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557A -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557A
KR20180119557A KR1020187019379A KR20187019379A KR20180119557A KR 20180119557 A KR20180119557 A KR 20180119557A KR 1020187019379 A KR1020187019379 A KR 1020187019379A KR 20187019379 A KR20187019379 A KR 20187019379A KR 20180119557 A KR20180119557 A KR 2018011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subcarrier
unit
subcarriers
gfd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1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04L25/061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providing hard decisions only; arrangements for tracking or suppressing unwanted low frequency components, e.g. removal of dc off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4Pulse-shaped multi-carrier, i.e. not using rectangular window
    • H04L27/26414Filtering per subband or per resource block, e.g.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UFMC] or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GFDM에 있어서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불사용으로 하면서도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하고,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상기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장치 및 방법
본 개시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멀티캐리어 변조 기술(즉, 다중 기술 또는 멀티액세스 기술)의 대표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다양한 무선 시스템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실용예로서는, 디지털 방송, 무선 LAN 및 셀룰러 시스템을 들 수 있다. OFDM은, 멀티패스 전반로에 대한 내성이 있으며, CP(Cyclic Prefix: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채용함으로써, 멀티패스 지연파에 기인하는 심볼간 간섭의 발생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OFDM의 결점으로서, 대역 외 복사의 레벨이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피크 대 평균 전력비)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송수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변형에 약하다는 것도, 결점으로서 예시된다.
이러한 OFDM의 결점인 대역 외 복사를 억제 가능한, 새로운 변조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본 변조 기술은, 서브 심볼이라고 하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고, 1심볼을 임의의 개수의 서브 심볼로 분할함으로써, 유연한 심볼의 시간 및 주파수의 설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변조 기술은, 심볼에 대하여 펄스 정형 필터(Pulse Shape Filter)를 적용하여 파형 정형함으로써, 대역 외의 불필요 신호의 복사를 저감할 수 있어,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본 변조 기술은, 서브 심볼의 도입에 의해 유연한 리소스 설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금후 요구될 것인 다양성에 대한 실현 수단으로 된다.
본 변조 기술의 호칭명에 대해서는, UF-OFDM(Universal Filtered-OFDM),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GOFDM(Generalized OFDM)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본 변조 기술은, 일반화된 OFDM이라고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라고도 칭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 명칭을 채용한다. GFDM에 관한 기본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0/0189132A1호 명세서
N. Michailow, et al.,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or 5th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IEEE Trans. Commun., vol.62, no.9, Sept. 2014.
OFDM에 있어서는,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 중 신호 품질의 열화를 야기할 수 있는 일부를 불사용으로 함으로써, 수신 성공 확률의 저하를 방지하였다. GFDM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가 불사용으로 되는 것이 상정된다. 여기서, GFDM에 있어서는, OFDM과 비교하여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넓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그 경우에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불사용으로 하는 것에 기인하는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하의 영향이 크다. 그래서, GFDM에 있어서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불사용으로 하면서도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 가능한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하고,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상기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가변으로 설정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복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소스는,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고,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하고,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상기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가변으로 설정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프로세서에 의해 복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소스는,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고,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GFDM에 있어서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불사용으로 하면서도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 가능한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나타난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GFDM에 관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GFDM에 관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GFDM에 관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LTE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송신 캐리어 생성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OFDM 캐리어에 발생할 수 있는 캐리어 누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O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OFDM 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GFDM 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중 후의 리소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에 의한 리소스 다중을 수반하는 GFDM 변조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리소스 생성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에 의한 리소스 다중을 수반하는 GFDM 변조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제1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제2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제1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제2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에 의한 축차적인 GFDM 복조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에 의한 GFDM 신호의 송신에 관한 신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에 의한 MIMO의 GFDM 신호의 송신에 관한 신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에 의한 MIMO의 GFDM 신호의 수신에 관한 신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에 있어서 실행되는 송신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수신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를, 동일한 부호 뒤에 상이한 알파벳을 부여하여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요소를, 필요에 따라 단말 장치(200A, 200B 및 200C)와 같이 구별한다. 단,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부호만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A, 200B 및 200C)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단말 장치(200)라고 칭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서론
1.1. GFDM
1.2. DC 서브 캐리어
1.3. 기술적 과제
2.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3. 각 장치의 구성
3.1. 기지국의 구성
3.2. 단말 장치의 구성
4. 기술적 특징
4.1. GFDM 변조/복조
4.2.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활용
4.3. 설정 정보
4.4. 축차적 복조
4.5. 신호 처리
4.6. 처리의 흐름
5. 응용예
6. 결론
<<1. 서론>>
<1.1. GFDM>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GFDM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GFDM에 있어서의 심볼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부호 10은, OFDM의 1심볼당 리소스(무선 리소스라고도 칭해짐. 또한, 단위 리소스에 상당함)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10으로 나타낸 리소스는, 1심볼 구간이 단일의 심볼로 점유되어 있는 한편, 주파수 방향으로 다수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한, OFDM에서는 심볼별로 CP가 부가된다. 부호 12는, SC-FDM(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에 있어서의, OFDM의 1심볼에 상당하는 구간의 리소스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12로 나타낸 리소스는, 캐리어 주파수에 걸쳐 단일의 심볼로 전유되어 있는 한편, 심볼 길이는 OFDM과 비교하여 짧고, 시간 방향으로 다수의 심볼을 포함한다. 부호 11은, GFDM에 있어서의, OFDM의 1심볼에 상당하는 구간의 리소스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11로 나타낸 리소스는, 부호 10으로 나타낸 리소스와 부호 12로 나타낸 리소스의 중간의 구조를 갖는다. 즉, GFDM에서는, OFDM의 1심볼에 상당하는 구간이 임의의 수의 서브 심볼로 분할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서브 캐리어의 수가 OFDM보다 적어진다. 이러한 리소스의 구조는, 파라미터에 의한 심볼 길이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유연성이 풍부한 송신 포맷을 제공 가능하다. 또한, GFDM에 있어서는, 단위 리소스에 있어서의 서브 캐리어의 수와 서브 심볼의 수의 곱의 값이 소정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단위 리소스에 있어서의 서브 캐리어의 수를 간단히 서브 캐리어의 수라고도 칭한다. 서브 심볼의 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는, GFDM을 서포트하는 송신 장치의 구성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데이터가 입력되면, 송신 장치는, 가변으로 설정된 서브 캐리어의 수 및 서브 심볼의 수에 대응하는 필터링을 적용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의 매핑을 행한다. 또한, 여기서의 서브 심볼에 대한 매핑은, OFDM에 비하여, 오버 샘플링(업 샘플링)을 실시하는 것과 등가의 효과를 갖는다. 이어서, 송신 장치는, 소정수의 서브 캐리어 및 소정수의 서브 심볼에 대하여 펄스 정형 필터를 적용한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필터 계수를 곱함). 그리고, 송신 장치는, 펄스 정형 후의 파형을 주파수-시간 변환하여 심볼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송신 장치는, CP를 추가하고,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적용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를 고주파 회로에 출력한다.
