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109A -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한 액체 내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환의 진단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한 액체 내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환의 진단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109A
KR20180120109A KR1020180048007A KR20180048007A KR20180120109A KR 20180120109 A KR20180120109 A KR 20180120109A KR 1020180048007 A KR1020180048007 A KR 1020180048007A KR 20180048007 A KR20180048007 A KR 20180048007A KR 20180120109 A KR20180120109 A KR 2018012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contact surface
droplet
fa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840B1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Publication of KR2018012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13/02Investigating surface tension of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2013/003Diffusion; diffusivity between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13/02Investigating surface tension of liquids
    • G01N2013/0283Investigating surface tension of liquids methods of calculating surface t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은 a) 액체의 액적을 고체 표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초기 면적(A0) 및 상기 접촉면의 초기 직경(d0)을 측정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t) 경과한 후,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면적(At) 및 상기 접촉면의 직경(dt)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하기 식 1에 따라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 1]
Figure pat00018

(상기 식에서, n, m, N 및 M은 상수이다.)

Description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한 액체 내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환의 진단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QUANTIFYING THE CONTNET OF HYDROPHOBIC COMPONENTS CONTAINED IN LIQUID BY USING CONTACT AREA DIFFUSION FA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DIAGNOSING DISEAS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체의 고체 표면에 대한 접촉면 확산계수(Contact Area Diffusion Factor, CADF)를 이용하여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 구체적으로 지방 성분을 정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 구체적으로 당뇨병, 지방 색전증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상기 질환들의 발병 또는 경과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매에 대한 사회적 비용은 암, 심장 질환 및 뇌졸중에 대한 총 비용보다 높아졌으며, 국가별 치매 관련 의료 비용은 10년마다 두 배씩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영리 민간 연구 단체인 미국 토지 공사의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및 기타 치매 환자의 가족 및 사회 비용은 약 1,570억 달러로 추산되며, 치매 환자의 연간 치료 비용은 1인당 56,000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의 가장 흔한 증상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 미국에서 530만 명에 이르고 있으며, 6번째 사망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가의 치매 치료 비용에도 불구하고, 현재 의료 기술 수준으로 치매의 완치는 불가능한 상태이며,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정도에 불과하여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것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치매의 명확한 병리적 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환자 개인별 차이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료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 맞춤형 치료의 시작은 치매 환자의 진단이 편리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것에서 시작하며, 이를 통해 개인별 관리가 가능해 진다면 치매 환자의 증가와 비용 증가를 막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방 색전증은 외과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특히, 연간 수술 건수가 매우 많은 지방 흡입 및 정형외과 수술은 지방 색전증 발생 확률은 낮아도, 발병 시 사망률이 매우 높아 매년 많은 수의 사망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2009년 International Society for Aesthetic Plastic Surgery (ISAPS) 보고서에 공식 집계된 통계를 살펴 보면, 지방 흡입술은 전세계 적으로 21개의 성형 수술 중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성형 수술로서, 한국에서는 같은 기간 1.6백만 건 이상이 실시되었다.
지방 흡입술은 성형외과 수술 중 가장 자주 수행되는 수술이지만, 지방 흡입술 중에 발생하는 위험은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지방 색전증은 지방 흡입술 중에 손상된 혈관을 통해 지방이 혈류로 유입됨으로써 야기되며, 혈류로 유입된 지방은 폐 기능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고 다른 기관에도 침투할 수 있다. 지방 색전증의 상대적으로 낮은 발병 확률에도 불구하고, 발병 시 매우 높은 사망률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수 백 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 흡입술 시 발생할 수 있는 지방 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중 및 후에 혈류 중에 유입된 지방의 양을 수시로 측정해야 하나, 이러한 지방의 양을 정량하는 장치는 현재까지 개발된 것이 없다.
