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420A - 가상 기지국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시스템 아키텍처 - Google Patents

가상 기지국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시스템 아키텍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420A
KR20180122420A KR1020187029528A KR20187029528A KR20180122420A KR 20180122420 A KR20180122420 A KR 20180122420A KR 1020187029528 A KR1020187029528 A KR 1020187029528A KR 20187029528 A KR20187029528 A KR 20187029528A KR 20180122420 A KR20180122420 A KR 20180122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stacks
data packet
backhaul
wireless
mo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낙중 최
빈 엔구옌
마리나 소탄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오브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오브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오브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12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6Routing in software-defined topologies, e.g. routing between virtual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8Flow bas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4Distribut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분산형 플랫폼은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기지국의 베이스밴드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및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독립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서빙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및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상 기지국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시스템 아키텍처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은 독점적인 특수 목적의 하드웨어에 기초하여 구현되는데, 이것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빠르게 변화하는 네트워크 조건, 요구, 서비스 등에 적응하는데 방해가 된다. 최근에, 위에서 언급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 대한 네트워크 기능의 가상화를 지향하기 위한 추세의 일환으로서, 그러한 e-NodeB의 베이스밴드 유닛(base band unit, BBU)이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Virtualized Network Function, VNF) 사용 사례 중 하나가 상용 규격품(commercial off-the-shelf, COTS) 서버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가상화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현된다. 이러한 추세에서, 주어진 클라우드 환경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연성과 제어 가능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최신 기술에 따른 vBBU는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긴밀히 결합하여 유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vBBU의 무선 부분과 백홀(또는 에지 클라우드) 부분 사이에 진정으로 유연하고 제어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가 분산되어 있는 분산형 클라우드에서, 각 e-NodeB의 vBBU는 EPC(또는 에지 클라우드)와의 상이한 물리적/논리적 백홀 링크에 연결(또는 그 링크에 의해) 공유되어야 한다.
더욱이, 프로세싱 시간 요건으로 인해, 레이어 1(L1) 무선 통신이 특별한 하드웨어, 예를 들어,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graphical processor unit, GPU) 어레이를 통해 실행되는 반면, 레이어 2(L2) 및 레이어 3(L3) 프로세싱은 범용 프로세서(general purpose processor, GPP)를 통해 가상화된다.
현재 이용 가능한 위에서 설명한 방식은 하드웨어 독점적인 특수 목적 e-NodeB에 비해 더 나은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vBBU 내부에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내장하게 되면 무선 및 백홀 자원과 백홀 자원 사이의 유연한 매핑을 무선 프로토콜 스택에 관계 없이 충실하게 조정하지 못하게 한다(즉,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수는 vBBU의 수로 조정된다). 다시 말해서, 현재 vBBU의 설계는 eNB 내부, 특히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에 맞춤형 VNF가 추가될 수 없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분산형 플랫폼은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에는 내부에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기지국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및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독립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서빙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다른 하나 및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다른 하나로; 및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으로 라우팅함으로써 데이터 패킷 플로우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분산형 플랫폼의 슬라이스를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며; 슬라이스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원을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의 베이스 밴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공된 슬라이스를 이용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향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제 1 수정을 수행하고, 제 1 수정된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에 라우팅함으로써 데이터 패킷 플로우를 관리하고, 라우팅된 데이터 패킷의 제 2 수정을 수행하며, 제 2 수정된 데이터 패킷을 의도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제 1 무선 프로토콜 스택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제 1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함으로써 제 1 수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제 2 무선 프로토콜 스택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제 2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함으로써 제 2 수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원격 무선 헤드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원격 무선 헤드는 플랫폼에 관련하여 원격으로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대응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산형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복수의 노드 중 제 1 노드에게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명령함으로써 제 1 수정을 수행하고,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구현하도록 명령함으로써 제 2 수정을 수행하며, 복수의 노드 중 제 1 노드와 복수의 노드 중 제 2 노드 사이의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복수의 노드 중 제 1 노드 및 복수의 노드 중 제 2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중 임의의 노드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지국은 가상 e-NodeB이고, 각각은 분산형 플랫폼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의해 구현되는 e-NodeB의 기능성을 갖고, 프로세서는 둘 이상의 서비스 공급자를 동시에 서비스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수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수와 상이하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분산형 플랫폼상에서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방법은 복수의 기지국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및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독립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서빙하도록 구성됨 - 와,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다른 하나 및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다른 하나로 라우팅하고,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분산형 플랫폼의 슬라이스를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슬라이스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원을 제공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의 베이스 밴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법은 플랫폼의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향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제 1 수정을 수행하고, 제 1 수정된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에 라우팅함으로써 데이터 패킷 플로우를 관리하고, 라우팅된 데이터 패킷의 제 2 수정을 수행하며, 제 2 수정된 데이터 패킷을 의도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제 1 무선 프로토콜 스택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제 2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함으로써 제 1 수정을 수행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수정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트래픽 조건 및 사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제 2 무선 프로토콜 스택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제 2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함으로써 제 1 수정을 수행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수정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트래픽 조건 및 사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분산형 플랫폼의 복수의 노드 중 제 1 노드에게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명령함으로써 제 1 수정을 수행한다. 