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377A -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377A
KR20180119377A KR1020170053066A KR20170053066A KR20180119377A KR 20180119377 A KR20180119377 A KR 20180119377A KR 1020170053066 A KR1020170053066 A KR 1020170053066A KR 20170053066 A KR20170053066 A KR 20170053066A KR 20180119377 A KR20180119377 A KR 20180119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omestic
foreigner
foreign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수현
Original Assignee
엄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수현 filed Critical 엄수현
Priority to KR102017005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377A/ko
Publication of KR2018011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1Access to banking information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9Rechargeable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6Aspects of software for card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은 외국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되고, 상기 외국인에 의해 국내에서 상기 국내 카드사의 카드로 결제되면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되면 상기 결제 승인을 상기 국내 카드사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상기 카드의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Foreigner payment agent service method using foreigner bank account and domestic card,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외국인 은행 계좌의 연동과 국내 카드사의 제휴를 통해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발급하고, 국내에 방문한 외국 관광객 또는 국내 거주 외국인이 발급된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한류 열풍 등에 의해 많은 외국인이 관광을 위해 국내 방문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외국 관광객들이 국내에서 물품을 구매하거나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그 물품 구매 및 부가 서비스 이용에 따른 대금 결제를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외국 금융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그런데 국내를 방문한 외국인이 자신이 보유한 외국 금융카드로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신용카드의 발급 기관이 국내와 제휴가 되어 있어야 하고, 실제 관광지에서 신용카드로 결제를 하려고 해도 판매자가 가맹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결제가 불가능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외국 관광객 또는 외국인이 국내 카드사에서 발급하는 국내 카드를 발급받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국인 은행 계좌의 연동과 국내 카드사의 제휴를 통해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발급하고, 국내에 방문한 외국 관광객이 발급된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은 외국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되고, 상기 외국인에 의해 국내에서 상기 국내 카드사의 카드로 결제되면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되면 상기 결제 승인을 상기 국내 카드사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상기 카드의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은 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된 후 상기 외국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인이 국내에 입국하면 상기 선택된 카드의 발급 위치 정보를 상기 외국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에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카드의 사용 가능 금액과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 금액의 비교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제공되는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인에 대한 외국인 정보와 국내 여행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카드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관련 카드들 각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은 상기 외국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카드의 결제 내역에 대한 알림을 상기 외국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청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인의 여권 정보, 국내 입국 날짜, 국내 출국 날짜, 여권 사진, 및 상기 선택된 카드의 한도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카드는 상기 외국인 단말기에 QR 코드 또는 바코드로 발급되거나 플라스틱 카드로 발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외국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하는 신청부; 상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되고, 상기 외국인에 의해 국내에서 상기 국내 카드사의 카드로 결제되면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되면 상기 결제 승인을 상기 국내 카드사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상기 카드의 결제를 승인하는 승인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된 후 상기 외국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인이 국내에 입국하면 상기 선택된 카드의 발급 위치 정보를 상기 외국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에 금액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인부는 상기 선택된 카드의 사용 가능 금액과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 금액의 비교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는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제공되는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는 상기 외국인에 대한 외국인 정보와 국내 여행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카드들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관련 카드들 각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외국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카드의 결제 내역에 대한 알림을 상기 외국인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청부는 상기 외국인의 여권 정보, 국내 입국 날짜, 국내 출국 날짜, 여권 사진, 및 상기 선택된 카드의 한도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국인 은행 계좌의 연동과 국내 카드사의 제휴를 통해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발급하고, 국내에 방문한 외국 관광객이 발급된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국 관광객이 외국인 은행 계좌의 연동과 국내 카드사의 제휴를 통해 발급된 국내 카드(예를 들어, 국내 신용카드, 국내 체크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함으로써, 제휴된 국내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외국인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 및 유학생에게 국내 카드를 발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국인에게 국내 카드를 발급 가능하게 함으로써, 외국인에 의해 국내 카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휴된 국내 카드를 발급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국내 카드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국내 사용자가 해외 상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중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국 관광객의 본인 은행 계좌와의 연동 및 국내 카드사와의 제휴를 통해 외국 관광객이 신용 카드 등의 국내 카드를 발급 받아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결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여기서, 외국인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서버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이하, "외국인 단말기"라 칭함)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중개 서비스의 가입, 본인 은행 계좌와의 연동 및 국내 카드 신청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중개 서버(110), 은행 서버(120), 외국인 단말기(130), 제2 중개 서버(140) 및 카드 서버(150)를 포함한다.
