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002A -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002A
KR20180124002A KR1020180138214A KR20180138214A KR20180124002A KR 20180124002 A KR20180124002 A KR 20180124002A KR 1020180138214 A KR1020180138214 A KR 1020180138214A KR 20180138214 A KR20180138214 A KR 20180138214A KR 20180124002 A KR20180124002 A KR 20180124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data
output
advertis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경숙
김덕조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4002A/ko
Publication of KR2018012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광고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는 한 번의 광고 등록을 통해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로 광고를 출력할 수 있어, 광고주의 편의성 및 광고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고란 잠재적인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구입 방법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이뤄지는 일련의 활동으로, 일반적으로, 신문, 텔레비전 등의 매체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다양한 휴대 단말을 이용한 광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광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과 같은 새로운 매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광고 매체의 수가 증가될수록, 광고주는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광고 매체에 광고 게시를 의뢰하고자 하나, 광고 매체별로 독립적으로 광고 게시를 의뢰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다양한 광고 매체별로 광고를 게시한 후, 광고 효과에 대한 정보를 개별 광고 매체별로 확인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광고 매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며, 해당 광고 매체를 통해 게시된 광고의 효과를 일괄적으로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191호(2010.10.0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광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된 광고 데이터에 대한 효과를 일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주로부터 수집되는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고, 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광고 출력 장치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출력하고자 하는 광고 출력 장치의 종류, 광고 출력 지역, 광고 대상, 광고 출력 기간 및 광고 키워드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가 설정된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출력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광고 송출 조건 정보 및 광고 송출 비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우선순위 정보가 반영된 광고 데이터의 제1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광고 출력 장치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광고 출력 장치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광고 출력 장치로 검색된 상기 광고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제공하며, 상기 광고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집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광고 집행 정보를 기초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제1 광고 송출 비율을 사용자의 반응이 반영된 제2 광고 송출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의 경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광고 데이터의 광고 효과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떨어진다고 예상하면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가 겨냥하는 광고 대상과 상기 광고 대상이 주로 사용하는 광고 출력 장치 간의 매칭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효과를 예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출력 장치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둘 이상 검색하면 일정을 조정하여 광고 데이터가 번갈아 가며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출력하고자 하는 광고 출력 장치의 종류, 광고 출력 지역, 광고 대상, 광고 출력 기간 및 광고 키워드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가 설정된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우선순위 정보가 반영된 광고 데이터의 제1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광고 출력 장치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광고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 출력 장치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광고 출력 장치로 검색된 상기 광고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상기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광고 집행 정보를 기초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제1 광고 송출 비율을 사용자의 반응이 반영된 제2 광고 송출 비율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데이터의 경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광고 데이터의 광고 효과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떨어진다고 예상하면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광고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는 한 번의 광고 등록을 통해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로 광고를 출력할 수 있어, 광고주의 편의성 및 광고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된 광고 데이터에 대한 효과를 일괄적으로 분석하고 광고주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주는 자신의 광고에 대한 광고 효과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주로부터 수집되는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고, 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광고 출력 장치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한 후, 사용자 반응에 따라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전략으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방송 관리 장치일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경우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일 경우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방송 관리 장치일 경우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지면 매체 관리 장치일 경우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 광고 제공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는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여, 광고를 집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출력하고자 하는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에서 광고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의 광고 데이터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의 다양한 데이터 형식 또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형식이 될 수 있다.
광고 출력 장치(10)가 출력하고자 하는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광고 제공 장치(20)는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를 관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적합한 광고 출력 장치(10)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광고 데이터의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고, 광고 출력 장치(10)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광고 요청 정보를 기초로,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광고 데이터를 기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광고 출력 장치(10)로 제공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광고 제공 장치(2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 및 광고 제공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망(30)은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앞서, 광고 제공 장치(20)는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를 관리하고, 광고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설명하였다.