제 2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노드 중 제 2 노드에게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구현하도록 명령함으로써 제 2 수정을 수행한다. 관리 단계는 복수의 노드 중 제 1 노드와 복수의 노드 중 제 2 노드 사이의 상기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복수의 노드 중 제 1 노드 및 복수의 노드 중 제 2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중의 임의의 노드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 패킷 흐름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공급자의 하나 이상의 진화된 패킷 코어 사이에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아래에서 주어진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완전히 이해될 것이며,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이것은 단지 예로서만 주어지며 따라서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된 베이스밴드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버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제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상세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 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려는 목적의 전형일 뿐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대안적인 형태로 구현화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인 형태가 가능하지만, 그 실시예는 도면의 예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반대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균등물, 및 대안을 망라하고자 한다. 동일한 부호는 도면의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는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 1 요소는 제 2 요소로 지칭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요소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 1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되어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에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접속되거나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사이에 오는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접속" 또는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사이에 오는 어떠한 요소도 존재하지 않는다. 요소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단어는 동일한 방식(예를 들어, "사이" 대 "사이에 직접", "인접" 대 "직접 인접" 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하나", "한" 및 "그"라는 단수 형태는 맥락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 역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한다" 및/또는 "구비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임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언급된 기능/행위는 도면에 적힌 순서를 벗어나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두 개의 도면은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연루된 기능성/행위에 따라 때로는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 특정 세부 사항이 제공된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쓸데 없는 세부 사항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스템이 블록도로 도시될 수 있다. 다른 사례에서, 모호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피하기 위해 불필요한 세부 사항이 없는 잘 알려진 프로세스, 구조 및 기술이 도시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행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능적 프로세스로서 구현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플로우차트, 흐름도, 데이터 흐름도, 구조도, 블록도 등의 형태의) 동작의 상징적 표현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그리고 기존 네트워크 요소에서 기존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기존 하드웨어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플로우차트가 동작을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설명할 수 있을지라도, 동작 중 많은 동작은 병렬로, 함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순서는 재정렬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프로세스의 작업이 완료될 때 종료될 수 있지만 도면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단계를 또한 가질 있다. 프로세스는 메소드, 함수, 절차,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스가 함수에 대응할 때, 함수의 종료는 호출 함수 또는 주 함수로의 기능의 반환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라는 용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RAM, 코어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유형의 머신 판독 가능 매체를 비롯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휴대용 또는 고정형 저장 디바이스, 광학 저장 디바이스, 광학 저장 디바이스 및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또는 반송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서술 언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 코드로 구현될 때,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머신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는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코드 세그먼트는 절차, 기능,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명령문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argument),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내용을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전송 등을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전달, 포워딩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최신 이동 전화 서비스(Advance Mobile Phone Service, AMPS) 시스템; 협대역 AMPS 시스템(Narrowband AMPS system, NAMPS); 토탈 액세스 통신 시스템(Total Access Communications System, TACS); 개인 디지털 셀룰러(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시스템; 미국 디지털 셀룰러(United States Digital Cellular, USDC) 시스템; EIA/TIA IS-95에 설명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고속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시스템,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ltra Mobile Broadband, UMB); 및 3 세대 파트너 십 프로젝트 LTE(3GPP LTE)와 같은 RAN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현재 배치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많은 새로운 유형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더하여, 모바일 트래픽 볼륨의 급속한 증가 및 점점 동적인 특성이 더해지는 것은 운영자가 그러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한 네트워크 자원의 수요 수준을 예측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그 결과, 대부분의 네트워크 운영자는 현재 및 예상되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문제에 대처할 방법을 찾는 중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자는 자신들의 네트워크에 유연성을 추가하여 사용자 수요를 보다 동적으로 지원하고 향후 발전하는 동안 자신들의 네트워크 투자를 보호하는 가장 비용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 5 년 동안 LTE의 출현으로 RAN 아키텍처로의 상당한 변동이 이루어져서 네트워크 운영자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명백히 도움을 줄 수 있었다.
IP의 증대하는 중요성 및 지상 기반 무선 모듈로부터 타워 탑재 원격 무선 헤드(tower-mounted remote radio head, RRH)로의 가속화된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의 가상화를 향한 몇 가지 주요 RAN 진화가 이미 개발되었다. 그러나 VNF는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 및/또는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모든 영역에 걸친 전세계적 추세로서, 미래의 RAN 네트워크가 설계되는 방식에서 진정한 혼란을 가져올 보다 급진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새롭고 보다 강력한 범용 프로세서(general purpose processor, GPP)를 활용하고, 기존 및 새로운 기능을 이러한 GPP로 이동시키며, 네트워크의 가장 가능한 위치에서(예를 들어, 벤더(vendor)에 요청하여 원격으로 액세스 가능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RAN의 기능성을 실행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GPP를 활용함으로써, 커스톰 하드웨어 상의 각 셀 사이트에서 (예를 들어, 각 e-NodeB에서) 모든 그러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해야 하기 보다는 중앙 위치에 설치된 IT 서버에서 BBU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수한 확장성(scalability)과 풀링(pooling) 및 무선 자원 간의 보다 용이한 조정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의 이러한 중앙 집중화는 중앙 위치(들)에서 필요한 하드웨어 장비의 속도 및 용이한 배치를 개선하고 동작을 단순화한다.