여기서, GFDM 변조는 다음 식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단, K는 서브 캐리어의 수이고, M은 서브 심볼의 수이고, dk,m은 k번째 서브 캐리어의 m번째 서브 심볼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이고, x[n]은 N=KM개의 출력 데이터의 n번째 값이고, gk,m[n]은 필터의 계수이다.
GFDM 심볼의 n번째 출력 샘플값 x[n]은, 매핑된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GFDM 계수를 각각 곱한 후, 그들 모든 합을 취한 것이다. n이 0부터 N까지 변화할 때, 필터 계수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변화하고, 1심볼당 합계 N개의 샘플값이 얻어진다. 이 결과, 서브 심볼에 대하여 K배로 오버 샘플링된 시간 파형의 샘플값이 생성된다. 이 경우, M개의 서브 심볼에 대하여 K배, 즉 KM=N개의 출력값이 얻어진다. 송신 장치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GFDM 심볼을 D/A 변환하고, 고주파 회로에 의해 원하는 증폭 및 주파수 변환을 실시한 후,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펄스 정형 필터로서는, 예를 들어 RC 필터(Raised Cosine Filter), RRC 필터(Root Raised Cosine Filter) 또는 IOTA 필터(Isotropic Orthogonal Transfer Algorithm filter)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정식화한 GFDM 변조에 있어서의, 입력 데이터(벡터)와 출력 데이터(벡터)의 관계를, 다음 식과 같이 행렬 A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이 변환 행렬 A는, 사이즈가 KM*KM인, 복소수의 요소를 갖는 정사각 행렬이다. 도 3에, 변환 행렬 A의 요소(즉, 필터 계수)의 진폭값(절댓값)을 플롯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K=4로 하고, M=7로 하고, 파형 정형의 프로토타입 필터로서 RC 필터(α=0.4)를 채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1.2. DC 서브 캐리어>
송신 장치는, OFDM 또는 GFDM과 같은 멀티캐리어를 사용하는 통신 방법을 채용한 경우, 송신 캐리어의 생성 처리에 있어서, 전형적으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DA(digital to analog) 변환을 행하여, 직교 변조를 행한다.
도 4는, LTE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송신 캐리어 생성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장치는, 기저 대역 OFDM 신호를 실부와 허부로 분할하고, 직교 변조를 행하여 합성하고, 아날로그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중심 주파수 f0의 OFDM 캐리어를 생성한다. 이 OFDM 캐리어에 발생할 수 있는 캐리어 누설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OFDM 캐리어에 발생할 수 있는 캐리어 누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횡축은 주파수이고, 종축은 예를 들어 진폭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되는 변조파의 스펙트럼(20) 중, OFDM 캐리어의 대역폭의 중심부에 캐리어 누설(21)이 발생할 수 있다. 전형적인 송신 장치의 회로에서는, 소비 전력 억제의 관점에서 직교 변조가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행해진다. 아날로그 회로의 비이상성에 의해 DC 오프셋 성분이 발생하는 것이, 캐리어 누설 발생의 요인 중 하나이다. 또한, 로컬 발신기의 신호 성분이 직교 변조기에 입력될 때, 단자간의 아이솔레이션을 초과하여 출력 단자에 신호 성분이 누출되는 것도, 캐리어 누설 발생의 요인 중 하나이다.
캐리어 누설을 포함하는 서브 캐리어는 DC 서브 캐리어라고도 칭해진다. 전형적인 OFDM 단말기에서는, DC 서브 캐리어는, 신호 품질의 열화의 요인으로 되고, 수신 성공 확률 저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불사용으로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OFDM 캐리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O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횡축은 주파수이고, 종축은 예를 들어 진폭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FDM 캐리어의 대역폭의 중심부에 DC 서브 캐리어(22)가 설정되고, DC 서브 캐리어(22)를 사이에 두도록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파의 스펙트럼(20A 및 20B)이 생성된다. 송신 장치는, DC 서브 캐리어(22)를 불사용으로 하기 위해, DC 서브 캐리어(22)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소정값(예를 들어, 제로)으로 하여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변환을 행하여, OFDM 캐리어의 시간 파형을 생성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FDM 캐리어의 대역폭의 양단부에, 가드 밴드(23)가 설정된다. 가드 밴드(23)는, OFDM 캐리어의 시간 파형을 DA(digital to analog) 변환할 때 발생하는 에일리어싱 왜곡 성분을, 안티 에일리어싱 필터에 의해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영역이다. DC 서브 캐리어(22)와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는, 가드 밴드(23)를 불사용으로 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가드 밴드(23)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에 소정값(예를 들어, 제로)을 저장한다.
