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412A -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412A
KR20180126412A KR1020180135863A KR20180135863A KR20180126412A KR 20180126412 A KR20180126412 A KR 20180126412A KR 1020180135863 A KR1020180135863 A KR 1020180135863A KR 20180135863 A KR20180135863 A KR 20180135863A KR 20180126412 A KR20180126412 A KR 20180126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reinforcing steel
column
reinforc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561B1 (ko
Inventor
김경목
Original Assignee
시에스엔지니어링(주)
김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에스엔지니어링(주), 김경목 filed Critical 시에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8013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5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5Structures with concret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는 배면으로 트인 평면상 디귿자 단면으로 정면에 일정 길이 간격으로 고정홀과 연결창이 뚫린 보강강판과, 고정홀을 관통하여 기둥에 박히는 세트앵커 방식의 고정부재와, 연결창을 관통하여 기둥에 박히는 케미컬앵커 방식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보강방법은 건축물 기둥의 보강방법은 보강이 필요한 기둥을 선정는 보강위치 선정단계(S1), 보강강판을 고정부재로 기둥에 고정하는 보강강판 고정단계(S2),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주근과 대근을 탐지하여 연결부재를 박을 위치를 표시하는 주근대근 탐지단계(S3), 표시된 위치에 연결부재의 일측을 깊게 박되, 타측을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연결부재 연결단계(S4), 보강강판의 빈속을 콘크리트로 충전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6)를 통해 기둥의 주근과 대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연결부재를 기둥에 수직으로 깊이 박고, 보강강판을 콘크리트로 충전하여 기둥을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reinforcing device and reinforcing method for pillars of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는 배면으로 트인 평면상 디귿자 단면으로 정면에 일정 길이 간격으로 고정홀과 연결창이 뚫린 보강강판과, 세트앵커 방식의 고정부재와, 케미컬앵커 방식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건축물 기둥의 보강방법은 보강이 필요하다고 선정된 기둥에 보강강판을 고정부재로 고정한 후,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주근과 대근을 탐지하고,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에서 주근과 대근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연결부재의 일측을 박아서 타측이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하되, 연결부재의 일측은 깊게 박음으로써, 기둥의 주근과 대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연결부재를 기둥에 수직으로 깊게 박고, 보강강판 속을 충전하여 기둥을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설계는 내진설계가 수반되며, 1990년 건축법에 내진설계 관련 규정이 적용된 후, 보완을 거쳐 2005년 후, 내진관련 규정이 현실화 및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내진설계규정 도입 전의 건축물에서는 내진설계가 수반되지 않은채 시공된 건축물과, 내진관련 규정이 현실화 및 강화 이전의 규정으로 내진설계된 건축물, 또는 시공된지 수년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진성능이 저하된 건축물의 경우 지진에 안전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근래에 경주 및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과 같이, 한반도에서 지진이 발생하고 있어, 대한민국은 지진에 안전하다고 볼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많은 기존 건축물이 지진에 무방한 실정이며, 특히 과거에 시공된 학교 건축물의 경우 더욱 지진에 열약한 상화에 있다.