가상화 없는 BBU의 집중화는 위에서 언급한 이러한 이점 중 일부를 달성하지만, 더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 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신 기술에 따른 vBBU는 무선/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긴밀히 연결하여 유지하기에, 클라우드 환경에서 vBBU의 무선 및 백홀(또는 에지 클라우드) 부분 사이에 진정으로 유연하고 제어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진화된 패킷 코어(EPC)가 분산되어 있는 분산형 클라우드에서, 각 e-NodeB의 vBBU는 EPC(또는 에지 클라우드)와의 상이한 물리적/논리적 백홀 링크에 연결(또는 공유)되어야 한다.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결합 해제는 EPC가 무선 프로토콜 스택으로부터 진정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vBBU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무관하게 조정되어 EPC 코어에서 "무한" 자원 개념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언급한 결합 해제를 실현함은 물론 이들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된 베이스밴드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하, 시스템(100)이라 지칭함)은 세 개의 사용자 디바이스(102), 두 개의 원격 무선 헤드(RRH)(104), 서버(106-1 내지 106-5)의 네트워크 및 두 개의 EPC(108)를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세 개의 사용자 디바이스(102), 두 개의 RRH(104), 다섯 개의 서버(106-1 내지 106-5) 및 두 개의 EPC(108)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시스템(100)은 임의의 개수의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 RRH, 서버 및 EPC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스템(100)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2)는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동 전화, 태블릿, 무선 통신 능력을 갖춘 가젯(예를 들어, 심장 박동수 모니터), 랩톱 등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RRH(102)는 임의의 알려지거나 개발될 RRH이며 특정 무선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위치에 있는 (예를 들어, 매크로 셀 기지국, 소형 셀 기지국 등이 현재 위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는) 타워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시스템(100)이 LTE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는 가정에 기초할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기술을 포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은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갖는 기지국의 개념을 이용하는 3GPP 규격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임의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RRH(104) 각각은 임의의 공지된 또는 개발될 RRH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RRH(104) 각각은 광섬유 케이블 또는 RRH(104) 및 서버(106)를 물리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공지된 또는 개발될 수단과 같은 전용의 물리 라인 접속(110)을 통해 서버(106)에 접속된다(각각의 RRH(104)와 서버(106) 사이의 이러한 접속은 또한 프론트홀(fronthaul) 연결 또는 무선 연결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은 다른 공지된 또는 개발될 구성요소 중에서도, 프로세서, 메모리, 스위치 및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6-1 내지 106-5) (107-2)의 각각의 메모리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중에서도, 내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의 집합을 가질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의 집합은 대응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대응하는 프로세서를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서버(106-1 내지 106-5) 중 하나 이상의 서버에서 수신된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예를 들어, 신호의 L1-L3 프로세싱)을 비롯한, 사용자 디바이스(102)를 서비스하는 복수의 e-NodeB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한 특수 목적 프로세서로 변환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의 대응하는 프로세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몇몇 범용 프로세서(GPP)로 형성된다. 서버 네트워크(106)는 도 2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은 임의의 RRH(104)가 위치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와는 상이한 지리적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서버(106-1 내지 106-5)가 RRH(104)와 직접 통신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6-1 및 106-2)만이 직접 접속될 수 있고 상이한 지리적 위치에 위치하는 동안, 서버(106-1 및 106-2)는 RRH(104)와 서버(106) 사이의 유선/물리적 접속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예를 들어, (예를 들어, 서버(106-1 및 106-2) 및 RRH(104)는 서로 수 킬로미터/마일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이들 사이의 정확한 분리는 네트워크 서비스 요건 및/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배치 시나리오에 기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106-1) 및/또는 서버(106-2)와 임의의 RRH(104) 사이의 분리는 RRH(104)와 서버(106-1 및/또는 106-2) 사이의 접속을 케이블 및 전선을 사용하여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클 수 있다. 그러한 사례에서, RRH(104)와 서버(106-1) 및/또는 서버(106-2) 사이의 통신은 무선일 수 있고 임의의 공지된 또는 개발될 무선 통신 표준/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106-1 및 106-2)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RRH(104)에 직접 접속되지만, 나머지 서버(106-3 내지 106-5)는 서버(106-1 및 106-2)를 통해 RRH(104)에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서버(106-1 내지 106-5) 사이의 통신은 유선, 무선 및/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106-1 내지 106-5) 중 임의의 두 서버 사이의 통신은 서버(106-1 내지 106-5)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 네트워크(106)는 베이스밴드 신호 프로세싱 및/또는 분산형 vBBU를 위한 분산 플랫폼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106-1 내지 106-5) 중 하나 이상은 광섬유 케이블 및/또는 서버(106) 및 EPC(108)를 물리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공지된 또는 개발될 수단과 같은 전용 물리적 라인/접속(112)을 통해 하나 이상의 EPC(108)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6-1 내지 106-5) 중에서도, 서버(106-4 및 106-5)만이 EPC(108)에 직접 접속되는 반면에, 나머지 서버(106-1 내지 106-3)는 서버(106-4 및 106-5) 중 하나 이상을 통해 EPC(108)에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도 1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RRH(104) 및 EPC(108)에 직접 접속되는 서버(106-1 내지 106-5)의 수는 동일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EPC(108)에 직접 접속되는 서버(106-1 내지 106-5) 중에는 단일의 서버가 있을 수 있고, 동시에 RRH(104)에 직접 접속되는 서버(106-1 내지 106-5) 중에는 세 개의 서버가 있을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도 가능할 수 있다.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106-1 내지 106-5) 중에서, 서버(106-3)는 스위칭 제어기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아래에서 추가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서버(106-1 내지 106-5) 중 임의의 서버가 추가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위칭 제어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버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링 토폴로지를 갖는 것으로서 서버 네트워크(106)를 도시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토폴로지가 서버 네트워크(106)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 네트워크(106)의 토폴로지는 아래에서 추가 설명되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서버(106-1 내지 106-5) 중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의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은 프로세서(200-1), 메모리(200-2) 및 스위치/라우터(200-3)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은 서버 네트워크(106)의 노드 또는 컴퓨팅 노드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1)는 하나 이상의 GPP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1)가 둘 이상의 GPP로 형성되는 경우, 둘 이상의 GPP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함께 풀링될 수 있다). GPP(들) 및/또는 스위치는 공지된 및/또는 개발될 GPP 및 스위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1)용으로 사용되는 GPP의 수는 네트워크 용량 요건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공급자에 따라 다르다(결정된다).