도 7은, OFDM 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입력 데이터는, IFFT 회로에 입력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에는, DC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30),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영역(31),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32A 및 32B)으로 구분된다.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영역(24)은, 중심에서 분할되고, 각각이 도 6에 있어서의 가드 밴드(23)에 대응한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32A)은, 도 6에 있어서의 스펙트럼(20A)에 대응한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32B)은, 도 6에 있어서의 스펙트럼(20B)에 대응한다. DC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30) 및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영역(31)에는, 전형적으로는 소정값이 저장된다. 이 소정값이 제로인 경우,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3. 기술적 과제>
GFDM에 있어서도, OFDM과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는,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의해 IQ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직교 변조를 행함으로써 고주파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GFDM에 있어서도, OFDM과 마찬가지의 캐리어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GFDM에 있어서도, OFDM과 마찬가지로 DC 서브 캐리어가 불사용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FDM에서는, 펄스 정형 필터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대역 외로의 신호 누설은 작다고 생각되기는 하지만, DA 변환 시에 발생하는 에일리어싱 왜곡 성분의 제거를 위해서는, 가드 밴드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GFDM에 있어서도, OFDM과 마찬가지로 가드 밴드가 불사용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DC 서브 캐리어 및 가드 밴드가 설정되는 GFDM의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GFDM 변조파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에는, DC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30),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영역(31),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32A 및 32B)으로 구분되는 1조의 데이터가 서브 심볼의 수에 상당하는 M개 포함된다. GFDM에서는, 단위 리소스에 복수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기 때문에, DC 서브 캐리어 및 가드 밴드는 서브 심볼별로 삽입된다.
GFDM은, 전형적으로는 서브 캐리어의 수와 서브 심볼의 수의 곱의 값이 소정값으로 된다는 점에서, 서브 심볼의 수에 반비례하여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넓어지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증가에 의해, GFDM에서는, OFDM보다 완화된 주파수 동기 정밀도가 허용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증가에 의해, 캐리어의 주파수 효율은 저하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횡축은 주파수이고, 종축은 예를 들어 진폭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FDM 캐리어의 대역폭의 중심부에 DC 서브 캐리어(22)가 설정되고, DC 서브 캐리어(22)를 사이에 두도록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파의 스펙트럼(20A 및 20B)이 생성되고, 양단부에 가드 밴드(23)가 설정된다. 도 9에 있어서의 DC 서브 캐리어(22)와 도 6에 있어서의 DC 서브 캐리어(22)를 비교하면, 도 9에 있어서의 DC 서브 캐리어(22) 쪽이, 대역폭이 넓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서브 심볼수가 복수인 경우에, 심볼이 분할되지 않는(즉, 서브 심볼수가 1인) OFDM과 비교하여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와 같이, GFDM에서는, OFDM과 비교하여 DC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넓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그 경우에는 DC 서브 캐리어를 불사용으로 하는 것에 기인하는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GFDM에서는 서브 심볼의 수만큼 DC 서브 캐리어를 위한 불사용의 데이터(예를 들어, 제로)가 삽입되기 때문에, 한층 더한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2.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단말 장치(200)는 유저라고도 불린다. 당해 유저는,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라고도 불릴 수 있다. 여기서의 UE는, LTE 또는 LTE-A에 있어서 정의되고 있는 UE여도 되며, 보다 일반적으로 통신 기기를 의미해도 된다.
(1) 기지국(100)
기지국(100)은, 셀룰러 시스템(또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다. 기지국(100)은, 기지국(100)의 셀(101)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로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2) 단말 장치(200)
단말 장치(200)는, 셀룰러 시스템(또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가능하다. 단말 장치(200)는,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10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3) 다중화/다원 접속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직교 다원 접속/비직교 다원 접속에 의해, 복수의 단말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00)은, GFDM을 사용한 다중화/다원 접속에 의해, 복수의 단말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다운링크에 있어서, GFDM을 사용한 다중화/다원 접속에 의해, 복수의 단말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복수의 단말 장치(200)로의 신호를, GFDM을 사용하여 다중화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원하는 신호(즉, 단말 장치(200)로의 신호)를 포함하는 다중화 신호로부터, 간섭으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원하는 신호를 복호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다운링크 대신에, 또는 다운링크와 함께, 업링크에 있어서, GFDM을 사용한 다중화/다원 접속에 의해, 복수의 단말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 기지국(100)은, 당해 복수의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를 포함하는 다중화 신호로부터, 당해 신호의 각각을 복호해도 된다.
(4) 보충
본 기술은, HetNet(Heterogeneous Network) 또는 SCE(Small Cell Enhancement) 등의 멀티셀 시스템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MTC 장치 및 IoT 장치 등에 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3. 각 장치의 구성>>
계속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3.1. 기지국의 구성>
우선,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기억부(140) 및 처리부(150)를 구비한다.
(1) 안테나부(110)
안테나부(110)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에 출력한다.
(2) 무선 통신부(120)
무선 통신부(1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단말 장치로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3) 네트워크 통신부(130)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다른 노드로의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노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노드는, 다른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4) 기억부(140)
기억부(140)는, 기지국(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5) 처리부(150)
처리부(150)는, 기지국(100)의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150)는, 설정부(151), 통지부(153) 및 송신 처리부(155)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리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설정부(151), 통지부(153) 및 송신 처리부(155)의 기능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3.2. 단말 장치의 구성>
우선,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기억부(230) 및 처리부(240)를 구비한다.
(1) 안테나부(210)
안테나부(210)는, 무선 통신부(2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에 출력한다.
(2) 무선 통신부(220)
무선 통신부(2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3) 기억부(230)
기억부(23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4) 처리부(240)
처리부(240)는, 단말 장치(200)의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240)는, 취득부(241) 및 수신 처리부(243)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240)는, 이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리부(240)는, 이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취득부(241) 및 수신 처리부(243)의 기능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4. 기술적 특징>>
이하에서는, 기지국(100)이 송신 장치이고, 단말 장치(200)가 수신 장치인 것으로 하여, 본 실시 형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4.1. GFDM 변조/복조>
기지국(100)은, GFDM 변조를 행한다. 우선, 기지국(100)(예를 들어, 설정부(151))은,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의 리소스 설정을 행한다. 상세하게는, 기지국(100)은,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또는 서브 심볼의 수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한다. 환언하면, 기지국(100)은,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예를 들어, 송신 처리부(155))은, 업 샘플링을 행하여, 서브 캐리어별로 펄스 정형 필터에 의한 필터링을 행한다(즉, 필터 계수를 승산함).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는, GFDM 변조되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GFDM 복조를 행한다.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200)(예를 들어, 수신 처리부(243))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또는 서브 심볼의 수(환언하면,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가변으로 설정되어 송신된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때, 단말 장치(200)는, 송신측에서 적용된 펄스 정형 필터에 대응하는 펄스 정형 필터를 적용하고(즉, 필터 계수를 승산함), 송신측에서 적용된 업 샘플링에 대응하는 다운 샘플링을 행한다.