본 발명자들은 선행된 특허출원(한국특허출원 제10-2012-0147029호)에서 액체의 접촉면 확산계수(CADF) 및 이를 통해 액체 내 침투된 지방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언급한 바 있다. 상기 선행 출원에 기재된 CADF 측정 방법은, 고체 평면과 접촉하고 있는 액적 접촉면의 접촉지름 또는 접촉면적이 일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를 측정하거나 액체에 존재하는 지방 성분의 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CADF를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CADF측정 방법은, 접촉지름 및 접촉면적 중 어느 하나 만을 측정 변수로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므로, 액체의 접촉면 확산계수를 정확히 검출하기에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들이 존재하였다.
특히, 액적과 고체 간의 초기 접촉면이 원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 또는 일정한 시간 경과 후 접촉면의 외곽 형상의 변화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접촉면의 접촉지름 또는 접촉면적의 측정 시에 측정 오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촉면적만을 이용하여 CADF를 측정하는 경우, 액적의 접촉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액적의 수직 방향의 위 또는 아래에서 접촉면의 형상을 관찰함에 있어, 액적과 고체 간의 접촉면 경계선을 정확히 식별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구체적으로, 액적과 고체 표면 간의 접촉각이 90˚ 보다 큰 소수성 표면의 경우, 위 또는 아래 방향 어느 쪽에서 관찰하더라도 측정된 액적의 지름이 접촉면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액적의 외곽 경계선이 접촉면 경계선을 가리게 되어 접촉면의 경계를 정확히 분별해내기 곤란하였다.
액적과 고체 표면 간의 접촉각이 90˚ 보다 작은 친수성 표면의 경우에도 액적과 고체 표면 간의 경계가 연속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고체 표면과 수직 방향으로 위 또는 아래쪽에서 관찰하는 경우 그 경계를 정확히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액적과 고체 표면 간 접촉면의 접촉지름만을 이용하여 CADF를 측정하는 경우, 액적의 형상을 측면 방향에서 관찰하여 접촉면 양단을 식별하고 두 단부의 거리를 접촉지름으로 측정하게 되나, 접촉면의 형상이 정확하게 원형이 아닌 경우가 많아서, 이러한 접촉지름의 변화만으로 접촉면 확산계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어 오차를 발생시켰다.
상기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실제 산업적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요구되는 측정의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액적과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적과 접촉지름을 모두 변수로 포함하여 그 정확도가 개선된 접촉면 확산계수의 산정 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알려진 액적과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적에 기초한 접촉면 확산계수 산정 방법과 접촉지름에 기초한 접촉면 확산계수 산정 방법을 포괄하면서도, 정확도를 향상시킨 신규의 접촉면 확산계수의 산정 방법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액체의 고체 표면에 대한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이용하여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 구체적으로 지방 성분을 정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질환, 구체적으로 치매, 당뇨병 또는 지방 색전증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상기 질환들의 발병 또는 경과의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은 a) 액체의 액적을 고체 표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초기 면적(A0) 및 상기 접촉면의 초기 직경(d0)을 측정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t) 경과한 후,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면적(At) 및 상기 접촉면의 직경(dt)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하기 식 1에 따라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 m, N 및 M은 상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은 d) 상기 접촉면 확산계수 및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액적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k, C0, A, B, D, P 및 Q는 보정 상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는 체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액은 혈액, 혈청, 혈장, 땀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성분은 지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은 a) 판단 대상의 체액의 액적을 고체 표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초기 면적(A0) 및 상기 접촉면의 초기 직경(d0)을 측정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t) 경과한 후,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면적(At) 및 상기 접촉면의 직경(dt)을 측정하는 단계; c) 하기 식 1에 따라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접촉면 확산계수 및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액적에 함유된 지방 성분의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을 정상인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n, m, N 및 M은 상수이다.)
