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182A -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182A
KR20180121182A KR1020170055568A KR20170055568A KR20180121182A KR 20180121182 A KR20180121182 A KR 20180121182A KR 1020170055568 A KR1020170055568 A KR 1020170055568A KR 20170055568 A KR20170055568 A KR 20170055568A KR 20180121182 A KR20180121182 A KR 2018012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time
extrac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638B1 (ko
Inventor
박신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638B1/ko
Priority to US15/955,101 priority patent/US10563898B2/en
Publication of KR2018012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co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0Quick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동실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와, 상기 냉동실과 제빙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냉동실에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제빙부에 토출하는 냉기 덕트(duct)와, 상기 제빙부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얼음의 토출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얼음을 취출한 시각 및 취출된 얼음의 양을 포함하는 얼음 취출 정보를 생성하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이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과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을 포함하는 제빙 패턴을 생성 및,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도달하면,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상기 냉기 덕트를 통해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여 제빙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본 발명은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본래의 기능에서 냉장고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등장하는 냉장고는 정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 기능은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를 통해 정수 또는 얼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정수 기능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얼음 취출이 선택되면, 제빙 기능을 통해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냉장고는 사용자가 보다 많은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제빙 속도를 가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제빙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얼음보다 더 많은 양의 얼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원이 많은 가족의 경우, 각 구성원마다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라면, 요구되는 얼음의 양이 1회의 제빙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얼음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매 얼음을 토출할 때마다 상기 제빙 속도를 가속하여 보다 많은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처럼 제빙 속도를 가속시키는 경우, 통상적으로 제빙에 필요한 냉각 온도보다 더 낮은 냉각 온도를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각팬의 운전 속도 등을 가속하는 등, 보다 많은 전력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제빙 속도를 보다 가속한다고 할지라도, 제빙에 필요한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얼음의 부족으로 인해, 추가로 얼음이 생성될 때까지의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얼음 토출을 선택할 때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얼음이 충분히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 속도 가속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동실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와, 상기 냉동실과 제빙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냉동실에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제빙부에 토출하는 냉기 덕트(duct)와, 상기 제빙부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얼음의 토출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얼음을 취출한 시각 및 취출된 얼음의 양을 포함하는 얼음 취출 정보를 생성하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이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과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을 포함하는 제빙 패턴을 생성 및,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도달하면,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상기 냉기 덕트를 통해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여 제빙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냉기 덕트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덕트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냉기가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덕트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냉동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기 덕트로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냉기가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상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물이 상기 제빙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부에서 얼음이 토출되는 출구인 취출구의 개방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취출구가 개방된 시각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시각의 정보로서 저장 및, 상기 취출구의 개방이 유지된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취출한 얼음의 양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 각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을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전의 시각으로 각각 결정되는 시각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에 각각 대응되는 제빙량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 각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에 따라 하루의 전체 시간을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시간 구간과 상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얼음 취출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구간을 검출 및, 검출된 시간 구간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을 적어도 하나 결정하며, 상기 검출된 각 시간 구간 별로 사용자가 취출한 얼음의 양을 합산하고, 각 시간 구간별로 상기 합산된 얼음의 양을 평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에 각각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 시간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얼음 취출 시간들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시간 구간을 검출 및, 상기 공통 시간 구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시각을 적어도 하나 결정하며, 상기 각각의 얼음 취출 시간 별로 상기 각 얼음 취출 시간 동안 취출된 얼음량을 합산하고, 동일한 공통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얼음 취출 시간들 별로 상기 취출된 얼음량의 평균을 산출 및, 산출된 적어도 하나의 평균 얼음량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에 각각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기 설정된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와 시각 동기화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 취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 및, 상기 서버에 전송된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이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과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을 포함하는 상기 제빙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 취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 및, 상기 서버로부터 특정 제빙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빙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제빙량에 따라 상기 냉기 덕트를 통해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여 제빙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하며, 상기 제빙 제어 신호는, 현재 시각이, 상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로부터 분석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가 생성한 제빙 패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될 때에,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는 시각 이전에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따른 제빙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얼음 토출을 선택할 때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얼음의 양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많은 얼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얼음을 제빙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와 기 설정된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빙 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에서 제빙부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에서, 냉기 공급팬에 의해 냉기 덕트로 