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121A - 전열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 - Google Patents

전열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121A
KR20180120121A KR1020180053071A KR20180053071A KR20180120121A KR 20180120121 A KR20180120121 A KR 20180120121A KR 1020180053071 A KR1020180053071 A KR 1020180053071A KR 20180053071 A KR20180053071 A KR 20180053071A KR 20180120121 A KR20180120121 A KR 2018012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block
rigid block
particles
electric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 자 윤
Original Assignee
옥 자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 자 윤 filed Critical 옥 자 윤
Priority to KR102018005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0121A/ko
Publication of KR2018012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heating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케이블이 시멘트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블록에 둘러싸인 전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하며 전열케이블이 강성블록내에 매설되어 발열 되는 전열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열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Electric heat block comprising electric heat cable}
본 발명은 전열케이블이 시멘트 등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강성 블록에 둘러싸인 전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하며 전열케이블이 강성블록 내에 매설되어 발열되는 전열블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난방에서, 보일러를 이용한 온수 바닥난방 온돌난방 외에도 다양한 전기 난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식당이나 병원 등에는 전기를 이용한 바닥 난방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 난방의 경우, 열선 형태의 전기발열선과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 난방 등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전기발열체를 이용한 보드나 패널 등의 전기 난방은 시공과 관리의 용이함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발열케이블을 사용하는 전열 보드는 그 내부에 우레탄 등의 물질로 발포 성형하여 충진재로 사용하여 화재위험이 크고 우레탄 충진재 등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5168 호와 같이 마그네사이트 등의 보드를 이용하는 경우 단열효과가 좋고 화재 위험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고 하지만 발열선을 위한 가공 및 열선 매립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5168 (등록일자 2008년03월13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시멘트 또는 시멘트모르타르나 점토나 황토 등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시멘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경량입자들을 혼합하여 이를 전기발열선 또는 전기케이블과 함께 블록 또는 보드 형태로 만들어 전기 발열이 우수하면서도 가볍고 그리고 시공성이 우수하면서 화재 위험성도 적은 전열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열 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은 불연성 경량입자를 포함한 강성블록내에 전기발열선을 매설되도록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강성블록내에 메쉬망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유리섬유 조직의 메쉬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패널형태의 얇은 직육면체에 두 모서리부분에 전열블록 상호 간의 전기배선을 위하여 모따기 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이 배선보호덮개부분을 포함하여 직육면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이 테두리부분에 파손 방지를 위한 보호덮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강성블록은 시멘트 계열 성분 1 kg 기준으로 불연성 경량입자인 펄라이트 100-300 그람을 3-4리터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로 발열하는 전기발열선 및 그 내부에 전기발열선을 매설하여 소정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전기 발열온도를 견딜 수 있고 그리고 상온이나 전기발열선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일체로 경화시킬 수 있는 불연재질의 강성블록을 포함하는 전열블록으로서, 상기 강성블록에 시멘트나 점토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불연성 경량입자를 더 포함하여 강성블록을 만들고, 그리고 이 강성블록내에 전기발열선을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상기 메쉬망으로 유리섬유 조직의 메쉬망이 사용되며, 상기 전열블록은 얇은 패널형태로서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분에 전열블록 상호 간의 전기배선을 위하여 배선공간부가 측면 전체 또는 층 구조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배선공간부에는 배선보호덮개로서 메워져 얇은 패널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강성블록은 시멘트 계열 성분 또는 점토 계열 성분 1 kg 기준으로 100-300 그람의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시멘트 계열 성분은 일반 시멘트나 시멘트모르타르, 시멘트콘크리트는 물론 일반 시멘트보다 강도가 강화된 강화시멘트, 일반 시멘트보다 빨리 경화되는 초속경시멘트(또는 초속경몰탈)나, 시멘트모르타르에 유동화제를 첨가한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점토 계열 성분은 점토, 황토, 골재 입자, 플라시트 입자를 어느 하나 이상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경량입자는 불연성 재질로서 플라스틱 입자나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입자를 하나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열블록은 강성블록에 마감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층은 강성블록과 일체로 결합되며 시멘트나 황토를 포함한 시멘트를 주 성분으로하는 층으로서 양생하여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층이나 상기 강성블록 중 어느 하나가 반경화이상 경화된 상태에서 다른 마감층이나 강성블록이 경화되어 일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층은 기존의 바닥이나 벽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한 타일 등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로 발열하는 전기발열선 및 그 내부에 전기발열선을 매설하여 소정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전기 발열온도를 견딜 수 있고 그리고 상온이나 전기발열선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일체로 경화시킬 수 있는 불연재질의 강성블록을 포함하는 전열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성블록의 형태의 틀에 전기발열선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틀에 점토나 시멘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불연성 경량입자를 더 포함하여 만들어진 강성블록 재료를 부어 양생시켜서 강성블록을 만드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 강성블록 내에 전기발열선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은, 강성블록 재료를 부어 양생시켜서 강성블록을 만드는 단계전에 강성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에 파손 방지를 위한 보호덮개가 강성블록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또는 