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495A - 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495A
KR20180120495A KR1020170054535A KR20170054535A KR20180120495A KR 20180120495 A KR20180120495 A KR 20180120495A KR 1020170054535 A KR1020170054535 A KR 1020170054535A KR 20170054535 A KR20170054535 A KR 20170054535A KR 20180120495 A KR20180120495 A KR 20180120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determined
parking lot
heigh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5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8579B1 (en
Inventor
오명호
김영호
염경수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579B1/en
Publication of KR2018012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4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up beam having a protective and exposed compressing expanded plate to reduce a floor height in a parking lot structure, wherein the protective and exposed compressing expanded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built-up beam to reinforce the upper surface of a steel cross section of the built-up beam receiving bending compression and is ex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at of a bottom surface slab to particularly reduce the floor height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and a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t-up beam having a protective and exposed compressing expanded plate to reduce a floor height in a parking lot structure comprises: an upper member including an upper flange par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having one or more deposition holes, and having an access hole formed by being cut a longitudinal end part by a predetermined size, and a height forming part downwardly extended from both lateral ends of the upper flange part, having a communication hole penetrated there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aving a through-hole penetrated there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ranging a slab upper part continuous rebar therein to allow both end parts to laterally penetrate the through-hole and outwardly protrude to both lateral si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a lower member allowing both lateral end parts to protrude to both lateral sides of the upper member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member; and the protective and exposed compressing extended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fixed size having a greater width than that of the upper flange by a predetermined size to have a laterally elongated slit formed as predetermined longitudinal intervals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upper member, and having a steel anchor or a truss girder formed on the lower part of a laterally outwardly protruding portion of the upper flange by predetermined longitudinal intervals.

Description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eam-column joint,

본 발명은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l-type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a parking lot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beam joint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otection of the parking lot structure to reduce the burrs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by reinfor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ection of the charging beam subjected to flexural compression while exposing the protective expansive compression shroud to the same height as the floor sla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ler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a joint by forming an exposing and compressing ream,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beam joint using the same.

철골구조의 자주식 주차장에는 주차 전용 건축물과 공작물 자주식 주차장이 있다. 공작물 자주식 주차장이란 건축법시행령에 의해 공작물로 인정되는 높이 8m 이하의 철골 조립식 주차장으로서 외벽이 없는 것(이하 "공작물 주차장"이라 함)을 말한다. The self-parking structure of the steel structure has a parking structure and a self-parking lot. A workshop self-parking lot is a steel-framed parking lot with a height of 8 meters or less, which is recognized as a workpiece by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and has no outer w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piece parking lot").

공작물 주차장은 주차 전용 건축물과 달리 건축허가 및 사용승인 절차가 요구되지 않고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공작물 축조신고만 하면 되므로 인허가가 간소하고, 건폐율 적용 산정에서 제외되며, 용적율 제한이 적용되지 않고,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설비가 요구되지 않고 간단히 호스릴이나 포소화 설비만 갖추면 된다. 하지만 규모가 최대 3층 4단(3개층에 옥상층 주차가 가능하여 주차 바닥면은 4개)으로 제한된다.Unlike parking-dedicated buildings, unlike parking-dedicated buildings, the work permit parking lot is not required for building permits and approval approval procedures, and it is only required to report the construction of the work to the governor of the provincial governor or mayor of the mayor. , Sprinkler, and other fire-fighting facilities are not required, and only the horseshoe or fire-fighting equipment is required. However, the maximum size is limited to 4 floors (3 floors can be parked on the roof, 4 floors).

국내 대부분의 공작물 주차장은 주차통로와 주차공간부의 사이에 기둥을 배열하여 설계 및 시공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즉, 법정주차 통로 최소 폭 6m 좌우에 기둥을 세우고 그 후면에 주차공간을 마련함에 있어서 주차공간의 최소 폭 2.3m의 2, 3, 4배수로 기둥을 배치한다. 그러나 이렇게 설계된 공작물 주차장은 설치되는 기둥의 수가 많아 주차공간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의 통행 및 회전에 문제가 있었다.Most of the parking lots in Korea have columns arranged between parking spaces and parking spaces to facilitat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In other words, the pillars are placed at 2, 3, 4 times of the minimum width of 2.3m in the parking space in order to build a parking space on the rear side of the parking space with the minimum width of 6m. However, since the designed parking lot of the workpiece has a large number of pillar to be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parking spa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e passage and rotation of the vehicl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의 단면을 확대하여 중간기둥을 없앤 장스팬 보를 적용한 공작물 주차장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장스팬 보를 적용할 경우 보의 춤이 커져 공작물로 인정되는 높이제한 즉, 8m 이내에서 3개층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arking lot with a span beam was developed by enlarging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and eliminating the intermediate column. However, when the long span beam is applied, the dancing of the beam becomes larg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ree layers can not be secured within the height limit of 8m.