[식 2]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k, C0, A, B, D, P 및 Q는 보정 상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 대상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으로부터의 상기 정상인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의 차가 양수인 경우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이 높거나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을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액은 혈액, 혈청, 혈장, 땀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질환은 치매, 당뇨병 및 지방 색전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혈관성 치매, 혼합성 치매 및 경증 인지 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을 이용하면, 검사 대상으로부터 저렴하고 편리하게 수득할 수 있는 소변 등의 체액을 이용하여 상기 체액 중에 함유된 지방 성분의 함량을 보다 정확하고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방법은 액적과 고체 표면의 접촉면적과 접촉지름을 동시에 변수로 사용함으로써, CADF의 측정 정확도를 상승시키고, 접촉면적 또는 접촉지름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함으로써 초래되는 측정 오류 발생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액적과 고체 표면 간의 접촉 경계를 따라 작용하는 3종의 표면 장력을 나타낸다.
도 2는 지방 흡입술 이전(지방 성분을 함유하지 않음) 및 이후(지방 성분을 함유함)의 소변의 CADF 값을 비교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은 지방 흡입술 이후 0.5일마다 산정된 소변 시료의 CADF 값을 나타낸다.
도 4는 지방 흡입술 이후 지방 성분을 함유한 소변 샘플을 초순수 물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지방 함유 농도를 변화시키며 수득한 지방 성분의 농도와 CADF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에 의해 측정된 총 지방산의 농도 및 CADF 측정치를 보정하여 지방산 농도 변환 수식을 찾고 이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은 혈액 샘플 내 지방 성분 중 LDL 수치와 CADF 값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7은 정상인과 6개 질환의 환자들의 소변 내 지방 성분 함량을 GC법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DF법으로 측정하여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 때, 상기 6개 질환은 당뇨(DM), 알츠하이머병(AD), 파킨슨병(PDD), 혈관성 치매(VD), 혼합 치매(VD+AD), 경증인지장애(MCI)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농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본 발명에 실시 양태들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은 액체의 액적이 고체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나타내는 접촉면의 확산계수(CADF)를 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 예컨대, 지방 성분을 정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의 측정 원리에 대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γgl은 기체와 액체 사이의 표면 장력이고, γls는 액체와 고체 표면 사이의 표면 장력이며, γgs는 기체와 고체 표면 사이의 표면 장력을 의미한다. 또한, α는 액적의 고체 표면에 대한 접촉각이고, d는 액적과 고체 표면 간의 접촉지름을 의미한다.
액적이 고체 표면에 접촉하면 상기 세 가지 표면 장력은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액적으로부터 수분 등 휘발성 성분의 증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액적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고체 표면과의 접촉면적도 함께 감소한다. 따라서, 고체 표면에 접촉한 액적의 접촉면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정하거나 감소하게 되며, 접촉면적이 증가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전술한 세 가지의 표면 장력 간 균형이 깨지게 되면, 접촉면적의 확장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액체 중에 지방 성분이 포함된 수성 액적을 들 수 있다. 지방 성분은 일반적으로 물과 섞이지 아니하지만 소량의 경우에는 균일하게 물에 혼합될 수 있다. 일부 지방들은 물에 소량 용해될 수 있고, 콜로이드 형태로 물에서 안정적으로 혼합될 수도 있다. 지방이 수성 유체에 용해 되어있을 때, 상기 유체를 고체 표면에 액적 형태로 접촉시키면 기름 성분이 고체의 표면에 달라붙어 전술한 세 가지 표면 장력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
물의 표면 장력은 일반적으로 소수성 또는 친유성 물질의 표면 장력보다 강하다. 이 때문에 수성 유체에 용해되어 있던 소수성 성분이 고체 표면에 달라붙게 되면, 세 가지 표면 장력의 균형이 깨지면서 액적의 접촉면적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고체 표면에 붙는 소수성 성분, 예컨대, 지방의 양은 수성 유체 내의 지방 농도와 표면 흡착력에 비례한다.