<4.2.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활용>
기지국(100)(예를 들어, 송신 처리부(155))은,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를 다중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DC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활용
ㆍ리소스 다중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한다. 이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서 활용되어,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리소스보다 제2 리소스 쪽이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것은, 제1 리소스보다 제2 리소스 쪽이 단위 리소스에 있어서의 서브 심볼의 수가 작음을 의미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OFDM과 비교하여 DC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넓어지는 것에 기인하는,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하가 경감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100)은,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한다. 이에 의해, 제1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와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의 중복이 방지되어, 이들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제로를 저장한다. 이에 의해, 다른 소정값을 저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에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가 다중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횡축은 주파수이고, 종축은 예를 들어 진폭이다. 도 13에서는,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0A 및 40B)과,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A 및 41B)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FDM 캐리어의 대역폭의 중심부에 DC 서브 캐리어(42A 및 42B)가 설정되고, 양단부에 가드 밴드(43)가 설정된다. 여기서, DC 서브 캐리어(42A)는,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42A)에,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A 및 41B)이 다중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불사용의 DC 서브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서 활용되게 되어,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한 DC 서브 캐리어(42B)는, 제2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이다. 이와 같이, 제2 리소스에 있어서도, 캐리어의 중심부의 캐리어 누설을 포함하는 서브 캐리어는 DC 서브 캐리어이며 불사용으로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여 다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제1 리소스의 생성 시에 발생하는 로컬 신호 누설 성분을, 제2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로컬 신호 누설 성분을 포함하는 서브 캐리어는 여전히 이용되지 않게 되므로, 수신 성공 확률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중 후의 리소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61)에 대응하는 GFDM 신호와 제2 리소스(62)에 대응하는 GFDM 신호가 다중되면, 다중 후의 리소스(63)에 대응하는 GFDM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61)에서는, 중앙의 DC 서브 캐리어가 불사용으로 되어 있고, 그 밖에는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리소스(62)에서는, 제1 리소스(61)의 DC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서브 캐리어에 있어서, 중앙의 DC 서브 캐리어는 불사용으로 되어 있고 그 밖에는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리소스(62)에서는, 제1 리소스(61)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서브 캐리어가 불사용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간이를 위해, GFDM 캐리어로서, 서브 심볼수가 1, 서브 캐리어수가 9일 때, 서브 심볼 길이가 50us이고 서브 캐리어 대역폭이 20kHz인 단위 리소스를 기준으로서 생각한다. 이 경우, GFDM 캐리어의 대역폭은 180kHz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61)에서는, 서브 심볼수는 3이고, 서브 캐리어수는 3이므로,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은 60kHz로 된다. 한편, 제2 리소스에서는, 서브 심볼수는 1이고, 서브 캐리어수는 9이므로,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은 20kHz로 된다. 따라서, 제1 리소스(61)에서는 60kHz의 대역폭이 불사용으로 되어 있던바, 제2 리소스(62)의 다중에 의해, 다중 후의 리소스(63)에서는 불사용의 대역폭이 20kHz로 삭감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이 개선된다. 물론, 제2 리소스의 서브 심볼수는 1이 아니어도 되며, 예를 들어 2 이상이어도 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는, 홀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DC 서브 캐리어의 수가 하나로 되므로, 주파수 효율의 저하를 최저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은,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정수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조건에 의해,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가, 과부족없이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의해 메워지게 된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와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에서는, 서브 캐리어의 수와 서브 심볼의 수의 곱이 동일한 것이 상정된다. 그 경우, 상기 조건은,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는,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의 정수배라고도 환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 것이라면,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와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에서는, 서브 캐리어의 수와 서브 심볼의 수의 곱이 상이해도 된다.
ㆍ리소스 다중을 수반하는 GFDM 변조
기지국(100)은, 리소스 다중을 수반하는 GFDM 변조를 행한다. 상세하게는,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각각을 서브 캐리어별로 필터링하여 다중한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제1 리소스와 제2 리소스의 다중을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100)에 의한 신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에 의한 리소스 다중을 수반하는 GFDM 변조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 생성기(160A), 제2 리소스 생성기(160B), 로컬 발진기(170), 가산기(171), RF 증폭기(172) 및 안테나(173)를 포함한다. 우선, 제1 리소스 생성기(160A)는, 입력 데이터 1(즉, 제1 리소스에 저장되는 제1 입력 데이터)로부터 제1 리소스의 리소스 설정에 기초하여 GFDM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제2 리소스 생성기(160B)는, 입력 데이터 2(즉, 제2 리소스에 저장되는 제2 입력 데이터)로부터 제2 리소스의 리소스 설정에 기초하여 GFDM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리소스 생성기(160A) 및 제2 리소스 생성기(160B)에는, 동일한 로컬 발진기(170)로부터 출력된 동일한 로컬 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의해, 제1 리소스와 제2 리소스의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 생성기(160A) 및 제2 리소스 생성기(160B)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GFDM 신호를 가산기(171)에 의해 가산(즉, 다중)하여, 도 13에 도시한 GFDM 캐리어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생성된 GFDM 캐리어를 RF 증폭기(172)에 의해 증폭하여, 안테나(173)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173)는 안테나부(110)에 상당하고, RF 증폭기(172)는 무선 통신부(120)에 상당하고,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송신 처리부(155)에 상당해도 된다. 물론, 그 밖의 임의의 대응 관계도 허용된다.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리소스 생성기(16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제1 리소스 생성기(160A) 및 제2 리소스 생성기(160B)는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가지며, 이들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리소스 생성기(160)라고 총칭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의 리소스 생성기(16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소스 생성기는, GFDM 변조기(161), IQ 분할기(162), DA 변환기(163A 및 163B), LPF(Low-pass filter)(164A 및 164B), 승산기(165A 및 165B) 및 가산기(166)를 포함한다. 우선, 리소스 생성기(160)는, 입력 데이터를 GFDM 변조기(161)에 의해 변조하여 GFDM 신호를 생성한다. 전제로서, 리소스 설정이 나타내는 서브 심볼수에 기초하여, DC 서브 캐리어 및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제로 데이터가 입력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리소스 생성기(160)는, 리소스 설정이 나타내는 서브 심볼수 및 서브 캐리어수를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입력 데이터를 매핑하고, 펄스 정형 필터를 적용하여 GFDM 신호를 생성한다. 펄스 정형 필터의 적용은, 상기 수학식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어서, 리소스 생성기(160)는, 생성된 GFDM 신호에 IQ 분할기(162)를 적용하여 I 성분 또는 Q 성분으로 분할하고, 각각을 DA 변환기(163)에 의해 변환하고, 에일리어싱 왜곡 성분을 LPF(164)에 의해 제거한다. 그리고, 리소스 생성기(160)는, 승산기(165A)에 의해 I 성분에 로컬 신호를 승산하고, 승산기(165B)에 의해 Q 성분에 위상을 90도 어긋나게 한 로컬 신호를 승산하여, 각각을 가산기(166)에 의해 가산함으로써, 직교 변조를 행한다.
