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595A -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595A
KR20180124595A KR1020170059401A KR20170059401A KR20180124595A KR 20180124595 A KR20180124595 A KR 20180124595A KR 1020170059401 A KR1020170059401 A KR 1020170059401A KR 20170059401 A KR20170059401 A KR 20170059401A KR 20180124595 A KR20180124595 A KR 20180124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emperature
user
control modul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677B1 (ko
Inventor
조웅제
양인형
전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677B1/ko
Priority to PCT/KR2018/005226 priority patent/WO2018203729A2/ko
Publication of KR2018012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비데에 착좌하면 현재 기온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하는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는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착좌 센서, 상기 착좌 센서로부터 상기 착좌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착좌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장치를 통해 기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기온 정보를 제공받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를 획득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온수 온도로 가열하는 세정수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Smart bid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water temperature of smart bidet}
본 발명은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비데에 착좌하면 현재 기온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하는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변기에 설치되어 용변 후 사용자의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최근 위생 관리의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가정에 비데가 구비되는 추세이다.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비데에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비데에 설치된 입력 모듈을 통해 세정수의 온도를 조절하면, 비데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가열한다.
그러나, 종래 비데는 사용자가 세정수의 온도를 설정한 후에야 비로소 세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온수를 신속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데의 사용자는 현재 기온에 따라 세정수 온도를 어느 정도로 설정해야 되는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고, 이에 따라 기대했던 것 보다 차갑거나 뜨거운 세정수를 경험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비데는 사용자가 변기에 착좌하여 세정수 온도를 조절하기 이전에는 세정수를 특정 온도로 미리 가열해놓지 않으므로, 세정수 가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전력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데에 착좌하면 자동으로 세정수를 가열하는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기온에 적합한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하는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미리 가열하는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착좌 센서,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면 세정수를 가열하는 세정수 히터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비데에 착좌하면 자동으로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장치를 통해 현재 기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현재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하도록 세정수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현재 기온에 적합한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장치를 통해 실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사용자 감지 신호에 따라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가열하도록 세정수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실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기본 온도로 세정수를 미리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데에 착좌하면 자동으로 세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사용자에게 가열된 세정수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기온에 적합한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함으로써, 과도한 세정수 가열을 방지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최적의 온도로 세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미리 가열함으로써, 세정수 가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가 외부장치를 통해 IoT 플랫폼과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출수 노즐을 통해 출수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출수 노즐을 통해 출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100)가 외부장치(200)를 통해 IoT 플랫폼과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100)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비데(100)와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비데(100)는 외부장치(200)를 통해 IoT 플랫폼 및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디바이스(Device 1 내지 Device 3)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는(200)는 무선 인터넷 공유기일 수 있는데, 외부장치(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IoT(Internet of Things)는 사물 인터넷으로 불리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디바이스로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공간 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디바이스는 IoT 플랫폼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IoT 플랫폼은 클라우드 서버 형태로 구축될 수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욕실에 구비된 스마트 비데(100), 스마트 조명 장치, 스마트 공기 정화 장치 등은 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IoT 플랫폼에 연결될 수 있고, IoT 플랫폼은 욕실에 구비된 각 디바이스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은 상술한 IoT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비데(100)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100)는 착좌 센서(110), 통신 모듈(120), 제어 모듈(130), 데이터베이스(131), 입력 모듈(140), 세정수 히터(150) 및 출수 밸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비데(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스마트 비데(100)의 구성요소 중 착좌 센서(110), 통신 모듈(120), 제어 모듈(130) 및 입력 모듈(140)은 스마트 비데(100) 내부에 설치된 전자 회로 기판상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좌 센서(110)는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착좌 감지 신호는 사용자가 스마트 비데(100)의 변좌에 