냉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빙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재빙 패턴을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서버로부터 수신된 얼음 취출 패턴 분석 결과에 따라 제빙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빙 제어 신호에 따라 제빙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냉장고(40)는 통신부(120), 센싱부(130), 입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메모리(160) 및 제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냉장고(4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냉장고(4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120)는, 냉장고(40)와 기 설정된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냉장고(4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사이, 또는 냉장고(40)와 특정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냉장고(4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120)는 기 설정된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와 상기 냉장고(40) 사이에서 다양한 데이터가 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30)는 냉장고(40) 내 정보, 냉장고(4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부는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이 센싱하는 이미지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코드를 인식한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제어부(11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해 인식된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30)는 냉장고(40)의 제빙부(170)에 저장된 얼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제빙부(170)에 저장된 얼음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제빙부(170)에 저장된 얼음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한 부피 샌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제빙부(170)에서 이빙되는 얼음들의 개수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해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냄새 감지 센서 등), 홍채 인식 센서와 같은 생체 인식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냉장고(4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냉장고(4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0)는 냉장고(4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냉장고(4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냉장고(4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냉장고(4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60)는 냉장고(4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냉장고(4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냉장고(4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각 저장 영역 별 온도 관리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냉장고(4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제빙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부(170)는 급수 밸브로부터 공급된 물과, 냉장고(40)의 냉동실로부터 유입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제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을 통해 생성된 얼음은 아이스 뱅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아이스뱅크는 상기 제빙부(170)의 하부에 형성된 취출구(아이스 덕트(ice duct))를 통해 취출될 수 있다. 상기 취출구는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된 레버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구가 개방되면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냉장고(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냉장고(40)의 기본 기능, 즉 냉기를 토출하여 고 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기능들을 수행 및, 상기 냉장고(40)의 기능들과 관련된 적절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서 함께 살펴본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냉장고(4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기 설정된 서버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서버로부터 절대 시각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절대 시각 정보와 냉장고(40)의 시각 정보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서버와 상기 냉장고(40)의 시각은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디스펜서를 통해 얼음이 토출되면, 상기 제빙부(170)에서 생성된 얼음을 사용자가 취출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디스펜서의 취출구의 개방에 따라 얼음 취출량 및 얼음 취출 시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취출구와 연결된 레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취출구가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상기 취출구가 개방된 시각을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시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취출구가 개방된 시간과 기 설정된 단위 시간당 얼음 취출량에 근거하여, 상기 취출구가 개방된 시간 동안에 취출된 얼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기 취출구의 개방 시간 및 개방 시각을 저장하여, 얼음이 취출된 시각과 얼음이 취출된 양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획득된 취출 시각 정보와 얼음 취출량은,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의 제어부(110) 또는 상기 냉장고(40)와 연결될 수 있는 서버에서 제빙 패턴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제빙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40)와 기 설정된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빙 기능을 가지는 냉장고(40)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40)에서 제빙부의 구조를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빙 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에서 제빙부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에서, 냉기 공급팬에 의해 냉기 덕트로 냉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d는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40)에서, 냉기 공급팬에 의해 냉기 덕트로 냉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제빙부(170) 및 상기 제빙부(170)와 연결되는 디스펜서(47)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40)가 상하부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고본체(40)의 상부에는 냉장실(41)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43)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41)과 냉동실(43)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바스켓과 선반 및 서랍들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41)의 전면은 개구되며 상기 냉장실(41)의 개구된 일면은 냉장실 도어(45)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45)는 상기 냉장고본체(40)의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45)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냉장실 도어(45)에는 정수된 물과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47)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45)의 일측에는 내부의 온도조절과 상태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와 조작버튼이 구비된 조작부(49)가 더 구비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냉장실(41)의 하부에는 상기 냉장실(41)과 별도로 구획되어 냉동실(43)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43)의 전면도 개구되어 상기 냉동실(43)의 개구된 일면은 냉동실 도어(51)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51)의 하단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박스(53)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저장박스(53)는 상기 냉동실 도어(51)와 연동되어 상기 냉동실(43)의 개구된 일면으로 슬라이딩하며 입출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43)의 개구된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냉동실증발기(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증발기(55)는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 의해 발생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43)의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 의해 발생된 냉기 중 일부는 냉기덕트(57)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실(6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43)의 일측에는 냉기공급팬(15a)이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 의해 발생된 냉기가 상기 냉기공급팬에 의해 냉기덕트(57)를 통해 상기 제빙실(60) 내부로 강제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기덕트(57)는 상기 냉장실(41)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41)의 내측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상기 냉기덕트(57)를 통해 이동하는 냉기의 온도가 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냉기덕트(57)는 2개가 구비되며 각각은 냉기의 이동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냉기덕트(57)에서 상기 냉장실(41)의 일측면과 접하는 일단에는 냉기전달공(5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덕트(57)를 통해 이동하는 냉기는 상기 냉기전달공(59)을 통과하여 상기 제빙실(60) 내부로 입출될 수 있다.
