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410A -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410A
KR20180119410A KR1020170053152A KR20170053152A KR20180119410A KR 20180119410 A KR20180119410 A KR 20180119410A KR 1020170053152 A KR1020170053152 A KR 1020170053152A KR 20170053152 A KR20170053152 A KR 20170053152A KR 20180119410 A KR20180119410 A KR 20180119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ong
charact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성
Original Assignee
박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성 filed Critical 박대성
Priority to KR102017005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410A/ko
Publication of KR2018011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HMD(Head Mounted Display) 및 마이크 기기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래방 게임을 요청하는 게임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게임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를 선곡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선곡된 노래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선곡된 노래에 기 저장된 배경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HMD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가 시작되고 사용자 단말의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선택되어 저장된 사용자 캐릭터가 배경 콘텐츠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배경 콘텐츠 상에 관객 캐릭터, 밴드 세션 캐릭터 및 백댄서 캐릭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되는 음성에 기반하여,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에 대응하는 점수에 기초하여 관객 캐릭터의 호응을 증감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선 노래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에서 점수를 종합하여 배경 콘텐츠 상에 심사위원 캐릭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의 점수에 대응하는 심사평을 심사위원 캐릭터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KARAOKE GAME SERVICE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제로 무대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과 같은 가상 현실에 기반한 노래방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VR 프로그램이나 게임이 많이 개발되면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VR 기기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가수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인기가 많아지면서 일반인도 무대에서 실제로 노래를 부르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하고 싶어하는 일반인들이 늘어나고 있어 노래방을 가상현실화한 게임 등의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때, 노래방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은, 가상 현실을 이용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6676호(2008.12.09 공개)에는, VR 노래방 서버로 접속하여 포토존의 얼굴인식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사용자 얼굴 인식 및 캡쳐기능, 사용자 동작 인식 기능, 모션 재활용 기능을 적용하여 노래 선택 및 예약, 선택된 가상무대 및 가상 캐릭터를 무대에서 노래하는 사람의 배경 화면으로 프로젝터를 통해 대형스크린으로 표시하고, 동영상 카메라로 촬영된 노래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벽걸이 TV로 듀얼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VR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가상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헤드마운트기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을 극대화하는 장비가 이용되지 않아 노래를 부르는 사람을 캐릭터화한 캐릭터 및 무대를 TV로 재생할 뿐이고, 최근 HMD가 개발된 후의 기술이 전혀 적용되지 않아 기존의 노래방과 다른 점이 없고, 가상 현실이 극대화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신이 선곡한 곡의 장르에 따라 배경과 밴드 세션이나 백댄서가 등장하도록 하고, 노래부르는 사람의 시야 및 노래방에서 같이 간 동료의 시야를 각각 다르게 HMD 및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다르게 출력함으로써 가수와 관객이 가상 현실을 더욱 현실감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노래가 끝난 후에는 심사평도 제공하며, 관객의 수나 호응을 캐릭터의 레벨이나 노래의 요소가 실시간으로 평가되는 것에 비례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과 듀엣을 하되, 실시간으로 VR 환경에서 실제 듀엣을 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이 가수가 된 것과 같은 가상 현실을 현실감있게 제공할 수 있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HMD(Head Mounted Display) 및 마이크 기기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래방 게임을 요청하는 게임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게임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를 선곡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선곡된 노래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선곡된 노래에 기 저장된 배경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HMD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가 시작되고 사용자 단말의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선택되어 저장된 사용자 캐릭터가 배경 콘텐츠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배경 콘텐츠 상에 관객 캐릭터, 밴드 세션 캐릭터 및 백댄서 캐릭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되는 음성에 기반하여,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에 대응하는 점수에 기초하여 관객 캐릭터의 호응을 증감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선 노래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에서 점수를 종합하여 배경 콘텐츠 상에 심사위원 캐릭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의 점수에 대응하는 심사평을 심사위원 캐릭터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자신이 선곡한 곡의 장르에 따라 배경과 밴드 세션이나 백댄서가 등장하도록 하고, 노래부르는 사람의 시야 및 노래방에서 같이 간 동료의 시야를 각각 다르게 HMD 및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다르게 출력함으로써 가수와 관객이 가상 현실을 더욱 현실감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노래가 끝난 후에는 심사평도 제공하며, 관객의 수나 호응을 캐릭터의 레벨이나 노래의 요소가 실시간으로 평가되는 것에 비례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과 듀엣을 하되, 실시간으로 VR 환경에서 실제 듀엣을 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이 가수가 된 것과 같은 가상 현실을 현실감있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에서 실행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학습의 객체를 영어로 한정하였으나, 영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를 배우는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HMD(Head