내설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강성블록 재료를 부어 양생시켜서 강성블록을 만드는 단계 전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분에 전열블록 상호 간의 전기배선을 위하여 배선공간부가 측면 전체 또는 층구조로서 형성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전열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이 마감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강성블록 형태의 틀에 전기발열선을 배열하는 단계전에 틀에 먼저 마감재 재료를 부어 형성하거나, 또는 시멘트혼합물을 부어 양생시켜서 강성블록을 만드는 단계 이후에 마감재 재료를 부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성블록 재료는 시멘트 계열 성분 또는 점토 계열 성분 1 kg 기준으로 100-300 그람의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시멘트 계열 성분은 일반 시멘트나 시멘트모르타르, 시멘트콘크리트는 물론 일반 시멘트보다 강도가 강화된 강화시멘트, 일반 시멘트보다 빨리 경화되는 초속경시멘트(또는 초속경몰탈)나, 시멘트모르타르에 유동화제를 첨가한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점토 계열 성분은 점토, 황토, 골재 입자, 플라시트 입자를 어느 하나 이상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경량입자는 불연성 재질로서 플라스틱 입자나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입자를 하나 이상 사용하는 것, 그리고 상기 마감층은 시멘트나 점토나 황토를 포함한 것으로서 강성블록과 잘 결합될 수 있는 층으로, 상기 마감층이나 상기 강성블록 중 어느 하나가 반경화이상 경화된 상태에서 다른 마감층이나 강성블록이 경화되어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 우레탄 등을 사용하여 화재 위험이 있는 기존 전열 판넬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시멘트 등의 불연재료를 사용하여 전기발열선에 누전 등이 발생하여도 안전하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시멘트 등의 불연재료와 불연 경량입자를 혼합 사용하여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시멘트와 함께 불연 경량입자를 틀에 넣어 양생시키면서 블록을 만들 수 있어 별도의 가공 없이 전기발열선과 외부 연결용 전기배선을 함께 매설하고 일체로 만들 수 있어 별도의 가공 작업이 필요 없어 제작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주 재료로서 시멘트 등의 값싼 재료를 사용하고 전기발열선을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며 양생 공정으로 만들어지므로 가열 등에 의한 전기발열선의 손상 가능성이 없어 안전하게 만들면서도 제작비용이 저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마감층과 전열하는 강성블록층으로 구분되어 별도의 마감재 없이 타일과 같은 바닥재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마감층으로 기존의 타일을 사용하여 그 위에 강성블록을 바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적으로 타일과 같이 보이는 전열블록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강성블록에 메시망을 추가하여 강성블록의 강도를 증가시켜 작업시나 사용시 충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모서리나 가장자리에 덮개를 구비하여 파손이나 부스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벽체에 석고보드 대신 붙여서 실내용 난로 대용으로서 난방용 보드로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콘트롤러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외벽에 단열이 되므로 단열벽 내부에 부착하면 전열 및 내장으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전면이 아니라 벽면 이나 바닥면 일부에도 벽돌이나 칸막이 대신 설치하여 실내용 난방에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기존의 전열 판넬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새롭게 설치방법을 습득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의 실물 외관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열블록(100)을 만들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열블록(100)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4a) 및 A-A에 따른 단면도(4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열블록이 4개가 배열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을 배열할 때 사용되는 배선보호덮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의 측면의 보호덮개들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에 도 7(a)나 도 7(b)의 보호덮개가 사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열블록에 도 7(c)의 보호덮개가 사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에서 보호덮개가 사용된 예로서 그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전열블록(100)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 11(a) 및 A-A에 따른 그 단면을 나타내는 도 11(b)이다.
도 12는 도 11의 배선공간부(99)가 한쪽에 만들어진 전열블록의 사진이다.
도 13은 위의 전열블록(100)에서 강성블록(20)의 하부에 마감층이 추가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마감층(50)이 형성된 전열블록(100)의 평면 사진(14a) 및 그 배면 사진(14b)이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불연성 경량입자를 포함한 강성블록내에 전기발열선이 매설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강성블록은 일 예로서 시멘트를 주재료로 이용해서 블록형태로 만들어진 시멘트블록으로, 용이하게 운반 설치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시멘트 또는 시멘트모르타르 등의 자연상태에서 별도의 고온의 가열 없이 양생 등으로 경화되어 강성체가 되는 불연재료를 주재료로 이용해서 만들어진 강성블록은 강도가 높고 화재위험도 없으며 틀에 넣어 양생 성형하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멘트블록과 같은 강성블록에 전기발열선을 배열한 상태로 전열블록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기발열선이 매설되는 강성블록을 만들기 위하여 시멘트를 주 재료로 하여 모래나 골재, 황토 등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만드는 데 사용이 가능한 기존의 여러 일반 골재입자와, 이 일반 골재 입자보다 경량이며 비중이 낮은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등의 불연성의 경량입자를 포함하고, 이들 재료를 혼합한 시멘트혼합물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블록은 통상의 시멘트모르타르나 시멘트콘크리트를 만드는 것과 같이 상기 시멘트혼합물을 양생하여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시멘트 및 일반 골재입자로는 방수 및 발수 기능 있는 고유동 폴리머 시멘트(모르타르) 조성물이나 초속경 시멘트나 또는 소위 셀프레벨링모르타르(자동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리고 불연성 경량입자는 작업성을 위해서 강성블록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사용되며 화재 위험성을 막기 위하여 불연성 입자로서 화산석, 마그네슘보드용 입자나 활석 또는 펄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강성블록은 바람직한 예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내부의 전기발열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자연상태의 상온에서 양생이 쉬운 시멘트를 주 재료로 사용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시멘트와 같이 전기발열선에 손상이 가지 않고 내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재료들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점토나 황토 등도 시멘트에 섞어서 같이 양생도 될 수 있고, 일반 골재를 시멘트 대신 다른 접착성액체에 분산하여 시멘트와 같이 굳혀서 사용할 수 도 있으며, 또한 내열성 플라스틱 재료를 상온 보다 약간 높은 온도 환경에서 자외선 경화 등의 방법으로 전기발열선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강성블록을 만들 수도 있다. 다만 상온 보다 높은 온도에서 강성블록을 만드는 경우 전기발열선은 테프론이나 유리섬유로 코팅된 발열선을 사용하는 게 좋다.