제1 중개 서버(110)는 해외 예를 들어, 중국에 위치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 예를 들어, 중국인이 한국(국내)으로 여행가서 국내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결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제1 중개 서버(110)는 외국인의 요청에 의하여 외국인 단말기(13)로 결제 중개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payease APP)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국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 중개 서비스에 가입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외국인의 은행 계좌를 이용한 송금 요청 또는 충전을 통해 외국인에 의해 선택된 카드 예를 들어, 은련카드 또는 제휴된 국내 카드사에 의해 발급된 카드에 일정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즉, 제1 중개 서버(110)는 은행 서버(120)와의 연동을 통해 외국인에게 발급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에 일정 금액을 충전 또는 사용 가능 금액을 미리 송금받아 해당 외국인의 어플리케이션과 연결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중개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외국인의 요청에 의하여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 정보를 외국인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외국인에 의해 선택된 카드를 국내 카드사로 발급 요청하고, 국내 카드사에 의해 발급 승인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외국인에게 알릴 수 있다.
이 때, 제1 중개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수신된 국내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선택된 국내 카드 정보, 외국인 정보, 여권 번호, 입국 날짜, 출국 날짜, 사용 한도 금액 및 여권 사진 등의 정보를 제2 중개 서버를 통해 국내 카드사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1 중개 서버는 국내 카드 발급을 위한 정보를 상술한 정보로 한정하지 않으며, 외국인이 국내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중개 서버(110)는 국내 카드를 발급받은 외국인이 국내에서 발급받은 국내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결제 요청 정보를 해당 국내 카드사의 카드 서버(150)와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카드 서버(150)로 제공하여 결제 승인 여부 결과를 해당 카드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중개 서버(110)는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외국인에게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들 각각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혜택 정보 등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외국인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또한 외국인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 및 국내 여행 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에게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들 중 관련 카드들을 선별한 후 선별된 관련 카드들 및 이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외국인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중개 서버(110)는 제2 중개 서버(140)와의 통신을 통해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외국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국내 카드 사용 내역, 국내 카드 발급 위치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외국인 단말기(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1 중개 서버(110)는 외국인의 위치가 국내에 진입한 경우 예를 들어, 국내 공항에 도착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온하면 이에 대한 위치 정보 확인을 통해 국내 카드 발급 위치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외국인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국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해당 외국인이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제1 중개 서버(110)는 입력된 위치 정보 확인을 통해 국내 카드 발급 위치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외국인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은행 서버(120)는 외국인 단말기(130)를 통한 외국인의 요청에 의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제1 중개 서버(110)와의 은행 계좌를 연동하고, 외국인에 의해 요청된 일정 금액을 제1 중개 서버(110)를 통해 외국인에 의해 선택된 카드에 제공(또는 충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은행 서버(120)는 외국인 본인에 대한 은행 계좌를 가지는 서버로, 외국인 본인의 인증을 통해 제1 중개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외국인 단말기(130)는 본 발명의 결제 중개 서비스를 이용하는 외국인의 단말기로, 제1 중개 서버(11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국내 카드 발급 요청 정보를 제1 중개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국인 단말기(130)는 은행 서버(120)로 요청하여 제1 중개 서버(110)와 본인의 은행 계좌 간에 연동을 통해 요청된 금액을 외국인이 사용 가능한 금액 등으로 선택된 카드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외국인 단말기(13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이 국내로 진입하는 경우 국내 카드 발급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고, 국내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국내 카드의 사용 내역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단말기(13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면 어플리케이션은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 연동되며, 해당 은행의 이용 해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국내 카드가 QR 코드 또는 바코드로 발급되는 경우 국내 카드사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도 있으며, 국내 카드사의 카드들에 대한 정보 또는 가맹점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결제 중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든 정보를 제공받거나 연동될 수도 있다.