Mounted Display, 100), 사용자 단말(300), 마이크 기기(400),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 상대방 단말(600), 및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00)는 사용자 단말(300)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마이크 기기(400)도 사용자 단말(300)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00), 상대방 단말(600) 및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방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700)도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노래를 부르는 주체로, 상대방 단말(600)은 듀엣의 상대방으로 서술하지만, 상대방 단말(600)에서도 사용자 단말(3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상대방 단말(600)은 듀엣 신청의 상대방으로 한정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HMD(100)는, 가상 현실 게임인 VR 노래방 게임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HMD(100)는, 사용자 단말(300)과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게임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HMD(10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장착하여, 이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시할 수 있고, 천장에 연결된 기구 등을 통하여 장착자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와 연결되어 노래 콘텐츠를 HMD(100)를 통하여 출력하고, 마이크 기기(400)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받아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노래에 대응하는 게임 콘텐츠를 수신 및 출력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의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에 충분한 경우,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의 역할이 사용자 단말(3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다만,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00) 및 상대방 단말(600)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에서 상대방의 노래에 따른 노래 게임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VR 화면에서 출력할 자신의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고, 노래의 평가요소에 따라 점수가 높은 경우 관객의 호응이나 수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상대방 단말(600)을 선택한 경우, 상대방 단말(600)의 캐릭터를 HMD(10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기기(400)는, 사용자 단말(300)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과 마이크 기기(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VR 노래방 게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300)로 노래방 게임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에서 선곡한 노래에 따른 게임 콘텐츠를 전송하고, 듀엣 노래를 부르는 경우 상대방 단말(600)에서 입력되는 음성 및 캐릭터가 사용자의 모드 선택이 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입력되는 음성에 따라 캐릭터를 제어하고, 점수를 부여하여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캐릭터를 HMD(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방 단말(600)은, 사용자 단말(300)에서 듀엣 요청이 오는 경우, 수락 여부를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수락한 후에는, 상대방 단말(600)은, 사용자 단말(300)과 동기되어 노래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물론, 상대방 단말(600)도 VR 기기와 연결되어 노래방 게임 콘텐츠를 VR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상대방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대방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상대방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노래방 기기의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다른 장소의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으며, HMD(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나 또는 관중 입장에서 보는 시선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에서 실행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수신부(510), 선곡부(520), 출력부(530), 제어부(540), 조합부(550), 호응부(560), 심사부(570) 및 듀엣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 또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300), 상대방 단말(600), 디스플레이 장치(700)로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 상대방 단말(600),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300), 상대방 단말(600), 디스플레이 장치(7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HMD(100), 사용자 단말(300), 마이크 기기(400), 상대방 단말(600) 및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HMD(Head Mounted Display, 100) 및 마이크 기기(4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노래방 게임을 요청하는 게임 요청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선곡부(520)는, 게임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에서 노래를 선곡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53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선곡된 노래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300)에서 선곡된 노래에 기 저장된 배경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300)의 HMD(1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노래가 시작되고 사용자 단말(300)의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에서 기 선택되어 저장된 사용자 캐릭터가 배경 콘텐츠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합부(55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출력되는 배경 콘텐츠 상에 관객 캐릭터, 밴드 세션 캐릭터 및 백댄서 캐릭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중의 수는 사용자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캐릭터의 레벨이 높으면 높을수록 관중의 수는 많아질 수 있으며, 인기가 많으면 관중이 많아지는 것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호응부(56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인식되는 음성에 기반하여,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에 대응하는 점수에 기초하여 관객 캐릭터의 호응을 증감하여 사용자 단말(3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노래를 잘 부르는 가수에게는 호응이 많아지는 것과 같이, 노래를 잘 부르는 타임 등에 관객의 반응은 고조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때, 호응부(560)는, 기 저장된 기준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과, 음성으로 입력된 입력 음성을 비교하고, 각각의 기준 요소에 따라 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 벗어나는 범위는 어느 정도인지 등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호응을 조절할 수 있다.