착석하였을 때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착좌 센서(110)는 스마트 비데(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외선 감지 센서, 압력 감지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착좌 센서(110)가 적외선 감지 센서이면, 착좌 센서(110)는 변좌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을 수광하여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좌 센서(110)는 수광된 적외선의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이면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착좌 센서(110)가 압력 감지 센서이면, 착좌 센서(110)는 변좌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좌 센서(110)는 변좌에 가해지는 수직 압력의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이면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착좌 센서(110)가 터치 센서이면, 착좌 센서(110)는 변좌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의 크기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피부가 변좌에 닿으면 변좌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변화되고, 착좌 센서(110)는 전류 크기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이면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착좌 센서(110)는 사용자의 착좌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감지하여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주기로 설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변좌에서 이탈한 것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주기는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좌 센서(110)는 착좌 감지 신호를 후술하는 통신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은 제공된 착좌 감지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통신 모듈(120)은 착좌 센서(110)로부터 착좌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착좌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장치(200)를 통해 기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무선 인터넷 공유기(Wi-Fi Access Poi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00)는 IoT(Internet of Things)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에 설치된 IoT 허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장치(200)는 특정 공간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장치 및 단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IoT 플랫폼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oT 플랫폼은 특정 공간 내 장치 및 단말을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착좌 센서(110)로부터 착좌 감지 신호를 제공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외부장치(200)에 기온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장치(200) 또는 외부장치(200)와 연결된 통신 단말은 기온 정보를 통신 모듈(120)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장치(200)는 통신 모듈(120)에 직접 기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200)가 스마트 비데(100)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인 경우, 사용자 단말은 GPS를 기반으로 한 현재 위치의 기온 정보를 통신 모듈(120)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부장치(200)는 IoT 플랫폼에서 생성된 기온 정보를 통신 모듈(1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200)가 무선 인터넷 공유기인 경우, 무선 인터넷 공유기와 연결된 IoT 플랫폼은 무선 인터넷 공유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기온 정보를 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통신 모듈(12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온 정보는 현재 기온에 대한 정보로서, 외부 기온 정보 및 실내 기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온 정보는 실외의 현재 기온에 대한 정보이고, 실내 기온 정보는 스마트 비데(100)가 설치된 실내의 현재 기온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또는 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수신되는 기온 정보는 외부 기온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외부장치(200)는 실내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0)은 실내 온도 센서를 통해 실내 기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 온도 센서는 스마트 비데(100)가 설치된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통신 모듈(120)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실내 온도 센서는 실내 공기에 접촉할 수 있도록 스마트 비데(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스마트 비데(100)가 설치된 실내(예를 들어, 욕실)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20)은 수신된 기온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 모듈(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130)에 제공되는 기온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외부 기온 정보일 수도 있고, 실내 기온 정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어 모듈(130)은 통신 모듈(120)로부터 기온 정보를 제공받고, 데이터베이스(131)를 참조하여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 비데(100)는 데이터베이스(131)를 내장할 수 있고, 제어 모듈(130)은 데이터베이스(131)를 참조하여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31)에는 기온 정보에 대한 온수 온도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온 정보에 대한 온수 온도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기온 정보] [온수 온도]
18oC 38oC
20oC 36oC
22oC 34oC
24oC 32oC
26oC 30oC
[표 1]에서는 기온 정보가 18oC ~ 26oC 범위일 때의 온수 온도만을 나타내었다. 다만, [표 1]은 일 예에 따른 것이고, 보다 넓은 범위의 기온 정보에 대한 온수 온도가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온 정보에 대한 온수 온도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고, 기온 정보를 변수로 하는 수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기온 정보와 온수 온도는 반비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온이 높을수록 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는 낮을 수 있고, 기온이 낮을수록 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는 높을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상술한 [표 1]을 참조하여, 현재 기온에 따른 온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20)을 통해 제공된 기온 정보가 22oC이면 제어 모듈(130)은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를 34oC로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모듈(130)이 획득된 온수 온도에 따라 세정수 히터(150)를 제어하여 유입된 세정수를 가열하고, 출수 밸브(160)를 제어하여 가열된 세정수를 출수하는 일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출수 노즐(330)을 통해 출수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비데(100)는 유입 노즐(310), 세정수 저장탱크(320), 세정수 히터(150), 출수 밸브(160) 및 출수 노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는 유입 노즐(310)을 통해 스마트 비데(100)로 유입되어 세정수 저장탱크(320)에 저장될 수 있다. 