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284A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284A
KR20180126284A KR1020170061139A KR20170061139A KR20180126284A KR 20180126284 A KR20180126284 A KR 20180126284A KR 1020170061139 A KR1020170061139 A KR 1020170061139A KR 20170061139 A KR20170061139 A KR 20170061139A KR 20180126284 A KR20180126284 A KR 20180126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skin
differentiation
cosmetic composition
adipocy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4282B1 (en
Inventor
여혜린
김도형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6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282B1/en
Publication of KR2018012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2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2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fatty precursor cells or stem cells containing erythorbic acid into adipocyt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into adipocytes, comprising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and (b) adding a composition including erythorbic acid to the stem cells of step (a). The erythorb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 γ), which is a key regulator of fat differentiation, to promote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derived from adipose tissue into mature adipocytes, thereby suggesting a novel possibility of remedying the aesthetic and health problems of modern people caused by reduction in volume and deterioration in functions due to involution of adipose tissues.

Description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본 발명은 에리소르빈산(Erythorbic acid)을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와, 상기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or adipocytes in adipocytes or erythorbic acid-containing stem cells.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sorbic acid,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a method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from a stem cell using the erysorbic acid-containing composition.

피하조직은 진피와 근막 사이에 위치하여, 체내 지방을 저장하는 지방세포, 지방전구세포, 지방 유래 줄기세포, 혈관 및 신경망을 포함하는 결합조직이다. 피하지방은 기본적으로 에너지 저장, 외부 추위 및 열로부터 체온보호, 완충작용 등의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호르몬,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면역, 체온 조절, 피부조직의 성장 및 노화를 조절함으로써, 피부의 재생, 주름 형성 억제 등을 통해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탄력성 및 견고성을 제공하여, 개인의 외형적 상태를 형성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The subcutaneous tissue is located between the dermis and the fascia, and is a connective tissue containing fat cells, fat precursor cells, fat-derived stem cells, blood vessels and neural networks that store the body fat. Subcutaneous fat basically functions like energy storage, external cold and heat protection from heat, and buffering action. In addition, it regulates the immune system, body temperature control, growth and aging of skin tissues by secreting various hormones,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thereby improving skin appearance through regeneration of skin and inhibition of wrinkle formation . It also gives the skin elasticity and firmness,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forming an individual's external appearance.

이러한 피하지방은 노화함에 따라 조직이 전반적으로 현저히 부피가 감소하고, 그 기능이 저하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한 영향불균형으로 인해 비교적 젊은 나이일 지라도 지방조직이 퇴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방 조직 부피 저하로 인한 피부 탄력 감소 및 강도 하락으로 인한 구조적 붕괴뿐만 아니라, 피부 조직 및 전신적인 대사를 조절하는 내분비기관으로서의 기능의 저하로 인한 노화 촉진, 면역 및 재생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It is well known that the subcutaneous fat is markedly reduced in size and deteriorated in function as the aging proceeds. However, due to the imbalance of the effects due to excessive dieting in modern age, fat tissues tend to retreat even at a relatively young age. This causes problems such as aging promotion, immune reduction and regeneration due to a decrease in function as an endocrine organ that regulates skin tissue and systemic metabolism, as well as structural collapse due to reduction of skin elasticity and strength drop due to lowering of fat tissue volume do.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침습적인 방법을 이용한 자가 지방이식 수술 등의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비교적 지방이 풍부한 복부 및 허벅지 부위의 지방을 채취하여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화상, 수술, 흉터로 인해 함몰된 피부나, 노화로 인한 피하지방 감소를 일부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비교적 고가의 비용을 들여야 하며, 수술 후 자가 지방 조직의 생착률이 일정하지 않고, 수술적인 방법을 이용해야만 하는 침습적인 방식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면서, 피하지방층의 퇴축을 복구시킬 수 있는 비침습적인 방식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ethods such as autologous fat transplantation using current invasive methods are being implemented. A relatively fat-rich abdominal and thigh fat is collected and transported, which can partially alleviate fat burns caused by burns, surgery, scarring, and aging.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relatively expensive, and the incidence of autologous adipose tissue is not constant after surgery, and it is an invasive method that must use an operative method.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non-invasive method for restoring the subcutaneous fat layer while compensating for these disadvantages.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피하지방에 중간엽 계열의 다능성 줄기세포가 존재하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 줄기세포는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ADSC)라고 하며, 환경적인 신호에 따라,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호르몬 및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으로서 지방 및 피부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또한, 자가 지방이식 수술 이후 지방조직의 생착은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함유량에 의해 조절된다. 즉,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가 피하 지방으로 분화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자가 지방이식 수술과 같은 효과를 갖는, 비침습적이고 안전한 지방 재생을 기대할 수 있다.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pluripotent pluripotent stem cells exist in subcutaneous fat. These stem cells are called adipose tissue derived stem cells (ADSC) and differentiate into mature adipocyt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signals. It also maintains the homeostasis of fat and skin tissue by secretion of a variety of hormones and cytokines. In addition, the adiposity of adipose tissue after autologous fat transplant surgery is controlled by the content of adipose tissue derived stem cells. In other words, by inducing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nto subcutaneous fat, non-invasive and safe fat regeneration with the same effect as autologous fat transplant surgery can be expected.

또한,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epidermis)는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능은 각질형성 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가능하다.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최하층(stratum basale)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던 기저세포(basal cell)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형성된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오래된 각질형성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표피 최하층으로부터 올라온 새로운 각질형성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표피 분화(epidermis differentiation) 또는 각화(keratinization)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각화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질을 생성하여, 각질층이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피부장벽(skin barrier)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pidermis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skin protects against various external physical, chemical and mechanical stimuli and protects against excessive divergence of body water through the skin. This protective function is possible by normally forming and maintaining the stratum corneum composed of keratinocytes. The keratinocyte is a cell formed by a stepwise change in morphology and function while a basal cell that continuously proliferates in the stratum basale moves to the stratum corneum, Forming cells are removed from the skin and the new keratinocytes from the epidermis's bottom layer repeat the process of epidermis differentiation or keratinization replacing its function. In this keratinization process, keratinocytes produce intercellular lipids such as natural moisturizing factors (NMF) and ceramides, cholesterol, and fatty acids, which act as barrier layers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또한, 현대 사회의 주요 질환의 하나로 여겨지는 피부 건조증은 피부 장벽 기능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증상의 하나로, 최근, 환경 오염, 아파트, 고층 건물과 같은 건조한 환경의 증가,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우리나라 특유의 과도한 목욕 문화, 피부 노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증세가 심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소아의 10%에서 발병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역시 피부 건조증, 보다 근본적으로는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을 주요 원인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피부 내 적절한 수분 유지에 중점을 두어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세라마이드(ceramide) 또는 그의 유도체와 같은 보습제가 개발되어 제약 또는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skin dryness,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jor diseases of modern society, is one of symptoms caused by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Recently,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 in dry environment such as apartments and high rise buildings, increase in social stress, Excessive bathing culture, skin aging, and the like, and the cases where the symptoms are serious and require treatment are also increasing steadily. Atopic dermatitis, which is present in 10% of children in recent years, is also known to be a cause of dry skin syndrome, and more fundamentally, abnormal skin barrier function. In order to treat such atopic dermatiti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supply water from the outside or minimize water loss from the body by focusing on proper moisture retention in the skin in the past. Actually, ceramide or derivatives thereof have been developed and are wide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field.

