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989A -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989A
KR20180119989A KR1020170053844A KR20170053844A KR20180119989A KR 20180119989 A KR20180119989 A KR 20180119989A KR 1020170053844 A KR1020170053844 A KR 1020170053844A KR 20170053844 A KR20170053844 A KR 20170053844A KR 20180119989 A KR20180119989 A KR 2018011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battery cell
module
ter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102B1 (ko
Inventor
신은규
정병천
문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5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10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01M2/0275
    • H01M2/021
    • H01M2/0267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및 전지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며,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들을 포함하며, 전지 케이스는,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 모두에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CELL,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BATTERY CELL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6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들은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상호 적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비된다.
종래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마련되는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및 전지 케이스 일측 외부로 돌출되며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배터리 셀은, 최근의 슬림화 트렌드에 따라 모듈 내에 장착되는 배터리 셀의 부피를 최소화면서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전지 케이스의 테두리를 폴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 배터리 셀의 경우, 전지 케이스의 테두리 폴딩 시, 전극 리드가 구비되는 일측의 좌우 양측면을 폴딩할 경우, 전극 리드가 구비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 부분은 폴딩된 좌우 양측면과의 간섭으로 인해 폴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배터리 셀에서는, 배터리 셀의 모듈 장착 시, 전극 리드가 구비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 부분에서의 공간 손실이 불가피하며, 동일 모듈 사이즈 대비 손실된 공간만큼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도 불리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최근의 슬림화 트렌드에 따른 보다 슬림하며 에너지 밀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의 슬림화 트렌드에 따른 보다 슬림한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밀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셀로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전지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지 케이스는, 상기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 모두에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 케이스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캡; 및 상기 케이스 캡으로부터 연장되며, 일측 테두리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들을 돌출시키는 케이스 테라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테라스는, 상기 일측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들 모두가 상기 케이스 캡을 향해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테라스의 타측 테두리의 두 모서리는, 상기 폴딩 전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캡은, 상기 케이스 테라스의 타측 테두리의 두 모서리를 마주 하는 두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캡의 모따기 처리되는 두 모서리는, 상기 폴딩 전 모따기 처리되는 상기 케이스 테라스의 타측 테두리의 두 모서리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터리 팩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최근의 슬림화 트렌드에 따른 보다 슬림한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에너지 밀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셀의 폴딩 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셀의 폴딩 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 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셀의 폴딩 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셀의 폴딩 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 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셀(100)은 전기 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셀(100)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셀(100)은, 전극 조립체(110), 한 쌍의 전극 리드들(130) 및 전지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들(130)은, 상기 전극 조립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술하는 전지 케이스(150)의 일측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들(130)은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150)는 상기 전극 조립체(110)를 수용하며, 상기 배터리 셀(100)의 슬림화 및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해 적어도 3측면에서 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 케이스(150)는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들(130)을 돌출시키는 상기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 모두에서 폴딩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상기 전지 케이스(15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 본다.
이러한 상기 전지 케이스(150)는 케이스 테라스(170) 및 케이스 캡(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는 상기 전지 케이스(15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일측 테두리, 구체적으로, 좌측 테두리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들(130)을 상기 전지 케이스(150)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테두리는 상기 전지 케이스(150)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테두리를 따라 실링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처리는 예로써 열 융착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테두리는 상기 일측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들(F1, F2, F3), 구체적으로, 상측 테두리(F1), 하측 테두리(F2) 및 우측 테두리(F3)에서 각각 후술하는 케이스 캡(180)을 향해 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폴딩은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네 개의 테두리들 중 세 개의 테두리들(F1, F2, F3)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측 테두리(F3)의 폴딩은, 이하, 살펴 보는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타측 테두리의 모서리(175), 본 실시예의 경우, 우측 테두리(F3)의 모서리(175) 형상에 따라 가능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타측 테두리, 즉, 우측 테두리(F3)의 두 모서리(175)는 상기 폴딩 전 사선 방향으로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모따기 처리를 통해, 상기 우측 테두리(F3)는 상측 테두리(F1) 및 하측 테두리(F2)와 간섭되지 않고 겹치지 않게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캡(180)은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1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 캡(180)의 두 모서리(185)는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모따기 처리되는 두 모서리(175)와 같이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캡(180)의 모따기 처리되는 두 모서리(185)는 사선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상기 타측 테두리(F3)의 두 모서리(175)를 마주 하는 측면의 모서리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 캡(180)의 모따기 처리되는 두 모서리(185)는 상기 폴딩 전 모따기 처리되는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타측 테두리(F3)의 두 모서리(175)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셀(100)의 폴딩에 따른 슬림화 및 에너지 밀도 향상 효과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본다.
상기 배터리 셀(100)은, 먼저, 상기 상측 테두리(F1)와 상기 하측 테두리(F2)의 폴딩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100)의 상하 방향에서 상기 배터리 셀(100)의 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셀(100)은 상기 우측 테두리(F3)의 폴딩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100)의 좌우 방향에 따른 폭까지 줄일 수 있다.
한편, 이하, 이러한 폴딩과 관련하여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모따기 처리와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실링 구간과의 관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 본다.
상기 폴딩은 도 6에 개시된 폴딩 라인(F)을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타측 테두리의 모서리(175)가 모따리 처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실링을 위해서는 밀봉력을 높일 수 있게 소정 길이의 실링 구간이 요구된다. 만약,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타측 테두리의 모서리(175)가 모따기 처리된다면, 실링 구간이 모따기 처리되지 않은 경우(T1)의 실링 구간(S1+S2)보다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즉,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의 타측 테두리의 모서리(175)의 중심점(T2)에서 보았을 때 모따기 처리되지 않은 경우(T1)와 대비하여 소정 크기의 실링 구간(S2)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케이스 캡(180)의 타측 테두리를 모따기 처리하지 않을 경우(C1 지점이 모서리일 경우), 상기 케이스 캡(180)은 소정의 면적(A1+A2+A3+A4)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면적(A1+A2+A3+A4)만큼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실링 구간(S1)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이 필연적이기에, 상기 전지 케이스(150)의 밀봉력 저하가 발생할 위험이 현저히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 케이스 캡(180)이 상기 면적(A1+A2+A3+A4)을 갖도록 구성될 경우, 슬림화 및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보다 배터리 셀(100)의 폭발 등에 따른 위험 요인이 더 큰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지 케이스(150)의 안전한 실링 구간 확보를 위해, 줄어든 실링 구간(S1)에 실링 구간(S3)을 더하여 실링 구간(S1+S3)을 더 확보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 캡(180)은 상기 모서리(C2)를 기준으로 소정 면적(A1)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케이스 캡(180)의 면적(A1)이 상당 부분 줄어들게 되는 것이 불가피하기에,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용량 확보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케이스 캡(180)의 타측 테두리의 두 모서리(185)가 모따기 처리되어 있기에, 먼저, 실링 구간 확보 측면에서 안전한 밀봉력을 도모할 수 있는 실링 구간(S1+S3)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캡(180)의 면적 또한 소정 크기의 면적(A1+A2+A3)이 확보할 수 있기에,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용량 또한 상당 부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셀(100)은 상기 모따기 처리되는 상기 케이스 테라스(170) 및 상기 케이스 캡(180)의 두 모서리들(175, 185)을 통해 상기 배터리 셀(100)의 3면을 폴딩하면서도 밀봉력 저하를 가져오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용량도 상당 부분 확보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셀(100)은 상기 3면 폴딩을 통해 폴딩을 통해 줄어드는 길이만큼 상기 전지 케이스(150)의 길이를 더 늘릴 수 있기에, 결과적으로, 실링을 유지하면서 상기 폴딩 전보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용량을 보다 더 확보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00) 및 상기 배터리 셀(100)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10)에서는, 상기 배터리 셀(100)의 3면 폴딩을 통해, 상기 모듈 케이스(500) 내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모듈 케이스(500) 내의 데드 스페이스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10)은 최근의 슬림화 트렌드에 따른 보다 더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전 동일 사이즈 대비 모듈과 대비하여 보다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1)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팩(1)은 자동차의 연료원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배터리 팩(1)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기타 배터리 팩(1)을 연료원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자동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1)은 상기 자동차 이외에도 이차 전지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 기타 다른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에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팩(1)과 상기 자동차와 같은 상기 배터리 팩(1)을 구비하는 장치나 기구 및 설비는 전술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포함하는 바, 전술한 배터리 모듈(10)로 인한 장점을 모두 갖는 배터리 팩(1) 및 이러한 배터리 팩(1)을 구비하는 자동차 등의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라, 최근의 슬림화 트렌드에 따른 보다 슬림한 배터리 셀(100), 이러한 배터리 셀(10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0)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라, 에너지 밀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셀(100), 이러한 배터리 셀(10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0)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1)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배터리 팩
10: 배터리 모듈
50: 팩 케이스
100: 배터리 셀
110: 전극 조립체
130: 한 쌍의 전극 리드들
150: 전지 케이스
170: 케이스 테라스
175: 모서리
180: 케이스 캡
185: 모서리