제2 중개 서버(140)는 국내 즉, 한국에 위치하며, 국내 카드사의 카드 서버(150)와 제1 중개 서버(110)의 통신을 통해 해당 결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제2 중개 서버(140)는 제1 중개 서버(110)로부터 요청되는 카드 발급 정보를 카드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카드 승인 여부를 카드 서버(150)로부터 수신하여 제1 중개 서버(11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2 중개 서버(140)는 카드 서버(150)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제1 중개 서버(110)로 제공하고, 제1 중개 서버(110)로부터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여부 결과를 수신하여 카드 서버(15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중개 서버(140)는 제1 중개 서버(110)와의 연동을 통해 외국인 단말기(130)로의 정보 전송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2 중개 서버(140)는 제1 중개 서버(110)와 카드 서버(150) 간의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카드 서버(150)는 본 발명의 결제 중개 서비스와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의 서버로,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카드 발급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발급 여부를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제1 중개 서버(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서버(150)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발급된 국내 카드로 결제된 경우 예를 들어, 외국인이 국내 체인점(160)에서 국내 카드로 결제한 경우 결제 요청 정보를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제1 중개 서버(1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결제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결제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국인 즉, 사용자는 단말기(130)에 제1 중개 서버(11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모바일 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①)한 후 본 발명의 서비스를 통해 국내 카드사의 카드가 발급되면 은행 서버(120)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송금을 요청(②)함으로써, 은행 서버(12)와 제1 중개 서버(110) 간 연동이 가능하다.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발급 받은 외국인 예를 들어, 중국인이 국내에서 음식점과 같은 곳의 결제 단말기에서 발급 받은 국내 카드로 결제를 요청(③)하면, 해당 카드사의 카드 서버(150)로 결제를 요청(④)하고, 카드 서버(150)는 이런 결제 요청을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제1 중개 서버(110)로 제공(⑤⑥)하며, 제1 중개 서버(110)에서 이러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가 승인되면 결제 승인을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카드 서버(150)로 제공(⑦⑧)함으로써, 카드 서버에서 결제 단말기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⑨)한다. 그리고, 제1 중개 서버(110)는 결제 승인된 금액을 제2 중개 서버(140)를 통해 해당 카드사의 카드 서버(150)로 정산(⑩⑪⑫)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중개 서비스는 외국 관광객(또는 여행객)과 같은 외국인이 본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발급 받아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고, 외국 신용 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한 곳에서도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어서 외국인에게 결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국인의 은행 계좌는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은행 계좌와 제1 중개 서버가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은행 계좌로 요청한 금액은 해당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충전 포인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 포인트를 이용하여 국내 카드에 일정 금액을 충전하고, 필요에 따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제1 중개 서버 관점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은 외국인 단말기에 설치된 해당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가 선택되고, 외국인의 요청에 의해 카드 발급이 요청되면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선택된 카드를 국내 카드사로 신청함으로써,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 받는다(S210, S220).