그러나 이와 같은 보습제의 사용은 그 대부분이 근본적인 치료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에 불과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증 및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치료에 대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손상된 피부 장벽을 근원적으로 재생시켜주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However, most of the use of such moisturizers is merely a temporary symptom relief rather than a fundamental treatment, and thus does not show sufficient effect for treatment of dry skin and skin barrier function including atopic dermatitis.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substance that can restore the damaged skin barrier fundamentally.

최근 들어, 각질 형성 세포에 존재하는 PPAR α(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가 그 리간드(ligand)와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재구성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실제로 공지된 PPAR α의 작용제(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 또는 WY14643등을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가 촉진되고 피부 장벽의 회복이 촉진됨이 확인된 바 있다.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when PPAR [alph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existing in keratinocytes is activated by binding with its ligand, it promotes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and reconstructs damaged skin barri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when the known agonists of PPAR alpha, such as Clofibrate or WY14643, are applied to the skin with damaged skin barrier,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is promoted and recovery of skin barrier is promoted .

한편, 에리소르빈산(erythorbic acid)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 아이소아스코르빈산, D-아마보아스코르빈산이라고도 불리며, 아스코르빈산, 즉 비타민 C의 입체이성질체(stereoisomer)이다. 상기 화합물은 상기의 명칭 외에도, (5R)-5-[(1R)-1,2-디하이드록시에틸]-3,4-디하이드록시퓨란-2(5H)-원((5R)-5-[(1R)-1,2-Dihydroxyethyl]-3,4-dihydroxyfuran-2(5H)-one)이라고도 불리며, 그 외에도 D-아라보아스코르빈산(D-Araboascorbic acid), 에리소르베이트(Erythorbate), 아이소아스코르빈산(Isoascorbic acid), 또는 E315라고 불리는 화학식은 C6H8O6이고 분자량은 176.12인 화합물이다. On the other hand, erythorbic acid is a compound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isoascorbic acid, D-ambo boccusvic acid, and is a stereoisomer of ascorbic acid, i.e., vitamin C. (5R) -5 - [(1R) -1,2-dihydroxyethyl] -3,4-dihydroxyfuran-2 (5H) -one ((5R) -5 (D-araboascorbic acid, erythorbate),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1R) -1,2-Dihydroxyethyl] -3,4-dihydroxyfuran- , Isoascorbic acid, or a compound called E315 is C 6 H 8 O 6 and the molecular weight is 176.12.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에리소르빈산은 백색 또는 황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로서 냄새는 없으나 약간 신맛이 있으며, 자연계에 분포하지 않고, 식품 중에도 존재하지 않으나, 미생물에 의해 글루코스, 자당 등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녹는점은 164∼171℃ 이며, 물과 아세톤, 알코올에 잘 녹고, 글리세린에 약간 녹으며 에테르나 벤젠에는 녹지 않는다. 아스코르빈산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고 환원력은 강하나 열이나 빛에 약하고, 구리이온과 같은 중금속 이온에 의해 현저히 산화가 촉진되어 분해되는 것이 특징이며, 에리소르빈산 수용액은 공기 중에 잘 분해되며 햇빛에 노출되면 검게 변한다.  Erysorbic acid is white or yellow crystals or crystalline powder with no odor but a slight sour taste. It is not distribut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does not exist in foods, but is made from glucose, sucrose etc. by microorganisms. Melting point is 164-171 ° C. It is soluble in water, acetone and alcohol, slightly soluble in glycerin, and does not dissolve in ether or benzene. It is chemically similar to ascorbic acid and has a strong reducing power. It is weak against heat and light. It is characterized by decomposition by oxidation of heavy metal ions such as copper ions. Erysorbic acid aqueous solution is decomposed well in air and exposed to sunlight It turns black.

한편, 에리소르빈산의 이성질체인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은 수용성 비타민의 하나로 비타민 C라고 불리며, 인체 감염에 대해 저항하고 상처를 치유하며 조직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도 많이 포함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온에서 제조되는 경우보다 대부분은 고온에서 제조되는 경우가 많고, 고온에서 제조될 때도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여러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아스코르빈산은 쉽게 산화되어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그럼으로 해서 실제로 아스코르빈산이 가지고 있는 효능이 그대로 유지되는지에 대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On the other hand, ascorbic acid, which is an isomer of erysorbic acid, is called a vitamin C as one of water-soluble vitamins. It is resistant to human infection, heals wounds, and can keep tissues healthy. . However, in the produc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most of them are produc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ose prepared at room temperature, and when they are prepared at a high temperature, they are generally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steps in various temperature ranges. In such a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was easily degraded and thus the effect of ascorbic acid was actually maintained.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에리소르빈산이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열처리에서도 안정적이고, 특히, 지방분화의 핵심 조절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 γ)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함을 발견하고,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에리소르빈산의 지방 세포 분화 조절 기능을 최초로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erysorbic acid is stable even in heat treatment as compared with ascorbic acid, and particularly promotes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 A key regulator of lipid differentiation,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and proving the function of regula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erysorbic acid, which was previously unknown,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or adipocytes in adipose precursor cells or stem cells comprising an erysorbic acid compound or an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rythorbinic acid compound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n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줄기세포에 상기 에르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tem cell comprising: (a) culturing a stem cell; And (b) adding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rosorbic acid to the stem cells of step (a).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in adipose precursor cells or stem cel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or adipocytes in adipose precursor cells or stem cells comprising an erysorbic acid compound or an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embodimen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본 발명에 있어서, "에리소르빈산(Erythorbic acid)"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분자식은 C6H8O6, 분자량은 176.12를 가진다. 에리소르빈산은 아스코르빈산, 즉 비타민 C의 입체이성질체(stereoisomer)이며, 상기 용어 외에도 명명되는 이름이 다양한데, 구체적으로 아이소아스코르빈산, D-아마보아스코르빈산 또는 (5R)-5-[(1R)-1,2-디하이드록시에틸]-3,4-디하이드록시퓨란-2(5H)-원((5R)-5-[(1R)-1,2-Dihydroxyethyl]-3,4-dihydroxyfuran-2(5H)-one)이라고 명명되는 화합물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 erythorbic acid "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the molecular formula is C 6 H 8 O 6 , and the molecular weight is 176.12. Erysorbic acid is a stereoisomer of ascorbic acid, i.e., vitamin C.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terms, there are various names, specifically isoascorbic acid, D-amaboxocorbic acid or (5R) -5 - [ ) -1,2-dihydroxyethyl] -3,4-dihydroxyfuran-2 (5H) -one ((5R) -5 - [(1R) dihydroxyfuran-2 (5H) -one).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은 에리소르빈산의 획득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method for obtaining erysorbic acid, and may be chemically synthesiz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or a commercially available material may be used.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리소르빈산은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erythorbic acid represented by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in solvated form as well as unsolvated form. The erythorb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in crystalline or amorphous form, and all such physical form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 상기 에리소르빈산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에리소르빈산을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리포필링(lipofilling), 지방충전 또는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이점이 있으며,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다.I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erythorbic acid may be 0.0001 to 50%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exhibiting excellent lipofilling, fat filling or skin regeneration effect within the above rang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is stabil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리소르빈산과 아스코르빈산을 40℃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한 후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아스코르빈산은 열처리시 쉽게 산화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반면, 에리소르빈산은 열에 대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특히 다양한 온도를 거쳐서 유통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내에서 그 효능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fter thermal treatment with erysorbic acid and ascorbic acid for 30 minutes at 40 ° C was found to be poorly stable due to easy oxidation upon heat treatment, while erysorbic acid By confirming that the stability against heat is relatively goo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acy can be stably existed in the formulations of cosmetic compositions which are distributed through various temperatures (Table 5).