또한, 단순히 시멘트 모르타르에 경량입자만을 혼합하여 시멘트블록을 만들 경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라짐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강도가 약해져 파손되거나 또는 블록 내부의 전기발열선이 단선 되는 등의 하자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강도의 강화를 위하여 유리섬유 등의 메쉬망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발열선을 기준으로 위 아래 두개의 망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강성블록에 마감층을 더 추가하여 별도의 마감재 없이 타일과 같은 바닥재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전기발열선은 면상발열체 등 전기 발열이 가능한 것들이 다 사용될 수 있지만 선상발열선이 강성블록 내에 잘 결합될 수 있어 바람직하며 특히 방수 처리가 된 전열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각 전열블록들을 쉽게 배열할 수 있도록 넓고 얇은 직육면체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그리고 전기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두 모서리에는 모따기 한 형상과 같은 배선공간부를 구비한다. 이 배선공간부에는 배선보호덮개가 결합되거나 나란히 배치된다. 강성블록에 마감층이 더 포함되는 경우 전열되는 강성블록에만 배선공간부를 형성하고 배선보호덮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열블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의 강성블록은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는 시멘트블록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에서는 강성블록의 주재료로는 시멘트 계열 성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의 실물사진으로서 전체적으로 강성블록(20)과 그 외부에 전원선(10)이 나와 있을 뿐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은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전원선(10)이 강성블록(20)내부의 전기발열선(30)과 연결되어 있는 단순 구조로서 강성블록(20)은 내부의 전기발열선(30)의 발열에 의해 전체적으로 온돌과 같이 발열하게 된다. 또한 강성블록(20)은 그 특성상 내부의 전기발열선(30)에서 합선이나 단선 등이 발생해도 화재의 위험성이 없다. 온돌과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서 강성블록(20)을 만들 때 시멘트 외에 다른 황토 등의 원적외선 발산 물질이나 다른 다양한 건강 물질들을 추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로서의 전열블록(100)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데,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두 개의 전원선(10)이 전기발열선(30) 끝에서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전기배선은 종래의 다양한 전열패널 등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발열선(30)은 일반 기존 전열패널과 같이 긴 길이방향 왕복하며 배치되었다.
도 2와 같이 금형 또는 목형 등의 소정의 틀(90)에 전원선(10)과 전기발열선(30)이 방수처리되도록 연결하고 시멘트를 주재료로 한 블록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을 부어 블록형태로 양생시켜서 건조시키면 강성블록(20)이 완성되어 도 1의 전열블록(100)이 완성될 수 있다. 물론 전원선(10)과 전기발열선(30)은 방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방수 연결하면 된다. 만일 강성블록 자체가 방수성능을 보유한 재질로서, 예를 들면 시멘트, 황토나 점토 등을 접착액 등을 이용하여 방수 성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강성블록을 만들거나 플라스틱 계열의 강성블록이면 전원선(10)과 전기발열선(30)은 방수 연결이 필요없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내부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전열블록(100)을 만들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는 도 2의 예에서 메쉬망(40)이 추가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열블록(100)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4a) 및 A-A에 따른 단면도(4b)이다. 도 3의 예에서는 전기발열선(30)이 메쉬망(40)위에 고정선(41)에 의해 연결되었다. 도 2의 금형 또는 목형 등의 소정의 틀(90)에 전원선(10)과 전기발열선(30)을 메쉬망(40)에 고정선(41)에 의해 배치시키고 시멘트혼합물을 부어 양생시켜서 블록형태로 만들면 도 1의 전열블록(100)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쉬망(또는 메쉬층, 40)은 유리섬유나 불연성 섬유조직 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금속 재질의 메쉬망도 사용이 가능하나 무게나 제작의 편의성을 고려할 때 유리섬유 재질의 메쉬망이 바람직하다. 메쉬망(40)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전기발열선(30)의 배열고정이나 강성블록(20)의 강도 강화 및 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쉬망(40)이 없는 경우 강성블록(20)이 외부의 충격에 쉽게 갈라지거나 부스러질 수 있으므로 메쉬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메쉬망(40)을 강성블록(20)의 내부에 보이지 않도록 배치하기 위하여 전기발열선(30)을 고정시키는 고정선(41)을 공간 확보를 위해서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정선(41)을 이용해서 바닥으로부터 메쉬망(40)을 띄우면서 전기발열선(30)과 결합시킬 수 있는 데, 즉 고정선(41) 끝 단부를 바닥쪽으로 지지하면서 메쉬망(40)을 바닥으로부터 띄울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의 사용이 가능하다. 고정선(41)도 내열성이 강하고 강도가 있으면서 잘 구부러질 수 있는 철사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이 가능하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2와의 차이는 전열블록(100)의 강성블록(20)을 만들기 위하여 전원선(10)과 전기발열선(30)이 메쉬망(40)위에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 메쉬망(40)은 전기발열선(30)을 기준으로 상 하면에 2층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선(41)을 이용하여 전기발열선(30)을 메쉬망(40)에 잘 고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은 얇고 넓은 직육면체를 기본으로 한다. 