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237B1 -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237B1
KR102231237B1 KR1020140149281A KR20140149281A KR102231237B1 KR 102231237 B1 KR102231237 B1 KR 102231237B1 KR 1020140149281 A KR1020140149281 A KR 1020140149281A KR 20140149281 A KR20140149281 A KR 20140149281A KR 102231237 B1 KR102231237 B1 KR 10223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path
port
switch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654A (ko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2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는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송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백홀포트 및 L2(Layer 2) 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 기 생성된 IP(internet protocol) 망인 제2 전송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전송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백홀포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가의 전송장비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저가의 IP 망을 새로운 전송로로 활용함으로써, 데이터가 기존 전송로의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새로운 전송로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끊기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eNB 스위치)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DU) 간의 기존 전송로에 새로운 전송로를 추가하기 위한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 LTE-A 무선전송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DU)에서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속도는 LTE 망 초기도입시 최대 50Mbps에서 현재는 LTE-A의 3배속도인 250Mbps까지 증가하였다.
한편,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의 후단에서 상위 서버(Packet Gate Way)로의 전송로, 예컨데 LTE 망의 전송용량은 현재 최대 1Gbps급을 사용한다.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의 후단에서 상위 서버로의 전송로는 과거의 E1/T1 방식에서 광선로를 이용한 PTS링(Packet Transportation System)까지 발전하였으나, 유선 인프라인 선로 구축에는 비용이 많이 들고 공사기간 또한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전송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지는 않은 것이다.
여기서, 무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최대속도를 250Mbps(LTE Carrier Aggregation방식)라고 할 때 일반적으로 1G급 PTS링에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8대 정도가 수용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각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가 최대 Throughput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Gbps급 전송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상태로는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의 후단에서 PGW로의 전송로, 예컨데 LTE 망에서의 전송용량이 부족하다.
LTE 망에서의 전송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존의 LTE 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기존의 LTE 망(100)은 PGW(Packet Gate Way)(140), eNB(eNodeB) 스위치(130) 및 환형 구조(링 구조)의 환형 전송로(Ring MUX)(150)를 포함할 수 있다.
PGW(140)는 eNB 스위치(130)와 외부의 네트워크망(160)을 연결시킨다. eNB 스위치(130)는 복수의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20)마다 하나씩 할당되며, PGW(140)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20)로 전달한다.
환형 전송로(150)는 eNB 스위치(130)에서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20)로 패킷을 전달하는데, COT(Central Office Terminal)(151) 및 RT(Remote Terminal)(152)를 포함한다. COT(151)는 환형 전송로(151)가 eNB 스위치(130)와 접목되도록 하며 일반적으로 10Gbps급의 전송용량을 갖는다. RT(152)는 환형 전송로(151) 중간중간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1Gbps급의 전송용량을 갖는다.
RT(152) 하나에는 1대의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20)가 수용되며, 이러한 RT(152)는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20)에 설치된 2개의 백홀(Backhaul)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20)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포트 각각에는 원격 장치(remote unit, RU)(124)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환형 전송로(150)에 포함된 RT 2개(152a,152b)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20a)의 제1 백홀포트(122a) 및 제2 백홀포트(122b)에 각각 연결하는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동일한 환형 전송로(150)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전송용량을 증대시키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COT(151)나 RT(152)와 같은 장비는 일반적으로 매우 고가이므로 이와 같이 RT(152) 2개를 제1, 제2 백홀포트(122a,122b)에 각각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한국등록특허 10-1172724, 등록일자 2012년 08월 03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추가적인 비용을 들이지 않고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의 전송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는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송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백홀포트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는 L2(Layer 2) 스위치에 대하여, 상기 L2 스위치에 포함된 포트부와 연결되는 제2 백홀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백홀포트는 상기 포트부를 경유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제2 전송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전송로를 연결하는 방법은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며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를 상기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의 제1 백홀포트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는 L2 스위치에 대하여, 상기 L2 스위치에 포함된 포트부를 상기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의 제2 백홀포트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포트부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백홀포트를 연결하도록 상기 포트부를 설정(port configur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백홀포트는 상기 포트부를 경유하는 제2 전송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은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로 연결되는 제1 백홀포트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는 L2 스위치에 대하여 상기 L2 스위치에 포함된 포트부와 연결되는 제2 백홀포트를 포함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백홀포트와 연결되는 포트부 및 상기 포트부가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를 연결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백홀포트는 상기 포트부를 경유하는 제2 전송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가의 전송장비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저가의 IP 망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새로운 전송로를 추가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기존 전송로의 전송용량을 초과하거나 또는 기존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새로운 전송로를 활용하여 기지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LTE 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기존의 제1 전송로 이외에 추가적으로 제2 전송로가 생성된 통신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생성된 제2 전송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NB 스위치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기존의 제1 전송로 이외의 제2 전송로가 추가적으로 생성된 통신망 시스템(이하 통신망이라 지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망(1000)은 PGW(Packet Gate Way)(400), eNB(eNodeB) 스위치(300) 및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를 포함하며, 여기서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제1 전송로 및 제2 전송로에 의해 연결된다. 다만, 이러한 통신망(10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GW(400)는 eNB 스위치(300)와 외부의 네트워크망(600)을 연결시킨다.