소수성 표면에 소수성 성분인 지방을 포함하는 수성 액적이 접촉되면, 초기에는 지방 성분이 고체 표면에 거의 붙어 있지 않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방과 같은 소수성 물질은 소수성 고체 표면에 달라붙게 되어 액적과 고체 표면 사이의 표면 장력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액적과 고체 표면 사이에서 접촉면적 확산(CAD)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은 하기의 CADF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액체의 액적을 고체 표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초기 면적(A0) 및 상기 접촉면의 초기 직경(d0)을 측정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t) 경과한 후,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면적(At) 및 상기 접촉면의 직경(dt)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하기 식 1에 따라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수득하는 단계:
[식 1]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n, m, N 및 M은 상수이다.
상기 식 1은 무차원 형태의 CADF의 계산식이다. 여기서, At는 소정의 시간(t)이 경과한 후의 상기 액적의 접촉면적이고, A0는 초기 접촉면적이다. dt는 소정의 시간(t)이 경과한 후의 상기 액적의 접촉지름이고, d0는 초기 접촉지름을 의미한다.
상기 식 1에서, 상기 상수 n 및 m은 각각 접촉면 확산계수의 접촉면적과 접촉면 지름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결정하고, 상기 상수 N 및 M은 각각 접촉면적의 변화비율과 접촉지름의 변화비율의 접촉면 확산계수에 대한 비중을 기초로 결정한다. 각 상수는 접촉면 확산계수의 측정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액적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 예컨대 지방 성분의 함량(농도)이 높을수록 접촉면 확산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하여 지방 성분의 함량을 정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득된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하여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을 정량하는 방법은 하기의 함량 계산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d) 상기 접촉면 확산계수 및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액적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
[식 2]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k, C0, A, B, D, P 및 Q는 보정 상수이다. 상기 보정 상수는 각각 CADF와 지방 성분 함유량의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비교 보정을 통해 오차를 최소화하도록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액체"는 측정 대상이 되는 부피를 가지나 고정되지 않은 형상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액체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체내에 존재하는 체액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체액"은 인간 또는 동물의 혈액, 혈청, 혈장, 땀, 소변 등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소수성 성분" 또는 "친유성 성분"은 물에 대해 친화력이 작은 성분으로서, 극성을 띄지 않는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소수성 성분은 공기 중에 휘발되지 아니하고 표면 장력 등 액체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성분은 지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지방 (성분)"은 고상 지방, 액상 지방, 지방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상 또는 액상 지방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재배열되거나 무작위화된 지방, 에스테르 교환된 지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방산은 10 내지 22개, 예컨대, 12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모노-, 디- 또는 폴리- 불포화) 카복실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포화 지방산은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을,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올레산, 리놀산 또는 에루크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트랜스 지방"은 트랜스 지방산을 함유하는 불포화 지방을 의미한다. 트랜스 지방은 체내에서 L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혈액에서 H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트랜스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 식물성 오일의 부분적 수소화에 의해 통상적으로 생성되는 지방산을 의미한다. 이 때, 용어 "트랜스"는 불포화 지방이 부분적으로 수소화되었을 때 수소 원자가 대립하여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고체"는 액적이 올려질 수 있는 일정 이상의 평행면을 갖는 고체를 의미한다. 