한편 도 2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냉장실 도어(45) 중 상기 디스펜서(47)가 설치된 냉장실 도어(45)의 내측에는 제빙실(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60)은 냉동실(43)이 상대적으로 하방에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45)에 제빙실(60)을 구비하여 얼음을 취출하기 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45)의 외관은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 도어플레이트(6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45)의 배면은 합성수지 재질의 도어라이너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라이너의 일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어셈블리(80)가 안착될 케이싱(6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63)은 도어라이너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63)의 일부분은 요입되어 내부공간(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65)에는 제빙어셈블리(8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65)의 바닥면에는 내외부로 관통되어 취출구(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취출구(65')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어셈블리(80)에 의해 제빙된 얼음이 외부로 취출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63)의 일면은 개구되며 상기 케이싱(63)의 개구된 일면은 제빙실 도어(67)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65)에서 상기 냉장실(41)의 측면과 접하는 일측면에는 내외부로 관통된 흡입공(69)과 토출공(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69)과 토출공(71)은 상기 냉장실 도어(45)가 닫혔을때 상기 냉동실증발기(55)측과 연결된 냉기전달공(59)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 의해 발생된 냉기는 상기 흡입공(69)을 통해 내부공간(65)으로 흡입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65)을 순환한 냉기는 상기 토출공(71)을 통해 상기 냉동실증발기(55)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덕트(57)는 덕트 밸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덕트 밸브에 따라 냉기 덕트의 개방 또는 차폐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빙실 도어(67)가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덕트 밸브를 제어하여 냉기덕트(57)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냉기덕트(57)로부터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10)는 상기 덕트 밸브를 제어하여 냉기덕트(57)를 일부만 개방함으로써, 상기 냉기덕트(57)를 통해 제빙실(60)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65)에는 제빙어셈블리(8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빙어셈블리(80)는 상기 냉동실증발기(55)로부터 유입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빙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어셈블리(80)에는 서포트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제빙어셈블리(8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65)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45)의 전면방향에 위치한 일면에 세워져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내부공간(65)의 개구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로 체결되어 상기 내부공간(65)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가 상기 내부공간(6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는 취출구의 위치에 대응되게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제빙기(83)가 장착되며, 상기 제빙기(83)는 급수 밸브를 통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제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빙기(83)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아이스뱅크(85)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85)는 상기 제빙기(83)에 의해 제빙된 얼음을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외부로 취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빙기(83)와 상기 아이스뱅크(85)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뱅크(85)는 상기 제빙기(83)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케이스(87)와 상기 저장케이스(87)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구로 취출시키는 이빙기(8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케이스(87)는 상기 제빙기(83)에서 저장되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기(83)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65)에 안착되도록 상기 내부공간(65)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40)에서 냉각팬을 구비한 냉기덕트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냉기덕트(57)에는 냉동실 내부의 냉기를 흡입하여 강제 송풍하는 냉각팬(15a) 및 팬모터(15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 의해 발생된 냉기가 상기 냉각팬(15a)에 의해 제빙실(60)로 강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덕트(57)는 덕트 밸브(1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덕트 밸브(16)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냉기덕트(57)가 개방되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냉기덕트(57)를 통해 제빙실(60)로 유입되는 냉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d에서는 냉각팬(15a)과 덕트 밸브(16)를 모두 이용하여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상기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냉각팬(15a)과 덕트 밸브(16) 중 어느 하나만 냉기덕트(57)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냉장고(40)는 통신망(210)을 통해 기 설정된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210)은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통신망 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망(210)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근거리 통신망 일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대 시각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망(210)을 통해 냉장고(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대 시각 정보는 GPS 위성과 같이 기준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기준 시각원으로부터 상기 서버(200)가 수신하는 시각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상기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되는 시각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절대 시가 정보를 냉장고(4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냉장고(40)로부터 사용자의 얼음 취출에 관련된 정보, 즉 얼음 취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취출 정보는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시각 및 취출한 얼음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하루, 즉 24시간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에 따라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얼음 취출이 감지된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구간에서 적어도 한번 취출된 얼음의 양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구간에서 취출된 얼음의 총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기 설정된 복수개의 시간 구간을 이용하는 경우, 서버(200)는 사용자가 하루 중에 얼음을 취출하는 시간 구간들 및, 취출되는 얼음의 양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동안 수집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얼음을 취출하는 시각 및 그 시간에서 취출하는 얼음의 양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얼음 취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얼음 취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되는 다른 얼음 취출 정보가 더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된 다른 얼음 취출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된 얼음 취출 정보들을 하나의 취출 그룹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얼음 취출 시각 정보로부터 해당 취출 그룹의 얼음 취출 시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취출 그룹에 포함된 얼음 취출 정보들의 취출량들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취출된 얼음의 총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각 취출 그룹의 얼음 취출 시각과 취출된 얼음의 총량들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얼음을 취출하는 시간 및, 그 시간에서 취출하는 얼음의 양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결과에 따라 얼음 취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생성된 얼음 취출 패턴을 상기 통신망(210)을 통해 냉장고(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냉장고(40)는 상기 통신망(210)을 통해 수신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얼음 취출 패턴에 따른 제빙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 패턴은 제빙이 시작될 시각 및 