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내고, 표 3은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17
에서의 확장(extended)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NR 물리 자원(NR Physical Resource)
NR 시스템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캐리어 파트(carrier part)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물리 자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안테나 포트와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쉬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원 그리드가 주파수 영역 상으로
Figure pat00020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 x 2u 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R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transmitted signal)는
Figure pat00021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그리드들 및
Figure pat00022
의 OFDM 심볼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23
이다. 상기
Figure pat00024
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이는, 뉴머롤로지들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도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25
및 안테나 포트 p 별로 하나의 자원 그리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및 뉴머롤로지 별 자원 그리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26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그리드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로 지칭되며, 인덱스 쌍
Figure pat00027
에 의해 고유적으로 식별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28
는 주파수 영역 상의 인덱스이고,
Figure pat00029
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심볼의 위치를 지칭한다. 슬롯에서 자원 요소를 지칭할 때에는, 인덱스 쌍
Figure pat00030
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31
이다.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32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요소
Figure pat00033
는 복소 값(complex value)
Figure pat00034
에 해당한다. 혼동(confusion)될 위험이 없는 경우 혹은 특정 안테나 포트 또는 뉴머롤로지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덱스들 p 및
Figure pat00035
는 드롭(drop)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복소 값은
Figure pat00036
또는
Figure pat00037
이 될 수 있다.
또한,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 상의
Figure pat00038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 정의된다. 주파수 영역 상에서, 물리 자원 블록들은 0부터
Figure pat00039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이 때, 주파수 영역 상의 물리 자원 블록 번호(physical resource block number)
Figure pat00040
와 자원 요소들
Figure pat00041
간의 관계는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pat00042
또한, 캐리어 파트(carrier part)와 관련하여, 단말은 자원 그리드의 서브셋(subset)만을 이용하여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된 자원 블록의 집합(set)은 주파수 영역 상에서 0부터
Figure pat00043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Self-contained 구조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구조는 상향링크(Uplink, UL)와 하향링크(Downlink, DL)를 하나의 슬롯(slot)(또는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모두 처리하는 구조이다. 이는,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조는 self-contained 구조 또는 self-contained 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5를 참고하면, legacy LTE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전송 단위(예: 슬롯,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가정된다.
도 5에서, 영역 502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down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하고, 영역 504는 상향링크 제어 영역(up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한다. 또한, 영역 502 및 영역 504 이외의 영역(즉, 별도의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의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데이터(data)의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및 상향링크 ACK/NACK의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재전송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달과 관련된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self-contained 슬롯 구조에서, 기지국(eNodeB, eNB, gNB) 및/또는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이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서 수신 모드(reception mode)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위한 시간 갭(time gap)이 요구된다. 상기 시간 갭과 관련하여, 상기 self-contained 슬롯에서 하향링크 전송 이후에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일부 OFDM 심볼(들)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밀리미터파(mmWave, mmW) 통신 시스템에서는, 신호의 파장(wavelength)이 짧아짐에 따라, 동일 면적에 다수의(또는 다중의)(multiple) 안테나들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CHz 대역에서, 파장은 약 1cm정도 이며, 2차원(2-dimension) 배열 형태에 따라 5cm x 5cm의 패널(panel)에 0.5람다(lambda) 간격으로 안테나들을 설치할 경우, 총 100개의 안테나 요소(element)들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mmW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이용하여 빔포밍(beamforming, BF) 이득을 높임에 따라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키거나, 처리량(throughput)을 높이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 요소 별로 전송 파워(transmission power) 및 위상(phase)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Transceiver Unit)가 설치되는 경우, 주파수 자원(frequency resource)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하다.
다만, 모든 안테나 요소들(예: 100개의 안테나 요소들)에 TXRU를 설치하는 방안은 가격 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TXRU에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매핑(mapping)하고,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analog phase shifter)를 이용하여 빔(beam)의 방향(direction)을 제어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빔 방향만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선택적인 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빔 포밍(digital beamforming)과 아날로그 빔포밍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요소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eamforming)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요소들의 연결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빔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분야(즉, 응용 분야) 또는 트래픽(traffic)의 유형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그랜트(예: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UL grant))를 수신하지 않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반-지속적(semi-persistent)으로 설정된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 방식은, grant-free 전송 방식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 때, grant-free 전송 방식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 등을 통해 자원 할당 등과 같은 설정 정보가 전송되는 점에 비추어, configured-grant 전송 방식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grant-free 전송 방식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그랜트(예: UL grant)를 수신하지 않고(즉, 그랜트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grant-free 전송 방식은, 기지국에 의한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이 아닌 반-정적 스케줄링(semi-static scheduling)에 기반하여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을 미리 설정 받을 수 있을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은 설정 받은 자원에 대해 그랜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그랜트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은, grant-based 전송 방식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grant-based 전송 방식은 동적 스케줄링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임에 비추어,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전송(예: PUSCH 전송)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Grant-free 전송 방식의 경우, 서로 다른 단말이 경쟁 기반(contention-based)으로 공유하는 무선 자원 또는 단말이 독립적(dedicated)으로 할당 받은 무선 자원이 이용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Grant-free 전송 방식에 이용되는 무선 자원에 대해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할당 받는(즉, Grant-based 전송 방식) 무선 자원과 서로 다른 변조 및/또는 부호 방식을 적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Grant-free 전송 방식과 Grant-based 전송 방식 간에 서로 다른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 및/또는 서로 다른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을 적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자원들을 할당 받을 수 있으며, grant-free 전송 방식에 이용되는 다수의 무선 자원은 크기, 변조 및 부호 방식, 시간/주파수 스케줄링 단위 등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또는 중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grant-free 전송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데이터(또는 트래픽)에 대한 전송을 단말이 반복하여 시도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의 스케줄링(특히,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grant-free 전송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자원 사용을 위하여 다수의 단말들이 공유하는 자원 풀(resource pool)을 경쟁 기반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와 같이,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또는 도움이 되는) 정보들은 기지국의 동적 상향링크 스케줄링 메시지(dynamic uplink scheduling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기지국의 스케줄링 없이(즉, grant-free 전송 방식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단말은 기존의 동적 상향링크 스케줄링 메시지에 포함되었던 정보들을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명세서는, 기지국의 동적 스케줄링(예: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해당 방법으로 정보를 획득한 단말의 동작을 제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무선 자원(또는 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뿐만 아니라, 스프레딩 코드(spreading code),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 인터리빙 패턴(interleaving pattern), 전력 할당(power allocation)들 다중 접속 방식(multiple access scheme)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피드백(feedback), ACK 또는 NACK은 단순히 수신된 데이터의 디코딩(dexoding) 결과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성공적인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기지국이 보내는 전송에 대한 응답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은 상향링크 채널(또는 신호)와 grant-free 전송 방식 또는 grant-based 전송 방식을 위한 무선 자원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은 하향링크 채널(또는 신호)와 다른 무선 자원에 대해서도 확장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상술한 grant-free 전송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이 필요한 정보를 전달 받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된 것일 뿐,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반복 전송과 관련된 실시 예(예: 이하 제2 실시 예)의 구성과 상향링크 전송의 파형(waveform)과 관련된 실시 예(예: 이하 제4 실시 예)의 구성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실시 예 - 다중 안테나 포트들(multi-antenna ports)을 이용하는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NR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전송을 위하여, grant-free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상향링크 전송에서 다수의 안테나(antenna)들을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전송 블록(transport block)들이 이용될 수 있다.
우선, 기존의 LTE 시스템의 경우,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단말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상향링크 그랜트(이하, UL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 두 개의 전송 블록들을 위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및 RV(Redundancy Version)
- 두 개의 전송 블록들을 위한 NDI(New Data Indicator)
- 프리코딩 정보(precoding information) 및 레이어(layer)의 수
이 때, MCS, RV 및/또는 NDI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은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MCS, RV 및 NDI 정보를 두 번에 나누어 획득하거나, 한번에 두 개의 전송 블록들에 대한 MCS, RV, 및 NDI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두 번째 전송 블록에 대해서, 첫 번째 전송 블록의 MCS, RV, 및 NDI 정보가 재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첫 번째 전송 블록을 위한 정보에 일정한 값 또는 규칙에 의해 오프셋이 적용된 값이, 두 번째 전송 블록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또는, 동적 시그널링(dynamic signaling)(예: DCI)에 의해 자원 및 MCS 등이 할당되는 경우, 단말은 두 개의 전송 블록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DCI로 설정 받은 경우에만 두 개의 전송 블록들을 전송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하나의 전송 블록만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는, grant-free 전송 방식의 경우에는 단일 전송 블록만 이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프리코딩 정보 및 레이어의 수와 관련하여, 해당 정보는 단말이 이용할 레이어의 수 및 단말이 전송에 이용할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단말의 채널 상황, 단말의 랭크(rank)에 따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grant-free 전송 방식을 고려할 때, 단말이 상술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4)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먼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상술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정보는 단말이 마지막으로 전송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정보는, 가장 낮은 레이어의 수 및/또는 이용되는 PUSCH 자원을 공유하는 다른 단말과 다른 코드북 인덱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PUSCH 자원을 공유하는 것은, 공통적인 RRC 설정을 통해 자원을 설정 받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방법 2)
또한, 단말이 Layer 1 시그널링(L1 시그널링)을 통해 상술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L1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의 시그널링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다중 안테나 포트 전송 모드를 이용하기 위하여 L! 시그널링 수신 대기를 선택할 수 있다. L1 시그널링은 단말이 이미 해당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도, 단말의 CSI, SRS, DMRS, PUSCH 전송 들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의해(또는 임의로) 기지국에 의해 수행(또는 전송)될 수 있다.
방법 3)
또한, 단말이 해당 정보를 어떠한 하향링크 전송으로부터 도출하거나, 다른 피드백 없이 획득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또는 피드백은, 기지국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 L1 시그널링 참조 신호, 또는 이전에 수행된 PDSCH 수신에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개-루프 MIMO 방식(open-loop MIMO scheme)을 grant-free 전송에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4)
또한,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MCS, 레이어의 수, 전송 기법 등이 다르게 설정된 다수의 자원 집합(resource set)을 주고(즉, 설정하고), 각 자원 집합 별로 이용할 수 있는 임계 값(threshold) 등을 함께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일례로, 네트워크가 MCS가 다르게 설정된 다수의 자원 집합을 설정하고, 각 자원 집합은 선택할 수 있는 임계 값을 함께 설정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값, L1-RSRP(L1-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임계 값에 따라 결정되는 자원 집합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광대역(wideband)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값 또는 서브밴드(subband) CQI 값에 따라, 자원이 선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해당 광대역 CQI는, 단말이 전송할 자원의 대역폭을 광대역으로 가정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단말이 선택한 자원은, CSI 피드백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전달되거나, RRM 값의 보고를 통해 네트워크에 전달되거나, 다른 채널을 통해 피드백될 수 있다.