여기서, 단계 S210은 제1 중개 서버에서 해당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들 각각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혜택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카드들 각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외국인(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급 받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S210은 제1 중개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국내 여행 이력 등의 국내 여행 정보에 기초하여 국내 카드사의 카드들 중 해당 사용자와 관련이 높은 관련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렇게 제공된 관련 카드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20은 선택된 카드를 발급 받기 위하여, 카드 발급을 신청할 때 카드 발급을 위한 정보를 국내 카드사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22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외국인)가 신한 카드를 발급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여권 정보, 발급 날짜, 유효 기간, 국내 입국 날짜, 국내 출국 날짜, 여권 사진, 및 선택된 카드의 한도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2 중개 서버를 통해 신한 카드사의 카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신한 카드의 발급을 신청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신한 카드 신청을 위한 정보를 입력한 후 신청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신한 카드사로 해당 카드의 발급을 요청한다. 그리고, 요청한 신한 카드가 발급되면 이에 대한 정보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b에 도시된 정보는 발급될 신한 카드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발급된 신한 카드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국내 카드는 해당 카드사의 앱과 연동 가능한 QR 코드 또는 바코드로 해당 외국인 단말기로 발급될 수도 있고, 국내의 해당 카드사의 발급 장소에서 직접 발급되는 플라스틱 카드일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외국인에게 플라스틱 카드를 발급하는 경우 외국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이 국내에 입국하면 해당 카드를 발급 받기 위한 발급 위치 정보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발급 위치 정보를 해당 외국인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국내 카드 발급 신청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중개 서버와 제2 중개 서버를 통해 국내 카드사로 국내로 입국 날짜에 여행을 오니, 해당 카드를 발급해 달라는 의미로, 발급되는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교통 카드 등의 모든 종류의 카드가 될 수 있다. 물론, 교통 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 카드 또한 발급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국내 카드사의 카드가 외국인에게 발급된 후 국내에서 해당 카드로 결제되면 국내 카드사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을 제2 중개 서버를 통해 수신하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되면 결제 승인을 제2 중개 서버를 통해 국내 카드사의 국내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국내 카드사에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한다(S230, S240).
여기서, 단계 S230은 도 4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해당 외국인 단말기로 발급된 카드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결제를 요청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통해 결제를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S240은 제1 중개 서버에서 해당 카드에 대해 충전되어 사용 가능한 금액과 결제 요청한 금액의 비교를 통해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승인이 가능한 경우 결제 승인을 제2 중개 서버를 통해 해당 카드사의 카드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단계 S240에서 결제 승인되면 결제 내역을 해당 외국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제 승인된 시점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외국인에게 발급된 국내 카드에서 사용 가능한 금액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은행 계좌와 제1 중개 서버 간의 연동을 통해 재충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충전을 통해 발급된 국내 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기술은 외국인이 국내에서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기에, 국내 카드에서 제공하는 혜택 예를 들어, 포인트 결제, 할인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국인 본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국내 카드가 발급되기 때문에 카드 결제 승인에 대한 결정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서 결정할 수 있고,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 또한 국내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국내 카드사에서는 결제 금액에 대한 승인을 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결제 금액에 대한 정산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 카드가 QR 코드 형태로 발급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도 QR 코드를 이용하여 국내 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국내 사용자가 해외 상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중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해외 사이트의 제품을 구매할 때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사용자(550)가 해당 결제 중개 서비스(PG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미리 제휴된 해외 사이트(510)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①)하고, 해당 서비스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와 제휴된 카드사의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요청(②)하면, 해당 카드사의 서버(540)에서 제2 중개 서버(530)를 통해 제1 중개 서버(520)로 결제를 요청(③④)함으로써, 제1 중개 서버(520)와 해당 사이트(510) 간의 결제 요청 및 승인 과정을 수행(⑤)하며, 결제가 승인되면 제1 중개 서버(520)에서 제2 중개 서버(530)를 통해 국내 카드사의 서버(540)로 결제 승인 정보를 제공(⑥⑦)함으로써, 사용자는 결제 금액만큼 정산(⑧)하고, 이렇게 정산된 금액이 제2 중개 서버(530)와 제1 중개 서버(520)를 통해 해외 사이트(510)로 제공(⑨⑩⑪)된다.