제빙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빙 시작 시각은 분석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주로 얼음을 취출하는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2시간 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량은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시각에 주로 취출하는 얼음양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가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경우(예 : 상기 서버(200)가 GPS 위성인 경우), 상기 얼음 취출 패턴의 분석은 냉장고(40)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냉장고(40) 자체적으로 제빙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냉장고(4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절대 시각 정보만 수신할 뿐, 상기 얼음 취출 패턴 분석을 위한 상기 얼음 취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제빙 패턴이 생성되면, 냉장고(40)의 제어부(110)는 상기 제빙 패턴에 따라 제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기 제빙 패턴에 포함된 제빙 시작 시각에 제빙을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 패턴에 포함된 제빙량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는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기 설정된 평균치 보다 많은 얼음을 취출하는 시각의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제빙 속도를 보다 가속하여 보다 많은 양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기 설정된 평균치 보다 적은 얼음을 취출하는 시각의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제빙 속도를 감속하여 보다 적은 양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사용자가 얼음을 아예 취출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빙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제빙과 관련된 다양한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덕트 밸브(16)를 이용하여 상기 냉기덕트(57)의 개방 면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냉동실로부터 제빙실(60)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냉기덕트(57)에 구비된 냉각팬(15a)을 제어하여, 상기 냉동실에서 생성된 냉기가 강제로 상기 제빙실(60)로 유입되는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기 냉각팬(15a)의 회전 속도(RPM)를 증가시키거나 냉기덕트(57)의 개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제빙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으며, 상기 냉각팬(15a)의 회전 속도(RPM)를 감소시키거나 냉기덕트(57)의 개방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서 제빙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얼음을 아예 취출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냉기덕트(57)를 완전 차폐하거나, 상기 냉각팬(15a)을 정지시킴으로써 제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10)는 제빙량에 따라 상기 제빙기(83)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밸브를 제어하여 제빙을 위한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빙량이 평균치보다 많아 제빙이 가속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급수 밸브를 제어하여 더 많은 양의 물이 제빙기(83)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빙량이 평균치보다 적어서 제빙이 감속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급수 밸브를 제어하여 더 적은 양의 물이 제빙기(83)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얼음을 아예 취출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급수 밸브를 완전히 차폐하여 제빙기(83)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빙 패턴은 상기 서버(200)가 생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서버(200)가 제빙 패턴을 생성하는 경우,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상기 제빙 시각 및, 상기 제빙량을 포함하는 제빙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제빙 패턴과 현재 시각을 측정한 결과에 근거하여 제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 제어 신호는 상기 제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냉장고(4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냉장고(40)의 제어부(110)는, 상기 제빙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빙량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도록 제빙 속도를 가속하거나 또는 감속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40) 자체적으로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 및,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제빙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빙 패턴에 따라 제빙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장고(40)는 서버(200)에 얼음 취출 정보들을 제공하고, 서버(200)로부터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얼음 취출 패턴 정보에 따라 제빙 패턴을 생성 및, 상기 제빙 패턴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장고(40)는 단지 서버(200)에 얼음 취출 정보들만을 제공하고,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빙 제어 신호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냉장고(40) 자체적으로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 및 제빙 패턴을 생성하는 실시 예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라고 칭하기로 하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얼음 취출 패턴 정보에 따라 제빙 패턴을 생성하는 실시 예를 제2 실시 예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냉장고(40)는 단지 서버(200)에 얼음 취출 정보들만을 제공하고,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빙 제어 신호에 따라 제빙부(170)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라고 칭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제1, 제2 내지 제3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일 뿐, 서로 배타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냉장고(40)는 제1, 제2 내지 제3 실시 예 모두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 예들 중 필요 또는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빙 패턴에 포함된 제빙량에 따라 제빙을 수행한다는 기재는, 상기 제빙량에 따라 제빙 속도를 가속하거나 감속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은 상기 냉기덕트(57)로부터 유입되는 냉기로 인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빙 속도를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과정은 냉기덕트(57)로 냉기를 유입시키는 냉각팬(15a) 회전 속도(RPM)를 제어부(110)가 증가시키거나 감속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가 상기 냉기덕트(57)의 덕트 밸브(16)를 제어하여, 냉기덕트(57)가 개방되는 면적을 조절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에서, 각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가,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빙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는 상기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신망(210)을 통해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냉장고(40)로부터 절대 시각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현재 시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4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200)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냉장고(40)와 서버(200)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시각 정보, 즉 절대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4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얼음 취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얼음 취출이 감지되는 경우,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얼음이 취출된 시각 및, 취출된 얼음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얼음 취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 취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00).
한편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얼음 취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일정 기간은, 상기 수집된 얼음 취출 정보로부터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기에 충분한 얼음 취출 정보가 수집될 때까지의 기간일 수 있다. 상기 일정 기간은 예를 들어 2주, 즉 14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4일의 기간은, 얼음 취출 패턴의 분석과 관련하여 기 수행된 복수의 실험에 따라 결정된 기간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나, 상기 냉장고(40) 또는 서버(200)를 제조한 제조사의 임의 설정에 따라 상기 일정 기간은 14일 보다, 더 긴 기간 또는 더 짧은 기간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수집된 얼음 취출 정보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일정 기간동안의 얼음 취출 정보들이 수집되면, 제어부(110)는 수집된 얼음 취출 정보들에 근거하여,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S302).
