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567A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567A
KR20180124567A KR1020170059323A KR20170059323A KR20180124567A KR 20180124567 A KR20180124567 A KR 20180124567A KR 1020170059323 A KR1020170059323 A KR 1020170059323A KR 20170059323 A KR20170059323 A KR 20170059323A KR 20180124567 A KR20180124567 A KR 20180124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fixing
water treatment
movable connection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665B1 (ko
Inventor
김근환
강우진
엄주혁
염창섭
박시준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6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Abstract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을 처리하는 처리유닛과,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장치본체;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장치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는 용기 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아서 가열하는 가열포트가 놓여지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포트가 상기 받침부에 놓이면 상기 가열포트가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포트전원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물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수처리장치로는,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나,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이온수기나, 물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탄산수를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탄산수기 등이 있다.
수처리장치에는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처리된 물은 컵 등의 용기에 담기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수처리장치에는 가열포트가 놓일 수 있다. 가열포트에는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처리된 물이 담기어 가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열포트에서 가열된 처리된 물은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종래, 수처리장치에서는 용기가 놓이는 위치와, 가열포트가 놓이는 위치가 일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었다. 즉, 용기는 배출구 아래에 놓이나, 가열포트는 배출구 아래가 아닌 다른 위치에 놓였다. 그리고, 사용자는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된 물을 가열포트에 담은 후에, 배출구 아래가 아닌 다른 위치에 가열포트를 놓아 가열포트에 담긴 물을 가열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 수처리장치에 가열포트가 놓이는 경우에는, 수처리장치에 용기가 놓이는 공간과 가열포트가 놓이는 공간 모두를 필요로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처리장치에서는 가열포트가 놓이는 경우, 수처리장치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수처리장치의 소형화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수처리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받침부에 용기나 가열포트가 모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을 처리하는 처리유닛과,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장치본체;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장치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는 용기 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아서 가열하는 가열포트가 놓여지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포트가 상기 받침부에 놓이면 상기 가열포트가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포트전원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가열포트가 놓여지는 포트위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포트위치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열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포트위치부와 이동연결부를 덮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용기가 놓이는 회전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연결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포트위치부와 동일하거나 상기 포트위치부 아래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일측 단부가 상기 포트위치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가열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위치부에는 상기 이동연결부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받침부재가 상기 포트위치부와 상기 이동연결부를 덮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상기 회전받침부재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받침부재가 회전하고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포트가 상기 이동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포트위치부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열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재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해제부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해제부재와, 상기 고정해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연결부에는 제1고정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고정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해제부재에 걸리도록 상기 고정해제부재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하여,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해제부재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해제부재가 외력에 의해서 이동하면,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연결부에는 제2고정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 방향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위치보다 더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2고정걸림돌기는 상기 포트전원연결부에 포함되는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구멍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연결부에는 고정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해제부재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고정해제부재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하여,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턱부에는 해제홈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해제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해제홈에 일치되면, 상기 이동연결부가 이동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추가고정해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연결부에는 상기 추가고정해제부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는 추가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고정해제부는 일측이 개방된 삽입부가 형성된 추가고정가이드부재, 상기 삽입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추가고정해제부재 및, 상기 추가고정해제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구비되는 제3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고정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에 연통되는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추가고정해제부재에는 상기 추가고정돌기가 걸리는 한 쌍의 후크부와, 상기 한 쌍의 후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는 보조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한 쌍의 후크부가 상기 추가고정돌기와 함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부에 상기 추가고정돌기가 걸리고 상기 걸림구멍에 상기 보조고정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보다 더 이동하면, 상기 보조고정부가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추가고정가이드부재에 의해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추가고정돌기가 상기 한 쌍의 후크부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받침부에 용기나 가열포트가 모두 놓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받침부와 포트전원연결부를 장치본체로부터 분리하고 받침부를 분해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포트전원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받침부와 포트전원연결부를 장치본체로부터 분리하고 받침부를 분해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포트전원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1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받침부와 포트전원연결부를 장치본체로부터 분리하고 받침부를 분해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포트전원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는 장치본체(200), 받침부(300) 및, 포트전원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0)에는 물을 처리하는 처리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처리유닛은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원의 물이 처리유닛에 공급되어 처리될 수 있다.
