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415A - 봉합사필름 - Google Patents
봉합사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8415A KR20180118415A KR1020170051716A KR20170051716A KR20180118415A KR 20180118415 A KR20180118415 A KR 20180118415A KR 1020170051716 A KR1020170051716 A KR 1020170051716A KR 20170051716 A KR20170051716 A KR 20170051716A KR 20180118415 A KR20180118415 A KR 201801184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ture
- film
- needle
- bar
- pul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08—J-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된 환부를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봉합하고 봉합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봉합사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봉합사필름은, 바늘관통공이 형성되어 유연성을 갖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바늘관통공 선단에 배치되는 견인부와 후단에 배치되는 루프부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환부를 봉합하는 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봉합사의 견인부는 봉합바늘에 의해 견인되어 환부를 지나 루프부를 관통한 후 매듭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봉합사필름에서 봉합사가 분리되면서 환부를 봉합하므로 위생적이며 편리하게 봉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봉합사필름은, 바늘관통공이 형성되어 유연성을 갖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바늘관통공 선단에 배치되는 견인부와 후단에 배치되는 루프부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환부를 봉합하는 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봉합사의 견인부는 봉합바늘에 의해 견인되어 환부를 지나 루프부를 관통한 후 매듭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봉합사필름에서 봉합사가 분리되면서 환부를 봉합하므로 위생적이며 편리하게 봉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봉합사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된 환부를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봉합하고 봉합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봉합사필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봉합사는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된 환부를 봉합하는 데 사용하는 실이다.
근래에는 봉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봉합사 또는 봉합사의 매듭을 맺는 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0291호(공개일자 2010.01.06) ‘수술용 봉합장치’ 및 등록실용신안 제0195052호(등록일자 2000.06.26) ‘내시경 수술시 수술 봉합사 매듭 조임기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은 별도로 마련된 봉합사를 장치나 기기에 끼워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염되어 위생성이 떨어질 수 있고, 환부를 꿰매고 매듭을 지어 마무리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으며, 매듭을 묶어 유지하는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된 환부를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봉합하고 봉합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봉합사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합사필름은, 바늘관통공이 형성되어 유연성을 갖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바늘관통공 선단에 배치되는 견인부와 후단에 배치되는 루프부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환부를 봉합하는 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봉합사의 견인부는 봉합바늘에 의해 견인되어 환부를 지나 루프부를 관통한 후 매듭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봉합사는, 상기 견인부에 연이어져 바늘관통공의 어느 한 측면에 인접되도록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부, 상기 루프부에 연이어지도록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사의 견인부는 바늘관통공의 선단에 인접된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사의 견인부의 선단에는 견인매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사의 루프부는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조여지지 않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측에는 형체력을 갖도록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드에는 복수의 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면에는 봉합사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견인부와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는 복수로 이루어져 베이스필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봉합바늘에 의해 봉합사필름에서 봉합사가 분리되면서 환부를 꿰매어 위생적으로 봉합할 수 있고, 미리 형성된 루프부를 관통한 후 매듭을 형성하므로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봉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에서 케이스와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바늘과 구동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바늘과 구동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사필름을 나타낸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이송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재와 커팅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바디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부캐치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사필름, 구동부재, 홀딩부재 및 커팅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사필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에서 케이스와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바늘과 구동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바늘과 구동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사필름을 나타낸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이송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재와 커팅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바디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부캐치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사필름, 구동부재, 홀딩부재 및 커팅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사필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봉합기는, 견인부(122) 및 루프부(126)를 포함하는 봉합사(120)가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100), 봉합사필름(10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231)을 갖는 바디(200), 바디(200)의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하는 봉합사필름(100)의 봉합사(120) 견인부(122)를 견인하여 환부(1)를 지나 루프부(126)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470), 봉합바늘(470)의 회전 및 봉합사필름(100)의 이송을 겸하는 구동부재(400), 구동부재(400)에 의해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를 잡아서 매듭을 맺는 홀딩부재(500), 홀딩부재(500)로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는 커팅부재(600)를 포함한다.
