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030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030A
KR20180119030A KR1020170052458A KR20170052458A KR20180119030A KR 20180119030 A KR20180119030 A KR 20180119030A KR 1020170052458 A KR1020170052458 A KR 1020170052458A KR 20170052458 A KR20170052458 A KR 20170052458A KR 20180119030 A KR20180119030 A KR 20180119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unit
battery
suction
clean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4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5525B1 (en
Inventor
이준호
함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52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leane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absorbing portion and a dust separating portion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absorbed in the absorbing portion; an absorbing motor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n absorption force; and a battery unit hav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absorbing motor and mov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The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or wipes dust or foreign matter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performs cleaning.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Such a vacuum cleaner can be divided into a manual vacuum cleaner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the user directly moves the vacuum cleaner, and an automatic vacuum cleaner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traveling on its own.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manual cleaner can be classified into a canister-type cleaner, an upright-type cleaner, a handy-type cleaner, and a stick-type clean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leaner.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34949호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34949,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hand-held vacuum cleaner.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브러시 도구와, 원심 분리기, 전원, 및 핸들을 포함한다. The hand held vacuum cleaner includes a brush tool, a centrifuge, a power source, and a handle.

상기 원심 분리기는, 핸들과 흡입관의 사이에 위치되고, 핸들의 바로 위에는 기류 생성기가 배치되고, 핸들의 바로 아래에는 전원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류 생성기 및 전원은 기류 생성기의 후방에 위치된다. The centrifugal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suction pipe, the airflow generator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handle, and a power source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handle. Thus, the airflow generator and the power source are located behind the airflow generator.

위의 구성 들중에서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구성은 기류 생성기와 전원이다. Among the above configurations, the relatively heavy construction is the airflow generator and the power source.

따라서, 상기 기류 생성기와 상기 전원에 의해서 무게 중심의 위치가 결정된다. 무게가 무거운 기류 생성기가 핸들의 바로 위에 배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전원이 핸들의 바로 하방에 배치됨에 따라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전체적으로 볼 때 무게중심이 핸들 측으로 쏠려 사용자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이용할 때 불편한 문제가 있고, 손목에 무리가 가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is determined by the airflow generator and the power source. As the heavier air flow generator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handle and the heavier power source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handl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and held vacuum cleaner as a whole is directed toward the handle side, which is uncomfortable when the user uses a hand held vacuum cleaner There is a proble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rist is difficult.

또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청소기 자체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일정하나, 청소기에 결합되는 브러시 도구의 종류 및 무게에 따라서, 브러시 도구가 결합된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변화되어, 핸들을 잡는 손의 피로감이 증가된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itself is constant, bu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to which the brush tool is coupled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and weight of the brush tool coupled to the cleaner,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무게 중심을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manually varying the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무게 중심을 가변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 툴의 종류에 따라서, 청소 툴을 제외한 청소기 자체의 무게 중심이 자동으로 가변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itself except for the cleaning tool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상기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가지는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유닛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가변되도록,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움직임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and a battery unit hav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The battery unit is movabl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its center can be varied.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battery unit may include a body for receiving the battery, and the body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by a hinge.

상기 바디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body can be manually rotated by the user's operation.

또는, 상기 바디는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body may be automatically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상기 배터리 유닛의 회전을 위한 명령은 조작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mmand for rotating the battery unit may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e motor based on the command input to the oper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유닛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and determine a rotation direction and an angle of the battery unit.

상기 흡입 모터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가 온된 상태에서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 유닛이 미리 결정된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n / off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wherein, when the off command is inputted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motor to move the battery unit to a predetermined initial position,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바디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body, a second body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body with respect to the body, and a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 ≪ / RTI >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하측을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may 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각각에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바디의 배터리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A battery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batteries of the respective bodie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핸들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handle for gripping the user, and the connection can be located below the handle.

상기 배터리 유닛의 회전되는 과정에서 핸들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연결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전후 길이는 상기 각 바디의 전후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각 바디의 전측 부분을 연결한다.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connecting portion ar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respective bodies so that the hand of the user holding the handl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battery unit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connecting portion. Further,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front side portions of the respective bodies.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는 청소 툴의 종류를 감지하기 위한 장착 감지부와, 상기 장착 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된 청소 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 유닛의 회전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mounting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sensed by the mounting sensing unit.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청소 환경이나 장착되는 청소 툴에 따라서 배터리 유닛을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무게 중심이 가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battery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the cleaning environment or the cleaning tool to be installed by the user.