본 발명에서, 용어 "전구세포"는 위탁줄기세포라고 하며, 자손에 해당되는 세포(X)가 특정한 분화형성 발현이 밝혀진 경우, 분화형질을 발현하지 않은 미분화 친(親)세포를 X의 전구세포라고 부른다. 또한, "지방전구세포"는 지방세포로의 분화형성 발현이 밝혀진 전구세포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progenitor cell " is referred to as a contracted stem cell. When the cell (X) corresponding to the offspring is found to express a specific differentiation, the undifferentiated parent cell, . The term " lipid precursor cell " refers to a precursor cell in which the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is revealed.

본 발명에서, 용어 "줄기세포"는 동물의 미분화된 세포로서 모든 다세포 생물에 존재하며, 무한 증식이 가능한 자가 재생산 능력과 정상 염색체 유지 및 다양한 세포로의 분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세포를 말한다. 1960년대에 캐나다 Ontario Cancer Institute의 Ernest A. McCulloch와 James E. Till에 의해 발견된 이후, 특히 신체 210여 개의 장기를 구성하는 조직의 어떠한 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다는 만능(Totipotent) 잠재력으로 인해 인체의 마스터 세포(Master cell)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줄기세포는 이에 제한은 없으나, 구체적인 예로 유래에 따라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인간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엽 줄기세포이거나,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방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stem cell " refers to a cell that is an undifferentiated cell of an animal, exists in all multicellular organisms, has a self-renewal ability capable of infinite proliferation, maintains normal chromosomes and has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various cells. Since the discovery by Ernest A. McCulloch and James E. Till of the Ontario Cancer Institute in Canada in the 1960s, it has been shown that the totipotent potential of being able to differentiate into any cell of the tissues, Is known as the master cell (Master cell). Such stem cel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mbryonic stem cells, adult stem cells, cord blood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r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adipose tissue, depending on the origin.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mesenchymal stem cell, or more specifically, 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본 발명에서 용어,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들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쥐, 래트 또는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인간이다.The term " animal "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humans and primates but also livestock such as cows, pigs, sheep, horses, dogs, rats, rats or cats, and specifically humans.

본 발명에서 용어,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C)"는 배아의 초기 발생 단계 중 하나인 배반포(blastocyst) 단계의 내부세포괴(inner cell mass,ICM)에서 유래하는 줄기세포로, 수정된 후 4~5일 정도 된 상태로, 50~150 여개의 세포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세포들은 더 많은 줄기세포로 분열하거나 삼배엽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만능성(pluripotent) 분화 능력을 가진 줄기세포들이다.The term " embryonic stem cell (ESC) "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em cell derived from an inner cell mass (ICM) of blastocyst stage which is one of the early development stages of embryo, After about 4 ~ 5 days, it has about 50 ~ 150 cells. These cells are pluripotent stem cells capable of dividing into more stem cells or differentiating them into trimescent cells .

본 발명에서 용어, "제대혈 줄기세포"는 태반과 태아의 제대로부터 나온 혈액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말하며, 골수 유래 줄기세포에 비해 증식이 더 강한 특성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cord blood stem cell " refers to stem cells present in the blood derived from the placenta and the fetus, and has a stronger proliferation than bone marrow derived stem cells.

본 발명에서 용어, "중간엽 줄기세포"는 근육, 뼈, 지방 등의 중간엽 조직으로 분화되는 중간엽 줄기세포로 골수에 존재하며 신경, 피부와 같은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성체 줄기세포(Adult stem cell, AS) 중 하나를 말한다. 이러한 성체 줄기세포는 지속적인 세포 교체를 반복하는 기관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기관들에는 피부의 표피층, 소장의 내막, 골수, 뇌, 힘줄 등이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mesenchymal stem cell " refers to mesenchymal stem cells differentiated into mesenchymal tissues such as muscles, bones, fats and the like, which are present in the bone marrow and are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cells such as nerves and skin. Adult stem cells (AS). These adult stem cells are found in organs that repeatedly undergo repeated cell replacement. These organs include the epidermis of the skin, the intima of the small intestine, the marrow, the brain, and the tendons.

본 발명에서 용어,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는 지방조직에 분포하는 다분화성을 지닌 세포를 말한다. 이들은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와 동등한 수준의 분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콜로니 형성능과 세포 배양에서의 증식능 유지에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 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는 N-acetyl-L-cystein, ascorbic acid-2-phosphate와 같은 항산화제가 첨가되고, 칼슘 농도가 낮을 때 성장률과 세포주기가 증가된다. 또한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은 FGF-2(fibroblast growth factor)에 의해 자극받을 수 있고, 지방세포 유래 줄기세포가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간세포 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H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nsulin like growth factor, IGF)와 같은 잠재적 성장 인자들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는 골수나 제대혈에서 분리한 줄기세포와는 다르게 여러 번 반복해서 채취가 가능하며 골수처럼 채취할 때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도 않는 장점이 있고, 대부분 자가 유래(autologous)이기 때문에 면역학적 거부반응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배양이 용이하며, 골수에 비해 분리되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양이 100~1000배나 더 많고, 자가 재생(self-renewal) 능력 및 다분화성(multipotent) 능력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term "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 "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ell having pluripotency distributed in adipose tissue. They have the same level of differentiation potential as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and have been reported to be superior to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in maintaining colony forming ability and proliferating ability in cell culture.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are supplemented with antioxidants such as N-acetyl-L-cystein and ascorbic acid-2-phosphate, and the growth rate and cell cycle are increased when the calcium concentration is low. In addition, the prolifer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can be stimulated by FGF-2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adipocyte-derived stem cells can be stimulated b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hepatocyte growth factor factor, HGF), and insulin like growth factor (IGF). Stem cells derived from adipose tissue can be collected many times repeatedly, unlike stem cells isolated from bone marrow or umbilical cord blood, and have advantages in that they do not give pain to patients when taken as a bone marrow, and most of them are autologous, There is no rejection reaction. In addition, it is easier to cultivate than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the amount of mesenchymal stem cells isolated from bone marrow is 100 to 1000 times larger, and self-renewal ability and multipotent ability It is said to be excellent.

본 발명에서 용어,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동물, 구체적으로는 포유동물의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화 유도용 조성물"은 초기 단계의 세포가 각 조직으로서의 특성을 갖게 되는 과정을 유도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화유도용 조성물은 PPAR γ의 발현을 촉진하여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PPAR α를 활성화하여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재구성하는 피부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 refers to the differentiation of an animal, particularly a mammalian adipose precursor cell or stem cell, into an adipocyte. The term "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position capable of inducing a process in which cells in an initial stage have characteristics as respective tissues.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pid precursor cells or stem cells are referred to as adipocytes ≪ / RTI >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can induce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by promoting the expression of PPAR ?.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activate PPAR [alpha] to promot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thereby inducing skin regeneration to reconstruct damaged skin barrier.

