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009A -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 Google Patents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009A
KR20180121009A KR1020170055125A KR20170055125A KR20180121009A KR 20180121009 A KR20180121009 A KR 20180121009A KR 1020170055125 A KR1020170055125 A KR 1020170055125A KR 20170055125 A KR20170055125 A KR 20170055125A KR 20180121009 A KR20180121009 A KR 2018012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ructure
fabric
weft
warp
tubula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036B1 (ko
Inventor
손금숙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손금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금숙 filed Critical 손금숙
Priority to KR102017005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03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2Tubular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원형직기에 의해 제작하던 원통형직물의 직물밀도 제고를 위한 것으로서 북직기(shuttle loom)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경사, 위사의 밀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기존의 원형직기에 의해 제직된 원통형직물에 비해 위사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다층원통형직물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직물의 미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통형직물의 크기도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한 다층원통형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Multy Layer Tubular Fabric Weaved By Shuttle Loom}
본 발명은 기존의 원형직기에 의해 제작하던 원통형직물의 직물밀도 제고를 위한 것으로서 북직기(shuttle loom)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에 관한 것이다.
원통형직물 내지 원통형편물은 편직기나 원형직기에 의해 제조를 하고 있다. 기존의 편직기에서 생산되는 니트 직물의 경우 원통형직편물의 제조는 가능하나 신축성이 있어 그 소재가 늘어남으로써 강도보유 및 형태유지가 불가능하였다. 특히 상하수도 관, 파이프, 호스와 같은 원통형의 형태를 띠는 사물을 감싸거나 보호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피보호물이 관의 형태를 가지고 있을 때는 원통형직편물에 특수사를 삽입할 수가 없었으며, 기존의 원통형직물을 제조하는 원형직기의 경우에는 위사방향으로의 밀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기계가격이 고가이며, 원형의 형태를 조정하는데 비용이나 시간이 많이 들어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원통형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평면의 일반 원단을 봉제나 기타의 방법으로 접합하는 방법도 가능하나, 이러한 봉제나 기타의 방법으로 접합시 인열, 파열 강도의 저하, 봉제공정의 추가로 인한 비용 상승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제10-1983-0001442호(1983년04월30일 공개)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편직기나 원형직물이 아닌 북직기에 의해 위사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원통형직물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직물의 미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층원통형직물내의 격실의 크기도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한 다층원통형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종광에 걸쳐진 경사를 상층조직,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으로 구분하여 상층조직,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이 각각 같은 경사를 사용하지 않도록 위사가 공급되어 북직기(shuttle loom)에 의해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일부 경사 및 위사는 전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 위사의 밀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기존의 원형직기에 의해 제직된 원통형직물에 비해 위사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다층원통형직물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직물의 미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통형직물의 크기도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한 다층원통형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원통형직물은 자동차등 산업현장에서 서로 다른 액체나 고체, 기체등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도관을 감싸거나 보호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직물의 구간별로 전도사부분에 의한 센서를 형성하고 유무선으로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도관 중간에서 누수가 일어나는 경우에 도관의 파손 및 누수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의 단면의 각구간을 구분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의 "A"부분의 직물조직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의 "B"부분의 직물조직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의 "C"부분의 직물조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원통형직물은 기존의 원형직기에 의해 제작하던 다층원통형직물의 직물밀도 제고를 위한 것으로서 북직기(shuttle loom)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층원통형직물은 북직기(shuttle loom)에 의해 원통형직물의 상층조직,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이 서로 연결되어 제직된 것으로서 북직기(shuttle loom)의 셔틀의 왕복에 의해 위사가 상층조직을 이루는 경사에 먼저 공급되어 상층조직을 이루고 이어서 같은 위사 또는 다른 위사가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을 이루는 경사에 공급되어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을 이루게 되는데, 도 2의 A부분인 상기 상층조직과 하층조직은 위사로 연결되어 종래의 자루직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 2의 B부분은 상층조직과 하층조직의 경계가 쟈카드조직이나 일반 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층조직,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의 구분없이 제직된 부분으로서 4층을 이룬다.
도 2의 C부분은 3층조직으로서 상층조직,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을 이루는 각각의 경사에 공급되어 제직된 부분이다.