eNB 스위치(300)는 복수의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20)마다 하나씩 할당되며, PGW(400)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로 전달한다. 이러한 eNB 스위치(300)는 통상적으로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eNB 스위치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 전송로와 제2 전송로는,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 간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전송로이다.
여기서, 제1 전송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제1 전송로에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는 제2 전송로를 통해 송수신된다. 또한, 제1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 간의 데이터는 제2 전송로를 통해 송수신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1 전송로와 제2 전송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전송로는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를 연결하되, 예컨데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에 포함된 제1 백홀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송로는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 간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로이며, 예컨데 COT(Central Office Terminal)(510) 및 RT(Remote Terminal)(521 내지 524)를 포함하는 환형 전송로(ring MUX)(50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COT(510), RT(521 내지 524) 및 환형 전송로(50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2 전송로의 추가로 인해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가 제1 전송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은 도 1에 설명한 것과는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eNB 스위치(300)는 제1 전송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2 전송로로 분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eNB 스위치(300)는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전송용량을 초과하는지를 감지하며,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2 전송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
또한, eNB 스위치(300)는 제1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2 전송로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eNB 스위치(300)는 제1 전송로의 장애, 예컨데 제1 전송로의 환형 전송로(500)에 대한 고장/훼손을 감지하며, 장애를 감지한 경우 제2 전송로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제1 전송로 및 제2 전송로를 통해 eNB 스위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조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및 이와 같은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이유로 eNB 스위치(300)에 의해 제2 전송로로 분배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조합한다. 이 후,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조합된 데이터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송로 및 제2 전송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는 기술 및 조합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기술은 관련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전송로는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 간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로이며, 이러한 제2 전송로는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로부터 시작하여 제1 L2(Layer 2) 스위치(700)를 경유하여 eNB 스위치(300)로 연결되는데, 이 때 제1 L2 스위치(700)와 eNB 스위치(300)는 예컨데 IP 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IP 망은 eNB 스위치(300) 근처 지역에서 WiFi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Wifi AP(access point)(720)를 수용하여 이들 WiFi AP(720)와 eNB 스위치(300)를 연결하는 전송로일 수 있다. 또한, 제1 L2 스위치(700)는 이러한 복수의 Wifi AP(72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포트(710)를 포함하는, eNB 스위치(300)가 설치되는 장소에 기 설치된 스위치일 수 있다.
즉, 최근에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의 Wifi 서비스 무료제공이 보편화됨에 따라, eNB 스위치가 설치되는 장소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근처 지역의 WiFi AP를 수용하기 위한 L2 스위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L2 스위치로부터 라우터를 통해 eNB 스위치로 IP 망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IP 망을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와 eNB 스위치(300) 간의 새로운 전송로(제2 전송로)로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eNB 스위치(300)가 제2 라우터(810), 즉 제1 L2 스위치(710)와 연결되는 라우터와 이미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전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eNB 스위치는 L2 스위치와 연결되는 라우터와 연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L2 스위치와 연결되는 라우터와 eNB 스위치는 모두 동일한 PGW(400)와 연동되기 때문에 동일한 기지국 교환실 내에 위치하므로 L2 스위치와 연결되는 라우터와 eNB 스위치를 연결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용이하며, 다만 이하에서는 eNB 스위치(300)가 제2 라우터(810)와 이미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L2 스위치(700)와 eNB 스위치(300)를 연결하는 IP 망을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와 연결하기 위하여,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에 포함된 제2 백홀포트(220)를 제1 L2 스위치(700)에 포함된 복수의 포트(710) 중 어느 하나인 포트부(702)에 연결한다.
