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27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277A
KR20180119277A KR1020170052803A KR20170052803A KR20180119277A KR 20180119277 A KR20180119277 A KR 20180119277A KR 1020170052803 A KR1020170052803 A KR 1020170052803A KR 20170052803 A KR20170052803 A KR 20170052803A KR 20180119277 A KR20180119277 A KR 20180119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hamber
cabinet
water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181B1 (ko
Inventor
정환진
임명훈
김현동
우경철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1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 및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이 구비된 제1처리장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및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이 구비된 제2처리장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원기둥 형상의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제1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1유입부, 상기 제2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2유입부, 상기 챔버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1터브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부, 및 상기 챔버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터브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물을 이용하여 의류에서 오물을 분리시키는 세탁하는 세탁장치 및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장치를 의미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두 개의 세탁장치가 구비된 것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물이 저장되는 제1터브 및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드럼이 구비된 제1처리장치, 상기 제1터브와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및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드럼이 구비된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순환부로 두 개의 터브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순환부로 각 터브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세탁력이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 및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이 구비된 제1처리장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및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이 구비된 제2처리장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원기둥 형상의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제1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1유입부; 상기 제2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2유입부; 상기 챔버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1터브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부; 및 상기 챔버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터브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유입부는 상기 제1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제1공급유로와 상기 챔버를 연결하고, 물이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되게 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유입부 제1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입부는 상기 제2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제2공급유로; 상기 제2공급유로와 상기 챔버를 연결하고, 물이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유입부 제2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챔버의 원주면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1터브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제1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챔버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2배출구; 상기 제2배출구와 상기 제2터브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및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제2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제1밸브는 상기 임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임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배출구를 폐쇄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 제2밸브는 상기 임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임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배출구를 폐쇄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1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터브 및 상기 제1드럼에 연통하는 제1투입구가 구비된 제1캐비닛; 상기 제2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로워; 상기 제2드로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제2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과 상기 제2드럼을 연통시키는 제2투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의 지름은 상기 제2드럼의 높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베이스 관통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급유로 및 상기 제1배출유로는 상기 베이스 관통홀 및 상기 상부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베이스 관통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유로 및 상기 제2배출유로는 상기 베이스 관통홀 및 상기 상부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유로 및 상기 제2배출유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베이스 관통홀; 및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며, 상기 제1공급유로 및 상기 제1배출유로는 상기 베이스 관통홀 및 상기 상부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유로 및 상기 제1배출유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순환부로 두 개의 터브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순환부로 각 터브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세탁력이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순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이나,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제1처리장치(A),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제2처리장치(B)를 포함한다. 도 1은 상기 제2처리장치(B)가 제1처리장치(A)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처리장치(A)는 제1캐비닛(1),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제1터브(3),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캐비닛은 제1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 상기 제1처리장치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상기 제1처리장치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패널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14)에는 제1투입구(14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41)는 상기 프론트패널을 관통하여 제1캐비닛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투입구(141)는 상기 프론트패널(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도어(14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프론트패널(14)이나 상기 제1도어(143)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처리장치(A)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1컨트롤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3)는 제1터브 지지부(35)를 통해 제1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터브 지지부(35)는 제1터브(3)의 상부영역을 제1캐비닛에 연결하는 스프링, 상기 제1터브의 하부영역을 상기 베이스(11)에 연결하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3)의 전방면에는 상기 제1투입구(141)에 연통하는 제1터브 투입구(31)가 구비된다. 상기 제1터브(3)에 저장된 물이 제1터브(3)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터브 투입구(31)와 제1투입구(141)는 가스켓(3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3)는 제1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제1배수부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제1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데, 상기 제1급수부는 급수원(미도시)과 제1터브(3)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35), 제1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 제1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급수밸브(3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제1터브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펌프(38), 상기 제1배수펌프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제1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3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5)은 상기 제1터브(3)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 바디(5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드럼 바디(5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cylinder)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드럼 바디의 전방면에는 상기 제1터브 투입구(31)에 연통하는 제1드럼 투입구(53)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도어(143)를 개방한 뒤 제1투입구(141), 제1터브 투입구(31) 및 제1드럼 투입구(53)를 통해 의류를 제1드럼 바디(5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 바디(51)에는 다수의 관통홀(55)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55)들은 상기 제1드럼바디(51) 내부를 상기 제1터브(3) 내부와 연통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1터브(3)에 공급된 물은 상기 관통홀(55)을 통해 제1드럼 바디(51)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 바디(51)는 제1구동부에 의해 제1터브(3)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터브(3)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제1스테이터(71),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73), 상기 제1터브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 바디와 상기 제1로터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B)는 상기 제1처리장치(A)의 베이스(11)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2),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4),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6),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럼(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캐비닛(2)의 전방면에는 출입구(21)가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4)는 상기 출입구(21)를 통해 제2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4)는 상기 출입구(21)를 통해 제2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제2캐비닛(2)으로 삽입되는 드로워 바디(41), 상기 드로워 바디(41)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드로워 패널(43), 상기 드로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47)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43)에는 제2처리장치(B)의 제어를 위한 제2컨트롤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 소리신호와 문자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알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및 알림부는 제2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 제2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알림부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또는 정보전달을 위한 문자신호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47)에는 드로워 바디(4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홀(471) 및 제2관통홀(473)이 구비된다.