따라서, 사용자 마다 자신이 원하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desired by each user can be se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배터리 유닛이 구동 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unit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to rotate the unit directly.

또한, 흡입부에 장착 감지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청소 툴의 종류가 감지될 수 있고, 청소 툴의 종류에 따라서 배터리 유닛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무게 중심이 작동으로 가변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ction unit is provided with the mounting sensing unit,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can be detected, and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배면도.
도 3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배터리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배터리 유닛이 분리된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배터리 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블럭도.
도 7은 배터리 유닛이 제1각도 만큼 회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배터리 유닛이 제2각도 만큼 회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블럭도.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unit schematically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 battery unit is detached.
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battery unit.
6 is a block diagram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unit is rotated by a first angl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unit is rotated by a second angle;
9 is a block diagram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배터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배터리 유닛이 분리된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 battery unit is detached.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a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2. [

상기 본체(2)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12)와, 상기 흡입부(12)에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10)와, 상기 먼지 분리부(1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includes a suction portion 12 for sucking air, a dust separating portion 10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portion 12, And a dust bin 20 for storing separated dust.

또한, 상기 본체(2)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력 발생부(30)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핸들(40)과, 상기 흡입력 발생부(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4, 55)를 구비하는 배터리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includes a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handle 40 for holding the user, a battery 54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And a battery unit 50 hav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상기 흡입부(12)에는 제1청소 툴(14)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청소가 필요한 환경에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청소 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흡입부(12)에 결합할 수 있다. The first cleaning tool 1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unit 12. [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cleaning is required, the user may select one of various types of cleaning tools to be coupled to the suction unit 12. [

상기 흡입력 발생부(30)는 상기 먼지 분리부(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핸들(4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may be located behind the dust separating unit 10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handle 40.

상기 핸들(40)은 상기 흡입력 발생부(30)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40)은 상기 먼지통(20)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력 발생부(30)는,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와, 상기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34)를 포함한다. The handle 40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 The handle 40 is positioned behind the dust container 20.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30 includes an air discharge portion 34 through which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motor (see 32 in FIG. 6) and the suction motor (see 32 in FIG. 6) is discharged.

상기 배터리 유닛(50)은 상기 청소기(1) 자체의 무게 중심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battery unit 50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2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1 itself can be varied.

일 예로 상기 배터리 유닛(50)은 상기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attery unit 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2.

청소기(1)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50)은 일 예로 상기 흡입력 발생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battery unit 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in order to prevent the vacuum cleaner 1 from becoming bulky and allow the battery unit 50 to rotate.

그리고, 상기 배터리 유닛(50)은 상기 흡입력 발생부(30)의 일부 및 상기 핸들(4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unit 50 may be dispos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and the handle 40.

상기 배터리 유닛(50)은, 상기 흡입력 발생부(3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바디(51)와, 상기 흡입력 발생부(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51)의 반대편에서 상기 흡입력 발생부(30)에 연결되는 제2바디(52)와, 상기 제1바디(51)와 제2바디(52)를 연결하는 연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unit 50 includes a first body 51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and a second body 51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body 51 with respect to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A second body 52 connected to the generating part 30 and a connecting part 53 connecting the first body 51 and the second body 52 to each other.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제1바디(51)와 제2바디(52)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53 may connec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body 51 and the second body 52. [

따라서, 상기 제1바디(51)와 상기 제2바디(52)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력 발생부(30) 및 핸들(40)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핸들(4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and the handle 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51 and the second body 52. [ The connecting portion 53 may be located below the handle 40. [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53)가 상기 핸들(40)을 파지한 손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부(53)의 전후 길이는 상기 각 바디(51, 52)의 전후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각 바디(51, 52)의 전측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connecting portion 53 are set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s 53 ar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hand holding the handle 40 during the rotation of the battery unit 50, )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53 may connect the front portions of the bodies 51 and 52.

상기 제1바디(51)에는 제1배터리(54)가 수용되고, 상기 제2바디(52)에는 제2배터리(55)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배터리(54)와 상기 제2배터리(55)는 일 예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battery 54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body 51 and a second battery 55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body 52. The first battery 54 and the second battery 55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for example.