이에, 기존 건축물에 기둥이나 보 등을 보강하는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253519호의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에서는 기존 건축물의 기둥 및 보 중에서 보강되어야할 기둥 및 보의 위치를 선정하는 보강위치 선정단계; 및 상기 선정된 위치에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결합하는 보강단계;를 포함하되, 보강단계는 천공단계, 판형 보강강판 설치단계, 제 1 박스형 보강강판 설치단계, 제 2 박스형 보강강판 설치단계, 연결단계, 콘크리트 충전단계, 수지주입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 시킬 뿐만 아니라, 보강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715359호의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에서는 앞서 특허등록 제1253519호에서 보강강판 설치단계 후, 기둥에 설치된 보강 강판의 개방부에 절곡형 볼트 또는 원호형으로 휘어진 볼트를 이용하여 보강 마감판을 설치하는 보강 마감판 설치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시공이 더욱 간편하여 공기가 더욱 단축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1.등록번호/일자 1012535190000 (2013.04.05) 2.등록번호/일자 1017153590000 (2017.03.06)
그러나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253519호와 제1715359호의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에서는 기둥의 주근과 띠근을 고려하지 않고 보강강판을 기둥에 볼트로 고정함 따라, 기둥의 주근 또는 대근에 걸려 볼트를 필요 깊이만큼 박을수 없거나, 기둥에 볼트를 박는 과정에서 기둥의 주근 또는 대근을 손상시키거나, 기둥의 주근과 대근을 피해 볼트를 기둥에 비스듬히 박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기둥의 주근 또는 대근을 손상시키지 않고 볼트를 깊게 박을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로, 배면으로 트인 평면상 디귿자 단면으로, 정면에 일정 길이 간격으로 고정홀과 연결창이 뚫린 보강강판; 고정홀을 관통하여 기둥에 박히는 고정부재; 연결창을 관통하여 기둥에 박히되,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철근을 피해 깊게 박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보강장치를 이용한 건축물 기둥의 보강방법으로, 보강이 필요한 기둥을 선정는 보강위치 선정단계(S1), 보강강판을 고정부재로 기둥에 고정하는 보강강판 고정단계(S2),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주근과 대근을 탐지하여 연결부재를 박을 위치를 표시하는 주근대근 탐지단계(S3), 표시된 위치에 연결부재 일측을 박고, 타측을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하되, 연결부재 일측을 깊게 박는 연결부재 연결단계(S4), 보강강판의 빈속을 콘크리트로 충전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보강강판을 관통하여 기둥에 고정하는 철근을 기둥 속 주근과 대근을 피해 비스듬히 박아왔던점과 달리. 보강강판 고정단계(S2)에서 기둥의 주근과 대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깊이로 고정부재를 박아 기둥에 보강강판을 고정하고, 주근대근 탐지단계(S3)에서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주근과 대근을 탐지하여 주근과 대근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를 찾아 표시하고, 연결부재 연결단계(S4)에서 그 표시된 위치에 연결부재를 박음으로써, 기둥의 주근과 대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연결부재를 기둥에 수직으로 박을 수 있으면서, 연결부재를 깊게 박을수 있어, 깊게 박히는 연결부재 일측과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 타측에 의해 기둥에 가해지는 하중이 보강강판 속을 충전하는 콘크리트로 전달되고 분산되어 기둥의 보강에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보강강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보강방법의 흐름도.
도 3은 기둥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강판 고정단계(S2)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근대근 탐지단계(S3)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 연결단계(S4)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과 9는 본 발명의 마감판 결합단계(S5)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콘트리트 타설단계(S6) 사시도.
본 발명은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는 배면으로 트인 평면상 디귿자 단면으로 정면에 일정 길이 간격으로 고정홀과 연결창이 뚫린 보강강판과, 고정홀을 관통하여 기둥에 박히는 세트앵커 방식의 고정부재와, 연결창을 관통하여 기둥에 박히는 케미컬앵커 방식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보강방법은 건축물 기둥의 보강방법은 보강이 필요한 기둥을 선정는 보강위치 선정단계(S1), 보강강판을 고정부재로 기둥에 고정하는 보강강판 고정단계(S2),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주근과 대근을 탐지하여 연결부재를 박을 위치를 표시하는 주근대근 탐지단계(S3), 표시된 위치에 연결부재의 일측을 깊게 박되, 타측을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연결부재 연결단계(S4), 보강강판의 빈속을 콘크리트로 충전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6)를 통해 기둥의 주근과 대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연결부재를 기둥에 수직으로 깊이 박고, 보강강판을 콘크리트로 충전하여 기둥을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를 먼저 설명한 후, 이 보강장치를 이용한 건축물 기둥의 보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100)는 보강강판(110)과 고정·연결·결합 수단과 마감판(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강판(110)은 배면으로 트인 평면상 디귿('ㄷ')자 단면 형상으로, 정면의 길이와 폭은 보강이 필요한 기둥(10)의 높이와 폭에 대응되며, 정면에 고정홀(111)과 연결창(112)이 일정 길이 간격으로 천공되고, 양측면의 폭은 보강에 필요한 강도에 따라 형성되며, 양측면의 배면측에 결합홀(113)이 일정 길이 간격으로 천공된다.