봉합사필름(100)은 유연성을 갖는 베이스필름(110)과 이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환부(1)를 봉합하는데 쓰이는 봉합사(120)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필름(110)은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도록 유연성을 갖는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필름(110)의 좌우 양측에는 약간 두꺼운 비드(111)가 형성되어 소정의 외력-필름푸셔(420)로 누르는 힘-에 대항하여 변형되지 않고 어느 정도 형체를 유지하는 형체력을 갖고, 이 비드(111)에는 복수의 스프로킷홀(1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어 후술하는 어퍼스프로킷(712) 및 로워스프로킷(722)에 맞물려 이송된다. 베이스필름(110)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긴 바늘관통공(114)이 형성되며, 이 바늘관통공(114)은 봉합바늘(470)이 회전하면서 관통되어 봉합사(120)의 견인부터 루프부(126)를 지나 매듭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봉합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110)의 바늘관통공(114) 선단에 배치되는 견인부(122), 견인부(122)에 연이어져 바늘관통공(114)의 어느 한 측변에 인접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124), 연결부(124)에 연이어져 바늘관통공(114)의 후단에 인접되도록 배치되는 루프부(126), 루프부(126)에 연이어지는 마감부(128)를 포함한다.
견인부(122)는 베이스필름(110)의 바늘관통공(114) 선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122)의 선단과 후단은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사이의 중앙은 바늘관통공(114)의 선단에 인접된 부분을 가로지르게 된다. 견인부(122)의 선단에는 견인매듭(123)이 형성되어 도 12의 (b) 좌측에 일점쇄선 원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바늘(470)이 견인부(122)를 견인할 때 걸려서 봉합사(120)의 선단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연결부(1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122)에 연이어져 바늘관통공(114)의 길이방향 어느 한 측변에 인접되도록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연결부(124)는 봉합바늘(470)이 견인부(122)를 견인하면서 시작하는 1회전 후 루프부(126)를 관통하는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루프부(126)는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조여지지 않은 고정된 고리 형상의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4)에 연이어진 둥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되는 견인부(122)와 묶어서 매듭을 형성한다.
마감부(128)는 루프부(126)에 연이어져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봉합사(120)의 끝 부분을 마감한다.
이에 따라, 봉합사(120)는 견인부(122)가 봉합바늘(470)에 의해 견인되어 조직의 환부(1)를 지나 루프부(126)를 관통한 후 묶어서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의 봉합사필름(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견인부(122)와 연결부(124)와 루프부(126) 및 마감부(128)를 포함하여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된 봉합사(120)는 복수로 이루어져 베이스필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끊어지지 않고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된 봉합사(120)가 소정 간격,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환부(1)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봉합사(120)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여러 개의 매듭을 형성하면서 환부를 봉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봉합사필름(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필름(110)의 적어도 일면에는 보호필름(130)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봉합사(120)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 13의 상부 우측에 일점쇄선 타원 내에 도시된 봉합사필름(100)의 단면을 참조하면, 봉합사(120)가 부착된 베이스필름(110)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는 소독 및 항균 처리된 보호필름(130)이 부착되어 사용 직전 또는 원하는 시점에 떼어 낼 수 있으므로, 운반 또는 보관 중 오염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호필름(13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110)의 일면에 부착되게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베이스필름(110)의 양면에도 부착될 수 있다.
바디(200)는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와 후면바디(250) 및 그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바디(2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전후 및 좌우 부분은 케이스(300)에 의해 보호되고 상부는 커버(310)에 의해 마감된다. 여기서, 커버(310)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바홀(311), 필름푸셔홀(312), 푸시바홀(313) 및 커팅바홀(31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홀딩바(510), 필름푸셔(420), 푸시바(410) 및 커팅바(610)가 각각 작동가능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커버(310)에는 필름인출공(315)이 형성되어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된 봉합사필름(100)이 인출된다.