여기서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 통신망으로 연결된 옥외 광고 매체, 다수의 전파 매체, 디지털 방송 매체를 관리하는 방송 관리 장치, 다수의 지면 매체를 관리하는 지면 매체 관리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게임, 음악,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메신저, 위치 찾기 서비스 등 사용자 단말 내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a)은 단말 통신부(11), 단말 저장부(12), 단말 제어부(13), 단말 입력부(14), 표시부(15), 음원 출력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해 광고 제공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특히 광고 제공 장치(20)로 후술할 광고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 저장부(12)는 광고 요청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 정보, 단말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휴대 전화번호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정보란, 단말 고유의 식별 정보로, 예컨대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ESN이란 휴대 단말기 제조회사가 단말기 생산 완료 시점에서 서비스 사업자에게 통보해주는 단말기마다의 고유 코드번호를 의미한다.
응용 프로그램 정보란 현재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12a) 중 광고 수신을 요청한 응용 프로그램(12a)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응용 프로그램(12a)을 통해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할 단말 제어부(13)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 저장부(12)는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저장부(12)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3)는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 제어부(13)는 응용 프로그램(12a)이 실행되면, 응용 프로그램의 요청에 의해 단말 저장부(12)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단말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광고 요청 정보를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며,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광고 수신을 요청한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a)이 GPS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있을 경우, 제어부(13)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보다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 입력부(14)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단말 제어부(13)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의 단말 입력부(14)는 출력되는 광고 데이터에 대양한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게 되며,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등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5)는 사용자 단말(10a)에서 실행되는 여러 기능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의 표현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표현수단이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이루어진 표시부(15)의 경우 단말 입력부(14)에 해당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음원 출력부(16)는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특히, 광고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원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광고 데이터에 대한 설명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광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출력 장치(10)가 사용자 단말(10a)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12a)일 경우, 해당 응용 프로그램(12a)이 실행되면, 응용 프로그램(12a)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정보, 단말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응용 프로그램(12a) 상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a)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 장치, 타블렛 PC(Tablet PC),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장치 등 휴대 단말뿐 아니라, 데스크 탑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광고 출력 장치(10)가 사용자 단말(10a)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12a)일 경우를 도 2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10a)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b)가 구현될 수도 있다.
광고 출력 장치(10)는 이 외에도,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 통신망으로 연결된 옥외 광고 매체, 다수의 전파 매체, 디지털 방송 매체를 관리하는 방송 관리 장치, 다수의 지면 매체를 관리하는 지면 매체 관리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예컨대, 광고 출력 장치(10)가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일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a)의 단말 입력부(14)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접속 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 단말(10a)의 기저장된 로그 정보,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의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의 식별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접속된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의 카테고리 정보와 같은 키워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연예인'과 관련된 뉴스 기사에 대한 웹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경우, 해당 웹 페이지의 키워드인 '연예인' 정보를 식별 정보로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웹 페이지의 식별 정보는 보다 구체적인 키워드 정보, 예컨대, '남자, 연예인, 10대 가수'와 같은 구체적인 키워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광고 제공 장치(20)는 '남자, 연예인, 10대 가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는 10대의 여자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10대를 타깃으로 한 쇼핑몰 광고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는 기설정된 영역을 통해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광고 제공 장치(20)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객체는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가 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에 광고 제공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 등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제어 하에 광고 제공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출력 장치(10)가 통신망으로 연결된 옥외 광고 매체, 예컨대, 디지털 사이니지, 키오스크(kiosk), 디지털 쇼 윈도우(digital show window) 등일 경우, 일정 시간 단위로 옥외 광고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1일, 1주일 단위로 옥외 광고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면, 