단말이 선택한 자원(들)에 기반하여, 네트워크는 충돌 가능성(collision probability), grant-based 전송 방식에서의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 등과 같은 자원 적응 동작(resource adaptation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임계 값의 예로서, RRM, L1-RSRP, 광대역 QCI, 서브밴드 QCI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임계 값 설정을 위한 별도의 측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임계 값은 RLM(Radio Link Measurement) 결과 등에 기반하거나,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에 기반할 수도 있다. 또는, 결정된 자원 집합에 MCS 등이 동적으로 단말의 측정에 의해 변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용 가능한 MCS 및/또는 TBS의 값과 측정의 임계 값의 집합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택은, 초기 전송(initial transmission)과 재전송(retransmission)에 대해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르게 선택되는 경우, 해당 전송들이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동일한 HARQ 식별자(HARQ ID)를 이용하거나, 하나의 단말의 경우 각 캐리어(carrier) 당 하나의 grant-free 자원만 설정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자원과 MCS를 이용하더라고 동일한 전송 블록인 것이 가정될 수 있다. 또는, 초기 전송에서 선택된 MCS 값이 재전송 시에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다른 MCS의 재전송 자원이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상술한 방법 1 및 방법 2를 통해, 단말이 방법 3 또는 방법 4를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은 방법 3을 사용함에 있어서, 방법 1 및 방법 2를 통해 획득된 정보의 일부를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방법 3을 이용하는 경우, 방법 1 및 방법 2를 통해 획득한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및/또는 단말이 획득한 정보가 변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해당 단말은 임의로 획득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임의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범위를 미리 설정(또는 지정)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은 설정된 영역에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임의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변경된 정보를 별도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및/또는 지시자(indicator)를 이용하여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2 실시 예 - 반복 전송(repeti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송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데이터(또는 트래픽)에 대한 전송을 여러 번 반복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반복 전송의 경우, 매 전송에 대한 기지국의 스케줄링 또는 매 전송에 대한 단말의 응답은 무선 자원 및 전력 효율성 측면에서 지양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참고하여, 반복 전송에 대해서 단말이 초기 전송에 이용한 정보를 재활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다음과 같은 정보(또는 파라미터(parameter),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가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정보는 단말 특정(UE-specific)하게 설정되거나, 그룹 또는 셀 특정(group/cell-specific)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 반복 횟수(number of repetitions)
- 반복 간의 호핑(hopping)에 대한 방법(method) 및 인덱스(index)
여기에서, 반복 간의 호핑에 대한 방법 및 인덱스에 대한 정보는, 호핑 패턴(hopping pattern)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grant-free 전송 방식을 고려할 때, 단말이 상술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3)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먼저, 상술한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값을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이용하는 단말과 기지국은, grant-free 전송 방식에 있어서, 별도의 설정(configuration) 없이 정해진 반복 횟수와 호핑 패턴(hopping pattern)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2)
또한, 상술한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즉, grant-free 전송 방식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반복 횟수(즉, 반복 전송 횟수) 및/또는 호핑 패턴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이와 같은 반복 횟수 및/또는 호핑 패턴에 대한 설정 정보는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한 것으로, grant-based 전송 방식을 위한 설정 정보와는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반복 횟수를 나타내는 값은, 'repetition K', 'repK'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반복 횟수를 나타내는 값은,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 반복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자원의 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반복 횟수가 나타내는 값과 동일하거나, 더 적은 수의 반복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한 반복 횟수 및/또는 호핑 패턴에 대한 설정 정보의 전송은, 반복 전송의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방법 3)
또한, 상술한 정보는 L1 시그널링을 통해 동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L1 시그널링을 통한 반복 횟수 및/또는 호핑 패턴에 대한 설정 정보의 전송은, 반복 전송의 이전 또는 이후뿐만 아니라, 반복 전송 도중에도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은, 상술한 방법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 1와 방법 3을 이용하는 경우, 방법 3에 의해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단말은 방법 1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방법들 1 내지 3을 모두 이용하는 경우, 방법 1 또는 방법 2를 통해 획득한 정보는 방법 3을 통해 변경될 수도 있다.
또는, 다수의 방법들이 복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정보 즉, 파라미터 값의 이용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 3에 의해 설정된 파라미터 값은 바로 다음 전송에만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별도의 타이머(timer) 또는 카운터(counter)가 만료되기 전까지 설정 받은 파라미터를 이용하고, 타이머 또는 카운터가 만료되는 경우 방법 1 또는 방법 2를 통해 할당 받은 파라미터의 기본 값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상술한 정보 중 반복 횟수의 설정과 관련하여, 설정 시점에 따른 단말의 동작들은 다음 예시들과 같을 수 있다. 즉, 단말이 새로운 반복 전송 횟수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는 시점에 따라, 현재 또는 이후의 전송을 수행하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시점 이전에 반복 횟수를 설정 받는 경우, 단말은 해당 설정 값을 다음 전송에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반복 전송 도중에 반복 횟수(즉, 새로운 반복 횟수 K')를 설정 받는 경우, 단말은 현재 전송을 중단하고 해당 설정 값을 다음 전송에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반복 전송 도중에 반복 횟수(즉, 새로운 반복 횟수 K')를 설정 받는 경우, 단말은 현재 전송에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지 않고 전송을 유지하며, 다음 전송부터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반복 전송 도중에 반복 횟수(즉, 새로운 반복 횟수 K')를 설정 받는 경우, 단말은 K' 값만큼 추가적인 반복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다음 전송에 K' 값을 계속하여 이용하거나, 이전에 설정 받은 반복 횟수 K 값을 다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반복 전송 도중에 반복 횟수(즉, 새로운 반복 횟수 K')를 설정 받는 경우, 단말은 해당 설정 값과 이전 값의 비교에 의해 중단 또는 다시 전송을 시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K' 값이 이전에 K 값보다 큰 경우, 단말은 현재 전송 중인 반복 횟수를 K'까지 연장하거나, 새로이 K' 만큼의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K' 값이 K 보다 작은 경우, 단말은 현재 전송을 중단하고, 해당 K' 값을 다음 전송에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반복 전송 이후에 반복 횟수(즉, 새로운 반복 횟수 K')를 설정 받는 경우, 단말은 새롭게 설정된 K' 값만큼 추가적인 반복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다음 전송에 K' 값을 계속하여 이용하거나, 이전에 설정 받은 반복 횟수 K 값을 다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반복 전송 이후에 반복 횟수(즉, 새로운 반복 횟수 K')를 설정 받는 경우, 단말은 전송 시점 이전에 설정 받는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반복 횟수에 대한 설정 정보의 전송 시점과 무관하게 전송을 중단하고, 해당 설정 값을 다음 전송에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다음 전송은 별도의 시그널링이 오기 전까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예시들의 동작은, 단말이 수신한 반복 횟수에 대한 설정(즉, repetition configuration)이 어떠한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전송 이후에 L1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 받는 경우에는 6 번째 예시의 동작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 받는 경우에는 7 번째 예시의 동작을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L1 시그널링에서도 해당 시그널링이 단말 특정인지, 셀, 그룹 또는 자원 특정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예시의 동작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정보 중 반복 간의 호핑에 대한 방법 및 인덱스 정보 또는 grant-free 전송을 위한 자원 설정에 대한 정보가, 반복 전송 도중에 동적 시그널링(예: DCI) 등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3)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방법 1)
단말은 현재 전송 중인 상향링크 전송을 중단(stop)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현재 전송 중인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 기존 설정을 유지하고, 새로운 설정은 다음 전송부터 적용하도록(즉, 새로운 설정의 적용을 연기(postpone)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2)
단말은 현재 전송 중인 상향링크 전송을 멈추고(halt), 시그널링을 통해 변경된 grant-free 자원에서 전송을 재개(resume)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변경된 grant-free 자원에서 전송을 재개하기 위하여, 별도의 L1 시그널링이 요구될 수도 있다.
방법 3)
단말은 현재 전송 중인 상향링크 전송을 중단하고, 시그널링을 통해 변경된 grant-free 자원에서 새롭게 동일한 전송을 재시작(restart)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grant-based 전송 방식의 경우에도, 반복 횟수에 대한 설정은 grant-free 전송 방식의 경우와 같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반복 횟수에 대한 설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들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언급되는 슬롯 기반의 전송 방식은 슬롯 구조(slot structure)에 따라 전송이 수행되는 방식을 의미하며, 비-슬롯 기반의 전송 방식은 슬롯 구조에 관계 업이 전송이 수행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은 슬롯 구조에 따라 자원 등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의미하고, 비-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은 슬롯 구조에 관계없이 자원 등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 반복 횟수에 대한 설정과 관련하여, 각 캐리어 별로 하나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grant-based 전송 방식, grant-free 전송 방식, 슬롯 기반의(slot based) 전송 방식, 및 비-슬롯 기반(non-slot based)의 전송 방식에 관계없이 각 캐리어에 대해 동일한 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PUCCH 및/또는 PUSCH에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UCI 없는 PUSCH 및 UCI 있는 PUSCH에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 반복 횟수에 대한 설정과 관련하여, 각 캐리어 별로 Type 1/2 및 grant-based 전송 방식에 대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슬롯 기반의 전송 방식 및 비-슬롯 기반의 전송 방식에 관계없이 각 캐리어에 대해 동일한 값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PUCCH 및/또는 PUSCH에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UCI 없는 PUSCH 및 UCI 있는 PUSCH에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grant-free 전송 방식에 의한 재전송의 경우에는 grant-based 전송 방식의 구성을 따르거나, grant-based 전송 방식의 경우에도 재전송이 grant-free 전송 방식인 경우 grant-free 전송 방식의 반복 횟수를 따르도록 가정할 수 있다.
- 반복 횟수에 대한 설정과 관련하여, 각 캐리어 별로 Type 1/2 및 grant-based 전송 방식에 대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롯 기반의 전송 방식 및 비-슬롯 기반의 전송 방식에 대해 다른 값이 설정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PUCCH 및/또는 PUSCH에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UCI 없는 PUSCH 및 UCI 있는 PUSCH에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 각 반복 전송은 시간 영역 상의 자원 설정에 함께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시간 영역 상의 자원 엔트리(resource entry)(예: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된 시간 영역 상의 자원 할당 표(table)에서의 row 인덱스(index) 값)에 따라 다른 반복 값이 구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BLER(Block Error Rate)을 단말이 지원하는 경우에 효율적일 수 있다. 또는, 시간 영역 상의 자원 표가 각 BLER 별로 다수 개 설정되고, 해당 표를 먼저 동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표에서는 동일한 반복 횟수가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 방식에 대해 설정된 경우, 각 반복 전송은 시간 영역 상의 자원 설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되거나, 주어진 값들 중에서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에 대하여 반복 횟수 K 가 설정되었을 때, 비-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에 대한 반복 횟수는 K 의 분수(fraction) 또는 배수(multiple)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반복 전송(반복 횟수 K1 및 K2)이 설정 가능한 경우,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에 대해서는 K1 이 설정되고, 비-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에 대해서는 K2 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초기 절차(initial procedure)와 관련된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반복 횟수에 대한 설정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sg3도 반복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의 RSSI 또는 RSRP 값에 따라 이에 대한 반복 횟수 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선택된 PRACH 포맷(PRACH format)에 따라 반복 전송(즉, 반복 횟수)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각 RACH 자원 별로 반복 횟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Msg4에 대한 HARQ 피드백(HARQ feedback)을 위한 PUCCH의 경우에도 다중 슬롯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중 슬롯 설정은, 슬롯의 경계(boundary)에 관계 없이 다수의 슬롯들에 걸쳐서 자원 등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값은 Msg3의 재전송 값과 연계하여 결정되거나, 별도로 설정되거나, 동적으로 지시될 수도 있다.
제3 실시 예 - 셀/그룹/자원 특정 시그널링에서 단말 특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단말이 전송에 이용하는 정보(또는 파라미터)는 단말 특정 정보(또는 단말 특정 파라미터)와 셀/그룹/자원 특정 정보(또는 셀/그룹/자원 특정 파라미터)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시그널링도, 단말 특정 시그널링과 셀/그룹/자원 특정 시그널링으로 구별될 수 있다.