전면바디(21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긴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전면바디(210)의 전면 양측에는 캐치바레일(2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캐치바(810)의 승강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캐치바레일(211)의 중앙 윗부분에는 캐치바 스프링홈(211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캐치바 복원부재(8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전면바디(210)의 좌측면에는 홀딩바레일(2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홀딩바(510)의 승강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홀딩바레일(222)의 상부에는 홀딩바 스프링홈(222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홀딩바 복원부재(530)가 설치된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면바디(210)의 안쪽 후면 좌측에는 푸셔레일(223)이 형성되어 필름푸셔(420)의 승강을 안내하고, 우측에는 커팅바레일(22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커팅바(610)의 승강을 안내한다. 아울러, 전면바디(210)의 하부 중앙에는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된 면을 갖는 캐치바서포트(225)가 구비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의 표면(11)을 지지한다. 더하여, 전면바디(210)의 후면 하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이드(232)가 구비되어 봉합바늘(470)의 회전으로 환부(1)를 관통하는 봉합사(120)가 회전하는 봉합바늘(470)에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하고, 그 상부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34)에 의해 지지되는 필름스토퍼(233)가 구비되어 봉합사필름(100)에 소정의 힘을 가할 경우에만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되도록 단속하게 된다.
중간바디(23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세로 방향으로 긴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바디(210)의 후면에 결합된다. 중간바디(230)의 전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슬릿(231)이 형성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선형 및 원호 이송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가이드슬릿(231)은 중간바디(230)의 전면 양측에 직선형으로 형성된 선형 가이드슬릿(231a)과 이 선형 가이드슬릿(231a)의 하단부를 만곡되게 연결하는 만곡 가이드슬릿(231b)을 포함하여 대략 ‘U’자 형의 궤도로 형성된다. 여기서, 좌측의 선형 가이드슬릿(231a)의 상단부에는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 진입 가이드슬릿(231c)이 형성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용이한 진입을 안내하고, 우측의 선형 가이드슬릿(231b)의 상단부는 커버(310)의 필름인출공(315)에 연이어져 인출되도록 중간바디(230)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이 중간바디(230)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231)은 전면바디(210)의 안쪽 후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양측을 안내하여 안정적인 이송을 하게 된다.
후면바디(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간바디(230)의 후면에 결합된다. 후면바디(250)의 전면 상부에는 가이드블럭이 형성되어 푸시바(410)의 일면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한다. 후면바디(250)의 전면에는 중앙에서 하부까지 길게 연결된 구획철부(252)가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440)의 구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중앙에는 푸시바가이더(254)가 구비되어 푸시바(410)의 승강 시 유동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며, 하부에는 샤프트홀(25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늘샤프트(4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봉합바늘(470)은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인하여 환부(1)를 지나 루프부(126)를 관통하도록 회전한다.
도 3의 하부 좌측에 일점쇄선의 타원 내부에 확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봉합바늘(470)은 바늘샤프트(460)에 결합되는 바늘액슬(471), 바늘액슬(471)에 직교로 연결된 바늘연결부(472), 바늘연결부(472)에 연결되어 견인한 봉합사(120)로 환부(1)를 꿰매는 바늘부(473)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늘액슬(471)은 후술하는 바늘샤프트(460)의 액슬홀(462)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바늘액슬(471)과 바늘연결부(472)는 직교로 연결되어 우측에서 보면 대략 ‘┌’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늘부(473)는 대략 반원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인하고 환부(1)를 지나 루프부(126)를 관통하여 꿰매게 되는데, 이러한 바늘부(473)의 선단에는 대략 ‘v’자 형상의 견인홈(474)이 형성되어 봉합사(120)를 걸어서 빠지지 않도록 견인하게 된다.
구동부재(400)는 봉합바늘(470)을 회전시켜서 봉합사(120)로 환부(1)를 꿰매는 기능과 봉합사필름(100)을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겸한다. 구동부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 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봉합사필름(100)을 가이드슬릿(231)으로 이송시키는 필름푸셔(420) 및 랙(411)이 구비된 푸시바(410), 푸시바(410)의 랙(411)에 맞물리도록 바디(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피니언(430), 구동피니언(430)에 벨트(440)로 연결되는 종동피니언(450)이 구비되어 바디(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늘샤프트(460), 푸시바(410)를 복원시키는 푸시바 복원부재(480)를 포함한다.