이상, GFDM 변조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였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개별적으로 생성하고, IF(Intermediate Frequency) 주파수에서 가산하였다. 이에 비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저 대역에서 I/Q 신호의 각각을 가산하고 나서 직교 변조하는 구성예도 고려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에 의한 리소스 다중을 수반하는 GFDM 변조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GFDM 변조기(161A 및 161B), IQ 분할기(162A 및 162B), DA 변환기(163A 내지 163D), LPF(164A 내지 164D), 가산기(166A 내지 166C), 및 승산기(165A 및 165B)를 포함한다. 우선, 기지국(100)은, 제1 입력 데이터 및 제2 입력 데이터의 각각을, GFDM 변조기(161A 또는 161B)에 의해 변조하여 GFDM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기지국(100)은, 각각의 GFDM 신호에 IQ 분할기(162A 또는 162B)를 적용하여 I 성분 또는 Q 성분으로 분할하고, 각각을 DA 변환기(163A 내지 163D)에 의해 변환하고, 에일리어싱 왜곡 성분을 LPF(164A 내지 164D)에 의해 제거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제1 및 제2 입력 데이터의 GFDM 신호의 I 성분끼리 또는 Q 성분끼리의 각각을, 가산기(166A 또는 166B)에 의해 가산하고, 그것들을 승산기(165A, 165B) 및 가산기(166C)를 사용하여 직교 변조한다.
ㆍ입력 데이터
계속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제1 입력 데이터 및 제2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에 저장되는 제1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입력 데이터에는, DC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0),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영역(51), 그리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A 및 52B)으로 구분되는 1조의 데이터가, 서브 심볼의 수에 상당하는 M개 포함된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A)의 각각은, 도 13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0A)에 대응한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B)의 각각은, 도 13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0B)에 대응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서브 심볼의 수 M은 복수(예를 들어, 10)이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리소스에 저장되는 제2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입력 데이터에는, DC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0),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영역(51),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A 및 52B), 그리고 NULL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3A 및 53B)이 포함된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A)은, 도 13에 있어서의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A)에 대응한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B)은, 도 13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B)에 대응한다. NULL 서브 캐리어란, DC 서브 캐리어 또는 가드 밴드 이외에 설정되는,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를 가리킨다. NULL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3A 및 53B)은,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즉, 스펙트럼(40A 및 40B))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예를 들어 제로가 저장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서브 심볼의 수 M은 1이다.
(2) NULL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활용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의 주위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의 주위의 임의의 수의 서브 캐리어를 NULL 서브 캐리어로 하고, 당해 NULL 서브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를 보다 많이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이 경우의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고, 계속해서 도 21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제1 입력 데이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횡축은 주파수이고, 종축은 예를 들어 진폭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FDM 캐리어의 대역폭의 중심부에 DC 서브 캐리어(42)가 설정되고, DC 서브 캐리어(42)의 양옆에 NULL 서브 캐리어(44A 및 44B)가 설정된다. 그리고, NULL 서브 캐리어(44A 및 44B)를 사이에 두도록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파의 스펙트럼(40A 및 40B)이 생성되고, 양단부에 가드 밴드(43)가 설정된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에 저장되는 제1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입력 데이터에는, DC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0),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영역(51),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A 및 52B), 그리고 NULL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3A 및 53B)으로 구분되는 1조의 데이터가, 서브 심볼의 수에 상당하는 M개 포함된다. 또한, NULL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3A)의 각각은, 도 20에 있어서의 NULL 서브 캐리어(44A)에 대응한다. 또한, NULL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3B)의 각각은, 도 20에 있어서의 NULL 서브 캐리어(44B)에 대응한다.
(3) 가드 밴드의 대역폭의 활용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가드 밴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의 가드 밴드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를 보다 많이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이 경우의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고, 계속해서 도 23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제2 입력 데이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GFDM 캐리어의 스펙트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의 횡축은 주파수이고, 종축은 예를 들어 진폭이다. 도 22에서는, 제1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0A 및 40B)과,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A 내지 41D)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FDM 캐리어의 대역폭의 중심부에 DC 서브 캐리어(42A 및 42B)가 설정되고, 양단부에 가드 밴드(43)가 설정된다. 여기서, DC 서브 캐리어(42A)는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이고, DC 서브 캐리어(42B)는 제2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42A)에,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A 및 41B)이 다중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의 가드 밴드(43)의 일부에,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C 및 41D)이 다중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불사용의 가드 밴드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서 활용되게 되어,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리소스에 저장되는 제2 입력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입력 데이터에는, DC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0),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영역(51),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A 내지 52D), NULL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3A 및 53B)으로 구분되는 1조의 데이터가, 서브 심볼의 수에 상당하는 M개 포함된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A)의 각각은, 도 22에 있어서의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A)에 대응한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B)의 각각은, 도 22에 있어서의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B)에 대응한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C)의 각각은, 도 22에 있어서의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C)에 대응한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52D)의 각각은, 도 22에 있어서의 제2 리소스에 대응하는 스펙트럼(41D)에 대응한다. NULL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영역(53A 및 53B)의 각각은,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즉, 스펙트럼(40A 및 41B))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예를 들어 제로가 저장된다.