상기 고체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 고체, 예를 들어, 테플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방과 같은 소수성 성분은 소수성 표면에 잘 부착되기 때문에, CADF 측정 감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체로서 테플론 판을 사용하는 경우, 1ppm의 검출 분해능까지 수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액적의 접촉면적(A0, At)"은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의 표면이 직접 맞닿는 부분의 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액적의 접촉면적은 고체의 표면 상에 제공되는 센서를 이용하거나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의 표면의 접촉면을 일 방향, 예컨대 상기 고체의 하면에서 촬영 후 접촉면의 면적을 계산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액적의 접촉지름(d0, dt)"은 임의의 방향에서 관찰한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의 표면이 직접 맞닿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액적의 접촉지름은 고체의 표면 상에 제공되는 센서를 이용하거나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의 표면의 접촉면을 일 방향, 예컨대 측면에서 촬영 후 접촉지름의 길이를 계산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접촉각(α)"은 고체의 표면과 고체와의 접촉점으로부터 액적 반경에 접하는 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시간(t)"은 액적과 고체 표면 사이에서 접촉면적 확산(CAD) 현상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시간을 지칭하며, 예를 들어, 5분 내지 1시간, 예컨대, 10분 내지 30분, 예컨대 20분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t)는 지방 농도,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측정 조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지방 흡입술 이전(지방 성분을 함유하지 않음) 및 이후(지방 성분을 함유함)의 소변의 CADF 값을 나타낸다. 가로축은 경과된 시간(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CADF 값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변 중의 지방 함량에 대응하여, 소변 중에 지방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경우에는 CADF 값이 음수로, 소변 중에 지방 성분이 함유된 경우에는 CADF 값이 양수로 나타난다. 이를 이용하여, 액체에 함유된 지방 성분의 함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지방이 함유되지 않은 소변의 CADF 값은 음수로 측정된다. 즉, 접촉각이 유지되므로 물이 증발함에 따라 지방이 함유되지 않은 소변 액적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지름이 감소한다. 이와 달리, 지방을 함유하는 소변의 CADF 값은 양성로 측정된다. 즉,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액적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지름이 초기 액적보다 확대된다.
도 3은 지방 흡입술 실시 후 0.5일마다 수집된 소변 시료의 CADF를 나타낸다. 시료 당 CADF를 4회 측정하여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하였다.
도 3에 따르면, 지방 흡입술 실시일로부터 2.5일 후에 채취한 소변 시료의 CADF가 가장 크고, 3.5일 후에는 음수가 되었다. 이는 지방 흡입술을 받은 환자가 평균적으로 3일 후에 회복한다는 사실과 잘 부합한다. 또한, 압박 붕대나 수액 주입 등의 의료 처치의 영향이 CADF 값에 나타날 정도로 소변에 함유된 지방산 함량 측정 민감도가 높다는 것이 잘 드러난다.
도 4는 지방 흡입술 이후 지방 성분을 함유한 소변 샘플을 초순수 물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지방 함유 농도를 변화시키며 수득한 지방 성분의 농도와 CADF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지방 흡입술 환자로부터 채취한 지방이 함유된 소변 샘플을 초순수로 희석하여 100%(순수 소변)에서 0.4%까지 상대 농도로 준비하였다. 상대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CADF 또한 감소하여 단조 비례 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방 농도를 정량하는 데 CADF가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에 의해 측정된 총 지방산의 농도 및 CADF 측정치를 보정하여 지방산 농도 변환 수식을 찾고 이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CADF가 고체 표면에 지방의 흡착으로 인한 표면 에너지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CADF와 지방 성분의 농도는 단조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지방 함량의 농도는 하기 식 2와 같이 지수 함수, 선형 함수, 로그 함수 등의 단조 함수를 사용하여 수식화된다.
[식 2]
Figure pat00007
GC법으로 측정한 지방 농도값을 식 2에 적용하여, 보정 계수들을 결정하여 하기 식 3과 같이 간단한 단조증가 지수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식 3]
Figure pat00008
일 실시예에 따른 CADF 측정법으로 측정한 CADF 값과 식 3을 통해 GC 측정법처럼 수성 유체의 지방 함량을 정량할 수 있다. 다만, 식 2에 사용하는 보정 상수 값은 식 3에 사용한 보정 상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분석에 의해 지방 흡입술 환자로부터 채취한 지방이 함유된 소변 샘플의 지방의 절대 농도를 측정하고, 동일 시료에 대하여 CADF를 측정한 후, 비교 보정을 통해 상기 식 2의 보정 계수들을 결정하고,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GC 분석값을 기초로 CCADF에 관한 식을 하기와 같이 구할 수 있으며, 보정 상수 A는 2.03, P는 3.65, Q는 5.53, D는 10, 및 k, C0 및 B는 0으로 결정하였다:
Figure pat00009
도 6은 혈액 샘플 내 지방 성분 중 저밀도 지단백(LDL) 수치와 CADF 수치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이를 통하여, LDL 값이 CADF에 비례하는 반면, 고밀도 지단백(HDL) 값은 CADF와 상관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CADF가 혈관 벽 등에 더 잘 달라붙는 포화 지방과 트랜스 지방 등에 더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을 이용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판단 대상의 체액의 액적을 고체 표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초기 면적(A0) 및 상기 접촉면의 초기 직경(d0)을 측정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t) 경과한 후,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면적(At) 및 상기 접촉면의 직경(dt)을 측정하는 단계;
c) 하기 식 1에 따라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수득하는 단계;
[식 1]
Figure pat00010
(상기 식에서, n, m, N 및 M은 상수이다.)