본 발명에서 용어, "PPAR γ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gamma)"는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감마로, 글리타존 리셉터(glitazone receptor) 또는 NR1C3(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C, member 3)라고 알려져 있으며, PPARG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인간에 존재하는 타입 Ⅱ의 핵 수용체(nuclear receptor)이다. 상기 PPAR γ는 지방분화의 핵심 조절자로,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방세포 분화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gamma (PPAR) " refers to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gamma, glitazone receptor or NR1C3 (nuclear receptor subfamily 1, ) And is a type II nuclear receptor present in humans that is encoded by the PPARG gene. The PPAR [gamma] is a key regulator of fat differentiation and can be used as an adipocyte differentiation marker to confirm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from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to adipocytes.

본 발명에서 용어, "PPAR α(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는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 수용체-알파로, NR1C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C, member 1)으로 알려져 있으며, PPARA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인간에 존재하는 핵 수용체 단백질이다. 각질 형성 세포에 존재하며, 그 리간드(ligand)와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재구성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공지된 PPAR α의 작용제(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 또는 WY14643등을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가 촉진되고 피부 장벽의 회복이 촉진됨이 확인된 바 있다. The term " PPAR alph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 in the present invention is known a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NR1C1 (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C, member 1) Lt; / RTI > is a nuclear receptor protein present in a human being encoded. It is known that it exists in keratinocyte cells and when it is activated by binding with its ligand, it promotes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 cells and reconstructs damaged skin barrier. In fact, it has been found that when the known agonist of PPAR alpha, Clofibrate or WY14643, is applied to the skin with damaged skin barrier,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is promoted and recovery of skin barrier is promoted have.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에리소르빈산 화합물이 지방분화의 핵심 조절자인 PPAR γ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함을 확인하였으며(도 3), 또한, 에리소르빈산 화합물이 양성 대조군과 비교할 때 매우 강력한 PPAR α 활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지방세포 분화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어, 지방 조직 퇴축으로 인한 부피 감소와 기능 저하로 유발되는 현대인들의 미적, 건강적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rysorbic acid compound promotes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nto mature adipocytes by promoting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 key regulator of fat differentiation (Fig. 3) , And erythorbic acid compounds exhibit very potent PPAR alpha activity when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Table 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erysorbinic acid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regula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has a novel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aesthetic and health problems of modern people caused by volume reduction and dysfunction due to fatty tissue retraction .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은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용, 피부재생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에서 용어, "에리소르빈산"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erythorbic acid "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있어서,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이란 피부 내의 지방조직이 퇴축되어 지방 조직의 부피가 저하된 정도를 완화, 개선 또는 충전시켜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방이 충전됨으로써 피부의 볼륨이 개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lipofilling or fat filling " refers to alleviating, improving or filling the degree of fat tissue degeneration in the skin, Which means that the volume is improved.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재생"이란 심하게 손상된 피부가 원래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피부탄력 또는 주름개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나, 피부 재생은 피부가 쳐지거나 늘어지는 정도를 완화시켜주거나, 피부 지방충전 또는 지방 조직 부피 저하로 인하여 감소된 피부 탄력과 강도 하락으로 인한 구조적인 붕괴를 지방을 충전함으로써 피부 탄력이 유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skin regeneration " means that severely damaged ski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function, and may include skin elasticity or wrinkle improvement. Specifically, it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skin regeneration can alleviate the degree to which the skin is stuck or stretched, or the structural collapse due to reduced skin elasticity and strength drop due to skin fat filling or fat tissue volume reduction, Lt; RTI ID = 0.0 > elasticity. ≪ / RTI >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suppressing or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wrinkles on the skin, or alleviating the wrinkles already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리소르빈산 화합물이 지방분화의 핵심 조절자인 PPAR γ의 발현을 촉진하여,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조직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줄기세포를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함으로써, 피부 지방조직의 부피가 저하된 정도를 완화, 개선 또는 충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에리소로빈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리포필링 또는 지방충전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rythorbic acid compound promotes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 key regulator of lipid differentiation, resulting in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more specifically of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to mature adipocyt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em cells can induce differentiation into mature adipocytes, thereby reducing, improving or filling the volume of the skin fat tissue. Thus,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rythroorbic acid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ing that the composition can be used for lipofilling or fat filling applications.

또한, 상기 결과는 퇴축된 지방조직의 부파를 완화 또는 개선시킴으로써, 피부의 탄력 및 주름을 증진 또는 개선시키며, 더 나아가 손상된 피부가 원래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재생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above result suggests that the relaxation or amelioration of the buccal waves of the digested fat tissue may improve or improve the elasticity and wrinkles of the skin, and further may help the damaged skin to restore its original function. Suggesting tha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erythorbic acid compounds of the invention may be used for skin regeneration purpos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에리소르빈산과 아스코르빈산을 40℃ 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한 후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아스코르빈산은 열처리시 쉽게 산화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반면, 에리소르빈산은 열에 대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다양한 온도를 거쳐서 유통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내에서 그 효능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rythorbic acid and ascorbic acid were heat-treated at 40 DEG C for 30 minutes, and the degre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compared. As a result, ascorbic acid was easily oxidized and poor in stability after heat treatment, It was confirmed that erythorbic acid is relatively stable in terms of heat and that its efficacy can be stably existed in a formula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distributed at various temperatures (Table 5).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보습"이란 피부에 수분감을 증가시켜주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보습 효과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도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피부보습은 필라그린 발현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 skin moisturizing " means increasing moisture in the skin and maintaining a moist state. Skin moisturizing effect can help to improve wrinkles and elasticity of skin. The skin moisturization can be confirm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pilar green expression.

상기 "필라그린(filaggrin)"은 포유류의 표피세포에서 분리한 케라틴 결합단백질로, 분자량이 약 260,000의 염기성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단백질은 케라틴의 단위체와 약 3:2의 비율로 결합하고, 그 섬유를 다발모양으로 응집시켜 거대피브릴을 형성하며, 분자량이 약 50만의 고도로 인산화된 전구체로서, 세포 내에 축적되어 분화가 진행되면 단백질가수분해효소에 의한 절단과 탈인산화를 받아 필라그린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필라그린은 피부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의 전구체로서의 기능이 잘 알려져있다.The term " filaggrin " is a keratin binding protein isolated from mammalian epidermal cells, which means a basic protei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260,000. The protein binds to keratin monomers at a ratio of about 3: 2, It is a highly phosphorylated precursor with a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0. It accumulates in cells and progresses to differentiation, resulting in cleavage and dephosphorylation by protein hydrolytic enzymes, resulting in filament green. It is known. Pilar Green is well known as a precursor o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skin moisturiz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인간 각질세포주 HaCaT 세포의 필라그린 발현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보습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comprising erysorb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pilar green expression of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so that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rysorbic acid can be used for skin moisturizing (Table 4).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an external ointment, a cream, a foam, a nutritional lotion, a softening longevity pack, a pack, a softener, an emulsion, a makeup base, an essence, a soap, a liquid detergent, But are not limited to,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stes, gel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patches and sprays.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mixed with a cosmetic composition for general skin. Exampl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e ordinary ingredients such as oil, water, a surfactant, a moisturizer, a lower alcohol, a thickener, Chelating agents, coloring matters, preservatives, perfumes, etc. may be appropriately mix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Th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contain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n ointment, a paste, a cream or a gel, it is preferable to use an animal oil, a vegetable oil, a wax, a paraffin, a starch, a tracer, a cellulose derivative, a polyethylene glycol, a silicone, a bentonite,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polyamide powder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Propellants such as chlorofluorohydrocarbons, propane / butane or dimethyl ether.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or an emulsion, a solvent, a dissolv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 1,3-butyl glycol oil may be used, and fatty acid esters of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may be used .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uspension, a carrier such as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sion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etc. may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ap, an alkali metal salt of a fatty acid, a fatty acid hemiester salt, a fatty acid protein hydrolizate, isethionate, a lanolin derivative, an aliphatic alcohol, a vegetable oil, glycerol, .