그 크기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길이는 약 1000 mm - 2500 mm, 넓이는 500 - 1500 mm, 높이는 5 - 20 mm 정도의 범위에서 기존의 패널 규격을 참고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좁은 폭의 양쪽 모서리에 모따기 형식으로 배선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5와 같이 전기 배선의 보호를 위한 배선보호덮개(91)가 이 배선공간부를 메우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열블록이 4개가 배열된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의 배선공간을 위한 부분의 형태에 대응하는 삼각형 형태의 배선보호덮개(91)가 그 부분을 메워서 빈 공간을 덮으므로 바닥난방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을 배열할 때 사용되는 배선보호덮개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a)는 기본형으로서 하나의 전열블록(100)의 한 쪽 배선공간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배선보호덮개(91)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덮개의 다른 예로서의 평면도이며, 도 6(a)의 배선보호덮개(91)의 두 배의 면적을 메울 수 있는 크기의 배선보호덮개(91)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덮개의 또 다른 예로서의 평면도이며, 도 6(a)의 배선보호덮개(91)의 네 배의 면적을 메울 수 있는 크기의 배선보호덮개(91)이다. 모든 덮개는 도 6(a)와 같이 배선공간에 해당하는 상면부분(91a)과 바닥에 접촉 지지할 수 있는 부분(91b)과 측면으로는 전기선들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91c)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배선보호덮개는 기존의 전열패널에서 사용되는 덮개들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의 측면의 보호덮개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의 보호덮개(80)는 강성블록(20)의 가장자리의 상 하부에 배치하는 것으로 아래 보호덮개(80)는 틀(90)의 바닥에 놓고 시멘트 모르타르를 붓고 위 보호덮개(80)를 대향되도록 배치하여 양생하면 된다. 보호덮개(80)는 시멘트 모르타르와 잘 결합되도록 돌기(81)부 및 외부와의 접촉 등에 의해 강성블록(20)의 보호를 위한 보호면(8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의 보호덮개(80)는 상 하부의 일체형으로 틀(90)에서 4면의 모서리 부분에 바로 놓고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 양생하여 강성블록(20)을 만들 수 있다. 도 7(c)의 보호덮개는 본 발명의 전열블록의 측면의 보호덮개의 또 다른 예로서, 도 7(b)의 보호덮개(80)와의 차이는 도 7(c)의 보호덮개(80)는 강성블록(20)의 일 측면 가장자리를 모두 덮어서 보호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7(c)에서는 길이가 긴 보호덮개(80)를 도시한 것이다.
보호덮개(80)의 형상은 전열블록(10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공간을 위한 모서리 부분에는 그 외형에 따라 형상을 변형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간단하게는 전열블록(100)의 강성블록(20)의 가장자리나 모서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이 도 7(a)나 도 7(b)의 보호덮개가 사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부 및 하부에는 도 7(a)나 도 7(b)의 형태의 보호덮개(80)가 사용된 것이나 중간의 배선공간부는 그 형상에 따라 형태가 변형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열블록이 도 7(c)의 보호덮개가 사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예에서는 도 7(c)의 보호덮개(80)가 좁은 측면의 가장자리를 덮어서 강성블록(20)을 보호한다. 배선공간을 위한 배선보호덮개가 있는 부분은 그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덮개(91)가 빈 공간을 메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열블록에서 보호덮개가 사용된 예로서 그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전열블록(100)은 도 7(a)의 보호덮개(80)가 일 모서리의 상 하에 각각 배치되어 강성블록(20)을 보호하는 것을 도시한다. 보호덮개(80)는 강성블록(20)내에 숨겨져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틀(90)에 상기 보호덮개(80)를 배치시킬 때 바닥과 상부에 간격을 두어 시멘트혼합물에 모두 잠기도록 붓고 양생하면 외면에는 잘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도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게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전열블록(100)의 내면을 나타내는 도 11(a) 및 A-A에 따른 그 단면을 나타내는 도 11(b)이다. 도 4와 비교하면 배선보호덮개용 공간인 배선공간부(99)가 모서리 전체가 아닌 일부에만 층구조 형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하여 배선공간부(99)가 도(11a)도면 기준으로는 위 부분에 생기고 아래 부분에는 막히는 구조이다. 도 12는 도 11의 배선공간부(99)가 한쪽에 만들어진 제품의 사진이다. 도 12(a)와 같이 우측 상부 모서리에는 배선공간부(9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이며 그 반대면인 도 12(b)에는 배선공간부(99)가 보이지 않도록 처리되었다. 도 11(b)에서와 같이 배선공간부(99)는 상부공간에만 형성되고 아래는 막혀있도록 틀(90)이 만들어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와 같은 전열블록(100)이 만들어진다. 도 11(b)에서와 같이 하부의 메쉬망(40)은 배선공간부(99) 하부에 배치되어 배선공간부(99)의 아래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만일 메쉬망(40)을 하나만 사용한다면 배선공간부(99)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도 13은 위에서 설명한 전열블록(100)에서 강성블록(20)의 하부에 마감층이 추가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마감층(50)이 형성된 전열블록(100)의 평면 사진(14a) 및 그 배면 사진(14b)이다. 도 12(b)의 사진도 본 발명의 마감층(50)이 형성된 것으로서 그 배면과 표면의 조도나 거칠음 등 마감의 차이가 확연히 나타나 있다.
