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491A -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491A
KR20180121491A KR1020187021910A KR20187021910A KR20180121491A KR 20180121491 A KR20180121491 A KR 20180121491A KR 1020187021910 A KR1020187021910 A KR 1020187021910A KR 20187021910 A KR20187021910 A KR 20187021910A KR 20180121491 A KR20180121491 A KR 2018012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rod
engagement member
engagement
barrel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데르스 홀름크비스트
맥스 블롬크비스트
요나스 퇴른스텐
Original Assignee
갈데르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갈데르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갈데르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8012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68Means keeping track of the total dose administered, e.g. since the cartridge was inser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25Dosing
    • A61M5/31526Dosing by means of stepwise axial movements, e.g. ratchet mechanisms or de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61M2005/3126Specific display means related to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럴(1), 상기 배럴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플런저(2), 및 상기 플런저를 구동하기 위한 플런저 로드(3)를 포함하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제1 결합 부재(30)는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 이동으로 제1 결합 부재의 회전 이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플런저 로드에 배열된다. 제1 결합 부재 홈형 표면을 포함하고 있다. 제2 결합 부재(40)는 제1 결합 부재의 상기 홈형 표면과 맞물리도록 배럴에 배열되며,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가 상기 플런저를 구동하기 위해 배럴에 대해 이동될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제2 결합 부재에 대해 이동하게 배열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플런저 로드와의 사이에 사전 결정된 여유를 두고 상기 플런저 로드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주사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주사기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사용 중에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 주사기의 사용자가 물질을 투여할 때, 특히 특정 치료 영역에서 주사기에 담긴 전체 용적을 하나의 영역에 분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치료 영역의 예로서는 피부과, 성형 수술, 미용 성형 및 치과가 있다. 분배는 예를 들어 주사기의 바늘을 피부 표면 바로 아래 및 대략 평행하게 삽입하고, 그 다음에 바늘을 빼내면서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실행된다. 다른 방법은 제한된 영역 내의 여러 해부학적 위치에서 물질을 투여하는 것, 즉 각 위치에서 전체 용적의 일부를 투여하는 것이다.
물질을 투여하는 이들 방법 및 다른 방법들에서 사용자가 물질의 전체 용적 중 얼마나 많은 부분을 각 위치에 또는 단위 시간마다 투여하는지 알 수 있게 보조하는 일종의 투약 보조기구가 주사기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투약 보조기구의 공지된 하나의 예는 주사기에 전형적으로 제공되는 투약 눈금이며, 알려져 있는 문제는 사용자가 주사하는 동안 눈금을 보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눈금을 읽고 주사를 놓는 것을 동시에 시도할 때 일어나는 주의력 분산을 포함한다.
또한 기계식 및 전자식 주사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전통적인 주사기보다 비싸고 무겁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 다른 문제는 대부분의 주사기가 주사하기 전에 흡인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인데, 이것은 많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단점을 부여한다.
이러한 단점들의 일부를 완화하기 위해, 주사한 양 또는 주입 속도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수단을 주사기에 제공하려는 것이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투약 보조기구를 주사기에 제공하려는 것이 WO 2008/057976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결합 부재가 핑거 그립에 제공되고 플런저 로드의 구조부와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조에 의한 제1 투여량은 실제로 의도한 것보다 최대 3배 이상 많을 수 있고, 이러한 과량 투여는 예컨대 의도하지 않은 근육 마비로 삼키기, 말하기, 숨쉬기, 눈꺼풀 처짐, 미소 짓기, 근육 약화 및/또는 근육 강직과 관련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특정 상황에서 환자에 대해 재앙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대해 느린 속도로 이동되는 경우와 같이 특정 조건 동안 뚜렷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주사기와 관련한 문제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사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주입되는 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개선된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달되는 투여량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더욱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제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기 위해, 독립항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주사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배럴, 상기 배럴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를 구동하기 위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는 주사기가 제공된다.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에 배열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홈형 표면을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 운동이 제1 결합 부재의 회전 이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과 결합하도록 배럴에 배열되고, 플런저 로드가 상기 플런저를 구동하기 위한 배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주어지도록 제1 결합 부재는 제2 결합 부재에 대해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와의 사이에 사전 결정된 여유(predetermined play)를 두고 상기 플런저 로드에 배열된다.