여기서 제어부(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하루 24시간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에 따라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시간 구간과 상기 수집된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주로 얼음을 취출하는 시간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상기 기 설정된 단위 시간이 30분인 경우에, 구분된 각 시간 구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30분 단위로 시간 구간이 구분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하루 24시간을 48개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수집된 각 얼음 취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얼음 취출이 감지된 시간 구간들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시간 구간들이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각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취출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각 시간 구간에서 사용자가 취출하는 얼음양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얼음 취출이 검출된 각 시간 구간의 시작 시각('start' 시각)을 취출 시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일(日) 기준으로 상기 얼음 취출이 검출된 각 시간 구간 별로 사용자가 취출한 얼음의 양을 합산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이 3회 감지되고, 상기 3회의 얼음 취출이 모두 상기 [표 1]의 26번째 시간 구간에서 감지된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3회의 얼음 취출량을 합산하여 상기 26번째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취출량은 상기 얼음 취출이 감지된 시간 구간으로부터 결정된 취출 시각에 대응되게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매일마다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 시각들 및, 각 취출 시각들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기간동안 매일 분석된 취출 시각들 및 그 시각들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얼음을 취출하는 시각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자의 얼음 취출이 검출된 시간 구간들에 대응되는 취출 시각들을, 상기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얼음을 취출하는 시각들로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얼음 취출이 검출된 각 시간 구간들마다 합산된 얼음 취출량을, 각 시간 구간 별로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시간 구간 별로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는 양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 시각들 및 각 취출 시각들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얼음 취출이 감지되면, 얼음 취출이 감지된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추가적으로 발생한 얼음 취출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감지된 얼음 취출이 있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감지된 얼음 취출들을 하나의 취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그룹핑된 얼음 취출 감지 결과로부터 얼음 취출량을 합산하여, 해당 취출 그룹에서 취출된 얼음의 총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취출 그룹의 얼음 취출 시간은 상기 최초 얼음 취출이 감지된 시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매일 상기 취출 그룹들과 각 취출 그룹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 시간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기간동안 매일 검출된 취출 그룹들 및 얼음 취출 시간들로부터,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 시각들 및 각 취출 시간들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각 얼음 취출 시간들에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공통적으로 포함된 시간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이처럼 공통적으로 포함된 시간 여부를 검출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는 제어부(110)가 제1일 내지 제3일 동안 검출된 각 취출 그룹 및 각 취출 그룹의 최초 얼음 취출 시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얼음 취출 시간들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30분이라면, 사용자가 제1일 12시 45분에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 얼음 취출 시간은 12시 45분부터 13시 15분까지로 설정 및 검출(제1 취출 그룹)될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취출 시간, 즉 12시 45분부터 13시 15분 내에 감지되는 다른 얼음 취출이 있는 경우, 같은 취출 그룹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일 12시 55분에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 얼음 취출 시간은 12시 55분부터 13시 25분까지로 설정 및 검출(제2 취출 그룹)될 수 있으며, 제3일 13시 00분에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 얼음 취출 시간은 13시 00분부터 13시 30분까지 설정 및 검출(제3 취출 그룹)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얼음 취출 시간들이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각 얼음 취출 시간들로부터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추출된 얼음 취출 시간들이 상기 [표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일 내지 제3일까지 검출된 얼음 취출 시간들로부터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13시 00분에서 13시 15까지의 시간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된 시간 구간으로부터 취출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된 시간 구간의 시작 시각(예 : 13시 00분)을 상기 취출 시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된 시간 구간의 중간 시각, 즉 13시 00분에서 13시 15분까지의 시간 중 중간, 즉, 13시 07분 30초를 취출 시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결정된 취출 시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설정된 얼음 취출 시간 중에 상기 결정된 취출 시각을 포함하는 취출 그룹들의 얼음 취출량들로부터 상기 얼음 취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취출 시각이 13시 07분 30초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표 2]의 제1 내지 제3 취출 그룹들 모두가 상기 취출 시각을 포함하는 취출 그룹들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취출 그룹에서 취출된 얼음량 평균으로, 상기 결정된 취출 시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을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 시각들과, 각 취출 시각들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 즉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302 단계에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이 분석되면, 제어부(110)는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S304). 여기서 상기 제빙 패턴은,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에 따른 각 취출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예 : 2시간) 이전의 시각을 제빙 시작 시각으로, 상기 각 취출 시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을 제빙량으로 포함하는 제빙 스케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정 시간이 2시간이고,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분석된 취출 시각들이 각각 13시 00분, 18시 00분, 20시 00분 인 경우, 제어부(110)는 11시 00분, 16시 00분, 18시 00분에 각각 제빙이 시작되도록 제빙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제빙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제빙 속도를 가속시키거나 또는 감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제빙량의 평균치보다 제빙량이 많은 경우 제빙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반면 기 설정된 제빙량의 평균치보다 제빙량이 적은 경우 제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빙 속도의 가속은 제어부(110)가 냉각팬(15a)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냉기덕트(57)의 개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제빙 속도의 감속은 제어부(110)가 냉각팬(15a)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냉기덕트(57)의 개방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급수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제빙량에 따라 제빙기(83)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은 상기 기 설정된 기간, 즉 2주 동안 취출구가 개방된 시간의 합계에 근거하여, 상기 2주 동안 취출된 얼음의 총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일일 평균 얼음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일일 평균 얼음 소모량과 상기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하루에 얼음을 취출하는 횟수 및 각 얼음이 취출될 때마다 취출구가 개방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제빙량의 평균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각 얼음 취출 시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 각각에 따라 상기 제빙 시작 시각을 다르게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평상시보다 더 많은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얼음을 더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각 취출 시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에 대해, 기 설정된 비율(예 : 10%) 만큼의 얼음이 더 생성되도록 각 제빙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제빙 패턴이 생성되면, 제어부(110)는 생성된 제빙 패턴에 따라 제빙을 수행할 수 있다(S306). 즉 제어부(110)는, 현재 시각과 상기 제빙 패턴에 따른 제빙 시각을 확인하고, 상기 제빙 시각이 되면 상기 제빙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제빙을 가속하거나 감속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얼음 토출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빙 패턴에 따라 생성된 얼음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는, 사용자가 얼음 토출을 선택할 때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얼음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S302 단계에서 얼음 취출 패턴이 분석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제빙 패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빙 패턴을 새로 생성하거나,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경우 상기 도 3의 S304 단계에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제빙 패턴을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S302 단계에서 제빙 패턴이 분석된 경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제빙 패턴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00). 그리고 S400 단계의 확인 결과, 기 설정된 제빙 패턴이 없는 경우라면, 현재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 시각 및 제빙량을 포함하는 제빙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S406).