푸시바(410)는 봉합바늘(470)을 회전시키는 작용과 봉합사필름(100)을 이송시키는 작용을 동시에 겸하도록 구동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바(410)의 일면은 후면바디(250)의 가이드블럭(251)에 지지되고 대응되는 다른 일면은 중간바디(230)의 후면에 지지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푸시바(410)의 중앙에는 랙(411)이 세로 방향으로 구비되어 맞물리는 구동피니언(430)을 회전시키고, 랙(411)의 하부에는 푸시로드(412)가 구비되어 푸시바가이더(254)를 따라 승강이 안내되며, 랙(411)의 상부에는 스토퍼(414)가 구비되어 푸시바(410)의 하강 시 구동피니언(430)에 걸려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단속된다. 또한, 푸시바(410)의 일측에는 결합홈(413)이 형성되어 필름푸셔(4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2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필름푸셔(420)는 푸시바(410)를 누르는 동시에 하강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상단부를 눌러서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시키며, 필름푸셔(420)의 타측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에 형성된 푸셔레일(22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피니언(430)은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바디(230)와 후면바디(250) 사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푸시바(410)의 랙(411)에 맞물려 회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늘샤프트(460)의 일측에는 구동피니언(430)에 벨트(440)로 연결되는 종동피니언(450)이 구비되어 후면바디(250)의 샤프트홀(25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액슬홀(462)이 형성되어 봉합바늘(470)이 장착된다.
푸시바 복원부재(480)는 하강된 푸시바(4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부재로서, 이러한 푸시바 복원부재(4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412)의 외경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랙(411)과 푸시바가이더(254) 사이에서 탄성적인 압축 및 신장 운동을 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푸시바 복원부재(480)는 하강된 푸시바(4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
홀딩부재(500)는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를 잡아서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홀딩부재(5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의 홀딩바레일(222) 하단부에 형성된 홀딩바서포트(226),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하여 홀딩서포트(226)에 지지되는 견인부(122)를 잡도록 홀더(520), 홀더(520)를 작동시키도록 전면바디(210)의 홀딩바레일(222)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홀딩바(510), 홀딩바(5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홀딩바 복원부재(530)를 포함한다.
홀딩바서포트(226)는 홀딩바레일(222)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홀더(520)와의 사이에 배치된 봉합사(120)의 견인부(122) 어느 한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홀딩바(5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둘레가 둥글고 하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봉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홀딩바(510)의 둥근 상부에는 홀딩바 복원부재(530)가 결합되어 하강된 홀딩바(5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고, 사각형의 하부는 전면바디(210)의 홀딩바레일(222)을 따라 승강된다.
홀더(520)는 홀딩바(5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평평한 상면을 갖는데, 이 평평한 상면은 홀딩바서포트(226)에 지지된 봉합사(120)를 견고히 잡게 된다.
홀딩바 복원부재(5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바(510)의 상부 외경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전면바디(210)의 홀딩바 스프링홈(222a)에 수용되며, 이때 코일스프링의 상단은 스냅링(540)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된다. 선택적으로, 홀딩바 복원부재(530)는 하강된 홀딩바(5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으로 홀딩바(510)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홀딩바서포트(226)와 홀더(5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가 배치될 때 홀딩바(510)에서 손을 떼면 홀딩바 복원부재(530)의 탄성에 의해 홀딩바(510)는 상승하면서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고히 잡게 되므로,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를 당겨서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
커팅부재(600)는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커팅부재(6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커팅바(610), 커팅바(610)에 설치되어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는 커터(620), 커팅바(6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커팅바 복원부재(630)를 포함한다.
커팅바(610)는 전면바디(210)의 커팅바레일(224)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커터(62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커팅바(610)의 하단부에는 커팅바로드(612)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커팅바 복원부재(630)로 구현되는 코일스프링이 결합된다.
커터(620)는 커팅바(6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커팅바(610)에 의해 하강하면서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게 된다.