마감층(50)의 형성은 배선공간부(99)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모서리 전체가 아닌 층구조로 형성되는 전열블록(100)의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에서는 강성블록(20)이 마감층(50)과 일체로 결합하고 있다. 마감층(50)은 그 표면이 고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에서 설명한 강성블록(20)의 표면에 코팅이나 무늬목을 부착하는 것과는 다른 층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강성블록을 만드는 방법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강도가 높은 마감층(50)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마감층(50)을 구비하면 별도의 마감재 작업 없이도 바닥재 겸용으로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 시공이 가능해진다.
먼저 강성블록(20) 위에 마감을 위해서 페이트를 칠하거나, 별도의 코팅층을 만들거나, 또는 무늬목을 부착하거나 하는 등의 기존의 다양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마감층을 강성블록(20)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마감층(50)에도 별도의 코팅이나 페인팅 또는 무늬목의 부착 등이 가능해지며 마감층(50)의 표면이 고르므로 더욱 이러한 추가 마감작업이 용이해지고 견고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감층으로 기존의 타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일은 바닥, 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만든 평판상(平板狀)의 점토질 소성제품으로, 내장(內裝)타일 외장타일 모자이크 타일 내산 타일 바닥 타일 염전 타일 쿼리 타일 등이 있고, 시유(施釉) 또는 무유로 제조공정 중에 적열(赤熱)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특별한 물리적 성질 및 특징을 가지게 한 것으로 고온에서 만들어진다. 그리하여 강성블록을 타일과 같이 만들 경우, 내부의 전기발열선이 열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지만, 마감층의 대용으로 타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는 타일위에 강성블록을 양생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좋은 전열블록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유의 미감과 강도를 구비한 마감층(50)과 이 마감층(50)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의 마감층(50)은 바람직하게는 시멘트를 주 재료로 하여 강성블록(20)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즉, 마감층(50)의 표면이 고르며 곱고 마감재로서 그대로 쓰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여 최대한 고운 분말 재료들을 혼합하여 별도 층으로 만드는 것이다. 다만 강성블록(20)과 잘 결합될 수 있다면 시멘트 없이 마감층(50)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조비용이나 표면강도 그리고 강성블록(20)과의 결합력을 고려할 때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한 마감층(50)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열블록은 마감층(50)과 전기발열선(30)을 포함한 강성블록(20)으로 구분되도록 한 것으로서, 마감층(50)과 강성블록(20) 모두 양생이 가능해서 별도의 마감재 없이 타일과 같은 방식의 바닥재로서도 겸용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마감층(50)과 강성블록(20)의 재료에서 차이가 있을 뿐 만드는 방법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마감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마감층(50)의 재료가 부어지는 바닥면을 표면이 고르고 단단한 바닥면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금속면이나 유리면이 좋다. 그리고 반대로 마감층을 마지막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표면이 고르게 잘 형성되도록 묽게 (시멘트)혼합물을 만드는 것이 좋다.
여기서, 마감층(50)을 만드는 방법은 틀(90)의 바닥에 먼저 마감층(50)을 형성하기 위한 시멘트 등의 고운 입자를 주재료로 한 마감층용 혼합물을 붓고 어느 정도 굳혀서 반경화시키고 그리고 강성블록(20)을 만들기 위한 시멘트혼합물을 부어 최종경화되도록 양생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먼저 틀에 강성블록(20)을 만들기 위한 시멘트혼합물을 부어 반경화시키고 최종적으로 마감층(50)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그 위에 부어서 최종경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마감층의 표면이 잘 형성되도록 가급적 묽은 형태로서 점도가 낮아 잘 퍼져서 자연스럽게 표면의 평면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마감층(50)이 나중에 양생되는 경우, 즉 강성블록위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마감층용 재료, 예로서 시멘트혼합물,을 붓고 그 위에 폴리머나 기름층 등 다른 코팅층 등을 더 만들어 최종 경화시키는 것도 좋다. 특히 기름층은 물과 섞이지 않으므로 서서히 굳으면서 원하는 표면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반경화란 먼저 경화 또는 양생되는 재료인 (시멘트)혼합물이 어느 정도 굳어진 상태에서 그 위에 다른 재료인 시멘트혼합물이 부어져도 서로 섞이지 않을 정도로 층이 구분되어 경화되는 상태이다. 즉 두 층이 섞이지 않고 별개로 존재 될 수 있을 정도로 경화 또는 양생된 것을 의미한다. 물론 먼저 경화 또는 양생되는 시멘트혼합물이 완전히 경화된 뒤에 다시 다른 시멘트혼합물이 부어져도 되지만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고 그리고 최종 양생 또는 경화시키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반 경화후 다른 시멘트혼합물이 부어져서 함께 경화되는 것이 좋다. 또한 마감층(50)을 먼저 반경화 시키는 경우 메쉬망(40)을 그 위에 놓고 전기발열선(30)을 배치하면 용이하게 강성블록(20)내에 메쉬망(40)과 전기발열선(30)을 잘 매설할 수 있다.