한편, 주차장법에서 주차통로와 주차공간의 최소 천장높이는 각각 2.3m와 2.1m로 규정하고 있다. 이 높이제한 규정을 공작물 주차장에 적용할 경우, 3개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8m 높이를 3등분한 2.66m 층고가 부여될 수 있다. 중간기둥을 없애기 위해 보의 단면을 확대하여 장스팬화할 경우, 주차통로와 주차공간의 경제성을 부가할 수 있는 보의 최대 높이는 50cm로 한정되기 때문에, 보의 수직적 보강에 의하여 차량 통행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rking lot method, the minimum ceiling height of parking spaces and parking spaces is defined as 2.3m and 2.1m, respectively. If this height limit applies to a workshop parking lot, a 2.66-meter storey height of 3 m height divided by 8 m height may be granted to secure three floors. Since the maximum height of the beam that can ad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parking space is limited to 50cm when the section of the beam is enlarged and the span of the beam is enlarged to eliminate the intermediate pillar,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947979호 "기둥 간섭 없이 5대 주차가 가능한 3개층 공작물 주차장공법" (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지상높이가 8m로 제한되는 3개 층의 공작물 주차장 구조물 중, 폭 7m의 주차통로와 주차통로 좌·우는 각각 4.5m 의 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총 16m 폭의 주차장 내부 주차통로와 주차공간 사이에는 12m 간격마다 기둥을 세워 차량 5대씩 기둥 간섭 없이 주차할 수 있는 공작물 주차장공법에 있어서, (a) 기초 상부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은 상·하부 플랜지와 수직의 웨브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부 플랜지가 안쪽으로 접혀 있는 폐쇄형의 TSC로된 CFT 기둥으로 하고; (b) 기둥의 높이는 8m이고, 3개 층의 보가 붙는 위치에는 기둥 내부에 앵커볼트와 개방된 부분의 강판을 접합하여 패널 존으로 보강하고 일자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단계에서 기둥의 방향은 주차통로에 면하는 폭이 270mm가 되게 하고 각층 보를 기둥에 부착하는 단계; (d) 12m 길이의 보는 50cm, 그 밖의 보는 30cm로 하고, 16m 폭 중 중앙부의 큰 보는 공장에서 중앙부를 강선으로 긴장하여 제작하는 단계; (d) 보에 깊은골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철근 배근 및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와이어메시를 설치하는 단계; (e)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 시 기둥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충전강관콘크리트(CFT)가 되도록 하고, 콘크리트 두께는 보 상부는 5cm, 데크플레이트 상부에서 콘크리트 두께는 7.5cm가 되도록 콘크리를 타설하는 단계; (f) 콘크리트 타설 전 중앙에 가설 잭 서포트(Jack Support)를 준비하여 치올림을 주고, 12m 폭의 내측 보를 조금 높게 설치하여 구조체 자체가 물매를 확보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간섭 없이 5대 주차가 가능한 3개 층 공작물 주차장공법" 을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0947979 entitled " 3-layer workpiece parking method in which five spaces can be parked without pole interference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 "a parking passage of 7 m in width and a parking passage of 4.5 m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parking lot structure of a three-story work structure limited to a height of 8 m are secured, (A) a column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and the column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flanges and a web plate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respectively; (B) The height of the column is 8 m, and the anchor bolt and the open part of the steel plate are joined to each other at the positions where the three beams are attached to each other. (C) attaching each layer beam to the column so that the width of the column facing the parking passage is 270 mm; (d) a step of fabricating the steel plate by tensioning the central part with a steel wire at a large view center of a central part of a width of 50 m with a length of 50 m and a view of 30 cm with a length of 12 m, (d) (E) When the bottom concrete is laid, concrete is put into the column to make filled steel pipe concrete (CFT).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is 5 cm in the upper part of the beam,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in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F) Prepare a jack support at the center of the concrete before placing the concrete, and place the inner beam at a height of 12 m so that the structure itself can secure a slack A three-layer workpiece parking method in which five parking spaces can be parked without pillar interference "is proposed.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단면형상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높고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 길이 전체에 걸쳐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보의 단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순수 철골로 이루어지지 않고 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지는 합성보이기 때문에 해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 background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sectional efficiency of the beam is inferior because the sectional shap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the height is adjusted over the entire beam length. It is difficult to dismantle the concrete because the composite is filled with concrete.

특허등록 제0947979호 "기둥 간섭 없이 5대 주차가 가능한 3개층 공작물 주차장공법"Patent Registration No. 0947979 "3-layer workshop parking method that can park five cars without pole inter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보를 사용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structure using a charging beam, The exposed compression bulge is ex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loor slab,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burrs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And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beam joint.