메모리(200-2)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및 정보 중에서도, 대응하는 프로세서(200-1)에 의한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또는 개발될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은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국부적으로 저장할 수는 없지만, 오히려 서버(106-1 내지 106) 중 다른 하나로부터 및/또는 클라우드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검색할 수 있다.
스위치/라우터(200-3)는 서버(106-1 내지 106-5) 중 하나로부터 처리된 (또는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서버(106-1 내지 106-5) 중 다른 서버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공지된 또는 개발될 스위치/라우터일 수 있다. 스위치/라우터(200-3)는 또한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의 수행 능력 및 부하/프로세싱 능력에 따라 서버(106-1 내지 106-5) 중 하나의 기능성을 서버(106-1 내지 106-5) 중 다른 서버로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각 서버(106-1 내지 106-5)의 스위치 및 라우터는 조합된 단일 유닛(200-3)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스위치 및 라우터는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의 내부에 두 개의 상이한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LTE e-NodeB에 의한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은 e-NodeB의 무선 (프론트홀) 측에 있는 e-NodeB에서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재구성하는 것(예를 들어, 헤더 정보, 소스의 IP 어드레스, 목적지 등을 재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재구성 및 프로세싱은 무선 프로토콜 스택(radio protocol stack)이라고 지칭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e-NodeB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재구성 및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프로토콜 유닛(radio protocol unit, RPU)을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유사하게,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은 e-NodeB의 백홀 측에 있는 e-Node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EPC(108))로부터 수신된/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재구성 및 프로세싱(예를 들어, 헤더 정보, 소스의 IP 어드레스, 목적지 등을 재구성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재구성 및 프로세싱은 백홀 프로토콜 스택(backhaul protocol stack)이라고 지칭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e-NodeB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재구성 및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백홀 프로토콜 유닛(backhaul protocol unit: BPU)을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배경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vBBU에 대한 현재의 방식은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e-NodeB 프로토콜 스택 내에 내장하여,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긴밀한 결합을 제공한다.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vBBU에 내장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네트워크 무선 자원과 무관하게 EPC 리소스의 확장성을 제한한다.
현재 vBBU에 관해 위에서 설명한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e-NodeB 프로토콜 스택을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 각각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커맨드(software-defined command)의 개별 집합으로 분리하여 데이터 패킷을 처리할 수 있게 하고, 그런 다음 패킷은 RAN 소프트웨어 정의 내부 스위치(RAN SD i-스위칭 제어기라고도 지칭할 수 있음)를 통해 접속될 것이다.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아래에서 추가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할 때, 다양한 유형의 제어기, 에이전트, 스위치, 유닛 등이 참조될 수 있다. 그러나, 참조된 제어기, 에이전트, 스위치 등의 기능성은 메모리(200-2)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커맨드(소프트웨어 정의 명령어)의 실행을 통해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106-1 내지 106-5)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0-1)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vBBU의 소프트웨어 정의 기능성은 다음과 같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 네트워크(106) 내의 서버(106-1 내지 106-5) 각각은 무선 및/또는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세싱 기능성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이 RRH(104)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02)로부터 수신될 때, 서버(106-1)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소프트웨어 정의 커맨드를 실행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대해 프론트홀/무선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처리된 데이터 패킷은 (아래에서 설명될 RAN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 defined network, SDN) i-스위칭 제어기를 통해) 백홀 처리를 위한 서버(106-1 내지 106-5) 중 다른 하나에 라우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패킷의 프론트홀/무선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각각의 서버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을 위한 중계 에이전트라고 지칭될 수 있는 반면, 데이터 패킷의 백홀 처리를 수행하는 각각의 서버는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위한 중계 에이전트라고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서버(106-1 내지 106-5) 중 서로 다른 서버를 통해 백홀 및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소프트웨어 정의 구현을 통해) 데이터 패킷의 백홀 및 프론트홀 프로세싱의 분리/결합 해제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서버의 네트워크(106) 내의 서로 다른 서버를 사용하여 백홀 및 프론트홀 프로세싱의 분리 구현을 가능하게 하지만, 서버(106) 중 단일 서버는 예를 들어, RAN SDN i-스위칭 제어기에 의해 제공되는 라우팅/스위칭 결정에 따라, 데이터 패킷의 프론트홀 및 백홀 프로세싱 둘 모두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아래에서 추가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은 e- 노드 B 내부에서 데이터 패킷의 스위칭/라우팅을 제어하는 내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internal software defined network, SDN) 스위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Open v Switch(OVS)는 각 무선 프로토콜 스택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에 접속된다. 