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758A - 가습기 겸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가습기 겸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758A
KR20180126758A KR1020170061556A KR20170061556A KR20180126758A KR 20180126758 A KR20180126758 A KR 20180126758A KR 1020170061556 A KR1020170061556 A KR 1020170061556A KR 20170061556 A KR20170061556 A KR 20170061556A KR 20180126758 A KR20180126758 A KR 20180126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main body
unit
pres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907B1 (ko
Inventor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주)세화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화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화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7006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9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기 겸용 테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된 물건 거치부, 물건 거치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수통이 구비된 본체부, 저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을 외부로 공급하는 가습구; 및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의 기능이 일체화된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사용자와 인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테이블 등의 가구를 통해 가습 및 공기 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습 및 공기 정화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보다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습기 겸용 테이블{Table Equipped with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의 기능이 일체화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사용자와 인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테이블을 통해 가습 및 공기 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습 및 공기 정화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보다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건조한 기후 및 중국 등 주변국으로부터의 대기 오염 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미세 먼지로 인한 실내 공기질 저하 및 그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최근 이슈화되고 있다.
한편,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건조한 실내에 가습기를 설치하거나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실내에 설치된 가습기 또는 공기 청정기는 부득이하게 실내 공간을 점유함으로써 생활 공간을 잠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의료산업의 발달로 고령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사회는 이제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7년 65세 이상의 노년인구는 4,810,363명으로서 전체 인구의 9.9%에 달한다고 한다.
한편, 이에 따라 고령층에 대한 복지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즉, 고령층은 증가하고 있으나, 부모님을 부양하며 자녀들이 한집에 거주하는 전통적 가족 관계의 변화에 따라 많은 고령자들은 갑작스런 건강악화의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서 홀로 생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간병인 등을 통하여 이러한 독신의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직접 모니터하며, 돌보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관계로, 대부분의 독신의 고령자들은 갑작스런 질병에 따른 사망의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의 기능이 일체화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사용자와 인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테이블을 통해 가습 및 공기 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습 및 공기 정화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보다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은, 상부에 형성된 물건 거치부; 상기 물건 거치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수통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저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을 외부로 공급하는 가습구;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건 거치부에 구비된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필터 교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저수통 교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 대한 사용자의 관리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 및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상태의 양호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가습기에 구비된 저수통의 하부에 설치된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가습기에 구비된 저수통과 상기 가습기 본체와의 결합 부위에 설치된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가습기에 구비된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수질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습기 겸용 테이블이 설치된 공간의 습도 정보를 상기 판단부로 송신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습기 겸용 테이블이 설치된 공간의 온도 정보를 상기 판단부로 송신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 및 현재 계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 대한 관리 주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 및 상기 관리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의 기능이 일체화된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사용자와 인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테이블 등의 가구를 통해 가습 및 공기 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습 및 공기 정화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보다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노약자의 가습기에 대한 관리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매 등으로 인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의 악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 구비된 필터 교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 구비된 저수통 교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기능 블록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은 본체부(100), 물건 거치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물건 거치부(200)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블의 거치면으로서, 신문, 찻잔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이 거치 가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테이블로서의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물건 거치부(200)에는 외부로의 가습 기능을 제공하는 분사 노즐인 가습구(250)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건 거치부(200)의 하부에 구비된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된 저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이 가습구(250)를 통해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상부로 분사됨으로써 실내 가습의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부(3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본체부(100)를 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테이블 다리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물건 거치부(200)에는 전자 액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270)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이미지가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상부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 장치(270)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은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본체부(100)의 외부면에는 외부 공기 흡입구와, 본체부(100) 내부의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측면에 필터 교체부(150)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필터 교체부(150)는 내부에 공기 정화용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도 2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레일 결합 방식으로 설치되는 결과,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필터 교체부(150)를 잡아당김으로써 슬라이딩 방식으로 필터 교체부(150)를 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서랍 방식으로 분리된 필터 교체부(150)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공기 정화용 필터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3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타측면에도 서랍 방식으로 결합되는 저수통 교체부(170)를 구비함으로써, 가습 기능의 사용에 따라 저수통 교체부(17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통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저수통 교체부(170)를 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내부의 저수통에 물을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습기 및 공기 청정기의 기능이 일체화된 가구인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적으로 사용자와 인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가구인 테이블을 통해 가습 및 공기 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습 및 공기 정화에 따른 효과를 사용자가 보다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는 센서부(110), 입력부(120), 점검부(130), 판단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출력부(170), 및 표시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100)의 센서부(110)는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습도 센서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여 판단부(140)로 송신하고, 온도 센서는 해당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판단부(14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체부(100)의 점검부(130)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리 상태를 점검하며, 판단부(140)는 점검부(130)의 점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점검부(130)에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에 구비된 저수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중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수통과 가습기(100) 본체와의 결합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 센서가 또한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점검부(130)는 상기와 같은 하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하중 측정값 및 접촉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가습기(100)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관리 상태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점검부(130)는 하중 센서 및 접촉 센서로부터의 수신 정보를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기록한다.