본 발명은 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바닥면 슬래브와 일치하도록 사용되는 주차장 구조물용 보에 있어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1개 이상의 타설구가 통공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 단부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접근 홀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와, 상부 플랜지부의 폭방향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일정간격으로 연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관통공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이 배근되는 높이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부재와; 폭방향 양단부가 상부부재의 폭방향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부재와; 상부 플랜지 보다 일정 크기 큰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길게 슬릿이 형성되어 상부부재의 상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부 플랜지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강재 앵커 또는 트러스 거더가 구성되는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for a parking lot structure in which a top surface of a beam is exposed and used to coincide with a bottom surface slab, wherein at least one pierci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formed through the hole, And a through hole extending through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portion and formed with through 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through hole being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height forming portion in which a slab upper continuous steel reinforcing bar is disposed so that the slab upper continuous steel reinforcing bar is projected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lower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member so th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re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member; A slit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upper member and is project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And a reinforcing steel plate anchor or a truss gird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of the cargo structure. I want to.

또한, 하부부재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부부재 높이 형성부의 하단부가 하부부재의 상부판에 결합되어, 상부판의 외측 단부가 높이 형성부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lower member includes a low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a vertical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and a top plat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or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member height form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of the lower member such that the outer end of the upper plate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eight forming portion. To provide a filler beam that can reduce the height and thickness of the protective expanse.

또한, 연통공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골용 철근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desired to provide a filler-type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a floor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ing and compressing deformat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s for slabs are arranged so that the communicating holes penet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both ends thereof protrude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하부 보강재가 하부부재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iller-type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floor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a parking lot structure, wherein a lower stiffener composed of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상부 보강재가 상부부재의 상부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composed of a wire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of the upper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otective exposed compression folding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is formed to provide a filler- I want to.

또한, 슬릿은 상부부재의 높이 형성부를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slit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ing on the height forming portion of the upper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ed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또한, 보호노출 압축확판의 폭방향 양단부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acked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shroud extend vertically downward to form a reinforced portion.

또한, 보강부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관통전단홀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ed portion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ed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또한, 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바닥면 슬래브와 일치하도록 시공하는 주차장 구조물의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충전형 보를 사전 제작하는 단계; (b)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결합 플레이트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의 상단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부 수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구성되며 타측 단부가 수직 결합 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와, 충전형 보의 보호노출 압축확판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수평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연결 강판으로 구성되는 보 연결용 브라켓을 일단부를 충전 기둥의 일정 높이에 접합하여 설치하는 단계; (c) 보 연결용 브라켓에 충전형 보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d) 충전형 보의 접근 홀을 덮는 덮개판을 결합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 prefabricating the filled beam; (b) a pair of vertical coupling plate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upper horizontal plate coupled to cover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and a lower horizontal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late is further protruded outwar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And connecting the brackets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filling pillars; (c) coupling the end of the filled beam to the beam connecting bracket; (d) joining and closing the cover plate covering the access hole of the fill-in beam, and (c) closing the cover plate of the fill- And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또한, (b) 단계에서, 보 연결용 브라켓은,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와 충전 기둥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보강 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step (b), the reinforcement member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lat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ller column, wherein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and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is formed, And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beam joint using a chargeable beam.

또한, (b) 단계에서, 보강 부재는 ┻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n the step (b), the reinforcing member has a cross-sectional shap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column beam joint using the filled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is provided by forming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은 충전보를 사용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packed beam in which the protective expansive compression expansion of the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reduce the floor heigh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lumn beam joint using the packed beam,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compac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beam, There is a very advantageous effect to be able to reduce burrs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in particular by reinfor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ection of the fill beam subjected to bending compression while exposing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bulge to the same height as the floor slab .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시공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기 도 3의 시공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주차장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of a first embodiment of a packaged beam capable of reducing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a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fill-up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FIG. 3.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4A.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shrou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beam joint using a packed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FIG.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king structure using a filler-type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시공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packed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1)는 ∩형 단면을 갖는 상부부재(20)와 상부부재(20)의 하부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부재(10)로 이루어져 내부에 콘크리트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형 단면을 갖도록 하고, 상부부재(20)의 상부에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을 구성하도록 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packaged beam 1 hav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and expansion in a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ducing the height of a floor. The packaged beam 1 has an upper member 20 and an upper member 20, (10) covering the lower opening of the upper member (20) so as to have a filling-type end face capable of being filled with concrete, and constitut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compression plate (7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ection of the fill beam can be reinforced.

상부부재(20)는 ∩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부(21)와, 상부 플랜지부(21)의 폭방향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높이 형성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높이 형성부(22)의 하부에는 하부부재(10)가 결합된다.The upper member 20 is formed in a ∩ shaped cross section and includes an upper flange portion 21 and a height forming portion 22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1, The lower member 1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22.