한편 상기 S400 단계의 확인 결과, 기 설정된 제빙 패턴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제빙 패턴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 패턴, 즉 기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과 상기 S302 단계에서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을 비교하여,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402).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얼음 취출 패턴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취출 시각 또는 취출량이 변경된 경우 얼음 취출 패턴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얼음 취출 패턴의 변경 확인 결과, 변경이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얼음 취출 패턴을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설정된 제빙 패턴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제빙 패턴에 따른 제빙이 수행되도록 상기 도 3의 S306 단계에서 제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얼음 취출 패턴의 변경 확인 결과, 변경이 발생한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얼음 취출 패턴을 갱신할 수 있다(S404).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변경된 얼음 취출 시각 또는 취출량에 따라 제빙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상기 변경된 제빙 패턴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도록, 상기 도 3의 S306 단계에서 제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의 제빙 패턴 갱신 과정은, 얼음 취출 패턴이 분석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즉,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기에 충분한 얼음 취출 정보가 수집될 때까지의 기 설정된 기간마다, 또는 사용자나, 상기 냉장고(40) 또는 서버(200)를 제조한 제조사로부터 설정된 기간마다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2주, 즉 14일 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3 및 도 4는, 냉장고(40)가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 및, 제빙 패턴 생성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 그 시각 및 취출된 얼음의 양에 대항 정보, 즉 얼음 취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된 얼음 취출 정보들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냉장고(40)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얼음 취출 패턴 분석 결과에 따라 제빙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의 제어부(110)는 먼저 서버(200)로부터 절대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00). 그리고 상기 획득된 절대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서버(200)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S502). 여기서 상기 얼음 취출 패턴 분석 결과는,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 시각들 및, 각 취출 시각들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502 단계에서, 서버(200)로부터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제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S508).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얼음이 생성되도록 제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502 단계에서, 서버(200)로부터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수신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S504).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얼음 취출 패턴 분석 결과에 포함된 취출 시각들 각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제빙이 시작되도록 제빙 시각들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취출 시각들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에 따라 각 제빙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생성된 제빙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제빙 속도를 가속하거나 감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제빙량이 기 설정된 수준보다 많은 제빙 시각의 경우, 상기 취출 시각으로부터 상기 일정 시간 이전의 시각보다 더 이른 시각으로 제빙 시각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각 얼음 취출량보다 기 설정된 일정 비율만큼 더 많은 양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제빙량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례적으로 많은 양의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S506 단계에서 생성된 제빙 패턴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S508 단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라면, 얼음이 취출된 시각 및, 취출된 얼음의 양을 포함하는 얼음 취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 취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10).
그러면 서버(200)는 상기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된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상기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유사하게, 하루 24시간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에 따라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시간 구간과 상기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된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주로 얼음을 취출하는 시간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시간 구간에서 취출된 얼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기간 동안 검출된 시간 구간 및 해당 시간 구간에서 취출된 얼음량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취출 시각을 결정 및, 결정된 취출 시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얼음 취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취출 시각 및 얼음 취출량을,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로서 냉장고(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수신된 얼음 취출 정보에 포함된 얼음 취출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을 얼음 취출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로부터 복수의 얼음 취출 시간이 결정되면, 상기 복수의 얼음 취출 시간 중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시간 구간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공통 시간 구간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취출 시각을 결정하고 결정된 취출 시각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얼음 취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취출 시각 및 얼음 취출량을,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로서 냉장고(4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실시 예와는 달리,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서버(200)가 분석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가 제빙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서버(200)는 상기 제빙 패턴에 따른 제빙 시각이 되는 경우, 냉장고(40)에 제빙량을 포함하는 제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냉장고(40)는 상기 제빙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빙 제어 신호에 따라 제빙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버(200)는 먼저 냉장고(40)에 절대 시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00). 그러면 냉장고(40)는 수신된 절대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200)와 냉장고(40)가 시간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고(40)는 사용자의 얼음 취출을 감지할 수 있다(S602). 그리고 얼음 취출이 감지된 경우라면, 얼음이 취출된 시각 및 취출된 얼음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얼음 취출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604).