또한,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제1 리소스의 가드 밴드의 주위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의 가드 밴드의 주위의 임의의 수의 서브 캐리어를 NULL 서브 캐리어로 하고, 당해 NULL 서브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를 보다 많이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3. 설정 정보>
(1) 설정 정보의 통지
기지국(100)(예를 들어, 통지부(153))은,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에 관한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다른 장치(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 단말 장치(200)(예를 들어, 취득부(241))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설정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설정 정보에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각각의 리소스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에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각각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 및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에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 장치(200)로의 설정 정보의 통지에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도,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등의 개별적인 시그널링 메시지가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할당의 일례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 등의 간략화된 하드웨어를 갖는 단말기에는, 보다 완화된 주파수 동기 정밀도가 바람직하므로,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넓은 제1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리소스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부수되는, 소량이면서 또한 저지연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에 관해서는, 제2 리소스가 할당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수신처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2) 설정 정보의 변경
기지국(100)(예를 들어, 설정부(151))은, 제1 리소스 및/또는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의 리소스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예를 들어, 설정부(151))은,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의 설정의 변경에 수반하여,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단위 리소스의 설정을 변경해도 된다. 설정을 변경한 경우, 기지국(100)(예를 들어, 통지부(153))은, 변경 후의 설정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예를 들어, 취득부(241))는, 변경 후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복조 처리에 반영한다.
또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에 관한 설정에 변경이 있는 경우, 기지국(100)(예를 들어, 통지부(153))은, 변경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각각의 설정 정보를 통지해도 되고, 제1 리소스의 설정 정보만을 통지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단말 장치(200)(예를 들어, 수신 처리부(243))는, 미리 정해진 변경 룰에 따라, 제1 리소스의 설정의 변경에 기초하여 제2 리소스의 설정을 변경한다. 이 변경 룰은, 미리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 장치(200)에 통지된다.
<4.4. 축차적 복조>
단말 장치(200)(예를 들어, 수신 처리부(243))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복조한다. 그때, 단말 장치(200)는, 다중된 신호의 복조 기술 중 하나인,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기술을 사용하여, 축차적으로 복조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에 의한 축차적인 GFDM 복조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수신기(251), 제1 GFDM 복조기(252A), 제2 GFDM 복조기(252B) 및 가산기(253)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200)는, 우선, 수신기(251)에 의해 수신된 캐리어를 제1 GFDM 복조기(252A)에 입력하여, 제1 리소스를 복조한다. 제1 리소스에 제공되는 신호 전력이 제2 리소스에 제공되는 신호 전력보다 충분히 크면, 복조에 있어서, 제1 리소스에서 보내지는 신호는 원하는 품질로 된다. 이어서, 단말 장치(200)는, 가산기(253)에 의해, 수신기(251)에 의해 수신된 캐리어로부터, 제1 리소스에 관한 캐리어 성분을 차감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차감한 후의 신호를 제2 GFDM 복조기(252B)에 입력하여, 제2 리소스를 복조한다. 이에 의해, 비교적 작은 에너지인 제2 리소스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각각이 출력된다.
또한, 수신기(251)는 무선 통신부(220)에 상당하고,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수신 처리부(243)에 상당해도 된다. 물론, 그 밖의 임의의 대응 관계도 허용된다.
<4.5. 신호 처리>
계속해서, GFDM 신호의 신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1) GFDM 신호의 송신에 관한 신호 처리
우선,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기지국(100)에 의한 GFDM 신호의 송신에 관한 신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에 의한 GFDM 신호의 송신에 관한 신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한 구성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GFDM 변조기(161)의 내부 구성의 일례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인풋 데이터에 대하여,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부호화, 레이트 매칭, 스크램블링, 인터리빙 및 비트열로부터 심볼(예를 들어, 복소 심볼이어도 되며, 신호점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음)로의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행한다.
기지국(100)은,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복소 데이터에 대하여, GFDM 변조 처리를 행한다. 상세하게는, 우선, 기지국(100)은, GFDM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서브 캐리어의 수 K 및 서브 심볼의 수 M에 따라, 복소 데이터를 리소스에 매핑한다. 이어서, 기지국(100)은, 매핑된 입력 데이터 dk,m[n]에 대하여 펄스 정형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수학식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데이터 x[n]을 얻는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시간 도메인의 심볼을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기지국(100)은, 출력 데이터 x[n]을 패럴렐-시리얼 변환함으로써, 시간 영역의 GFDM 심볼, 즉 GFDM 시간 파형을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GFDM 코드 워드 X[n]이 출력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송신 처리부(155)에 상당해도 된다. 물론, 그 밖의 임의의 대응 관계도 허용된다.
이상, GFDM 신호의 송신에 관한 신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도 26을 참조하여, MIMO의 경우의 GFDM 신호의 송신에 관한 신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ㆍ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의 경우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에 의한 MIMO의 GFDM 신호의 송신에 관한 신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제1 리소스와 제2 리소스의 다중에,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다중하는 송신 데이터별로, FEC 부호화, 레이트 매칭, 스크램블링, 인터리빙 및 비트열로부터 심볼로의 매핑을 행한다. 이어서, 기지국(100)은, 송신 레이어 매핑에 의해 다중화하여, 다중화 신호별로 프리코딩을 행한다. 이후의 처리는, 다중화 신호별로 행해진다.
기지국(100)은, GFDM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서브 캐리어의 수 K 및 서브 심볼의 수 M에 따라, 복소 데이터를 제1 리소스 또는 제2 리소스에 매핑한다. 그 후의 처리는,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상세하게는, 기지국(100)은, 매핑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각각을 GFDM 변조하여 GFDM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기지국(100)은, 각각의 GFDM 신호의 IQ 성분을 분할하여, I 성분끼리 또는 Q 성분끼리의 각각을 가산하고, 가산한 I 성분의 신호 및 Q 성분의 신호를 직교 변조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직교 변조된 GFDM 신호에 아날로그 FE에 의한 신호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아날로그 FE는 무선 통신부(120)에 상당해도 되고, 안테나는 안테나부(110)에 상당해도 되고,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송신 처리부(155)에 상당해도 된다. 물론, 그 밖의 임의의 대응 관계도 허용된다.
