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901A -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901A
KR20180123901A KR1020170058262A KR20170058262A KR20180123901A KR 20180123901 A KR20180123901 A KR 20180123901A KR 1020170058262 A KR1020170058262 A KR 1020170058262A KR 20170058262 A KR20170058262 A KR 20170058262A KR 20180123901 A KR20180123901 A KR 2018012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accommodating portion
battery
electrode assembly
cas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김상욱
김성민
이대원
박동혁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5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3901A/ko
Publication of KR2018012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901A/ko
Priority to KR1020210116602A priority patent/KR10238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01M2/0275
    • H01M2/0267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로써, 상기 전지케이스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브릿지(bridge) 부위를 접는 선으로 하여 접으면,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마주보면서 상기 전극조립체를 밀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릿지 부위의 단부 측에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할 때, 전지케이스의 급격한 꺽임을 막기위해, 수납부의 깊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는 한 쌍의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Battery Case Having Buffering Recess Portion formed at Connection Portion Between Two Receiving parts}
본 발명은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특히,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그것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전지셀, 각형 전지셀, 파우치형 전지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저렴하고 변형이 용이한 파우치형 전지셀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전지케이스로 이용하며, 라미네이트 시트에 형성된 수납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함께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금형을 통해 포밍을 하여 전극조립체 삽입, 실링, 주액 및 웨팅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파우치는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1개인 1 캐비티(Cavity) 타입 또는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2개인 2 캐비티 타입으로 성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로잉 성형을 통해,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1개를 형성하는지, 2개를 형성하는지에 따라, 1 캐비티 타입 또는 2 캐비티 타입으로 분류된다.
도 1의 a는 1 캐비티(Cavity) 타입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의 b는 2 캐비티 타입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전지케이스(10)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2개의 부재 중 상측 방향에 위치되어 있는 부재에만 드로잉 공정을 통해 전극조립체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전지케이스(10)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 방향에 위치되어 있는 부재 및 하측 방향에 위치되어 있는 부재 모두에 드로잉 공정을 통해 전극조립체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B, C)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조립체가 수납되어 있는 부위 및 실링 부위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조립체가 수납되어 있는 부위 및 실링 부위 사이에 급격한 꺽임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2 캐비티 타입으로 제작시, 전지케이스(10)를 폴딩 후, 전지케이스(10)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는 과정을 거치며, 진공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실링 부위(30)와 전극조립체가 수용되어 있는 부위(20)의 경계면(40)의 단차(d)가 급격하게 커지거나 형상 불량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단차(d)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 부위 또는 형상 불량이 발생된 부위에는 적재 및 이송 중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질 경우, 파우치 크랙이 발생될 위험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2 캐비티 타입으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작할 때, 실링 부위 및 전극조립체가 수용되어 있는 부위의 단차 형상이 급격한 꺽임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완충 만입부를 특정한 위치에 형성하는 경우, 실링 부위 및 전극조립체가 수용되어 있는 부위의 단차 형상이 급격한 꺽임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로써, 상기 전지케이스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브릿지(bridge) 부위를 접는 선으로 하여 접으면,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마주보면서 상기 전극조립체를 밀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릿지 부위의 단부 측에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할 때, 전지케이스의 급격한 꺽임을 막기위해, 수납부의 깊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는 한 쌍의 완충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완충 만입부는, 상기 브릿지 부위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브릿지(bridge) 부위에는, 수납부의 깊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으며, 상기 브릿지 부위의 접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중앙 만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완충 만입부의 길이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 부위의 폭 대비 20% 내지 80%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장방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수납부의 깊이는 제 2 수납부의 깊이의 50% 내지 8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납부의 수평 단면상 장변과 제 2 수납부의 수평 단면상 장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수납부의 수평 단면상 단변과 제 2 수납부의 수평 단면상 단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만입부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만입부의 깊이는 제 1 수납부의 깊이의 20%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앙 만입부의 장변은 제 1 수납부의 장변 및 제 2 수납부의 장변에 서로 평행하고, 중앙 만입부의 장변의 길이는 제 1 수납부의 장변의 길이의 70% 내지 9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을 제공하며, 상기 전지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 때, 상기 디바이스는 노트북 컴퓨터, 넷북, 태블릿 PC, 휴대폰, MP3, 웨어러블 전자기기, 파워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케이스는, 브릿지 부위의 단부 측에는 수납부의 깊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는 한 쌍의 완충 만입부가 형성됨으로써,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할 때, 전지케이스의 급격한 꺽임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크랙이 발생되는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의 a는, 1 캐비티 타입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도 1의 b는, 2 캐비티 타입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조립체가 수납되어 있는 부위 및 실링 부위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조립체가 수납되어 있는 부위 및 실링 부위 사이에 급격한 꺽임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완충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완충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완충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지케이스(100)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조립체(미도시)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수납부(111) 및 제 2 수납부(112)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들(111,1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브릿지(bridge) 부위(120)를 접는 선으로 하여 접으면, 제 1 수납부(111) 및 제 2 수납부(112)가 마주보면서 전극조립체를 밀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브릿지 부위(120)의 단부 측에는 전지케이스(100)내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하여 밀봉한 뒤, 전지케이스(100)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할 때, 전지케이스(100)의 전극조립체가 수납되어 있는 부위 및 실링 부위 사이의 급격한 꺽임을 막기위해, 수납부의 깊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는 한 쌍의 완충 만입부(132,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한 쌍의 완충 만입부(132,134)는, 브릿지 부위(12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2 캐비티 타입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성형할 때, 브릿지 부위(120)의 단부 측에 한 쌍의 완충 만입부(132,134)를 드로잉 공법을 통해 2차 포밍함으로써, 전지케이스(100) 내부에 진공을 인가시, 진공에 의한 빨림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수납되어 있는 부위 및 실링 부위 사이의 경사 수준을 완만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들(111,1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브릿지(bridge) 부위(120)에는, 수납부의 깊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으며, 브릿지 부위(120)의 접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중앙 만입부(11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지케이스(100)의 브릿지 부위(120)에는 중앙 만입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지케이스(100)가 폴딩되는 과정에서 폴딩 부위가 내측으로 말려 들어가거나 또는 움푹 패이는 덴트(dent) 현상을 완화할 수 있게 되는 바, 전지셀의 외관이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완충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이다.