단말 특정 파라미터는 단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며, 셀/그룹/자원 특정 파라미터는 셀/그룹/자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를 줄이는 측면에서, 셀/그룹/자원 특정 파라미터를 단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각각의 단말 특정 시그널링으로 전달되는 메시지에 동일한 셀/그룹/자원 특정 파라미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만, 단말 특정 파라미터를 셀/그룹/자원 특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경우, 각 단말은 동일한 값으로부터 자신의 파라미터(즉, 단말마다 다르게 설정된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각 파라미터 별로 도출하는 방법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말 특정 파라미터 또는 시그널링'과 '셀/그룹/자원 특정 파라미터 또는 시그널링'의 구분을 기준으로 방법들이 설명되었지만, 이는 '어떤 셀/그룹/자원 특정 파라미터 또는 시그널링'과 '이에 대한 서브셋 파라미터 또는 시그널링'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각 그룹의 단말은 셀 특정 파라미터로부터 그룹 특정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는, 단말 그룹이 다수의 자원들 또는 자원 집합들을 사용할 때, 단말 그룹은 그룹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자원 특정 파라미터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한, grant-free 전송 방식을 고려할 때, 각 단말은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에 대한 파라미터(이하, RS 파라미터) 등에 대해 서로 다른 값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grant-free 전송 방식을 고려하면, 상향링크 자원, MCS 등의 정보는 각 단말이 그룹 특정하게 공유할 수 있지만, RS 파라미터와 같은 일부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각 단말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말은 그룹 공통 시그널링(group-common signaling) 등을 통해 RS 파라미터의 시드 값을 획득하고, 자신이 가진 고유한 값(예: 단말 식별자(UE-ID)) 등을 사용하여 RS 파라미터의 인덱스(index)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RS 파라미터에 단말 그룹의 크기(예: 단말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거나, 그룹 생성시에 결정된 단말 그룹의 크기가 RS 파라미터의 획득 시에 이용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4 실시 예 - 파형 유형(waveform typ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NR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다수의 파형 유형들을 지원하도록 설정되는 바, 기지국의 셀 설정(cell configuration),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동적 시그널링 등의 L1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이 전송에 이용하는 파형 유형을 변경하는(또는 이용할 파형 유형을 지시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grant-free 전송 방식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단말의 능력(capability) 또는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해 설정된 자원(이하, grant-free 자원)의 다중화(multiplexing) 성능을 고려하여, 단말이 이용할 파형 유형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중화를 위하여,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파형 유형을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DFT-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은 참조 신호로 ZC(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는 파형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DFT-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은, 상향링크 전송에서 변환 프리코딩(transform precoding) 동작이 적용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변환 프리코더가 가능하다(enable)는 것은, 해당 전송에 대해 DFT-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이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유연성(flexibility) 및 채널(channel)을 위해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을 감수하고,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CP-OFDM(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파형 유형을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은 참조 신호로 PN(Pseudo-random Noise)시퀀스를 이용하는 파형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은, 상향링크 전송에서 변환 프리코딩 동작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변환 프리코더가 불가능하다(disnable)는 것은, 해당 전송에 대해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이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전송에 이용할 파형 유형을 임의로 결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grant-free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이 전송에 이용할 파형 유형을 변경(또는 적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5)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이 이용할 파형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할 파형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되는 설정 정보에는, 파형 유형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거나, 파형 유형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형 유형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는, 변환 프리코더의 적용 가능(enable) 또는 적용 불가능(disable)을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정 정보는, grant-based 전송 방식을 위한 것과는 별도로,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단말이 grant-free 자원을 설정(또는 할당) 받을 때 동시에 수행되거나, grant-free 자원과는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변경될 수도 있다.
방법 2)
기지국이 L1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이 이용할 파형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일례로, 단말이 L1 시그널링을 통해 grant-free 자원을 할당 받는 경우, 해당 L1 시그널링에 파형 유형을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grant-free 전송 방식과 같이 단말이 L1 시그널링을 통해 자원을 할당 받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이 시도한 grant-free 전송이 기지국에 의해 grant-base 전송으로 전환될 때 L1 시그널링을 통해 파형 유형이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grant-free 전송이 grant-base 전송으로 전환되지 않더라도, L1 시그널링을 통한 피드백으로 단말의 grant-free 전송 방식에 따른 반복 전송을 제어하는 경우에, 다음 반복 전송 또는 grant-free 전송의 파형 유형이 변경될 수 있다.
방법 3)
또한, 셀 설정(cell 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이 이용할 파형 유형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셀 설정을 위한 정보(또는 파라미터)에 명시적으로 단말이 이용할 파형 유형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셀 설정에서는 어떤 임계 값만을 전달하고, 단말이 가진 파라미터(예: 단말 능력 정보, 시간적으로 동적인 정보 등)에 기반하여 단말이 이용할 파형 유형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각 파형 유형에 연관된 grant-free 자원을 할당 받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4)
단말이 grant-based 전송 방식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과 grant-free 전송 방식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 grant-free 전송 방식의 파형 유형은, grant-based 전송 방식의 파형 유형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grant-free 전송 방식에서 결정된 파형 유형이 grant-based 전송 방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이 grant-free 전송 방식과 grant-based 전송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 grant-free 전송 방식의 재전송에 대한 grant-based 전송 방식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와 초기 전송을 grant-based 전송 방식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서로 다른 파형 유형이 이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슬롯 또는 하나의 시점에 두 전송이 중첩(overlap)될 수 있으며, 파형 유형이 다른 경우에 단말은 자신의 능력과 무관하게 동시에 두 전송을 수행하지 못한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형 유형에 대한 변경 방법은 grant-free 전송 방식 또는 grant-based 전송 방식에 무관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방법5)
또한, 파형 유형은 반-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단말의 스케줄링 단위 또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의 모니터링 주기 등에 다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니 슬롯(mini-slot) 기반의 전송의 경우에 SC-OFDM이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슬롯 기반의 전송의 경우에는 OFDM이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파형 유형에 해당하는 두 채널이 중첩되면,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내의 동시 전송을 가정하지 않을 수 있다.
파형 유형이 다르게 설정된 경우(또는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에도), QoS(Quality of Service)/BLER 타겟 등에 따라 다른 전력 제어 파라미터 및 재전송 카운터, 재전송 동작, HARQ 프로세스 등을 별도로 설정하여 운영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1 또는 방법 2와 같이, 파형 유형에 대한 설정이 자원 할당과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파형 유형에 대한 지시는 별도의 파라미터 및/또는 정보 없이 자원 할당의 형태에 따라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연속적인 자원(들)을 할당 받는 것은 DFT-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을 이용하라는 것을 의미하고, 불연속적인 자원(들)을 할당 받는 것은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을 이용하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불연속적인 자원(들)을 할당 받는 것은, 비트맵 형태로 자원을 할당 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파형 유형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A type 0 방식으로 자원이 할당되는 경우에 단말은 CP-OFDM을 이용하고, RA type 2 방식으로 자원이 할당되는 경우에 단말은 DFT-s-OFDM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스케줄링 DCI 그 자체로 파형 유형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DCI가 비트 크기가 다른 다수의 포맷들 중 하나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경우, 해당 DCI의 포맷이 단말이 이용할 파형 유형과 연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이용하는 파형 유형에 따라 전송에 이용되는 파라미터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파라미터가 동일하게 설정되더라도, 파형 유형에 따라 값의 범위 등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파형 유형 별로 시그널링을 설계하는 것은 단말 동작의 복잡도(complexity)를 높이게 되며, 불필요한 디코딩 시도(decoding trial)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단말이 이용하는 파형 유형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동일한 값에 대한 해석이 다음의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3)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방법 1)
파형 유형이 상이한 경우, DMRS 관련 파라미터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동일한 값의 DMRS 파라미터를, CP-OFDM의 경우에는 PN 시퀀스 시드 표의 인덱스(PN sequence seed table index)로 해석하고, DFT-s-OFDM의 경우에는 순환 쉬프트 및 OCC 표의 인덱스(cyclinc shift and OCC table index)로 해석할 수 있다.
방법 2)
파형 유형이 상이한 경우, RA type 지시자(Resource Allocation type indicator) 없이 RA 비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RA type 지시자 필드 없이 DFT-s-OFDM의 경우 RA 비트를 RA type 2로 가정하고 해석할 수 있다. 또는, RA type 지시자가 존재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미리 지정된(또는 설정된) Ra 비트 해석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방법 3)
파형 유형 간에 전력 제어 방법이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또는 Qos/BLER 타겟에 따라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유지되는 경우, 전력 제어 필드는 서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기지국이 전송한 시그널링의 유형(예: 상위 계층 시그널링, L1 시그널링 등)의 구분에 관계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제5 실시 예 - 그룹 기반의 전력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방법
NR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산발적인(sporadic) 트래픽을 위해 grant-free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수의 단말들이 하나의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이 때, 다중화 성능을 위하여, 각 단말의 전송 전력(Tx power)을 기지국이 제어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기존의 시스템(예: LTE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단말들이 전송 전력을 적은 제어 오버헤드(control overhead)로 제어하기 위하여, TPC 그룹과 TPC-RNTI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산발적인 트래픽을 고려하는 경우, 낮은 오버헤드를 가지는 적절한 TPC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어려울 수 있다.
일례로, 8 개의 단말들이 이용할 수 있는 4 개의 grant-free 자원에 대해 32 비트의 TPC 비트가 할당되는 경우, 32 개의 단말들 중 실제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은 매우 적을 수 있다. 또한, grant-free 전송이 별도의 사전 신호(prior signal) 없이 바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점을 고려하면, 기지국은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이후에 전송 전력을 제어할 단말의 후보를 결정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TPC 전송은 HARQ-RTT(HARQ-Round Trip Time)보다 작아야 단말이 다음 반복 전송 또는 재전송에서 이를 반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지국과 단말 간의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기지국이 동적으로 전송 전력 제어가 필요한 단말들의 TPC 비트를 하나의 메시지로 전달하고, 전송을 시도한 단말은 전달 받은 것들 중 자신의 비트를 수신하는 방법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N 개의 단말로 이루어진 superset(예: grant-free 자원에서 설정된 단말들)에서 M 개의 TPC 전송이 요구되는 단말(예: grant-free 자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만을 L1 시그널링을 통해 나타내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해당 방법에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조건(예: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지 여부 등)에 의해 자의적으로 해당 L1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지 않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L1 시그널링에 TPC 비트를 전송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6)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TPC 명령(TPC command)을 HARQ-ACK 피드백과 연관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TPC 명령은 HARQ-ACK을 수신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예: 전송을 시작한 단말)에게만 한정됨을 가정할 수 있다. 이는 HARQ-ACK 전송 시, HARQ-ACK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에게 TPC 명령을 함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이 HARQ-ACK 전송에 대한 비트 수를 가정하고, 각 해당 비트에 대한 TPC 명령(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전체 비트 수가 제한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전송되는 TPC의 수는 HARQ-ACK 전송 수보다 적게 설정될 수도 있다.
방법 2)
Superset(예: grant-free 자원에서 설정된 N 개의 단말들) 내의 모든 단말에 대해 TPC 비트를 전송하되, TPC 전송이 필요한 M 개의 단말 외의 단말(들)에 대해서는 임의의 값을 할당하거나, 특정 값을 나타내는 비트를 할당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값을 나타내는 비트는, 'HOLD' 또는 'NO CONTROL'을 나타내는 비트일 수 있다.