이때, 고정홀(111)은 후술되는 고정부재(121)가 관통하는 홀이고, 결합홀(113)은 결합볼트(143)가 관통하는 홀이며, 연결창(112)은 직사각의 형상으로 천공되되, 연결창(112)의 가로는 보강강판(110) 정면의 가로 양 끝에서 각각 기둥(10)의 철근 피복두께 이상을 뺀 폭이며, 연결창(112)의 세로는 기둥(10)의 대근(12) 간격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창(112)의 가로를 보강강판(110) 정면의 가로 양 끝에서 각각 20 내지 30mm를 뺀 폭으로, 연결창(112)의 세로를 250 내지 300mm의 길이로, 그리고 다음 연결창(112)까지의 거리를 150mm정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연결·결합 수단은 고정부재(121), 연결부재(131) 및 용접(141), 결합볼트(143), 너트(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재(121)는 보강강판(110) 속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50)가 경화되기 전까지 보강강판(110)을 기둥(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보강강판(110)의 고정홀(111)을 관통하여, 고정부재(121)의 일측이 기둥(10)에 철근 피복두께 미만의 깊이로 박혀 고정되는 세트앵커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131)는 보강강판(110) 속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50)가 경화되면서 보강장치(100)와 기둥(10)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수단으로, 보강강판(110)의 연결창(112)을 통과하여, 연결부재(131)의 일측이 기둥(10)에 깊게 박혀 고정되되, 연결부재(131)의 타측이 보강강판(110) 내측으로 돌출되며, 고정부재(121) 보다 길이가 길고, 케미컬앵커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부재(131)는 이형철근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타단이 외측으로 확장된 연결롯드(133)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덧붙여, 고정부재(121)의 직경은 16 내지 22mm이고, 연결부재(131)의 직경은 16 내지 25mm이며, 연결부재(131)의 일측이 기둥(10)에 박히는 깊이는 120 내지 150mm, 연결부재(131)의 타측이 보강강판(110) 내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150 내지 180mm이다.
또, 결합볼트(143)는 보강강판(110)의 마주보는 두 결합홀(113)과 후술되는 디귿자 단면의 마감판(140)의 마주보는 두 결합홀(142)을 직선으로 관통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마감판(140)은 보강강판(110)의 개방된 면에 대응되는 판 구조이되, 보강강판(110)의 트인 부분 내측 폭에 대응되는 폭의 판으로 구성되어, 보강강판(110)의 트인 부분 속에 끼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보강강판(110)의 트인 부분 외측 폭에 대응되는 폭의 판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마감판(140)은 정면으로 트인 평면상 디귿('ㄷ')자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디귿자 단면의 마감판(140)은 트인 부분의 내측 폭이 보강강판(110)의 트인 부분 외측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마감판(140)의 트인 정면 속으로 보강강판(110)의 트인 배면이 끼움되는데, 이 디귿자 단면의 마감판(140)의 양측면은 보강강판(110)의 결합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142)이 천공된다.
이때, 마감판(140)은 상단에 콘크리트(150)가 주입되는 주입구를 형성하거나, 보강강판(110)의 길이보다 낮은 길이로 형성하여, 보강강판(110)에 결합된 마감판(140) 상단으로 콘크리트(150)를 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도 있다.
덧붙여, 기둥(10)과 보강강판(110) 정면 사이에 무수축 모르타르(160)를 주입하기 위한 공간을 유지하는 스페이서(122)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100)는 보강위치 선정단계(S1), 보강강판 고정단계(S2), 주근대근 탐지단계(S3), 연결부재 연결단계(S4), 마감판 결합단계(S5), 콘크리트 타설단계(S6), 무수축 모르타르 주입단계(S7)를 거쳐 보강이 필요한 기둥에 보강장치(100)를 이용한 새로운 기둥이 결합되어 기존 기둥을 보강한다.
여기서, 보강위치 선정단계(S1)는 기존 건축물의 기둥 중, 보강이 필요한 기둥(10)을 선정하는 단계로, 보강이 필요한 기둥(10)을 선정하고, 보강장치(100)를 통해 새로이 형성되는 기둥이 보강이 필요한 기둥(10)의 어느면에 형성될지도 선정한다.