구분
하중센서 1Kg 0.9Kg 0.8Kg 0.7Kg 1Kg 0.9Kg 0.8Kg
접촉센서 접촉유지 접촉유지 접촉유지 접촉유지 접촉해제 접촉유지 접촉유지
즉, 점검부(130)는 하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하중 정보를 매일 1회씩 특정 시간(예를 들면, 오후 12시)을 기준으로 기록하며, 저수통을 가습기(100) 본체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접촉 센서로부터 접촉 해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일자 정보를 표 1에서와 같이 기록한다.
한편, 점검부(130)는 상기와 같은 기록 정보를 판단부(140)로 송신하며, 판단부(140)는 점검부(130)로부터 수신된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사용 매뉴얼에는 노약자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매주 1회씩 가습기(100)의 저수통을 가습기(100)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한 후 다시 물을 채워 주십시오'와 같은 관리 요청 사항이 기재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심신이 건강한 상태에 있는 노약자는 해당 매뉴얼에 따른 관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 결과, 저수통에 대한 관리가 실행되는 날에는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해당일(금요일)에 저수통의 하중값의 증가가 기록되며, 또한 해당일(금요일)에는 저수통의 본체로부터의 분리로 인한 접촉 해제 정보가 기록된다.
즉, 본체부(100)의 판단부(140)는 상기 표 1과 같은 기록 정보를 점검부(130)로부터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1주일) 수신하게 되며, 해당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과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노약자의 건강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판단부(140)는 소정의 주기별로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되, 점검부(130)로부터 주기별로 수신된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 또는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주기의 건강 상태를 '양호'로 판단하고, 표 1에서와 같은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 또는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건강 상태를 '주의'로 판단한다.
한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표시부(180)에는 본체부(100)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LED 등의 발광원을 구비하고 있으며, 판단부(140)가 판단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의 양호도를 LED의 발광 상태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노약자에게 적극적인 건강 관리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표시부(180)는 소정의 주기별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가 '양호'인 경우에는 발광원의 조도를 10%씩 증가시키며,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가 '주의'인 경우에는 발광원의 조도를 10%씩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1주일로 기본 설정되어 있는 관리 주기를 자신의 희망하는 기간(예를 들면, 2주일 또는 1일)으로 본체부(100)에 구비된 입력부(120)를 통해 변경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관리 주기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경우에 변경된 관리 주기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되며, 이후 판단부(140)는 변경된 주기에 따라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가 '주의'인 것으로 판단된 회수가 소정 회수(예를 들면, 2회)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 판단부(140)는 '가습기(100)의 물을 교체하여 주십시오' 등과 같은 관리 요청 메시지를, 표시 장치(27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가 '주의'인 것으로 판단된 회수가 소정 회수(예를 들면, 2회) 이상 누적되는 경우에 판단부(140)는 센서부(110)에 구비된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이 해당 기간 동안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기간 동안 소정의 임계값(예를 들면, 1℃) 미만의 온도 변화만이 있었던 경우에는 노약자에게 중대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비상 알림 메시지를 생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생성된 비상 알림 메시지는 통신부(150)를 통해 저장부(16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노약자의 보호자의 단말기(300)로 송신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판단부(140)가 소정의 주기별로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판단부(140)는 현재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계절 정보(절기 정보)를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판단부(140)는 점검부(130)로부터 수신된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 또는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현재 시각이 통상적으로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예를 들면, 봄 또는 여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주의'로 판단하지 않고,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수질 측정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판단부(140)는 점검부(130)로부터 수신된 기록 정보에 하중값의 증가 기록 또는 접촉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센서부(110)에 구비된 습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습도값의 해당 주기 동안의 평균값이 소정의 기준 습도값(예를 들면, 80%)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기간은 장마철 등과 같이 가습기(100)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기간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그 결과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주의'로 판단하지 않고, 가습기(100)에 구비된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수질 측정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으로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 또는 기간인 경우에 점검부(130)는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수질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질 측정값을 일자별로 기록하고, 해당 기록 정보를 판단부(140)로 송신한다.