제1 양태에 따라 주사기는,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대해 이동될 때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배열된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설계에 의해 원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파생되는 전술한 문제에 대한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며,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와의 사이에 사전 결정된 여유를 두고 상기 플런저 로드에 배열된다. 이로써, 즉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에 여유를 두고 또는 여유가 존재하도록 장치를 설계하는 것에 의해, 주사기는 물질의 주입되는 투여량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뚜렷한 피드백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은 투약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이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제1 결합 부재의 회전 이동으로 인해,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대해 이동할 때, 제1 결합 부재는 회전하고 제2 결합 부재는 회전 그루브(및 리지)와 결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와 제1 맞물림은 함께 선형 액추에이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결합 부재의 회전 이동이 유도되는 설계는 유리하게 공간 효율적인 설계이다.
개시된 주사기는 예를 들어 주사기가 비어있는 상태로 공급되는 응용에 적합하다. 사용하는 동안, 주사될 물질은 예를 들어 유리병으로부터 주사기의 배럴에 먼저 들어간다. 이러한 물질의 예들에는 보툴리눔 독소가 있다. 특정 응용에서, 물질은 복수의 단계 및/또는 상이한 주입 위치에서 환자에게 투여된다. 주사기의 설계, 및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결합 부재의 설계로 인해, 물질이 주입될 때 피드백이 반복되고, 각각의 피드백 표시는 일반적으로 물질의 특정 투여량에 대응한다. 주사기는 일부 실시예에서 일회용 주사기일 수 있다. 포함되는 부품들을 위한 적합한 재료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적합한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을 포함한다. 주사기의 배럴은 투여될 물질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플런저는 상기 배럴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플런저 로드는 예를 들어 배럴에 수용된 물질을 배럴에 부착된 캐뉼러를 통해 투여되도록 방출하거나 경우에 따라 주사기 내로 물질을 뽑아내기 위하여 플런저를 구동하도록 제공된다.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에 배열되고 홈형 표면, 즉 리브, 즉 그루브 및/또는 리지를 포함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인접한 그루브 사이의 거리뿐만 아니라 그루브 또는 리지의 수는 적용 예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가 배열되는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대해 이동될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결합 부재는 일부 실시예에서 배럴에 배열되거나 배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에 의해서 및/또는 제1 결합 부재와 상호 작용하거나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한 피드백 형태는 가청 피드백, 즉 클릭 음과 같은 소리이다. 다른 예들에는 촉각 피드백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피드백 표시는 제1 결합 부재의 하나의 홈을 지나 이동하는 제2 결합 부재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의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신뢰성 있고 뚜렷한 피드백 표시를 달성하기 위해, 독립항에 따른 본 발명은 제1 결합이 플런저 로드와의 사이에 여유를 두고 플런저 로드에 배열되는 설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결합 부재가 플런저 로드와 함께 이동하거나 움직이는 의미에서 제1 결합 부재가 플런저 로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 로드와 제1 결합 부재 사이의 배열 또는 맞물림에 간극(gap)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므로, 즉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의 여유로 인해, 제1 결합 부재의 자유로운 가속이 허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능의 의미는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 사이의 맞물림의 기능과 조합하여 설명될 때 더욱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에 배치되고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대해 이동할 때 이동한다.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대해 이동할 때 제2 결합 부재가 결합하는 그루브를 또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맞물림의 제1 단계(또는 초기 단계)로 설명될 수 있는 것에서, 제2 결합 부재는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의 제1 그루브와 맞물린다. 플런저 로드 및 결과적으로 제1 결합 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의 인접하는 제2 그루브와 맞물리기 위하여, 즉 맞물림의 제 단계로서 설명될 수 있는 것에서, 제2 결합 부재가 예를 들어 인접한 리지를 따라 이동한다. 플런저 로드에 제1 결합 부재의 배열로 인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들 사이의 여유로 인해, 제1 결합 부재는 제2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하여 유지되는 반면, 플런저 로드는 사전 결정된 소정의 거리를 이동, 즉 플런저 로드와 제1 결합 부재 사이의 여유로 인해 상대 이동이 허용된다. 그러나, 상기 플런저 로드와 제1 결합 부재 사이의 여유에 상응하는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 후에,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와 함께 다시 이동하고,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에 존재하는 여유로 인해, 제2 결합 부재가 예를 들어 다음의 그루브와 결합함으로써 정지될 때까지 제1 결합 부재는 자유롭게 가속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 즉 맞물림은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생성한다. 이 피드백은 일부 실시예에서 가청음, 즉 "클릭 소리"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 사이의 맞물림은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부재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맞물림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작은 예를 들어 가청음과 같은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여유, 즉 허용된 자유로운 상대 이동 및 그에 따른 제1 결합 부재의 자유로운 가속으로 인해,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메커니즘이 보장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가 천천히 이동되고 하나의 결합 부재가 다른 결합 부재를 따라 천천히 미끄러져서 뚜렷한 피드백을 생성하지 않을 경우에, 구성 부품의 충분한 가속이 부족한 것과 관련한 종래 기술의 문제가 해결되었기 때문이다.