이때, 상부 플랜지부(21)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특히 내부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용이하도록 1개 이상의 타설구(211)가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단부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접근 홀(219)이 형성되도록 하여 기둥의 보 연결용 브라켓과 충전형 보(1)의 접합시에 볼트 조립, 용접 등의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flange portion 2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in particular, one or more piercing holes 211 may be formed through the pierce portion 21 to facilitate the pouring of concrete therein. So that an access hole 219 is formed so as to form a space for an operator to perform work such as bolt assembly and welding at the time of joining the beam connecting bracket to the filling beam 1. [

또한, 높이 형성부(22)는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222)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관통공(222)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223)이 배근되도록 하여,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223)이 폐단면을 갖는 충전형 보(1)의 상부부재(20)와 슬래브 콘크리트(6)간의 합성용 다우웰바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슬래브 단부의 부모멘트 연결 철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height forming portion 22 is formed to have a through hole 222 through the through hole 22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through hole 222 penetrates the through hole 222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both ends thereof protrude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lab upper continuous steel reinforcing bars 223 serve as a dowel bar for the synthesis between the upper member 20 of the filled beam 1 having the closed end face and the slab concrete 6, It can serve as a moment connection steel.

도 3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상기 도 3의 시공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상기 도 4a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fill-up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FIG. 3 And Fig. 4B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4A.

본 발명의 상부부재(20)의 높이 형성부(22)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연통공(221)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height forming portions 22 of the upper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through holes 2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FIGS.

이와 같이 연통공(221)이 형성되도록 하면,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6)와 충전형 보(1) 내부의 콘크리트가 서로 연통공(221)을 통하여 연통되어 구속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hole 221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lab concrete 6 and the concrete in the filled beam 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1 to be constrained.

특히, 도 4b에서와 같이, 연통공(221)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골용 철근(229)을 배근하여, 하부부재(10)에 데크 거치시에 테크의 골부에 슬래브 골용 철근(229)이 배근되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4B, the reinforcing bars 229 for slabs are arrang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221 in the width direction and to protrude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when the deck is mounted on the lower member 10, So that the slab reinforcing bar 229 can be placed.

하부부재(10)는 도 1에서와 같이, 폭방향 양단부가 상부부재(20)의 폭방향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부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U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ower member 10 may be formed of a plate so th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re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member 20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member 20, 4, it may be formed to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and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member 20. [

도 1에서와 같이 평판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부재(10)의 경우에는 상부부재(20)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9)를 거치하고 데크 플레이트(9)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1, a deck plate 9 is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member 20 in the case of a flat plate-shaped lower member 1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또한, 하부부재(10)가 U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부부재(10)는 U형의 단면을 갖도록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하부판(11)과, 하부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2)으로 구성되며, 수직판(12)의 상단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부판(13)이 구성되도록 하며, 이와 같은 상부판(13)의 상부에는 데크 플레이트(9)를 거치하고 데크 플레이트(9)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2, the lower member 10 includes a lower plate 1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so as to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and a lower plate 11 having a U- 11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ward o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12 so that the upper plate 13 is formed The deck plate 9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13 and concrete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9.

또한, 상부부재(20)의 상부 플랜지부(21)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상부 보강재(50)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 플랜지부(21)는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의 하부에 접합되어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이 바닥면과 일치되어 노출되기 때문에 상부 보강재(50)를 상부 플랜지부(21)의 하부면에 구성하여 상부 플랜지부(21)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며, 시공중에도 작업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보강하도록 한다.An upper stiffener 5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1 of the upper member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flange portion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joi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and compression plate 70 to expose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compression plate 70 in correspondence with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upper flange portion 21 can be reinforced so that the work load can be restrained even during the installation.

상부 보강재(50)는 철근 등의 다양한 선재를 상부 플랜지부(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도록 1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부 보강재(50)로 사각단면을 갖는 각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부부재(20)의 상부 플랜지(21)의 하부면에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도록 한다.The upper stiffener 5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various wire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1 and may be formed using an upper stiffener 50 having square cross-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 of the upper member 20 by various methods known, for example, welding.

또한, 본 발명의 충전형 보(1)는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하부 보강재(40)가 하부부재(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하부부재(10)를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ller bea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wer stiffener 40 constituted by a wire of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longitudin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10 to reinforce the lower member 10 .

본 발명에서는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로 이루어지는 충전형 단면을 갖도록 하여 내부에 콘크리트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를 형성하는 강재판의 두께는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ll the concrete with a filling-type end face made up of the upper member 20 and the lower member 10, and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forming the upper member 20 and the lower member 10 is Or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need.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shrou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의 상부면이 영구 노출되도록 상부부재(20)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을 구성하도록 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1 to 4, a separate protective exposure expansive compression plate 7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20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slab and to permanently expos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compression plate 7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material section of the fill beam subjected to bending compression can be reinforced.