광고 제공 장치(20)는 상기 옥외 광고 매체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정보, 예컨대 설치 지역, 설치 장소 등의 정보를 확인하여,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 데이터를 옥외 광고 매체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광고 출력 장치(20)는 다수의 전파 매체, 디지털 방송 매체를 관리하는 방송 관리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방송 관리 장치일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방송 관리 장치(10b)는 텔레비전, 라디오와 다수의 전파 매체 또는 케이블 TV, IPTV(Internet Protocol TV), DMB와 같은 디지털 방송 매체를 관리하고, 해당 매체로 광고 데이터를 송출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방송 관리 장치(10b)는 다수의 전파 매체를 관리하는 전파 매체 관리부(10b_1), 다수의 디지털 방송 매체를 관리하는 디지털 방송 매체 관리부(10b_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전파 매체 관리부(10b_1)은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디지털 형태의 광고 데이터를 전파를 통해 출력하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파 매체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방송 관리 장치(10b)는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먼저, 매체 정보, 방송 프로그램 정보, 광고 출력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는 상기 조건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방송 관리 장치(10b)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파 매체, 디지털 방송 매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방송 매체를 관리하는 방송 관리 장치(10b)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지털 방송가 직접 광고 제공 장치(20)로 광고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으며, 텔레비전, 라디오와 같은 다수의 전파 매체 또한 직접 광고 제공 장치(20)로 광고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는 광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전파 매체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출력 장치(20)는 잡지, 신문과 같은 지면 매체를 관리하고 광고 데이터의 전송을 중계하는 지면 매체 관리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지면 매체 정보, 발행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는 이를 확인하여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지면 매체 관리 장치로 전송하면, 지면 매체 관리 장치는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인쇄물의 형태로 출력하고 발행 기간만큼 광고를 게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10)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고 출력 장치(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라면 그 어느 것도 본 발명의 광고 출력 장치(10)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고 출력 장치(10)는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광고 제공 장치(20)가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에 미리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통해 광고 제공 장치(20)는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광고 출력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2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장치(20)는 통신부(21), 저장부(22) 및 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출력 장치(10)와 통신망(3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다양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부(31)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수집하고, 광고 출력 장치(10)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22)는 광고 제공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수집된 광고 데이터에 대응하여, 광고 송출 조건 정보, 후술할 제어부(23)에서 산출된 광고 송출 비율을 저장한다.
또한,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10)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광고 출력 장치(10)가 옥외 광고 매체일 경우, 옥외 광고 매체가 설치된 장소, 지역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는 본 발명의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먼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광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고 송출 조건 정보란, 광고주의 설정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 예컨대, 광고주는 광고 데이터를 게시하고자 하는 광고 출력 장치(1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는 광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데이터가 게시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지면 매체를 통해 광고 데이터가 게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옥외 광고 매체를 통해 광고 데이터가 게시되도록 설정 시에는 광고 출력 지역을 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하고자 하는 광고 출력 장치(10)에 대해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광고 대상, 광고 출력 기간 정보 등을 더 설정할 수도 있으며, 광고 송출 조건 정보에 따라 광고주가 지불해야 할 금액을 확인하고, 조건 정보를 조정할 수도 있다.
하기의 <표 1>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설정된 광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고 송출 조건 정보의 예시이다.
광고 데이터 광고 출력 장치 광고 출력 지역 광고
대상
광고
출력 기간
광고
키워드
광고 데이터 A 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2.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
3. 방송 매체 관리 장치
4. 옥외 광고 매체
- 10대
여자
한 달 쇼핑몰
광고 데이터 B 지면 매체 관리 장치 서울 30대 여자 한 달 명품
광고 데이터 C 1.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
2.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서울 20대 남자 일 주일 게임
광고주 A는 광고 데이터 A를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 방송 매체 관리 장치, 옥외 광고 매체의 순으로 광고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였다. 이때, 한 달 동안 10대의 여자를 타겟으로 광고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조건을 설정하였으며, 이때의 광고 키워드는 10대들이 즐겨 찾는 쇼핑몰이다.여기서의 광고 키워드는 광고주의 설정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광고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부(23)가 추출할 수도 있다.
광고주 B는 광고 데이터 B가 신문, 잡지 등과 같은 지면 매체를 통해 광고가 출력되고자 하며, 이때, 서울 지역, 30대 여자를 타겟으로 한 달 동안 명품과 관련된 광고를 게시하고자 한다.
광고주 C는 광고 데이터 C를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순으로 광고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였으며, 이때, 서울 지역, 20대 남자를 일 주일 동안 게임과 관련된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고자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입력하였다.