커팅바 복원부재(630)는 봉합사(120)를 커팅하기 위해 하강한 커팅바(6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부재로서, 이러한 커팅바 복원부재(6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커팅바로드(612)의 외경에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커팅바 복원부재(630)는 하강된 커팅바(6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으로 커팅바(610)를 누르면 커터(620)가 동시에 하강되어 루프부(126)를 관통하여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고, 커팅바(610)에서 손을 떼면 커팅바 복원부재(6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승되어 원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봉합기는 봉합사필름(100)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필름이송부재(7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필름이송부재(7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필름(100)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리는 어퍼스프로킷(712) 및 구동풀리(711)가 구비되어 바디(2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어퍼회전롤러(710), 구동풀리(711)에 벨트(730)로 연결되는 종동풀리(721) 및 봉합사필름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리는 로워스프로킷(712)이 구비되어 바디(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워회전롤러(720), 어퍼회전롤러(710)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봉합사필름(100)을 이송시키는 로터리노브(740)를 포함한다.
어퍼회전롤러(710)는 전면바디(210)와 중간바디(230) 사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터리노브(740)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어퍼회전롤러(710)의 중앙에는 구동풀리(711)가 구비되고 그 양측에는 어퍼스프로킷(712)이 구비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린다.
로워회전롤러(720)는 전면바디(210)와 중간바디(230) 사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어퍼회전롤러(7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로워회전롤러(720)의 중앙에는 구동풀리(711)에 벨트(730)로 연결되는 종동풀리(721)가 구비되고 그 양측에는 로워스프로킷(722)이 구비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린다.
로터리노브(7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어퍼회전롤러(710)에 결합되어 어퍼회전롤러(710)를 회전시켜서 봉합사필름(100)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로터리노브(740)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돌리면 어퍼회전롤러(710)가 회전하고, 이 어퍼회전롤러(710)의 구동풀리(711)에 벨트(730)로 연결된 종돌풀리(721)가 작동되어 로워회전롤러(720)를 돌리게 되므로, 봉합사필름(100)은 어퍼스프로킷(712)과 로워스프로킷(722)에 맞물리는 스프로킷홀(112)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필름푸셔(420)의 하강에 의해 봉합사필름(100)이 이송될 때, 어퍼스프로킷(712)과 로워스프로킷(722)이 봉합사필름(100)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려서 회전하므로, 봉합사필름(100)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를 잡는 환부캐치부재(8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환부캐치부재(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의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표면을 지지하는 캐치바서포트(225), 캐치바서포트(225)에 지지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내면을 잡는 커브로드(812)가 구비되어 전면바디(210)의 캐치바레일(21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캐치바(810), 캐치바(8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캐치바 복원부재(820)를 포함한다.
캐치바서포트(225)는 전면바디(210)의 하부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표면(11)을 지지한다.
캐치바(8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가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바디(210)의 양측에 형성된 캐치바레일(21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게 캐치바손잡이(814)가 구비되어 손으로 편리하게 누를 수 있으며, 하부에는 캐치바서포트(225)의 곡면에 부합되도록 만곡된 커브로드(812)가 구비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내면(12)을 지지한다. 여기서, 캐치바(8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둘레가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캐치바레일(21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절개된 환부(1)의 다양한 모양에 따라 적절히 회전 및 승강시킬 수 있다.