도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국내에 거주하는 사용자 예를 들어, 국내인 또는 외국인이 해외 사이트의 상품 구매 시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도 1의 제1 중개서버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6의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서 기재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600)은 선택부(610), 신청부(620), 충전부(630), 수신부(640), 승인부(6500), 제공부(660) 및 데이터베이스(67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670)는 본 발명의 결제 중개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670)는 해당 결제 중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에게 발급된 국내 카드 정보, 은행 계좌 정보, 충전 이력, 카드별 사용 내역, 국내 여행 이력 등 본 발명을 제공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부(610)는 외국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부(610)는 국내 카드사에서 제공되는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에 기초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국내 카드에 대한 정보는 국내 카드사와의 통신을 통해 국내 카드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선택부(610)는 외국인에 대한 외국인 정보와 국내 여행 정보에 기초하여 국내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카드들 중 관련성이 높은 관련 카드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관련 카드들 각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신청부(620)는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카드의 발급을 국내 카드사로 신청한다.
이 때, 신청부(620)는 외국인의 여권 정보, 국내 입국 날짜, 국내 출국 날짜, 여권 사진, 및 선택된 카드의 한도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카드를 국내 카드사로 발급 신청할 수 있다.
충전부(630)는 외국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국인의 요청에 의해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요청 금액을 어플리케이션과 연결하여 충전함으로써, 외국인이 선택한 카드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에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부(630)는 은행 계좌와의 연동에 의해 충전된 금액을 하나의 카드 뿐만 아니라 복수의 카드들에 나눠서 충전할 수도 있다.
수신부(640)는 선택된 카드가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되고, 외국인에 의해 국내에서 국내 카드사의 카드로 결제되면 국내 카드사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한다.
승인부(650)는 수신부(640)로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되면 결제 승인을 국내 카드사로 제공함으로써, 국내 카드사에서 카드의 결제를 승인한다.
여기서, 승인부(650)는 선택된 카드에 대해 충전된 사용 가능 금액과 수신된 결제 요청 금액의 비교를 통해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공부(660)는 외국인에 의해 선택된 카드가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된 후 외국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이 국내에 입국하면 선택된 카드의 발급 위치 정보를 외국인 단말기로 제공한다.
나아가, 제공부(660)는 외국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드의 결제 내역에 대한 알림을 외국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도 6의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외국인 은행 계좌와 연동하여 은행 계좌로부터 충전 또는 송금된 금액을 통해 국내 카드의 결제를 중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바일 충전 포인트와 같은 포인트 정보와 연동하여 모바일 충전 포인트를 통해 국내 카드의 결제를 중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리페이나 위챗과 같은 플랫폼에서 중국 은행과 연동하여 모바일 충전 포인트로 전환한 후 알리페이나 위챗이 본 발명과의 연계를 통해 국내 카드를 신청하고, 한국 방문 시 신청된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면 전환된 모바일 충전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를 승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모바일 충전 포인트와 국내 카드의 관계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결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은 국내 카드 신청 및 국내 카드 결제를 중개한다는 개념에서 외국 은행과의 연동 뿐만 아니라, 현금과 같이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충전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와의 연동을 통해서도 결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현금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자산과 연동하여 국내 카드를 신청하고, 신청된 국내 카드의 결제를 연동되는 자산을 통해 결제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국내 사용자가 국내에서 해외 사이트의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 카카오페이 등의 국내 플랫폼에 충전된 포인트와 연동하여 해외 사이트의 상품을 구매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충전된 포인트를 이용한 결제 요청 및 승인 등의 과정을 통해 국내 플랫폼에 충전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해외 상품을 구매하는 결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은 외국인이 국내에서 국내 카드, 해외 플랫폼에 충전된 포인트를 이용한 결제 뿐만 아니라, 국내 플랫폼에 충전된 포인트, 국내 카드를 이용하여 해외 사이트의 상품을 구매할 때의 결제 등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외국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되고, 상기 외국인에 의해 국내에서 상기 국내 카드사의 카드로 결제되면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되면 상기 결제 승인을 상기 국내 카드사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상기 카드의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된 후 상기 외국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인이 국내에 입국하면 상기 선택된 카드의 발급 위치 정보를 상기 외국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에 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카드의 사용 가능 금액과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 금액의 비교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제공되는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인에 대한 외국인 정보와 국내 여행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카드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관련 카드들 각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카드의 결제 내역에 대한 알림을 상기 외국인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인의 여권 정보, 국내 입국 날짜, 국내 출국 날짜, 여권 사진, 및 상기 선택된 카드의 한도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카드는