(2) GFDM 신호의 수신에 관한 신호 처리
이어서, 도 27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200)에 의한 GFDM 신호의 수신에 관한 신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MIMO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에 의한 MIMO의 GFDM 신호의 수신에 관한 신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 FE에 의한 신호 처리를 행하여,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AD 변환하고, 축차적인 GFDM 복조(Successive GFDM Demod #1, #2)를 행한다. 축차적인 GFDM 복조에 관해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으며, 제1 리소스(#1) 및 제2 리소스(#2)에 저장된 데이터의 각각이 출력된다.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각각을 복조하는 GFDM 복조기에 있어서는,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심볼 x[0] 내지 x[N-1]로부터, 원래의 데이터 d[0] 내지 d[N-1]을 취출한다. 이를 위해서는, GFDM 복조기는, 송신에 사용된 GFDM의 변환 행렬 A에 대한 정합 필터 수신으로 되는 A의 공액 전치 행렬 AH를 곱하는 회로, 제로 포스 수신으로 되는 역행렬 A-1을 곱하는 회로, 혹은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수신 회로 등이어도 된다. 그 후, 단말 장치(200)는, 데이터 디매핑, MIMO 등화, 송신 레이어의 디매핑을 행한다. 그 후, 단말 장치(200)는, 수신 데이터별로 디인터리빙, 디스크램블링, 레이트 매칭 및 FEC 복호화를 행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아날로그 FE는 무선 통신부(220)에 상당해도 되고, 안테나는 안테나부(210)에 상당해도 되고,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수신 처리부(243)에 상당해도 된다. 물론, 그 밖의 임의의 대응 관계도 허용된다.
<4.6. 처리의 흐름>
계속해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2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에 있어서 실행되는 송신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의 리소스 설정(즉, 서브 심볼 길이의 설정 및 서브 캐리어 주파수의 설정, 또는 단위 리소스에 있어서의 서브 캐리어의 수 및 서브 심볼의 수)을 설정한다(스텝 S102). 이어서, 기지국(100)은, 제2 리소스의 리소스 설정을,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제1 리소스보다 좁아지도록 설정한다(스텝 S104). 이어서,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한다(스텝 S106). 이어서, 기지국(100)은, 설정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통지한다(스텝 S108). 이어서,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저장한다(스텝 S110). 이어서, 기지국(100)은, 예를 들어 도 15 내지 도 17,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송신 신호 처리를 행하여(스텝 S112),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14).
도 2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에 있어서 실행되는 수신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된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02). 이어서, 단말 장치(200)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도 24 및 도 27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하여(스텝 S204), 제1 리소스 및/또는 제2 리소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206).
<<5. 응용예>>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여러 가지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등의 어느 종류의 eNB(evolved Node B)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스몰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또는 홈(펨토) eNB 등의, 매크로 셀보다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여도 된다. 그 대신에, 기지국(100)은, NodeB 또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다른 종류의 기지국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본체(기지국 장치라고도 함)와, 본체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RRH(Remote Radio Hea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여러 종류의 단말기가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속적으로 기지국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100)으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기지국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에 있어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형의 모바일 라우터 혹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 탑재 단말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이들 단말기에 탑재되는 모듈(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모듈)에 있어서 실현되어도 된다.
<5.1. 기지국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30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8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를 갖는다. 각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1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기지국 장치(82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eNB(800)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10)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0에는 eNB(800)가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eNB(800)는 단일의 안테나(81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20)는,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여도 되며, 기지국 장치(820)의 상위 레이어의 여러 가지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8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전송한다. 컨트롤러(821)는, 복수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함으로써 번들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821)는,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유입 제어(Admission Control) 또는 스케줄링(Scheduling)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논리적인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당해 제어는, 주변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제휴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메모리(8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컨트롤러(8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기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를 기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기지국 장치(820)를 코어 네트워크(8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컨트롤러(8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 eNB(800)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또는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사용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안테나(810)를 통하여, eNB(800)의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전형적으로는 기저 대역(BB) 프로세서(826) 및 RF 회로(8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며, 각 레이어(예를 들어, L1,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여러 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BB 프로세서(826)는, 컨트롤러(821) 대신에, 상술한 논리적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BB 프로세서(8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된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이어도 되고, BB 프로세서(826)의 기능은, 상기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에 의해 변경 가능해도 된다. 또한, 상기 모듈은, 기지국 장치(8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혹은 블레이드여도 되고, 또는 상기 카드 혹은 상기 블레이드에 탑재되는 칩이어도 된다. 한편, RF 회로(827)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며, 안테나(81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27)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0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26) 및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26) 또는 단일의 RF 회로(827)를 포함해도 된다.
도 30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부(15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설정부(151), 통지부(153) 및/또는 송신 처리부(155))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혹은 전부, 및/또는 컨트롤러(8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0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및/또는 컨트롤러(8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00), 기지국 장치(8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RF 회로(827))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1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2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140)는, 메모리(82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31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8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840),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를 갖는다. 각 안테나(840) 및 RRH(86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는, 광섬유 케이블 등의 고속 회선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4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RRH(86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eNB(830)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40)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는 eNB(830)가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eNB(830)는 단일의 안테나(84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50)는,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는,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RRH(860) 및 안테나(840)를 통하여, RRH(860)에 대응하는 섹터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8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56)는,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통하여 RRH(860)의 RF 회로(864)와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BB 프로세서(826)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해도 된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를 RRH(86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와 RRH(860)를 접속하는 상기 고속 회선으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또한, RRH(860)는, 접속 인터페이스(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구비한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RRH(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기지국 장치(85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상기 고속 회선으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안테나(84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전형적으로는 RF 회로(8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86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며, 안테나(84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64)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가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단일의 RF 회로(864)를 포함해도 된다.