이후, 제어부(23)는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광고 데이터의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게 된다.
상술한 <표 1>에서 광고 데이터 A는 광고주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45%의 비중으로 광고를 송출하고,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는 각각 20%, 방송 매체 관리 장치는 10%, 옥외 광고 매체에는 5%의 비중으로 광고가 송출되도록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게 된다.
광고 데이터 B는 지면 매체 관리 장치에 대한 정보만 설정되었으므로, 지면 매체 관리 장치를 100%로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고, 광고 데이터 C는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에서 각각 40%,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20%로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게 된다.
이후, 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광고 데이터를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로 제공 시 광고 출력 기간을 기초로 조정된다. 예컨대, 광고 데이터 C는 일주일 동안 광고가 출력되도록 설정하였으므로, 총 광고 출력 시간은 24시간 x 7일인 168시간을 기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만큼 시간을 할당하여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산정된 광고 송출 비율을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광고 송출 비율이 산정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3)는 광고 출력 장치(10)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광고 출력 장치(10)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경우,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응용 프로그램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정보, 단말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의 제어부(23)로 전송하고, 제어부(23)는 수신된 광고 요청 정보를 확인한 후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이 미용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일 경우, 해당 응용 프로그램은 10대 여자가 많이 실행할 수 있으므로, 적합한 광고 데이터로 광고 데이터 A를 선정한 후 기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제공한다.
반면, 응용 프로그램이 격투기 게임일 경우,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용자는 주로 20대 남자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합한 광고 데이터로 광고 데이터 C를 선정한 후 기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적합한 광고 데이터 검색 결과, 둘 이상의 적합한 광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제어부(23)의 제어 하에 광고 데이터 제공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10분 간격으로 광고 데이터를 번갈아 가면 제공하거나, 1일 간격으로 광고 데이터를 번갈아 가며 제공하는 방식으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후, 제어부(23)는 광고 출력 장치(10)로 광고 데이터를 전송한 후, 광고 출력 장치(10)로부터 광고 집행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광고 집행 정보를 기초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고 집행 정보는 광고 출력 장치(10)의 특성에 따라 상이할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의 경우의 광고 집행 정보는 클릭 이벤트 발생 횟수가 될 수 있다.
반면 옥외 광고 매체의 경우 광고 집행 정보는 단순히 광고 게시 기간으로 산정하거나 또는 실질적인 효과, 예컨대 광고 제품의 판매량, 사이트 인지도 분석 결과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방송 매체의 경우,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 정보를 광고 집행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지면 매체의 경우 해당 매체의 판매량 정보 등이 광고 집행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옥외 광고 매체, 지면 매체의 경우, 해당 광고 페이지에 광고 데이터에 대한 부연 정보를 위한 QR코드 등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의 QR코드 접속 정보를 광고 집행 정보로 산정할 수도 있다.
이후, 광고 제공 장치(20)는 이러한 광고 집행 정보를 기초로, 광고 데이터 출력에 대한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광고 데이터 A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광고 데이터 A의 광고 송출 비율을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45%의 비중이며,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는 각각 20%이다. 이때 광고 출력 기간이 한 달(30일 기준)이므로, 총 광고 출력 시간은 720시간이다.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324시간,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는 각각 144시간이 되도록 광고를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에서의 광고 클릭 이벤트를 분석하여, 유선 웹 페이지에서의 광고 효과가 유선 웹 페이지, 무선 웹 페이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순으로 분석되었다면,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한다.