d) 상기 접촉면 확산계수 및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액적에 함유된 지방 성분의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 및
[식 2]
Figure pat00011
(상기 식에서, k, C0, A, B, D, P 및 Q는 보정 상수이다.)
e) 상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을 정상인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판단 대상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으로부터의 상기 정상인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의 차가 양수인 경우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거나,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대사성 질환"은 비만, 비알콜성 간질환, 내당장애,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또는 지방 색전증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당뇨병 또는 지방 색전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혈관성 치매, 혼합성 치매, 경증 인지 장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6가지 질환, 즉, 당뇨(DM), 알츠하이머병(AD), 파킨슨병 치매(PDD), 혈관성 치매(VD), 경증인지 장애(MCI) 및 혼합 치매(AD+VD)를 가진 환자 400명과 정상인 100명에 대해 GC법 및 일 실시예에 따른 CADF법으로 측정한 소변 유리지방산 전임상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에 따르면, 각 환자의 소변에 함유된 지방 성분의 함량이 정상인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GC와 CADF 측정 결과 모두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알츠하이머병(AD) 및 파킨슨병(PDD)과 같은 치매 환자의 소변의 경우, 정상인보다 두 배에 가까운 높은 값을 보여주어 이들 질환에 대한 본 발명의 CADF법의 진단 신뢰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당뇨 환자의 경우 치매 환자보다 지방산 수치가 낮지만, 정상인보다는 여전히 높아 본 발명의 CADF법이 당뇨병 진단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당뇨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소변 시료를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편리하게 꾸준한 진단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개인별 당뇨 관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혈액 채취가 어려운 환자들의 혈당 관리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CADF법을 이용한 지방 성분의 정량 방법은 소변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체액 중의 지방산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치매를 진단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다양한 치매 치료 방법의 실시에 따른 효과를 쉽게 상호 비교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인별 최적의 치료 방법이 찾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면, 소변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체액의 지방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당뇨를 진단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당뇨 치료 방법에 따른 효과가 상호 쉽게 비교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인별 최적의 당뇨병 치료 방법이 찾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면, 지방 흡입술 전, 시술 중, 또는 시술 후에 혈액 또는 소변으로 유입되는 지방성분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지방 색전증(fat embolism)을 진단하고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지방 색전증이 나타나기 전에 환자에게 적절한 의료적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CADF를 측정하는 방법은 정량 분석 기술, 예를 들어 시료에 함유된 지방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GC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CADF법은 저렴하고 빠르며 편리하다.