그리고 보강강판 고정단계(S2)는 보강장치(100) 중, 디귿('ㄷ')자 단면의 보강강판(110)을 선정된 기둥(10) 고정부재(121)로 고정하는 단계로, 선정된 기둥(10)의 면에 보강강판(110)의 정면이 향하도록, 보강강판(110)의 고정홀(111)을 관통한 고정부재(121)가 기둥(10)에 박혀 보강강판(110)이 기둥(1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재(121)는 기둥(10)의 수직으로 기둥(10)의 철근 피복두께 미만의 깊이로 박혀 보강강판(110)을 기둥(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깊이로 보강강판(110)을 고정하기 어려울 경우, 기둥(10)에 수직이 아니더라도 기둥(10)의 주근(11)과 대근(12)을 피해 더 깊은 깊이로 고정부재(121)를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또, 선정된 기둥(10)의 면에 보강강판(110)의 고정홀(111)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홀을 미리 천공하고, 천공된 홀에 끼워 고정되는 세트앵커 방식의 고정부재(121)로 보강강판(110)을 고정하며, 기둥(10)과 보강강판(110) 사이에 스페이서(122)를 구성하여 기둥(10)과 보강강판(110) 정면 사이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주근대근 탐지단계(S3)는 보강강판(110)의 연결창(112)을 통해 연결창(112) 안의 기둥(10) 속 주근(11)과 대근(12)을 탐지하여 연결부재(131)을 설치할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로, 철근탐지기와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기둥(10) 중 연결창(112) 안에 속하는 부위를 탐지하고, 해당 부위에 주근(11)과 대근(12)이 없는 위치를 표시를 파악한 후, 그 위치 중, 연결부재(131)를 설치 시, 주근(11)과 대근(12)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를 선정하여 표시를 한다.
그리고 연결부재 연결단계(S4)는 앞서 단계에서 표시된 위치의 기둥(10)에 연결부재(131)를 설치하는 단계로, 연결창(112) 안에 표시된 위치의 기둥(10)에 수직으로 연결부재(131)의 일측을 깊게 박아서 고정하되, 연결부재(131)의 타측을 보강강판(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케미컬앵커 방식의 연결부재(131)를 사용 시, 표시된 위치의 기둥(10)에 홀을 미리 천공하고, 천공된 홀에 앵커접착제(132)를 주입하고, 이형철근의 연결부재(131) 또는 연결롯드(133)의 일측을 고정한다.
또한, 연결부재(131)에서 기둥(10)에 박히는 일측과 보강강판(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타측의 길이는 기둥(10) 두께의 40~60%의 길이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감판 결합단계(S5)는 보강강판(110)의 개방된 면에 마감판(140)을 결합하는 단계로, 보강강판(110)의 트인 부분 내측 폭에 대응되는 마감판(140)의 경우, 보강강판(110)의 트인 부분 속에 마감판(140)을 끼우고, 배면측에서 보강강판(110)과 마감판(140) 사이를 용접(141)하며, 보강강판(110)의 트인 부분 외측 폭에 대응되는 마감판(140)의 경우, 보강강판(110)의 트인 부분 끝을 덮고, 양측면에서 보강강판(110)과 마감판(140) 사이를 용접(141)한다.
또한, 마감판 결합단계(S5)에서 평면상 디귿('ㄷ')자 단면의 마감판(140)의 경우, 마감판(140)의 트인 정면 속으로 보강강판(110)의 트인 배면이 끼워서 보강강판(110)의 결합홀(113)과 마감판(140)의 결합홀(142)을 일치시킨 다음, 보강강판(110)과 마감판(140)의 양측면에서 마주보는 결합홀(113)(142)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결합볼트(143)와 너트(144)로 고정한다.
이때, 마감판(140)에 콘크리트(150)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보강강판(110) 보다 조금 짧은 마감판(140)을 결합하여 마감판(140) 상단으로 콘크리트(150)를 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또한, 보강강판(110)과 마감판(140) 사이의 공간에 주근과 대근을 배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단계(S6)는 보강강판(110)의 빈속을 콘크리트(150)로 충전하는 단계로, 마감판(140)의 주입구 또는 마감판(140) 상단에 콘크리트(150)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을 통해 콘크리트(150)를 주입하고, 마감판(140)의 주입구 또는 콘크리트(150)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을 닫아 콘크리트(150)를 양생한다.
끝으로, 무수축 모르타르 주입단계(S7)는 기둥(10)과 보강강판(110) 사이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단계로, 기존 기둥(10)과 보강강판(110) 사이의 틈, 또는 스페이서(122)에 형성된 공간을 메운다.