상기 제2터브(6)는 제2터브 지지부(67)를 통해 상기 드로워 바디(41)에 고정되는 제2터브 바디(61), 상기 제2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63)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63)에는 제2터브(6)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투입구(631)가 구비되며, 상기 제2투입구(631)는 터브 커버(6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도어(6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제2도어(65)는 상기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제1관통홀(471)이 상기 터브 커버(63)에 투영된 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관통홀(471)을 통해 제2도어(65)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술한 제2터브(6)는 제2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제2배수부를 통해 저장된 물을 제2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2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제2터브(6)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681) 및 제2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급수관(68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급수밸브(68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급수관(681)는 상기 제2관통홀(473)을 통해 드로워 커버(47)를 관통하고, 상기 터브 커버(6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에 연결된다.
상기 제2배수부는 제2터브(6)에 저장된 물을 제2터브 바디(61)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제2배수펌프(687), 상기 제2배수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제2캐비닛(2)의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68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8)은 제2터브 바디(6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드럼 바디(8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드럼 바디(8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투입구(631)에 연통하는 제2드럼 투입구(83)가 구비된다. 또한, 제2터브(6)에 저장된 물이 제2드럼 바디(8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드럼 바디(81)에는 다수의 관통홀(85)이 구비된다.
상기 제2드럼 바디(81)는 제2구동부(87)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2구동부는 제2터브 바디(6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터브 바디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스테이터(871), 상기 제2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873), 상기 제2터브 바디(6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 바디(81)와 상기 제2로터(873)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8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2캐비닛(2)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3)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터브에 저장된 물도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부(9)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상기 순환부(9)가 제2캐비닛(2) 내부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부(9)는 제2캐비닛(2)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91),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911), 상기 챔버(9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94), 상기 제1터브(3) 내부의 물을 제1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킨 뒤 다시 제1터브로 재공급하는 제1순환유로(97), 상기 제2터브(6) 내부의 물을 제2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킨 뒤 다시 제2터브로 재공급하는 제2순환유로(98)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911)는 상기 임펠러(94)가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94)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면 상기 챔버(911) 역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임펠러(94)는 임펠러 모터(95)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 모터(95)는 상기 하우징(91)에 고정되어 상기 챔버(911)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임펠러 모터에 구비된 임펠러 회전축(951)은 상기 챔버(911)를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94)에 연결된다. 상기 임펠러 모터(95)는 상기 임펠러 회전축(951)을 시계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고, 반시계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순환유로(97)는 상기 제1터브(3)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챔버(911)로 유입시키는 제1유입부(971a, 971b, 971c) 및 상기 임펠러(94)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챔버(911) 내부의 물을 상기 제1터브(3)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부(973a, 973b, 973c)로 구비되고, 상기 제2순환유로(98)는 상기 제2터브(6)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챔버(911)로 유입시키는 제2유입부(981a, 981b, 981c) 및 상기 임펠러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챔버(911) 내부의 물을 상기 제2터브(6)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부(983a, 983b, 983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순환부(9)는 상기 임펠러(9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터브(3)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킬 수도 있고, 상기 제2터브(6)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입부(971a, 971b, 971c) 및 제2유입부(981a, 981b, 981c)는 각 터브(3, 6)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951)과 나란한 방향(H)을 따라 상기 챔버(911)로 유입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배출부(973a, 973b, 973c) 및 제2배출부(983a, 983b, 983c)는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951)과 수직한 방향(V)을 따라 챔버(91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유입부는 상기 제1터브(3)에 저장된 물을 상기 챔버(911)로 안내하는 제1공급유로(971c), 물이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951)과 나란한 방향(H)을 따라 상기 챔버(911)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공급유로(971c)와 상기 챔버(911)를 연결하는 제1유입구(971a)로 구비되고, 상기 제2유입부는 상기 제2터브(6)에 저장된 물을 상기 챔버(911)로 안내하는 제2공급유로(981c), 물이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951)과 나란한 방향(H)을 따라 상기 챔버(911)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공급유로(981c)와 상기 챔버(911)를 연결하는 제2유입구(981a)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부는 상기 제1유입구(971a)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유입부 제1밸브(971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입부는 상기 제2유입구(981a)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유입부 제2밸브(98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챔버의 원주면(9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배출구(973a), 상기 제1배출구(973a)와 상기 제1터브(3)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973c), 및 상기 제1배출구(973a)를 개폐하는 배출구 제1밸브(973b)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챔버의 원주면(9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2배출구(983a), 상기 제2배출구(983a)와 제2터브(6)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983c), 및 상기 제2배출구(983a)를 개폐하는 배출구 제2밸브(98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유로(973c)의 일단은 상기 제1배출구(973a)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유로(973c)의 타단은 상기 제1터브(3)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터브(3)에 설정된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된 공간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상기 제1배출유로(973c)의 타단이 상기 제1터브(3)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드럼(5)의 회전중심(75)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배출유로(983c)의 일단은 상기 제2배출구(983a)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배출유로(983c)의 타단은 상기 제2터브(6)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터브(6)에 설정된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된 공간에 연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출유로(983c)는 상기 드로워 커버(47)에 구비된 제2관통홀(473)을 통해 상기 드로워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제1밸브(973b)와 배출구 제2밸브(983b)는 임펠러(94)의 회전 시 두 개의 배출구(973a, 983a) 중 어느 하나의 배출구로만 챔버(911) 