심사부(570)는, 사용자 단말(300)에선 노래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300)에서 점수를 종합하여 배경 콘텐츠 상에 심사위원 캐릭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의 점수에 대응하는 심사평을 심사위원 캐릭터로부터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심사평은 점수나 정도 등에 따라 미리 매핑된 문장일 수 있고, 이러한 문장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심사평을 심사위원 캐릭터가 직접 말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과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연동된 경우,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배경 캐릭터, 사용자 캐릭터, 밴드 세션 캐릭터나 백댄서 캐릭터, 및 관중 캐릭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700)에 사용자 캐릭터가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HMD(100)에서 출력되는 화면과 디스플레이 장치(7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고, HMD(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시선에 따른 화면이고, 디스플레이 장치(7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사용자 캐릭터를 바라보는 시선에 따른 화면일 수 있다.
즉, 가상 현실 게임이기 때문에,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시야를, 가수 등을 보는 사람은 관객의 시야를 각각 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노래방 기계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700) 등에서 출력되는 시야는 관객의 시야이고, HMD(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는 가수의 시야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배경 콘텐츠는, 노래의 장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노래의 장르가 클래식인 경우 클래식 공연장, 노래의 장르가 재즈인 경우 재즈바, 노래의 장르가 헤비메탈인 경우 야외 공연장, 노래의 장르가 댄스곡인 경우 방송 무대, 노래의 장르가 블루스인 경우 재즈바나 공연장, 노래의 장르가 전자음악인 경우 클럽일 수 있다. 그리고, 배경 콘텐츠는, 방송 무대, 실내 공연장, 야외 공연장, 재즈바, 까페 및 길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노래의 장르나 배경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노래의 장르나 배경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듀엣부(580)는, 선곡부(520)에서 게임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에서 노래를 선곡하도록 한 후, 노래가 듀엣곡이고 사용자 단말(300)에서 듀엣을 신청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과 동일한 노래를 부를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을 선택할 수 있고, 상대방 단말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과 상대방 단말에서 노래를 동기화하여 동일하게 시작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300)에서 상대방 단말의 화면을, 상대방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300)을 보는 듀엣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대방 단말은 듀엣에서 성별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이 선택한 성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즉, 듀엣곡도 남녀가 부르는 곡도 있지만 여자끼리 또는 남자끼리 부르는 곡 등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조합에 따라 상대방의 성별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듀엣부(580)는, 실시간 매칭자가 없을 경우나, 실시간 듀엣이 가능하지 않거나 부담될 경우를 대비하여, 사전에 녹음되어 서버에 기 저장 및 업로드되는 다른 이용자의 노래가 노래방 반주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는 해당 노래에 맞춰 듀엣을 부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듀엣 기능은 두 사람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2 뿐만 아니라, 중창이나 합창 기능도 가지며, 아카펠라의 일원이 될 수도 있고, 역시 실시간 또는 저장된 녹음 파일을 통하여 노래 부르기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의 화면에는 합창, 중창, 아카펠라, 듀엣 등에 참여한 이용자의 가상 캐릭터가 출력되고, 실시간으로 참여하지 않고 저장한 녹음 파일로 인한 듀엣이나 합창곡 또한 노래 종료 후 참여한 캐릭터들 모두의 관련 스마트폰 앱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가 듀엣이나 합창을 완료하고 각 전송되는 저장파일은 노래를 부르며, HMD를 통하여 본 영상이 아닌, 관객 입장으로 보는 TV 모니터 화면의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가수를 촬영하는 기법, 가수를 바라보는 시선).