백홀 프로토콜 스택과 관련하여, SDN 스위치는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L1/L2 및/또는 다른 계층 기능, 예를 들면, UDP/IP/GTP-U를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 각각은 분리된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에서 중계 및 터널 정보를 동적으로 설정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를 갖는 SD 중계 에이전트라고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무선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SD 중계 에이전트는 (통상의 e-NodeB에서 중계 에이전트에 의해 전통적으로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 로컬 SDN 제어기로서 기능한다. 무선 프로토콜 스택을 위한 로컬 SDN 컨트롤러는 SD 디바이스 컨트롤러라고도 지칭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컬 SDN 제어기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정확한 중계 정보를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RAN SD i-스위칭 제어기와 통신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로컬 SDN 제어기가 (서버(106-1)가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프론트홀 프로세싱의 구현을 담당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서버(106-1) 및 RRH(104) 중의 대응하는 RRH로부터 전송된/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관한 정보(소프트웨어 정의된 규칙)를 갖고 있지 않으면, 로컬 SDN 제어기는 디폴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규칙의 집합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처리(예를 들어, 디폴트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향해 데이터 패킷의 포워딩)할 수 있고, 및/또는 SDN 철학(소프트웨어 정의된 명령어의 집합)에 따라 RAN SD i-스위칭 제어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로컬 SDN 제어기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와의 협력을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향한 무선 자원 슬라이스에 대한 프록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로컬 SDN 스위치는 QoS 미터링을 통해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한다. 또한, 로컬 SDN 제어기는 vRAN의 보다 효율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로컬 의사 결정을 위한 지능(예를 들어, 분석 기반 무선 자원 최적화)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무선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각각의 서버에 접속된) 로컬 SDN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02)로부터 IP/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로컬 포워딩 테이블을 검색한다. 내부 포워딩 테이블에서 일치하는 것이 발견되면, 로컬 SDN 컨트롤러는 로컬 포워딩 테이블에서 발견된 일치에 따라 프로세싱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아래에서 추가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프로토콜 스택 또는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함으로써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IP/데이터 패킷이 EPC(108) 중 하나(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상위 EPC, 이하 EPC1이라 지칭함)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면, IP/데이터 패킷의 프로세싱은 IP/데이터 패킷 정보를 "소스/목적지 IP 일치함: VLAN1(EPC 1 SGW1 향해) 푸시할 것(source/ destination IP matched: push VLAN1 (towards EPC 1 SGW1))"를 표시하도록 수정할 것이다. 다른 예로서, 로컬 포워딩 테이블에서 수신된 IP/데이터 패킷을 에지 클라우드를 향해 포워딩하기 위한 임의의 일치하는 엔트리가 발견되면, IP/데이터 패킷의 프로세싱은 IP/데이터 패킷 정보를 "소스/목적지 IP 일치함: 에지 클라우드 1에 포워딩할 것(source/ destination IP matched: forward edge cloud 1)"을 표시하도록 수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IP/데이터 패킷은 하나 이상의 EPC(108)가 아니라 에지 클라우드로 직접 포워딩될 수 있다.
또한, IP/데이터 패킷을 무선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서버(106-1 내지 106-5) 중 하나 이상과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서버(106-1 내지 106-5) 중 하나 이상 사이에서 라우팅하기 위하여, VLAN(L2 솔루션), IP-in-IP 캡슐화 또는 Q-in-Q 캡슐화, IP 헤더 구성(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중 어느 하나가 활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백홀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SD 중계 에이전트는 (통상의 e-NodeB에서 중계 에이전트에 의해 전통적으로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 로컬 SDN 제어기로서 기능한다.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위한 로컬 SDN 컨트롤러는 SD 디바이스 컨트롤러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로컬 SDN 제어기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와 통신하여 백홀 프로토콜 스택과 무선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정확한 중계 정보를 동적으로 구성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로컬 SDN 제어기가 (서버(106-4)가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백홀 프로세싱을 구현하는 것을 담당한다고 가정하면) 서버(106-4)로부터 전송된/전송될 데이터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소프트웨어 정의된 규칙)을 갖고 있지 않으면, 로컬 SDN 제어기는 디폴트의 소프트웨어 정의된 규칙의 집합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처리(예를 들어, 디폴트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향해 데이터 패킷의 포워딩)할 수 있고, 및/또는 SDN 철학(소프트웨어 정의된 명령어의 집합)에 따라 RAN SD i-스위칭 제어기와 통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로컬 SDN 제어기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와 협력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향한 무선 자원 슬라이스에 대한 프록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로컬 SDN 제어기는 QoS 미터링을 통해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QoS(서비스 품질)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위에서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 중 하나(예를 들어, 서버(106-1))가 인에이블되어 무선 프로토콜 스택에 의한 데이터 패킷의 프론트홀 프로세싱을 구현하고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서버(106-4))가 인에이블되어 백홀 프로토콜 스택에 의한 데이터 패킷의 백홀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서버(106-3))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를 구현한다.