이렇게 다층원통형직물을 구성하기 위해 종광에 걸쳐진 경사는 상층조직, 중층조직, 하층조직으로 구분하여 배열하게 되고, 위사는 상층조직, 중층조직, 하층조직이 같은 경사를 사용하지 않도록 상층조직용경사로 위사가 공급되어 상층조직을 제직한 후 하층조직용경사로 같은 위사 또는 다른 위사가 공급되어 하층조직을 제직하고, 구간에 따라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는 조직구분없이 모든 경사에 위사를 공급하여 제직하고, C부분같은 경우에는 상층조직용경사로 위사가 공급되어 상층조직을 제직한 후 중층조직용경사로 같은 위사 또는 다른 위사가 공급되어 중층조직을 제직하고, 하층조직용경사로 같은 위사 또는 다른 위사가 공급되어 하층조직을 제직하여 도 1 및 도 2의 여러개의 격실을 가지는 다층원통형직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2의 "A"부분은 도 3의 조직도, "B"부분은 도 4의 조직도, "C"부분은 도 5의 조직도로 제직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조직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층원통형직물은 기존의 원형직기에 의해 제직된 원통형직물에 비해 위사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다층원통형직물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직물의 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원통형직물에서 유의해야할 부분은 변사 부분인데, 이 변사부분은 경사를 배열하지 않고 상층조직 및 하층조직의 경사가 변사를 대신하게끔 하여 자연스럽게 상층조직 및 하층조직으로 위사가 연결되도록 하여 다층원통형직물의 마감부분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다층원통형직물의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여 사용용도에 따른 내열, 인열, 전도, 강도, 파열등의 강도를 기존 직물에 비해 향상시칼 수 있다.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일부 경사 및 위사는 전도사를 사용하여 제직하게 되면 다층원통형직물의 길이방향으로 전도사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전도사부분은 다층원통형직물의 다양한 위치에 선의 모양이든 면의 모양이든 자유롭게 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층원통형직물은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서로 다른 액체나 고체, 기체등의 도관으로의 사용되는 복수의 관을 감싸거나 보호재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관의 구간별로 전도사부분에 의한 센서를 형성하고 유무선으로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도관 중간에서 누수가 일어나는 경우에 도관의 파손 및 누수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종광에 걸쳐진 경사를 상층조직,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으로 구분하여 상층조직, 중층조직 및 하층조직이 각각 같은 경사를 사용하지 않도록 위사가 공급되어 북직기(shuttle loom)에 의해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및 위사 중 일부 경사 및 위사는 전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KR1020170055125A 2017-04-28 2017-04-28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KR102074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125A KR102074036B1 (ko) 2017-04-28 2017-04-28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125A KR102074036B1 (ko) 2017-04-28 2017-04-28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009A true KR20180121009A (ko) 2018-11-07
KR102074036B1 KR102074036B1 (ko) 2020-02-05

Family

ID=6436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125A KR102074036B1 (ko) 2017-04-28 2017-04-28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5317A (zh) * 2022-11-29 2023-04-25 大连工业大学 一种利用普通织机织造仿竹结构三维机织管状织物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2559A (en) * 1959-12-24 1963-09-03 Raymond Dev Ind Inc Woven honeycomb cellular fabrics
KR830001442A (ko) 1979-10-06 1983-04-30 요시다 다다오 파스터 테이프 등의 대체직성 방법과 그 장치
JPH01250430A (ja) * 1987-03-31 1989-10-05 Asahi Chem Ind Co Ltd 多層構造織物及び該織物からなる複合材
KR101441036B1 (ko) * 2013-05-16 2014-09-17 재단법인 한국자카드섬유연구소 신체보호 및 제어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다층구조 도전성 직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맞춤형 의류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2559A (en) * 1959-12-24 1963-09-03 Raymond Dev Ind Inc Woven honeycomb cellular fabrics
KR830001442A (ko) 1979-10-06 1983-04-30 요시다 다다오 파스터 테이프 등의 대체직성 방법과 그 장치
JPH01250430A (ja) * 1987-03-31 1989-10-05 Asahi Chem Ind Co Ltd 多層構造織物及び該織物からなる複合材
KR101441036B1 (ko) * 2013-05-16 2014-09-17 재단법인 한국자카드섬유연구소 신체보호 및 제어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다층구조 도전성 직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맞춤형 의류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5317A (zh) * 2022-11-29 2023-04-25 大连工业大学 一种利用普通织机织造仿竹结构三维机织管状织物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036B1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0264A (zh) 自卷曲编织套管及其制造方法
ATE298816T1 (de) Papiermacher verbundgewebe mit gepaarten verbindungsschussfäden
KR102342554B1 (ko) 다중 챔버 내관 구조체
JP2009504941A5 (ko)
RU2017137140A (ru) Оболочка для защиты от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мех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MX2011005126A (es) Tubo de proteccion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JP2018532900A (ja) チャンネルを有する3d織物プリフォーム
CN104685123A (zh) 用于制备pmc基底织物的接缝区域的方法
KR20180121009A (ko)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다층원통형직물
ES2211625T3 (es) Material textil en napa para usos tecnicos.
KR20180120995A (ko) 북직기에 의해 제직된 원통형직물
CN105113106A (zh) 重平垂纱组合式三维机织物的结构设计织造装置及工艺
PL342540A1 (en) Textile support for reinforcing clothing or its components, method of making such support and application thereof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10067118A (ko) 방직기 펠트
CN205313765U (zh) 双层防护面料
CN103993403A (zh) 一种双层夹筋织物及织造方法
US11047072B2 (en) Woven fabric, a composition of the woven fabric and a weaving method thereof
CN102756502A (zh) 一种高弹性面料
US10192655B2 (en) Anisotropic wire harness
JP7074540B2 (ja) 衣料
CN210911423U (zh) 一种设内外层连接结构的双层面料
US20230175612A1 (en) Blowable flexible innerduct
KR102100138B1 (ko) 제직성 및 볼륨감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용 충진섬유
CN211079479U (zh) 一种防脱线的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