마감층(50)을 형성하는 경우 마감층용 재료와 강성블록(20)을 만들기 위한 시멘트혼합물이 서로 섞이지 않는 경우라면 반경화 단계 없이 순서대로 부어 한 번에 양생할 수도 있다. 특히 마감층용 재료로서 시멘트혼합물은 강성블록과 잘 결합되도록 시멘트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접착제를 혼용한다면 마감층(50)은 반드시 시멘트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황토나 다른 다양한 원하는 다른 재료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면의 조도를 위해서 고운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일을 마감층으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타일의 바닥에 강성블록을 직접 양생 결합하여 일체화 할 수 있다. 타일도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 질수 있으므로 이러한 타일 위에 틀(90)을 배치하고 타일바닥을 틀의 바닥으로 하여 강성블록을 양생하도록 하거나 또는 틀(90)의 바닥에 타일을 놓고 그 위에 강성블록을 양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일위의 강성블록내에 전기발열선을 매설할 수 있는 정도에서 최대한 얇은 두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의 외관 및 내부 구조 위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주요 구성요소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강성블록(20)에 일부가 매설되고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선(10)은 기존의 전기선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 모르타르내에 매설되므로 방수성능은 물론 시멘트에 잘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피복된 전선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10)과 연결되는 전기발열선(30)은 기존의 다양한 선상 전기발열체들이 다 사용이 가능하나 역시 시멘트에 매설되므로 방수와 시멘트에 잘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피복된 전기발열선이 좋다. 또한 발열이 되므로 전선 위에 폴리머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피복보다는 테프론이나 유리섬유로 피복된 발열선이 좋다. 그리고 시멘트 내성이 강한 금속관으로 외부로 마감하거나 금속코팅을 할 수 있으면 열의 전달을 강성블록(20) 전체에 빨리할 수 있어 좋으나 일반 동이나 알루미늄은 표면처리를 잘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내에 매설되어도 잘 견딜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강성블록은 시멘트 계열 성분 또는 점토 계열 성분과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시멘트 계열 성분은 일반 시멘트나 시멘트모르타르, 시멘트콘크리트는 물론 일반 시멘트보다 강도가 강화된 강화시멘트, 일반 시멘트보다 빨리 경화되는 초속경시멘트(또는 초속경몰탈)나, 시멘트모르타르에 유동화제를 첨가한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점토 계열 성분은 점토, 황토, 골재 입자, 플라시트 입자를 어느 하나 이상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경량입자는 불연성 재질로서 플라스틱 입자나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입자를 하나 이상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강성블록(20)은 불연재료로서 강도를 구비한 다양한 블록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제작 비용 및 제작 과정과 강도를 고려할 때 시멘트나 시멘트 모르타르를 기본 주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결합력이 강한 시멘트를 주 재료로 하는 경우 일반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들 수도 있지만 강도가 세고 잘 부수러 지지 않는 강화시멘트나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하거나 소위 셀프레벨링모르타르라고 하는 자동모르타르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바람직한 초속경 시멘트는 주재와 물이 1:0.2~0.21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조성물로, 상기 주재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25~28 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5~10 중량부, 무수석고 8~11 중량부, 세골재 43~47 중량부, 무기 충전재 5~8 중량부, 소포제 0.1~2 중량부, 증점제 0.001~0.2 중량부, 경화촉진제 0.001~0.04 중량부, 유동화제 0.01~0.5 중량부, 응결지연제 0.01~0.3 중량부, 고분자합성수지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런 초속경 시멘트는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66298호의 내용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소위 자동모르타르라고 불리우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셀프레벨링 모르타르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흘려 넣기만 하면 표면이 평탄해지는 성질을 구비한 부정형 재료에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시멘트 모르타르 등에서는 유동화제를 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시멘트모르타르이다.
또한, 강화시멘트로는 제 1 종래의 미네랄 성분 및 분말상 소석회를 기초로 한 제 2 성분을 포함하고, 분말상 소석회를 기초로 한 상기 제 2 성분은 BET 방법에 따라 계산된, 12 m2/g 미만, 유리하게 11m2/g 미만, 특히 10 m2/g 미만, 바람직하게 9 m2/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는 주재와 에멀젼이 1:0.2~0.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주재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28~33 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5~10 중량부, 무수석고 5~8 중량부, 세골재 40~45 중량부, 무기 충전재 10~15 중량부, 소포제 0.1~2 중량부, 증점제 0.001~0.2 중량부, 경화촉진제 0.001~0.05 중량부, 유동화제 0.01~0.5 중량부, 응결지연제 0.01~0.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은 물 48~52 중량부, 아크릴레진 47~51 중량부, 소포제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는 주재와 물이 1:0.2~0.215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상기 주재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25~28 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5~10 중량부, 무수석고 8~11 중량부, 세골재 43~47 중량부, 무기 충전재 5~8 중량부, 소포제 0.1~2 중량부, 증점제 0.001~0.2 중량부, 경화촉진제 0.001~0.04 중량부, 유동화제 0.01~0.5 중량부, 응결지연제 0.01~0.3 중량부, 고분자합성수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존의 시멘트를 이용한 다양한 재료들이 강성블록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강성블록(20)에는 경량의 펄라이트와 같은 무기질 불연입자로서 경량입자가 포함되는 데, 위의 시멘트 계열 성분 1 kg 기준으로 100-300 그람의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이 혼합물이 잘 양생될 수 있도록 적당량의 물에 혼합하여 틀에 부어 사용하면 되고, 적당량으로는 양생시간 등을 고려할 때 약 3-4 리터가 블록화에 좋다. 