따라서,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106-1 내지 106-5) 중 서로 다른 서버는 서버 네트워크(106)의 다양한 서버 사이에서 처리된 데이터 패킷의 라우팅을 관리하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데이터 패킷의 다양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예를 들어, vBBU 기능성)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성이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 중에서 서로 다른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RAN SD i-스위칭 기능성뿐만 아니라 각각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은 모두 서버 네트워크(106) 내의 서버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서버 네트워크(106)는 둘 이상의 e-NodeB의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즉, vBBU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시적인 실시예는 서버 네트워크(106)를 사용하는 서비스 공급자의 수, 트래픽/부하 상태 및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의 프로세싱 능력에 따라 서버 네트워크(106)에 의한 vBBU의 동적 관리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한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스위칭/라우팅 데이터 패킷을 조정(관리)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106-3)를 통해 구현되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자신의 제어하에 모든 RAN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에서 (예를 들어, 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프론트홀 프로세싱 수행하는 서버(106-1)와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백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서버(106-4) 사이에서), 서로 다른 무선 프로토콜 스택 사이(예를 들어, 각각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프론트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서버(106-1 및 106-2) 사이에서, 또는 서로 다른 백홀 프로토콜 스택(예를 들어, 각각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백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서버(106-4 및 106-5)) 사이에서, 또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다른 VNF 사이에서 (예를 들어, IP/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려는 목적을 위한)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부하 분산(load balancing), 무선 프로토콜 스택 이후의 트래픽 오프로딩(offloading),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경우 자원 격리 등과 같은 필요한 지능을 갖는다/전개한다. 예를 들어,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환하는 방법을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된 규칙 및 지침을 통해 제공되는) 테이블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테이블에 기초하여,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예를 들어, 서버(106-1)상에서) 무선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패킷을 (예를 들어, 서버(106-4 또는 106-5)상에서)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백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서버 중 다른 서버로 스위칭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버 네트워크(106)의 특정 서버가 무선 프로토콜 스택, 백홀 프로토콜 스택 및 RAN SD i-스위칭의 구현을 담당하는 것으로 지정되었지만,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그러한 지정은 동적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서버(106-1)는 한 시점에서 RRH(104)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프론트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지만,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서버 106-1)가 과부하임을 결정하고 그 대신 수신된 데이터 팩을 비교적 가벼운 부하를 갖는 다른 서버(예를 들어, 서버(106-5))로 라우팅하여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프론트홀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무선, 백홀 및 스위칭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 중에서 지정된 서버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다른 기능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의 방법은 서버 네트워크(106)의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의 기능성을 구현하는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 중 하나의 관점에서 구현되고, 이 경우 대응하는 프로세서(200-1)가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는 (서버(104)의 벤더, 네트워크 서비스 공급자의 운영자 등에 의해) 쉽게 수정, 업데이트, 재구성, 적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유연성 및 용이한 적응/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에 의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기에 앞서, 무선 서비스 공급자는 (예를 들어, 서버(106-3)에 의해 구현된) RAN SD i-스위칭 제어기에게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106)의 슬라이스를 무선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도록 (예를 들어, 서버 네트워크(106)의 네트워크 자원의 슬라이스를 무선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공지된 또는 개발될 슬라이싱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106)를 슬라이싱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서버 네트워크(106)를 슬라이싱함으로써 무선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자원은 무선 서비스 공급자가 vBBU 서비스(예를 들어,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를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요청하는 서비스 공급자에게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제공되었다고 가정하여, 도 3의 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S300)에서, 최종 디바이스(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등)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발신하는 IP/데이터 패킷 및/또는 이들을 향해 예정된 IP/데이터 패킷이 서버 네트워크(106)에서 수신된다.
(S310)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소스 및 목적지에 따라,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서버 네트워크(106) 내의 서버 중 하나(예를 들어, 서버(106-1)를 지정하여 (IP/데이터 패킷이 RRH(104)로부터 또는 EPC(108)로부터 서버 네트워크(106)에서 수신되는지에 따라) 수신된 IP/데이터 패킷의 제 1 수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후, 지정된 서버(예컨대, 서버(106-1))는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절한 하나의 구현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 1 수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IP/데이터 패킷이 서버 네트워크(106)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2) 중 하나로부터 RRH(104) 중 하나를 통해 수신될 때, 서버(106-1)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 1 수정을 수행한다. 다른 한편, IP/데이터 패킷이 서버(106-1)에서 네트워크의 EPC(108) 측으로부터 수신될 때, 서버(106-1)는 백홀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 1 수정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백홀 프로토콜 스택 또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실행에 의한 IP/데이터 패킷의 수정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행되며 서비스 공급자의 사양 및 가이드 라인에 추가로 기초할 수 있다.
그 후, (S320)에서,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서버 네트워크(106)의 서버 중 적절한 서버 사이에서 (예를 들어, 무선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서버 중 적절한 서버 사이에서,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서버 중 적절한 서버 사이,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서버 중 적절한 서버 사이에서, 무선/백홀 프로토콜 스택 및 다른 VNF를 구현하는 서버 중 적절한 서버 사이 등등에서) 제 1 수정된 IP/데이터 패킷을 라우팅(관리)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부하 조건, 트래픽 조건, 서비스 공급자 사양, 소프트웨어 정의된 라우팅 명령어(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소프트웨어 정의된 테이블) 등에 따라 제 1 수정된 IP/데이터 패킷을 라우팅(관리)한다.