상기 제1배터리(54)와 상기 제2배터리(55) 중 하나 이상은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battery 54 and the second battery 55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상기 연결부(53)에는 상기 각 배터리(54, 55)의 전압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유닛(미도시) 수용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53 may receive a battery management unit (not shown) for managing the voltages of the batteries 54 and 55.

상기 각 바디(51, 52)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5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바디(51, 52)의 힌지(56) 중 하나 이상에는 후술할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부(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58)는 상기 흡입력 발생부(3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inges 56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s of the bodies 51 and 52 facing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hinges 56 of the bodies 51 and 52 may be provided with a gear portion 57 for receiving power of a driving motor to be described later. The gear portion 58 may be located inside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30.

한편, 상기 핸들(40)에는 상기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조작부(42)와,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조작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40 is provided with a first operating portion 42 for inputting an operating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see 32 in FIG. 6), and a second operating portion 42 for inputting a command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And may include a second operating portion 44.

상기 제1조작부(42)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조작부(42)를 이용하여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이 온/오프 명령 뿐만 아니라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의 흡입력 세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조작부(52)의 조작 횟수에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가 온되거나, 상기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가 온된 상태에서 흡입력의 세기가 가변되거나 상기 흡입 모터(도 6의 32참조)가 오프될 수 있다. The on / off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see 32 in Fig. 6) can be inputted by using the first operating portion 42. [ Alternatively, the suction motor (see 32 in Fig. 6) can input a command for varying the suction force intensity of the suction motor (see 32 in Fig. 6) as well as the on / off command using the first operation section 42 . 6) is turned on or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is varied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motor (see 32 in FIG. 6) is turned on or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is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52 The suction motor (see 32 in Fig. 6) can be turned off.

상기 제2조작부(44)와 상기 제1조작부(42)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조작부(44)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본체(20)의 일 지점 또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44 and the first operation portion 42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44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locat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20 or in the battery unit 50.

상기 제2조작부(44)를 조작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 각도를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조작부(44)의 조작 횟수 또는 누름 시간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The rotational angle of the battery unit 50 can be continuously or stepwise varied by operating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44. [ For example, the rotation angle of the battery unit 50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r the pressing time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44.

도 5는 배터리 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블럭도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a battery unit,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2)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흡입 모터(32) 및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and 6, the main body 2 includes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rotating the battery unit 50, a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suction motor 32 and the driving unit, As shown in FIG.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60)와, 상기 구동 모터(60)의 동력을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기어부(57)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61, 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61, 6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driving motor 60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61 or 62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60 to the gear portion 57 of the battery unit 50 .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s 61 and 62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ne or more gears.

상기 구동 모터(60)는 양방향 회전될 수 있는 모터이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은 도 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The drive motor 60 is a motor that can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battery unit 50 be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1, but also can be rotated clockwis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battery unit 5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배터리(54, 55)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힌지(56)를 지나 상기 흡입 모터(32)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어부(7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되더라도 상기 전선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batteries 54 and 55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motor 32 through the hinge 56 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70. Therefore, damage of the electric wire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battery unit 50 is rotated.

도 7은 배터리 유닛이 제1각도 만큼 회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배터리 유닛이 제2각도 만큼 회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ttery unit is rotated by a first angle,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ttery unit is rotated by a second angle.

본 발명에서 도 1과 같은 배터리 유닛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각도 보다 크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as shown in FIG. 1 may be referred to as an initial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gle is larger than the first angle.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제1청소 툴(14)이 흡입부(12)에 연결된 것이 도시된다. 사용자는 제1청소 툴(14)을 연결한 상태에서 탁자나, 쇼파, 창틀 등과 같이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한 청소 영역을 청소할 수 있다. 1 to 8, the first cleaning tool 14 is shown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2 in FIG. The user can clean the cleaning area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such as a table, a couch, a window frame, etc. while the first cleaning tool 14 is connected.

물론, 상기 제1청소 툴(14)을 이용하여 바닥을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lean the floor using the first cleaning tool 14.

사용자는 상기 제1청소 툴(14)을 분리하고, 상기 제1청소 툴(14) 보다 길이가 긴 제2청소 툴(15)을 상기 흡입부(12)에 연결할 수 있다. The user may disconnect the first cleaning tool 14 and connect the second cleaning tool 15 longer than the first cleaning tool 14 to the suction unit 12. [

상기 제2청소 툴(15)을 상기 흡입부(12)에 연결한 상태에서는 도 7과 같이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cleaning tool 15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2, the floor can be cleaned as shown in FIG.