해당 방법은, 모든 N 개의 단말들을 위한 TPC 비트맵 형태의 정보를 전달해주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방법 3)
M 개의 단말 각각을 나타낼 수 있는 M 개의 인덱스 및 각 단말에 연관된 M 개의 TPC 비트를 전송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TPC 전송이 요구되는 M 개의 단말 각각에 대한 TPC 비트맵 정보 및 인덱스를 전달해주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방법 4)
M 개의 단말들에 대한 TPC로 구성된 비트맵과 superset에서의 M 개 단말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 개의 단말들로 구성된 superset에서 단말 인덱스 1, 2, 및 5에 해당하는 단말에게 T1, T2 및 T3의 TPC 비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기지국은 [01101000]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superset에서의 위치(즉, 단말의 인덱스 위치)를 나타내며, [T1 T2 T3]로 구성된 TPC 비트맵을 함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크기 N의 superset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크기 N의 비트맵을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크기 N의 superset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인덱스를 K 개씩 그룹화하여 설정한 크기 N/K의 비트맵을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8 개의 단말들로 구성된 superset에서 단말 인덱스 1, 2, 및 5에 해당하는 단말에게 T1, T2 및 T3의 TPC 비트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을 2개씩 그룹화하여 [1110] 등의 정보로 superset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며, [X T1 T2 X X T3]로 구성된 TPC 비트맵을 함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X는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거나, 특정 값을 나타내는 비트(예: 'HOLD' 또는 'NO CONTROL'을 나타내는 비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크기 N의 superset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값을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시스템(예: LTE 시스템)의 RA type 2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M 개의 단말이 위치하는 인덱스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고, 해당 영역에서의 TPC 비트를 나타내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5)
TPC 인덱스가 단말에게 설정된 자원과 암시적으로 매핑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번째 슬롯(slot #n)에서 전송되는 TPC는 설정된 자원이 n+k번째 슬롯(slot #n+k)에 있는 단말에 대해서만 적용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TPC 인덱스는 자원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각 단말 별로 및/또는 자원 별로 설정되는 값을 따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k' 값은 각 단말 별 및/또는 자원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k' 값이 각 단말 별 및/또는 자원 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음을 가정한다. 따라서, 특정 슬롯(예: I번째 슬롯)에 자원이 있는 경우, 단말은 특정 슬롯에 대해 'k'에 해당하는 슬롯 오프셋(slot offset)이 적용된 슬롯(예: I-k번째 슬롯)에서만 TPC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6)
Grant-free 자원의 주기가 짧은 경우, 상술한 방법 5의 동작은 다수의 단말들이 동시에 TPC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TPC가 전송되는 주기가 자원의 주기와 별도로 설정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즉, TPC를 모니터링하는 주기와 오프셋을 각 단말 별로 설정 받을 수 있으며, 단말이 각 모니터링을 수행할 인덱스를 각 캐리어, 셀 또는 자원 별로 설정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TPC가 적용되는 시점(timing) k는, 그랜트에 의해 주어지는 PUSCH 전송의 처리 시간(processing time)과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TPC의 경우, SCell(Secondary Cell)에 구성된 type 1 또는 type 2의 경우에도 전송될 수 있으며, 이는 크로스-캐리어(cross-carrier) 또는 셀프-캐리어(self-carrier)로 전송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에 대해 상술한 방법 5에서 제안한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시점(timing)은 type 1 또는 type 2 자원이 구성된 셀의 뉴머롤로지(numerology) 및/또는 활성화된 BWP(BandWidth Part)의 뉴머롤로지를 따를 수 있다.
또한, grant-free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들이 하나의 메시지로 TPC 비트를 수신하기 위하여,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그룹 공통 DCI(group-common DCI)를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 때, 단말들이 그룹 공통 DCI를 통해 HARQ-ACK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 단말은 HARQ-ACK과 TPC 비트를 동시에 하나의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TPC 비트 및 HARQ-ACK은 공통된 단말 인덱스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또는, 단말 인덱스에 HARQ-ACK 정보가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인덱스에 해당하는 단말 중 HARQ-ACK이 ACK/DTX가 아닌 단말들에 대해서만, 기지국이 TPC 비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HARQ-ACK과 TPC 비트가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되더라도, 단말이 HARQ-ACK 정보로부터 현재 전송을 시도한 단말의 수(M)과 그 안에서의 자신의 인덱스 (m)을 파악할 수 있다면, TPC는 단순히 M 개의 TPC 비트로만 전달 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grant-free 전송 방식의 상향링크 전송과 grant-based 전송 방식의 상향링크 전송을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 다양한 상향링크 전송 방식들을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grant-free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및/또는 다수의 파형 유형들을 지원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다른 전송 전력 값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상향링크 전송 방식, 자원, 및/또는 파형 유형마다 다른 TPC 그룹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그룹 공통 DCI를 통해서 TPC를 전달할 때 TPC 값으로 이전 값과 비교한 오프셋(offset)이나 절대 값(absolute value)을 전달하는 대신, 기지국은 각 자원 별로 개-루프 전력 제어(open-loop power control)에 이용될 오프셋 혹은 타겟 수신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는 이와 같은 값들은 단말 별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는 단말 간 다중화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거나, 각 단말의 타겟 전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단말이 개-루프 전력 제어를 수행할 때 해당 전력 제어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또는 시그널링)은 MAC-CE(Medium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등을 통해서 전송되거나, 그룹 공통 DCI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때, 단말 특정한 RRC 시그널링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전력을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동적 시그널링(dynamic signaling)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자원 풀 등을 다수의 단말들이 공유할 때, 단말들을 다수의 그룹들로 그룹화하여 각 그룹이 이용할 오프셋이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풀 별 및/또는 각 그룹 별 전력 파라미터(들)가 단말 그룹 공통적(UE-group common)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6 실시 예 - 단말에 할당된 다수의 자원들(multiple resources)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grant-free 자원을 할당 받을 때, 트래픽(traffic), 반복 전송(repetition), 및/또는 충돌을 예방하기 위한 호핑(hopping) 등을 위해 다수의 grant-free 자원들을 할당 받는 경우가 요구될 수 있다. 즉, 단말은 grant-free 전송을 수행할 다수의 자원들을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할당 받은 grant-free 자원 각각을 제어하기 위하여, grant-free 자원 인덱스를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덱스의 범위는 단말이 할당 받을 수 있는 최대 grant-free 자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grant-free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해당 자원의 인덱스를 함께 알려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말에게 할당한 grant-free 자원을 활성화(activation), 비활성화(deactivation), 변경(modification), 또는 해제(release)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동작들을 수행하는 경우, 각 자원의 인덱스를 나타내어 특정 인덱스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활성화, 비활성화, 변경, 또는 해제 등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관련하여, 기지국은, 자원 인덱스의 집합(set)(또는 묶음)을 나타내는 특정 값 또는 비트맵을 이용하여 다수의 grant-free 자원들이 동시에 활성화, 비활성화, 변경, 또는 해제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기지국이 L1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설정되는 grant-free 자원을 제어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2)이 이용될 수 있다.
방법 1)
L1 시그널링에 자원 인덱스(즉, grant-free 자원 인덱스)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에 grant-free 자원 인덱스를 나타내는 필드가 구성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의 경우, 상술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과 유사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방법 2)
L1 시그널링의 CRC 스크램블링(Cyclic Redundancy Check scrambling, CRC scrambling)을 자원 인덱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L1 시그널링에서 다수의 grant-free 자원들을 위한 별도의 필드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grant-free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은, grant-based 전송 방식을 위한 L1 시그널링의 CRC 스크램블링 또는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에 이용되는 식별자와 유사한 형태의 식별자를, 단말에게 grant-free 자원 별로 할당할 수 있다. 즉, 자원 인덱스들에 대해, 서로 다른 CRC 스크램블링을 위한 서로 다른 RNTI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자원 인덱스는, 단순히 자원을 지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원의 용도 등을 암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인덱스의 자원은 폴-백 동작(fall-back operation)을 위한 자원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인덱스의 범위에 따라, 특정 인덱스의 자원은 다른 서비스(예: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를 위한 것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호핑(hopping), HARQ 식별자, 또는 반복 전송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수의 자원들을 할당 받을 때, L1 활성화 과정(L1 activation procedure)을 거치는 grant-free type 2의 경우, 다수의 자원들에 대한 활성화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활성화 절차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5)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1)
각 자원 별 활성화(activation) 또는 해제(release)를 별도로 처리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다수의 자원들의 이용이 요구되는 경우, 다수의 DCI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설정에 대한 활성화 또는 해제 임을 구별하기 위하여, 자원 인덱스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DCI가 구별될 필요가 있다. 해당 방법의 경우, 단말이 DCI를 정확히 수신하지 못한 경우(즉, missing한 경우), 네트워크(예: 기지국)과 단말은 자원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방법 2)
활성화 또는 해제와 관련하여 미리 반-정적으로 다수의 자원 집합들을 설정하고(여기에서, 각 자원 엔트리(resource entry)는 다수의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음), 동적으로 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해당 자원 집합은, DCI를 통해 자원 인덱스를 나타내는 경우, 이 중 하나로 표현될 수도 있다.
방법 3)
다수의 자원들을 DCI로 지시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는, DCI 포맷을 새롭게 설계하거나, 다중 슬롯 자원 할당 방식(multi-slot resource allocation scheme) 등을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4)
다수의 자원들이 호핑, 다중 HARQ 프로세스, 반복 전송 등을 지원하기 위해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이와 같은 자원 집합을 단말에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자원들은 상술한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한 다수의 자원 설정(resource configuration)들을 의미하고, 자원 집합은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한 자원 설정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 개의 HARQ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하여, N 개의 grant-free 용도의 자원 설정으로 구성된 자원 집합이 할당(또는 매핑)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대한 자원을 설정할 때, 일부 자원 설정은 다른 주된 자원 설정에 종속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자원 집합 중 하나를 활성화 또는 해제하거나, 주된 자원 설정에 대한 활성화 또는 해제를 수신하면 해당 자원 집합 전체를 활성화 또는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5)
자원의 해제와 관련하여, 특정 비트 조합 또는 특정 필드 값을 이용하여, 모든 자원들을 동시에 해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제7 실시 예 - 단말 식별자 및 스크램블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기지국으로부터 부여 받는 단말 식별자와 별개로, 기지국이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한 추가적인 단말 식별자를 부여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부여 받는 단말 식별자는 데이터의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시드(seed)로 이용되거나, 기지국의 제어 정보(즉, 제어 시그널링)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단말은 grant-free 전송 방식과 grant-based 전송 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다수의 grant-free 설정들을 동시에 할당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 간 또는 grant-free 전송들 간에 서로 다른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제 6 실시 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 간 또는 다수의 grant-free 설정들에 대한 기지국의 제어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단말 식별자를 할당하여 제어 신호의 CRC 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상향링크 전송 간에 서로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이용하는 것은, 기지국이 해당 전송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모호성(ambiguity)을 줄이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rant-free 전송 방식에서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할 때,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 간에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방식과, 다수의 grant-free 설정들에 대해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 이하 살펴본다.
먼저,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 간에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만들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한 단발 식별자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기지국이 grant-free PUSCH에 grant-based PUSCH를 스케줄링할 수 있는 경우에 이와 같은 방법이 효율적일 수 있다.
해당 방식의 경우, Grant-free 전송 방식은 다수의 자원 설정들이 존재하거나 다수의 자원이 존재하더라도, 하나의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단말 특정하게 또는 자원 풀 특정하게(공유된 자원인 경우)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자원 풀 특정으로 설정되며, 다수의 자원 풀들이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값을 이용하거나, 다수의 자원 풀들에 대해 별도의 값을 각각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grant-free 설정들에 대해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5)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기준이 되는 단말 식별자 및 grant-free 설정 인덱스를 함께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scrambling sequence generator)로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기준이 되는 단말 식별자는 grant-free 전송 방식 용도로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 혹은 RNTI 일 수 있다.