캐치바 복원부재(820)는 하강된 캐치바(8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부재로서, 이러한 캐치바 복원부재(8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바(810)의 상부 외경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캐치바레일에 형성된 캐치바 스프링홈(211a)에 수용되며, 이때 코일스프링의 상단은 캐치바(810)의 상부에 결합된 스냅링(830)에 의해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캐치바 복원부재(820)는 하강된 캐치바(8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치바손잡이(814)를 잡아 누르면서 캐치바(810)가 하강되어 캐치바서포트와(225)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데, 이때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사이로 커브로드(812)를 넣어 내면(12)을 받치고 캐치바서포트(225)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표면(11)을 누른 상태에서 캐치바손잡이(812)에서 손을 떼면, 캐치바 복원부재(820)에 의해 캐치바(810)가 탄성적으로 상승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는 견고히 캐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얇은 조직의 특성으로 인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가 흐물거리지 않도록 유지하여 봉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환부캐치부재(800)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를 잡아서 흐물거리지 않도록 긴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앞서 환부캐치부재(800)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치바(810)를 눌러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내면(12)을 받치고 캐치바서포트(225)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표면(11)을 눌러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를 견고히 잡으며, 이로 인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를 당겨서 봉합하기에 적절한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구동부재(400)에 의해 봉합사필름(100)을 이송시키면서 봉합바늘(470)을 작동시켜서 환부(1)를 꿰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푸시바(410)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랙(411)에 맞물리는 구동피니언(430)이 회전되고, 이 구동피니언(430)에 벨트(440)로 연결된 종동피니언(450)이 회전되어 도 12의 (a)와 같이 바늘샤프트(460)와 봉합바늘(470)이 동시에 회전되는데, 이때 푸시바(410)의 일측에 구비된 필름푸셔(420)도 동시에 하강되면서 봉합사필름(100)의 상단부를 아래로 밀어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시킨다.
그리고 도 12의 (b)와 같이 캐치바서포트(225)를 환부(1)의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근접시킨 상태에서 푸시바(410)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봉합바늘(470)이 회전되어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인하기 시작하고, 봉합바늘(470)의 견인홈(474)은 도 12의 (b) 좌측에 일점쇄선 원으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120)의 견인매듭(123)에 걸려서 빠지지 않고 견인하는데, 이때 필름푸셔(420)는 푸시바(410)와 동시에 하강되어 봉합사필름(120)을 이송시키며, 이후에서도 필름푸셔(420)는 푸시바(410)와 동시에 하강하여 봉합사필름(120)을 계속 이송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푸시바(410)를 더 누르면 도 12의 (c)와 같이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인한 봉합바늘(470)이 연결부(124)와 함께 환부(1)를 관통한 후, 도 12의 (d)와 같이 루프부(126)를 지나게 된다.
다음, 홀딩바(510)를 아래로 누르면 홀드서포트(226)와 홀더(5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가 배치될 때, 홀딩바(510)에서 손을 떼면 홀딩바 복원부재(530)의 탄성에 의해 홀딩바(510)는 상승하여 도 12의 (e)와 같이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고히 잡게 되므로, 견인부(122)를 당겨서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는 커팅부재(600), 즉 도 12의 (e)와 같이 커팅바(610)를 눌러서 하강하는 커터(620)에 의해 커팅되어 봉합을 마감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환부
10 : 절개된 부위
100 : 봉합사필름 110 : 베이스필름
120 : 봉합사 122 : 견인부
126 : 루프부 200 : 바디
210 : 전면바디 225 : 캐치바서포트
230 : 중간바디 231 : 가이드슬릿
250 : 후면바디 300 : 케이스
310 : 커버 400 : 구동부재
410 : 푸시바 420 : 필름푸셔
460 : 바늘샤프트 470 : 봉합바늘
500 : 홀딩부재 510 : 홀딩바
520 : 홀더 530 : 홀딩바 복원부재
600 : 커팅부재 610 : 커팅바
620 : 커터 630 : 커팅바 복원부재
700 : 필름이송부재 710 : 어퍼회전롤러
712 : 어퍼스프로킷 720 : 로워회전롤러
722 : 로워스프로킷 740 : 로터리노브
800 : 환부캐치부재 810 : 캐치바
812 : 커브로드 820 : 캐치바 복원부재
100 : 봉합사필름 110 : 베이스필름
120 : 봉합사 122 : 견인부
126 : 루프부 200 : 바디
210 : 전면바디 225 : 캐치바서포트
230 : 중간바디 231 : 가이드슬릿
250 : 후면바디 300 : 케이스
310 : 커버 400 : 구동부재
410 : 푸시바 420 : 필름푸셔
460 : 바늘샤프트 470 : 봉합바늘
500 : 홀딩부재 510 : 홀딩바
520 : 홀더 530 : 홀딩바 복원부재
600 : 커팅부재 610 : 커팅바
620 : 커터 630 : 커팅바 복원부재