GC와 같은 종래의 분석 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의 CADF측정법은 종래의 분석 기술과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CADF 측정결과는 UV 또는 형광 분광법으로 직접 측정할 수 없는 지방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CADF법은 건강관리, 식이, 비만 분야의 체지방 맞춤 관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을 이용하는,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농도 측정 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농도 측정 장치(100)는 측정부(110), 연산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농도 측정 장치(100)의 각 컴포넌트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되거나 그러한 컴퓨팅 장치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10)는 액체의 액적과 고체 표면의 접촉면에 대한 접촉면적 또는 접촉지름의 수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정부(110)는 액적이 올려질 수 있는 일정 이상의 평행면을 갖는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10)는 상기 접촉면적 또는 접촉지름의 수치 산정을 위하여, 액적 및 고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촬상기기, 예컨대,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광센서 등을 포함하거나, 상기 고체 상에 제공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측정부(110)는 상기 고체 상에 올려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액적에 대한 접촉면적 또는 접촉지름을 동시에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부(110)는 하나의 액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서로 다른 접촉면적 또는 접촉지름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10)는, 필요에 따라, 촬상기기의 위치, 초점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촬상기기 제어부, 상기 획득된 접촉면적 또는 접촉지름의 수치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20)는 상기 획득된 접촉면적 또는 접촉지름의 수치를 이용하여, 하기 식 1에 따라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수득하고, 상기 수득된 접촉면 확산계수(CADF) 및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액적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함량을 연산하여 수득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12
상기 식에서, n, m, N 및 M은 상수이다.
[식 2]
Figure pat00013
상기 식에서, k, C0, A, B, D, P 및 Q는 보정 상수이다.
상기 연산부(120)는 정상인으로부터 수득한 액체, 예컨대, 체액으로부터 수득한 액체 내 소수성 성분의 농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수득된 판단 대상에서의 액체 내 소수성 성분의 농도를 비교하여, 판단 대상의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 발병 여부 또는 발병 경과에 대한 정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구성들을 통해 수득된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 예컨대, 지방 성분의 농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수득된 소수성 성분의 농도를 판단 대상에서의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여부 또는 발병 경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a) 액체의 액적을 고체 표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초기 면적(A0) 및 상기 접촉면의 초기 직경(d0)을 측정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t) 경과한 후,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면적(At) 및 상기 접촉면의 직경(dt)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하기 식 1에 따라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수득하는 단계
    [식 1]
    Figure pat00014

    (상기 식에서, n, m, N 및 M은 상수이다.)
    를 포함하는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d) 상기 접촉면 확산계수 및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액적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식 2]
    Figure pat00015

    (상기 식에서, k, C0, A, B, D, P 및 Q는 보정 상수이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은 혈액, 혈청, 혈장, 땀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성분은 지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에 함유된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6. a) 판단 대상의 체액의 액적을 고체 표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초기 면적(A0) 및 상기 접촉면의 초기 직경(d0)을 측정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t) 경과한 후, 상기 액적과 상기 고체 표면 간의 접촉면의 면적(At) 및 상기 접촉면의 직경(dt)을 측정하는 단계;
    c) 하기 식 1에 따라 접촉면 확산계수(CADF)를 수득하는 단계;
    [식 1]
    Figure pat00016

    (상기 식에서, n, m, N 및 M은 상수이다.)
    d) 상기 접촉면 확산계수 및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액적에 함유된 지방 성분의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 및
    [식 2]
    Figure pat00017

    (상기 식에서, k, C0, A, B, D, P 및 Q는 보정 상수이다.)