처리유닛은, 예컨대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물을 여과하는 여과유닛일 수 있다. 그러나, 처리유닛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처리할 수 있다면,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수와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유닛이나, 물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탄산수를 만드는 탄산수생성유닛 등 주지의 어떠한 처리유닛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처리유닛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처리할 수 있다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에는 배출구(21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210)는 연결관 등에 의해서 전술한 처리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유닛에서 처리된 물이 도5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구(210)의 구성과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200)에 구비되어, 처리유닛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성과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과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손잡이(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배출손잡이(22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처리유닛에서 처리된 물이 배출구(21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본체(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처리유닛이 구비되어 물을 처리하고 배출구(210)가 구비되어 처리유닛에서 처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받침부(300)는 장치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장치본체(200)의 배출구(210)에 대응되도록 장치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배출구(210) 아래에 위치하도록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30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배출구(2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는 컵 등의 용기(CT)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0)로부터 물을 받아서 가열하는 가열포트(HP)가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장치본체(200)의 배출구(210)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받침부(300)에 용기(CT)나 가열포트(HP)가 모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수처리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받침부(300)가 연결되는 장치본체(20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본체(200)의 배출구(210)에 대응되며, 컵 등의 용기(CT)나 가열포트(HP)가 놓일 수 있는 부분이라면 장치본체(200)의 어떠한 부분에도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장치본체(200)와 별도로 되어 볼트 등이나 끼워맞춤에 의해서 장치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받침부(300)는 장치본체(200)와 일체로 되어 장치본체(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받침부(300)에는 포트위치부(PP)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포트(HP)가 놓여질 수 있다. 또한, 포트위치부(PP)에는 포트전원연결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이동연결부(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회전받침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받침부재(310)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받침부재(310)는 받침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받침부본체(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받침부재(31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힌지 등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회전받침부재(3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위치부(PP)와 포트전원연결부(400)의 이동연결부(410)를 덮도록 사용자나 모터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회전받침부재(310)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CT)가 놓여질 수 있다.
또한, 회전받침부재(310)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위치부(PP)와 포트전원연결부(400)의 이동연결부(410)를 덮지 않도록 외력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포트(HP)가 포트위치부(PP)에 놓여져서, 전원부(ES)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포트전원연결부(400)의 이동연결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예컨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본체(320)와, 위치부형성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본체(320)에는 일측, 예컨대 상부가 개방되며 포트전원연결부(40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3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본체(320)가 장치본체(200)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받침부본체(320)의 장착공간(321)의 개방된 일측의 일부가 닫힐 수 있다. 또한, 받침부본체(320)에는 전술한 회전받침부재(31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본체(320)의 장착공간(321)에는 포트전원연결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장착공간(321)에는 포트전원연결부(400)의 이동연결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부(ES)도 구비될 수 있다.
위치부형성부재(330)에는 전술한 포트위치부(PP)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부형성부재(330)가 받침부본체(320)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받침부본체(320)의 장착공간(321)의 개방된 일측, 예컨대 상부의 나머지가 닫힐 수 있다.
위치부형성부재(330)의 포트위치부(PP)에는 관통구멍(33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멍(331)에는 포트전원연결부(400)의 이동연결부(410)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할 수 있다.
포트전원연결부(400)는 받침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포트전원연결부(4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00)의 전술한 받침부본체(320)의 장착공간(321)에 구비될 수 있다.
포트전원연결부(4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포트(HP)가 받침부(300), 예컨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에 놓이면, 가열포트(HP)가 전원부(E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장치본체(200)의 배출구(210)로부터 배출되어 가열포트(HP)에 담긴 물을 전원부(ES)로부터 공급된 전기에너지로 가열할 수 있다.