제 1 수정된 IP/데이터 패킷을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절한 스택으로 라우팅한 후에 및 라우팅된 데이터 패킷을 의도된 목적지(들)로 전송하기 전에, (S330)에서,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제 1 수정된 IP/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서버 네트워크(106) 내의 서버 중 적절한 서버에게 IP/데이터 패킷의 제 2 수정을 수행할 것을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제 1 수정을 받은(겪은) IP/데이터 패킷(들)에 대해 제 2 수정을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제 1 수정 및 제 2 수정을 수행하는 서버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또는 제 2 수정을 수행하는 서버는 RAN SD i-스위칭 제어기 기능성을 구현하는 서버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수정이 서버(106-1)에 의해 무선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컴퓨팅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한 다음에 뒤를 이어 제 1 수정된 IP/데이터 패킷을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다른 서버(예를 들어, 서버(106-4))에 라우팅함으로써 수행되면,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서버(106-4)에게 백홀 프로토콜 스택 또는 (데이터 패킷이 하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으로부터 다른 무선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 2 수정을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더욱이, 제 1 수정이 서버(106-4)에 의해 백홀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실행한 다음에 뒤를 이어 제 1 수정된 IP/데이터 패킷을 무선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다른 서버(예를 들어, 서버(106-1))로 라우팅함으로써 수행되면,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서버(106-1)에게 무선 프로토콜 스택 또는 (데이터 패킷이 하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으로부터 다른 백홀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이한 백홀 프로토콜 스택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 2 수정을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제 1 수정에 따른 IP/데이터 패킷의 프로세싱)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제 2 수정에 따른 IP/데이터 패킷의 프로세싱)의 독립적인 동작이 서로 다른(또는 동일한) 서버에 의해 가능해진다.
그 후, (S340)에서, RAN SD i-스위칭 제어기는 제 2 수정을 수행한 서버(예를 들어, 서버(106-1) 또는 서버(106-4))에게 제 2 수정된 IP/데이터 패킷을 의도된 목적지로 전송하도록 명령한다. 그러면 서버(106-1) 또는 서버(106-4)는 제 2 수정 패킷을 의도된 목적지에 (서버(106-1) 또는 서버(106-4)가 의도된 목적지(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RH(104) 또는 하나 이상의 EPC(108))에 직접 접속되어 있으면) 직접 또는 서버 네트워크(106) 내의 서버 중 다른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송한다.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분리하고 이들 사이의 통신을 RAN SD i-스위칭 제어기를 통해 관리하기 위한 위에서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첫 번째 이점은 미래 모바일 네트워크를 위한 다양한 특징을 구현하는데 매우 유연한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정의된 네트워킹의 덕택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VNF 인프라(VNF Infrastructure, VNFI)로서 생성될 수 있기에, RAN 공유가 상당한 노력 없이 구현될 수 있고, 그의 관리성이 프로그램 가능 RAN 공유를 실현하기 위해 개선될 것이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IoT)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제 3 IoT 서비스 공급자에게 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용 가능한 방식의 단점으로 논의된) e-NodeB의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긴밀한 결합이 제거될 수 있어서, 서버(106)에 의해 구현되는 무선 및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수가 더 이상 동일해야 하지 않고 상이할 수 있게 되어, EPC 코어 자원을 네트워크(100) 무선 자원과 관계 없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두 번째 이점은 임의의 동적 로컬 브레이크아웃 메커니즘(dynamic local breakout mechanism)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에지 클라우드에서 초 저 대기 시간(ultra-low latency) IoT 서비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QoS/체감 품질(Quality of Experience, QOE) 또는 이동성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네트워크가 쉽게 적응될 수 있다.
세 번째 이점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가 장애 시, 공공 안전 서비스를 위한 투명한 공공 안전 LTE 격리 운영(transparent Public Safety LTE 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PS-LTE IOPS)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SDN 능력은 EPC 연결성을 로컬 PS-LTE EPC로 즉시 오프로드하고 (예를 들어, 최초 응답자를 위한) 임의의 특정 서비스를 동적으로 프로비저닝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그러한 모든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1)

  1. 분산형 플랫폼으로서,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106)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내부에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200-2)와,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200-1)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는,
    복수의 기지국의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및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독립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서빙하도록 구성됨 - 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는
    분산형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다른 하나 및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다른 하나로, 및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으로 라우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패킷 플로우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분산형 플랫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상기 분산형 플랫폼의 슬라이스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슬라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원을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하는
    분산형 플랫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공된 슬라이스를 이용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향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제 1 수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수정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에 라우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패킷 플로우를 관리하고,
    상기 라우팅된 데이터 패킷의 제 2 수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 2 수정된 데이터 패킷을 의도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것인
    분산형 플랫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제 1 무선 프로토콜 스택,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제 1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 1 수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제 2 무선 프로토콜 스택,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제 2 백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 2 수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분산형 플랫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플랫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제 1 노드에게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명령함으로써 상기 제 1 수정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제 2 노드에게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다른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구현하도록 명령함으로써 상기 제 2 수정을 수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제 2 노드 사이의 상기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제 2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임의의 노드인
    분산형 플랫폼.