세정수 저장탱크(320)에 저장된 세정수는 세정수 히터(150)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된 세정수는 출수 밸브(160)를 통해 출수 노즐(330)로 제공될 수 있다. 출수 노즐(330)로 제공된 세정수는 스마트 비데(100)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 히터(150)는 상술한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모듈(130)은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데이터베이스(131)를 참조하여 획득된 온수 온도로 가열하도록 세정수 히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저장탱크(320)에 저장된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하도록 세정수 히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세정수 히터(150)의 출력을 조절하여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할 수 있고, 세정수 히터(150)의 가열 시간을 조절하여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온수 온도가 높을수록 제어 모듈(130)은 세정수 히터(150)의 출력을 높게 제어할 수 있고, 온수 온도가 높을수록 제어 모듈(130)은 세정수 히터(150)의 가열 시간을 길게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가열된 세정수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세정수 히터(150)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30)은 미리 설정된 주기 내에 착좌 감지 신호를 제공받지 못하면, 세정수 히터(150)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좌 센서(11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착좌 감지 신호를 제어 모듈(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변좌에 착석하고 있는 경우, 제어 모듈(130)은 착좌 센서(1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착좌 감지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임의의 착좌 감지 신호가 제공된 특정 시점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 내에 다음 착좌 감지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세정수 히터(150)의 가열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모듈(130)은 사용자가 스마트 비데(100)의 변좌에 착석하고 있는 경우에만 세정수 히터(150)를 구동하여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스마트 비데(100)의 변좌에 착석하면 제어 모듈(130)은 세정수 히터(150)를 구동하여 세정수를 가열하고, 사용자가 스마트 비데(100)의 변좌에서 이탈하면 제어 모듈(130)은 세정수 히터(150)의 구동을 중지하여 세정수 가열을 중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데에 착좌하면 자동으로 세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사용자에게 가열된 세정수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기온에 적합한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함으로써, 과도한 세정수 가열을 방지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최적의 온도로 세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외부 기온 또는 실내 기온에 따른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실내외 온도차가 큰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최적의 온도로 세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난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외부 기온이 매우 낮더라도 스마트 비데(100)가 설치된 실내의 기온은 높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외부 기온에 따른 온수 온도까지 세정수를 가열하지 않고, 실내 기온에 따른 온수 온도까지만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내외 기온차가 큰 경우, 불필요한 세정수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비데(100)는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출수 명령을 제어 모듈(130)에 제공하는 입력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수 명령은 비데(100)의 출수 노즐(330)을 통해 세정수를 출수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입력 모듈(140)은 스마트 비데(100)에 설치된 버튼, 터치패드, 음성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모듈(140)은 입력된 출수 명령을 제어 모듈(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출수 명령에 따라 세정수 저장탱크(320)에 저장된 세정수가 출수 노즐(330)을 통해 출수되도록 출수 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출수 밸브(160)는 세정수 저장탱크(320)와 출수 노즐(330)을 연결하는 밸브로서,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수 저장탱크(320)에 저장된 세정수는 출수 밸브(160)가 개방되면 출수 노즐(330)을 통해 외부로 출수되고, 출수 밸브(160)가 닫히면 출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130)은 입력 모듈(140)로부터 출수 명령을 제공받으면 출수 밸브(160)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수 밸브(160)가 솔레노이드 밸브이면 제어 모듈(130)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출수 밸브(160)를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모듈(130)이 세정수 히터(150)를 제어하여 유입된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하고, 출수 밸브(160)를 제어하여 가열된 세정수를 출수하는 다른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출수 노즐(330)을 통해 출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비데(100)는 유입 노즐(310), 세정수 히터(150), 출수 밸브(160) 및 출수 노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스마트 비데(100)는 도 3에 도시된 스마트 비데(100)와는 달리 세정수 저장탱크(3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곧바로 출수 노즐(330)을 통해 출수될 수 있다. 세정수 저장탱크(3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 모듈(130)은 입력부로부터 출수 명령을 제공받고, 제공된 출수 명령에 따라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하도록 세정수 히터(150)를 제어하고, 가열된 세정수가 출수 노즐(330)을 통해 출수되도록 출수 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출수 밸브(160)는 유입 노즐(310)과 출수 노즐(330)을 연결하는 밸브로서,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밸브(160)가 개방되면 곧바로 출수 노즐(330)을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고, 출수 밸브(160)가 닫히면 출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비데(100)가 세정수 저장탱크(32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가열된 세정수는 스마트 비데(100) 내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130)은 출수 명령을 제공받으면, 세정수 히터(150)를 제어하여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되고 있는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출수 명령을 제공받으면, 출수 밸브(160)를 개방하여 가열된 세정수를 출수 노즐(330)을 통해 출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정수는 유입 노즐(310)에서 출수 노즐(330)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출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세정수 히터(150)의 출력은 도 3에 도시된 세정수 히터(150)의 출력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모듈(120)은 외부장치(200)를 통해 실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무선 인터넷 공유기(Wi-Fi Access