이에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의 판단부(140)는 점검부(130)로부터 수신된 수질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저수통 내부의 수질 상태가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1주일) 이상 동안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주의'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통신부(150)는 판단부(140)에 의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노약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료 기관의 담당자 또는 보호자에게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의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는 상술한 판단부(140)의 기능을 직접 실행하지 않으며,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관리 서버(400)가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의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는 점검부(130)에 의한 상기 기록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관리 서버(400)에 송신하며, 관리 서버(400)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로부터 수신된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400)가 판단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로 송신되며,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건강 상태 정보에 기초한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의 표시부(180)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또한, 관리 서버(400)가 판단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는 관리 서버(400)로부터 노약자의 보호자 단말기(500) 또는 노약자의 관리 의료 기관으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 노약자의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기(500)를 통해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보호자는 노약자에 대한 연락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보호자 단말기(500)를 통해 노약자를 호출하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호자의 음성 메시지는 관리 서버(400)를 통해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출력부(170)는 보호자의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가습기 겸용 테이블이 설치된 공간에 있는 노약자에게 보호자의 긴급 음성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습기 겸용 테이블을 부모와 자식 간의 자연스러운 소통의 수단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홀로 계신 어머니의 안부를 걱정하는 아들은 어머니와의 자연스러운 소통을 위해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 구비된 저수통의 물 교환 주기를 설정한다.
한편, 이와 같이 설정된 물교환 주기에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가습기 겸용 테이블의 본체부(100)는 보호자인 아들의 핸드폰 등의 단말기(300)로 가습기의 관리 상태 정보 또는 어머니의 건강 상태 정보를 발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아들은 자연스럽게 부모님께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는 방식으로 어머니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부모와 자식 간의 감성 소통의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겸용 테이블에서의 본체부(100)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본체부, 150: 필터 교체부,
170: 저수통 교체부, 200: 물건 거치부,
250: 가습구, 270: 표시 장치,
300: 지지부, 400: 관리 서버,
500: 보호자 단말기.

Claims (1)

  1. 상부에 형성된 물건 거치부;
    상기 물건 거치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수통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저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을 외부로 공급하는 가습구;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가습기 겸용 테이블.
KR1020170061556A 2017-05-18 2017-05-18 가습기 겸용 테이블 KR10197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56A KR101971907B1 (ko) 2017-05-18 2017-05-18 가습기 겸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56A KR101971907B1 (ko) 2017-05-18 2017-05-18 가습기 겸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758A true KR20180126758A (ko) 2018-11-28
KR101971907B1 KR101971907B1 (ko) 2019-05-02

Family

ID=6456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556A KR101971907B1 (ko) 2017-05-18 2017-05-18 가습기 겸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76A1 (ko) 2017-10-26 2019-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의 압력변화 측정을 위한 부품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전지의 압력변화 측정 방법
KR20200111430A (ko) * 2019-03-19 2020-09-29 엔오스 주식회사 집중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책상
KR20200120017A (ko) * 2019-04-11 2020-10-21 채호준 복합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007A (ja) * 1992-03-16 1993-10-12 Denki Koji Nishikawagumi:Kk 加湿器を備えた座卓
KR20000030472A (ko) * 2000-03-02 2000-06-05 박선재 공기방울 수족관 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007A (ja) * 1992-03-16 1993-10-12 Denki Koji Nishikawagumi:Kk 加湿器を備えた座卓
KR20000030472A (ko) * 2000-03-02 2000-06-05 박선재 공기방울 수족관 탁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76A1 (ko) 2017-10-26 2019-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의 압력변화 측정을 위한 부품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전지의 압력변화 측정 방법
KR20200111430A (ko) * 2019-03-19 2020-09-29 엔오스 주식회사 집중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책상
KR20200120017A (ko) * 2019-04-11 2020-10-21 채호준 복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907B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907B1 (ko) 가습기 겸용 테이블
CN104871225B (zh) 用于确定粪便污秽的位置的方法和系统
US20170193788A1 (en) Air quality notifying device connecting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and air quality notifying method therefor
US20180149635A1 (en) Sensor
JP5681933B1 (ja) 荷重センサ付きタイルカーペ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見守りシステム
CN111150152A (zh) 一种紫外线杀菌口罩
KR20170066110A (ko)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3078566A (ja) 排泄検知システム
JP5887676B2 (ja) 生体情報検出用のエアパッド、生体情報検出装置及び生体情報配信システム
JPWO2017209094A1 (ja) 見守りシステム
KR20160040773A (ko) 다수 측정센서들과의 통신제어가 최적화된 실시간 영유아 건강관리 모니터링시스템
US10827850B2 (en) Mattress with sensors and replacement indicato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135325B1 (ko) 먼지 노출량 측정장치
CN107741712A (zh) 一种集成式监控装置
US20200336544A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KR20180007033A (ko) 실내 공기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CN107908118A (zh) 一种基于大数据的老人照看系统
CN110441824A (zh) 床或椅子离开感测设备及其使用
KR20180045879A (ko) 인공 지능형 가습기
KR20180045905A (ko) 인공 지능형 가습기
CN107806689B (zh) 一种滤网寿命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出风设备
CN206272803U (zh) 一种人体健康监测耳机
KR20200071049A (ko) 인공 지능형 가습기
FR3023711A1 (fr) Matelas ameliore
CN210902236U (zh) 一种智能环空气净化坐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