    상기 외국인 단말기에 QR 코드 또는 바코드로 발급되거나 플라스틱 카드로 발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9. 외국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제휴된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하는 신청부;
    상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되고, 상기 외국인에 의해 국내에서 상기 국내 카드사의 카드로 결제되면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승인되면 상기 결제 승인을 상기 국내 카드사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상기 카드의 결제를 승인하는 승인부
    를 포함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카드가 상기 국내 카드사로부터 발급 승인된 후 상기 외국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인이 국내에 입국하면 상기 선택된 카드의 발급 위치 정보를 상기 외국인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기 외국인의 은행 계좌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선택된 카드에 금액을 충전하는 충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인부는
    상기 선택된 카드의 사용 가능 금액과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 금액의 비교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국내 카드사에서 제공되는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카드들 각각에 대한 혜택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외국인에 대한 외국인 정보와 국내 여행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카드들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관련 카드들 각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상기 외국인의 입력에 의해 카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카드의 결제 내역에 대한 알림을 상기 외국인에게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부는
    상기 외국인의 여권 정보, 국내 입국 날짜, 국내 출국 날짜, 여권 사진, 및 상기 선택된 카드의 한도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카드를 상기 국내 카드사로 신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053066A 2017-04-25 2017-04-25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119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066A KR20180119377A (ko) 2017-04-25 2017-04-25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066A KR20180119377A (ko) 2017-04-25 2017-04-25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77A true KR20180119377A (ko) 2018-11-02

Family

ID=6432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066A KR20180119377A (ko) 2017-04-25 2017-04-25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3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592A (ko) * 2020-11-30 2022-06-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외화가상계좌를 이용한 구매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592A (ko) * 2020-11-30 2022-06-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외화가상계좌를 이용한 구매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79191A1 (en) Securing sensitive user data associated with electronic transactions
RU265117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мобильной бесконтактной покупки билетов/обработки платежей через приложение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CN104272331A (zh) 在不具有安全元件的情况下处理支付交易
AU201928378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3-D secure service on-behalf-of merchants
CN106462849A (zh) 用于令牌域控制的系统和方法
US9384487B2 (en) Phone number payments for bill payments users
KR102017254B1 (ko) 대신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신 결제 시스템
KR20000024216A (ko)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상거래용 지불대행 시스템 및 그운용방법
KR102495271B1 (ko) 렌탈페이 관리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05493112A (zh) 利用支付联合服务的销售点设备
US20230143954A1 (en) Multi-token provisioning, online purchase transaction processing, and card life cycl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WO2017154143A1 (ja) 決済処理システムおよび決済処理方法
KR20170017177A (ko) 결제 중계 서버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4464B1 (ko) Qr코드를 이용한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9377A (ko) 외국인 은행 계좌 연동과 국내 카드를 이용한 외국인 결제 중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120820A (ko) 타인의 구매에 대한 대금의 대리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대리결제 서비스 서비스 서버
KR20160107778A (ko) 소상공인을 위한 휴대 단말 앱 기반 간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76316A (ko) 모바일 가상머신 상품권 유통관리시스템 및 가상머신상품권을 이용한 결제방법
KR102294623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 구매 중계 시스템 및 방법
CN114819952A (zh) 一种基于数字货币的车载支付的方法、装置和系统
KR20070003253A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통합형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그에 따른 시스템
WO2017197468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e delivery of goods
KR102103473B1 (ko) 커뮤니티 화폐 플랫폼 운영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7301869B2 (ja) アプライアンスへのトークンの承認およびプロビジョニ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97850B1 (ko)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소액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