Poi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실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외부장치(200)는 사용자 감지 신호를 통신 모듈(120)에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장치(200)는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신 신호를 통해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외부장치(200)가 사용자 단말이면, 사용자 단말과 통신 모듈(120)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모듈(120)이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에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은 통신 모듈(120)로 블루투스 연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된 블루투스 연결 신호를 사용자 감지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외부장치(200)가 무선 인터넷 공유기이면, 사용자 단말과 무선 인터넷 공유기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와이파이(Wi-Fi)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무선 인터넷 공유기에 연결되면, 무선 인터넷 공유기는 통신 모듈(120)로 와이파이 연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무선 인터넷 공유기에서 송신된 와이파이 연결 신호를 사용자 감지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외부장치(200)가 무선 인터넷 공유기일 때, 무선 인터넷 공유기는 IoT 플랫폼과 연결될 수 있다. IOT 플랫폼에는 사용자 단말 및 실내에 설치된 무선 인터넷 공유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oT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의 GPS 위치와 실내에 설치된 무선 인터넷 공유기의 지리적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사용자 단말의 GPS 위치가 무선 인터넷 공유기의 지리적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면 IoT 플랫폼은 사용자 감지 신호를 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통신 모듈(12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수신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제어 모듈(130)로 제공할 수 있고, 제어 모듈(130)은 사용자 감지 신호에 따라 유입 노즐(310)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저장탱크(320)에 저장된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가열하도록 세정수 히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온도는 상술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일정한 온도일 수 있다. 다만, 실내의 사용자가 스마트 비데(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전력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본 온도는 상술한 온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온도는 22oC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제어 모듈(130)은 이후 사용자의 세정수 사용을 대비하기 위하여 세정수 저장탱크(320)에 저장된 세정수를 미리 기본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이 세정수 히터(1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세정수를 가열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기본 온도로 세정수를 미리 가열함으로써, 세정수 가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기온 정보가 24oC인 경우,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32oC일 수 있다. 이 때, 실내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본 발명은 기본 온도 22oC로 세정수를 미리 가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하면 가열해야 하는 세정수의 온도는 10oC가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착좌시 세정수를 온수 온도까지 빠르게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비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다(S510).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면 본 발명은 외부장치를 통해 기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20). 본 발명은 수신된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를 획득하고(S530), 스마트 비데의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S540).
단계(S510)는 도 2에 도시된 착좌 센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단계(S520)는 도 2에 도시된 통신 모듈(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S530) 및 단계(S540)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제어 모듈(130) 및 세정수 히터(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20)는 외부장치를 통해 외부 기온 정보 및 실내 기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온 정보는 외부 기온 정보 및 실내 기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를 통해 외부 기온 정보 및 실내 기온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모듈(12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S540)는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를 가열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55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비데에 설치된 버튼, 터치패드, 음성센서 등을 통해 출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본 발명은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출수 노즐을 통해 출수할 수 있다(S560).
단계(S550)는 도 2에 도시된 입력 모듈(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단계(S560)는 도 2에 도시된 제어 모듈(130) 및 출수 밸브(1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내 사용자 감지 여부에 따라 세정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외부장치를 통해 실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유입 노즐을 통해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착좌 여부에 따라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사용자 감지 여부에 따라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가열할 수도 있다.
다만, 실내의 사용자가 스마트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본 온도는 온수 온도보다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변좌에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도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미리 가열해 놓은 후, 사용자가 변좌에 착석하면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로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내 사용자 감지 여부에 따라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단계(S51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외부장치를 통해 실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모듈(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모듈(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또한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비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단계(S610) 내지 단계(S630)은 각각 도 5에 도시된 단계(S510) 내지 단계(S530)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세정수를 가열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640).
이 때,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단계(S550)과 동일할 수 있다.