개시된 주사기의 다른 이점은 본 발명의 제1 결합 부재의 설계로 인하여 투여량의 정확성, 특히 물질이 유리병 등으로부터 주사기 내로 인출된 후에 투여되는 제1 투여량의 정확성과 관련한 공지된 문제점들이 감소된다. 이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계에 기인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플런저 로드는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은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주사기를 충전한 후의 제1 투여량, 즉 제1 피드백 표시를 위해 특히 중요하다. 제1 투여량을 전달하기 전에,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이 반전된다. 이전 단락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의 배치의 설계 및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의 맞물림 기능으로 인해, 상기 설계는 일부 실시예에서 그 자체가 대칭적인 레이아웃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을 부여하는데,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거동은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투여량의 높은 정확성을 달성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간극으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인,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의 여유의 크기는 뚜렷한 피드백 예컨대 가청음을 생성하기에 충분히 크게 선택되어야 하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가급적 작게 선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의 여유는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부여되며,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의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은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에 무관하게 허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플런저 로드 사이의 여유는 제1 이동 방향 및 제2 이동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 부재의 자유로운 가속이 허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뚜렷한 피드백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플런저 로드가 천천히 움직일 때 제1 결합 부재가 리지들 사이의 중간 위치에 의도하지 않은 휴지 상태로 정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다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할 때 지나치게 많은 투여량이 투여될 수 있는,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은 상황은 본 발명에서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여유로 인해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며,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예를 들어 허용된 상대 이동은 자유 이동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대 이동은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운동으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에 맞물림으로 발생하는 플런저 로드와 제1 결합 부재의 협동 작용 또는 상호 작용 운동과 상반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은 제1 결합 부재가 플런저 로드에 대해 사전 결정된 거리에 걸쳐 자유롭게 가속할 수 있는 이동이다.
일 실시예에서, 홈형 표면의 그루브들은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의 그루브들은 상기 그루브들 중의 하나에 대한 접선이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 축에 수직이 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주사기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회전 이동을 억제하도록 형성된 안내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 로드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으며 플런저 로드가 종방향으로, 즉 배럴 내외로 이동될 때 클릭 휠이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안내 요소는 플런저 로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단은 플런저가 수용될 수 있는 구멍의 평평한 제1 및 제2 표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멍의 대응하는 평평한 제1 및 제2 표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1 및 제2 표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회전 이동을 억제하도록 형성된 안내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 로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고 플런저 로드가 종방향으로, 즉 배럴 내외로 움직일 때 클릭 휠이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런저 로드의 회전 이동을 억제하도록 형성된 안내 요소는 상기 제2 결합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 로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고 플런저 로드가 종방향으로, 즉 배럴 내외로 움직일 때 클릭 휠이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런저 로드와 제1 결합 요소 사이의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은 적어도 상대 회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전 결정된 여유는 적어도 사전 결정된 회전 여유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결합 요소는 플런저 로드에 대해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예컨대 사전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 및/또는 여유는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 축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 또는 여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 및/또는 여유는 조합된 회전 이동 및 종방향 상대 이동 및/또는 여유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런저 로드는 나선형 그루브 및 나선형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나선형 그루브/돌출부의 피치는 상이한 적용에 맞추어 선택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때 저항력을 낮추기 위하여 더 낮은 피치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그루브 또는 돌출부는 플런저 로드의 나사산 또는 스레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 부재는 나선형 그루브 및 나선형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단은 상응하는 나선형 그루브 또는 돌출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나선형 그루브 또는 돌출부는 제1 결합 부재의 나사산 또는 스레드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부재는 스레드 피팅(thread fitting)에 의해 플런저 로드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의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플런저 로드 사이의 맞물림 간극에 의해 허용된다. 