상기 제2청소 툴(15)은 바닥 청소를 위한 노즐(17)과, 상기 노즐(17)은 상기 흡입부(12)에 연결하기 위한 연장관(1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leaning tool 15 may include a nozzle 17 for cleaning the floor and an extension pipe 16 for connecting the nozzle 17 to the suction unit 12.

상기 노즐(17)과 상기 연장관(16)을 포함하는 상기 제2청소 툴(15)의 무게는 상기 제1청소 툴(14)의 무게 보다 무겁다. The weight of the second cleaning tool 15 including the nozzle 17 and the extension pipe 16 is heavier than the weight of the first cleaning tool 14. [

따라서, 상기 제1청소 툴(14)이 상기 청소기(1)에 연결된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보다 상기 제2청소 툴(15)이 청소기(1)에 연결된 상태에서 무게 중심이 보다 청소기의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cleaning tool 15 is connected to the cleaner 1 rather than the center of gravity in a state where the first cleaning tool 14 is connected to the cleaner 1, .

따라서, 변경된 무게 중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2조작부(44)를 조작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도 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correct the changed center of gravity, the user may operate the second operation unit 44 to rotate the battery unit 50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초기 위치에서 도 7과 같이 제1각도 만큼 회전되면 상기 제2청소 툴(15)이 연결된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이 청소기의 뒷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battery unit 50 is rotated at the initial position by a first angle as shown in FIG. 7, the center of gravity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leaning tool 15 is connected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cleane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청소기에 결합되는 청소 툴의 종류나 무게와 상관없이 청소 툴이 결합된 청소기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소하는 과정에서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Therefore,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attery unit 50,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to which the cleaning tool is coupled is substantially constant regardless of the type and weight of the cleaning tool coupled to the cleaner So that the user can be less likely to get clogged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wrist.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청소 툴(15)을 상기 청소기(1)에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 보다 높은 영역(일 예로 벽)이나 천정을 청소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second cleaning tool 15 may be connected to the cleaner 1 to clean an area (for example, a wall) or a ceiling higher than a user's key.

상기 청소기(1)에 상기 제2청소 툴(15)을 연결한 상태에서는 청소 영역과 무관하게 상기 청소기(1)에 대한 무게 중심의 위치는 가변되지 않으나, 천정 등과 같은 높은 영역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이 사용자의 손목 보다 높게 위치된다.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leaning tool 15 is connected to the cleaner 1,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1 is not changed regardless of the cleaning area. However, when cleaning a high area such as a ceiling, The center of gravity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rist of the user.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 상기 청소기(1)의 무게를 버터야 하므로, 손목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을 상기 제1각도 보다 큰 제2각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에 의해서 무게 중심이 낮아질 수 있어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in such a case, the wrist of the user has to weigh the weight of the vacuum cleaner 1, so that the wrist is uncomfortable. Accordingly, the user can rotate the battery unit 50 by a second angle larger than the first angle. In this cas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battery unit 5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on the wrist.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청소를 완료한 후에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60)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70 may control the driving motor 60 so that the battery unit 5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cleaning.

즉, 상기 흡입 모터(32)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2조작부(44)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32)의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60)를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uction motor 32 is turned on, the controller 70 can control the drive motor 60 based on a command input through the second operation unit 44. When the off signal of the suction motor 32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driving motor 60 to return the battery unit 50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본체(2)에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위치 감지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감지부(72)는 일 예로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코더는 일 예로 상기 힌지(56)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70)는, 감지된 상기 힌지(56)의 회전 각도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ing unit 72 used to sens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The position sensing unit 72 may include an encoder, for example. The encoder sen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 56 and the controller 7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based on the detected rotation angle of the hinge 56 .

그리고, 판단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 방향 및 회전되어야 할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ttery unit 50 and the angle to be rotate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current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다른 예로서, 상기 위치 감지부(72)는, 상기 힌지(56)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osition sensing unit 72 may include a magnet provided on the hinge 56 and a hall sensor provided on the main body 2 for sensing the magnet.

사용자마다 느끼는 최적의 무게 중심이 다를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유닛(50)이 회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느끼는 최적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ttery unit 50 can be rotated, the position of the optimal center of gravity felt by the user can be adjust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상기 구동 모터(6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상기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 유닛(50)을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상기 본체(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attery unit 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2 while the battery unit 50 is rotat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60. However, The battery unit 5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battery unit 50 manually.