또한, 점토 계열 성분도 시멘트 계열 성분과 동일한 함량으로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포함하면 되는데, 이때 적당량의 접착성액체에 혼합하여 틀에 부어 성형하면 된다. 접착성액체는 기존 접착성액체로서 점토 계열 성분과 혼합되어 적정 시간 내에 경화될 수 있는 여러 액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입자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불연성 경량입자도 같은 플라스틱입자로서 사용하여 자외선 경화등으로 성형 경화 시켜 강성블록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경량입자는 불연성의 가벼운 입자로서 위의 시멘트 재료에 잘 섞이며 강성블록(20)의 표면이 매끈하게 잘 나올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경량입자는 펄라이트가 특성상 가장 바람직하나, 불연성 재질로서 플라스틱 입자나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입자, 다양한 무기질 입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강성블록의 주재료로서 시멘트를 사용함에 있어, 초속경 시멘트나 유동화제가 포함된 자동 모르타르는 가급적 강성블록(20)의 표면을 고르게하면서도 빨리 건조되고 경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시멘트모르타르에 경량입자를 포함하여 만들어도 되며 각 성분의 배합비는 무게와 양생 시간을 고려한 것으로서, 만일 일반 시멘트모르타르와 경량입자만으로 강성블록을 만든다면 함량비나 시간은 변경될 수 있고 양생 시간도 오래 걸릴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강성블록은 불연재료로서 그 내부에 전기발열선을 매설하여 소정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전기 발열온도를 견딜 수 있고 그리고 상온이나 전기발열선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일체로 경화시킬 수 있는 블록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점토나 황토 등도 시멘트에 섞어서 같이 양생도 될 수 있고, 입자가 고운 골재를 시멘트 대신 다른 접착성액체에 분산하여 시멘트를 대체하여 굳혀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내열성 플라스틱 재료를 상온 보다 약간 높은 온도 환경에서 자외선 경화 등의 방법으로 전기발열선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강성블록을 만들 수도 있다. 다만 상온 보다 높은 온도에서 강성블록을 만드는 경우 전기발열선은 테프론이나 유리섬유로 코팅된 발열선을 사용하는 게 좋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타일은 온돌 효과도 낼 수 있는 좋은 재료로서 강성블록으로는 사용이 곤란하지만 마감층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은 강성블록(20)의 표면에 색을 칠하거나 별도의 마감재로서 무늬목 시트지를 부착 코팅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에 단열처리를 하고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을 배열 및 배선을 완료하는 것이며, 마감층이 없는 경우에는 바닥마감재로서 강화마루나 데코타일, 비닐 장판 등 다양한 기존의 마감재로 최종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블록(100)을 벽면에 석고보드 등과 같이 배치하는 경우에는 벽지 등으로 최종 마감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벽에 사용하는 경우 마감층을 구비한 전열블록을 사용하는 경우 더욱 쉽게 마감재 없이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전열블록
10 : 전원선
20 : 강성블록
30 : 전기발열선
40 : 메쉬망
50 : 마감층
99 : 배선공간부

Claims (15)

  1. 전기로 발열하는 전기발열선 및 그 내부에 전기발열선을 매설하여 소정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전기 발열온도를 견딜 수 있고 그리고 상온이나 전기발열선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일체로 경화시킬 수 있는 불연재질의 강성블록을 포함하는 전열블록으로서,
    상기 강성블록에 시멘트나 점토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불연성 경량입자를 더 포함하여 강성블록을 만들고, 그리고
    이 강성블록내에 전기발열선을 배치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블록은 시멘트 나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지는 강성블록이며, 그리고
    상기 강성블록 내부에는 한 층 이상의 메쉬망이 포함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강성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에 파손 방지를 위한 보호덮개가 강성블록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또는 내설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으로 유리섬유 조직의 메쉬망이 사용되며,
    상기 전열블록은 얇은 패널형태로서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분에 전열블록 상호간의 전기배선을 위하여 배선공간부가 측면 전체 또는 층구조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배선공간부에는 배선보호덮개로서 메워져 얇은 패널 형태가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열선은 테프론이나 유리섬유로 피복된 발열선이며,
    상기 강성블록은 시멘트 계열 성분 또는 점토 계열 성분 1 kg 기준으로 100-300 그람의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시멘트 계열 성분은 일반 시멘트나 시멘트모르타르, 시멘트콘크리트는 물론 일반 시멘트보다 강도가 강화된 강화시멘트, 일반 시멘트보다 빨리 경화되는 초속경시멘트(또는 초속경몰탈)나, 시멘트모르타르에 유동화제를 첨가한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점토 계열 성분은 점토, 황토, 골재 입자, 플라시트 입자를 어느 하나 이상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경량입자는 불연성 재질로서 플라스틱 입자나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입자를 하나 이상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블록은 강성블록에 마감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열선은 테프론이나 유리섬유로 피복된 발열선이며,
    상기 강성블록은 시멘트 계열 성분 또는 점토 계열 성분 1 kg 기준으로 100-300 그람의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시멘트 계열 성분은 일반 시멘트나 시멘트모르타르, 시멘트콘크리트는 물론 일반 시멘트보다 강도가 강화된 강화시멘트, 일반 시멘트보다 빨리 경화되는 초속경시멘트(또는 초속경몰탈)나, 시멘트모르타르에 유동화제를 첨가한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점토 계열 성분은 점토, 황토, 골재 입자, 플라시트 입자를 어느 하나 이상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경량입자는 불연성 재질로서 플라스틱 입자나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입자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마감층은 시멘트나 점토나 황토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형성되는 층으로서 강성블록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이나 상기 강성블록 중 어느 하나가 반경화이상 경화된 상태에서 다른 마감층이나 강성블록이 경화되어 일체가 되거나, 또는
    상기 마감층이 타일로서 상기 타일 위에 상기 강성블록이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