따라서,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은 맞물림 간극의 크기에 상응하게 허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간극은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이 플런저의 이동 방향과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간극은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의 스레드 피팅의 간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금속, 예를 들어 판재 금속으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는 주조 또는 몰드 성형될 수 있고,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과 맞물리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가 그루브와 맞물리는 제1 스테이지와 상기 결합 부재가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2 스테이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돌출부는 인접한 그루브들 사이의 돌출부, 즉 리브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2 개의 그루브를 분리하는 돌출 구조부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요소는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대해 이동될 때 상기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 부재는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배럴에 대해 이동될 때 상기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부재의 예는 상기 평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가요성 아암을 포함하는 결합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 부재는 배럴의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 부재는 적어도 제2 스테이지에서 인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는 미리 인장된 또는 바이어스된 탄성 부재이다. 예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스프링 요소; 예를 들어 피더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스프링 요소, 또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 텅을 포함한다. 결합 부재의 인장은 발생하는 피드백, 즉 클릭 소리의 향상에 또한 기여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 부재는 상기 홈형 표면과 맞물리는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 요소는 제1 결합 요소와 제2 결합 요소 사이의 결합을 향상시킨다. 예에는 해치, 래치 또는 후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 요소는 결합 요소의 탄성 부재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요소는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과 맞물리는 적어도 2 개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들이 그루브와 각각 맞물리는 1 스테이지와 상기 결합 부재들이 돌출부와 각각 맞물리는 제2 스테이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2 개의 결합 부재가 제2 결합 요소의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2 개의 결합 부재들은 대략 180°각도로 오프셋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플런저 로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주사기의 공간 효율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플런저 로드를 둘러싸는 원통형 요소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는 배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는 배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되어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배럴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배럴 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주요부와,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이동 가능한 구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의 주요부는 원통형이며, 이동 가능한 구조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이것은 공간 효율적인 설계의 다른 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이동 가능한 구조부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그 예로는 상이한 길이와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 요소는 이동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스프링 요소, 예를 들어 피더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스프링 요소, 또는 스프링 부재, 스틸 와이어 요소, 또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 텅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는 미리 인장된 또는 바이어스된 탄성 요소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홈형 표면과 맞물리는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 요소는 제1 결합 요소와 제2 결합 요소 사이의 결합을 향상시킨다. 예에는 해치 또는 후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 요소는 제2 결합 요소의 탄성 부재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 부재는 휠이거나 휠 형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결합 부재는 공간 효율적이며, 특히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인 경우에 적합하다. 휠은 그루브 또는 리지를 포함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릭 휠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 요소의 홈형 표면의 그루브들의 개수는 1 내지 15 개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개의 범위에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 요소의 2 개의 인접한 그루브(또는 리지)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 결합에 상응하는 플런저 로드에 의해 이동된 거리, 즉 투여량은 0 내지 5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의 범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주사기 (배럴)의 체적은 0 내지 5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75 ㎖의 범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주사기 (배럴)의 내경은 0 내지 5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 범위를 검토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의 실시예를 생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일부 구성 요소의 상세 사시도이다.