이때, 사용자 단말(300) 및 상대방 단말의 노래가 종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 및 상대방 단말은, 각각 상대방 단말 및 사용자 단말(300)을 친구목록에 추가하여 승인이 입력된 경우 친구로 등록되어 메세지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로 노래를 한 번 같이 부른 경우에는, 듀엣부(580)는, 다음을 위해 또는 친분을 쌓기 위해 메신저를 이용하여 서로 소통하는 채널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메신저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메신저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기 사용하는 메신저일 수도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를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사용자 단말(300)에서 노래를 선택하는 경우,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선택된 노래가 전송되고,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부터 선택한 노래의 VR 콘텐츠, 노래 콘텐츠 등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에서 마이크 기기(400)를 통하여 노래를 부르는 경우, HMD(100)에서 자신의 캐릭터가 출력되고 노래를 부르는 음정, 감정 등에 따라 캐릭터가 대응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이때, (b) HMD(100)에는 자신을 바라보는 시야가 출력될 수도 있지만, 노래를 부르는 가수의 시야에서 관객을 바라보는 시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이는 모드 변환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b) 그리고, 노래방과 같은 곳에서는,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HMD(100)를 쓰고 VR 화면을 보며, 같이 노래방에 온 친구들이나 동료는, 관객의 시야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화면, 즉 사용자의 캐릭터와 백댄서나 밴드 세션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관객이 실제로 앞에 보이지 않으므로, 더욱 열창할 수 있고, 관객은 노래를 부르는 사람과 캐릭터를 모두 감상할 수 있어 두 배의 즐거움을 가질 수 있다.
(d) 노래를 다 부르고 난 후에는,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HMD(100)를 통하여 심사위원 캐릭터에게 심사평을 들을 수 있는데, 캐릭터가 아니라 유명한 심사위원을 실제로 보는 것과 같은 VR 화면이 출력될 수도 있다. 물론, 캐릭터로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e) 또한, 사용자 단말(300)에서 듀엣곡 신청을 할 때에는, 실시간으로 상대방을 보는 방식, 각자 노래를 부른 후, 이후에 이를 하나의 화면으로 편집하는 방식 등으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노래가 시작되면 동시에 노래를 해야 하므로(상대방의 음성을 들어야 하므로), 노래를 동시에 시작하도록 하고, 상대방의 음성 및 화면 등을 다른 상대방에게 각각 출력할 수 있다.
(f) 그리고, 노래가 끝난 후에는, 상대방 단말(600)과 사용자 단말(300)에서 메신저 등으로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고, 친구를 추가하는 경우 서로의 메신저에 등록되어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사용자 등록을 실시할 수 있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S4100). 이때, 캐릭터의 정보와 복장은 수시로 변경가능하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HMD(100)와 마이크 기기(400)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고(S4200), 사용자 단말(300)에서 노래를 선곡하여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전송하면(S4300),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노래에 맞는 배경과 캐릭터가 포함되도록 노래 콘텐츠 등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4400).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HMD(100)로 VR 콘텐츠를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고(S4500), 마이크 기기(400)에서 입력되는 음정, 박자, 감정 등에 매칭된 점수에 따라 관객의 호응을 달리 출력한다(S4510).
즉, 사용자 단말(300)은,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음성을 전송하고(S4520),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관객 호응도 및 캐릭터 등을 조정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S4530), 사용자 단말(300)은, HMD(100)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4540).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노래의 요소에 대응하는 심사평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S4550), 사용자 단말(300)은 HMD(100)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4560).