포트전원연결부(400)는 이동연결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연결부(410)는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동연결부(410)는, 일측 단부, 예컨대 상단부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와 동일하거나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 아래에 위치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위치와, 일측 단부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로 이동하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00)의 회전받침부재(310)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와 이동연결부(410)를 덮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등의 용기(CT)가 회전받침부재(310) 위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00)의 회전받침부재(310)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와 이동연결부(410)를 덮지 않도록 회전한 상태에서는, 이동연결부(410)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포트(HP)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에 놓여서 이동연결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연결부(410)는 전원부(ES)에 전기적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연결부(410)는 전선(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전원부(ES)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연결부(410)에는 가열포트(HP)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00)의 회전받침부재(310)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와 이동연결부(410)를 덮지 않도록 회전하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연결부(410)가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포트(HP)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에 놓이면, 가열포트(HP)가 이동연결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부(ES)로부터 공급된 전기에너지에 의해서 가열포트(HP)에 담긴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이동연결부(410)는 이동연결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연결부재(411)는 전원부(ES)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연결부재(411)에는 전원연결단자(41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연결단자(411a)가 전선 등에 의해서 전원부(E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이동연결부재(411)가 전원부(ES)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연결부재(411)에는 가열포트(HP)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연결부재(411)에는 전원연결단자(41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연결단자(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연결부(410)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포트(HP)가 포트위치부(PP)에 놓이면, 가열포트(HP)에 구비된 전기연결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이동연결부재(411)의 포트연결단자에 접촉하여, 가열포트(HP)가 이동연결부재(4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연결부재(411)는 대략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동연결부재(411)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원부(E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열포트(HP)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동연결부(410)는 지지부재(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12)는 이동연결부재(411)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동연결부재(411)에 연결되어 이동연결부재(411)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412)에는 연결돌기(412a)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412a)는 후술할 연결보조부재(413)에 형성된 연결구멍(413a)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지지부재(412)가 연결보조부재(413)에 의해서 이동연결부재(4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412)가 이동연결부재(41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접 이동연결부재(411)에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지지부재(412)에는 제1고정걸림돌기(41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걸림돌기(412b)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고정해제부(440)에 포함되는 고정해제부재(441)가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412)에는 제2고정걸림돌기(412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걸림돌기(412c)는,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걸림돌기(412b)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부재(41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걸림돌기(412b)와 제2고정걸림돌기(412c)의 거리는, 고정해제부재(441)가 제1고정걸림돌기(412b)에 걸리는 것이 제2고정걸림돌기(412c)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을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제2고정걸림돌기(412c)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가이드부(430)에 포함되는 가이드부재(431)에 형성되는 가이드구멍(431a)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 방향으로 제2위치보다 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동연결부(410)는 연결보조부재(4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보조부재(413)는 이동연결부재(411)와 지지부재(412)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보조부재(413)에 의해서 이동연결부재(411)와 지지부재(412)가 소정 간극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연결부재(411)가 지지부재(412)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전원부(ES)에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보조부재(413)는, 예컨대 접착제나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이동연결부재(4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보조부재(413)에는 연결구멍(4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412)의 연결돌기(412a)가 연결보조부재(413)의 연결구멍(413a)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연결부재(411)와 지지부재(412)가 연결보조부재(41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보조부재(413)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동연결부재(411)와 지지부재(412)를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동연결부(410)는 밀봉부재(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재(414)는 이동연결부재(41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연결부(410)가 제2위치로 이동하면, 밀봉부재(414)는, 포트위치부(PP)가 형성된, 받침부(300)의 위치부형성부재(33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연결부재(411)와 위치형성부재(330)의 관통구멍(331) 사이가 밀봉부재(414)에 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포트(HP)가 받침부(300)의 포트위치부(PP)에 놓였을 때, 장치본체(200)의 배출구(210)나 가열포트(HP)로부터 배출된 물이 포트위치부(PP)에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이동연결부재(411)와 관통구멍(331) 사이를 통해 물이 받침부(300)의 받침부본체(320)의 장착공간(321)에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받침부본체(320)의 장착공간(321)에 구비되는 전원부(ES) 등이 고장나지 않을 수 있다.