또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food composition.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용, 피부재생용, 또는 피부 보습용일 수 있다. The food composition may be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ood composi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health functional fo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에리소르빈산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동식물,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risorbic ac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ntained in the food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n animal, plant extract, an extract thereof, a fraction thereof, or a processed product thereof containing erysorbic acid. The composition may also include a food-acceptable food-aid additiv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food-aid additive " means a component that can be added to foods in a supplementary manner, and is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dded to produce health functional foods of each formulation. Examples of food-aid additives include flavors such a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filler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a preservative, a glycerin, an alcohol, and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drink. However, the types of the food auxiliary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상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 피부재생,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health functional food " refers to a food prepa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rings us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having useful functions in the human body. The term "functional" as used herein means tha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health uses such as controlling nutrients or physiological actions.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may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that are conventionally add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formulations of the above health functional foods may also be manufactured without limitations as long as they are acceptable as health functional foods.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ulations, and unlike general pharmaceuticals,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does not have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a food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s excellent in portability. Can be ingested as an adjuvant to promote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and skin moisturization.

상기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form that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nd it may include all foods having a conventional meaning, and may be mixed with terms known in the art such as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mixing other suitable auxiliary ingredients that can be contained in foods with known additiv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Examples of foods that can be added include dairy products, such as meat, sausage, bread, chocolates, candies,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Vitamin complex, and the like, and can be prepared by adding to juice, tea, jelly, juice and the like prepared by u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in component. It also includes foods used as feed for animals.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rythorb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quasi-drug composition.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상기 에리소르빈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용, 피부재생용, 또는 피부 보습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quasi-drug composition may provide lipophilization or quasi-drug composition f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ation including the erythorbic aci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quasi-drug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a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surfactants, lubricants, sweeteners, .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글리세린,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카보네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성 오일,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리지 등을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of the quasi-drug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maltitol, starch, gelatin, glycerin, acacia rubber, alginate, calcium phosphate, Calcium carbon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Oil, injectable ester,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paper, and laurelji.

또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의 에리소르빈산을 의약외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 피부재생, 또는 피부 보습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 피부재생, 또는 피부 보습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 피부재생, 또는 피부 보습 개선 효과는 더욱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When the erythorbic acid of the quasi-drug composition is used as a quasi-drug, it may further contain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For example, it may contain known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ing ingredients. The inclusion of additional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ing ingredients may further enhance the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ing effects of the quasi-dru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When the above ingredients are added, skin safety, easiness of formulation, and stability of effective ingredients can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ombined use.

상기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quasi-dru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mplified by a disinfectant cleaner, a shower foam, a softener solution, a wet tissue, a coating agent and the like. The formulation method, dosage, usage metho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ordinary technique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에리소르빈산은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 피부재생, 또는 피부 보습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rythorb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ing methods, including the step of applying to the individual's skin. The subject includes, without limitation, mammals including rats,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은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n acceptable salt thereof.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리포필링 또는 지방충전용, 피부 재생용 또는 피부 보습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ing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n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에서 용어, "에리소르빈산", "리포필링 또는 지방충전용", "피부 재생용", 및 "피부 보습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erysorbic acid",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and "skin moisturizing" ar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용어, "외용제"는 외용으로 제공되는 제제로 외용산제, 외용정제, 외용액제, 연고제, 경고제, 좌제 등이 있다. 외용제제란 아연화(亞鉛華)전분 등, 피부점막의 미란, 궤양 등에 산포하는 것을 의미하고, 외용정제는 용해정 또는 질정을 의미하며, 외용액제는 물, 에탄올, 유류 등을 용매로 하는 액상제제이고, 양치질, 습포, 세척, 점안, 점비(点鼻) 등에 사용한다. 또한, 연고제는 피부에 바르는 적당한 조도의 반고형제, 경고는 상온고형, 체온으로 연화하는 피부적용제이고, 좌제는 항문, 질, 요도에 적용하는 제제이다. The term " external preparation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ternal preparations, external tablets, external liquid preparations, ointments, warning agents and suppositories. The external application agent refers to dispersing in the erosion or ulcer of the mucous membrane of the skin such as zinc white starch and the like. The external tablet means dissolving tablet or vaginal tablet, and the external liquid agent is a liquid agent for water, ethanol, It is used for cleaning, brushing, brushing, eye dropping, point nose, etc. In addition, the ointment agent is a semi-solid agent for moderate illumination applied to the skin, a warning is a solid application at room temperature, a skin application agent softened at body temperature, and a suppository agent for anus, vagina, and urethra.

상기 "피부 외용제"는 외용제 중에서도 피부 외용에 작용하는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에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above-mentioned "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 means a preparation acting on the external skin of external prepara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n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Specifically,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may be used as a pharmaceutical or quasi-drug in the form of cream, gel, patch, spray, ointment, warning agent, lotion, liniment, pasta or cataplasma. Do not.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줄기세포에 에리소르빈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As yet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a stem cell comprising: (a) culturing a stem cell; And (b) adding a composition comprising erysorbinic acid compound to the stem cells of step (a).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from stem cells.

본 발명에서 용어, "에리소르빈산", "줄기세포" 및 "분화유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term " erythorbic acid ", " stem cell ", and " differentiation induction "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상기 단계 (a)는 미분화세포인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로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배양방법에 따라 전분화능을 가진 미분화세포인 줄기세포를 배양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중간엽줄기세포,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방조직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일 수 있다.The step (a) is a step of culturing stem cells which are undifferentiated cell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ulture method known in the art, stem cells which are undifferentiated cells capable of differentiating ability can be cultured.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 More specifically,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배양된 줄기세포에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단계이다.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배양 배지에 첨가되는 사이토카인은 당업계에 알려진 지방세포 분화용 사이토카인을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농도를 배지에 첨가하여 사용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tep (b) is a step of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by treating the stem cell cultured in step (a) with a composition comprising erysorb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tokine added to the culture medium to induce differentiation can be readi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or cytokines for adipocyte differentiation known in the art and can be used by adding to the medium an effective concentra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PAR γ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생산되는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지방세포를 화장료, 식품, 의약외품, 또는 피부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화장료, 식품, 의약외품, 또는 피부 외용제는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 피부재생, 또는 피부 보습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in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mote the expression of PPAR? As described above, and the adipocyte differentiated from the stem cells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smetic, food, quasi-drug, In particular, the cosmetic, food, quasi-drug, or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may be used for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ing.