  9. 전기로 발열하는 전기발열선 및 그 내부에 전기발열선을 매설하여 소정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전기 발열온도를 견딜 수 있고 그리고 상온이나 전기발열선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일체로 경화시킬 수 있는 불연재질의 강성블록을 포함하는 전열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성블록의 형태의 틀에 전기발열선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틀에 점토나 시멘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불연성 경량입자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강성블록 재료를 부어 강성블록을 만드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 강성블록 내에 전기발열선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열선을 배열하는 단계가 한 층 이상의 메쉬망을 먼저 배열하고 이 메쉬망에 전기발열선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틀에 강성블록 재료를 부어 강성블록을 만드는 단계 전에 강성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에 파손 방지를 위한 보호덮개가 강성블록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또는 강성블록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틀에 강성블록 재료를 부어 강성블록을 만드는 단계 전에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분에 전열블록 상호간의 전기배선을 위하여 배선공간부가 측면 전체 또는 층구조로서 형성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의 제조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열선은 테프론이나 유리섬유로 피복된 발열선이며,
    상기 강성블록 재료는 시멘트 계열 성분 또는 점토 계열 성분 1 kg 기준으로 100-300 그람의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시멘트 계열 성분은 일반 시멘트나 시멘트모르타르, 시멘트콘크리트는 물론 일반 시멘트보다 강도가 강화된 강화시멘트, 일반 시멘트보다 빨리 경화되는 초속경시멘트(또는 초속경몰탈)나, 시멘트모르타르에 유동화제를 첨가한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점토 계열 성분은 점토, 황토, 골재 입자, 플라시트 입자를 어느 하나 이상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경량입자는 불연성 재질로서 플라스틱 입자나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입자를 하나 이상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의 제조방법.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마감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강성블록 형태의 틀에 전기발열선을 배열하는 단계 전에 틀에 먼저 마감재층을 형성하거나,
    시멘트혼합물을 틀에 부어 양생시켜서 강성블록을 만드는 단계 이후에 마감재 재료를 부어 형성하거나, 또는
    강성블록 형태의 틀 바닥에 타일을 배치하거나 또는 강성블록 형태의 틀을 타일위에 배치하고, 그리고 상기 타일 위에 전기발열선을 배열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열선은 테프론이나 유리섬유로 피복된 발열선이며,
    상기 강성블록 재료는 시멘트 계열 성분 또는 점토 계열 성분 1 kg 기준으로 100-300 그람의 상기 불연성 경량입자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시멘트 계열 성분은 일반 시멘트나 시멘트모르타르, 시멘트콘크리트는 물론 일반 시멘트보다 강도가 강화된 강화시멘트, 일반 시멘트보다 빨리 경화되는 초속경시멘트(또는 초속경몰탈)나, 시멘트모르타르에 유동화제를 첨가한 셀프레벨링 시멘트모르타르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점토 계열 성분은 점토, 황토, 골재 입자, 플라시트 입자를 어느 하나 이상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경량입자는 불연성 재질로서 플라스틱 입자나 화산석, 마그네슘 입자, 활석, 펄라이트(perlite) 입자를 하나 이상 사용하며,
    상기 마감층은 시멘트나 점토나 황토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형성되는 층으로서 강성블록과 일체로 결합되는 층이며, 그리고
    상기 마감층이나 상기 강성블록 중 어느 하나가 반경화 이상 경화된 상태에서 다른 마감층이나 강성블록이 경화되어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80053071A 2018-05-09 2018-05-09 전열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 KR20180120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71A KR20180120121A (ko) 2018-05-09 2018-05-09 전열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71A KR20180120121A (ko) 2018-05-09 2018-05-09 전열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717A Division KR101869941B1 (ko) 2017-04-26 2017-04-26 전열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121A true KR20180120121A (ko) 2018-11-05

Family

ID=6432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071A KR20180120121A (ko) 2018-05-09 2018-05-09 전열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01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470A (ko) * 2018-11-21 2020-05-29 옥 자 윤 경량전열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470A (ko) * 2018-11-21 2020-05-29 옥 자 윤 경량전열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748B2 (en) Electrical panel heating device and method and building materials for the protection thereof
JP5290771B2 (ja) 施工パネル
KR100991196B1 (ko)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
CN103526874B (zh) 保温装饰一体化复合混凝土预制构件及其制造方法
CN104652668A (zh) 铠装一体化墙体及其施工方法
CN108149818A (zh) 一种装配式复合墙板及其制备方法
CN112459291A (zh) 一种预制保温结构一体化墙体结构及其施工工艺
RU247376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й панели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KR20180120121A (ko) 전열케이블 포함한 전열블록
KR101869941B1 (ko) 전열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26599B (zh) 一种二氧化硅气凝胶夹心石膏板及其制作方法
KR101703881B1 (ko)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KR102140100B1 (ko) 경량전열패널
CN213654069U (zh) 制冷用建筑保温装饰板
WO2007136287A1 (en) Construction elements and mounting procedures
CN204826481U (zh) 无机轻集料保温砂浆面砖饰面层
KR100472088B1 (ko) 조립식 난방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1389185B1 (ko) 건축물용 불연성 패널
CN204876414U (zh) 外墙外保温隔热装饰一体化涂层结构
CN204899079U (zh) 外墙内外保温隔热装饰一体化涂层结构
JP4669586B2 (ja) 土木構造体および土木構造体用外装構築部材
JPH08108412A (ja) 壁材の製造方法
CN219034148U (zh) 一种水泥墙面复合加固结构
CN217782697U (zh) 一种保温隔声板
KR101126647B1 (ko) 선박 방화구역의 내화용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