모든 도면들은 개략적인 것이고 반드시 축척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만을 도시하고 다른 부분들은 생략되거나 단순히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10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주사기는 배럴(1), 배럴(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2), 및 플런저(2)를 구동하기 위한 플런저 로드(3)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는 플런저 로드(3)를 작동시키기 위한 엄지 플레이트(14)를 또한 구비한다. 플런저 로드(3)는 플런저(2)를 구동시키도록, 즉 플런저(2)가 바람직하게는 배럴을 통해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플런저(2)와 결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적절한 결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주사기(100)는 바늘(16)을 또한 포함한다. 주사기는 배럴에 배열된 핑거 그립(17)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주사기는 도 2에 도시된, 플런저 로드(3)에 배열된 제1 결합 부재(30)를 또한 포함한다. 제1 결합 부재(30)는 대체로 원형 또는 환형이며, 즉 휠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부재(30)는 표면(32)을 따라 교호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리브, 즉 번갈아 나오는 리지 또는 돌출부(33)와 그루브 또는 함몰부(34)를 포함하는 홈형 표면(32)을 포함한다. 홈형 표면(32), 및 결과적으로 복수의 그루브 및 리지가 제1 결합 부재의 원주를 따라 제공된다. 다수의 형상이 고려될 수 있지만, 리지 (및 그루브)는 일반적으로 대칭 형상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플랜지에 의해 한정되는 적절한 수의 그루브를 구비한 제1 결합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플랜지의 형상은 주사기의 사용 분야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지 (및 그루브)는 플런저 로드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접한 리지의 중심점들 사이의 거리는 전형적으로 0 내지 1 mm이다. 거리는 전형적으로 주입되는 물질 및 배럴의 크기에 맞게 조정된다. 작은 지름의 배럴은 플런저 로드의 소정의 이동으로 인해 소량의 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시사하며, 상응하게 그러한 경우에 리지 사이의 거리는 더 크게 해야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제2 결합 부재(40)는, 플런저 로드(3)가 플런저를 구동하기 위해 배럴(1)에 대하여 이동될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주어지도록, 제1 결합 부재(30)의 홈형 표면(32)과 결합하도록 배럴(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제1 결합 부재(30)가 배치되는 플런저 로드(3)가 배럴(1)에 대해 이동될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 결합 부재(40)는 제1 결합 부재(30)의 홈형 표면(32)과 결합하게 되어 있다. 이하에서 또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재(30)가 제2 결합 부재(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1 결합 부재(30)와 제2 결합 부재(40)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피드백이 발생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40)는 배럴(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제2 결합 부재(40)는 또한 배럴에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원통형 주요부(41)와 제1 및 제2 가동 구조부, 즉 제1 결합 부재(30)의 홈형 표면(32)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1 아암(42) 및 제2 아암(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아암은 제2 결합 부재의 대향 측면에, 각도로 대략 180°옵셋되어 배열된다. 원통형 주요부(41)는 플런저 로드(3)를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아암(4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및 제2 절개부(43a, 43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아암의 기능 및 절개부(43)와 같은 관련 구조부가 단일의 암(42)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가동 아암(42)은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32)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만곡된 형상, 즉 주요부 및/또는 배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예시적인 아암은 가요성 또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아암은 원통형의 절개부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 또는 성형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가동 또는 가요성 아암(42)은 플런저 로드(3)가 배럴(1)에 대해 이동될 때 플런저 로드(3)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아암(42)은 홈형 표면(32)과 맞물리도록 또는 맞물림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된 돌출 요소(44) 또는 해치(44)를 포함한다. 돌출 요소(44)는 제2 결합 요소(40)의 가동 아암(4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설계된다.