한편, 상기 S604 단계에서 냉장고(40)로부터 얼음 취출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200)는, 수신된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S606). 예를 들어 서버(20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또는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기에 충분한 양의 얼음 취출 정보가 수집된 경우에, 상기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살펴본 바와 유사하게, 하루 24시간을 기 설정된 단위 시간에 따라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시간 구간과 상기 냉장고(40)로부터 수신된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주로 얼음을 취출하는 시간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기간 동안 검출된 시간 구간 및 해당 시간 구간에서 취출된 얼음량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취출 시각 및 얼음 취출량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수신된 얼음 취출 정보의 얼음 취출 시각으로부터 얼음 취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얼음 취출 시간이 결정되면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시간 구간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공통 시간 구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취출 시각 및, 얼음 취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취출 시각 및 얼음 취출량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06 단계에서 서버(200)가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면, 서버(200)는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따른 제빙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S608). 예를 들어 서버(200)는 상기 얼음 취출 패턴 분석 결과에 따른 각 취출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제빙이 시작되도록 제빙 시각들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취출 시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에 따라 각 제빙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제빙 시각 및 제빙량은, 상기 제빙 패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 시각은, 대응되는 취출 시각의 얼음 취출량에 근거하여, 상기 취출 시각으로부터 상기 일정 시간 이전의 시각보다 더 이른 시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빙량은 대응되는 취출 시각의 얼음 취출량보다 기 설정된 일정 비율만큼 더 많은 양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빙 패턴이 생성되면 서버(200)는 현재 시각을 측정하고, 현재 시각이 상기 제빙 패턴에 따른 제빙 시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시각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S610). 그리고 상기 S610 단계의 체크 결과 현재 시각이 상기 제빙 패턴에 따른 제빙 시각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시각인 경우라면, 서버(200)는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 시각에 따른 제빙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빙 제어 신호를 냉장고(40)에 전송할 수 있다(S612). 그러면 냉장고(40)는 수신된 제빙 제어 신호에 따른 제빙을 수행할 수 있다(S614). 이러한 경우 냉장고(40)는 상기 제빙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빙량에 따른 얼음이 생성되도록 제빙 속도를 가속하거나 또는 감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 제어 신호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면, 냉장고(40)는 사용자에 의해 얼음 취출이 다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616). 그리고 상기 S616 단계의 감지 결과, 얼음 취출이 발생한 경우라면 냉장고(40)는 다시 S6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얼음 취출이 발생된 시각 및 취출된 얼음의 양을 포함하는 얼음 취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40)는 제빙 패턴에 근거한 제빙 시각에, 상기 제빙 패턴에 근거한 제빙량에 따라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할 때 상기 미리 생성된 얼음을 토출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한편 이처럼 얼음이 미리 생성되는 경우, 상기 미리 생성된 얼음이 모두 토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빙부(170)에서 생성된 얼음은 남아 있을 수 있다. 이처럼 기 생성된 얼음이 남아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저장된 얼음의 양과, 제빙 패턴 또는 제빙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제빙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0)는 기 생성된 얼음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제빙 패턴에 따라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빙 제어 신호에 따라 제빙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빙 패턴 또는 수신된 제빙 제어 신호에 따른 제빙량과 현재 남아있는 얼음의 양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량보다, 현재 남아있는 얼음의 양이 더 많은 경우 제빙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남아있는 얼음의 양은 상기 센싱부(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빙량보다 현재 남아있는 얼음의 양이 더 적은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상기 제빙량과 현재 남아있는 얼음량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빙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기 제빙량에 근거하여 부족한 양 만큼만 얼음이 더 생성되도록, 상기 제빙부(1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빙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빙 패턴에 따라 제빙부(170)에서 제빙이 수행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평균치 보다 많은 얼음을 필요로 할 때는 상기 제빙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 만큼의 얼음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사용자가 평균치 보다 적은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 제빙 속도의 감소에 따라 냉동실에서 유출되는 냉기의 양을 줄임으로써, 상기 냉기 감소에 따른 냉동실의 온도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불필요한 제빙을 위해 냉기가 냉동실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냉장고(40)의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동실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실;
    상기 냉동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냉동실과 제빙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냉동실에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제빙부에 토출하는 냉기 덕트(duct);
    상기 제빙부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얼음의 토출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얼음을 취출한 시각 및 취출된 얼음의 양을 포함하는 얼음 취출 정보를 생성하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이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과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을 포함하는 제빙 패턴을 생성 및,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도달하면,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상기 냉기 덕트를 통해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여 제빙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냉기 덕트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덕트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냉기가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덕트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냉동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기 덕트로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냉기가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상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물이 상기 제빙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부에서 얼음이 토출되는 출구인 취출구의 개방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취출구가 개방된 시각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시각의 정보로서 저장 및, 상기 취출구의 개방이 유지된 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취출한 얼음의 양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 각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을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전의 시각으로 각각 결정되는 시각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에 각각 대응되는 제빙량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 각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에 따라 하루의 전체 시간을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시간 구간과 상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얼음 취출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구간을 검출 및, 검출된 시간 구간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시간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을 적어도 하나 결정하며,