덧붙여, 보강장치(100)에 마감판(140)이 구성되지 않고, 마감판 결합단계(S5)가 생략되어, 연결부재 연결단계(S4) 와 콘크리트 타설단계(S6) 사이에 보강강판(110)의 개방된 면을 거푸집으로 닫을 수 있으며, 무수축 모르타르 주입단계(S7)도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보강강판을 관통하여 기둥에 고정하는 철근을 기둥 속 주근과 대근을 피해 비스듬히 박아왔던점과 달리. 보강강판 고정단계(S2)에서 기둥의 주근과 대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깊이로 고정부재를 박아 기둥에 보강강판을 고정하고, 주근대근 탐지단계(S3)에서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주근과 대근을 탐지하여 주근과 대근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를 찾아 표시하고, 연결부재 연결단계(S4)에서 그 표시된 위치에 연결부재를 박음으로써, 기둥의 주근과 대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연결부재를 기둥에 수직으로 박을 수 있으면서, 연결부재를 깊게 박을수 있어, 깊게로 박히는 연결부재 일측과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 타측에 의해 기둥에 가해지는 하중이 보강강판 속을 충전하는 콘크리트로 전달되고 분산되어 기둥의 보강에 더욱 효과적이다.
10: 기둥 11: 주근 12: 대근
13: 콘크리트 100: 보강장치 110: 보강강판
111: 고정홀 112: 연결창 113: 결합홀
121: 고정부재 122: 스페이서 131: 연결부재
132: 앵커접착제 133: 연결롯드 140: 마감판
141: 용접 142: 결합홀 143: 결합볼트
144: 너트 150: 콘크리트 160: 무수축 모르타르

Claims (5)

  1. 보강이 필요한 기둥에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에 있어서,
    배면으로 트인 평면상 디귿자 단면으로, 정면에 일정 길이 간격으로 고정홀과 연결창이 천공된 보강강판;
    고정홀을 관통하여 기둥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고정부재보다 길고, 연결창을 통과하여 기둥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고정부재로 보강강판의 정면을 보강이 필요한 기둥에 고정하고,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철근을 탐지하고, 연결부재의 일측을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에서 철근이 없는 위치에 깊게 고정하되, 연결부재의 타측이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부재의 타측이 보강강판 속을 충전하는 콘크리트 속에 매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창은 직사각의 형상으로 천공되되, 연결창의 가로는 보강강판 정면의 가로 양 끝에서 각각 기둥의 철근 피복두께 이상을 뺀 길이로 형성되고, 연결창의 세로는 기둥의 대근 간격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3.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해당하는 보강장치를 구비하며;
    보강이 필요한 기둥을 선정하는 보강위치 선정단계(S1);
    보강강판의 고정홀을 관통한 고정부재로 보강강판의 정면을 선정된 기둥에 고정하는 보강강판 고정단계(S2);
    보강강판의 연결창을 통해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 속 주근과 대근을 탐지하여 연결부재를 설치할 위치를 표시하는 주근대근 탐지단계(S3);
    연결부재의 일측을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에서 표시된 위치에 깊게 고정하되, 연결부재의 타측이 보강강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연결단계(S4);
    보강강판의 빈속을 콘크리트로 충전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6);을 포함함으로써,
    연결부재를 기둥의 주근과 대근을 피해 깊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둥의 보강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보강강판 고정단계(S2)는 세트앵커 방식의 고정부재로 기둥에 보강강판을 고정하며,
    연결부재 연결단계(S4)는 케미컬앵커 방식의 연결부재를 연결창 안의 기둥 부분에서 표시된 위치에 고정하며,
    연결부재 연결단계(S4)와 콘크리트 타설단계(S6) 사이에서, 보강강판의 트인 부분에 끼워지는 마감판을 보강강판의 트인 부분에 끼우고, 배면측에서 보강강판과 마감판을 용접으로 고정하는 마감판 결합단계(S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둥의 보강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구비되는 보강강판은 양측면에 일정 길이간격 결합홀이 천공되며,
    보강강판 고정단계(S2)는 고정되는 보강강판과 기둥 사이에 스페이서를 구성하고,
    연결부재 연결단계(S4)와 콘크리트 타설단계(S6) 사이에서, 정면으로 트인 평면상 디귿자 단면이되, 양측면에 보강강판의 결합홀과 대응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마감판으로 보강강판의 트인 부분을 감싸고, 보강강판과 마감판의 일치된 결합홀을 지나 마감판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결합볼트를 너트로 고정하는 마감판 결합단계(S5)
    콘크리트 타설단계(S6) 후, 기둥과 보강강판 사이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무수축 모르타르 주입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둥의 보강방법.