또한, 그 외에도 희귀난치병 및 지방세포 이식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세포 치료제 등의 세포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cell composition such as a cell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rare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adipocyte transplantation.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은 지방분화의 핵심 조절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 γ)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여, 지방 조직 퇴축으로 인한 부피 감소와 기능 저하로 유발되는 현대인들의 미적, 건강적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rythorb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 A key regulator of lipid differentiation, there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nto mature adipocytes, It is possible to suggest new possibilities to improve the aesthetic and health problems of modern people caused by volume reduction and dysfunction caused by recession.

도 1은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덱사메타손(Dexamethason), 이소부틸메틸크산틴(isobutyl methyl xanthine, IBMX), 인슐린(Insulin)을 함유한 지방 세포 분화 조건 하에서,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후에 Oil Red O 염색 시약을 통해 지방을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비분화군은 분화를 유도하지 않은 배양조건의 대조군, 무처리 대조군은 지방 세포 분화 배지만 첨가한 대조군, 양성대조군은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을 지방 세포 분화 배지에 첨가하여 실시한 것, 실험군은 지방세포 분화 배지에 에리소르빈산을 첨가하여 실시한 것이다.
도 2는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에리소르빈산을 함유한 지방 세포 분화 배지를 처리한 후 무처리 대조군 대비 상대적 지방분화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에리소르빈산을 함유한 지방 세포 분화 배지를 처리한 후, 대조군 대비 지방 세포 분화의 유전자 마커인 PPAR γ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fat of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under adipocyte differentiation conditions containing indomethacin, dexamethasone, isobutyl methyl xanthine, and insulin. After inducing cell differentiation, the fat was stained with Oil Red O staining reagent and observed with a microscope. Rosiglitazone was added to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medium in the non-differentiation group,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 differentiation-inducing culture conditions were not induced, the control group in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group was added,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was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medium In which erythorbic acid was added.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fat differentiation level of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fter treatment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medium containing erysorbic acid and the control group.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PPAR?, A genetic marker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relative to a control, after adipocyt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treated with an adipocyte differentiation medium containing erysorbic acid.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constitu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참조예Reference Example 1:  One: 에리소르빈산Erysorbic acid (( erythorbicerythorbic acidacid ) 물질 정보) Material information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물질명 : erythorbic acidMaterial name: erythorbic acid

CAS No. : 89-65-6CAS No. : 89-65-6

분자식 : C6H8O6 Molecular formula: C 6 H 8 O 6

분자량 : 176.12Molecular weight: 176.12

구입처 : Sigma-Aldrich社
Where to buy: Sigma-Aldrich

실시예Example 1: 인간의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촉진 효능의 확인 1: Identification of the effect of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nto adipocytes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hADSCs)를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하여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는 론자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 배양액에 인슐린 0.5㎍/ml,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DEXA) 0.5μM, 이소부틸메틸크산틴(isobutyl methyl xanthine, IBMX) 0.25mM, 인도메타신(Indomethacin) 50μM을 넣고 배양하여 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으며, 지방세포 분화 유도 시에 동일 조건하에서 에리소르빈산 10ppm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트로글리타존(Rosiglitazone; ROSI) 0.5μM을 사용하여, IDX 배지와 같이 처치하였다.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시작한 지 14일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다음, 10% 포르말린 용액을 사용하여 세포를 30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60% 이소프로판올 용액으로 1회 세척하고, 오일레드오(Oil Red O)를 60% 이소프로판올에 녹인 염색액으로 10분간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를 염색하였다. 이어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hADSCs) were purchased from Lonza, Inc. (Walkersville, MD, USA) and cultur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Lonza.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achieved using the method recommended by Ronza. Specifically, 0.5 μg / ml insulin, 0.5 μM dexamethasone (DEXA), 0.25 mM isobutyl methyl xanthine (IBMX) and 50 μM indomethacin were added to the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 culture medium and cultured , And 10 ppm of erythorbic acid was added to the medium under the same conditions at the induc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 positive control group, 0.5 μM of rosiglitazone (ROSI) was used and treated with IDX medium. After 14 days from the start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the cell culture medium was removed, and the cells were washed with 10 ml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T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10% formalin solution Lt; / RTI > The fixed cells were washed once with 60% isopropanol solution, and the lipids in the adipocyte were stained with a staining solution in which 60% isofluoranol was dissolved in Oil Red O. Then, observation with a microscope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리소르빈산을 첨가한 다음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경우에는 미첨가시의 조건 하에서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경우보다 지방세포의 분화가 더 효과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when adipocyte-derived stem cells induc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fter adding erysorbic acid,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was induce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was more effective (Fig. 1).

이러한 결과는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지방분해 용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나아가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리포필링 또는 지방충전, 또는 피부재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composition containing erysorbic acid has a fat-splitting application 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nto adipocytes, and further, a composition comprising erysorbic acid is used for lipofilling or fat filling, It can be used for regeneration.

실시예Example 2: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촉진 효과 정량적 확인 2: Quantitative confirmation of promo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후, 지방세포를 Nile Red 시약(AdipoRed™, Lonza)으로 염색하였다. 염색 방법은 론자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을 따랐다. 염색된 지방세포를 500nm의 485nm/575nm에서 형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from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was in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dipocytes were stained with Nile Red reagent (AdipoRed ™, Lonza). The dyeing method was followed by the method recommended by RON. The dyed adipocytes were measured for fluorescence at 485 nm / 575 nm of 500 nm,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nd FIG. 2.

비분화군Non-differentiated group 0.114±0.0350.114 + 0.035 무처리 대조군Untreated control group 1±0.0581 ± 0.058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4.998±0.6164.998 ± 0.616 에리소르빈산Erysorbic acid 1.7758±0.0131.7758 + 0.013

그 결과, 상기 표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에리소르빈산을 처리한 결과, 에리소르빈산을 미첨가한 조건 하에서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경우보다, 지방세포의 분화가 더 효과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및 도 2).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 and FIG. 2, whe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treated with erysorbic acid,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was induced under the condition of no addition of erysorbic aci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was more effectively occurred than in the one case (Table 1 and Fig. 2).

이러한 결과 또한,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지방분해 용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나아가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리포필링 또는 지방충전, 또는 피부재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se results also indicate that a composition containing erysorbic acid has a fat-splitting application 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nto adipocytes, and further, a composition comprising erysorbic acid is used for lipofilling or fat filling, or It can be used for skin regeneration.

실시예Example 3: 인간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 발현량 확인 3: Identification of adipocyte specific gene expression of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후,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지방 세포 분화의 마커인 PPAR γ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세포의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다음, Taqman 염색액으로 실시간-PCR을 수행하여 PPAR γ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RNA의 농도는 S16 리보솜 RNA로 표준화하였고, 그 결과는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Afte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from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expression level of PPARγ, a marker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in order to confirm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Respectively. The RNA of the cells was separated to synthesize cDNA, and the expression level of PPARγ was measured by real-time PCR with Taqman staining solution. The concentration of RNA in this experiment was normalized to S16 ribosomal RN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and FIG.