예컨대, 유선 웹 페이지가 30%, 무선 웹 페이지가 20%,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15%가 되도록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또한 단순히 예시에 불과하며, 광고 효과를 기초로 다양한 방식으로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어부(23)는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광고 데이터의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고, 광고 효과에 따라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하는 광고 송출 비율 산정 모듈(23a), 광고 출력 장치(10)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광고 출력 장치(10)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광고 출력 장치(10)로 검색된 광고 데이터를 기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모듈(23b), 광고 출력 장치(10)로 광고 데이터를 전송한 후, 광고 데이터 전송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 효과 분석 모듈(2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분석된 결과값을 광고주에게 제시하기 위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보고서 작성 모듈(23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광고 제공 장치(10)는 광고 출력 장치(10)로 광고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에 광고주로부터 광고 송출 조건에 따라 과금을 산정하는 과금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제공 장치(20)가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10)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광고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는 한 번의 광고 등록을 통해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로 광고를 출력할 수 있어, 광고주의 편의성 및 광고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10)를 통해 출력된 광고 데이터에 대한 효과를 일괄적으로 분석하고 광고주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주는 자신의 광고에 대한 광고 효과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고주로부터 수집되는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고, 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광고 출력 장치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한 후, 사용자 반응에 따라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전략으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광고 제공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20)는 광고 송출 비율 산정 시 광고주가 입력한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산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고 제공 장치(20)에 미리 다수의 광고 출력 장치(10)의 경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이를 기초로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표 1>의 광고 데이터 A와 같이, 광고주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 방송 매체 관리 장치, 옥외 광고 매체의 순으로 광고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우선순위 정보를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해당 매체의 경향 정보를 기초로, 광고 제공 장치(20)가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에 노출되는 사용자는 대다수가 10~30대의 젊은 층이 될 것이다. 만일 광고 데이터 A가 60대를 겨냥한 상품일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를 통해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은 광고 효과가 떨어질 것으로 미리 예상이 가능하므로, 광고주로부터 상기와 같은 순으로 우선순위 정보가 입력되더라도, 광고 제공 장치(20)가 방송 매체 관리 장치, 옥외 광고 매체의 순으로 광고 데이터가 게시되도록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때, 광고 제공 장치(20)가 우선순위를 변경하게 될 경우, 이에 대해 광고주에게 보고하고, 광고주는 변경된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 데이터를 출력할 지 또는 기입력한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 데이이터를 출력할 지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광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고 출력 장치(10)와 광고 제공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광고 제공 장치(20)가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S101). 이후,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한다(S103).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광고 출력 장치(10)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S105), 광고 제공 장치(20)는 광고 요청 정보를 기초로, 광고 출력 장치(10)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고(S107), 검색된 광고 데이터를 기설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제공하게 된다(S109).
이때, 광고 출력 장치(10)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가 둘 이상 검색되면, 일정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출력 장치(10)로부터 광고 집행 정보를 수신하고(S111), 수신된 광고 집행 정보를 기초로, 광고 효과를 분석한다(S113).
광고 효과가 분석되면,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하고, 그 이후의 광고 제공에 대해서는 조정된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S115).
이하, 광고 출력 장치(10)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경우,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경우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201). 여기서,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게임, 음악,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메신저, 위치 찾기 서비스 등 사용자 단말 내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201), 응용 프로그램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정보, 단말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또는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S203).
이후, 사용자 단말은 생성된 광고 요청 정보를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는 사용자의 광고 요청 정보를 확인하여,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한 후, 검색된 광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이 이를 수신(S207)한 후, 응용 프로그램 내 특정 영역에 광고 데이터를 삽입하여 출력(S209)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클릭 이벤트가 발생되면 일정 기간 단위, 예컨대, 10분, 1시간, 1일 등과 같은 일정 기간 단위로 클릭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집행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S211)할 수 있다.
이하, 광고 출력 장치(10)가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일 경우,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일 경우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는 사용자의 접속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301). 이후,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로그 정보를 확인하여 수집하게 된다(S303).
로그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사용자가 평소에 자주 가는 사이트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확인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성향 파악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나,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의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로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S305)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유선 또는 무선 웹 페이지의 식별 정보는 해당 페이지의 키워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페이지가 '남자, 연예인, 10대 가수'의 키워드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해당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도 6의 S205~S211 단계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광고 출력 장치(10)가 방송 관리 장치일 경우,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방송 관리 장치일 경우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방송 관리 장치는 먼저,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성을 판단하게 된다(S401).