이와 같은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은 무늬가 없는 일반 강판이나 상부면에 특정 무늬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무늬 강판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은 상부부재(20) 상부 플랜지(21)의 상부면에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폭은 상부 플랜지(21) 보다 일정 크기 큰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부 플랜지(21)에 접합시에 상부 플랜지(21)의 폭방향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하여 상부 플랜지(21)에 휨압축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compression plate 70 may be formed of a general steel plate without a pattern or a patterned steel plate in which a certain pattern is repeated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 by a variety of known methods such as welding.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21 is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flange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21, So that the flexural compression is not concentrated on the flange 21.

이때,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은 상부 플랜지부(21)의 타설구(211)및 접근 홀(219)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compression plate 70 should be formed with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hole 211 and the access hole 219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1.

또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보호노출 압축확판(70)에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상부부재(20)의 높이 형성부(22)를 중심으로 폭방향 외측에 폭방향으로 길게 슬릿(73)이 형성되도록 하여, 슬래브 콘크리트(6)의 압축력과 충전형 보(1)와의 강성차이로 길이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1 and 3,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and compression plate 70 is provided with a slit (not show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round the height forming portion 22 of the upper member 2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73 can be formed to prevent cracks from being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lab concrete 6 and the rigidity between the slab concrete 6 and the packed beam 1.

특히, 슬릿(73)은 도 5a에서와 같이, 상부부재(20)의 높이 형성부(22)를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슬래브 콘크리트(6) 부분과 충전형 보(1)와의 변형에 의하여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5A, the slits 73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ing on the height forming portions 22 of the upper member 20, so that the slabs 7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ab concrete 6 and the fi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ep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deformation.

노축 보호강판(70)에는 상부 플랜지(2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트러스 거더(72)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b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강재 앵커(71)를 구성하여 슬래브 콘크리트(6)와의 합성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1 to 4, a truss girder 72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21 in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protection steel plate 70, The steel anchor 71 can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acilitate the synthesis with the slab concrete 6. [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의 폭방향 양단부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보강부(75)가 형성되도록 하여,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을 보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보강부(75)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관통전단홀(751)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보강부(75)의 내측과 외측의 콘크리트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C,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and compression plate 70 may extend vertically downward to form a reinforcing portion 75 to reinforce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and pressing plate 70, The through hole 751 may be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75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ner and outer concrete of the reinforcement 75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도 6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beam joint using a packed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본 발명의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은 먼저,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충전형 보(1)를 사전 제작하도록 한다(a).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lumn beam joint using the filler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r beam 1 described above in detail is prepared in advance (a).

이후, 도 6a에서와 같이, 보 연결용 브라켓(8)을 일단부를 기둥(7)의 일정 높이에 접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b).Thereafter, as shown in FIG. 6A, one end of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is joined to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7 (b).

보 연결용 브라켓(8)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형 보(1)의 단면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폐단면의 박스형 구조로 형성한다.6A,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is formed in a box-like structure having a closed end face for facilitating engagement with the end face of the packed beam 1. As shown in FIG.

보 연결용 브라켓(8)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상단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83) 및 충전형 보(1)의 보호노출 압축확판(70)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연결 강판(88)으로 이루어진다.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includes a pair of vertical coupling plates 81 forme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upper horizontal plate 82 coupled to cover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s 81, A lower support plate 83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late 81 and a plat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compression plate 70 of the packed beam 1, And a connecting steel plate 88 joined to the surface.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와 상부 수평 플레이트(82)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고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vertical coupling plate 81 and the upper horizontal plate 82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joined together, or may be formed by bending a single steel plate.

보 연결용 브라켓(8)과 충전형 보(1)는 모두 폐단면을 갖는 박스형 단면을 갖기 때문에, 충전형 보(1)의 단부에 형성된 접근 홀(219)을 이용하여 보 연결용 브라켓(8)과 충전형 보(1)의 접합시에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and the packed beam 1 both have a box-like cross section having a closed end face,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is formed by using the approach hole 219 formed at the end of the filled beam 1 So that the worker can perform work at the time of joining the fill-up beam 1 and the fill-

또한, 하부 지지 플레이트(83)는 하부부재(10)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별도의 이음판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타측 단부 즉, 충전형 보(1)와 결합되는 단부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타단부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충전형 보(1)가 하부 지지 플레이트(83)의 상부에 거치되어 보 연결용 브라켓(8)과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plate 83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member 10 and may be joined by a separate joint plate. The other end, that is, an end coupled with the filler beam 1, The charging type beam 1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late 83 so as to facilitate the coupling operation with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can do.