    상기 검출된 각 시간 구간 별로 사용자가 취출한 얼음의 양을 합산하고, 각 시간 구간별로 상기 합산된 얼음의 양을 평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에 각각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얼음 취출 시간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얼음 취출 시간들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시간 구간을 검출 및, 상기 공통 시간 구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시각을 적어도 하나 결정하며,
    상기 각각의 얼음 취출 시간 별로 상기 각 얼음 취출 시간 동안 취출된 얼음량을 합산하고, 동일한 공통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얼음 취출 시간들 별로 상기 취출된 얼음량의 평균을 산출 및, 산출된 적어도 하나의 평균 얼음량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얼음 취출 시각에 각각 대응되는 얼음 취출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와 시각 동기화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 취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 및, 상기 서버에 전송된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제빙이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과 각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제빙량을 포함하는 상기 제빙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얼음 취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 및, 상기 서버로부터 특정 제빙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빙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제빙량에 따라 상기 냉기 덕트를 통해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제빙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여 제빙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하며,
    상기 제빙 제어 신호는,
    현재 시각이, 상기 복수의 얼음 취출 정보로부터 분석한 사용자의 얼음 취출 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가 생성한 제빙 패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제빙 시작 시각에 대응될 때에,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70055568A 2017-04-28 2017-04-28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냉장고 KR102036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568A KR102036638B1 (ko) 2017-04-28 2017-04-28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냉장고
US15/955,101 US10563898B2 (en) 2017-04-28 2018-04-17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having ice-mak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568A KR102036638B1 (ko) 2017-04-28 2017-04-28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82A true KR20180121182A (ko) 2018-11-07
KR102036638B1 KR102036638B1 (ko) 2019-11-26

Family

ID=6391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568A KR102036638B1 (ko) 2017-04-28 2017-04-28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63898B2 (ko)
KR (1) KR102036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7286B (zh) * 2019-11-06 2022-02-2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制冰控制方法、电子设备及介质
US11936489B2 (en) * 2021-02-02 2024-03-19 True Manufacturing Co., Inc. Systems, methods, and appliances that enable regional control of refrigeration appliances
CN115265033A (zh) * 2021-04-29 2022-11-0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冷设备的制冰控制方法
CN113625606B (zh) * 2021-08-11 2022-11-15 上海秉越电子仪器有限公司 一种医用无尖刺冰泥制作控制系统
US11747071B2 (en) 2021-10-07 2023-09-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ice formation within an ice maker
CN114526568B (zh) * 2022-01-06 2023-07-14 上海宝路通咖啡机有限公司 一种具有物联网功能的制冰机
CN114877577B (zh) * 2022-07-11 2022-09-20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一种制冰机的智能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092A (ja) * 2002-07-18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KR20080048340A (ko) * 2006-11-2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007510A (ja) * 2011-06-23 2013-01-10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KR20130021146A (ko) * 2011-08-22 2013-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40050215A (ko) * 2012-10-18 2014-04-29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092A (ja) * 2002-07-18 2004-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KR20080048340A (ko) * 2006-11-2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007510A (ja) * 2011-06-23 2013-01-10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KR20130021146A (ko) * 2011-08-22 2013-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40050215A (ko) * 2012-10-18 2014-04-29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63898B2 (en) 2020-02-18
US20180313594A1 (en) 2018-11-01
KR102036638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1182A (ko) 제빙 기능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냉장고
CN106642974B (zh) 具有风机遮蔽的冰箱的控制方法及冰箱
US9961928B2 (en) Refrigerator defrost compartment
CN102257340B (zh) 冰箱以及用于在冰箱中进行温度控制的方法
CA2422184C (en)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CN106766577B (zh) 风冷冰箱的结霜程度检测方法与装置
CN1048805C (zh) 设有冷藏室和冷冻室的冰箱及其控制方法
US200800726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icemaker
US1011379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CN108020000B (zh)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CN106257185A (zh) 具有冷空气循环结构的冰箱及冷空气循环结构的控制方法
AU782276B2 (en) Cooling air supply apparatus of refrigerator
EP3336461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fan
CN107449207B (zh) 冰箱
CN104266452A (zh) 风冷冰箱的控制方法和风冷冰箱的控制装置
CN105091458A (zh) 一种风冷冰箱及其控制方法
KR102255750B1 (ko) 냉장고의 냉각 제어 방법
CN107763943B (zh)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CN107726711B (zh)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CN111609634A (zh) 风冷冰箱及其除霜控制方法
CN108088146A (zh) 风机运行控制方法、控制装置、制冷设备和存储介质
CN111609635A (zh) 风冷冰箱及其除霜控制方法
CN114562845B (zh) 冷藏冷冻设备的控制方法与冷藏冷冻设备
CN114279162A (zh) 一种风冷冰箱的控制方法、装置及冰箱
JP3533326B2 (ja) 冷蔵庫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