여기서 방송 관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송 매체, 예컨대 텔레비전, 라디오, DMB, 케이블TV, IPTV 등의 방송 매체의 광고를 중계하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방송 관리 장치는 미리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방송 스케쥴에 따라 제어하여 광고 데이터를 해당 매체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전파 매체일 경우, 디지털 형태의 광고 데이터를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광고 데이터의 필요 여부, 예컨대 기저장된 광고 데이터가 오래 전의 광고 데이터일 경우, 새로운 광고 데이터의 수신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여부를 고려하여 필요성을 판단하거나 또는 일정 기간 단위로 광고 데이터 수신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방송 관리 장치는 방송 데이터를 내보낼 매체 정보, 방송 프로그램 정보, 광고 출력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S403)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한다(S405).
이를 수신한 광고 제공 장치(20)는 광고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일요일 저녁 6시에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되는 프로그램일 경우,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주로 가족이 될 수 있으므로, 가족을 타깃으로 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방송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방송 관리 장치는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가 수신(S407)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 후, 방송 프로그램의 일정에 따라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S409).
예컨대, 방송 프로그램이 일요일 저녁 6시에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되는 프로그램이라면, 방송 관리 장치는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시간대에 광고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후,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이 종료되면 시청률을 평가하여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집행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며(S415), 광고 제공 장치(20)는 이를 기초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때, 광고 송출 비율의 조정뿐 아니라 시청률이 높은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 적합한 광고 데이터가 둘 이상 검색될 경우, 많은 금액을 지불한 광고 데이터를 선정하여 방송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방송 관리 장치는 시청률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집행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이 종료되는 즉시 전송하거나 일정 기간 단위로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광고 출력 장치(10)가 지면 매체 관리 장치일 경우,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장치가 지면 매체 관리 장치일 경우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지면 매체 관리 장치는 먼저, 방송 관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성을 판단하게 된다(5401).
여기서 지면 매체 관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지면 매체, 예컨대 신문, 잡지와 같은 지면 매체의 광고를 중계하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지면 매체 관리 장치는 미리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지면 매체의 발행 일정에 따라 해당 매체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지면 매체 관리 장치는 광고 데이터의 필요 여부, 예컨대 기저장된 광고 데이터가 오래된 광고 데이터일 경우 광고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일정 기간 단위로 광고 제공 장치(20)로 광고 데이터 전송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이후, 광고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지면 매체 정보, 발행 기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S503),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S505)한다. 이후, 광고 제공 장치(20)로부터 광고 데이터가 수신되면(S507).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지면 매체의 발행 일정에 따라 해당 매체로 전송하여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S511).
예컨대, 일간지, 주간지, 월간지의 경우 해당 매체의 발행일 전에 광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지면 매체의 판매량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집행 정보를 생성하여(S513), 광고 제공 장치로 전송(S515)할 수도 있다.
광고 제공 장치(20)는 이를 기초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광고 송출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출력 장치(10)가 옥외 광고 매체일 경우, 옥외 광고 매체가 일정 시간 단위로 옥외 광고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제공 장치(2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장치는 어떠한 옥외 광고 매체에서 광고 요청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고, 기저장된 설치 지역, 설치 장소 등의 정보를 기초로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고 제공 방법은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로의 광고 데이터 제공을 일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광고주의 편의성 및 광고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광고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는 한 번의 광고 등록을 통해 다양한 광고 출력 장치로 광고를 출력할 수 있어, 광고주의 편의성 및 광고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광고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 광고 출력 장치 20: 광고 제공 장치 21: 통신부
22: 저장부 23: 제어부 24: 과금부
30: 통신망 100: 광고 제공 시스템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출력하고자 하는 광고 출력 장치의 종류, 광고 출력 지역, 광고 대상, 광고 출력 기간 및 광고 키워드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가 설정된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출력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광고 송출 조건 정보 및 광고 송출 비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우선순위 정보가 반영된 광고 데이터의 제1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광고 출력 장치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광고 출력 장치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광고 출력 장치로 검색된 상기 광고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제공하며, 상기 광고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집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광고 집행 정보를 기초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제1 광고 송출 비율을 사용자의 반응이 반영된 제2 광고 송출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의 경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광고 데이터의 광고 효과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떨어진다고 예상하면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가 겨냥하는 광고 대상과 상기 광고 대상이 주로 사용하는 광고 출력 장치 간의 매칭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효과를 예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출력 장치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둘 이상 검색하면 일정을 조정하여 광고 데이터가 번갈아 가며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장치.