특히, 보 연결용 브라켓(8)은, 하부 지지 플레이트(83)의 하부와 기둥(7)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보강 부재(84)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84)는 플레이트 등을 덧대어 보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84)는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충전형 보(1)의 단부를 지지하며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the reinforcing member 84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late 83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7, in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inforcing member 84 has a cross-section so as to stably support the end portion of the packed beam 1 Support and reinforce.

이와 같은 보 연결용 브라켓(8)은 일단부를 기둥(7)의 일정 높이에 용접, 브라켓 접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Such a beam connecting bracket 8 is formed by joining one end portion to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7 by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welding and bracket bonding.

이후, 도 6b에서와 같이, 보 연결용 브라켓(8)에 충전형 보(1)의 단부를 결합하도록 한다(c).Then, as shown in FIG. 6B, the ends of the packed beam 1 are connected to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c).

보 연결용 브라켓(8)과 충전형 보(1)의 결합은 별도의 덧판(90)을 덧대어 볼트 등으로 결합하는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of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and the filler beam 1 may be accomplished by a variety of known methods such as attaching a separate board 90 by bolts or the like.

마지막으로, 도 6c에서와 같이, 충전형 보(1)의 접근 홀(219)을 덮는 덮개판(89)을 결합하여 마감하도록 한다(d).Finally, as shown in FIG. 6C, the cover plate 89 covering the approach hole 219 of the filled beam 1 is joined and closed (FIG.

충전형 보(1)의 접근 홀(219)은 보 연결용 브라켓(8)과 충전형 보(1)의 접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기 때문에, 충전형 보(1)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전에 미리 접근 홀(821)을 덮도록 덮개판(89)을 접근 홀(821)에 용접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덮개판(89)은 접근 홀(219)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기밀하게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approach hole 219 of the packed beam 1 has a structure for facilitating the bonding work of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and the packed beam 1, The cover plate 89 is welded to the access hole 821 so as to cover the access hole 821 before filling. The cover plate 89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access hole 219 and may be hermetically coupled.

상부부재(20)의 타설구(211)는 콘크리트로 채워질 수도 있으며 별도의 마감판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piercing hole 211 of the upper member 20 may be filled with concrete or may be finished using a separate finishing plate or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주차장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king lot structure using a filler-type beam capable of reducing the floor height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1)를 적용한 3층 4단 콘크리트 슬래브 주차장 구조물은 일반적인 공작물 주차장과 동일하게, 기초와, 기초 상부에 구성되는 기둥(7)과, 기둥(7)과 기둥(7)을 연결하는 충전형 보(1)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보(1)는 노축 보호강판(70)가 노출되도록 슬래브 콘크리트(6)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three-story, four-stage concrete slab parking structure using the packaged beam 1 with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compre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nd capable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floor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The beam 1 is formed by joining a pillar 7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filled beam 1 connecting the pillar 7 and the pillar 7. The beam 1 is made of a slab concrete (6).

주차장법에서 주차통로와 주차공간의 최소 천장높이는 각각 2.3m와 2.1m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공작물 주차장의 경우에는 8m이하의 높이로 제작되어야 하며, 3층 4단의 8m 높이의 공작물 주차장에서는 최대 8m를 3등분한 2.66m 층고가 부여될 수 있다. In the parking lot law, the minimum ceiling height of parking spaces and parking spaces is 2.3m and 2.1m,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case of a workshop parking lot, it should be manufactured to a height of 8m or less. In a parking lot of an 8m height of 4th floor of 3 stories, a floor of 2.66m which is divided into 3 halves of 8m maximum can be give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은 충전보를 사용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structure using a fill beam and a column beam joint using the sam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ight of the floor structure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by making it possible to expose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section of the charging beam subjected to the flexural compression and to expose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ed compression plate at the same height as the floor slab, It is effectiv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 충전형 보
10 : 하부부재
11 : 하부판
12 : 수직판
13 : 상부판
20 : 상부부재
21 : 상부 플랜지부
22 : 높이 형성부
40 : 하부 보강재
50 : 상부 보강재
70 : 보호노출 압축확판
6 : 슬래브 콘크리트
7 : 기둥
8 : 보 연결용 브라켓
81 : 수직 결합 플레이트
82 : 상부 수평 플레이트
83 : 하부 지지 플레이트
9 : 데크 플레이트
1: Charged beam
10: Lower member
11:
12: Vertical plate
13:
20: upper member
21: Upper flange portion
22:
40: Lower stiffener
50: Upper stiffener
70: Protection Exposure Compression Shatter
6: Slab Concrete
7: Column
8: Bracket for beam connection
81: Vertical coupling plate
82: upper horizontal plate
83: Lower support plate
9: Deck plate