KR1020180135863A 2018-11-07 2018-11-07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KR10219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863A KR102198561B1 (ko) 2018-11-07 2018-11-07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863A KR102198561B1 (ko) 2018-11-07 2018-11-07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412A true KR20180126412A (ko) 2018-11-27
KR102198561B1 KR102198561B1 (ko) 2021-01-05

Family

ID=6460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863A KR102198561B1 (ko) 2018-11-07 2018-11-07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5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9929A (zh) * 2019-08-28 2019-11-26 广东鼎耀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钢筋植筋的施工辅助设备及施工工艺
KR102093071B1 (ko) * 2019-08-05 2020-03-24 주식회사 에스엠피건설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으로 전단합성 일체화시킨 외부사각 문형 아웃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KR102093070B1 (ko) * 2019-08-05 2020-03-24 주식회사 에스엠피건설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으로 전단합성 일체화시킨 내부사각 문형 인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KR102092952B1 (ko) * 2019-08-05 2020-04-24 (주)에스엠피건설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을 갖는 포켓브라켓 문형 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308B1 (ko) * 2021-12-30 2023-05-26 신세계건설(주) 기둥의 전단보강 및 내진보강이 가능한 강재자켓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19B1 (ko) 2012-11-06 2013-04-11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101670633B1 (ko) * 2016-05-11 2016-10-28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건축물의 내진 외부합성 보강공법
KR101715359B1 (ko) 2016-08-10 2017-03-15 주식회사 엠에스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101870428B1 (ko) * 2017-12-14 2018-06-25 동인구조기술주식회사 경사 멀티홀을 구비하는 내진 보강용 개방 단면 프레임을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19B1 (ko) 2012-11-06 2013-04-11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101670633B1 (ko) * 2016-05-11 2016-10-28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건축물의 내진 외부합성 보강공법
KR101715359B1 (ko) 2016-08-10 2017-03-15 주식회사 엠에스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101870428B1 (ko) * 2017-12-14 2018-06-25 동인구조기술주식회사 경사 멀티홀을 구비하는 내진 보강용 개방 단면 프레임을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071B1 (ko) * 2019-08-05 2020-03-24 주식회사 에스엠피건설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으로 전단합성 일체화시킨 외부사각 문형 아웃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KR102093070B1 (ko) * 2019-08-05 2020-03-24 주식회사 에스엠피건설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으로 전단합성 일체화시킨 내부사각 문형 인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KR102092952B1 (ko) * 2019-08-05 2020-04-24 (주)에스엠피건설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을 갖는 포켓브라켓 문형 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CN110499929A (zh) * 2019-08-28 2019-11-26 广东鼎耀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钢筋植筋的施工辅助设备及施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561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6412A (ko) 건축물 기둥의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KR101670633B1 (ko) 건축물의 내진 외부합성 보강공법
KR101791819B1 (ko)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KR101253519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397800B1 (ko) 단면증설 및 지중보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820628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공사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내진 보강 구조체
KR101383814B1 (ko) 강선사용 프리텐션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JP5324688B1 (ja) 耐震補強工法
KR102357963B1 (ko) 내진 지하연속벽 구조
KR101356724B1 (ko)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15359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102398605B1 (ko)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20220030457A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에 pc부재의 보강으로 앵커의 정착길이를 줄이는 내진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904987B1 (ko) Cft 구조를 이용한 건물 보강방법
KR102408922B1 (ko) Pc 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구조
KR101397886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보강장치
KR101903286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의 시공방법
KR101388478B1 (ko) 아치형 토류판
JP3137562B2 (ja) 既存柱の耐震補強構造
KR102482690B1 (ko)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101951095B1 (ko)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870428B1 (ko) 경사 멀티홀을 구비하는 내진 보강용 개방 단면 프레임을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KR20220155696A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568888B1 (ko) 합성데크형 조인트필라스터가 구비된 내진 지하연속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