또한, 제1 L2 스위치(700)에 포함된 제어부(701)는 포트부(702)의 포트 설정(port configuration)에 가상의 터널링(900)을 만들어줌으로써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가 제2 백홀포트(220)를 통해서 제1 L2 스위치(700)의 포트부(702) 및 복수의 라우터(800,810)를 경유하여 eNB 스위치(300)로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가상의 터널링(900)으로는 예를 들면 VLAN 설정 또는 가상 IP 할당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제1 L2 스위치(700)(의 포트부(702)) 및 복수의 라우터(810,820)를 경유하는 IP 망인 제2 전송로를 통해 eNB 스위치(300)에 연결되며 이러한 제2 전송로를 통해 eNB 스위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이하에서는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 간에 전송로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NB 스위치(30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 간에 전송로를 연결하는 방법에서는, 먼저 eNB 스위치(300)와 연결되며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에 포함된 제1 백홀포트에 연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1 전송로는 예컨데 COT(Central Office Terminal)(510) 및 RT(Remote Terminal)(521 내지 524)를 포함하는 환형 전송로(ring MUX)(500)로 구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eNB 스위치(300)와 제1 L2 스위치(700)에 대하여, 제1 L2 스위치(700)에 포함된 포트부(702)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의 제2 백홀포트(220)에 연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1 L2 스위치(700)는 eNB 스위치(700)와 IP(internet protocol) 망으로 연결되며, Wifi AP(720)를 수용하는 복수의 포트(710)를 포함할 수 있고, 포트부(702)는 이러한 복수의 포트(7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포트부(710)가 eNB 스위치(300)와 제2 백홀포트(220)를 연결하도록 포트부(710)를 설정(port configuration)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설정은 제1 L2 스위치(710)에 포함된 제어부(7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가 수행되면 eNB 스위치(300)와 제2 백홀포트(220)를 포함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포트부(702)를 경유하는 제2 전송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이와 같이 생성된 제2 전송로와 기존의 제1 전송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송로 및 제2 전송로를 이용한 eNB 스위치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eNB 스위치(300)는 외부의 네트워크망(600)으로부터 PGW(40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제1 전송로(910) 또는 제2 전송로(920)를 통해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eNB 스위치(300)는 PGW(40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제1 전송로(910)를 통해 전송한다. 제1 전송로(910)를 통해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이유는, 제1 전송로(9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COT(510)와 RT(521 내지 524) 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환형 전송로(500)이므로, 안정적이며 고품질의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eNB 스위치(300)는 제1 전송로(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2 전송로(920)로 분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eNB 스위치(300)는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전송용량을 초과하는지를 감지하며,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2 전송로(920)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제1 전송로(910) 및 제2 전송로(920)를 통해 eNB 스위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조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9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및 이와 같은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이유로 eNB 스위치(300)에 의해 제2 전송로(920)로 분배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조합한다. 이 후,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는 조합된 데이터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가의 전송장비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저가의 IP 망을 새로운 전송로로 활용함으로써, 데이터가 기존 전송로의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송로 및 제2 전송로를 이용한 eNB 스위치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외부의 네트워크망(600)으로부터 PGW(40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200a)로 전달함에 있어서, eNB 스위치(300)는 제1 전송로(910)의 장애(930), 예컨데 제1 전송로(910)의 환형 전송로(500)의 고장/훼손을 감지하며, 제1 전송로(910)에 장애(930)가 발생한 경우 제2 전송로(920)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고가의 전송장비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저가의 IP 망을 새로운 전송로로 활용함으로써, 기존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새로운 전송로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끊기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전송로를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송로(91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판단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송로(91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eNB 스위치(300)가 감지하며, 다만 이러한 단계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송로(91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2 전송로(920)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전송로(920)는 제1 L2 스위치(700)를 경유하여 eNB 스위치(300)와 연결되는 IP 망이다.