비분화군Non-differentiated group 0.240±0.0270.240 + 0.027 무처리 대조군Untreated control group 1±0.0051 ± 0.005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4.1421±0.1014.1421 ± 0.101 에리소르빈산Erysorbic acid 1.6374±0.0961.6374 + 0.096

그 결과, 표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리소르빈산을 처리한 배지 조건은 PPAR γ의 발현을 촉진하여, 에리소르빈산을 미첨가한 경우보다 지방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촉진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및 도 3). As a result, as can be seen in Table 2 and FIG. 3, the medium conditions treated with erysorbic acid promoted the expression of PPAR gamma, indicating that adipocyte-derived stem cells stimula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more effectively than erythorbic acid (Table 2 and Fig. 3).

이러한 결과는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지방분해 용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나아가 에리소르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리포필링 또는 지방충전, 또는 피부재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composition containing erysorbic acid has a fat-splitting application 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nto adipocytes, and further, a composition comprising erysorbic acid is used for lipofilling or fat filling, It can be used for regeneration.

실시예Example 4:  4: PPARPPAR α 활성화 촉진 효과 검증 α activation promotion effect verification

에리소르빈산의 PPAR α 활성화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에리소르빈산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 유래의 근아세포(myblast) 세포주인 C2C12 세포(ATCC CRL-1772)를 10% 우태아혈청을 포함하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벡터로는, 1) pZEO 벡터(Invitrogen)의 SV40 프로모터에 효모의 전사 인자인 GAL4-DBD(DNA Binding Domain)과 인간 PPAR 알파 LBD(Ligand Binding Domain)에서 Ser167 내지 Tyr468을 암호화하는 DNA 단편(유전자 은행 정보, NM 005036)을 포함하는 벡터; 2) GAL4 응답 서열을 루시퍼라이제(Luciferase)를 발현하는 pGL3 벡터(Promega)의 다중 제한 효소인지 부위에 삽입된 벡터, 및 3) 트랜스팩션 대조군(transfection internal control)으로 β-갈락토시다아제(β -galactosid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사용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PPAR activation promoting effect of erysorbic acid,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erysorbic acid. Mouse C2C12 cells (ATCC CRL-1772) were sub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1) DNA encoding Ser167 to Tyr468 in the SV40 promoter of the pZEO vector (Invitrogen), GAL4-DBD (DNA Binding Domain) as a yeast transcription factor and human PPAR alpha ligand binding domain (LBD) A vector containing a fragment (Gene Bank Information, NM 005036); 2) a GAL4 response sequence inserted into a multiple restriction enzyme recognition site of a pGL3 vector (Promega) expressing luciferase; and 3) a vector inserted into a transfection internal control with? -Galactosidase β-galactosidase) was used.

상기 배양한 세포를 4×104의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도말한 후, 12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세 종류의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일시적인 리포팩타민(Lipopectamine)을 이용하여 트랜스팩션(transient transfection)하였다. 8시간 후, 에리소르빈산 50ppm을 처리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PBS로 세척하고 1×리포터 라이시스 버퍼(reporter lysis buffer)로 세포를 융해시킨 후, 루시퍼라아제 분석 키트(Promega) 및 β-갈락토시다아제 분석 키트(Promega)를 사용하여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PPAR α 활성도는 '루시퍼라아제 활성/ β -갈락토시다아제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The cells were incubated 4 × 10 4 concentration in after plated on 24-well plate, cultured for 12 hours, temporary lipoic pack trans faction (transient transfection) using a vitamin (Lipopectamine) the three types of genes of the plasmid Respectively. After 8 hou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50 ppm of erythorbic acid and incubated for 12 hours. Then, the cells were washed with 1 x PBS, and cells were lysed with 1 x reporter lysis buffer. Then, luciferase assay kit (Promega) and The activity of luciferase was measured using? -galactosidase assay kit (Promega). That is, PPAR alpha activity was measured as 'luciferase activity / beta -galactosidase activity'.

본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으로는 PPAR α의 리간드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Wy-14,643(Calbiochem)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녹일 때 사용한 DMSO 0.05%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 방법에 따라, 에리소르빈산을 C2C12 세포에 처리하여 농도 변화에 따른 PPAR α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PPAR α 활성도의 수치는 음성 대조군(DMSO 0.05%) 대비 백분율을 의미한다.
Wy-14,643 (Calbiochem), the most potent ligand of PPAR alpha,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is experiment, and DMSO 0.05%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method, erythorbic acid was treated with C2C12 cells to measure the activity of PPA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In Table 3 below, the value of PPAR alpha activity refers to the percentage of negative control (0.05% DMSO).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그 결과, 표 3에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에리소르빈산은 매우 강력하게 PPAR α 활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이러한 결과는 에리소르빈산이 각질형성세포에 존재하는 PPAR α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피부 장벽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나아가, 에리소르빈산이 피부 재생의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As a result, as can be seen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erythorbic acid exhibited PPAR alpha activity very strongly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Table 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rysorbic acid promotes the activity of PPAR alpha existing in keratinocytes, there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when skin barrier is applied to damaged skin, thereby promoting skin barrier recovery.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erysorbic acid has an effect on skin regeneration.

실시예Example 5:  5: 필라그린(Filaggrin)의Filaggrin's 발현 촉진 효과 Promoting effect of expression

에리소르빈산을 5 ㎍/mL, 10 ㎍/mL가 되도록 하여 각각 인간 각질세포주 HaCaT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한 후, 세포의 RNA를 분리하고 cDNA를 합성한 뒤 Taqman 염색액으로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RNA농도는 S16 리보솜 RNA로 표준화시키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After incubation for 1 day, the cells were harvested, and the cDNAs were synthesized. The cDNAs were amplified by real-time PCR using Taqman staining solution. The cells were incubated in a culture medium containing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at a concentration of 5 μg / mL and 10 μg / mL, time PCR. The RNA concentration was normalized to S16 ribosomal RN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그 결과,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리소르빈산이 인간 각질세포주 HaCaT 세포의 필라그린 발현 촉진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는바(표 4),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에리소르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4, it was confirmed that erysorbic acid has the ability to promote pilar green expression of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able 4).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risorbic acid is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Is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실시예Example 6:  6: 에리소르빈산과Erysorbic acid and 아스코르빈산의 열처리 후의 지방세포 분화 정도 비교 Comparis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fter heat treatment of ascorbic acid

화장료 조성물이 다양한 온도를 거쳐서 유통되는 점을 고려하여, 에리소르빈산이 이의 이성질체인 아스코르빈산 대비 열에 대한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에리소르빈산과 아스코르빈산을 40℃ 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한 후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지방세포 분화 및 정량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평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하기 표 5에서 AA는 아스코르빈산이고, EA는 에리소르빈산이다.
Considering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is distributed at various temperatures, erysorbic acid and ascorbic acid are heat-treated at 40 DEG C for 30 minutes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erythorbic acid is superior to the ascorbic acid, which is the isomer thereof, And the degre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compared. The specific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quantification process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For reference, in Table 5 below, AA is ascorbic acid and EA is erysorbic acid.

실험군 Experimental group 무처리
대조군
No treatment
Control group
양성
대조군
positivity
Control group
AA 10ppm AA 10ppm AA 20 ppm AA 20 ppm AA 50ppm AA 50ppm EA 10 ppm EA 10 ppm EA 20 ppm EA 20 ppm EA 50 ppm EA 50 ppm
형광강도 Fluorescence intensity 1.0 1.0 10.5 10.5 7.4 7.4 8.1 8.1 9.6 9.6 11.2 11.2 12.5 12.5 16.3 16.3

그 결과,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그 함량이 증가되더라도 분화 정도가 7.4에서 9.6으로 미미한 속도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에리소르빈산은 그 함량이 증가될수록 분화 정도가 11.2에서 16.3으로 그 증가 정도가 아스코르빈산 대비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As a result, as can be seen from Table 5, it was confirmed that the ascorb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at a slight rate from 7.4 to 9.6 even when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erythorbic acid content (11.2 to 16.3)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ascorbic acid (Table 5).