  7. 분산형 플랫폼상에서 신호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기지국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및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의 독립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서빙하도록 구성됨 - 와,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과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다른 하나 및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다른 하나로 라우팅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상기 분산형 플랫폼의 슬라이스를 상기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원을 제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의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플랫폼의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향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제 1 수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수정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에 라우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패킷 플로우를 관리하고,
    상기 라우팅된 데이터 패킷의 제 2 수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 2 수정된 데이터 패킷을 의도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분산형 플랫폼의 복수의 노드 중 제 1 노드에게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명령함으로써 상기 제 1 수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제 2 노드에게 상기 복수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다른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백홀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다른 하나를 구현하도록 명령함으로써 상기 제 2 수정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제 2 노드 사이의 상기 데이터 패킷 흐름을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제 2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의 임의의 노드인
    방법.
KR1020187029528A 2016-03-14 2017-03-10 가상 기지국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시스템 아키텍처 KR20180122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68,953 US10079755B2 (en) 2016-03-14 2016-03-14 Programmable system architecture for routing data packets in virtual base stations
US15/068,953 2016-03-14
PCT/US2017/021703 WO2017160608A1 (en) 2016-03-14 2017-03-10 Programmable system architecture for routing data packet in virtual base st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420A true KR20180122420A (ko) 2018-11-12

Family

ID=5838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528A KR20180122420A (ko) 2016-03-14 2017-03-10 가상 기지국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시스템 아키텍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79755B2 (ko)
EP (1) EP3430859B1 (ko)
KR (1) KR20180122420A (ko)
CN (1) CN109156044B (ko)
WO (1) WO2017160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1254B2 (en) * 2016-08-05 2019-03-12 Nokia Technologies Oy 5G cloud RAN method for symbol by symbol bit streaming
CN108777883B (zh) * 2016-08-26 2022-10-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网络切片的构建方法和装置
CN114745728A (zh) * 2017-09-30 202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资源部署及评估的方法、和设备
CN111480351B (zh) * 2017-12-12 2024-03-1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处理容迟通信
WO2019132745A1 (en) * 2017-12-29 2019-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handling baseband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5720B2 (en) 2001-04-26 2019-07-16 Genghiscomm Holdings, LLC Distributed software-defined radio
US20090170472A1 (en) 2007-12-28 2009-07-02 Chapin John M Shared network infrastructure
WO2010056172A1 (en) * 2008-11-17 2010-05-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 for enabling central processing of local information
EP3435708B1 (en) * 2011-08-04 2021-02-24 BlackBerry Limited Methods to enable efficient use of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03067428B (zh) * 2011-10-21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服务处理方法和云计算系统
US9064216B2 (en) * 2012-06-06 2015-06-23 Juniper Networks, Inc. Identifying likely faulty components in a distributed system
CN103841569B (zh) * 2012-11-27 2017-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虚拟基站的建立及数据传输方法、设备和系统
CN103906068B (zh) * 2012-12-26 2017-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虚拟基站创建方法及装置
CN105075388B (zh) * 2013-03-29 2019-07-16 英特尔Ip公司 用于辅助双连通性的技术
US20160134317A1 (en) * 2014-11-11 2016-05-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dynamically managing receive modes to improve performance on a multi-subscriber identity (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6394325B2 (ja) * 2014-11-26 2018-09-26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4980954B (zh) * 2015-05-27 2020-06-09 中国科学院信息工程研究所 一种终端的实时管控方法及基站控制模块
US9930587B2 (en) * 2015-09-18 2018-03-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tributed virtual gateways
US10432758B2 (en) * 2015-11-04 2019-10-01 Altiostar Networks, Inc. Dynamic robust downlink packet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79755B2 (en) 2018-09-18
EP3430859A1 (en) 2019-01-23
CN109156044B (zh) 2022-06-21
US20170264535A1 (en) 2017-09-14
CN109156044A (zh) 2019-01-04
WO2017160608A1 (en) 2017-09-21
EP3430859B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9866B2 (ja) パケット処理方法、及びデバイス
EP3430859B1 (en) Programmable system architecture for routing data packet in virtual base stations
US1009816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virtualized cloud peering emulation services
US20190215269A1 (en) Ultra high-speed mobile network based on layer-2 switching
US20140068045A1 (en) Network system and virtual node migration method
CN105917620B (zh) 网络中的l4至l7流量的多路径配设
EP3419380A1 (en) Gateway sele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optimization
KR102469973B1 (ko)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7926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calable heterogeneous network orchestrator
WO2020014337A1 (en) Integrated backhaul transport for 5gs
US11973641B2 (en) Deploying edge computing
US10536330B2 (en) Highly dynamic authorisation of concurrent usage of separated controllers
WO2019209922A1 (en) Xx brokering with aggregation optimization
KR20220139373A (ko) 리소스 엘리먼트들에 대한 프로세싱 규칙들
US11792870B2 (en) X2 brokering with aggregation optimization
US20220159786A1 (en) X2 Brokering with Aggregation Optimization
US20230327987A1 (en) Concurrently supporting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and internet protocol version 4 (ipv4) in a cloud-managed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2231237B1 (ko)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285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ass-through edge data center (p-edc)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230393875A1 (en) Remote distributed unit updates
CN116033406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7917908A (zh) 用于前传的链路聚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