Claims (11)

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바닥면 슬래브와 일치하도록 사용되는 주차장 구조물용 보에 있어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1개 이상의 타설구(211)가 통공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 단부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접근 홀(219)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21)와, 상부 플랜지부(21)의 폭방향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일정간격으로 연통공(221)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222)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관통공(222)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223)이 배근되는 높이 형성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부재(20)와;
폭방향 양단부가 상부부재(20)의 폭방향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부재(10)와;
상부 플랜지(21) 보다 일정 크기 큰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길게 슬릿(73)이 형성되어 상부부재(20)의 상부 플랜지(21)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부 플랜지(2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강재 앵커(71) 또는 트러스 거더(72)가 구성되는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1. A beam for a parking lot structure in which a top surface of a beam is exposed and used to coincide with a bottom surface slab,
An upper flange portion 2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and having one or more holes 211 formed through the holes and having an access hole 219 formed at a longitudinal end thereof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through hole 222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222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222 extend outwardly And a height forming part (22) for laying up the slab upper continuous steel reinforcing bars (223) so as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a predetermined length.
A lower member 10 form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member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member 20;
A slit 73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lit 7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 of the upper member 20, (70) having a steel anchor (71) or a truss girder (72)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2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structure for protecting a parking lot,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부재(10)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하부판(11)과, 하부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2), 수직판(12)의 상단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부부재(20) 높이 형성부(22)의 하단부가 하부부재(10)의 상부판(13)에 결합되어, 상부판(13)의 외측 단부가 높이 형성부(22)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member 10 includes a bottom plate 1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and a vertical plate 12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1, And a top plate (13)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The upper plate (13) is formed as a U-
The lower end of the height forming portion 22 of the upper member 20 is engaged with the upper plate 13 of the lower member 10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upper plate 13 protrudes outside the height forming portion 22 The parking lot is protected by a parking lot structur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ompression deformation is formed and the floor height can be reduc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연통공(221)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골용 철근(229)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reinforcing bar 229 for reinforcing the slab is disposed so as to penetrate the communication hole 221 in the width direction and to have both ends protruding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하부 보강재(40)가 하부부재(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lower stiffener (40) composed of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longitudinal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상부 보강재(50)가 상부부재(20)의 상부 플랜지부(21)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an upper stiffener (50) composed of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longitudinal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 of the upper member (20) Reduced chargeable bea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릿(73)은 상부부재(20)의 높이 형성부(22)를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lit (73)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ing on the height forming portion (22) of the upper member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의 폭방향 양단부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보강부(7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reinforcing part (75) is formed by extending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laminating plate (70) vertically downward.
청구항 7에 있어서,
보강부(75)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관통전단홀(75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The method of claim 7,
The reinforcing part (75) is formed by passing a through hole (75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inforced beam is formed by forming a protective exposure compression expansion in the parking lot structur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의 충전형 보를 이용하여 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바닥면 슬래브와 일치하도록 시공하는 주차장 구조물의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충전형 보(1)를 사전 제작하는 단계;
(b)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상단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와 평행하게 구성되며 타측 단부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타단부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83)와, 충전형 보(1)의 보호노출 압축확판(70)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연결 강판(88)으로 구성되는 보 연결용 브라켓(8)을 일단부를 충전 기둥(7)의 일정 높이에 접합하여 설치하는 단계;
(c) 보 연결용 브라켓(8)에 충전형 보(1)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d) 충전형 보(1)의 접근 홀(219)을 덮는 덮개판(89)을 결합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lumn beam joint of a parking lot structure in which a top surface of a beam is exposed and exposed so as to coincide with a bottom surface slab using the fill beam of any one of claims 1 to 8,
(a) prefabricating the packed beam (1);
(b) a pair of vertical coupling plates 81 forme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upper horizontal plate 82 coupled to cover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s 81, A lower support plate 83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is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the upper horizontal plate 82 and whose other end further protrudes outwar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81, And a connecting steel plate 88 having a plate-like shap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protective exposing and compressing plate 70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plate 82, (7)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filling column (7);
(c) coupling the end of the packed beam (1) to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d) a cover plate (89) covering the approach hole (219) of the packed beam (1) is joined and closed. A method for the joining of column beams using a fillable beam.
청구항 9에 있어서,
(b) 단계에서,
보 연결용 브라켓(8)은,
하부 지지 플레이트(83)의 하부와 충전 기둥(7)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보강 부재(8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b)
The beam connecting bracket (8)
And a reinforcement member (84) is formed to connec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late (83)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acking column (7). Column Beam Connection Method.
청구항 10에 있어서,
(b) 단계에서,
보강 부재(84)는 ┻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b)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84) has a cross-sectional shape.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84) has a cross-sectional shape.
KR1020170054535A 2017-04-27 2017-04-27 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998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35A KR101998579B1 (en) 2017-04-27 2017-04-27 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35A KR101998579B1 (en) 2017-04-27 2017-04-27 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495A true KR20180120495A (en) 2018-11-06
KR101998579B1 KR101998579B1 (en) 2019-07-10