    e) 상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을 정상인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대상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으로부터의 상기 정상인의 체액으로부터 수득된 지방 성분의 함량의 차가 양수인 경우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이 높거나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은 혈액, 혈청, 혈장, 땀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및 지방 색전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혈관성 치매, 혼합성 치매 및 경증 인지 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가능성의 예측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치매의 발병 또는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180048007A 2017-04-26 2018-04-25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한 액체 내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환의 진단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86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53957 2017-04-26
KR20170053956 2017-04-26
KR1020170053957 2017-04-26
KR1020170053956 2017-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109A true KR20180120109A (ko) 2018-11-05
KR102086840B1 KR102086840B1 (ko) 2020-03-09

Family

ID=6391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007A KR102086840B1 (ko) 2017-04-26 2018-04-25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한 액체 내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환의 진단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99086B2 (ko)
KR (1) KR102086840B1 (ko)
WO (1) WO201819963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9332A (ja) * 2007-03-29 2008-10-16 Univ Of Tokushima 唾液中の脂質・ラフトおよびaqp5を用いた唾液腺機能検査と全身疾患検査法
KR101361072B1 (ko) * 2012-12-17 2014-02-10 이상현 접촉면 확산 계수 기반 액체 내 지방 침투도 측정 방법
KR20140055342A (ko) * 2012-10-31 2014-05-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지속성 측정 방법
KR20160148519A (ko) * 2014-02-07 2016-12-26 이상현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한 액체 내 지방 함량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8272B2 (ja) * 2007-01-19 2012-06-20 学校法人北里研究所 アルブミン分子のブラウン運動の拡散係数変化に基づく血清または血漿粘度測定方法及び装置
TWI456199B (zh) * 2011-12-29 2014-10-11 Univ Nat Chiao Tung 生物檢測裝置及檢測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9332A (ja) * 2007-03-29 2008-10-16 Univ Of Tokushima 唾液中の脂質・ラフトおよびaqp5を用いた唾液腺機能検査と全身疾患検査法
KR20140055342A (ko) * 2012-10-31 2014-05-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지속성 측정 방법
KR101361072B1 (ko) * 2012-12-17 2014-02-10 이상현 접촉면 확산 계수 기반 액체 내 지방 침투도 측정 방법
KR20160148519A (ko) * 2014-02-07 2016-12-26 이상현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한 액체 내 지방 함량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1338A (ja) 2019-07-25
WO2018199631A1 (ko) 2018-11-01
JP6799086B2 (ja) 2020-12-09
KR102086840B1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eta et al. Breath acetone analysis with miniaturized sample preparation device: In-needle preconcentration and subsequent determination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Phan et al. Assessment of pruritus intensity: prospective study 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merical rating scale and verbal rating scale in 471 patients with chronic pruritus
Ziegler et al. Validation of a novel screening device (NeuroQuick)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small nerve fiber dysfunction as an early feature of diabetic polyneuropathy
RU2020122011A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в растворе
Sahin et a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balance evaluation systems test-BESTest in determining risk of fall in stroke patients
RU2007132194A (ru) Биомаркеры ишеми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неблагоприят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последствий хирургической операции
JP6319856B2 (ja) 接触面拡散係数を用いた液体内の脂肪含量測定方法
Nie et al. Early diagnosi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eye movement parameters in an aging Chinese population
Horakova et al.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nd C-reactive protein levels as indicators of insulin resistance development
Shajari et al. MicroSweat: A wearable microfluidic patch for noninvasive and reliable sweat collection enables human stress monitoring
US20180027214A1 (en) Contact Area Diffusion Factor for Quantifying Fat Contents of Liquid
Shao et al. Impaired ankle inversion proprioception during walking is associated with fear of falling in older adults
KR102086840B1 (ko) 접촉면 확산계수를 이용한 액체 내 소수성 성분의 정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환의 진단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446591B1 (ko) 간질성 방광염의 진단 방법
US11165993B2 (en) Contact area diffusion factor for quantifying fat contents of liquid
RU2379687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инамики оседания клеток крови
WO2006038800A1 (en) Method for providing a insulin resistance biomarker profile of one or more lipids
JP2018136327A (ja) 接触面拡散係数を用いた液体内の脂肪含量測定方法
Pratama et al. Nursing Technology in Vibration Perception Threshold Testing i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JP2019219256A (ja) アトピー性皮膚炎に関係する肌状態の評価方法
Patsiris et al.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Exhaled Breath Condensate and Dyspnea Correlation in Stable COPD: A Proof-of-Concept Study
Singh et al. Non-invasive blood glucose level measurement from laser reflected spectral patterns images
CN117274162A (zh) 一种基于可见光图像的无创胆红素检测方法
TR2022022096A2 (tr) Gerçek numunelerden parki̇nson hastaliğinin teşhi̇si̇ne yöneli̇k yeni̇ bi̇r elektroki̇myasal sensör geli̇şti̇ri̇lmesi̇
Pereira et al. Body composition assessment of people with overweight/obesity with a simplifi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