도 4에는, 제 1 수납부(111)의 수평 단면상 장변(111a)과 제 2 수납부(112)의 수평 단면상 장변(112a)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수납부(111) 및 제 2 수납부(112)가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수납부(211)의 수평 단면상 단변(211b)과 제 2 수납부(212)의 수평 단면상 단변(212b)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수납부(211) 및 제 2 수납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전지케이스(100)의 형태 및 도 5에 도시된 전지케이스(200)의 형태는 설계자의 선택 및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로써,
    상기 전지케이스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브릿지(bridge) 부위를 접는 선으로 하여 접으면,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마주보면서 상기 전극조립체를 밀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릿지 부위의 단부 측에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할 때, 전지케이스의 급격한 꺽임을 막기위해, 수납부의 깊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는 한 쌍의 완충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완충 만입부는, 상기 브릿지 부위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브릿지(bridge) 부위에는, 수납부의 깊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으며, 상기 브릿지 부위의 접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중앙 만입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완충 만입부의 길이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 부위의 폭 대비 20% 내지 8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장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깊이는 제 2 수납부의 깊이의 50% 내지 8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수평 단면상 장변과 제 2 수납부의 수평 단면상 장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수평 단면상 단변과 제 2 수납부의 수평 단면상 단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만입부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만입부의 깊이는 제 1 수납부의 깊이의 20%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만입부의 장변은 제 1 수납부의 장변 및 제 2 수납부의 장변에 서로 평행하고, 중앙 만입부의 장변의 길이는 제 1 수납부의 장변의 길이의 70% 내지 9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케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13. 제 12 항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4. 제 13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노트북 컴퓨터, 넷북, 태블릿 PC, 휴대폰, MP3, 웨어러블 전자기기, 파워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70058262A 2017-05-10 2017-05-10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KR20180123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62A KR20180123901A (ko) 2017-05-10 2017-05-10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KR1020210116602A KR102385429B1 (ko) 2017-05-10 2021-09-01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62A KR20180123901A (ko) 2017-05-10 2017-05-10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602A Division KR102385429B1 (ko) 2017-05-10 2021-09-01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901A true KR20180123901A (ko) 2018-11-20

Family

ID=645684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262A KR20180123901A (ko) 2017-05-10 2017-05-10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KR1020210116602A KR102385429B1 (ko) 2017-05-10 2021-09-01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602A KR102385429B1 (ko) 2017-05-10 2021-09-01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239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052A1 (ko) * 2019-03-04 2020-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WO2020204407A1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EP3940876A1 (en) * 2020-07-14 2022-01-19 SK Innovation Co., Ltd.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9515A (ko) * 2022-11-29 2024-06-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593B2 (ja) * 1999-10-15 2006-09-27 Tdk株式会社 包装体の製造方法
JP4140311B2 (ja) * 2002-08-05 2008-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素子用ケースの製造方法
KR100895202B1 (ko) * 2006-04-17 2009-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
KR101253671B1 (ko) * 2010-11-12 2013-04-11 주식회사 이아이지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052A1 (ko) * 2019-03-04 2020-09-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WO2020204407A1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EP3940876A1 (en) * 2020-07-14 2022-01-19 SK Innovation Co., Ltd.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429B1 (ko) 2022-04-12
KR20210110556A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9515B2 (en) Pouch exterior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024902B2 (en) Battery cell having recessed portion formed in connection region between receiving units
JP6445028B2 (ja) シーリング部に溝を含んでいるパウチ型二次電池
CN110199405B (zh) 包括两步密封工艺的密封袋形电池的侧部的方法
KR102385429B1 (ko)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완충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케이스
CN114303278B (zh) 袋型电池壳体、制造袋型电池壳体的设备及袋型二次电池
KR102263409B1 (ko) 스웰링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셀
KR20150014544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셀 밀착을 위한 가압 트레이
KR102263480B1 (ko) 예비 절단선이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236347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207296B1 (ko) 형상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726792B1 (ko) 전지셀의 실링부를 절곡하기 위한 장치
KR102192993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11127981B2 (en) Battery cell including battery case hav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stepped electrode assembly
KR102057114B1 (ko) 예비 절단선이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277225B1 (ko) 수납부가 형성된 분리형 전지케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전지셀의 제조 방법
KR102403485B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7650B1 (ko) 만입형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446531B1 (ko) 파우치형 전지셀의 가장자리 돌출 현상을 방지해 주는 전지 트레이
KR102403473B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75293A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