플런저 로드(3)의 종방향 이동이 제1 결합 부재(30)의 적어도 회전 이동을 생성하도록 제1 결합 부재(30)와 플런저 로드(3)는 맞물리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맞물림은 플런저 로드(3)와 제1 결합 부재(30) 사이의 스레드 피팅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3)는 나선형 그루브(3a)를 포함하고, 제1 결합 부재(30)는 상응하는 돌출된 나선형 구조부(30a), 즉 스레드 피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 요소(50)가 주사기에 배열되고, 도시된 예에서 안내 요소(50)는 제2 결합 요소(40)의 제1 단부에 배열되고 또한 제2 결합 부재(40)의 원통형 주요부(41) 내에 배열된다. 따라서, 안내 요소(50)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데, 직경은 원통형 주요부(41)의 내경에 대응한다. 플런저 로드(3)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결합 부재(30)의 회전 이동을 생성하도록 안내 요소(50)는 플런저 로드(3)의 회전을 억제하게 형성된다. 안내 요소(5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플런저 로드(3)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플런저 로드(3)가 통과하여 연장하는 안내 요소(50)의 구멍(51)의 대응하는 평평한 제1 및 제2 표면(51a, 51b)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1 표면(3b) 및 실질적으로 평평한 제2 표면(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또한, 플런저 로드(3)와 제1 결합 부재(30) 사이의 스레드 피팅은 여유를 허용하도록, 즉 플런저 로드(3)와 제1 결합 부재(30) 사이의 사전 결정된 자유로운 상대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제1 결합 부재(30)와 플런저 로드(3) 사이의 맞물림에 간극(여유)이 배치된다. 즉, 도시된 예에서 스레드 피팅에 간극(여유)이 배치된다. 환언하면, 플런저 로드(3)의 나선형 그루브(3a)의 폭은 제1 결합 부재(30)의 대응하는 맞물림 구조부, 즉 돌출 나선형 구조부(30a), 특히 나선형 구조부(30a)를 구성하는 리지의 폭과 상이하므로, 제1 결합 부재(30)와 플런저 로드(3) 사이에 작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이동, 또는 독립적인 이동이 허용 즉, 여유가 있거나 또는 여유가 존재한다. 상대 이동은 결합될 때 플런저 로드와 제1 결합 부재 사이의 맞물림(즉, 나사식 결합)으로 생성되는 플런저 로드(3)와 결합 부재 또는 결합 요소(30)의 협력하거나 상호 작용하는 이동과 대조적으로, 상대 이동은 제1 결합 부재(30)와 플런저 로드(3)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이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3)와 함께 이동하거나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제1 결합 부재(30)는 플런저 로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짧은 거리를 자유롭게 또한 이동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의 자유로운 이동 또는 여유가 허용되면, 제1 결합 부재의 자유로운 가속이 허용된다. 도시된 예에서 플런저 로드(3)의 회전을 제한하는 안내 요소(50)와 조합된 플런저 로드(3)와 제1 결합 부재(30) 사이의 스레드 피팅으로 인해, 제1 결합 부재(30)가 회전하고 플런저 로드(3)는 종방향 이동을 실행하기 때문에,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은 조합된 상대 회전 및 종방향 상대 이동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부재(30)의 홈형 표면(32)과 상호 작용하거나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40)의 가동 아암(42)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은 가청 피드백, 즉 소리이다. 각각의 클릭은 제1 결합 부재(30)의 하나의 그루브(또는 리지) 위로 제2 결합 부재(40)의 가동 아암(42)이 이동한 것에 대응한다. 이 기능은 아래에서 제1 결합 부재(30)와 제2 결합 부재 부재(40) 사이의 맞물림의 기능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제1 결합 부재(30)는 플런저 로드(3) 상에 배열되고 결과적으로 플런저 로드(3)가 이동할 때 배럴(1)에 대해 이동하고, 플런저 로드(3)가 배럴(1)에 대해 이동할 때 제2 결합 부재(40)의 아암(42)은 제1 결합 부재(30)의 그루브(32)와 맞물린다. 맞물림의 제1 단계로서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아암(42), 특히 아암(44)의 돌출부가 제1 그루브와 맞물린다. 이러한 제1 단계는 아암(42)이 휴지 상태, 즉 비-인장 상태에 있는 초기 위치로서 설명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3)가 배럴(1)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제1 결합 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아암(42)은 홈형 표면(32)의 다음의 리지(33) 위로 미끄러질 때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아암(42)의 인장 상태에 상응한다. 그 후, 아암(42)은 제1 결합 부재(30)의 인접하는 제2 그루브와 맞물리게, 즉 아암(42)이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맞물림 단계로 이동한다. 플런저 로드(3)와 결합 부재(30) 사이에 여유를 두고 제1 결합 부재(30)가 플런저 로드(3) 상에 배치됨으로 인해, 제1 결합 부재(30)는 아암(42)과 결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서, 제2 결합 부재(40)는 아암(42) 및 돌출부(44)에 의해 제1 결합 부재의 회전을 제한한다. 그러나, 상기 플런저 로드(3)와 제1 결합 부재(30) 사이의 여유의 크기에 해당하는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 후에,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 사이의 결합은 해제된다. 이 단계에서, 여유(도시된 예에서 스레드 피팅에서이 예시적인 간극)로 인해, 다음 홈에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40)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제1 결합 부재(30)는 자유롭게 가속되고, 이러한 정지, 즉 맞물림은 가청음 즉 "클릭 소리"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결합 부재 사이의 맞물림은 부분적으로는 제1 결합 부재(30)의 자유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맞물림으로서 설명될 수 있으며, 제1 결합 부재의 자유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작은 가청음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것은 허용된 자유로운 상대 이동 및 그에 따른 제1 결합 부재(30)의 자유로운 가속으로 인한 것이다. 제1 결합 부재(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반경 방향으로 내외로 움직일 수 있는 가동 아암(42)에서의 인장으로 인해, 회전 가속될 수 있다. 아암이 두 개의 리브 사이의 그루브에 도달하고 다음의 리브에 의해서 강하게 정지되면 클릭 소리가 발생한다.