방법 2)
기지국이 각각의 grant-free 자원 설정마다 서로 다른 단말 식별자를 단말에게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단말 식별자들은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뿐만 아니라, 앞서 제6 실시 예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해당 설정에 대한 기지국의 L1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단말들 간에 공유된 자원 풀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방법 3)
단말은 할당 받은 설정의 수 또는 최대 설정의 수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값을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로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할당 받은 설정의 수 또는 받을 수 있는 최대 설정의 수가 n 인 경우, '(이용된 시간/주파 자원의 인덱스)mod n' 연산의 결과 값을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로 하여 n 개의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시퀀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어떤 함수에 의해 단순히 n 개의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를 생성하고, 이를 각 설정에 할당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각 설정에 할당하는 기준은 grant-free 자원 인덱스일 수 있다.
또한, 단말 간의 스크램블링을 다르게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단말 식별자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이용되는 단말 식별자는 grant-free 전송 방식 용도로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N 개의 RNTI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SFN = 0'에서 설정 받은 자원 슬롯 인덱스를 기반으로 '(시작 RNTI + slot index mod N )mod N' 형식으로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가 결정될 수도 있다.
방법 4)
Grant-free 설정에 포함된 정보를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로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설정의 시간/주파수 자원, RS 파라미터, MCS 값 등(예: 해당 정보의 10 진수 표현 값)이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에 포함된 값을 통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서로 다른 설정이 다른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간의 스크램블링을 다르게 하기 위해 단말 식별자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이용되는 단말 식별자는 grant-free 전송 방식 용도로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일 수 있다.
방법 5)
HARQ 프로세스 식별자(HARQ process ID)를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로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각 ㅎrant-free 설정마다 서로 다른 HARQ 프로세스 식별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보다 유용할 수 있다.
각 grant-free 설정이 독립적인 HARQ 프로세스 식별자 번호(HARQ process ID numbering)을 가지는 경우, grant-free 자원 인덱스 또는 grant-free 설정 별로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자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 간의 스크램블링을 다르게 하기 위해 단말 식별자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이용되는 단말 식별자는 grant-free 전송 방식 용도로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 간에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방식과 다수의 grant-free 설정들에 대해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방식은 서로 조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 간에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방식과 상술한 방법 4)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 간에 다른 데이터 스크램블링을 이용하는 방식과 상술한 방법 2) 및/또는 방법 5)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단말이 하나의 grant-free 자원 설정에 따른 전송만을 이용하더라고, 기지국이 단말의 각 전송을 구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수신된 전송이 몇 번째의 반복 전송인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는, 반복 전송의 일부가 적절하게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즉, missing 하는 경우), 기지국이 단말의 전송 시작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 또는 grant-free 전송 방식을 통한 전송 블록 재전송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 기지국은 수신된 전송이 이전 전송 블록과 동일한 전송 블록인지 판단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 때, 반복 전송을 구분하기 위하여, 반복 순서(repetition order)에 따라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K 번의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서로 다른 K 개의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첫 번째 반복 전송과 나머지 반복 전송의 스크램블링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전송 블록이 전환될 때,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토글(toggle)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그랜트 없이 전송한 전송 블록(즉, grant-free 전송 방식을 통해 전송한 전송 블록)에 대해서, 기지국은 UL 그랜트(UL grant)를 통해 해당 전송 블록에 대한 재전송(retransmission)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UL 그랜트는 grant-based 전송 방식에서 이용되는 RNTI와는 다른 RNTI로 CRC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재전송에 이용할 데이터 스크램블링 방법, 해당 HARQ 프로세스, 또는 해당 전송 블록에 대한 L1 시그널링을 송수신하기 위해 이용할 단말 식별자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2)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해당 재전송에 대하여, 이전의 grant-free 전송을 위해 이용된 것과 동일한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 선택 방법을 적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즉, 그랜트 없이 전송되었던 전송 블록이 그랜트 기반으로 전송되더라도, 최초에 그랜트 없이 전송되었다면, 해당 전송 블록의 재전송에 대해서는 전송이 만료되기 전까지 최초 전송과 동일한 '단말 식별자 또는 단말 식별자 선택 방법' 및/또는 '데이터 스크램블링 시퀀스 또는 데이터 스크램블링 시퀀스 선택 방법'이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의 HARQ 프로세스 식별자 풀(HARQ PID pool)이 분리되어 있거나, 개별적인 HARQ 프로세스 번호가 이용되는 경우, 특히 이와 같은 HARQ 프로세스가 전송된 UL 그랜트의 CRC 스크램블링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에, 전송 블록의 HARQ 프로세스 식별자(PID)를 변경하지 않고 전송이 계속되도록 할 수 있다.
방법 2)
해당 재전송에 대하여, grant-based 전송 방식을 위한 동일한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다. 즉, 그랜트 없이 전송되었던 전송 블록이 그랜트 기반으로 전송되는 경우, 일반적인 그랜트 기반의 전송과 동일한 '단말 식별자 또는 단말 식별자 선택 방법' 및/또는 '데이터 스크램블링 시퀀스 또는 데이터 스크램블링 시퀀스 선택 방법'이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grant-free 전송과 grant-based 전송의 HARQ PID 풀이 분리되어있지 않고, 동일한 HARQ PID 번호가 이용되는 경우, 특히 grant-free 전송의 HARQ PID 풀이 grant-based 전송의 HARQ PID 풀에 포함되는 경우, grant-based 전송 방식과 동일한 단말 식별자 및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동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두 전송의 HARQ PID 풀이 분리되어 있지 않더라도, grant-free 전송의 HARQ 프로세스가 제한적인 경우, 더 이상 전송에 grant-free 자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송 블록이 grant-free 전송의 HARQ PID를 점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grant-based 전송과 동일한 방법으로 해당 재전송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전송 블록의 PID는, grant-free 전송의 PID에서 grant-based 전송의 PID로 전환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해당 TB의 프로세스 식별자가 전환될 때 다음과 같은 방법들(방법들 2-1 내지 2-3)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방법 2-1)
먼저, 각 grant-free 설정은, 결정된 grant-based 전송의 HARQ PID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grant-based 전송 방식으로 전환되어 전송되는 전송 블록은, grant-free 설정 당 동시에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다. Grant-free 전송에 매핑된 HARQ PID라고, HARQ PID 관리의 효율성을 위하여 grant-based 전송에서 이용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두 전송에 대한 HARQ PID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규칙에 의해 둘 중 하나의 전송이 드롭(drop) 또는 지연(postpone)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grant-free 전송 방식으로 이용 중인 HARQ-PID와 동일한 HARQ PID를 나타내는 grant-based 기반의 UL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둘 중 하나의 전송이 드롭 또는 지연될 수 있다.
방법 2-2)
UL 그랜트에 포함된 HARQ PID 필드의 정보와 무관하게 grant-free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 전송 블록과 UL 그랜트를 연관 지을 수 있는 경우, UL 그랜트에 포함된 HARQ PID가 전환될 grant-based 전송의 HARQ PID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UL 그랜트에 두 개의 HARQ PID 필드들이 설정될 수도 있다.
방법 2-3)
단말의 grant-free 전송이 grant-based 전송으로 전환 될 때, grant-free 전송의 HARQ PID가 어떤 함수 또는 오프셋에 의해 grant-based 전송의 HARQ PID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grant-free 전송에서 전환된 HARQ PID와 grant-based 전송에서 이용 중인 HARQ PID 간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규칙에 의해 둘 중 하나의 전송이 드롭 또는 지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최초에 UL 그랜트 없이 전송된 전송 블록이 UL 그랜트를 통해 재전송되는 경우, 단말이 해당 UL 그랜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즉, missing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두 번째 전송(예: 첫 번째 재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기지국은 스케줄된 자원에 대한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이 두 번째 전송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디코딩에 실패한 경우, 해당 기지국은 세 번째 재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단말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재전송에 대하여 이전의 grant-free 전송을 위해 이용된 것과 동일한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 선택 방법을 적용하는 방법(즉, 재전송과 관련된 상술한 방법 1))이 적용되는 경우, 두 번째 전송을 위한 UL 그랜트와 세 번째 UL 그랜트에 대해 동일한 CRC 스크램블링이 이용된다. 이 때문에, 단말이 두 번째 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문제 없이 세 번째 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해당 재전송에 대하여 grant-based 전송 방식을 위한 동일한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방법(즉, 재전송과 관련된 상술한 방법 2))이 적용되는 경우, 단말은, 해당 UL 그랜트를 grant-free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 전송 블록에 대한 UL 그랜트가 아닌, grant-based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 전송 블록에 대한 UL 그랜트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하는 전송 블록이 아닌 다른 전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재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방법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 때,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3)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1)
grant-free 전송 방식에 대해서는 두 번째 전송까지만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단말은, grant-free 전송 방식에 대해서는 첫 번째 재전송까지만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2)
기지국이 grant-free 전송 방식에 대한 두 번째 전송을 수신할 때, 미리 설정된 임계 값에 기반하여 DTX를 판단하고, DTX인 경우 세 번째 전송에 대한 UL 그랜트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세 번째 전송을 위하여, 두 번째 전송에 대한 UL 그랜트와 동일한 UL 그랜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방법 3)
grant-free 전송 방식과 grant-based 전송 방식의 UL 그랜트를 구별하기 위하여, CRC 스크램블링 이외에 UL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이 grant-free 전송에 대한 DCI인지에 대한 유효성(validation)을 추가적으로 검토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유효성 검토에 실패한 경우, 해당 단말은 해당 UL 그랜트를 드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8 실시 예 - 폴 백 자원(fall-back resource)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grant-free 자원을 할당 받는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해당 자원의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TDD(dynamic TDD)가 이용되는 경우, grant-free 전송 기반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 받은 자원의 슬롯 일부 또는 전체가, 하향링크 자원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grant-free 자원의 일부 또는 전체가 RACH 자원 등 다른 동작에 이용되는 상향링크 자원과 충돌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 경우, grant-free 자원 또는 충돌을 일으키는 반대 부분(counter-part)을 천공(puncture)하거나, 레이트 매칭(rate-matching)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기지국과 단말 간의 정렬된 정보(aligned information)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동적 TDD에서 이용되는 SFI(Slot Format Indicator)는 단말에 의해 제대로 수신되지 못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정보를 높은 신뢰도(reliability)로 전송하기에는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또는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URLLC에서 이용되는 트래픽은 일반적으로 산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송을 위해 반대 부분을 천공하거나, 레이트 매칭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할 수도 있다. 반대로, grant-free 자원을 천공하거나, 레이트 매칭하기에는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grant-free 자원이 이용 불가능해지거나, 다른 자원과의 충돌이 발생할 때 이용할 자원(이하, fall-back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Fall-back 자원을 할당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4)이 이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이 grant-free 설정에 fall-back 시에 이용할 자원을 포함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rant-free 설정은, grant-free 자원이 존재하는 슬롯(또는 미니 슬롯)의 서브셋(subset)에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자원들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할당 받은 grant-free 자원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추가적으로 할당된 자원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2)
Fall-back 시 이용할 별도의 grant-free 설정을 단말에게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fall-back 자원은 다수 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다수의 grant-free 설정을 할당 받은 경우에는, 각 fall-back 자원은 grant-free 자원에 1-대-다의 관계로 매핑(one-to-many mapping)될 수도 있다.