포트전원연결부(400)는 제1탄성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420)는 이동연결부(4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탄성부재(420)는 이동연결부(410)의 지지부재(412)에 일단부가 접촉하여 이동연결부(4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탄성부재(420)가 이동연결부(410)를 지지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탄성부재(420)의 일단부가 이동연결부재(411)에 접촉하여 이동연결부(410)를 탄성지지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연결부(410)가 후술할 고정해제부(440)에 의해서 제1위치에 고정되지 않으면, 이동연결부(410)는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포트전원연결부(400)는 가이드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30)는 이동연결부(4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4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재(431)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부재(431)는 각각 이동연결부(4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431) 사이에 이동연결부(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한 쌍의 가이드부재(431)가 이동연결부(4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재(431) 중 하나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구멍(431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구멍(431a)에는 이동연결부(410)의 지지부재(412)에 형성된 전술한 제1고정걸림돌기(412b)와 제2고정걸림돌기(412c)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연결부(410)가 제2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연결부(410)의 제2고정걸림돌기(412c)가 가이드구멍(431a)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방향으로 제2위치보다 더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4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동연결부(4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포트전원연결부(400)는 고정해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해제부(440)는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나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제1실시예에서, 고정해제부(440)는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해제부(4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해제부재(441)와, 제2탄성부재(44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해제부재(441)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해제부재(441)는 받침부(300)의 받침부본체(320)의 장착공간(32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탄성부재(442)는 고정해제부재(44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위치로 이동하면, 고정해제부재(441)가 제2탄성부재(442)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하여, 고정해제부재(441)가 이동연결부(410)의 지지부재(412)의 제1고정걸림돌기(412b)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탄성부재(442)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서 고정해제부재(441)가 이동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해제부재(441)가 이동연결부(410)의 제1고정걸림돌기(412b)에 걸릴 수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
이하, 도9 내지 도1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받침부와 포트전원연결부를 장치본체로부터 분리하고 받침부를 분해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포트전원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11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와, 도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트전원연결부(40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포트전원연결부(400)의 이동연결부(410)에 고정턱부(412d)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연결부(410)의 지지부재(412)의 외주에 고정턱부(412d)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턱부(412d)에는 해제홈(412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전원연결부(400)의 고정해제부(440)의 고정해제부재(441)에는 고정돌기(44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동연결부(410)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위치로 이동하면, 제2탄성부재(442)의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해제부재(441)가 이동하여, 이동연결부(410)의 고정턱부(412d)가 고정해제부재(441)의 고정돌기(441a)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2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탄성부재(442)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서, 고정해제부재(441)가 이동하여, 도11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해제부재(441)의 고정돌기(441a)가 이동연결부(410)의 해제홈(412e)에 일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이동연결부(410)가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 또는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위치 또는 제2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포트전원연결부(400)는 추가고정해제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고정해제부(450)는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연결부(410), 예컨대 이동연결부(410)의 지지부재(412)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고정돌기(412f)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고정돌기(412f)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고정해제부(450)에 고정되거나,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고정해제부(450)에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추가고정해제부(45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 추가고정해제부재(452) 및, 제3탄성부재(453)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에는 일측, 예컨대 상부가 개방된 삽입부(451a)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51a)에는 추가고정해제부재(452)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451a)에는 추가고정해제부재(452)를 탄성지지하도록 제3탄성부재(453)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에는 걸림구멍(451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구멍(451b)은 삽입부(451a)에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구멍(451b)에는 추가고정해제부재(452)에 형성되는 후술할 보조고정부(452b)가 걸릴 수 있다.
추가고정해제부재(452)는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의 삽입부(451a)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추가고정해제부재(452)에는 한 쌍의 후크부(452a)와, 보조고정부(452b)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부(452a)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연결부(410)의 이동지지부재(412)의 추가고정돌기(412f)가 걸릴 수 있다.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과 제3탄성부재(453)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예컨대 한 쌍의 후크부(452a)가 지지부재(412)의 추가고정돌기(412f)와 함께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의 삽입부(451a)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면서, 한 쌍의 후크부(452a)에 지지부재(412)의 추가고정돌기(412f)가 걸릴 수 있다.
보조고정부(452b)는 한 쌍의 후크부(452a)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보조고정부(452b)가 한 쌍의 후크부(452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1개의 보조고정부(452b) 만이 한 쌍의 후크부(452a) 중 하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고정부(452b)는, 예컨대 후크부(452a)와 일체로 되어 후크부(452a)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고정부(452b)는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의 걸림구멍(451b)에 걸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420)와 제3탄성부재(453)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로 이동하여, 한 쌍의 후크부(452a)에 지지부재(412)의 추가고정돌기(412f)가 걸리면서, 보조고정부(452b)가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의 걸림구멍(451b)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1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탄성부재(420)와 제3탄성부재(453)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방향으로, 제1위치보다 더 이동하면, 보조고정부(452b)가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의 걸림구멍(451b)에 걸리지 않도록 추가고정가이드부재(451)에 의해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지지부재(412)의 추가고정돌기(412f)가 한 쌍의 후크부(452a)로부터 해제되면서, 이동연결부(410)가 제1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받침부에 용기나 가열포트가 모두 놓일 수 있으며, 수처리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배출구 220 : 배출손잡이
300 : 받침부 310 : 회전받침부재
320 : 받침부본체 321 : 장착공간
330 : 위치부형성부재 331 : 관통구멍
400 : 포트전원연결부 410 : 이동연결부
411 : 이동연결부재 411a : 전원연결단자
412 : 지지부재 412a : 연결돌기
412b : 제1고정걸림돌기 412c : 제2고정걸림돌기