제1 결합 부재(30), 도시된 예에서 "클릭 휠"은 리브(즉, 그루브 및 리지)를 포함하는 휠(30)과 플런저 로드(3) 사이의 스레드 피팅에서 간극 또는 여유에 의해 짧은 거리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클릭 휠이 회전하여 가속될 수 있는 스레드 피팅에 간극이 없거나 느슨하면, 제2 결합 부재(40)의 아암(42)이 리브를 천천히 미끄러져 내려가고 다음의 리브로 천천히 올라가게 될 때 소리가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메카니즘은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허용하고, 이동 방향의 변경 후에 달성되는 제1 투여량의 크기는 플런저 로드(3)와 플런저(2) 사이에 허용된 상대 이동의 크기 또는 치수의 설계에 의해 설계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상대 이동 또는 간극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여전히 클릭을 달성하면서 가능한 한 작게 조정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이 역전될 때 매우 작은 투여량 크기 변화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도시 및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은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고려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이루어질 수 있다. 청구 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표현은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부정 관사 "하나"또는 "하나의"는 복수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특정 측정값이 서로 다른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 이 측정값의 조합을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서의 도면 부호들은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보툴리눔 독소의 주사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가능한 사용 영역으로 언급되었다. 당연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다른 액체 조성물 및 겔 조성물, 예컨대 히드로겔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가교 결합 또는 비-가교 결합 히알루론산 겔 및 히알루론산 이외의 다른 유형의 피부 충전제, 예컨대 콜라겐, 칼슘 하이드록실 아파타이트, PLLA(poly-L-lactic acid), 기타 다당류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주사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상기 장치는 국소 마취제, 상처치료제, 항산화제, 인슐린 또는 성장 호르몬과 같은 활성 물질 및/또는 생리 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주사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유형의 하나의 바람직한 액체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겔 담체 및 활성 물질 및/또는 생리 활성제, 예를 들어 덱스트라노머 비드와 같은 국소 마취제, 상처치료제를 갖는 겔 조성물이다.

Claims (12)

  1. 배럴(1),
    상기 배럴(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플런저(2),
    상기 플런저(2)를 구동하기 위한 플런저 로드(3),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 이동으로 제1 결합 부재의 회전 이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플런저 로드에 배열되며, 홈형 표면(32)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1 결합 부재(30), 및
    제1 결합 부재(30)의 상기 홈형 표면(32)과 맞물리도록 배럴(1)에 배열된 제2 결합 부재(40)를 포함하는 주사기(100)로서,
    제1 결합 부재는, 플런저 로드(3)가 상기 플런저(2)를 구동하기 위해 배럴(1)에 대해 이동될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제2 결합 부재에 대해 이동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플런저 로드와의 사이에 사전 결정된 여유를 두고 상기 플런저 로드에 배열되며, 상기 여유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플런저 로드 사이에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플런저 로드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플런저 로드 사이의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은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방향과 관계없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회전 이동을 억제하도록 형성된 안내 요소(50)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여유는 적어도 사전 결정된 회전 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5.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나선형 그루브 및 나선형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나선형 그루브 및 나선형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와 맞 물리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상대 이동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플런저 로드 사이의 맞물림 간극에 의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의 홈형 표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결합 부재(42)를 포함하고,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가 그루브와 맞물리는 제1 스테이지와 상기 결합 부재가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2 스테이지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플런저 로드가 배럴에 대해 이동될 때 상기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적어도 제2 스테이지에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1.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홈형 표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돌출 요소(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2.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플런저 로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KR1020187021910A 2015-12-29 2016-12-21 주사기 KR20180121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202927.8 2015-12-29
EP15202927.8A EP3187217A1 (en) 2015-12-29 2015-12-29 Syringe with click mechanism