방법 3)
Fall-back 시 이용할 자원이 단말이 할당 받은 grant-free 자원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규칙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all-back 자원은, 할당 받은 grant-free 자원을 기준으로 일정 자원 블록 인덱스 오프셋(RB index offset), 일정 심볼(symbol), 또는 일정 슬롯 수만큼 떨어진 위치의 자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이 때, 기지국은 해당 fall-back 자원에 항상 다른 전송을 스케줄링 하지 않거나, 전송된 SFI 또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등을 이용하여 해당 fall-back 자원의 활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방법 4)
기지국이, 각기 다른 시간 자원에 이용할 주파수 자원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자원은 캐리어 단위, 또는 BWP(BandWidth Part)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캐리어가 하향링크 전송 용도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다른 캐리어로 전환하여 grant-free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TDD의 다중-캐리어(multi-carrier)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상술한 자원 설정은, 시간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해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기본 자원 집합(primary resource set)과 세컨더리 자원 집합(secondary resource set)이 설정된 후, 기본 자원 집합의 이용이 불가하거나 충돌 확률이 높은 경우에는, 단말이 세컨더리 자원 집합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세컨더리 자원 집합은 다수 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본 자원 집합에서 세컨더리 자원 집합으로의 전환과 관련하여, 동적으로 기본 자원 집합이 이용 불가할 때만 해당 전환이 수행될 수도 있거나, 반-정적 또는 동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해당 전환을 지시 받는 것일 수도 있으며, 단말이 동적으로 해당 전환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은 반복 전송 내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HARQ 프로세스 등을 결정할 때 시점(timing)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캐리어들 또는 BWP들이 다른 시점 정보를 가질 수 있으므로(예: 다른 슬롯 인덱스), 해당 시점 정보는 기본 자원 집합의 시점에 따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들이 동일한 grant-free 설정하더라도, 상술한 fall-back 자원의 위치는 각 단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들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ACH 또는 grant-free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들 간의 전송 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방법 1이 이용되고, 해당 슬롯 전체가 이용 불가능해지는 동적 TDD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방법 2 또는 방법 2이 이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fall-back 자원의 활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말은 할당 받은 grant-free 자원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SFI, 시스템 정보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SFI를 통해 grant-free 자원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경우, 해당 단말은, SFI에 의해 상향링크 용도로 지시되는 슬롯에 속한 grant-free 자원을 유효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는, 해당 단말은, SFI에 의해 상향링크 용도 또는 미정(Unknown)으로 지시되는 슬롯에 속한 grant-free 자원을 유효한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다. 또는, 해당 단말은, SFI에 무관하게 grant-free 자원을 항상 유효한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다.
해당 예시들의 방법들 중 어느 것을 이용할 것인지는 시스템 상으로 미리 설정되거나, 기지국에 의한 L1 시그널링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SFI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경우에, 다른 정보가 없다면 해당 단말은 SFI에 무관하게 grant-free 자원을 항상 유효한 것으로 가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grant-free 자원은 (주기적으로) 해제되기 전까지는 계속 존재하기 때문에, 단말이 SFI를 수신했을 때, 해당 SFI에 의한 판단을 어느 시점부터 적용할 지에 대한 모호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SFI에 의한 판단이 적용되는 시점은 기지국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해당 판단은, SFI가 수신된 슬롯 또는 그 다음 슬롯부터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이 특정 시점에서, 그룹 공통 DCI를 이용하여 fall-back 자원이 언제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오프셋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해주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번째 슬롯(slot #n)에서 구성된 자원(들)이 하향링크 자원으로 변경됨에 따라 이용 불가해진 경우, 기지국은 n-k번째 슬롯(즉, slot #n-k)에서 그룹 공통 DCI를 통해 해당 자원이 언제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해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오프셋이 1인 경우, 이는 다음 slot(즉, n+1번째 슬롯)에서 동일한 주파수/시간/DMRS 자원이 이용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이 이와 같은 설정을 받는 경우, 해당 단말은 n번째 슬롯을 대신하여 n+1번째 슬롯에서 새로운 자원이 발생됨을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슬롯뿐만 아니라, 미니 슬롯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상술한 그룹 공통 DCI는 해당 자원이 이용 불가해지는 경우에만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TPC(즉, 제5 실시 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술한 그룹 공통 DCI를 모니터링하는 주기, 오프셋, 인덱스 등은 각 자원 별 및/또는 캐리어 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그룹 공통 DCI는 다수의 자원들에 할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k번째 슬롯에서 주기 'P'로 전송된 DCI는, n번째 슬롯부터 n+p번째 슬롯까지 이용 불가한 자원에 대해 오프셋을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오프셋 정보는, 이와 같은 동적 DCI 대신 반-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각 이용 불가해진 자원이 언제 이용 가능한지에 대한 지연 정보(delay)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9 실시 예 - 제어 자원 집합(CORESET)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Grant-free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은, grant-free 전송에 대한 설정, 활성화/비활성화, 또는 grant-free 전송의 재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수신하기 위해, L1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모니터링 영역 즉, 제어 자원 집합(CORESET)은 기존의 grant-based 전송에 대한 L1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CORESET과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UL 그랜트를 수신하기 위한 CORESET이, grant-free 전송 방식과 grant-based 전송 방식에 대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grant-free 전송의 경우에, L1 시그널링의 유형에 따라 다른 CORESET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기지국이, grant-free 전송에 대한 CORESET을 단말에게 할당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방법들 1 내지 4)이 이용될 수 있다.
방법 1)
grant-based 전송의 CORESET과 동일한 CORESET을 이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Grant-based 전송 방식을 위하여 다수의 CORESET들이 설정된 경우, 이 중 하나의 CORESET이 grant-free 설정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한 L1 시그널링에 다수의 DCI 포맷들이 적용되는 경우, 단말은,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하여, 동일한 DCI 포맷 크기(DCI format size)(즉, DCI 포맷의 비트 크기)를 이용하는 grant-based 전송 방식의 CORESET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각 DCI가 CRC 스크램블링을 통해 구분됨에 따라, 단말이 동일한 크기의 DCI 포맷이 grant-free 전송 방식 또는 grant-based 전송 방식에 이용되는 DCI로 구분되어 수신할 수 있을 때, 해당 방법이 보다 유용할 수 있다.
방법 2)
grant-based 전송의 CORESET이 아닌, grant-free 전송을 위한 별도의 CORESET을 단말에게 할당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Grant-free 전송을 설정하면서, 해당 grant-free 전송에 이용될 CORESET을 설정하거나, 설정에 무관하게 모든 grant-free 전송이 하나의 동일한 CORESET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한 L1 시그널링에 다수의 DCI 포맷들이 적용되는 경우, 서로 다른 DCI 포맷 또는 서로 다른 DCI 포맷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CORESET이 할당될 수도 있다.
방법 3)
grant-free 전송 방식 또는 grant-based 전송 방식과 무관하게, 단말이 수신해야 할 DCI 포맷 또는 DCI 포맷 크기에 따라 다른 CORESET을 할당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방법 4)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만을 기반으로 하는 Grant-free 전송(이하, 전송 A)의 L1 시그널링에 대해서, 해당 단말과 연관된 L1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다른 grant-free 전송(이하, 전송 B)의 CORESET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전송 B를 위해 설정된 CORESET을 전송 A를 위한 CORESET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L1 시그널링의 유형은, grant-free 설정의 활성화/비활성화, UL 그랜트뿐만 아니라, 해당 시그널링 등의 세부 내용에 의해서 구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L 그랜트의 경우, 미니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 UL 그랜트와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 UL 그랜트는, 다른 유형의 L1 시그널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제10 실시 예 - 참조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grant-free 전송을 고려하는 경우, 참조 신호 파라미터 등 일부 파라미터는 각 단말에 대해 서로 다른 값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다수의 단말들이 동일한 상향링크 자원을 동시에 사용할 때, 기지국은 서로 다른 파라미터로 전송된 참조 신호로부터 단말을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두 가지의 참조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하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로 단말이 전송하는 PUSCH의 채널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며, 다른 하나는 PTRS(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로 단말의 도플러 효과, CFO(Carrier Frequency Offset) 등 위상(phase)을 보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단말이 전송하는 각 참조 신호는 단말이 이용하는 파형 유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FT-s-OFDM을 이용하는 단말은 순환 쉬프트된 ZC 시퀀스(cyclic shifted ZC sequence)를 이용하고, CP-OFDM을 이용하는 단말은 PN 시퀀스를 참조 신호로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참조 신호에 대한 시퀀스의 생성 방법도, 단말이 전송에 이용하는 파형 유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MRS 시퀀스는, DFT-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즉, 변환 프리코더가 이용 가능한 파형 유형)과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즉, 변환 프리코더가 이용 불가능한 파형 유형)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설정 또는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단말이 전송하는 각 참조 신호에 따라 파형 유형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단말이 순환 쉬프트된 참조 신호를 DMRS로 이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단말과 서로 다른 참조 신호를 다중화하기 위하여, 각 단말은 동일한 시퀀스(예: 기본 시퀀스(base sequence))와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 값을 할당 받을 필요가 있다. 즉, 다중화를 위하여, 서로 동일한 루트 시퀀스(root sequence)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각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다중화를 위하여, 서로 동일한 루트 시퀀스(root sequence)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4)에 대해 살펴본다.
방법 1)
서로 동일한 기본 시퀀스를 할당하기 위하여, 상위 계층의 추가적인 정보 및/또는 보다 낮은 계층의 추가적인 정보를 정의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될 기본 시퀀스의 루트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RRC 파라미터 요소(RRC parameter element) 및/또는 DCI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방법 2)
기본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하여 DMRS 안테나 포트 번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동일한 DMRS 위치를 이용하는 단말이 항상 동일한 DMRS 안테나 포트 번호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
방법 3)
기본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동일한 PUSCH 자원을 이용하는 단말 간에 동일한 기본 시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해당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
방법 4)
단말 간에 grant-free 전송을 위해 공유하는 동일한 RNTI가 존재하거나, grant-free 전송의 ACK/NACK이 그룹 공통 DCI로 전달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때, 이를 수신하기 위한 RNTI 또는 fall-back 전송을 위한 RNTI가 단말 간에 공통으로 할당되었을 때, 해당 RNTI를 이용하여 기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중화를 위하여,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5)에 대해 살펴본다.
방법 1)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를 할당하기 위하여, 상위 계층의 추가적인 정보 및/또는 보다 낮은 계층의 추가적인 정보를 정의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될 시퀀스에 적용될 순환 쉬프트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RRC 파라미터 요소 및/또는 DCI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방법 2)
DMRS 안테나 포트가 별도의 파라미터 또는 필드로 전달되고, grant-based 전송 방식에서 DMRS 안테나 포트 별로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하여, grant-based 전송 방식과 동일한 DMRS 안테나 포트 대 순환 쉬프트 매핑(DMRS antenna port to CS mapping) 방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3)
DMRS 안테나 포트가 별도의 파라미터 또는 필드로 전달될 때, grant-based 전송 방식과는 다른 DMRS 안테나 포트 대 순환 쉬프트 매핑 방식을 정의하여, 해당 DMRS 안테나 포트 값만으로 순환 쉬프트를 정의(또는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rant-based 전송에서 DMRS 안테나 포트가 DMRS가 전송될 자원 요소(RE)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때, grant-free 전송에서는 DMRS에 사용될 RE뿐만 아니라, 순환 쉬프트도 정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4)
제3 실시 예에서와 같이, 각 단말 별로 고유하게 할당된 다른 값으로부터 순환 쉬프트 값을 임의로 도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식별자(예: C-RNTI 또는 CS-RNTI)를 N의 크기를 가지는 임의의 범위로 변환하여(예: mod N), 해당 값을 순환 쉬프트의 인덱스로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RRC 설정만을 이용하는 Type 1 PUSCH 자원과 RRC 설정 및 DCI를 이용하는 Type 2 PUSCH 자원이 하나의 셀에서 동시에 설정된 경우에 각 설정의 단말 그룹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식별자(예: CS-RNTI)를 사용한 순환 쉬프트 도출 방법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Type 1 PUSCH 자원에서는 해당 방법을 이용하고, Type 2 PUSCH에 대해서는 grant-based 전송 방식과 동일한 방법 또는 상술한 다른 방법들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방법 5)
또한, 단말 특정 PN 시퀀스 생성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참조 신호 전송에 적용될 순환 쉬프트 값을 나타내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이 PN 시퀀스를 DMRS로 이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단말과 서로 다른 참조 신호를 다중화하기 위하여, 다른 시퀀스 생성 값 즉, 시퀀스 생성 초기 값(C_init)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Grant-based 전송 방식의 경우, 시퀀스 생성 초기 값을 할당하기 위하여 별도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셀 식별자가 이용된다.