  4. 광고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로부터 광고 데이터 및 출력하고자 하는 광고 출력 장치의 종류, 광고 출력 지역, 광고 대상, 광고 출력 기간 및 광고 키워드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가 설정된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광고 송출 조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우선순위 정보가 반영된 광고 데이터의 제1 광고 송출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광고 출력 장치로부터 광고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광고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 출력 장치에 적합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광고 출력 장치로 검색된 상기 광고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상기 광고 송출 비율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광고 집행 정보를 기초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제공 장치가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제1 광고 송출 비율을 사용자의 반응이 반영된 제2 광고 송출 비율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데이터의 경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광고 데이터의 광고 효과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떨어진다고 예상하면 상기 우선순위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KR1020180138214A 2018-11-12 2018-11-12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 KR20180124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214A KR20180124002A (ko) 2018-11-12 2018-11-12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214A KR20180124002A (ko) 2018-11-12 2018-11-12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090A Division KR20130102900A (ko) 2012-03-08 2012-03-08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002A true KR20180124002A (ko) 2018-11-20

Family

ID=6456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214A KR20180124002A (ko) 2018-11-12 2018-11-12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400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630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2420B1 (ko) * 2021-03-22 2021-10-15 주식회사 애드피디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학습을 이용한 디지털 광고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41060B1 (ko) * 2021-01-07 2021-12-20 서가원 키오스크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86210A (ko) * 2020-12-16 2022-06-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기능과 기억력 저하, 치매 조기 진단 서비스 및 이에 대한 맞춤형 광고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79479B1 (ko) * 2022-06-10 2022-12-21 (주)딜리셔스랑고 메타버스 상에서 사용자 맞춤형 영상광고를 송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630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86210A (ko) * 2020-12-16 2022-06-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기능과 기억력 저하, 치매 조기 진단 서비스 및 이에 대한 맞춤형 광고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41060B1 (ko) * 2021-01-07 2021-12-20 서가원 키오스크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12420B1 (ko) * 2021-03-22 2021-10-15 주식회사 애드피디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학습을 이용한 디지털 광고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79479B1 (ko) * 2022-06-10 2022-12-21 (주)딜리셔스랑고 메타버스 상에서 사용자 맞춤형 영상광고를 송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525966B1 (ko) 2022-06-10 2023-04-27 (주)딜리셔스랑고 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유효광고공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유효광고공간 내에서 사용자 맞춤형 영상광고를 송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4002A (ko)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
US9826354B2 (en) Content geofencing
JP5646787B1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及びコンテンツの統合型市場
US201301666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providing content to client devices in an electronic network
US20110066488A1 (en) Mobile ad routing
EP2237210A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JP2015028774A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及びコンテンツの品質スコア付けシステム
AU2013404293A1 (en) Hashtags and content presentation
KR102176686B1 (ko) 이전에 결정된 디바이스 위치들에 기초한 콘텐츠의 제공
EP32584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WO2011130484A2 (en) Social media enabled advertising
US10991013B2 (en)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based on computing device context
KR20130119721A (ko) Ap를 이용한 개인형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963340B1 (ko) 2차원 바코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장치
US20220358546A1 (en) Valuation of invitational content slots based on user attentiveness
US20160117727A1 (en) Adaptive retargeting
KR101761211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US20190026783A1 (en) Selecting content items for display in a content stream
KR20130126282A (ko) 광고 랭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102900A (ko)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장치
KR101910513B1 (ko) 광고 데이터 분배 방법 및 이를 위한 광고 제공 장치
KR101761210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US20150100920A1 (en) Companion content presented along with invitational content item
KR20210128864A (ko) 블로그 마케팅 방법 및 장치
KR10192300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