PCT/EP2016/082077 WO2017114709A1 (en) 2015-12-29 2016-12-21 Syri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491A true KR20180121491A (ko) 2018-11-07

Family

ID=5502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910A KR20180121491A (ko) 2015-12-29 2016-12-21 주사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376369B2 (ko)
EP (2) EP3187217A1 (ko)
JP (1) JP2019500154A (ko)
KR (1) KR20180121491A (ko)
CN (1) CN108883234A (ko)
BR (1) BR112018013373A2 (ko)
CA (1) CA3009425A1 (ko)
DK (1) DK3397327T3 (ko)
HK (1) HK1256092A1 (ko)
MX (1) MX2018008113A (ko)
RU (1) RU2018125299A (ko)
WO (1) WO20171147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86A3 (ko) * 2019-06-17 2021-03-04 노욱래 전후 이동이 가능한 플런저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252A (ko) * 2018-06-01 2019-12-11 비덴샤 주식회사 시린지 그립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9586A (en) 1992-02-04 1994-01-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usable medication delivery pen
US5725508A (en) 1994-06-22 1998-03-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Quick connect medication delivery pen
ES2689536T3 (es) 2005-01-25 2018-11-14 Novo Nordisk A/S Dispositivo de inyección con un mecanismo de realimentación al final de la dosis
WO2006084876A1 (en) * 2005-02-11 2006-08-17 Novo Nordisk A/S Injection device
WO2008057976A2 (en) 2006-11-03 2008-05-15 Avanca Medical Devices, Inc. Multiple dose syringes
EP1923083A1 (en) 2006-11-17 2008-05-2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ive mechanisms for use in drug delivery devices
US9186464B2 (en) * 2008-05-15 2015-11-17 Allergan, Inc. Dosing injector
EP2123317A1 (en) * 2008-05-20 2009-11-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ive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US9089652B2 (en) * 2008-12-12 2015-07-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ive mechanism for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medication delivery device
US8968258B2 (en) * 2008-12-12 2015-03-0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Resettable drive mechanism for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medication delivery device
WO2011039236A1 (en) * 2009-09-30 2011-04-0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Resettable drive assembly and drug delivery device
DK3733231T3 (da) * 2009-12-01 2022-03-07 Becton Dickinson Co Injektionspen med automatisk tilbagetrækning (dial back) og styring af sidste dosis
US10780231B2 (en) 2012-09-11 2020-09-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ive mechanism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WO2014056635A1 (en) * 2012-10-08 2014-04-17 Tecpharma Licensing Ag Injection device with dosing control means
WO2014153572A1 (en) 2013-03-13 2014-09-25 Armstrong Sean Terrence Accessory for a syringe
EP2783720A1 (en) 2013-03-28 2014-10-01 Q-Med AB Track-indexed syringe
US10596323B2 (en) * 2013-07-17 2020-03-24 Sanofi Drug delivery device
DK3041532T3 (en) * 2013-09-03 2018-10-29 Sanofi Sa DRIVE DEVICE FOR A PHARMACEUTICAL ADMINISTRATION AND PHARMACEUTICAL ADMINISTRATION, INCLUDING A DRIV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86A3 (ko) * 2019-06-17 2021-03-04 노욱래 전후 이동이 가능한 플런저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CN114040789A (zh) * 2019-06-17 2022-02-11 卢昱來 一种可前后移动的柱塞及包括该柱塞的药物注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01068A1 (en) 2019-01-03
HK1256092A1 (zh) 2019-09-13
RU2018125299A3 (ko) 2020-03-20
EP3397327B1 (en) 2020-03-11
JP2019500154A (ja) 2019-01-10
RU2018125299A (ru) 2020-01-30
DK3397327T3 (da) 2020-06-02
US11376369B2 (en) 2022-07-05
MX2018008113A (es) 2018-08-23
EP3187217A1 (en) 2017-07-05
WO2017114709A1 (en) 2017-07-06
CN108883234A (zh) 2018-11-23
BR112018013373A2 (pt) 2018-12-04
EP3397327A1 (en) 2018-11-07
CA3009425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7314B1 (en) Syringe with click mechanism
US9387293B2 (en) Dose setting mechanism for an injection device capable of presetting a maximum dose
EP2978475B1 (en) Track-indexed syringe
EP3389742B1 (en) Metering injector for delivering liquid, and method of using same
EP3072547B1 (en) Syringe with track-indexed plunger rod
KR20180121491A (ko) 주사기
JP7344535B2 (ja) 定量注射筒用プランジャ及び定量注射筒
RU2696459C1 (ru)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731928B2 (ja) 注射デバイス用のピストンロッドドライブ
EP3436109B1 (en) Plunger slack syringe
KR100426154B1 (ko) 흡기기구를구비한일회용주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