412d : 고정턱부 412e : 해제홈
412f : 추가고정돌기 413 : 연결보조부재
413a : 연결구멍 414 : 밀봉부재
420 : 제1탄성부재 430 : 가이드부
431 : 가이드부재 431a : 가이드구멍
440 : 고정해제부 441 : 고정해제부재
441a : 고정돌기 442 : 제2탄성부재
450 : 추가고정해제부 451 : 추가고정가이드부재
451a : 삽입부 451b : 걸림구멍
452 : 추가고정해제부재 452a : 후크부
452b : 보조고정부 453 : 제3탄성부재
CT : 용기 HP : 가열포트
ES : 전원부 PP : 포트위치부

Claims (24)

  1. 물을 처리하는 처리유닛과,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장치본체;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장치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는 용기 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아서 가열하는 가열포트가 놓여지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포트가 상기 받침부에 놓이면 상기 가열포트가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포트전원연결부;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가열포트가 놓여지는 포트위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포트위치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열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포트위치부와 이동연결부를 덮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용기가 놓이는 회전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포트위치부와 동일하거나 상기 포트위치부 아래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일측 단부가 상기 포트위치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가열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위치부에는 상기 이동연결부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받침부재가 상기 포트위치부와 상기 이동연결부를 덮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상기 회전받침부재에 놓이는 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받침부재가 회전하고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포트가 상기 이동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포트위치부에 놓이는 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열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재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해제부재와, 상기 고정해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에는 제1고정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고정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해제부재에 걸리도록 상기 고정해제부재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하여,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해제부재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해제부재가 외력에 의해서 이동하면,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에는 제2고정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 방향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위치보다 더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2고정걸림돌기는 상기 포트전원연결부에 포함되는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구멍에 걸리는 수처리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에는 고정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해제부재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턱부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고정해제부재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하여,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부에는 해제홈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해제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해제홈에 일치되면, 상기 이동연결부가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전원연결부는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추가고정해제부;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에는 상기 추가고정해제부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는 추가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고정해제부는
    일측이 개방된 삽입부가 형성된 추가고정가이드부재,
    상기 삽입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추가고정해제부재 및,
    상기 추가고정해제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구비되는 제3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고정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에 연통되는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추가고정해제부재에는 상기 추가고정돌기가 걸리는 한 쌍의 후크부와, 상기 한 쌍의 후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는 보조고정부가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한 쌍의 후크부가 상기 추가고정돌기와 함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부에 상기 추가고정돌기가 걸리고 상기 걸림구멍에 상기 보조고정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는 수처리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방향으로, 상기 제1위치보다 더 이동하면,
    상기 보조고정부가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추가고정가이드부재에 의해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추가고정돌기가 상기 한 쌍의 후크부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이동연결부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수처리장치.
KR1020170059323A 2017-05-12 2017-05-12 수처리장치 KR102528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323A KR102528665B1 (ko) 2017-05-12 2017-05-12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323A KR102528665B1 (ko) 2017-05-12 2017-05-12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67A true KR20180124567A (ko) 2018-11-21
KR102528665B1 KR102528665B1 (ko) 2023-05-04

Family

ID=6460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323A KR102528665B1 (ko) 2017-05-12 2017-05-12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6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735U (ko) * 1996-11-12 1998-08-05 원윤희 정수기용 절첩식 받침대
KR200174105Y1 (ko) * 1999-10-21 2000-03-15 주식회사모닝아트 분리형 전기포트의 전열판 안전덮개
KR101272672B1 (ko) * 2012-07-04 2013-06-10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포트 장착형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735U (ko) * 1996-11-12 1998-08-05 원윤희 정수기용 절첩식 받침대
KR200174105Y1 (ko) * 1999-10-21 2000-03-15 주식회사모닝아트 분리형 전기포트의 전열판 안전덮개
KR101272672B1 (ko) * 2012-07-04 2013-06-10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포트 장착형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665B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510B2 (en) Rotary-plug wall lamp
CN105723812A (zh) 用于借助等离子体处理表面的设备
KR20180124567A (ko) 수처리장치
KR102048384B1 (ko) 유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치료용 rf 전극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피부 미용 치료용 핸드피스
CN105548636B (zh) 一种与电能表直接连接的接插装置
CN113318341A (zh) 导入仪充电控制系统、方法及导入仪套件
US20160235472A1 (en) Hf surgical instrument
US20070084770A1 (en) Disposable salt chlorine generator
US7445720B2 (en) Salt chlorine generator
CN211434765U (zh) 治疗仪
CN208674501U (zh) 插座组件和烹饪器具
KR20140102037A (ko) 고주파 심부발열을 이용한 치료장치
KR1010341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구조
WO2023035734A1 (zh) 衣物处理设备
CN105580217A (zh) 电接线端子的壳体装置以及电接线端子
CN210904080U (zh) 治疗仪
CN210117592U (zh) 衣物护理设备
CN209391664U (zh) 一种烹饪器具
AU2019275609B2 (en) Chlorine generator system
CN116536884A (zh) 衣物处理设备
CN215991628U (zh) 一种方便组装的护理器
CN220044935U (zh) 雾化装置
CN215424331U (zh) 具有加热功能的洁面仪
CN218631717U (zh) 一种门灯开关的橡胶防水结构
CN214512268U (zh) 按摩头和颈部按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