이는, 아스코르빈산은 열이 처리될 시 쉽게 산화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나, 에리소르빈산은 열에 대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다양한 온도에서도 지방 분화가 촉진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로부터 다양한 온도를 거쳐서 유통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내에서는 아스코르빈산보다 에리소르빈산의 효능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indicates that ascorbic acid is easily oxidized and degraded in stability when heat is treated. However, erythorbic acid has a relatively excellent stability against heat, indicating that lipid differentiation is promoted at various temperatures. From this, It was found that the efficacy of erysorbic acid could be stably existed in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rather than ascorbic acid.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n this regar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9)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or adipocytes in adipose precursor cells or stem cells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n acceptable salt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인 것인, 조성물.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m cell is a mesenchymal stem cell (MS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인 것인, 조성물.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m cells are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PAR γ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인, 조성물.
2.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promotes the expression of PPARgamma.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mposition is lipofilling or fat-fill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재생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skin regen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skin moisturizing.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필링 또는 지방충전, 또는 피부재생은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의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lipofilling or fat filling, or skin regeneration is by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from lipid precursor cells or stem cel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재생은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에 의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kin regeneration is by promoting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tem cells are mesenchymal stem cells (MSC).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tem cells are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olution, an external ointment, a cream, a foam, a nutritional lotion, a softening water, a pack, a soft water, ,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patches and sprays , Cosmetic composition.
에리소르빈산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mprising an erythorbic acid compound or an acceptable salt thereof.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리포필링(lipofilling) 또는 지방충전용, 피부재생용 또는 피부 보습용인 것인, 피부 외용제.
15.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is lipofilling or fat filling, skin regeneration or skin moisturiz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필링 또는 지방충전, 또는 피부재생은 지방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의한 것인, 피부 외용제.
16.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lipofilling or fat filling, or skin regeneration is by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in lipo-precursor cells or stem cells.
(a)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줄기세포에 제1항의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
(a) culturing stem cells; And
(b) introducing the composition of claim 1 into the stem cells of step (a), thereby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in the stem cell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인,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em cells are mesenchymal stem cell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 지방조직에서 유래된 것인,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said stem cells are derived from human adipose tissue.
KR1020170061139A 2017-05-17 2017-05-17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KR102354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139A KR102354282B1 (en) 2017-05-17 2017-05-17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139A KR102354282B1 (en) 2017-05-17 2017-05-17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84A true KR20180126284A (en) 2018-11-27
KR102354282B1 KR102354282B1 (en) 2022-01-21

Family

ID=6460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139A KR102354282B1 (en) 2017-05-17 2017-05-17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2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551B1 (en) 2022-06-30 2022-12-19 주식회사 지에프메디컬 cosmetic composition using human stem cel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2808B1 (en) * 1999-03-25 2002-11-19 Wella Aktiengesellschaft Use of reductive compounds for strengthening and improving the structure of materials containing keratin
JP2005518401A (en) * 2001-12-28 2005-06-23 サントリー株式会社 2-O- (β-D-glucopyranosyl) ascorbic aci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food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20060093634A1 (en) * 2004-04-23 2006-05-04 Lonza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concentrates for making the same
US20080287533A1 (en) * 2002-10-04 2008-11-20 Bioderm Research Ascorbic Acid - Natural Sugar Lactone Esters for Comprehensive Skin & Scalp Care
JP2009517348A (en) * 2005-11-28 2009-04-30 メルツ・ファルマ・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アウフ・アクティーン Preparations containing proteins for transport / reuse of structurally modified lipids and their applications
JP4313846B2 (en) * 1995-08-25 2009-08-12 エル・ヴェ・エム・アッシュ ルシェルシュ Use of vitamin C or a derivative thereof or an analogue thereof for promoting skin elastin synthesi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3846B2 (en) * 1995-08-25 2009-08-12 エル・ヴェ・エム・アッシュ ルシェルシュ Use of vitamin C or a derivative thereof or an analogue thereof for promoting skin elastin synthesis
US6482808B1 (en) * 1999-03-25 2002-11-19 Wella Aktiengesellschaft Use of reductive compounds for strengthening and improving the structure of materials containing keratin
JP2005518401A (en) * 2001-12-28 2005-06-23 サントリー株式会社 2-O- (β-D-glucopyranosyl) ascorbic aci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food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20080287533A1 (en) * 2002-10-04 2008-11-20 Bioderm Research Ascorbic Acid - Natural Sugar Lactone Esters for Comprehensive Skin & Scalp Care
US20060093634A1 (en) * 2004-04-23 2006-05-04 Lonza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concentrates for making the same
JP2009517348A (en) * 2005-11-28 2009-04-30 メルツ・ファルマ・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アウフ・アクティーン Preparations containing proteins for transport / reuse of structurally modified lipids and their applica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Dermatol. Sci. (2016), 82(3), pp.189-96 *
THE JOURNAL OF lNVESTHi ATIVE DERMATOLOGY, (1983) 81 pp.158-16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282B1 (en)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0954B2 (en) Skin cosmetics, hair cosmetics and foods and drinks
TW492865B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hyaluron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90026175A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 of Dendrobium candidum flower extract
TW201201864A (en) Preparation derived from an in vitro culture of dedifferentiated non-elicited argan cells,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skin aging, inflammation and healing, and method for obtaining them
EP3656850A1 (en) Mesenchymal-stem-cell induction agent
KR101313086B1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aging effect
CN105873584B (en) For promoting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ydroxy pyranone derivative compound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KR20170055172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Centipeda minima
KR101836171B1 (en) Culture medium composition for promoting stem cell proliferation and skin-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assion fruit meristem cells
KR10235428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rythorbic acid
KR10234869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eprenone
KR101303807B1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aging effect
KR20160065035A (en) Composition for inducing cell rejuvenation comprising genistein or epigallocatechin gallate
KR20160008862A (en) Composition for skin irritant alleviation, skin barrier enhancement and anti-inflammatory with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Rose davurica
RU2679741C2 (en) Means for maintaining non-differentiable state and stimulation of stem cell proliferation
KR102314139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hytantriol
JP6159183B2 (en) Stem cell-derived growth factor production promoter
KR101299658B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Stem Cell Proliferation Comprising Equidae Placenta extracts
JP6697252B2 (en) Stem cell undifferentiated state maintenance agent and growth promoter
US2021028304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mide-based compound
KR101570808B1 (en) Hair Care Composition Containing Human Adipocyte Conditioned Media Extracts and Pleuropterus Multiflorus Stem Cell Culture Extracts for Hair Growth
JP6529791B2 (en) Agent for maintaining undifferentiated state of stem cells and growth promoter
KR10255735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emopsis californica extract for improving elasticity of skin and wrinkle
WO2017145958A1 (en) Whitening agent comprising as active agent syzygium polyanthum or an extract thereof
KR20180108251A (en)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ntaining ligustroflav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