Claims (8)

  1. 배터리 셀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전지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지 케이스는,
    상기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 모두에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캡; 및
    상기 케이스 캡으로부터 연장되며, 일측 테두리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들을 돌출시키는 케이스 테라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테라스는,
    상기 일측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들 모두가 상기 케이스 캡을 향해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테라스의 타측 테두리의 두 모서리는,
    상기 폴딩 전 모따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터리 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캡은,
    상기 케이스 테라스의 타측 테두리의 두 모서리를 마주 하는 두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캡의 모따기 처리되는 두 모서리는,
    상기 폴딩 전 모따기 처리되는 상기 케이스 테라스의 타측 테두리의 두 모서리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7.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7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70053844A 2017-04-26 2017-04-26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5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44A KR102256102B1 (ko) 2017-04-26 2017-04-26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44A KR102256102B1 (ko) 2017-04-26 2017-04-26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89A true KR20180119989A (ko) 2018-11-05
KR102256102B1 KR102256102B1 (ko) 2021-06-03

Family

ID=6432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44A KR102256102B1 (ko) 2017-04-26 2017-04-26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1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931A (ja) * 2000-01-19 2001-07-27 Toshiba Battery Co Ltd 薄形電池
KR20170010667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931A (ja) * 2000-01-19 2001-07-27 Toshiba Battery Co Ltd 薄形電池
KR20170010667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102B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2515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101979888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82383B1 (ko) 구성이 간소화된 단위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2256606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035218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109327A (ko) 배터리 셀 및 이러한 배터리 셀을 실링하기 위한 파우치 실링 장치
KR20190075593A (ko)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KR20180123373A (ko)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EP418127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1953759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2023542479A (ja) 電池セル、電池及び電池セルを電源として使用する装置
KR102455471B1 (ko)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US20150255772A1 (en)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1545705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00061909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2236A (ko) 테라스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의 패키징 구조 및 그 방법
KR20180119989A (ko)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446531B1 (ko) 파우치형 전지셀의 가장자리 돌출 현상을 방지해 주는 전지 트레이
US20220271398A1 (en) Battery pack comprising reinforcement pole penetrating inside thereof, and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same
KR20130001873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4002558A1 (en) Battery cell having asymmetric electrode leads,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and having reinforced mechanical strength
KR102165018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206605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085690A (ko) 배터리 셀
KR20230082197A (ko)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