이 경우,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힌지(56)의 둘레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힌지(56)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복수의 돌기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돌기가 복수의 돌기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돌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어,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위치가 단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rotrusion is provided around the hinge 56 of the battery unit 5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 receiving portions, which receive the protrusion, .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battery unit 50, the protrusion can be accommodat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 receiving portion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can be changed stepwis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블럭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청소 툴의 장착을 감지하여 배터리 유닛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in other respect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battery unit by sensing the mounting of the cleaning tool.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 툴(14, 15)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장착 감지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7, and 9,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ounting sensing portion 80 for sensing mounting of cleaning tools 14, 15.

상기 장착 감지부(80)는 일 예로 상기 흡입부(12)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ounting sensing portion 80 may be located in the suction portion 12, for example.

또한, 제어부(50)는 상기 장착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툴(14, 15)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 may detect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14 or 15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unting detector 80.

일 예로 상기 청소 툴(14, 15) 마다 크기가 다른 저항이 존재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80)는 상기 저항을 감지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감지된 저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툴(14, 15)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resistors of different sizes may exist for each of the cleaning tools 14 and 15, and the mounting sensing unit 80 may sense the magnitude of sensing the resistance. The controller 5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14 or 15 based on the detected resistance.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장착이 감지된 청소 툴(14, 15)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 위치 및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소 툴(14, 15)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 위치 및 각도는 메모리(73)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may determine the rotation position and the angle of the battery unit 5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14 or 15 detected to be mounted. The rotation position and angle of the battery unit 50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73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14 or 15.

예를 들어, 제1청소 툴(14)이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위치는 초기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cleaning tool 14 is mounted,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may be determined as an initial position.

반면, 제2청소 툴(14)이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위치는 초기 위치에서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반시계 방향으로 제1각도 만큼 회전된 제1회전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cleaning tool 14 is mounted,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is chang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in which the battery unit 5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 first angle And can be determined as a rotational position.

상기 제어부(50)는, 결정된 배터리 유닛(50)의 회전 위치와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50)을 회전시키거나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 may compar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determined battery unit 50 wit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to rotate the battery unit 50 or maintain the current position.

예를 들어, 상기 제2청소 툴(15)이 상기 흡입부(12)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도 7과 같이 제1회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leaning tool 15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2, the battery unit 50 may be rotated to the first rota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청소 툴(15)이 상기 흡입부(12)에서 분리된 후에 상기 제1청소 툴(14)이 상기 흡입부(12)에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 후에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배터리 유닛(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is state, if the first cleaning tool 14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2 after the second cleaning tool 15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unit 12, After determin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nit 50, the battery unit 50 may be rotated to move the battery unit 50 to the initial position.

한편, 상기 배터리 유닛(50)이 초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청소 툴(14)이 상기 흡입부(12)에서 분리된 후 상기 제1청소 툴(14)이 다시 상기 흡입부(12)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 유닛(50)은 회전되지 않고, 현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After the first cleaning tool 14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unit 12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unit 50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first cleaning tool 14 is moved back to the suction unit 12 , The battery unit 50 is not rotated and can maintain its current position.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을 위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회전을 위한 모드는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user may determine a mode for rotation of the battery unit 50. [ The mode for the rotation of the battery unit 50 may include a manual mode and an automatic mode.

이때, 상기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는, 상기 본체(2)에 구비된 모드 선택부(미도시)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nual mode or the automatic mode may be selected by a mode selec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2. [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조작부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의 위치를 수동으로 결정 및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the user can manually determine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using the second operation uni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반면, 자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착된 청소 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50)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 및 조절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50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mount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청소기 2: 본체
10: 먼지 분리부 12: 흡입부
20: 먼지통 30: 흡입력 발생부
40: 핸들 42: 제1조작부
44: 제2조작부 50: 배터리 유닛
51: 제1바디 52: 제2바디
53: 연결부 60: 구동 모터
70: 제어부
1: Cleaner 2: Body
10: dust separator 12: suction part
20: Dust bin 30: Suction force generator
40: handle 42:
44: second operating portion 50: battery unit
51: first body 52: second body
53: connection part 60: drive motor
70:

Claims (11)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 및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움직임 가능한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ion and a dust separating portion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portion;
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the battery unit being movabl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unit includes a body for receiving the battery,
Wherein the body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by a hin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힌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power for rotating the body;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hin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의 회전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for rotating the batter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based on a command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가 온된 상태에서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 유닛이 미리 결정된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operating portion for inputting an on / off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motor such that the battery unit moves to a predetermined initial position when an off command is input while the suction motor is 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바디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바디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includes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body,
A second body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body with respect to the body,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각각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battery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핸들의 하방에 위치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handle for gripping the user,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hand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전후 길이는 상기 각 바디의 전후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각 바디의 전측 부분을 연결하는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connecting portion are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respective bodies,
And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front portion of each of the bod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는 청소 툴의 종류를 감지하기 위한 장착 감지부와,
상기 장착 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된 청소 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 유닛의 회전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unting sensing unit for sensing a type of a cleaning tool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eaning tool sensed by the mounting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의 움직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 유닛의 위치를 수동으로 결정하는 수동 모드와,
장착되는 청소 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수동 모드를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motion mode of the battery unit,
The mode includes a manual mode in which the user manually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And a manual mod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battery uni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a cleaning tool to be mounted.
KR1020170052458A 2017-04-24 2017-04-24 Cleaner KR101985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58A KR101985525B1 (en) 2017-04-24 2017-04-24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58A KR101985525B1 (en) 2017-04-24 2017-04-24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30A true KR20180119030A (en) 2018-11-01
KR101985525B1 KR101985525B1 (en) 2019-06-03

Family

ID=6439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458A KR101985525B1 (en) 2017-04-24 2017-04-24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5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71B1 (en) * 2020-11-18 2021-04-07 배성구 Universal controller device for motor driven home appliance and motor driven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3459B2 (en) * 2002-03-15 2007-09-12 株式会社マキタ Battery-powered power tool and method of using battery-powered power tool
KR20090034949A (en) * 2006-07-18 2009-04-08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Handheld cleaning appliance
JP2012135827A (en) * 2010-12-25 2012-07-19 Hitachi Koki Co Ltd Powered rotation tool
JP2014148950A (en) * 2013-02-01 2014-08-21 Makita Corp Electric blower
JP2015062696A (en) * 2012-01-25 2015-04-09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Portable surgical instrument
KR20160015237A (en) * 2013-06-05 2016-02-12 그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Hand-held vacuum cleaner and extendable hose
KR20160128111A (en) * 2015-04-28 201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Handy type clea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3459B2 (en) * 2002-03-15 2007-09-12 株式会社マキタ Battery-powered power tool and method of using battery-powered power tool
KR20090034949A (en) * 2006-07-18 2009-04-08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Handheld cleaning appliance
JP2012135827A (en) * 2010-12-25 2012-07-19 Hitachi Koki Co Ltd Powered rotation tool
JP2015062696A (en) * 2012-01-25 2015-04-09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Portable surgical instrument
JP2014148950A (en) * 2013-02-01 2014-08-21 Makita Corp Electric blower
KR20160015237A (en) * 2013-06-05 2016-02-12 그레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Hand-held vacuum cleaner and extendable hose
KR20160128111A (en) * 2015-04-28 201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Handy type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71B1 (en) * 2020-11-18 2021-04-07 배성구 Universal controller device for motor driven home appliance and motor driven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525B1 (en)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358B1 (en) Dust-Emptying Equipment for Robot Cleaner
JP6667648B2 (en) Household cleaning appliances and base station for household cleaning appliances
JP5983928B2 (en) Electric working machine
KR20160015237A (en) Hand-held vacuum cleaner and extendable hose
JP3187463U (en) Cleaning robot with handheld vacuum cleaner
TWI603705B (en) Vacuum cleaner
KR102511243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JP2011030668A (en) Vacuum cleaner
KR101985525B1 (en) Cleaner
DE102019107870A1 (en) dust collectors
JP560395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GB2550041A (en) Staubsauger
JP535075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9092827A (en) Vacuum cleaner
KR101253619B1 (en) Charging Equipment for Robot Cleaner
JP2011010743A (en) Vacuum cleaner
JP7335731B2 (en) dust collection system
US20200306907A1 (en) Dust collecting system
JP7226965B2 (en) vacuum cleaner
JP6289327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JP6711089B2 (en) Vacuum cleaner
JP6922842B2 (en) Vacuum cleaner
JP7022500B2 (e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system
JPH0751120B2 (en) Mobile work vehicle with cord reel
JP7246179B2 (en) Vacuum cleaner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