Grant-free 전송 방식에 대해 시퀀스 생성 초기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3)이 이용될 수 있다.
방법 1)
Grant-free 전송 방식의 경우에도, grant-based 전송 방식의 시퀀스 생성 초기 값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2)
Grant-free 전송 방식의 시퀀스 생성 초기 값을 위한 상위 계층의 추가적인 정보 및/또는 보다 낮은 계층의 추가적인 정보를 정의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의 전송에 PN 시퀀스 생성을 위한 초기 값을 나타내는 정보가, RRC 파라미터 요소 및/또는 DCI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PN 시퀀스가 적절하게 선택된 경우에 상호 간의 상관 값이 더 낮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이 명시적으로 낮은 상관 값을 가지는 PN 시퀀스를 할당하여 단말 검출의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법 3)
제3 실시 예에서와 같이, 각 단말 별로 고유하게 할당된 다른 값으로부터 시퀀스 생성 초기 값을 임의로 도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식별자(예: C-RNTI 또는 CS-RNTI)가 DMRS 스크램블링 식별자 대신 이용될 수 있다.
RRC 설정만을 이용하는 Type 1 PUSCH 자원과 RRC 설정 및 DCI를 이용하는 Type 2 PUSCH 자원이 하나의 셀에서 동시에 설정된 경우에 각 설정의 단말 그룹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식별자(예: CS-RNTI)를 사용한 시퀀스 도출 방법은 유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Type 1 PUSCH 자원에서는 해당 방법을 이용하고, Type 2 PUSCH에 대해서는 grant-based 전송 방식과 동일한 방법 또는 상술한 다른 방법들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PTRS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PTRS를 전송하도록 설정 받은 단말은, 자신이 할당 받은 PUSCH 자원과 전송 블록의 MCS, 및/또는 자원 블록 크기(RB size) 등을 고려하여 PTRS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PTRS의 용도를 고려했을 때, 낮은 트래픽 도착 비율(traffic arrival rate)을 갖는 URLLC 전송에서는 MCS가 낮고 자원 블록 크기가 작더라도 PTRS를 전송하는 것이 이득일 수도 있다. 반면, 경쟁 기반의 전송으로 설정된 grant-based PUSCH에서는, 단말이 PTRS를 전송하더라도, 다른 단말이 해당 자원 요소를 레이트 매칭하거나 천공하지 않는 이상 PTRS가 전송된 자원 요소가 다른 단말의 PUSCH 전송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grant-free 전송 방식 기반의 PUSCH 전송을 고려했을 때,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5)을 통해 PTRS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1)
Grant-free 전송 방식의 경우, 다른 PTRS 설정, MCS, 자원 블록 크기 등과 무관하게 PTRS 전송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grant-free 전송 방식에서 PTRS를 전송하지 않을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방법 2)
방법 1)과 달리, Grant-free 전송 방식의 경우, 다른 PTRS 설정, MCS, 자원 블록 크기 등과 무관하게 PTRS 전송이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방법 3)
Grant-free 전송 방식의 PTRS에 대해서 grant-based 전송 방식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PTRS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방법 4)
Grant-free 전송 방식에서의 PTRS 전송을 위하여, Grant-based 전송 방식과 다른 파라미터 표(parameter table)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동일한 파라미터 표를 이용하고, grant-free 전송 방식 용도로 별도의 임계 값을 할당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표는 grant-free 전송 방식과 grant-based 전송 방식에 대해 동일하게 이용되지만, grant-free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ptrs-MCSn, N_PRBn이 아닌 별도로 할당 받은 ptrs-MCS1-wogrant, N_PRBn-wogrant를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방법 5)
Grant-free 전송에서 PTRS 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상위 계층의 추가적인 정보 및/또는 보다 낮은 계층의 추가적인 정보를 정의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TRS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RRC 파라미터 요소 및/또는 DCI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해당 정보는 1 비트의 플래그(flag)로 grant-free 전송에서의 PTRS 전송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해당 플래그가 'ON'되는 경우 단말은 자신이 할당 받은 PUSCH 자원의 MCS 및 자원 블록 크기를 고려하여 PTRS의 밀도(density)(즉, 자원 영역에 PTRS가 매핑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방법 3)과 같이 grant-based 전송 방식과는 다른 조건이 이용될 수도 있다.
경쟁 기반의 PUSCH에서 PTRS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 간에 이용되는 PTRS 자원이 다르게 설정되면, 참조 신호의 전송이 상향링크 데이터에 의해 방해 받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PUSCH를 공유하는 단말 간에는 PTRS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PTRS를 전송하기 위한 시퀀스들 간에도 상관성이 낮도록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PTRS 전송 위치(즉, 동일한 PTRS 전송 자원)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ZC 시퀀스 기반의 DMRS의 기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설정되는 파라미터의 이용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의 정보가 경쟁 기반의 PUSCH의 PTRS 전송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PTRS 시퀀스를 각 단말 별로 직교 또는 상관성 없게 생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거나, 단말 특정 DMRS의 결정 방법을 이용하거나, 가장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 PN 시퀀스의 집합의 인덱스를 단말 특정 파라미터를 통해 도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이용되는 단말 특정 파라미터는 단말 특정 DMRS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제11 실시 예 - 전송 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
단말이 그랜트를 수신하는 경우,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는 자원 요소 수와 코드율(code rate)의 함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TBS는, DMRS 오버헤드(OverHead, OH) 등을 고려하여 오버헤드에 대한 파라미터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값을 곱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을 grant-free 전송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오버헤드에 대한 값은 grant-base 전송 방식 및 grant-free 전송 방식의 자원에 별도로 설정되거나, 하나의 값이(각 캐리어 별 설정된 값) 될 수도 있다. 이 때, DMRS 및/또는 PTRS의 오버헤드 등은 제외될 필요가 있다.
각 DMRS 등을 위하여 단말이 선택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TBS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grant-free 전송 방식의 경우 TBS 및 변조 순서(modulation order)에 대한 정보를 MCS 대신에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Grant-free 전송에 대한 재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단말은 TBS를 산출하지 않고, 이전의 grant-free 전송에 이용된 TBS를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또는 가정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재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통해 CBG(Code Block Group) 기반의 재전송이 설정된 경우, 이전의 TBS 값을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즉, 단말은 UL 그랜트를 이미 설정 받은 경우 또는 수신한 그랜트에 대한 재전송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 해당 단말은 TBS 산출을 생략(skip)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이 수신된 UL 그랜트가 어느 설정(예: grant-free 용도의 설정 또는 grant-based 용도의 설정)에 연관되었는지를 미리 인지하고 있거나, 해당 재전송이 수신된 UL 그랜트들 중 어느 UL 그랜트에 대한 것인지를 미리 인지하고 있는 경우, 해당 단말은 TBS 산출 동작을 생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초기 전송 및 재전송 간의 TBS를 맞추는 동작의 복잡도가 줄어들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초기 전송을 놓친 경우 또는 초기 전송과 재전송에 대해 산출된 TBS 값이 서로 다른 경우, 이는 네트워크가 블라인드 디코딩(BD)를 통해서 초기 전송의 TBS 또는 재전송의 TBS를 읽어낼(또는 도출할) 수 있음을 가정한다. 따라서, 자원 할당 등의 이유로 초기 전송과 재전송의 TBS를 맞추지 못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다른 TBS가 전송될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제12 실시 예 - 주파수 호핑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NR 시스템에서, 단말은 다양한 전송 지속 시간(transmission dur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을 위해, 기지국은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슬롯 애의 심볼들을 이용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grant-free 전송 방식과 관련하여, 스케줄링된 자원(예: 상향링크 스케줄링된 자원)에 대해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적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각 단말 별로 다른 호핑 경계(hopping boundary)를 가지는 경우, 다수의 단말들이 이용할 자원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하, 방법들 1 내지 2)이 이용될 수 있다.
방법 1)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상향링크 자원에서 참조 신호(예: DMRS)의 위치가 슬롯에 기반하여 정해지는 경우, 호핑 경계도 슬롯에 기반한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참조 신호가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에 따라 설정되는 경우, 주파수 호핑도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서, 단말이 PUSCH 매핑 유형 A(PUSCH mapping type A)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은 항상 8번째 심볼에서 PUSCH를 호핑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방법 2)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상향링크 자원에서 참조 신호(예: DMRS)의 위치와 무관하게, 호핑 경계기 슬롯에 기반한 위치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서, PUSCH 매핑 유형과 관계없이, 단말은 항상 8번째 심볼에서 PUSCH를 호핑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PUSCH에 대한 호핑 경계는 PUCCH와 같이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 RRC 파라미터)없이 결정될 수도 있다. PUCCH에 대한 주파수 호핑의 경우, 호핑 경계는 시간 자원 할당에 기반하여 지정될 수 있다.
그러나, PUSCH에 대한 주파수 호핑을 위해 PUCCH와 동일한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PUSCH에 대한 호핑 경계가 시간 자원 할당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경우, 주파수 호핑을 갖는 다중 PUSCH를 자원 격자(resource grid)에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PUSCH의 경우, PUCCH보다 상향링크 자원에서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할 수도 있으므로, PUCCH 전송의 경우보다 PUSCH 전송의 자원 할당이 보다 중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PUSCH에 대한 호핑 경계는, PUSCH에 대한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USCH DMRS의 위치가 PUSCH 매핑 타입 A에 대한 슬롯 경계에 의해 결정되는 점을 고려하면, 적어도 PUSCH 매핑 타입 A에 대해서는, PUSCH에 대한 호핑 경계(즉, 주파수 호핑 경계)가 슬롯의 시작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제안한 방법들을 통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grant-free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적합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6을 참고하면, 단말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의해 설정되는 grant-free 전송 방식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가 가정된다.
S6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술한 grant-free 전송 방식을 위한 설정 정보를 의미하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 정보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통해 설정 및 전달될 수 있다.
이후, S61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는 상술한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grant-free 자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예: 제2 실시 예), S605 단계에서 수신되는 설정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repeti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횟수(repetition numb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복 횟수는 슬롯 기반의(slot based) 반복 전송 및 비-슬롯 기반의(non-slot based) 반복 전송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호핑(hopping)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예: 제4 실시 예),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수의 파형 유형(waveform type)들을 지원하는 경우, S605 단계에서 수신되는 설정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적용될 특정 파형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CP-OFDM 또는 DFT-s-OFDM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S605 단계에서 수신되는 설정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유형(resource allocation type)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이 연속적(contiguous)으로 할당되는 경우에,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상기 DFT-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이 불연속적(non-contiguous)으로 할당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상기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다수의 파형 유형들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이 이용되는 경우와 DTF-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이 이용되는 경우에 대해, DMRS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도 7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7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710)과 기지국(710)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720)을 포함한다.