한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사용자 단말(300)이 듀엣곡을 신청하면(S4600),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듀엣곡의 성격에 따라 상대방 단말(600)을 선택하고(S4700), 상대방 단말(600)에서 수락하면(S4800),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300)과 상대방 단말(600)의 동기화를 진행한다(S4810).
그리고, 상대방 단말(600)과 사용자 단말(300)에서 노래가 시작되면(S4900), 상대방 단말(600)과 사용자 단말(300)은, 서로의 화면을 전송 및 출력하도록 한다(S4910~S4940).
마지막으로,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노래가 종료된 이후에 상대방 단말(600)과 사용자 단말(300)의 메신저를 연동되도록 하여 메세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S4950).
상술한 단계들(S4100~S495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5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HMD(Head Mounted Display) 및 마이크 기기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래방 게임을 요청하는 게임 요청 이벤트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게임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를 선곡하도록 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선곡된 노래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선곡된 노래에 기 저장된 배경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HMD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5300).
또한,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가 시작되고 사용자 단말의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선택되어 저장된 사용자 캐릭터가 배경 콘텐츠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S5400),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배경 콘텐츠 상에 관객 캐릭터, 밴드 세션 캐릭터 및 백댄서 캐릭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출력되도록 한다(S5500).
그리고,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되는 음성에 기반하여,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에 대응하는 점수에 기초하여 관객 캐릭터의 호응을 증감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고(S5600), 사용자 단말에선 노래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에서 점수를 종합하여 배경 콘텐츠 상에 심사위원 캐릭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의 점수에 대응하는 심사평을 심사위원 캐릭터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S57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선곡이나 예약은 일반적인 노래방 기기와 같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HMD를 장착하고 마이크를 들고 부를 수 있으며, 선택된 노래의 장르에 따라 HMD에서 배경을 로딩하며, 선택된 노래의 장르, BPM, 사용 악기에 따라 밴드 세션 또는 백댄서 등이 등장할 수 있다. 이때,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관중의 수가 로딩되고, 플레이를 많이 할수록 동원되는 관중의 수가 많아지며, 관중의 수는 게임 포인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자신의 캐릭터가 로딩되는데, 캐릭터 정보와 복장은 수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노래의 박자 등의 요소에 따라 관객의 호응도가 달라지고, 노래방에 설치된 TV에서는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캐릭터가 세팅된 무대에서 노래하는 모습이 출력되고, 방송 화면처럼 카메라 워크가 들어가거나 연출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노래가 끝나면 캐릭터의 심사평이 나오며 이어 점수가 공개될 수 있다. 그리고, 듀엣곡이나 그룹이 부르는 곡은 예약될 수 있고, 대기자가 있을 경우에 상대방과 노래를 부르는 사람을 연결하고, 몇 분 후에 노래가 시작되는지 알려주고 해당 시간이 되면 노래가 자동으로 플레이되며, 각자 부를 소절이 표시되며 상대방의 음성이 각각 서로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함께 부르기가 종료되면 동영상 파일로 저장될 수 있으며, 함께 부르기를 시도한 사용자는 각각 자동으로 친구가 되어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노래 콘텐츠는 사용자의 노래 점수과 관객 호응도가 포인트로 환산되어 복장이나 헤어 등 캐릭터 꾸미기가 가능해지며, 부른 곡의 동영상은 SNS 등으로 업로드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HMD(Head Mounted Display) 및 마이크 기기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래방 게임을 요청하는 게임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를 선곡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곡된 노래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선곡된 노래에 기 저장된 배경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HMD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가 시작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선택되어 저장된 사용자 캐릭터가 상기 배경 콘텐츠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상기 배경 콘텐츠 상에 관객 캐릭터, 밴드 세션 캐릭터 및 백댄서 캐릭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되는 음성에 기반하여,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에 대응하는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객 캐릭터의 호응을 증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선 노래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점수를 종합하여 상기 배경 콘텐츠 상에 심사위원 캐릭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박자, 음정, 호흡, 발음 및 바이브레이션의 점수에 대응하는 심사평을 상기 심사위원 캐릭터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객 캐릭터의 수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증감되는 것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동된 경우, 상기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배경 캐릭터, 사용자 캐릭터, 밴드 세션 캐릭터나 백댄서 캐릭터, 및 상기 관중 캐릭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HMD에서 출력되는 화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동일하지 않고,