도 31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부(15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설정부(151), 통지부(153) 및/또는 송신 처리부(155))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5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3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혹은 전부, 및/또는 컨트롤러(85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3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및/또는 컨트롤러(85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30), 기지국 장치(85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예를 들어, RF 회로(86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4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5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140)는, 메모리(85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5.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32는,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15), 하나 이상의 안테나(916),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여도 되며,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그 밖의 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장형 디바이스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화상을 생성한다. 센서(907)는, 예를 들어 측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폰(900)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90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10)의 화면 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스마트폰(900)의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11)는, 스마트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13)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며, 무선 통신을 위한 여러 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1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며, 안테나(916)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32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13) 또는 단일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며,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별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15)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의 사이에서 안테나(916)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16)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스마트폰(900)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32에는 스마트폰(900)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스마트폰(900)은 단일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방식별로 안테나(916)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15)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3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컨트롤러(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 있어서, 스마트폰(900)의 필요 최저한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3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부(24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취득부(241) 및/또는 수신 처리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01) 또는 보조 컨트롤러(919)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혹은 전부,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스마트폰(90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90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RF 회로(91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16)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230)는, 메모리(90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33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플레이어(927),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디바이스(929), 표시 디바이스(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36), 하나 이상의 안테나(937) 및 배터리(93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여도 되며,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그 밖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하여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접속되고, 차속 데이터 등의 차량측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927)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에 삽입되는 기억 매체(예를 들어, CD 또는 DVD)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92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30)의 화면 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중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34)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며, 무선 통신을 위한 여러 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35)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며, 안테나(937)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33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34) 또는 단일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며,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별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36)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의 사이에서 안테나(937)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37)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33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가 복수의 안테나(937)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단일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방식별로 안테나(937)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36)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배터리(93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33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938)는, 차량측에서 급전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33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부(24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취득부(241) 및/또는 수신 처리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혹은 전부 및/또는 프로세서(9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및/또는 프로세서(9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RF 회로(935))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37)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230)는, 메모리(92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술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하나 이상의 블록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와, 차량측 모듈(942)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즉, 취득부(241) 및 수신 처리부(243)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이 제공되어도 된다. 차량측 모듈(942)은, 차속, 엔진 회전수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출력한다.
<<6. 결론>>
이상, 도 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하고,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한다. 이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서 활용되어,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는 동일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리소스의 생성 시에 발생하는 로컬 신호 누설 성분을, 제2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로컬 신호 누설 성분을 포함하는 서브 캐리어는 여전히 이용되지 않게 되므로, 수신 성공 확률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리소스와 제2 리소스의 2개의 리소스가 다중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리소스가 다중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이 송신 장치이고, 단말 장치(200)가 수신 장치인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가 송신 장치이고, 기지국(100)이 수신 장치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기의 사이의 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D2D(Device to Device) 통신, V2X(Vehicle to X) 통신 등에도, 본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흐름도 및 시퀀스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는, 반드시 도시된 순서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몇 가지 처리 스텝은, 병렬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추가적인 처리 스텝이 채용되어도 되고, 일부의 처리 스텝이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는 않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하고,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상기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장치.
(2)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는 동일한, 상기 (1)에 기재된 장치.
(3)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상기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
(4)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상기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의 주위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5)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가드 밴드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6)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은,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정수배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7)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에서는, 서브 캐리어의 수와 서브 심볼의 수의 곱이 동일한, 상기 (6)에 기재된 장치.
(8)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는,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의 정수배인, 상기 (7)에 기재된 장치.
(9)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에서는, 서브 캐리어의 수와 서브 심볼의 수의 곱이 상이한, 상기 (6)에 기재된 장치.
(10)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는 홀수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1)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2)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제로를 저장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3)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다른 장치에 통지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4)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설정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설정을 변경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장치.
(15)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를 서브 캐리어별로 필터링하는,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16)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가변으로 설정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복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소스는,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고,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되는 장치.
(17)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하고,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상기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가변으로 설정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프로세서에 의해 복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소스는,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고,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되는 방법.
1: 시스템
100: 기지국
110: 안테나부
120: 무선 통신부
130: 네트워크 통신부
140: 기억부
150: 처리부
151: 설정부
153: 통지부
155: 송신 처리부
200: 단말 장치
210: 안테나부
220: 무선 통신부
230: 기억부
240: 처리부
241: 취득부
243: 수신 처리부

Claims (18)

  1.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하고,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상기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는 동일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상기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상기 제1 리소스의 DC 서브 캐리어의 주위의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는 가드 밴드를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은,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의 정수배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에서는, 서브 캐리어의 수와 서브 심볼의 수의 곱이 동일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는,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의 정수배인,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와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에서는, 서브 캐리어의 수와 서브 심볼의 수의 곱이 상이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서브 캐리어의 수는 홀수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제로를 저장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다른 장치에 통지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설정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제2 리소스를 형성하는 상기 단위 리소스의 설정을 변경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를 서브 캐리어별로 필터링하는, 장치.
  16.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가변으로 설정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복조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소스는,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고,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되는, 장치.
  17.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가변으로 설정하고,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은 상기 단위 리소스를 포함하는 제2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하나 이상의 서브 캐리어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 심볼을 포함하는 단위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서브 심볼의 시간 길이 중 적어도 어느 것이 가변으로 설정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프로세서에 의해 복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소스는, 제1 리소스보다 서브 캐리어의 대역폭이 좁고, 상기 제1 리소스의 불사용의 서브 캐리어에 상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의 서브 캐리어로 되는, 방법.
KR1020187019379A 2016-02-22 2016-11-29 장치 및 방법 KR20180119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1394 2016-02-22
JPJP-P-2016-031394 2016-02-22
PCT/JP2016/085292 WO2017145477A1 (ja) 2016-02-22 2016-11-29 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557A true KR20180119557A (ko) 2018-11-02

Family

ID=5968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379A KR20180119557A (ko) 2016-02-22 2016-11-29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22650B1 (ko)
KR (1) KR20180119557A (ko)
CA (1) CA3009729A1 (ko)
PH (1) PH12018501724A1 (ko)
WO (1) WO20171454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4854A (zh) * 2011-07-29 2013-01-3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在滤波器组多载波系统中减小峰均比的方法和装置
US9743401B2 (en) * 2012-10-22 2017-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configuring radio frame for offsetting Doppler effect
US9973364B2 (en) * 2016-06-27 2018-05-15 Intel IP Corporation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frame strucutre for IEEE 802.11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09729A1 (en) 2017-08-31
EP3422650B1 (en) 2021-08-11
WO2017145477A1 (ja) 2017-08-31
EP3422650A4 (en) 2019-03-13
EP3422650A1 (en) 2019-01-02
PH12018501724A1 (en)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5930B2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JP7039864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20109595A1 (en) Apparatus and method
CN108476191B (zh) 装置、方法和介质
KR102652264B1 (ko) 송신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938608B2 (en) Apparatus and method
KR20180119557A (ko)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