700 : 필름이송부재 710 : 어퍼회전롤러
712 : 어퍼스프로킷 720 : 로워회전롤러
722 : 로워스프로킷 740 : 로터리노브
800 : 환부캐치부재 810 : 캐치바
812 : 커브로드 820 : 캐치바 복원부재
Claims (9)
- 바늘관통공이 형성되어 유연성을 갖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바늘관통공 선단에 배치되는 견인부와 후단에 배치되는 루프부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환부를 봉합하는 봉합사를 포함하되,
상기 봉합사의 견인부는 봉합바늘에 의해 견인되어 환부를 지나 루프부를 관통한 후 매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견인부에 연이어져 바늘관통공의 어느 한 측면에 인접되도록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부, 상기 루프부에 연이어지도록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견인부는 바늘관통공의 선단에 인접된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견인부의 선단에는 견인매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루프부는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조여지지 않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측에는 형체력을 갖도록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는 복수의 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봉합사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보호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와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는 복수로 이루어져 베이스필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필름.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716A KR20180118415A (ko) | 2017-04-21 | 2017-04-21 | 봉합사필름 |
PCT/KR2018/002387 WO2018194258A1 (ko) | 2017-04-21 | 2018-02-27 | 봉합사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716A KR20180118415A (ko) | 2017-04-21 | 2017-04-21 | 봉합사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8415A true KR20180118415A (ko) | 2018-10-31 |
Family
ID=6385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1716A KR20180118415A (ko) | 2017-04-21 | 2017-04-21 | 봉합사필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18415A (ko) |
WO (1) | WO2018194258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201337A1 (de) * | 1992-01-20 | 1993-07-22 | Storz Karl | Instrument mit einem zangenartigen nadelhalter |
US20040088003A1 (en) * | 2002-09-30 | 2004-05-06 | Leung Jeffrey C. | Barbed suture in combination with surgical needle |
KR101541507B1 (ko) * | 2013-11-12 | 2015-08-03 | 육상수 | 봉합장치 |
KR20150107140A (ko) * | 2014-03-13 | 2015-09-23 | 김남식 | 봉합실의 구조 및 봉합실의 봉합방법 |
KR101796685B1 (ko) * | 2014-12-08 | 2017-11-10 | 육상수 | 봉합용 매듭 및 봉합장치 |
-
2017
- 2017-04-21 KR KR1020170051716A patent/KR20180118415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2-27 WO PCT/KR2018/002387 patent/WO201819425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94258A1 (ko) | 2018-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44243B2 (ja) | 縫合システム | |
US4747358A (en) | Surgical suturing machine | |
US10278689B2 (en) | Suture passer with tissue reinforcement positioner | |
CA2935477C (en) | Devices and methods for advancing knots | |
EP2662031B1 (en) | Systems and devices for securing tissue using a sutur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 |
US20100312260A1 (en) | Interrupted tissue apposition devices | |
US8307978B2 (en) | Knotless endostitch package | |
US11638580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suturing a cardiac implant | |
JPH09507421A (ja) | 縫合糸調節手段を有する縫合器具 | |
KR20140022903A (ko) | 최신 봉합사 이송기 | |
JP2017517376A (ja) | 組織を縫合する器具および方法 | |
RU2745134C2 (ru) |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узлов шовной нити | |
CN107106160B (zh) | 用于缝合的结和缝合装置 | |
KR20180118416A (ko) | 봉합기 | |
KR20180118419A (ko) | 봉합기 | |
JP5946335B2 (ja) | 医療用縫合具 | |
KR20180118415A (ko) | 봉합사필름 | |
WO2019211954A1 (ja) | 縫合装置 | |
KR20180118420A (ko) | 봉합기 | |
KR20180118418A (ko) | 봉합기 | |
KR20180118417A (ko) | 봉합기 | |
KR20180118423A (ko) | 봉합기 | |
KR20180118425A (ko) | 봉합기 | |
KR20180118422A (ko) | 봉합기 | |
KR20180118424A (ko) | 봉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