    상기 HMD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시선에 따른 화면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상기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사용자 캐릭터를 바라보는 시선에 따른 화면인 것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콘텐츠는, 상기 노래의 장르에 따라 변경되며,
    상기 노래의 장르가 클래식인 경우 클래식 공연장, 상기 노래의 장르가 재즈인 경우 재즈바, 노래의 장르가 헤비메탈인 경우 야외 공연장, 노래의 장르가 댄스곡인 경우 방송 무대, 노래의 장르가 블루스인 경우 재즈바나 공연장, 노래의 장르가 전자음악인 경우 클럽이고,
    상기 배경 콘텐츠는, 방송 무대, 실내 공연장, 야외 공연장, 재즈바, 까페 및 길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노래를 선곡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노래가 듀엣곡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듀엣을 신청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노래를 부를 상대방인 상대방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 단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노래를 동기화하여 동일하게 시작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의 화면을, 상기 상대방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보는 듀엣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은 듀엣에서 성별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성별에 따라 선택되는 것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의 노래가 종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은, 각각 상기 상대방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친구목록에 추가하여 승인이 입력된 경우 친구로 등록되어 메세지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인,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7.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시하는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70053152A 2017-04-25 2017-04-25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19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152A KR20180119410A (ko) 2017-04-25 2017-04-25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152A KR20180119410A (ko) 2017-04-25 2017-04-25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410A true KR20180119410A (ko) 2018-11-02

Family

ID=6432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152A KR20180119410A (ko) 2017-04-25 2017-04-25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4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5466A (zh) * 2022-03-15 2022-06-14 广州歌神信息科技有限公司 线上歌厅交互执行、控制方法及装置、设备、介质、产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5466A (zh) * 2022-03-15 2022-06-14 广州歌神信息科技有限公司 线上歌厅交互执行、控制方法及装置、设备、介质、产品
CN114625466B (zh) * 2022-03-15 2023-12-08 广州歌神信息科技有限公司 线上歌厅交互执行、控制方法及装置、设备、介质、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8820B (zh) 直播互动方法及装置
US10482862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R) function regarding music track
JP5767108B2 (ja) 媒体生成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2121558A1 (zh) 一种直播演唱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20140298174A1 (en) Video-karaoke system
CN106531201B (zh) 歌曲录制的方法和装置
US20130262127A1 (en) Content Customization
US20130257871A1 (en) Content Customization
US10741089B2 (en) Interactive immersion system for movies, television, animation, music videos, language training, entertainment, video games and social networking
WO200305851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vatar user interface system
CN104869427A (zh) 实现多人在线同唱同一首歌的方法、装置及系统
CN113302945A (zh) 用于捕获的视听表演的增强现实过滤器
JP4755672B2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128299A (zh) 多媒体表演的基于模板的摘录和呈现
CN111741370A (zh) 一种多媒体互动的方法、相关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979682B (zh) 多主播虚拟直播方法以及装置
JP2015210344A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102011868B1 (ko)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KR20210037891A (ko) 마스크 콘텐츠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노래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19410A (ko)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331525A (zh) 一种互动电影的实现方法
JP7442979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6951610B1 (ja) 音声処理システム、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及び音声処理プログラム
CN116962746A (zh) 基于连麦直播的线上合唱方法、装置及线上合唱系统
KR20120097785A (ko) 인터랙티브 미디어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5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24

Effective date: 2019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