제1 전송로(910)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전송용량을 초과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S300). 여기서, 전송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는 eNB 스위치(300)가 감지한다.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는 제2 전송로(920)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00). 여기서,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에 대해 eNB 스위치(300)가 제2 전송로(920)로 분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가의 전송장비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저가의 IP 망을 새로운 전송로로 활용함으로써, 데이터가 기존 전송로의 전송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새로운 전송로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끊기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가의 전송장비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저가의 IP 망을 새로운 전송로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끊김없는 기지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200a: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300: eNB 스위치
700: 제1 L2 스위치
910: 제1 전송로
920: 제2 전송로

Claims (5)

  1.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송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백홀포트;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는 L2(Layer 2) 스위치에 대하여, 상기 L2 스위치에 포함된 포트부와 연결되는 제2 백홀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백홀포트는 상기 포트부를 경유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제2 전송로를 구성하고,
    상기 L2 스위치는 상기 포트부에 가상의 터널링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전송로를 구성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2.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전송로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며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를 상기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의 제1 백홀포트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는 L2 스위치에 대하여, 상기 L2 스위치에 포함된 포트부를 상기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의 제2 백홀포트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포트부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백홀포트를 연결하도록 상기 포트부를 설정(port configur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백홀포트는 상기 포트부를 경유하는 제2 전송로를 구성하고,
    상기 L2 스위치는 상기 포트부에 가상의 터널링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전송로를 구성하는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전송로를 연결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2 스위치는 상기 기지국과 IP(internet protocol) 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간에 전송로를 연결하는 방법.
  4.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기 설정된 전송용량을 갖는 제1 전송로로 연결되는 제1 백홀포트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는 L2 스위치에 대하여 상기 L2 스위치에 포함된 포트부와 연결되는 제2 백홀포트를 포함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백홀포트와 연결되는 포트부 및 상기 포트부가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를 연결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2 백홀포트는 상기 포트부를 경유하는 제2 전송로를 구성하고,
    상기 L2 스위치는 상기 포트부에 가상의 터널링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전송로를 구성하는 통신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2 스위치는 상기 기지국과 IP(internet protocol) 망으로 연결되는
    통신망 시스템.
KR1020140149281A 2014-10-30 2014-10-30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31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81A KR102231237B1 (ko) 2014-10-30 2014-10-30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81A KR102231237B1 (ko) 2014-10-30 2014-10-30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654A KR20160050654A (ko) 2016-05-11
KR102231237B1 true KR102231237B1 (ko) 2021-03-24

Family

ID=5602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281A KR102231237B1 (ko) 2014-10-30 2014-10-30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740A1 (en) * 2018-07-11 2020-0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first radio node, a backhaul wireless device and a second radio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enabling wireless backhau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2777B (zh) 2006-12-29 2012-05-23 朗迅科技公司 在回程连接中使用无线链路的方法和系统
KR101794722B1 (ko) * 2011-03-14 2017-11-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US8509787B2 (en) * 2011-07-07 2013-08-13 Cygnus Broadband, Inc. Communications base station with decision function for distributing traffic across multiple backhau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654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6584B2 (en) Federated X2 gateway
KR102664128B1 (ko) 향상된 nef 기능, mec 및 5g 통합
US20220078641A1 (en) Wireless Backhaul Resiliency
KR102226366B1 (ko) 패킷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US1009816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virtualized cloud peering emulation services
KR101791284B1 (ko) 애드 혹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US9686808B2 (en) Centrally managed WI-FI
US20190182883A1 (en) Cell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JP2018525874A (ja) バックホー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フローの移行
WO2021236894A1 (en) Sidelink relay connectivity management
KR20210007974A (ko) 사물 인터넷 통신 경로에서의 서버
US106450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able buffers in mobile networks
WO2012167197A1 (en) Multipath management architecture and protocols for mobile multimedia service with multiple description coding
CN107079524B (zh) 一种数据转发的方法和控制器
WO2023011245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4697259A (zh) 避免环路的方法及装置
US2014026928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traffic to an access point across multiple physical ports
CN104919890A (zh) 上位基站、下位基站及无线通信系统
KR20230091908A (ko) 패킷 리라우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31237B1 (ko)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7523714A (ja) 多重トランスポート・パスをサポートするトランスポート・プロトコルのためのメッセージ・ベースのパス選択
KR20220024813A (ko) 포트 연관 지원 방법,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및 통신 장비
KR102217772B1 (ko) 컨텐츠를 나눈 컨텐츠 조각을 전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WO2022188679A1 (zh) 数据路由方法及装置
WO2022170798A1 (zh) 确定策略的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