출수 명령이 수신되면, 본 발명은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어 출수 노즐을 통해 출수되는 세정수를 온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S650).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출수 명령이 입력된 후에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고 있는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수는 유입 노즐에서 출수 노즐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출수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를 가열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3)

  1.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착좌 센서;
    상기 착좌 센서로부터 상기 착좌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착좌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장치를 통해 기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기온 정보를 제공받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를 획득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온수 온도로 가열하는 세정수 히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온 정보는
    외부 기온 정보 및 실내 기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비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온수 온도로 가열하도록 상기 세정수 히터를 제어하는 스마트 비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출수 명령을 상기 제어 모듈에 제공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수 명령에 따라 상기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가 출수 노즐을 통해 출수되도록 출수 밸브를 제어하는 스마트 비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출수 명령을 상기 제어 모듈에 제공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수 명령에 따라 상기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온수 온도로 가열하도록 세정수 히터를 제어하고, 상기 가열된 세정수가 출수 노즐을 통해 출수되도록 출수 밸브를 제어하는 스마트 비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착좌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감지하여 상기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착좌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에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 내에 상기 착좌 감지 신호를 제공받지 못하면, 상기 세정수 히터의 구동을 중지하는 스마트 비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장치를 통해 실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가열하도록 상기 세정수 히터를 제어하는 스마트 비데.
  9.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면, 외부장치를 통해 기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온 정보에 대응하는 온수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온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면, 외부장치를 통해 기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를 통해 외부 기온 정보 및 실내 기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온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 또는 상기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온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출수 명령에 따라 상기 유입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 또는 상기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출수 노즐을 통해 출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를 통해 실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입 노즐을 통해 유입되어 세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기본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KR1020170059401A 2017-05-04 2017-05-12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KR10232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01A KR102329677B1 (ko) 2017-05-12 2017-05-12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PCT/KR2018/005226 WO2018203729A2 (ko) 2017-05-04 2018-05-04 스마트 비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01A KR102329677B1 (ko) 2017-05-12 2017-05-12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95A true KR20180124595A (ko) 2018-11-21
KR102329677B1 KR102329677B1 (ko) 2021-11-22

Family

ID=6460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401A KR102329677B1 (ko) 2017-05-04 2017-05-12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6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390Y1 (ko) * 2003-12-01 2004-02-27 영지전자(주) 외부 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비데기
KR20060023477A (ko) * 2004-09-09 2006-03-14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수 세정기용 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6825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 절전 제어 방법 및 그에 의한 비데
JP2012241361A (ja) * 2011-05-17 2012-12-10 Panasonic Corp 温水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390Y1 (ko) * 2003-12-01 2004-02-27 영지전자(주) 외부 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비데기
KR20060023477A (ko) * 2004-09-09 2006-03-14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수 세정기용 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6825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 절전 제어 방법 및 그에 의한 비데
JP2012241361A (ja) * 2011-05-17 2012-12-10 Panasonic Corp 温水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677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3621B2 (en) Smart water supply valv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90024350A1 (en) User friendly systems and devices facilitating water conservation in the smart home
CN104180531B (zh) 电热水器系统、电热水器及其控制方法和服务器
US11662753B2 (en) Electronic plumbing fixture fitting including learning system and reference system
CN108006981B (zh) 热水器的控制系统和控制方法
US20190366374A1 (en) Smart shower head
CN107314551A (zh) 一种通过水流侦测实现远程调节的热水器控制方法及系统
US20150131977A1 (en) Smart water heater with improved temperature control
KR102329676B1 (ko) 스마트 비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US20240084564A1 (en) Sanitary room of a building
KR20180124595A (ko) 스마트 비데 및 스마트 비데의 세정수 온도 제어 방법
CN107883587B (zh) 坐便器控制方法、控制器及存储介质
CN205568280U (zh) 一种学生用加热座椅
TWI702026B (zh) 馬桶座動作設定系統、方法及程式
CN111829187A (zh) 一种热水器与温度调节装置联动的控制方法
WO2012081014A1 (en) A system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hot water in a boiler
JP2015135222A (ja) 給湯機
KR101950365B1 (ko) 계절 정보에 기초한 난방 장비 제어 방법
KR20150044129A (ko) 온수공급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CN207262729U (zh) 一种热水器系统
CN112050471A (zh) 控制供水状态的系统及控制装置
JP7394744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4352759B2 (ja) トイレ装置
KR101993471B1 (ko) 취침 정보에 기초한 난방 장비 제어 방법
JP7273302B2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