내부의 물이 배출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배출구 제1밸브(973b)는 상기 임펠러(9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배출구(973a)를 개방하고, 상기 임펠러9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배출구(973a)를 폐쇄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 제2밸브(983b)는 상기 임펠러(9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배출구(983a)를 개방하고, 상기 임펠러(9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배출구(983a)를 폐쇄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부(9)가 제2처리장치(B)에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23)에는 상기 제1공급유로(971c)와 제1배출유로(973c)가 삽입되는 상부면 관통홀(2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의 베이스에도 상기 제1공급유로(971c)와 제1배출유로(973c)가 삽입되는 베이스 관통홀(111)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91)이 상기 제2캐비닛(2) 내부에 고정될 경우, 상기 제2공급유로(981c) 및 제2배출유로(983c)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91)은 상기 제1처리장치(A) 내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공급유로(981c) 및 제2배출유로(983c)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관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91)은 드로워 바디(41)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제1공급유로(971c) 및 제1배출유로(973c)가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순환부(9)를 통해 본 발명은 두 개의 터브(3, 6)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순환부로 두 개의 처리장치(A, B) 각각의 세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제1캐비닛 11: 베이스
14: 프론트패널 3: 제1터브 5: 제1드럼
2: 제2캐비닛 4: 드로워 41: 드로워 바디
43: 드로워 패널 47: 드로워 커버 471: 제1관통홀
473: 제2관통홀 6: 제2터브 65: 제2도어
8: 제2드럼 9: 순환부 91: 하우징
911: 챔버 912: 원주면 94: 임펠러
95: 임펠러 모터 951: 임펠러 회전축 97: 제1순환유로
971a: 제1유입구 971b: 유입부 제1밸브 971c: 제1공급유로
973a: 제1배출구 973b: 배출구 제1밸브 973c: 제1배출유로
98: 제2순환유로 981a: 제2유입구 981b: 유입부 제2밸브
981c: 제2공급유로 983a: 제2배출구 983b: 배출구 제2밸브
983c: 제2배출유로

Claims (11)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 및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이 구비된 제1처리장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및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이 구비된 제2처리장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원기둥 형상의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제1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1유입부;
    상기 제2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제2유입부;
    상기 챔버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1터브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부;
    상기 챔버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터브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부는 상기 제1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제1공급유로와 상기 챔버를 연결하고, 물이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되게 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유입부 제1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입부는 상기 제2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제2공급유로; 상기 제2공급유로와 상기 챔버를 연결하고, 물이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로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유입부 제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챔버의 원주면에 구비되는 제1배출구;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1터브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제1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챔버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2배출구; 상기 제2배출구와 상기 제2터브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및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제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제1밸브는 상기 임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임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배출구를 폐쇄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 제2밸브는 상기 임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임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배출구를 폐쇄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1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터브 및 상기 제1드럼에 연통하는 제1투입구가 구비된 제1캐비닛;
    상기 제2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로워;
    상기 제2드로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제2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과 상기 제2드럼을 연통시키는 제2투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럼의 지름은 상기 제2드럼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베이스 관통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급유로 및 상기 제1배출유로는 상기 베이스 관통홀 및 상기 상부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베이스 관통홀;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유로 및 상기 제2배출유로는 상기 베이스 관통홀 및 상기 상부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유로 및 상기 제2배출유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베이스 관통홀; 및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며,
    상기 제1공급유로 및 상기 제1배출유로는 상기 베이스 관통홀 및 상기 상부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유로 및 상기 제1배출유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52803A 2017-04-25 2017-04-25 의류처리장치 KR101921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03A KR101921181B1 (ko) 2017-04-25 2017-04-2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03A KR101921181B1 (ko) 2017-04-25 2017-04-2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77A true KR20180119277A (ko) 2018-11-02
KR101921181B1 KR101921181B1 (ko) 2019-02-13

Family

ID=6432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03A KR101921181B1 (ko) 2017-04-25 2017-04-2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5319B (zh) * 2019-09-10 2021-05-2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RU2766981C1 (ru) * 2020-02-19 2022-03-16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3868939A1 (en) * 2020-02-19 2021-08-2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30039A1 (it) * 2013-01-17 2014-07-18 Indesit Co Spa Procedimento per controllare il riempimento di acqua in un elettrodomestico a conduzione d'acqu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181B1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2382B (zh) 洗衣机
KR10258349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66570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40410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668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16391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69732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8265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371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EP3336237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8005240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0537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664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6393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4517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854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322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773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0702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8689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