Family

ID=6432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535A KR101998579B1 (en) 2017-04-27 2017-04-27 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57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399A (en) * 2020-07-31 2020-12-01 中冶(上海)钢结构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arranging stirrup without punching steel skeleton beam web
KR20210141217A (en) * 2020-05-15 2021-11-23 김재문 Composite beam for long span construction
KR102355916B1 (en) * 2021-04-28 2022-0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Reinforced cover for cable tray sleeve
KR20220038883A (en) 2020-09-21 2022-03-29 송성민 Precast hollow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E2250644A1 (en) * 2022-05-30 2023-12-01 Svensson Nils Gustav Steel beam intended to form a beam layer together with concre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910A (en) * 2008-08-19 2010-03-04 Takenaka Komuten Co Lt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nd fireproof building
KR100947979B1 (en) 2008-03-28 2010-03-18 이창남 Method of 3-Storey 5-Car Column Free Plant Type Garage
KR20100034640A (en) * 2008-09-24 2010-04-01 권기혁 Reinforced concrete beam strengthened with slit type steel plate
KR20140071199A (en) * 2012-12-03 2014-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at shaped beam having stirrup
KR101464349B1 (en) * 2013-06-25 2014-11-26 주식회사 한구조엔지니어링 Steel beam having exposed upper flange for parking building
KR20140146403A (en) * 2013-06-17 2014-12-26 우경기술주식회사 On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girder reinforced concrete cation and steel girder construction method to synthesiz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79B1 (en) 2008-03-28 2010-03-18 이창남 Method of 3-Storey 5-Car Column Free Plant Type Garage
JP2010047910A (en) * 2008-08-19 2010-03-04 Takenaka Komuten Co Lt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nd fireproof building
KR20100034640A (en) * 2008-09-24 2010-04-01 권기혁 Reinforced concrete beam strengthened with slit type steel plate
KR20140071199A (en) * 2012-12-03 2014-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at shaped beam having stirrup
KR20140146403A (en) * 2013-06-17 2014-12-26 우경기술주식회사 On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girder reinforced concrete cation and steel girder construction method to synthesize
KR101464349B1 (en) * 2013-06-25 2014-11-26 주식회사 한구조엔지니어링 Steel beam having exposed upper flange for parking build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217A (en) * 2020-05-15 2021-11-23 김재문 Composite beam for long span construction
CN112012399A (en) * 2020-07-31 2020-12-01 中冶(上海)钢结构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arranging stirrup without punching steel skeleton beam web
KR20220038883A (en) 2020-09-21 2022-03-29 송성민 Precast hollow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55916B1 (en) * 2021-04-28 2022-0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Reinforced cover for cable tray sleeve
SE2250644A1 (en) * 2022-05-30 2023-12-01 Svensson Nils Gustav Steel beam intended to form a beam layer together with concrete
SE546101C2 (en) * 2022-05-30 2024-05-21 Svensson Nils Gustav Steel beam intended to form a joist layer together with concr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579B1 (en)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579B1 (en) 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US9518401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KR100898283B1 (en) Steel-frame for SRC-frame that steel reinforcement is pre-assembled and Steel-frame structure execution method by using the steel-frame
KR101030419B1 (en)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US20080000177A1 (en) Composite floor and composite steel stud wall construction systems
KR101389203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sidential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and modular unit
US8245469B2 (en) Deck assembly module for a steel framed building
KR101814506B1 (en) 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617221B1 (en) Joint structure of remodeling modular unit for seismic retrofitting and joint method of using it
JP3494433B2 (en) Wall typ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frame building
KR200414349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WO2007131115A1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and method of erection
KR101324884B1 (en) Hybri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bining dry type and wet type
CN216475803U (en) Novel prefabricated floor slab structure applied to shear wall system
JPH0586674A (en) Composite floor slab construction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US20070186497A1 (en) In-fill wall system
KR100578641B1 (en) Steel-Concrete Hybrid Column,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2592820A1 (en) Composite floor and composite steel stud wall construction systems
KR101895803B1 (en) Housing construction method
JP2003105861A (en) Medium-rise and high-rise building using hfc column and hfc beam or the like
JPH01203540A (en) Body construction of inclined floor type solid structured parking space
KR102082334B1 (en) Flat slab system using wide beam and construction mehtod thereof
JPS6314937A (en) Reinforcing bar composite pillar
JP4247482B2 (en) Floor structure
CN220433898U (en) Assembled rib lattice building structure and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