기지국(710)은 프로세서(processor, 711), 메모리(memory, 712)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71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7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6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7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712)는 프로세서(7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7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713)는 프로세서(7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720)은 프로세서(721), 메모리(722) 및 RF부(7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721)는 앞서 도 1 내지 도 6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7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722)는 프로세서(7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7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723)는 프로세서(7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712, 722)는 프로세서(711, 7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711, 72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 지연(low latency)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DL data)를 송수신하기 위해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상기 RF 유닛과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710) 및/또는 단말(720)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특히, 도 8에서는 앞서 도 7의 단말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프로세서(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810), RF 모듈(RF module)(또는 RF 유닛)(835), 파워 관리 모듈(power management module)(805), 안테나(antenna)(840), 배터리(battery)(855), 디스플레이(display)(815), 키패드(keypad)(820), 메모리(memory)(830), 심카드(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825)(이 구성은 선택적임), 스피커(speaker)(845) 및 마이크로폰(microphone)(8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단일의 안테나 또는 다중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6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8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8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830)는 프로세서(8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키패드(820)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폰(850)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810)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825) 또는 메모리(8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10)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815)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F 모듈(835)는 프로세서(810)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810)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RF 모듈(835)에 전달한다. RF 모듈(835)은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하여 수신기(receiver) 및 전송기(transmitter)로 구성된다. 안테나(840)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RF 모듈(835)은 프로세서(810)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845)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안은 3GPP LTE/LTE-A 시스템, 5G 시스템(New RAT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repeti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횟수(repetition numb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는, 슬롯 기반의(slot based) 반복 전송 및 비-슬롯 기반의(non-slot based) 반복 전송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호핑(hopping)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수의 파형 유형(waveform type)들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적용될 특정 파형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CP-OFDM(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유형(resource allocation type)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이 연속적(contiguous)으로 할당되는 경우,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상기 DFT-s-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이 불연속적(non-contiguous)으로 할당되는 경우,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상기 CP-OFDM 기반의 파형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다수의 파형 유형들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과,
    상기 RF 유닛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repetition transmiss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횟수(repetition numb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호핑(hopping)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수의 파형 유형(waveform type)들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적용될 특정 파형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파형 유형은, CP-OFDM(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다수의 파형 유형들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80057459A 2017-05-18 2018-05-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48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8350P 2017-05-18 2017-05-18
US62/508,350 2017-05-18
US201762512175P 2017-05-29 2017-05-29
US62/512,175 2017-05-29
US201762536994P 2017-07-26 2017-07-26
US62/536,994 2017-07-26
US201762541053P 2017-08-03 2017-08-03
US62/541,053 2017-08-03
US201762556491P 2017-09-10 2017-09-10
US62/556,491 2017-09-10
US201762559611P 2017-09-17 2017-09-17
US62/559,611 2017-09-17
US201862617087P 2018-01-12 2018-01-12
US62/617,087 2018-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249A true KR20180127249A (ko) 2018-11-28
KR101948901B1 KR101948901B1 (ko) 2019-02-15

Family

ID=6427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459A KR101948901B1 (ko) 2017-05-18 2018-05-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834744B2 (ko)
EP (2) EP3849117A1 (ko)
JP (1) JP6852165B2 (ko)
KR (1) KR101948901B1 (ko)
CN (1) CN109891790B (ko)
WO (1) WO20182126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378A (ko) * 2019-10-11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위상 추정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30109186A (ko) * 2021-01-15 2023-07-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업링크 채널 반복을 위한 기준 신호 번들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2109B (zh) * 2017-08-08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免授权资源配置方法及装置
CN111108796B (zh) 2017-09-28 2024-04-0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多个带宽部分上执行数据发射和测量的方法和网络节点
CN109842432B (zh) * 2017-11-17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跳频处理方法及设备
CN110035507B (zh) * 2018-01-12 2021-04-30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移动通讯上行信息传输方法和系统
US11101950B2 (en) * 2018-01-12 2021-08-24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bundling in slot aggregation and slot format considerations for new radio
EP3753331A1 (en) * 2018-02-15 2020-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159274A1 (ja) * 2018-02-15 2019-08-2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BR112020017461A2 (pt) * 2018-02-28 2020-12-22 Ntt Docomo, Inc. Terminal e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CN110225589B (zh) * 2018-03-01 2022-04-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10392433B (zh) * 2018-04-20 2022-04-1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0445521B (zh) * 2018-05-04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设备
CN112369090B (zh) * 2018-05-10 2024-03-12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
CN110519846B (zh) * 2018-05-21 2024-01-1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免调度上行传输的用户设备与其方法
WO2019242501A1 (en) * 2018-06-20 2019-12-26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mbb and urllc simultaneous transmissions
US20200052825A1 (en) * 2018-08-10 2020-02-13 Qualcomm Incorporated Group feedback techniques in wireless systems
US11089598B2 (en) * 2018-08-30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access signatures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wireless communications
US11133970B2 (en) * 2018-09-27 2021-09-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multiple waveforms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4164154A1 (en) * 2018-10-12 2023-04-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for repeatedly transmitting information
CN109699085A (zh) * 2018-10-17 2019-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以及终端设备
WO2020088462A1 (en) * 2018-11-02 2020-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equence generation method and appratus
CN112868194A (zh) * 2018-12-27 2021-05-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重复传输方法、装置、芯片及计算机程序
CN111867079A (zh) * 2019-04-30 2020-10-3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资源分配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BR112021015089A2 (pt) * 2019-02-01 2021-10-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de gerenciamento de recurso e aparelho
CN111526574A (zh) * 2019-02-01 2020-08-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功率控制的方法及设备
EP3911054A4 (en) * 2019-02-03 2021-12-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ference signal receiving and sending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EP3697013A1 (en) 2019-02-14 2020-08-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system perfor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US20220210681A1 (en) * 2019-02-15 2022-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Monitoring
JP2020150375A (ja) * 2019-03-12 2020-09-17 Kddi株式会社 繰り返し送信のためのパラメータ設定を実行する制御装置、端末装置、制御方法、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82083B2 (en) 2019-03-29 2024-01-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 for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WO2020200176A1 (zh) * 2019-03-30 2020-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传输资源的方法及装置
CN111818639B (zh) * 2019-04-11 2022-12-2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3383507A (zh) * 2019-04-30 2021-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dmrs配置方法、用户设备
JP7367065B2 (ja) * 2019-05-13 2023-10-2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アップリンク送信のための方法、端末デバイス、およびネットワークノード
US11395235B2 (en) * 2019-06-03 2022-07-1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enhancement for inter-user equipment multiplexing
WO2021035573A1 (en) * 2019-08-28 2021-03-04 Qualcomm Incorporated Payload segmentation and resource mapping for gf transmissions
CN114175793A (zh) * 2019-10-02 2022-03-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终端设备
CN112672365A (zh) * 2019-10-16 2021-04-16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免授权频谱的pusch增强方法及终端
US11797472B2 (en) * 2019-10-17 2023-10-2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Data cache mechanism through dual sim phone
WO2021087856A1 (en) * 2019-11-07 2021-05-14 Zt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repetition mode indicators
US11019563B1 (en) 2020-01-15 2021-05-25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self-organization in fixed wireless access (FWA) network
US11277733B2 (en) 2020-01-30 2022-03-15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Data transfer using a dual SIM phone
US11903034B2 (en) * 2020-02-19 2024-02-13 Intel Corporation Aggregation indic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during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s
US11330421B2 (en) 2020-03-02 2022-05-10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Du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for wireless network power measurements
US11611985B2 (en) * 2020-03-18 2023-03-21 Qualcomm Incorporated Grant of resources for downlink and uplink communication via one or more relay user equipment
EP4107901A4 (en) * 2020-03-30 2023-08-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1671994B2 (en) * 2020-04-10 2023-06-06 Qualcomm Incorporated Reusing PDSCH TCI and QCL for dynamic coresets
US20230239080A1 (en) * 2020-04-14 2023-07-27 Idac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ed voice coverage
CN113543316A (zh) * 2020-04-14 2021-10-22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息传输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US20210360660A1 (en) * 2020-05-15 2021-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nhancement of msg3
WO2021248438A1 (en) * 2020-06-12 2021-12-16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ed grant uplink transmission resource pool
WO2021253258A1 (en) * 2020-06-17 2021-12-23 Qualcomm Incorporated 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 alignment for physical shared channel
CN113872647B (zh) * 2020-06-30 2022-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探测参考信号srs传输方法及通信装置
US11800533B2 (en) * 2020-08-10 2023-10-2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 of GC-DCI for spatial multiplexing of REDCAP UE
US11991715B2 (en) 2020-09-22 2024-05-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to support user equipment based relaying for coverage enhancement
US20220256519A1 (en) * 2021-02-04 2022-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2024510211A (ja) * 2021-03-12 2024-03-06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高いキャリア周波数を有する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の送信及び/又は再送信方式
JP2022147296A (ja) 2021-03-23 2022-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0382A1 (en) * 2009-03-19 2010-09-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JP2011155335A (ja) 2010-01-26 2011-08-11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及び処理方法
CN103548409B (zh) * 2011-05-02 2017-07-28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接收数据的方法及其基站
KR101669710B1 (ko) * 2012-07-05 2016-10-2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제어 방법과 그 장치
US20140192767A1 (en) 2012-12-14 2014-07-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ll Traffic Transmissions
US10028302B2 (en) 2013-03-08 2018-07-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grant-free transmission scheme
US10015824B2 (en) 2014-02-28 2018-07-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having low lat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692259B (zh) * 2014-07-16 2020-04-2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電信裝置及方法
KR101920111B1 (ko) 2014-09-25 2019-02-11 주식회사 케이티 Mtc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9750056B2 (en) * 2015-01-27 2017-08-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in a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scheme
KR102412484B1 (ko) 2015-08-06 2022-06-24 씨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장치 및 방법
DE112015006876T5 (de) 2015-09-04 2018-05-30 Intel Corporation Pusch-Uplink ohne Autorisierung
GB2558564B (en) * 2017-01-05 2021-11-24 Tcl Communication Ltd Methods and devices for downlink resource sharing between URLLC and eMBB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A3050529A1 (en) 2017-02-02 2018-08-09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communication methods
US11483810B2 (en) * 2017-04-03 2022-10-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resource configu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645730B2 (en) * 2017-04-06 2020-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grant-free resource configuration signaling
US10601551B2 (en) * 2017-05-04 2020-03-24 Sharp Kabushiki Kaish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or uplink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US10499386B2 (en) * 2017-06-15 2019-12-03 Sharp Kabushiki Kaisha Procedure,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uplink transmission without gr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378A (ko) * 2019-10-11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위상 추정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30109186A (ko) * 2021-01-15 2023-07-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업링크 채널 반복을 위한 기준 신호 번들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91790A (zh) 2019-06-14
JP6852165B2 (ja) 2021-03-31
KR101948901B1 (ko) 2019-02-15
EP3849117A1 (en) 2021-07-14
CN109891790B (zh) 2023-03-14
US20200146032A1 (en) 2020-05-07
JP2020504519A (ja) 2020-02-06
EP3471305A4 (en) 2020-02-19
US10834744B2 (en) 2020-11-10
EP3471305B1 (en) 2021-10-20
US11464033B2 (en) 2022-10-04
US20210014879A1 (en) 2021-01-14
EP3471305A1 (en) 2019-04-17
WO2018212628A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9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97026B2 (en) Channel reception or transmission in a coreset based on an RSRP threshold
KR10213731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00213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reempted resource information
CN109792422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11937263B2 (en) Terminal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uplink grants
KR1022256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호핑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10298052A1 (en) Terminal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WO2018199696A1 (ko) Srs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EP247991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contention-based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1607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431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178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기준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20174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nhancement of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CN116114192A (zh) 用于支持pucch传输的重复的机制和条件
KR20220046563A (ko) 비면허 대역에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210137214A (ko) 비면허 대역에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14503660A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WO20220171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rq feedback in rrc inactive state
KR202400528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86332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srs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201301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 채널의 전송을 위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93669A (ko) 상향링크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077868A (ko)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커버리지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75130A (ko)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